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112B1 -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 - Google Patents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112B1
KR101534112B1 KR1020130125082A KR20130125082A KR101534112B1 KR 101534112 B1 KR101534112 B1 KR 101534112B1 KR 1020130125082 A KR1020130125082 A KR 1020130125082A KR 20130125082 A KR20130125082 A KR 20130125082A KR 101534112 B1 KR101534112 B1 KR 101534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am
toilet
supply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615A (ko
Inventor
강신대
Original Assignee
(주)지에스시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에스시엔티 filed Critical (주)지에스시엔티
Priority to KR1020130125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1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세식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거품이 공급되는 거품공급유로와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유로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공이 형성된 양변기본체와; 상기 양변기본체에 결합되며 물이 수용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거품을 발생시켜 상기 거품공급유로로 공급하는 거품발생부와;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거품발생부로 거품을 형성하는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부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물공급유로로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물분사공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물분사신호를 인가받는 물분사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TOILET USING BUBBLE AND WATER}
본 발명은 포세식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물과 거품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은 분뇨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변기 내에 물을 흘려서 변기의 세척과 함께 분뇨를 처리하는 수세식 화장실과, 변기 하부의 분뇨통으로 분뇨 만을 낙하시켜 처리하는 재래식 화장실로 나뉜다.
수세식 화장실은 재래식 화장실에 비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냄새가 나지 않으며 위생적이므로 점차 설치가 확대되로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수세식 화장실은 물의 낭비가 심하고 야외에 간이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치가 어렵거나 효용성이 저하되는 한계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설치가 쉽고 간편하면서 위생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는 포세식 화장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포세식 화장실은 등록실용 제0351961호 "포세식 화장실용 변기 세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포세식 화장실은 소량의 물에 세제를 혼합하고 공기를 주입함에 따라 거품을 발생시켜서 변기의 세척과 함께 분뇨를 처리한다. 그런데, 통상 포세식 화장실은 산이나 유원지와 같이 관리자가 자주 관리할 수 없는 곳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주기적으로 세제를 교체하여 주지 않거나, 사용횟수가 예상치보다 많은 경우 거품발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화장실이 청결하게 관리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거품으로 분뇨를 처리할 경우 변기 표면에 붙은 분뇨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거품 뿐만 아니라 물로도 분뇨를 처리할 수 있는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을 변기통의 상부 내주면을 통해 일정 압력으로 분사시켜 세정효율을 향상시킨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세식을 위한 물과 포세식 거품을 위한 물을 함께 사용하고 이동경로를 이원화하여 전체 구조가 간단한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세식 화장실은, 거품이 공급되는 거품공급유로와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유로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공이 형성된 양변기본체와; 상기 양변기본체에 결합되며 물이 수용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거품을 발생시켜 상기 거품공급유로로 공급하는 거품발생부와;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거품발생부로 거품을 형성하는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부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물공급유로로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물분사공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물분사신호를 인가받는 물분사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변기본체는, 분뇨가 수용되는 변기통과; 상기 변기통의 상부에 내측으로 일정면적 형성되어 시트가 결합되는 시트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변기통과 상기 시트결합면의 경계영역에 상기 거품공급유로가 배치되고, 상기 거품공급유로로부터 상기 변기통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거품이 배출되는 거품배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결합면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물분사공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품발생부는, 하단이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고, 상부는 상기 거품공급유로와 연결되는 거품발생관과; 상기 거품발생관과 상기 약액공급부를 연결하는 약액공급관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거품생성관과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물분사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을 상기 물공급유로로 공급하는 물공급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겸용 포세식화장실은 거품 뿐만 아니라 물을 분사하여 변기통을 세정할 수 있다. 종래 수세식 변기에서 물을 흘러내려 변기통을 세정하는 방식이 아니고 물을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하게 되므로 세정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 거품으로 처리할 수 없는 분뇨흔적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겸용 포세식변기는 하나의 물탱크 내부의 물을 함께 사용하고, 물공급유로와 거품공급유로를 격벽에 의해 서로 상이하게 배치하므로 전체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세식 화장실의 외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포세식 화장실의 측면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포세식 화장실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포세식 화장실의 변기본체의 구성을 확대한 단면확대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세식 화장실(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세식 화장실(100)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변기본체(110)와,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120)와, 물탱크(120)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부(130)와, 변기본체(110)와 연결되며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발생부(150)와, 거품발생부(150)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140)를 포함한다.
