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681B1 - 거품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거품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681B1
KR101577681B1 KR1020140073228A KR20140073228A KR101577681B1 KR 101577681 B1 KR101577681 B1 KR 101577681B1 KR 1020140073228 A KR1020140073228 A KR 1020140073228A KR 20140073228 A KR20140073228 A KR 20140073228A KR 101577681 B1 KR101577681 B1 KR 10157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foam
cleaning liquid
ai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덕
Original Assignee
강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덕 filed Critical 강현덕
Priority to KR102014007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681B1/ko
Priority to PCT/KR2015/006047 priority patent/WO201519481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액이 저장된 제1통과 거품을 생성하는 제2통이 구비되어, 물탱크를 구비한 좌변기에 용이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거품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품공급장치{ Foam supply device }
본 발명은 세정액이 저장된 제1통과 거품을 생성하는 제2통이 구비되어 물탱크를 구비한 좌변기에 용이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거품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에서 물만으로는 세정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좌변기에 거품을 공급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종래의 좌변기에 설치된 거품공급장치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9421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9421호에 기재된 변기는, 고체 내지 액상의 거품발생제가 충진된 용기를 물탱크의 내부 일측에 구비시킨 다음, 물 내림에 의해 세척수가 변기내부에 보충될 때마다 거품발생제가 일정량 세척수로 융합 배출되도록 하여 세척수의 배출 유속에 의해 세척수가 변기내부에 보충될 때는 거품이 발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기내부에 거품이 형성된 세척수가 보충될 수 있도록 하는 거품발생장치는, 물탱크 내부 일측으로 고정구비되고, 상측에는 거품발생제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배출구의 일측에는 거품발생제가 수월한 배출이 될 수 있도록 외부 가압에 의해 작동되는 가압부가 구비된 거품발생제충진용기와; 상기 가압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타측은 연결레버와 연결고정되는 가압레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는 물내림레버를 작동하게 되면 가압레버가 가압부에 가압을 함으로써 거품발생제가 소량 배출되는데 가압레버가 작동할 수 있는 것은 물내림레버와 일체형으로 연계된 연결레버와 연결 고정되어져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물 내림시 세척수의 배출 유속에 의해 거품이 발생하므로, 물 내림 없이 거품을 발생시킬 수 없고, 거품이 잘 생성되지 않으며 거품 발생량을 조절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55747호에는 포세식 좌변기가 공개되어 있다.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공급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10)이 구비된 포세식 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이며; 외통(10)의 내부에 위치하고, 거품이 운집하는 부위의 외면에 거품공급라인(24a, 24b)에 연결되는 포공(22)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상인 내통(20)이 구비되고;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되고; 공기공급라인(42)의 일단은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통(20)의 내부공간에 놓이고, 공기공급라인(42)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공기량조절밸브(44)와, 공기공급부(40)가 멈춤 시에 내통(20)으로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46)가 구비되고; 약품공급라인(52)이 약품조와 외통(10)의 내부를 연결하고, 약품공급라인(52)에는 수동으로 조절핀(52a)을 회전시켜 약품공급라인(52)의 개방 횡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과되는 약품량을 조절하는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약품량조절밸브(54)가 구비된다.
내통(20)이 외통(10)의 내부에 위치하고, 거품이 운집하는 부위의 외면에 거품공급라인(24a, 24b)에 연결되는 포공(22)이 형성된다. 내통(20)의 폐쇄된 상면에는 포공(22)이 형성될 수 있다. 내통(20)의 하부는 개방된 형상이다. 내통(20)의 개방된 하부는 외통(10)의 하면 대비 들떠 있어 물이 저항을 받지 않고 출입할 수 있게 구성된다.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된다.
약품공급라인(52)이 약품조와 외통(10)의 내부를 연결하고, 약품공급라인(52)에는 수동으로 조절핀(52a)을 회전시켜 약품공급라인(52)의 개방 횡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과되는 약품량을 조절하는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약품량조절밸브(54)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직접 내통(20) 내부의 거품발생상태와 좌변기로 거품이 유입되는 상태를 직접 보면서 공기량조절밸브(44)와 약품량조절밸브(54)를 조작하여 원하는 사용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외통(10) 및 내통(20)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공기공급부(40)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도달하여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소음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기공급부(40)는 외통(10)과 이격되어 화장실 외부에 구비된다.
외통(10)은 양변기 몸체의 후부에 구비되고 외통(10)의 측면 중 양변기 몸체를 향하는 측면의 상부에는 거품공급라인(24)을 위한 개방공(12)이 구비된다.
약품조는 외통(10)의 상부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약품조의 상부에는 향기액조(60)가 구비되고, 향기액조(60)는 향기발생액의 흐름량을 조절하기 위한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향기액량 조절밸브(64)가 구비된 향기액공급라인(62)에 의해 외통(10)의 내부와 연결된다.
