KR101423465B1 - 좌욕 온수 세정기 - Google Patents

좌욕 온수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465B1
KR101423465B1 KR1020140019684A KR20140019684A KR101423465B1 KR 101423465 B1 KR101423465 B1 KR 101423465B1 KR 1020140019684 A KR1020140019684 A KR 1020140019684A KR 20140019684 A KR20140019684 A KR 20140019684A KR 101423465 B1 KR101423465 B1 KR 101423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th
unit
water tank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유삼
Original Assignee
고유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유삼 filed Critical 고유삼
Priority to KR1020140019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좌욕 온수 세정기가 개시된다. 상기 좌욕 온수 세정기는 좌욕 및 온수세정이 가능한 좌욕 온수 세정기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결합된 변좌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수조; 급수원과 연결되어 상기 수조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 상기 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물가열히터;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물온도 감지센서;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온수 세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비데기능부;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좌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좌욕기능부; 상기 비데기능부 및 상기 좌욕기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비데기능부 및 상기 좌욕기능부의 동작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데기능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변좌부의 아래로 일부분이 돌출된 세정노즐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변좌부의 아래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 상기 수조 및 상기 세정노즐부과 연결되어 상기 세정노즐부로 상기 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한 세정수를 상기 세정노즐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세정수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욕기능부는, 상기 변좌부에 착탈가능한 좌욕조; 상기 수조 및 상기 좌욕조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한 좌욕수를 상기 좌욕조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좌욕수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좌욕 온수 세정기{HIP BATH AND HOT WATER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좌욕 온수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세정 및 좌욕이 가능한 좌욕 온수 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욕은 항문 괄약근을 이완시킴으로써 근육 경련으로 인한 통증을 경감시키며 항문 주위를 청결히 세척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항문 부위에 생긴 혈전의 용해나 상처의 치유를 촉진시킴으로써, 성인병을 예방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음이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변비(便秘)의 경우에는 건강할 때에 비하여 변이 굳고 건조하며 배변의 횟수와 변의 양이 감소되어 불쾌감이나 생리적 장애를 수반하는 증상이 있어 당사자로서는 상당히 고통스러운 일이기 때문에, 꾸준한 좌욕이나 온욕 등을 통해 항문 주위에 자극을 주고 청결상태를 항상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그 예방을 위해서도 이를 생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생활환경 및 주거환경 등의 개선으로 인해 욕실 내에 마련되어 있는 좌변기에는 이른바 "비데" 라고 불리는 비데기가 설치되는 바, 이러한 비데기는 용변 후 세정노즐에 의한 물이 항문으로 분사되어 항문 주변의 잔유물을 닦아낼 수는 있으나, 이와 같은 비데기만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좌욕의 효과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성인병의 예방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90874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데기능 및 좌욕기능을 겸비하여 온수세정 및 좌욕을 실시할 수 있고, 수조의 세척이 용이하며, 좌욕기능으로의 전환이 빠르고, 좌욕수의 공급 및 배출이 간단하며, 좌욕 후 좌욕조를 분리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둔부의 건조가 가능하도록 한 좌욕 온수 세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는, 좌욕 및 온수세정이 가능한 좌욕 온수 세정기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결합된 변좌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수조; 급수원과 연결되어 상기 수조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 상기 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물가열히터; 상기 수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물온도 감지센서;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온수 세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비데기능부;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좌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좌욕기능부; 상기 비데기능부 및 상기 좌욕기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비데기능부 및 상기 좌욕기능부의 동작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데기능부는,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변좌부의 아래로 일부분이 돌출된 세정노즐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변좌부의 아래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 상기 수조 및 상기 세정노즐부과 연결되어 상기 세정노즐부로 상기 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한 세정수를 상기 세정노즐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세정수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욕기능부는, 상기 변좌부에 착탈가능한 좌욕조; 상기 수조 및 상기 좌욕조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한 좌욕수를 상기 좌욕조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좌욕수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온풍공급부는, 온열공급 케이싱; 상기 온열공급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된 드라이 히터; 상기 온열공급 케이싱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온열공급 케이싱의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는 드라이 휀을 포함하고, 상기 온열공급 케이싱은 상기 변좌부의 아래 방향을 향해 개구된 온풍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공급부는, 상기 수조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수조 내부에 저장된 온수를 펌핑하는 온수세정펌프; 일단은 상기 온수세정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정노즐부에 연결된 세정수 공급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욕조는, 상기 변좌부 상에 안착되는 테두리부; 상기 테두리부의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테두리부의 아래 방향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수조로부터 공급된 좌욕수를 수용하는 좌욕수 수용부; 일단이 상기 좌욕수 수용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좌욕조에 설치되고 상기 좌욕수를 상기 좌욕수 수용부의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좌욕조 연결호스; 상기 좌욕수 수용부의 내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좌욕수 배출구; 상기 좌욕수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 상기 좌욕수 배출구를 덮도록 상기 개폐도어를 상기 좌욕수 배출구에 고정하거나 상기 개폐도어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도어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욕수 배출구는 상기 좌욕수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좌욕수 수용부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욕수 배출구의 돌출된 일부분은 상기 좌욕수 수용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좌욕수 배출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어 상기 좌욕수 수용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좌욕수 배출구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있고 이때 상기 개폐도어의 하단부는 상기 좌욕수 배출구의 돌출된 일부분의 하단부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개폐도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좌욕수 배출구와 힌지연결된 일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오픈된다.