변기본체(110)는 분뇨가 수용되는 변기통(111)과, 변기통(111)의 상면에 결합되는 시트(112)와, 변기통(111)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케이싱(113)과, 변기통(111) 하부의 분뇨배출공(111b)에 결합되어 분뇨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관(111c)을 포함한다.
변기통(111)은 내벽면이 거품이 상부에서 하부로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거품이동경사면(111a)이 형성된다. 거품이동경사면(111a)을 통해 거품(B)이 균등하게 변기통(111) 내부에 체류하게 되면서 분뇨를 처리하게 된다.
변기통(111)의 상면에는 내부에 물공급유로(114a)가 형성되는 시트결합면(114)이 일정면적 형성된다. 시트결합면(114)은 변기통(111)과 격벽(115)에 의해 구획되어 독립된 공간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시트결합면(114)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물공급유로(114a)가 형성된다. 물공급유로(114a)는 시트결합면(114)의 형성을 따라 전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시트결합면(114)의 내측벽에는 물을 변기통(111)으로 배출하는 물분사공(114b)이 형성된다.
물분사공(114b)은 물공급유로(114a)의 물을 일정압력으로 변기통(111)으로 분사하여 변기통(111)의 분뇨의 흔적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거품(B) 뿐만 아니라 물을 이용해 2중으로 변기통(111)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물분사공(114b)을 통해 분사되는 물의 압력이 높을수록 세정효율이 높아지므로 물분사공(114b)의 크기는 작게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별도의 노즐부재(미도시)가 물분사공(114b)에 결합될 수 있다.
물분사공(114b)은 시트결합면(114)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여기서, 물분사공(114b)의 위치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높이에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물이 변기통(111)의 다양한 위치로 분사되므로 세정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물분사공(114b)은 물이 변기의 내벽면을 따라 흘러 거품(B)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물(W)이 거품(B)의 상부로 공급되어 거품(B)과 희석되어 이동되므로 세정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변기통(111)과 시트결합면(114) 사이에는 거품공급유로(116)가 형성된다. 거품공급유로(116)는 거품발생부(150)로부터 공급된 거품(B)이 체류하며 변기통(111) 내부로 거품(B)이 공급되도록 한다. 거품공급유로(116)의 일측에는 변기통(111)과 연통되게 거품배출공(116a)이 형성된다. 거품배출공(116a)을 통해 거품(B)이 변기통(111)으로 배출되고, 거품이동경사면(111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변기통(111)의 하부에는 분뇨통(200)과 연통되게 개방형성된 분뇨배출공(111b)이 구비된다. 분뇨배출공(111b)에는 배기관(111c)이 결합되어 분뇨가 분뇨통(200)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배기관(111c)의 하부에는 고무후렌치관(119a)이 결합되어 분뇨가 배출되도록 한다. 고무후렌치관(119a)은 외주연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복수개의 고무판(119b)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복수개의 고무판(119b)은 분뇨의 배출이 없을 경우 서로 표면이 붙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닫혀진 형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하부의 냄새가 상부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한다. 반면, 분뇨의 배출이 있는 경우 복수개의 고무판(119b)이 분뇨의 배출압력에 의해 분리되게 된다.
외부케이싱(113)은 내부에 변기통(111)을 수용한다. 이에 의해 변기통(111)이 주변 온도에 의해 즉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외부케이싱(113)에는 본체열선(177)이 구비되고,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주변기온이 일정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본체열선(177)에 의해 가열되게 된다.
