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904B1 - 절수 및 탈취 양변기 - Google Patents
절수 및 탈취 양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5904B1 KR101865904B1 KR1020160109189A KR20160109189A KR101865904B1 KR 101865904 B1 KR101865904 B1 KR 101865904B1 KR 1020160109189 A KR1020160109189 A KR 1020160109189A KR 20160109189 A KR20160109189 A KR 20160109189A KR 101865904 B1 KR101865904 B1 KR 1018659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ort
- height
- drain
- drain 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2—Swivel-mounted bowls, e.g. for use in restricted spaces slidably or movably mounted bowls; combinations with flushing and disinfecting devices actuated by the swiveling or sliding movement of the bowl
- E03D11/125—Height adjustable bow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물소리가 발생하지 않고, 높이 조절, 좌욕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저수조 없이 직수로 물이 공급되어 물을 절약하며, 구비된 환풍기에 의해 탈취 효과가 있는 절수 및 탈취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물이 저장되는 담수구(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담수구(210) 측벽 상단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세정유로(225)와 상기 세정유로(225)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흡입관(360)이 형성된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에 적어도 두 개의 배관이 포개어질 수 있도록 수직하게 연결되어 담수구(210)의 물을 배출하는 제1배수구(250)와; 상기 몸체부(200)를 수직 이동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실린더가 상기 제1배수구(250) 주변으로 위치하는 제1높이조절부(230)와; 상기 제1배수구(250)의 하단부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이격되게 위치하는 하수관(270) 사이에 배수를 원활하게 하는 기울기의 경사로 연결되는 제2배수구(260)와; 상기 몸체부(200)의 상단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개구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211) 주변으로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의 시트부(300)와; 지면과 상기 시트부(300)의 사이에 위치하여 높낮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가 구비되어 있는 제2높이조절부(3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물소리가 발생하지 않고, 높이 조절, 좌욕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저수조 없이 직수로 물이 공급되어 물을 절약하며, 구비된 환풍기에 의해 탈취 효과가 있는 절수 및 탈취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남자 화장실에는 소변기와 양변기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여자 화장실에는 칸막이 칸에 양변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중 양변기가 소비하는 물의 양은 상당하며, 이렇게 소비되는 물을 조금이라도 절약하기 위해 양변기의 저장조에 별돌이나 물이 채워진 패트병을 담아 놓는 등의 방법으로 물을 절약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23695호(공개일자:2006.12.04.)는 물 절약형 양변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양변기를 사용 후 저장수의 배출 손잡이를 누르면 상기 저장수가 양변기 내부로 유입되면서, 통상 저수조내의 오물을 밀어내는 물과 저수조내의 안쪽 벽을 씻어주는 물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이때 안쪽 벽을 씻어주는 물 즉, 세척수를 조름 늦게 나오게 하여 물을 아끼고자 한다.
한편, 다수의 사람들이 양변기에서 볼일을 볼 때, 핸드폰, 신문 또는 책 등을 가지고 가서 보는 등 많은 시간을 양변기에서 소비하게 됨에 따라 좀 더 편안하고 쾌적하게 용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양변기를 요구하고 있다.
최근 양변기를 보면 시트에 열선이 구비되어 있어, 추운 겨울에도 엉덩이를 따뜻하게 해주고 있다. 또한, 볼일을 마치고 레버를 내려 물을 버릴 때에도 물소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양변기가 다수 제안 되어있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367호(등록일자:2006.04.25.)는 양변기의 악취제거 및 방향 발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변기에 장착되어 양변기 내의 악취를 제거하고 이와 함께 방향제 향을 발산함으로서 보다 쾌적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 양변기의 악취제거 및 방향 발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을 절약하는 양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버릴 때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쾌적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다양한 편의시설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수 및 탈취 양변기는 물이 저장되는 담수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담수구 측벽 상단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세정유로와 상기 세정유로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환기유로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적어도 두 개의 배관이 포개어질 수 있도록 수직하게 연결되어 담수구의 물을 배출하는 제1배수구와; 상기 몸체부를 수직 이동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실린더가 상기 제1배수구 주변으로 위치하는 제1높이조절부와; 상기 제1배수구의 하단부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이격되게 위치하는 하수관 사이에 배수를 원활하게 하는 기울기의 경사로 연결되는 제2배수구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주변으로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의 시트부와; 지면과 상기 시트부의 사이에 위치하여 높낮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가 