상기 도어고정부재는, 와이어지지대; 와이어; 및 개폐용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지지대는 상기 좌욕조의 외면에서 상기 좌욕수 배출구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와이어지지대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지지대로부터 연장된 길이의 일부분은 상기 개폐도어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좌욕수 수용부를 관통하여 좌욕수 수용부의 내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개폐용 손잡이는 상기 좌욕수 수용부의 내측으로 노출된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개폐용 손잡이의 착탈을 위한 제1 고정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용 손잡이는 상기 개폐도어를 닫힘 상태로 고정할 때 상기 제1 고정밴드에 고정되고 상기 개폐도어를 열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밴드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좌욕수공급부는, 상기 수조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수조 내부에 저장된 온수를 펌핑하는 좌욕수펌프; 일단은 상기 좌욕수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좌욕조 연결호스에 연결된 제1 좌욕수 공급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된 좌욕기능 전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욕기능 전환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고정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관 및 상기 몸체부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관을 포함하는 호스연결부; 일단이 상기 제1 연결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좌욕수 공급호스와 연결된 제2 좌욕수 공급호스;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2 연결관이 형성된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콘트롤부와 연결되고 상기 비데기능부의 동작으로부터 상기 좌욕기능부의 동작으로 자동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관에는 상기 좌욕수 수용부의 내측에 위치하지 않는 상기 좌욕조 연결호스의 단부가 결합되고, 이때 상기 전환스위치는 상기 좌욕조 연결호스에 의해 눌린다.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급수원과 연결된 물공급관; 상기 수조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와 연통되고 상기 물공급관이 연결되는 물공급관 연결부; 상기 수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상기 물공급관 연결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수조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인 경우 상기 물공급관 연결부의 내부를 밀폐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수조 내부의 수위가 저수위인 경우 상기 물공급관 연결부의 내부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적정온도 이상의 이상온도로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과승방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과승방지센서는 상기 콘트롤부와 연결되고, 상기 콘트롤부는 상기 과승방지센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물가열히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좌욕수 수용부에 저장된 좌욕수에 버블을 형성하기 위한 버블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블발생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산소발생기; 및 상기 산소발생기와 연결되고 상기 산소발생기에서 생성된 산소를 상기 좌욕수 수용부로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욕수 공급호스, 상기 제2 좌욕수 공급호스 및 상기 산소공급호스는 제1 내지 제3 단부를 형성한 T자형 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1 단부에는 상기 제1 좌욕수 공급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에는 상기 제2 좌욕수 공급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제3 단부에는 상기 산소공급호스가 연결되고, 상기 제3 단부 및 상기 산소공급호스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좌욕수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좌욕수가 상기 산소공급호스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는 상기 물공급관 상에 설치된 세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물공급관 상에 설치되고 내부의 개폐를 위한 뚜껑을 포함한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을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의 2개의 공간으로 분획하도록 상기 용기의 내부에 설치된 격벽; 및 상기 제1 공간에 저장된 세척볼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일부분이 상기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공간 및 제2 공간 사이를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2 공간의 위로 위치한 공간이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물공급관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격벽의 일부분이 상기 용기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제1 공간 및 상기 제2 공간이 서로 연통된 경우, 상기 제1 공간 내부에 저장된 상기 세척볼은 상기 제2 공간으로 낙하되고, 상기 제2 공간으로 낙하된 상기 세척볼은 상기 물공급관을 통해 상기 수조로 급수되는 물의 공급압력에 의해 상기 수조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수조 내부로 공급된 상기 세척볼은 상기 수조 내면에 부딪힌다.
상기 세척볼은 인체에 무해하도록 제작된 플렉시블한 소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에 의하면, 비데기능 및 좌욕기능이 겸비하여 온수세정 및 좌욕의 실시가 가능하고, 수조의 세척이 용이하며, 좌욕기능으로의 전환이 빠르고, 좌욕수의 공급 및 배출이 간단하며, 좌욕 후 좌욕조를 분리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둔부의 건조가 가능한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욕 온수 세정기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좌욕 온수 세정기의 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의 세정수공급부 및 좌욕수공급부, 물공급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세정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좌욕조의 도어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좌욕조의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좌욕 온수 세정기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제1 좌욕수 공급호스, 제2 좌욕수 공급호스 및 산소공급호스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세척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욕 온수 세정기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좌욕 온수 세정기의 케이스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의 세정수공급부 및 좌욕수공급부, 물공급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는 케이스(100); 변좌부(200); 수조(300); 물공급수단(400); 물가열히터(520); 물온도 감지센서(510); 비데기능부; 좌욕기능부; 및 콘트롤부(8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좌욕 온수 세정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각 부품들을 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로, 케이스(100)는 평면에서 볼 때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가로 방향으로 긴 제1 수용부(101), 제1 수용부(101)에 수직하고 제1 수용부(101)의 좌측에 위치한 제2 수용부(102) 및 제2 수용부(102)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3 수용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변좌부(200)는 좌변기에 설치된다. 변좌부(200)는 난방이 가능한 것으로서, 내부에 열선이 내장되어 있고, 열선에 의한 난방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가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변좌부(200)는 케이스(100)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 하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좌변기로부터 올려질 수 있다.
수조(300)는 케이스(100)의 제1 수용부(101)의 내측에 설치된다. 수조(300)의 내부에는 비데기능부 및 좌욕기능부로 공급하기 위한 물이 급수원으로부터 공급 및 저장된다. 일 예로, 수조(300)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수조(300)의 저면에는 배출구멍(310)이 형성되고 배출구멍(310)에는 마개(320)가 결합되어 있다. 마개(320)를 배출구멍(310)으로부터 분리하면 수조(300) 내에 저장된 물은 수조(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물공급수단(400)은 급수원과 연결되어 수조(3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물공급수단(400)은 물공급관(410), 물공급관 연결부(420), 수위감지센서(430) 및 솔레노이드밸브(440)를 포함한다.
물공급관(410)은 급수원과 연결된다. 일 예로, 급수원은 수도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공급관(410)은 수도관과 연결되어 수도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조(300) 내부로 공급한다.
물공급관 연결부(420)는 수조(3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조(300)와 연통되고 물공급관(410)이 연결된다. 물공급관 연결부(420)는 수조(300)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물공급관 연결부(420)는 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케이스(100)의 외부에서 물공급관(410)의 연결이 가능하다.
수위감지센서(430)는 수조(300) 내부로 공급된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수위감지센서(430)는 수조(3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일 예로, 수위감지센서(430)는 일단이 수조(300)의 상면에 고정되며, 수위측정을 위한 감지부가 수조(3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440)는 물공급관 연결부(420)의 내부를 개폐한다. 솔레노이드밸브(440)는 물공급관 연결부(420) 상에 설치되어 수위감지센서(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440)는 수위감지센서(430)를 통해 감지된 수조(30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인 경우 물공급관 연결부(420)의 내부를 밀폐하고, 수위감지센서(430)를 통해 감지된 수조(300) 내부의 수위가 저수위인 경우 물공급관 연결부(420)의 내부를 개방한다.