이에 의해 변기통(111) 내부의 거품과 물 및 분뇨가 얼어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탱크(120)는 변기본체(110)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변기본체(110)로 물(W)과 거품(B)을 공급한다. 물탱크(120)는 물이 수용되는 물탱크본체(121)와, 물탱크본체(121) 내부에 배치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레(123)와, 물탱크본체(121)로 물을 유입시키는 물공급구(125)와, 물탱크본체(121)의 일측에 배치되어 변기통(111)으로 물 공급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물분사스위치(127)를 포함한다.
물탱크본체(121)는 변기본체(110)의 일측에 일정크기로 형성된다. 물탱크본체(121)는 외측에 형성된 물공급구(125)가 상수도관 또는 물저장탱크와 연결되어 내부로 물을 공급받는다. 이 때, 물의 공급은 펌프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수위조절부레(123)는 수면 상에 부유하게 배치되고,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수위조절부레(123)의 수위에 따라 제어부(170)는 펌프(163)의 구동을 제어하여 일정한 수위로 유지되도록 조절한다.
물분사스위치(127)는 사용자로부터 물분사공(114b)을 통해 물이 변기통(111) 내부로 분사되어 수세식 방식으로 변기통(111)이 세정되도록 입력신호를 인가받는다. 물분사스위치(127)는 스위치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된다. 물분사스위치(127)의 구동에 의해 물리적으로 물공급관(161)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구현되거나, 전기적인 신호가 제어부(170)로 전달되어 펌프(163)의 구동에 의해 물공급관(161)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약액공급부(130)는 거품발생부(150)로 약액을 공급한다. 약액은 물에 희석되어 거품이 발생되도록 한다. 약액공급부(130)는 약액저장조(131)와, 약액조절부(133)와, 약액을 거품발생부(150)로 공급하는 약액공급관(135)으로 구성된다. 약액저장조(131)는 물탱크본체(121)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구비된다. 약액조절부(133)는 약액공급부(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약액저장조(131)에 저장된 약액의 양을 미량으로 조절하여 시간당 공급량을 조절한다.
이에 의해 약액이 거품발생부(150)로 미량이 일정주기별로 일정량이 주입되어 거품발생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약액공급관(135)은 거품발생부(150)의 거품발생관(151)과 연결되어 약액을 공급한다. 약액은 거품발생관(151) 내부의 물에 희석되고, 공기의 공급에 의해 거품이 발생되도록 한다.
거품발생부(150)는 물탱크(120) 내부에 배치되어 거품을 발생시켜 거품공급유로(116)로 공급한다. 거품발생부(150)는 거품이 발생되는 거품발생관(151)과, 거품발생관(151)과 거품공급유로(116)를 연결하는 거품공급관(153)을 포함한다.
거품발생관(151)은 일측에 물유입공(미도시)이 형성되어 물탱크본체(121) 내부의 물이 내부로 유입된다. 거품발생관(151)의 하부에는 공기공급부(140)가 배치되어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일정량의 공기를 공급한다. 거품발생관(151)은 약액공급관(135)과 연결되어 약액을 공급받으므로 물과 약액이 희석된 상태에서 공기를 공급받아 거품이 발생되게 된다.
이렇게 발생된 거품은 거품발생관(151)과 연결되언 거품공급관(153)을 통해 상승하여 거품공급유로(116)로 공급된다. 이 때, 거품공급관(153)을 통한 거품의 이동은 거품공급관(153)의 직경의 차이와 같은 물리적인 형상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거품이동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물공급부(160)는 물탱크(120) 내부의 물을 물공급유로(114a)로 공급한다. 물공급부(160)는 물탱크(120)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물공급관(161)과 물을 일정압력으로 물공급관(161) 내부로 유입시키는 펌프(1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펌프(163)는 물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중펌프의 형태로 구비된다.
물공급관(161)의 하부에는 물의 공급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미도시)가 구비되고, 개폐밸브(미도시)는 물분사스위치(127)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물분사스위치(127)를 가압하면 개폐밸브(미도시)가 열리며 물이 물공급관(161)을 따라 물공급유로(114a)에 채워지고 그 압력에 의해 물분사공(114b)을 통해 변기통(111)으로 분사되게 된다.