구비되어 있는 제2높이조절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된 환기유로와 상기 시트부의 홀을 통해 담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여 제2배수구로 배출하는 흡기팬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어 세정액을 저장하고 있으며, 수도관과 연결되어 있는 거품기는 세정유로를 통해 세정액과 혼합된 물을 담수구로 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전단면에 위치하는 배기팬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시트부 사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좌욕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구에 봉수를 형성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트랩과 제2트랩은 상기 제2배수구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 서로 맞닿을 수 있는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각각 이격되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트랩은 제2배수관의 내벽을 향해 회동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기팬을 거쳐 배출되는 환기관은 상기 제2배수관의 제2트랩 이후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구와 하수관 사이에 악취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가림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 및 탈취 양변기는 굽힘 연결된 배관에 의해 물이 지나가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수 및 탈취 양변기에는 좌우로 회동되어 시트에 안착되는 좌욕기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수 및 탈취 양변기는 높이조절부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수 및 탈취 양변기는 환풍기가 구비되어 있어 쾌적하게 용무를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 및 탈취 양변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 및 탈취 양변기의 높이조절부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기가 수도관과 직접 연결되어 담수구로 세정액을 배출하는 모습,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관과 환기유로를 따라 악취를 배출하는 흡기팬과 배기팬의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제2배수구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노즐이 구비된 시트부의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수 및 탈취 양변기의 높이조절부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기가 수도관과 직접 연결되어 담수구로 세정액을 배출하는 모습,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관과 환기유로를 따라 악취를 배출하는 흡기팬과 배기팬의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제2배수구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노즐이 구비된 시트부의 입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절수 및 탈취 양변기의 측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절수 및 탈취 양변기(100)(이하 "양변기"라 함)의 상단 부분을 보면, 물을 저장하고, 용변이 모이는 담수구(210)가 구비되어 있는 몸체부(200)와 몸체부(200) 상단에 안착 가능하게 위치하며, 사용자가 직접 앉아서 용변을 보는 시트부(30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몸체부(200)에 구비되어 있는 담수구(210)의 중심부에는 물을 배출하기 용이하도록 측벽을 따라 경사를 이루며 하단에 개구부(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부부(211)의 하단으로는 제1배수구(250)와 연결되어 각종 오물을 신속하게 배출하게 된다.
몸체부(200)와 시트부(300)는 각각 독립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데, 몸체부(200)는 제1배수구(250) 주변으로 실린더(232)가 구비되어 있는 제1높이조절부(230)가 지면으로부터 연결되어 있다. 시트부(300)는 몸체부보다 외측으로 지면으로부터 연결되어 제1높이조절부(230)와 중첩되지 않으면서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2높이조절부(330)가 위치하고 있다.
시트부(300)의 정면으로는 배기팬(310)이 위치하고 있으며, 후면으로는 흡기팬(350)이 몸체부(200)와 시트부(30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배기팬(310)이 담수구(210)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기팬(350) 방향으로 불어주면, 흡기팬(350)이 이를 빨아들여 제2배수구(260)로 악취를 배출하게 되어 사용자는 쾌적한 환경에서 용변을 볼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0)에는 물을 저장하여 담수구(210)에 물을 공급하는 저장조 대신 수도관(222)이 몸체부(200)의 일측부에 설치된 거품기(220)와 연결되어 있어, 수도관(222)이 세정액을 저장하는 거품기(220)를 거쳐 세정액과 물이 혼합되어 담수구(210)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제1배수구(250)의 끝단에 제2배수구(260)가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물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지면을 향해 물이 흐르는 소음이 들리지 않을 정도의 기울기로 경사가 이루어져 있다. 제2배수구(260)의 내부에는 제1트랩(262)과 제2트랩(264)이 더 구비되어 있어, 물을 배출하거나 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악취가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절수 및 탈취 양변기의 몸체부와 시트부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담수구(210)의 중심부로부터 수직하게 지면을 향해 연결되어 있는 제1배수구(250) 주변으로 제1높이조절부(230)가 위치하고 있다. 제1높이조절부(230)는 몸체부(210)의 하단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여 몸체부(210)를 지지하고 있는 제1지지대(233)와 제1지지대(233) 사이에 실린더(23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232)가 확장되고 감소함에 따라 몸체부(20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제1높이조절부(230)의 높이 조절에 따라 길이 변화시, 제1배수구(250)도 함께 길이 변화할 수 있도록 다단의 배관으로 이루어져 있어, 길이의 변화에 따라 길이가 늘어나거나 포개어지면서 길이가 감소하게 된다.