수위감지센서(430) 및 솔레노이드밸브(440)는 수조(300) 내에 물이 저수위인 경우 물공급관(410) 및 물공급관 연결부(420)를 통해 물이 급수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마개(320)를 분리함에 따라 수조(300) 내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어 수조(300) 내부가 저수위인 경우 수위감지센서(430)는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밸브(440)가 동작되도록 하며, 솔레노이드밸브(440)는 물공급관 연결부(420)의 내부를 개방하여 물공급관(410)으로부터 수조(300)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물가열히터(520)는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한다. 물가열히터(520)는 수조(300)의 내부에 위치한다. 일 예로, 물가열히터(520)는 일단이 수조(3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고 가열부가 수조(300)의 내부로 삽입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가열히터(520)는 콘트롤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물가열히터(520)는 콘트롤부(800)에 의해 제어되어 콘트롤부(800)에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물온도 감지센서(510)는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한다. 물온도 감지센서(510)는 수조(300)의 내부에 위치한다. 일 예로, 물온도 감지센서(510)는 일단이 수조(3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고 온도측정부가 수조(300)의 내부로 삽입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물온도 감지센서(510)는 콘트롤부(800)와 연결되고, 측정된 온도는 콘트롤부(800)로 입력되어 콘트롤부(800)를 통해 케이스(100)의 외부로 표시된다.
비데기능부는 수조(300) 내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온수 세정 기능을 제공한다. 비데기능부는 세정노즐부(610), 온풍공급부(620) 및 세정수공급부(630)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세정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세정노즐부(610)는 온수 세정을 위한 세정수가 분사되는 부분이다. 세정노즐부(610)은 케이스(100)의 제1 수용부(101) 내에 설치되고, 이때 세정노즐부(610)은 변좌부(200)의 아래로 일부분이 돌출된다. 이러한 세정노즐부(610)은 케이스(100)의 내부로부터 변좌부(200)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세정노즐부(610)의 변좌부(200)로 돌출된 부분에는 세정수의 분사를 위한 분사구멍(612a)이 형성된다.
이러한 세정노즐부(610)은 노즐수용관(611) 및 분사노즐(612)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수용관(611)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분이다. 일 예로, 노즐수용관(611)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분사노즐(612)은 하단부가 노즐수용관(61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즐수용관(611)의 내측으로 일부분이 삽입된다. 분사노즐(612)의 외부로 노출된 하단부에는 분사구멍(612a)이 형성된다. 분사노즐(612)은 노즐수용관(6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일 예로, 분사노즐(612)은 노즐수용관(611) 내에 스프링(613)에 의해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 스프링(613)은 노즐수용관(6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스프링(613)의 일단은 노즐수용관(611)의 내부에 고정되고 스프링(613)의 타단은 분사노즐(612)의 삽입된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분사노즐(612)은 노즐수용관(611)으로부터 쉽게 인출될 수 있다. 즉, 분사노즐(612)의 하단부를 손으로 잡고 당기면 분사노즐(612)은 노즐수용관(611)으로부터 길게 인출되고 이때 스프링(613)은 인장된다. 이후 인출된 분사노즐(612)의 하단부를 손에서 놓으면 스프링(613)은 수축하고 이에 의해 분사노즐(612)은 노즐수용관(611)의 내부로 복귀한다. 따라서 이러한 세정노즐부(610)는 분사노즐(612)이 쉽게 인출되므로 분사노즐(612)의 세척이 용이하다.
온풍공급부(620)는 온수세척 후 건조를 위한 것으로, 변좌부(200)의 아래로 온풍을 공급한다. 온풍공급부(620)는 온열공급 케이싱(621), 드라이 히터(622), 드라이 휀(623)을 포함한다.
온열공급 케이싱(621)은 케이스(100)의 제1 수용부(101) 내에 설치된다. 온열공급 케이싱(621)은 온풍이 생성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저면부, 저면부로부터 수직한 측면부 및 저면부에 대향하는 평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온열공급 케이싱(621)의 일측에는 변좌부(200)의 아래 방향을 향해 개구된 온풍 배출구(621a)를 포함한다. 온풍 배출구(621a)는 세정노즐부(610)와 이웃한다.
드라이 히터(622)는 온열공급 케이싱(621)의 내부에 설치된다. 드라이 히터(622)는 콘트롤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콘트롤부(8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드라이 히터(622)는 발열하여 온열공급 케이싱(621)의 내부에 열을 공급한다.
드라이 휀(623)은 온열공급 케이싱(621)의 내부에 바람을 공급한다. 드라이 휀(623)은 소형의 구동모터(623a) 및 구동모터(623a)의 구동축에 결합된 회전날개(623b)를 포함한다. 드라이 휀(623)은 콘트롤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콘트롤부(8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온풍공급부(620)는, 전원 공급된 구동모터(623a)가 구동되면 회전날개(623b)는 회전되어 온열공급 케이싱(621)의 내부로 바람을 공급하며, 온열공급 케이싱(621) 내부의 바람은 드라이 히터(622)에 의해 가열된 후 온풍 배출구(621a)를 통해 배출된다.
세정수공급부(630)는 수조(300) 및 세정노즐부(610)과 연결되어 세정노즐부(610)로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한 세정수를 세정노즐부(610)로 공급한다. 세정수공급부(630)는 온수세정펌프(631) 및 세정수 공급호스(632)를 포함한다.
온수세정펌프(631)는 수조(300)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며 케이스(100)의 제2 수용부(102)내부에 설치된다. 온수세정펌프(631)는 수조(300)의 내부와 연통되어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온수를 펌핑한다.
세정수 공급호스(632)는 일단이 온수세정펌프(6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세정노즐부(6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세정수공급부(630)는 온수세정펌프(631)가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온수를 펌핑하여 세정수 공급호스(632)를 통해 세정노즐부(610)로 세정수를 공급하게 된다.