제어부(170)는 변기본체(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주위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변기본체(110)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물탱크(12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물탱크(12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는 물탱크온도감지라인(171)과, 공기공급부(140)와 연결되어 공기공급을 제어하는 공기공급라인(173)과, 외부케이싱(113)의 온도를 감지하여 변기본체(110)의 온도를 조절하는 변기온도감지라인(175)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포세식화장실(100)의 작동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물분사스위치(127)를 가압하기 전에는 포세식화장실(100)은 거품의 발생에 의해 분뇨를 처리하게 된다. 이를 위해 거품발생관(151) 내부로 유입된 물에 약액조절부(133)에서 조절된 미량의 약액이 약액공급관(135)을 통해 공급된다. 물에 약액이 희석된 상태에서 공기공급부(140)가 공기를 공급하여 거품발생관(151)에 거품(B)이 발생된다.
발생된 거품(B)은 거품공급관(153)을 따라 이동하여 거품공급유로(116)로 이동된다. 그리고, 거품배출공(116a)을 통해 변기통(111) 내부로 배출되고, 거품이동경사면(111a)을 따라 이동하며 변기통(111) 전체에 균등하게 분포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변기통(111) 내부에 분뇨가 발생되면 거품(B)이 분뇨를 처리하게 된다.
한편,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변기본체(110)의 관리 또는 청소를 위해 물로 세정을 하고자 하면, 물분사스위치(127)를 가압한다.
물분사스위치(127)의 가압에 의해 물공급관(161)을 통해 물탱크(120) 내부의 물이 물공급유로(114a)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물분사공(114b)을 통해 변기통(111) 내부로 분사되게 된다. 일정압력으로 물(W)이 분사되므로 변기통(111) 내벽면의 분뇨 흔적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
특히, 물분사공(114b)이 변기본체(110) 최상위의 시트결합면(114)에 위치하게 되므로 물이 하부로 떨어지면서 변기통(111) 전체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물분사공(114b)이 시트결합면(114)의 내벽면을 따라 고르게 분포되므로 세정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겸용 포세식화장실은 거품 뿐만 아니라 물을 분사하여 변기통을 세정할 수 있다. 종래 수세식 변기에서 물을 흘러내려 변기통을 세정하는 방식이 아니고 물을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하게 되므로 세정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의해 거품으로 처리할 수 없는 분뇨흔적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세식겸용 포세식변기는 하나의 물탱크 내부의 물을 함께 사용하고, 물공급유로와 거품공급유로를 격벽에 의해 서로 상이하게 배치하므로 전체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포세식 화장실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포세식화장실 110 : 변기본체
111 : 변기통 111a : 거품이동경사면
111b : 분뇨배출공 112 : 시트
113 : 외부케이싱 114 : 시트결합면
114a : 물공급유로 114b : 물분사공
115 : 격벽 116 : 거품공급유로
116a : 거품배출공 119 : 고무후렌치관
120 : 물탱크 121 : 물탱크본체
123 : 수위조절부레 125 : 물공급구
127 : 물분사스위치 130 : 약액공급부
131 : 약액저장조 133 : 약액조절부
135 : 약액공급관 140 : 공기공급부
150 : 거품발생부 151 : 거품발생관
153 : 거품공급관 160 : 물공급부
161 : 물공급관 163 : 펌프
170 : 제어부 171 : 물탱크온도감지라인
173 : 공기공급라인 175 : 변기온도감지라인

Claims (4)

  1. 포세식 화장실에 있어서,
    거품이 공급되는 거품공급유로와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유로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공이 형성된 양변기본체와;
    상기 양변기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물이 수용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거품을 발생시켜 상기 거품공급유로로 공급하는 거품발생부와;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거품발생부로 거품을 형성하는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공급부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물공급유로로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물분사공으로 물이 분사되도록 물분사신호를 인가받는 물분사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양변기본체는,
    분뇨가 수용되는 변기통과;
    상기 변기통의 상부에 내측으로 일정면적 형성되어 시트가 결합되는 시트결합면을 포함하며,
    상기 변기통과 상기 시트결합면의 경계영역에 상기 거품공급유로가 배치되고, 상기 거품공급유로로부터 상기 변기통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거품이 배출되는 거품배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시트결합면의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상기 물분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거품발생부는,