즉, 실린더(232)의 길이가 연장되면 실린더(232)의 길이가 연장되는 만큼 제1배수구(250)의 다단인 배관도 함께 길이가 연장되며, 실린더(232)의 길이가 감소하면 다단의 배관도 서로 포개어지면서 몸체부(20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몸체부(200)의 높이조절 뿐만 아니라 시트부(300)의 높이조절도 가능한데, 제1높이조절부(230)와 마찬가지로 제2높이조절부(330)는 시트부(300)의 하단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제2지지대(333)와 제2지지대(333) 사이에 설치된 실린더(232)로 구성되어 있다.
제1높이조절부(230)와 제2높이조절부(330)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며, 용변시 제1높이조절부(230)와 제2높이조절부(330)가 서로 밀착하여 기존의 양변기와 같은 형상을 하게 되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제1높이조절부(230)와 제2높이조절부(330)를 통해 몸체부(200)와 시트부(30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공간에 좌욕을 위한 별도의 좌욕기(400)를 삽입시킬 수 있다.
이 삽입된 좌욕기(400)는 몸체부(200)의 상단에 안착하게 되며, 제2높이조절부(330)의 조작으로 시트부(300)를 좌욕기(400)에 고정시켜 좌욕을 할 수 있게 된다. 좌욕기(400)는 일반적인 형태로 중심부가 움푹 파인 형상을 하고 있으며, 외주면에는 몸체부(200)에 안착할 수 있도록 날개(410)가 형성되어 있으면 좋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기가 수도관과 직접 연결되어 담수구를 통해 세정액을 배출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몸체부(200)의 일측면에 세정액을 저장하는 거품기(220)가 위치하고 있으며, 거품기(220)의 하단으로 수도관(222)이 직접 연결되어 수도관(222)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 공급된 물의 물살에 의해 세정액과 만나 거품이 발생하면서 담수구(210)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즉, 거품기(220)의 하단으로 수직하게 연결된 수도관(222)을 따라 물이 상승하면서 거품기(220)의 세정액과 접하게 되어, 별도의 혼합장치 없이도 풍부한 거품을 발생시키게 된다.
담수구(210)에 채워진 거품이 용변을 가려주고, 용변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튀지 않도록 방지하여 보다 쾌적하게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다.
거품기(220)에서 세정액과 혼합된 물은 거품과 함께 담수구(210)의 측벽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며, 담수구(210)의 측벽 상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세정유로(225)를 통해 담수구(210)의 측벽을 따라 물이 흘러 담수구(210)에 물이 고이게 된다.
한편, 세정액은 일정 기간동안 사용하게 되면 소진되기 때문에 다시 보충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거품기(220)의 상단에 위치하는 캡을 개방하여 거품기(220) 내부로 세정액을 보충하여 채워준 후에 캡을 닫아주면 될 것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흡입관과 환기유로를 따라 악취를 배출하는 흡기팬과 배기팬의 모습이다.
담수구(210)에 모인 용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한 하나의 흡기팬(350)이 흡입관(360)을 통해 몸체부와 시트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흡기팬(350)이 작동을 하면, 담수구(310)의 측벽 상단에 형성된 환기유로(240)를 통해 담수구(210)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빨려 들어가게 되며, 시트부(300)에 연결된 흡입관(360)을 통해 몸체부(200)에서 제거하지 못한 악취를 제거하게 된다.
흡입관(360)을 통해 빨려 들어간 악취는 흡기팬(350)을 거쳐 흡입관(360)을 통해 제2배수구(260)로 배출된다.
한편, 몸체부(200)에 형성된 환기유로(240)는 세정유로(225)가 형성된 담수구(210)의 측변 상단에 함께 위치하고 있으나, 세정유로(225)는 담수구(210)의 내벽을 향해 위치하고 있으며, 환기유로(240)는 세정유로(225)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다.
흡기팬(350)은 악취를 신속하게 제2배수구(260)로 배출할 수 있다면 어느 곳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을 것이며, 흡입관(360)은 가림판(266)과 제2트랩(264) 사이에 위치하여 하수관(270)을 통해 악취를 배출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200)와 시트부(300)에 연결된 흡입관(360)은 플렉시블 관으로 제1높이조절부(230)와 제2높이조절부(330)의 작동에 따른 높이 변화에 알맞게 대응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주름관이나 또 다른 형태의 관으로 높이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면 어느 형태의 관을 사용해도 족할 것이다.