좌욕기능부는 좌욕조(710) 및 좌욕수공급부(720)를 포함한다.
좌욕조(710)는 테두리부(711), 좌욕수 수용부(712), 좌욕조 연결호스(713), 좌욕수 배출구(714), 개폐도어(715), 도어고정부재(716)를 포함한다.
테두리부(711)는 좌욕조(710)의 가장자리로서 변좌부(2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좌욕수 수용부(712)는 테두리부(711)의 안쪽에 위치한다. 좌욕수 수용부(712)는 테두리부(711)의 아래 방향으로 만입되어 있고 수조(300)로부터 공급된 좌욕수를 수용한다.
좌욕조 연결호스(713)는 좌욕수를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측으로 공급한다. 좌욕조 연결호스(713)는 일단이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좌욕조(710)에 설치된다.
좌욕수 배출구(714)는 좌욕수 수용부(712)에 수용된 좌욕수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좌욕수 배출구(714)는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면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좌욕수 배출구(714)는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면으로부터 좌욕수 수용부(712)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좌욕수 배출구(714)의 돌출된 일부분은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개폐도어(715)는 좌욕수 배출구(714)를 개폐한다. 개폐도어(715)는 좌욕수 배출구(71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어 좌욕수 수용부(712)의 외측으로 돌출된 좌욕수 배출구(714)의 일부분에 결합된다. 이때 개폐도어(715)의 하단부는 좌욕수 배출구(714)의 돌출된 일부분의 하단부에 힌지연결된다. 이러한 개폐도어(715)는 경사진 좌욕수 배출구(714)에 결합되어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자중에 의해 좌욕수 배출구(714)와 힌지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오픈(open)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좌욕조의 도어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좌욕조의 개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고정부재(716)는 좌욕수 배출구(714)를 덮도록 개폐도어(715)를 좌욕수 배출구(714)에 고정하거나 개폐도어(715)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도어고정부재(716)는 와이어지지대(716a); 와이어(716b); 및 개폐용 손잡이(716c)를 포함한다.
와이어지지대(716a)는 와이어(716b)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와이어지지대(716a)는 좌욕조(710)의 외면에서 좌욕수 배출구(714)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와이어(716b)는 개폐도어(715)를 감싸서 개폐도어(715)를 닫힘 상태로 고정하거나 열림 상태가 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와이어(716b)의 일단은 와이어지지대(716a)에 고정되고 와이어지지대(716a)로부터 연장된 길이의 일부분은 개폐도어(715)의 둘레를 감싼다. 와이어(716b)의 타단은 좌욕수 수용부(712)를 관통하여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측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와이어(716b)는 팽팽하게 당겨지는 경우 개폐도어(715)를 감싸서 개폐도어(715)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고, 느슨해지는 경우 도 8과 같이 개폐도어(715)가 열리도록 한다.
상기 개폐용 손잡이(716c)는 와이어(716b)를 당기거나 느슨하게 풀기 위해 와이어(716b)를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개폐용 손잡이(716c)는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측으로 노출된 와이어(716b)의 타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개폐용 손잡이(716c)를 좌욕조(710)에 고정하기 위해, 테두리부(711)에는 개폐용 손잡이(716c)의 착탈을 위한 제1 고정밴드(717)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개폐용 손잡이(716c)는 개폐도어(715)를 닫힘 상태로 고정할 때 제1 고정밴드(717)에 고정되고, 개폐도어(715)를 열고자 하는 경우 제1 고정밴드(717)로부터 분리된다.
좌욕수공급부(720)는 좌욕수펌프(721) 및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를 포함한다.
좌욕수펌프(721)는 수조(300)의 외부 일측에 위치하며 케이스(100)의 제2 수용부(102) 내부에 설치된다. 좌욕수펌프(721)는 수조(300)의 내부와 연통되어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온수를 펌핑한다.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는 좌욕수펌프(721)를 통해 펌핑된 온수(좌욕수)를 좌욕조 연결호스(713)로 공급하는 부분이다.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는 일단이 좌욕수펌프(7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좌욕조 연결호스(7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 및 좌욕조 연결호스(713)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예를 들면, 원통 형태의 어댑터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콘트롤부(800)는 비데기능부 및 좌욕기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비데기능부 및 좌욕기능부의 동작실행을 제어한다. 콘트롤부(800)는 조작패널(810), 제어모듈(830), 스위치모듈(820)을 포함한다. 제어모듈(830) 및 스위치모듈(820)은 PCB 회로기판 형태일 수 있다.
조작패널(810)은 각종 선택모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온수세정을 위한 세정선택부 및 건조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정선택부는 비데기능부의 세정노즐부(610)를 통한 온수세정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고, 건조선택부는 비데기능부의 온풍공급부(620)를 통한 건조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작패널(810)은 케이스(100)의 제2 수용부(102)의 상면에 설치된다.
제어모듈(830)은 비데기능부 및 좌욕기능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어모듈(830)은 케이스(100)의 제2 수용부(102)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모듈(830)에는 좌욕수펌프(721)의 가동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스위치모듈(820)은 조작패널(810)에 배열된 상기 선택부들의 선택시 비데기능부 및 좌욕기능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들이 배열되어 있다. 스위치모듈(820)은 조작패널(81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00)의 제2 수용부(102) 내부에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는 좌욕기능 전환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좌욕 온수 세정기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좌욕기능 전환부(900)가 도시되어 있다.
좌욕기능 전환부(900)는 비데기능부의 동작으로부터 좌욕기능부의 동작으로 자동 전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좌욕기능 전환부(900)는 케이스(100)의 일면, 예를 들면, 제2 수용부(102)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좌욕기능 전환부(900)는 호스연결부(910) 및 제2 좌욕수 공급호스(920) 및 전환스위치(930)를 포함한다.
호스연결부(910)는 몸체부(910a), 제1 연결관(910b) 및 제2 연결관(910c)을 포함한다. 몸체부(910a)는 케이스(100)의 제2 수용부(102)의 배면에 고정되는 부분이고 예를 들면,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제1 연결관(910b)은 원통 형상으로서 몸체부(910a)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케이스(100)의 제2 수용부(102) 내측에 위치한다. 제2 연결관(910c)은 원통형상으로서 몸체부(910a)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케이스(100)의 제2 수용부(10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 좌욕수 공급호스(920)는 일단이 제1 연결관(910b)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와 연결된다.