    하단이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에 잠기도록 배치되고, 상부는 상기 거품공급유로와 연결되는 거품발생관과;
    상기 거품발생관과 상기 거품공급유로를 연결하는 거품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물분사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을 상기 물공급유로로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상기 물공급관으로 유입시키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변기통의 하부에는 분뇨통과 연통되도록 개방형성된 분뇨배출공이 구비되고, 상기 분뇨배출공에는 분뇨가 분뇨통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관이 결합되고, 상기 배기관의 하부에는 고무후렌치관이 결합되고, 상기 고무후렌치관은 외주연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복수개의 고무판이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화장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125082A 2013-10-21 2013-10-21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 KR101534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082A KR101534112B1 (ko) 2013-10-21 2013-10-21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082A KR101534112B1 (ko) 2013-10-21 2013-10-21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615A KR20150045615A (ko) 2015-04-29
KR101534112B1 true KR101534112B1 (ko) 2015-07-07

Family

ID=5303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082A KR101534112B1 (ko) 2013-10-21 2013-10-21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904B1 (ko) * 2016-08-26 2018-07-13 김응진 절수 및 탈취 양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1380B2 (ja) * 2017-03-27 2021-08-18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KR200495419Y1 (ko) 2020-08-28 2022-05-18 주식회사 케이제이인터내셔널 위생 기능을 가지는 매트리스 침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413Y1 (ko) * 2003-03-18 2003-06-18 김용석 수세식과 포세식 겸용 변기의 거품발생장치
KR101025040B1 (ko) * 2010-10-06 2011-03-25 이엔후레쉬 주식회사 포세식 양변기
KR101170294B1 (ko) * 2012-04-09 2012-07-31 박영순 포세식 양변기
KR200463109Y1 (ko) * 2012-05-21 2012-10-17 (주)오성씨앤씨 포세식 화장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413Y1 (ko) * 2003-03-18 2003-06-18 김용석 수세식과 포세식 겸용 변기의 거품발생장치
KR101025040B1 (ko) * 2010-10-06 2011-03-25 이엔후레쉬 주식회사 포세식 양변기
KR101170294B1 (ko) * 2012-04-09 2012-07-31 박영순 포세식 양변기
KR200463109Y1 (ko) * 2012-05-21 2012-10-17 (주)오성씨앤씨 포세식 화장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904B1 (ko) * 2016-08-26 2018-07-13 김응진 절수 및 탈취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615A (ko)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08269A1 (ja) 便器洗浄装置及び水洗式便器
JP2012528959A5 (ko)
KR100641843B1 (ko) 물 유출 방지 환수구조를 갖는 스팀청소기
KR101534112B1 (ko)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
KR101590158B1 (ko) 거품 세정식 양변기
KR101908846B1 (ko) 세정액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 수조
KR200479010Y1 (ko) 거품공급량 자동조절 구조를 갖는 포세식 변기
WO2015172042A1 (en) Multi-stage toilet flush valve
JP4747813B2 (ja) トイレ装置
JP4470936B2 (ja) 薬液混入水吐出装置および水洗便器装置
JP5700483B2 (ja) 便器洗浄装置
KR101614271B1 (ko)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
JP2008202267A (ja) 温水洗浄装置
JP6049197B2 (ja) 小便器
JP2008002138A (ja) 洋風便器装置
JP2014515299A (ja) 浴槽の空気噴射装置
KR101577681B1 (ko) 거품공급장치
JP2013087580A (ja) 小便器
JP2008196141A (ja) 温水洗浄装置
JP2016113818A (ja) 便器装置
WO2013145999A1 (ja) 便器洗浄装置
KR20100027550A (ko) 좌변기용 비데의 변기 세척장치
JP7124642B2 (ja) 浴槽洗浄装置
JP2020002621A (ja) 便器装置
KR101002645B1 (ko) 세척장치가 구비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