도 5는 제2배수구 내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제2배수구(260)는 제1배수구(250)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있는 하수관(270) 사이에서 물의 배수가 원활하도록 하수관(270)을 향해 기울기가 형성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1배수구(250)와 제2배수구(260)는 거의 직각의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데, 제1배수구(250)와 제2배수구(260)의 연결부 상단에 제1트랩(262)이 위치하고 있으며, 제1트랩(262)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2트랩(264)이 제2배수구(26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제1트랩(262)과 제2트랩(264)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여 맞닿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돌출 성형되어 있으며, 제1트랩(262)과 제2트랩(264) 사이에서 봉수가 형성되어 각종 악취가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제1트랩(262)은 제2배수구(260)의 관경을 작게 만들어 담수구의 물을 배출할 경우, 유속을 증가시켜 신속하게 용변을 제거하게 해주며, 물이 지나갈 때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제2트랩(264)은 담수구(210)에 채워진 물이 항상 고여 있게 하며, 양변기(100)에 구비된 레버의 조작으로 제2트랩(264)을 회동시켜 담수구(210)의 물을 하수관(270)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제2트랩(264)은 솔레노이드 밸브로 연결되어 있어, 전기가 흐르면 플랜지가 올라가고 내려감에 따라 제2트랩(264)의 회동이 이루어지며, 전기의 흐름이 차단되면 플랜지의 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제2트랩(264)이 닫혀지게 된다.
레버와 솔레노이드 밸브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작동시킬 수 있으며,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을 것이며, 솔레노이드 밸브뿐만 아니라 제2트랩의 회동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밸브가 있다면 수동으로 조작되는 밸브라도 족할 것이다.
하수관(270)과 제2배수구(260) 사이에는 하수관(270)의 악취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가림판(266)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 가림판(266)은 제2배수구(260)에서 하수구(270) 방향으로 개폐가 되어 담수구(210)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거나 흡기팬(350)에 의한 악취 제거시 개폐가 이루어진다.
도 6은 시트부의 입면도이다.
비데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시트부(300)로, 양 측으로 각각 회동이 이루어지는 노즐(320)이 구비되어 있어, 용변 후 사용자의 조작으로 세정을 할 수 있다.
한 쌍의 노즐(32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22)는 노즐(320)이 회동 가능하게 시트부(300)의 하단에 고정시키고 있으며, 시트부(300)를 향해 위치하고 있는 노즐(320)의 일끝단부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관(324)과 연결되어 있다. 급수관(324)의 물은 거품기(220)에 연결되는 수도관(222)과 일부 연결되어 공급할 수 있으며, 수도관(22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세정기(326)를 통해 급수관(324)을 지나 노즐(320)에서 분사된다.
세정기(326)는 물의 세기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으며, 노즐(320)의 경우 회동뿐만 아니라 길이 조절도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 쌍의 노즐(320)이 시트부(300) 양측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노즐보다 쾌적하게 세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양변기 200 : 몸체부
210 : 담수구 211 : 개구부
220 : 거품기 222 : 수도관
225 : 세정유로 230 : 제1높이조절부
232 : 실린더 233 : 제1지지대
250 : 제1배수구 260 : 제2배수구
262 : 제1트랩 264 : 제2트랩
266 : 가림판 270 : 하수관
300 : 시트부 310 : 배기팬
320 : 노즐 322 : 고정부재
324 : 급수관 326 : 세정기
330 : 제2높이조절부 333 : 제2지지대
350 : 흡기팬 360 : 흡입관
210 : 담수구 211 : 개구부
220 : 거품기 222 : 수도관
225 : 세정유로 230 : 제1높이조절부
232 : 실린더 233 : 제1지지대
250 : 제1배수구 260 : 제2배수구
262 : 제1트랩 264 : 제2트랩
266 : 가림판 270 : 하수관
300 : 시트부 310 : 배기팬
320 : 노즐 322 : 고정부재
324 : 급수관 326 : 세정기
330 : 제2높이조절부 333 : 제2지지대
350 : 흡기팬 360 : 흡입관
Claims (9)
- 물이 저장되는 담수구(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담수구(210) 측벽 상단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세정유로(225)와, 상기 세정유로(225)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환기유로(240)가 형성된 몸체부(200);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에 적어도 두 개의 배관이 포개어질 수 있도록 수직하게 연결되어 담수구(210)의 물을 배출하는 제1배수구(250);
상기 몸체부(200)를 수직 이동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실린더가 상기 제1배수구(250) 주변으로 위치하는 제1높이조절부(230);
상기 제1배수구(250)의 하단부와 서로 다른 높이에서 이격되게 위치하는 하수관 사이에 배수를 원활하게 하는 기울기의 경사로 연결되는 제2배수구(260);
상기 몸체부(200)의 상단에 안착되며, 중심부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 주변으로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의 시트부(300);
상기 시트부(300)의 전단면에 배치되어 상기 환기유로(240)에 외기를 공급하게 되는 배기팬(310);