전환스위치(930)는 비데기능부의 동작으로부터 상기 좌욕기능부의 동작으로 자동 전환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전환스위치(930)는 몸체부(910a)의 제2 연결관(910c)이 형성된 면으로부터 핀 형태로 돌출되어 있고 콘트롤부(800)와 연결된다.
이러한 좌욕기능 전환부(900)에는 좌욕수 연결호스(713)가 연결된다. 좌욕조(7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좌욕수 연결호스(713)의 일단은 제2 연결관(910c)에 결합되고, 이때 전환스위치(930)는 좌욕조 연결호스(713)에 의해 눌린다. 전환스위치(930)가 눌리면 콘트롤부(800)는 좌욕기능부를 동작시킨다.
이러한 좌욕기능 전환부(900)가 설치되는 경우,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는 좌욕수 연결호스(713)와 연결되지 않고 제2 좌욕수 공급호스(920)와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 및 제2 좌욕수 공급호스(920)는, 예를 들면, 원통 형태의 어댑터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는 버블발생부(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블발생부(1200)는 좌욕조(710)로 공급된 좌욕수에 버블(bubble)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버블발생부(1200)는 산소발생기(1210) 및 산소공급호스(1220)를 포함한다.
산소발생기(1210)는 좌욕수 내에 버블의 생성을 위해 산소를 공급한다. 산소발생기(1210)는 케이스(100)의 제1 수용부(101) 내부에 설치된다.
산소공급호스(1220)는 산소발생기(1210)와 연결되어 산소발생기(1210)로부터 배출되는 산소를 좌욕수 수용부(712)로 공급하는 부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제1 좌욕수 공급호스, 제2 좌욕수 공급호스 및 산소공급호스의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러한 버블발생부(1200)가 설치되는 경우,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 제2 좌욕수 공급호스(920) 및 산소공급호스(1220)는 도 12와 같이 서로 연결된다.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 제2 좌욕수 공급호스(920) 및 산소공급호스(1220)의 연결을 위해 제1 내지 제3 단부(1303)를 형성한 T자형 관(1300)이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제1 단부(1301)에는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가 연결되고, 제2 단부(1302)에는 제2 좌욕수 공급호스(920)가 연결되고, 제3 단부(1303)에는 산소공급호스(1220)가 연결된다. 또한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를 통해 공급되는 좌욕수가 산소공급호스(1220)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 단부(1303) 및 산소공급호스(1220)의 사이에는 체크밸브(1400)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는 과승방지센서(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승방지센서(1100)는 수조(300) 내부에 위치하여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적정온도 이상의 이상온도로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감지한다. 과승방지센서(1100)는 콘트롤부(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과승방지센서(1100)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콘트롤부(800)는 물가열히터(52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온수세정을 위해 세정선택부가 선택된 경우, 온수세정펌프(631)는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온수를 펌핑하여 세정수 공급호스(632)로 세정수를 배출하고, 세정수는 세정수 공급호스(632)를 통해 세정노즐부(610)로 공급된다. 세정노즐부(610)로 공급된 세정수는 분사노즐(612)을 통해 변좌부(200)를 향해 분사된다.
건조를 위해 건조선택부가 선택된 경우, 드라이 휀(623) 및 드라이 히터(622)가 작동되고, 이에 의해 온열공급 케이싱(621) 내부에는 온풍이 생성되고, 생성된 온풍은 온풍 배출구(621a)를 통해 변좌부(200)측으로 배출된다.
좌욕을 하고자 하는 경우, 좌욕조 연결호스(713)를 좌욕기능 전환부(900)를 구성하는 호스연결부(910)의 제2 연결관(910c)에 결합한다. 이때, 전환스위치(930)는 제2 연결관(910c)에 결합된 좌욕조 연결호스(713)의 단부에 의해 눌린다. 콘트롤부(800)는 물가열히터(520)를 좌욕을 위해 미리 설정된 온도로 높여서 수조(300) 내의 물이 좌욕에 필요한 온도로 가열되도록 하고 좌욕수펌프(721)를 동작시킨다.
좌욕수펌프(721)는 수조(300) 내에서 좌욕을 위한 온도로 가열된 온수(좌욕수)를 펌핑하여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로 배출한다. 좌욕수는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 T자형 관(1300)의 제1 단부(1301) 및 제2 단부(1302), 제2 좌욕수 공급호스(920)를 통해 좌욕기능 전환부(900)의 호스연결부(910)로 이동하고 호스연결부(910)를 통과하여 좌욕조 연결호스(713)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좌욕조 연결호스(713)는 좌욕수를 좌욕조(710)의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측으로 공급한다. 좌욕수펌프(721)는 콘트롤부(800)의 제어모듈(830)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된 후 정지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좌욕조(710)에는 좌욕수가 채워진다.
이후, 콘트롤부(800)는 버블발생부(1200)를 구동시킨다. 버블발생부(1200)의 산소발생기(1210)는 구동되어 산소를 생성하고 산소를 산소공급호스(1220)로 배출한다. 이때 체크밸브(1400)는 개방된다. 산소는 산소공급호스(1220), 체크밸브(1400), T자형 관(1300)의 제3 단부(1303), 제2 좌욕수 공급호스(920)를 통해 좌욕기능 전환부(900)의 호스연결부(910)로 이동하고 호스연결부(910)를 통과하여 좌욕조 연결호스(713)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좌욕조 연결호스(713)는 산소를 좌욕수 수용부(712)로 공급한다. 산소는 좌욕수 수용부(712)에 채워진 좌욕수에 버블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좌욕을 위한 좌욕수 및 산소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동안 또는 좌욕을 위한 좌욕수 및 산소의 공급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좌욕조(710) 및 변좌부(200)에 앉아서 좌욕을 실시한다.
한편, 좌욕이 완료된 후 좌욕조(710) 내의 좌욕수를 좌변기로 배출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좌욕조(710)의 제1 고정밴드(717)에 결합되어 있는 개폐용 손잡이(716c)를 간단히 밀어 올려서 개폐용 손잡이(716c)를 제1 고정밴드(717)로부터 분리한다. 이에 의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된 와이어(716b)는 느슨한 상태로 풀리게 된다. 와이어(716b)가 풀리면 개폐도어(715)가 좌욕수 배출구(714)의 아래 방향으로 회전되어 열려서 좌욕수 배출구(714)를 개방한다. 개방된 좌욕수 배출구(714)를 통해 좌욕수는 배출된다.
좌욕수가 배출된 이후 사용자는 온풍공급부(620)를 통해 둔부를 건조할 수 있다. 둔부를 건조하기 위해 온풍공급부(620)가 동작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건조를 위해 건조선택부가 선택된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온풍공급부(620)가 동작되어 온풍공급부(620)의 온풍 배출구(621a)를 통해 배출되는 온풍은 개방된 좌욕수 배출구(714)를 통해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둔부를 건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를 일정 기간 사용하게 되면 수조(300) 및 세정노즐부(610)의 세척이 필요하다.
수조(300)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수조(300)의 배출구멍(310)에 결합된 마개(320)를 분리한다. 마개(320)를 분리하면 수조(300) 내에 저장된 물은 배출구멍(310)을 통해 배출되며, 이에 따라 수조(300)의 내부는 저수위가 된다. 수위감지센서(430)는 수조(300) 내부의 저수위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밸브(440)를 작동시킨다. 솔레노이드밸브(440)는 물공급관 연결부(420)의 내부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물공급관(410) 및 물공급관 연결부(420)를 통해 수조(30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된다. 수조(30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은 고압으로 공급되고, 고압으로 공급되는 물은 수조(300)의 내면에 부딪히면서 수조(300)의 내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마개(320)는 분리상태로 둔다. 이러한 과정을 일정시간 동안 진행한 후 마개(320)를 수조(300)에 결합하여 수조(300)의 내부로 물을 채운다.
세정노즐부(610)를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분사노즐(612)의 하단부를 잡고 아래 방향으로 당기면 분사노즐(612)은 노즐수용관(611)의 외부로 인출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분사노즐(612)을 세척한다. 이와 같이 분사노즐(612)이 노즐수용관(611)으로부터 쉽게 인출되므로 분사노즐(612)의 세척이 간단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를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세척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는 상기 물공급관(410) 상에 설치된 세척부재(1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정기와 동일하다.
세척부재(1500)는 용기(1510), 격벽(1520), 세척볼(1530)을 포함한다.
용기(1510)는 세척볼(1530)을 수용한다. 용기(1510)는 물공급관(410) 상에 설치되고 내부의 개폐를 위한 뚜껑(1511)을 포함한다. 뚜껑(1511)은 몸체부(910a)와 실링재(미도시)를 통해 밀폐된다. 일 예로, 용기(1510)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격벽(1520)은 용기(1510)의 내부공간을 제1 공간(1510a) 및 제2 공간(1510b)의 2개의 공간으로 분획하도록 용기(15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격벽(1520)은 용기(15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설치된다. 용기(15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격벽(1520)의 제1 단부에는 걸림부(1521)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521)는 격벽(1520)이 용기(151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부(1521)의 반대편에 위치한 격벽(1520)의 제2 단부에는 실링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제2 단부(1302)가 용기(1510)의 외면에 대응될 때 실링재에 의해 용기(1510) 및 격벽(1520)의 사이는 밀폐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1520)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의 사이가 용기(15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제1 공간(1510a) 및 제2 공간(1510b) 사이를 개방할 수 있다.
세척볼(1530)은 수조(300)의 내면의 세척을 위한 구성이다. 세척볼(1530)은 격벽(1520)에 의해 분획된 용기(1510)의 제1 공간(1510a)에 저장된다. 이때 격벽(1520)의 걸림부(1521)는 용기(151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닫힌 상태이다. 세척볼(1530)은 인체에 무해하도록 제작된 플렉시블한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세척볼(1530)은 천연고무,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세척부재(1500)가 물공급관(410)에 설치될 때 제2 공간(1510b)에는 물공급관(410)이 연결된다.
이러한 세척부재(1500)는 수조(300)의 내부를 세척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수조(300)의 내부를 세척하는 경우, 먼저 격벽(1520)을 용기(1510)의 외부로 인출한다. 이에 의해 제1 공간(1510a) 및 제2 공간(1510b)이 서로 연통된다. 이때, 제1 공간(1510a) 내부에 저장된 세척볼(1530)은 제2 공간(1510b)으로 낙하된다.
제2 공간(1510b)으로 낙하된 세척볼(1530)은 물공급관(410)을 통해 수조(300)로 급수되는 물의 공급압력에 의해 수조(300) 내부로 공급되고, 수조(300) 내부로 공급된 세척볼(1530)은 수조(300) 내면에 부딪힌다. 세척볼(1530)은 플렉시블한 소재이므로 수조(300)의 내면에 반복적으로 부딪히면서 수조(300)의 내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욕 온수 세척기를 이용하면 수조(300)의 내부를 더욱 깨끗이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분사노즐(612) 및 스프링(613)의 둘레에는 산화방지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 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분사노즐(612) 및 스프링(613)의 둘레에 용사되어서 이루어진다.
분사노즐(612) 및 스프링(613)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마모 방지 및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코팅층이 분사노즐(612) 및 스프링(613)의 둘레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분사노즐(612) 및 스프링(613)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분사노즐(612) 및 스프링(613)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분사노즐(612) 및 스프링(613)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분사노즐(612) 및 스프링(613)의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분사노즐(612) 및 스프링(613)이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분사노즐(612) 및 스프링(613)의 둘레에 내마모성 및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분사노즐(612) 및 스프링(613)이 마모되거나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연장된다.