지면과 상기 시트부(300)의 사이에 위치하여 높낮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가 구비되어 있는 제2높이조절부(330);
상기 몸체부(200)에 형성된 환기유로(240)와 상기 시트부(300)의 홀을 통해 담수구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하여 제2배수구로 배출하는 흡기팬(350);
상기 몸체부(200)에 설치되며, 세정액이 저장되어 수도관과 연결되어 세정유로를 통해 세정액과 혼합된 물을 담수구로 배출이 가능한 있는 거품기(220); 및
상기 몸체부(200)와 시트부(300) 사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좌욕기(400)를 포함하는 절수 및 탈취 양변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구에 봉수를 형성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트랩(262)과 제2트랩(264)은 상기 제2배수구의 내부 상단과 하단에 서로 맞닿을 수 있는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각각 이격되게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탈취 양변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트랩(264)은 제2배수관의 내벽을 향해 회동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탈취 양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팬(350)을 거쳐 배출되는 환기관은 상기 제2배수구의 제2트랩(264) 이후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및 탈취 양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구와 하수관 사이에 악취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가림판(266)을 더 포함하는 절수 및 탈취 양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9189A KR101865904B1 (ko) | 2016-08-26 | 2016-08-26 | 절수 및 탈취 양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9189A KR101865904B1 (ko) | 2016-08-26 | 2016-08-26 | 절수 및 탈취 양변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3599A KR20180023599A (ko) | 2018-03-07 |
KR101865904B1 true KR101865904B1 (ko) | 2018-07-13 |
Family
ID=6168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9189A KR101865904B1 (ko) | 2016-08-26 | 2016-08-26 | 절수 및 탈취 양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590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8689A (ko) * | 2020-07-14 | 2022-01-21 | 조석묵 | 수세식 변기의 살균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4333B1 (ko) * | 2006-07-03 | 2008-02-15 | 김정태 | 승강형 양변기 |
KR20090113201A (ko) * | 2008-04-25 | 2009-10-29 | 김영곤 | 물넘이 방지턱을 수평으로 개선한 악취 제거 및 초절수형 양변기 |
KR101423465B1 (ko) * | 2014-02-20 | 2014-08-13 | 고유삼 | 좌욕 온수 세정기 |
KR101534112B1 (ko) * | 2013-10-21 | 2015-07-07 | (주)지에스시엔티 |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 |
-
2016
- 2016-08-26 KR KR1020160109189A patent/KR10186590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4333B1 (ko) * | 2006-07-03 | 2008-02-15 | 김정태 | 승강형 양변기 |
KR20090113201A (ko) * | 2008-04-25 | 2009-10-29 | 김영곤 | 물넘이 방지턱을 수평으로 개선한 악취 제거 및 초절수형 양변기 |
KR101534112B1 (ko) * | 2013-10-21 | 2015-07-07 | (주)지에스시엔티 |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 |
KR101423465B1 (ko) * | 2014-02-20 | 2014-08-13 | 고유삼 | 좌욕 온수 세정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3599A (ko) | 2018-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13047A (en) | Toilet flushing system that allows use of gray water drained from a sink | |
US10415222B2 (en) | Hygienic toilet with washing and drying means | |
KR100767287B1 (ko) | 양변기용 냄새제거장치 | |
KR101865904B1 (ko) | 절수 및 탈취 양변기 | |
KR20110054379A (ko) | 양변기 탈착형 환풍장치 | |
KR20130133454A (ko) |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 |
JP2002047715A (ja) | 洋式大便器の脱臭装置 | |
KR101910528B1 (ko) | 절수 양변기 | |
KR101656137B1 (ko) |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 |
CN201106201Y (zh) | 空气节水式除臭坐便器 | |
KR20060088521A (ko) | 좌변기의 냄새제거 장치 | |
CN107143016A (zh) | 除臭便器 | |
CN207047983U (zh) | 除臭便器 | |
CN105888018A (zh) | 一种带靠背的坐便器 | |
JP7432404B2 (ja) | 便器装置 | |
JP4341160B2 (ja) | 手洗い乾燥装置 | |
KR200392319Y1 (ko) | 스테인레스강 차량용 변기 구조 | |
KR200495719Y1 (ko) |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 |
WO2001002654A1 (fr) | Wc turcs a systeme de prerinçage | |
KR102580598B1 (ko) | 소변기 겸용 좌변기 | |
JP2021143566A (ja) | 便器装置 | |
KR20190089256A (ko) | 냄새흡입장치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 |
KR102480617B1 (ko) | 소변 비산 방지장치 | |
CN212641655U (zh) | 一种马桶除臭装置 | |
KR102175283B1 (ko) |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