100 : 케이스 200 : 변좌부
300 : 수조 320 : 마개
400 : 물공급수단 510 : 물온도 감지센서
520 : 물가열히터 610 : 세정노즐부
620 : 온풍공급부 630 : 세정수공급부
710 : 좌욕조 720 : 좌욕수공급부
800 : 콘트롤부 900 : 좌욕기능 전환부
1100 : 과승방지센서 1200 : 버블발생부
1500 : 세척부재

Claims (12)

  1. 좌욕 및 온수세정이 가능한 좌욕 온수 세정기로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의 전방에 결합된 변좌부(200);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된 수조(300);
    급수원과 연결되어 상기 수조(3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수단(400);
    상기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물가열히터(520);
    상기 수조(30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물온도 감지센서(510);
    상기 수조(300) 내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온수 세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비데기능부;
    상기 수조(300) 내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좌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좌욕기능부;
    상기 비데기능부 및 상기 좌욕기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비데기능부 및 상기 좌욕기능부의 동작실행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부(800)를 포함하고,
    상기 비데기능부는,
    상기 케이스(100)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변좌부(200)의 아래로 일부분이 돌출된 세정노즐부(610);
    상기 케이스(100) 내에 설치되고 상기 변좌부(200)의 아래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620);
    상기 수조(300) 및 상기 세정노즐부(610)과 연결되어 상기 세정노즐부(610)로 상기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한 세정수를 상기 세정노즐부(610)로 공급되도록 하는 세정수공급부(630)를 포함하고,
    상기 좌욕기능부는,
    상기 변좌부(200)에 착탈가능한 좌욕조(710);
    상기 수조(300) 및 상기 좌욕조(710)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이용한 좌욕수를 상기 좌욕조(71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좌욕수공급부(720)를 포함하고;
    상기 좌욕조(710)는,
    상기 변좌부(200) 상에 안착되는 테두리부(711);
    상기 테두리부(711)의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테두리부(711)의 아래 방향으로 만입되어 있고 상기 수조(300)로부터 공급된 좌욕수를 수용하는 좌욕수 수용부(712);
    일단이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좌욕조(710)에 설치되고 상기 좌욕수를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좌욕조 연결호스(713);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좌욕수 배출구(714);
    상기 좌욕수 배출구(714)를 개폐하는 개폐도어(715);
    상기 좌욕수 배출구(714)를 덮도록 상기 개폐도어(715)를 상기 좌욕수 배출구(714)에 고정하거나 상기 개폐도어(715)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도어고정부재(716)를 포함하며;
    상기 좌욕수 배출구(714)는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욕수 배출구(714)의 돌출된 일부분은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도어(715)는 상기 좌욕수 배출구(71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어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좌욕수 배출구(714)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있고 이때 상기 개폐도어(715)의 하단부는 상기 좌욕수 배출구(714)의 돌출된 일부분의 하단부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개폐도어(715)는 상기 개폐도어(715)의 자중에 의해 상기 좌욕수 배출구(714)와 힌지연결된 일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오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욕 온수 세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공급부(620)는,
    온열공급 케이싱(621);
    상기 온열공급 케이싱(621)의 내부에 설치된 드라이 히터(622);
    상기 온열공급 케이싱(62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온열공급 케이싱(621)의 내부에 바람을 공급하는 드라이 휀(623)을 포함하고,
    상기 온열공급 케이싱(621)은 상기 변좌부(200)의 아래 방향을 향해 개구된 온풍 배출구(621a)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수공급부(630)는,
    상기 수조(300)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300)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온수를 펌핑하는 온수세정펌프(631);
    일단은 상기 온수세정펌프(6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정노즐부(610)에 연결된 세정수 공급호스(632)를 포함하는,
    좌욕 온수 세정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고정부재(716)는, 와이어지지대(716a); 와이어(716b); 및 개폐용 손잡이(716c)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지지대(716a)는 상기 좌욕조(710)의 외면에서 상기 좌욕수 배출구(714)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716b)의 일단은 상기 와이어지지대(716a)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지지대(716a)로부터 연장된 길이의 일부분은 상기 개폐도어(715)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와이어(716b)의 타단은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를 관통하여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개폐용 손잡이(716c)는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측으로 노출된 상기 와이어(716b)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테두리부(711)에는 상기 개폐용 손잡이(716c)의 착탈을 위한 제1 고정밴드(717)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용 손잡이(716c)는 상기 개폐도어(715)를 닫힘 상태로 고정할 때 상기 제1 고정밴드(717)에 고정되고 상기 개폐도어(715)를 열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 고정밴드(717)로부터 분리되는,
    좌욕 온수 세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욕수공급부(720)는,
    상기 수조(300)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300)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온수를 펌핑하는 좌욕수펌프(721);
    일단은 상기 좌욕수펌프(7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좌욕조 연결호스(713)에 연결된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를 포함하는,
    좌욕 온수 세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설치된 좌욕기능 전환부(9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좌욕기능 전환부(9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일면에 고정된 몸체부(910a), 상기 몸체부(910a)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연결관(910b) 및 상기 몸체부(910a)의 다른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연결관(910c)을 포함하는 호스연결부(910);
    일단이 상기 제1 연결관(910b)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와 연결된 제2 좌욕수 공급호스(920); 및
    상기 몸체부(910a)의 상기 제2 연결관(910c)이 형성된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콘트롤부(800)와 연결되고 상기 비데기능부의 동작으로부터 상기 좌욕기능부의 동작으로 자동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스위치(9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관(910c)에는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의 내측에 위치하지 않는 상기 좌욕조 연결호스(713)의 단부가 결합되고, 이때 상기 전환스위치(930)는 상기 좌욕조 연결호스(713)에 의해 눌리는,
    좌욕 온수 세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400)은,
    상기 급수원과 연결된 물공급관(410);
    상기 수조(3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300)와 연통되고 상기 물공급관(410)이 연결되는 물공급관 연결부(420);
    상기 수조(30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300)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430);
    상기 물공급관 연결부(42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위감지센서(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430)를 통해 감지된 상기 수조(300) 내부의 수위가 만수위인 경우 상기 물공급관 연결부(420)의 내부를 밀폐하고 상기 수위감지센서(430)를 통해 감지된 상기 수조(300) 내부의 수위가 저수위인 경우 상기 물공급관 연결부(420)의 내부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밸브(440)를 포함하는,
    좌욕 온수 세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30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온도가 적정온도 이상의 이상온도로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감지하는 과승방지센서(1100)를 포함하고,
    상기 과승방지센서(1100)는 상기 콘트롤부(800)와 연결되고,
    상기 콘트롤부(800)는 상기 과승방지센서(1100)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물가열히터(5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좌욕 온수 세정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에 저장된 좌욕수에 버블을 형성하기 위한 버블발생부(12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블발생부(1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된 산소발생기(1210); 및
    상기 산소발생기(1210)와 연결되고 상기 산소발생기(1210)에서 생성된 산소를 상기 좌욕수 수용부(712)로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호스(1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 상기 제2 좌욕수 공급호스(920) 및 상기 산소공급호스(1220)는 제1 내지 제3 단부(1303)를 형성한 T자형 관(1300)을 통해 서로 연결되되, 상기 제1 단부(1301)에는 상기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가 연결되고 상기 제2 단부(1302)에는 상기 제2 좌욕수 공급호스(920)가 연결되고 상기 제3 단부(1303)에는 상기 산소공급호스(1220)가 연결되고,
    상기 제3 단부(1303) 및 상기 산소공급호스(1220)의 사이에는 상기 제1 좌욕수 공급호스(722)를 통해 공급되는 좌욕수가 상기 산소공급호스(1220)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1400)가 설치되는,
    좌욕 온수 세정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410) 상에 설치된 세척부재(1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재(1500)는,
    상기 물공급관(410) 상에 설치되고 내부의 개폐를 위한 뚜껑(1511)을 포함한 용기(1510);
    상기 용기(1510)의 내부공간을 제1 공간(1510a) 및 제2 공간(1510b)의 2개의 공간으로 분획하도록 상기 용기(1510)의 내부에 설치된 격벽(1520); 및
    상기 제1 공간(1510a)에 저장된 세척볼(1530)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1520)은 일부분이 상기 용기(151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공간(1510a) 및 제2 공간(1510b) 사이를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1 공간(1510a)은 상기 제2 공간(1510b)의 위로 위치한 공간이고,
    상기 제2 공간(1510b)에는 상기 물공급관(41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격벽(1520)의 일부분이 상기 용기(15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제1 공간(1510a) 및 상기 제2 공간(1510b)이 서로 연통된 경우, 상기 제1 공간(1510a) 내부에 저장된 상기 세척볼(1530)은 상기 제2 공간(1510b)으로 낙하되고,
    상기 제2 공간(1510b)으로 낙하된 상기 세척볼(1530)은 상기 물공급관(410)을 통해 상기 수조(300)로 급수되는 물의 공급압력에 의해 상기 수조(300)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로 공급된 상기 세척볼(1530)은 상기 수조(300) 내면에 부딪히는,
    좌욕 온수 세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볼(1530)은 인체에 무해하도록 제작된 플렉시블한 소재인,
    좌욕 온수 세정기.
KR1020140019684A 2014-02-20 2014-02-20 좌욕 온수 세정기 KR101423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684A KR101423465B1 (ko) 2014-02-20 2014-02-20 좌욕 온수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684A KR101423465B1 (ko) 2014-02-20 2014-02-20 좌욕 온수 세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465B1 true KR101423465B1 (ko) 2014-08-13

Family

ID=5174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684A KR101423465B1 (ko) 2014-02-20 2014-02-20 좌욕 온수 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4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784B1 (ko) * 2017-09-08 2018-04-11 고유삼 이동식 좌욕온수세정기
KR101865904B1 (ko) * 2016-08-26 2018-07-13 김응진 절수 및 탈취 양변기
WO2020164305A1 (zh) * 2019-02-13 2020-08-20 索志宏 一种集约式智能马桶及其洁身装置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792Y1 (ko) * 2004-03-11 2004-05-28 최봉락 좌욕기
KR100535364B1 (ko) * 2003-09-26 2005-12-09 요요전자 주식회사 좌변기용 비데
KR101234285B1 (ko) * 2011-07-01 2013-02-18 고유삼 휴대용 좌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364B1 (ko) * 2003-09-26 2005-12-09 요요전자 주식회사 좌변기용 비데
KR200351792Y1 (ko) * 2004-03-11 2004-05-28 최봉락 좌욕기
KR101234285B1 (ko) * 2011-07-01 2013-02-18 고유삼 휴대용 좌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904B1 (ko) * 2016-08-26 2018-07-13 김응진 절수 및 탈취 양변기
KR101847784B1 (ko) * 2017-09-08 2018-04-11 고유삼 이동식 좌욕온수세정기
WO2020164305A1 (zh) * 2019-02-13 2020-08-20 索志宏 一种集约式智能马桶及其洁身装置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465B1 (ko) 좌욕 온수 세정기
TW201207201A (en) Sanitary cleaning device
US20210015314A1 (en) Toilet seat assembly
KR101847784B1 (ko) 이동식 좌욕온수세정기
KR100934696B1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441147Y1 (ko) 소독기능을 겸비한 손 건조기
KR20120045871A (ko) 변기 세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변기
WO2012001980A1 (ja) 衛生洗浄装置
WO2006014778A2 (en) Handheld apparatus for personal hygiene
US7182090B2 (en) System for cleaning components of a water retaining device, associated water retaining device, and water propulsion device for use therein
JP2009189453A (ja) 浴室殺菌ユニット及び浴室の殺菌方法
JPH10266287A (ja) 酸性水手洗器
JP4894454B2 (ja) 衛生洗浄装置
KR101191973B1 (ko) 좌변기용 변좌 세정액 분사장치
JP2008289981A (ja) 殺菌水生成システム
KR20130038485A (ko) 샤워기 살균장치
KR101688697B1 (ko) 마사지 겸용 수동식 비데 장치
JP2008106502A5 (ko)
KR20100005243U (ko) 자가 세정형 노즐 소독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CN213204351U (zh) 一种洁身器及具有该洁身器的马桶
US11739516B2 (en) Toilet seat assembly
CN214910372U (zh) 一种简便式坐浴器
KR200291545Y1 (ko) 미용제 공급장치
JP5028954B2 (ja) 衛生洗浄装置
CN209220087U (zh) 喷枪、坐便器盖板和坐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