약품조의 상부에 약품을 주입하기 위한 캡(8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약품은 알콜계 계면 활성제 또는 알콜계 계면 활성제인 네코놀로 구성된 그룹안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거품공급장치는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공급장치로서, 물이 저장되는 별도의 외통을 구비하고, 거품이 발생하는 내통과 약품이 저장되는 약품조 등이 외통의 내외부에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일반적인 물저장조를 구비한 좌변기에는 설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942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5574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좌변기의 물 내림없이 거품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고, 물탱크를 구비한 좌변기에 용이하게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거품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거품공급장치는, 좌변기에 거품을 공급하는 거품공급장치에 있어서, 세정액이 저장된 제1통; 거품을 생성하는 제2통;을 포함하되, 상기 제1통 및 상기 제2통은 상기 좌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통과 상기 제2통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통은 거품생성부와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품생성부는 상기 제1통과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거품생성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좌변기의 오버플로우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통은 상기 좌변기의 오버플로우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품을 상기 오버플로우관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품이 상기 좌변기의 변기통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통으로 상기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세정액이 상기 제2통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통으로 공급되는 상기 세정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통의 내부에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기포발생부재에 상기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거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2통에서 거품을 생성하고, 좌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물탱크를 구비한 좌변기에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물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좌변기의 외관 및 화장실 미관을 훼손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제2통의 거품은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좌변기의 변기통으로 공급되고, 제어부는 제2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제어함으로써 거품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어, 물 내림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손쉽게 거품을 공급할 수 있다. 그래서 변기통 내부에 도포된 거품이 쿠션역할을 하여 배변(대변/소변) 및 비데 사용시 오물이 튀어 변기 내부 및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대변 및 소변의 공기중 노출을 최소화하여 악취를 저감할 수 있고, 플러싱시에도 거품이 대변 및 소변을 끝까지 감싸 배출하므로 대변 및 소변분자의 공기 중 비산을 저감하여 화장실 위생환경을 증진할 수 있다. 그리고 변기통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거품 형태의 세정액이 변기통 내의 거의 모든 곳을 장시간 도포하여 오물을 용해하므로 세정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조절부재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제2통으로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통에는 기포발생부재가 형성되어 공기를 공급을 통해 거품을 생성하므로, 용이하게 거품 공급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거품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품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3은 제1통 및 제2통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2의 B-B 단면도.
도 7은 거품공급장치가 좌변기의 물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좌변기에 설치된 거품공급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도 8에서 물탱크를 확대 도시한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품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통 및 제2통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 단면도이고, 도 7은 거품공급장치가 좌변기의 물탱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좌변기에 설치된 거품공급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물탱크를 확대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품공급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액이 저장된 제1통(200);과, 거품을 생성하는 제2통(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통(200)과 제2통(300)은 좌변기(600)의 물탱크(65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품이 좌변기(600)의 변기통(601)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통(200) 및 제2통(300)은 물탱크(65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변기(600)의 외관을 훼손하지 않는 컴팩트한 구성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하면 더 컴팩트하여 착탈 작업도 더 용이하다.
제1통(20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세정액이 저장된다.
제1통(200)의 일측에는 제2통(300)이 결합되어 일체를 이룬다.
제1통(200)의 상부에 비해 하부는 폭이 좁게 형성된다.
제1통(200)의 상부에는 원통 형상의 세정액투입부(210)가 형성된다. 그래서 세정액이 투입된다. 세정액투입부(210)는 뚜껑(211)에 의해 개폐된다.
제1통(200)의 내부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액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저장공간(250)이 형성된다.
저장공간(250)에서 제2통(300)에 인접한 일측에 제1공기공급관(230) 및 세정액공급관(220)이 형성된다.
즉, 제1공기공급관(230)은 제1통(200)의 내부 상부에 형성되고, 세정액공급관(220)은 하부에 형성된다.
제1공기공급관(230)은 제2통(300) 내부에 형성된 제2공기공급관(311)에 연통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공기공급관(230)은 제2공기공급관(311)의 상부에서 분기되고, 제2통(300)의 측면과 제1통(2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저장공간(250)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공기공급관(230)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는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공기공급관(230)의 상부 끝단은 제1통(200)의 내측 상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편, 저장공간(250)의 하부에는 세정액공급관(220)이 형성된다.
세정액공급관(220)은 제1통(200)의 하부에서 상부까지 수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통(200) 및 제2통(300)의 인접한 측면을 관통한 후, 제2통(300)의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통(200)에 배치된 세정액공급관(220)의 하면은 제1통(200)의 내측 하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고, 세정액이 유입되는 제1입구(222)가 형성된다.
또한, 제1통(200)에 배치된 세정액공급관(220)의 상부에는 체크밸브가 형성된다. 그래서 세정액이 제1통(200)에서 제2통(300)으로, 즉 한 방향으로만 이동되도록 한다.
제1통(200)에 배치된 세정액공급관(220)은 제1통(200) 및 제2통(3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제2통(3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2통(300)의 상부에 형성된 조절부재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세정액이 제1통에서 제2통으로 이동하는 원리를 아래에 설명한다.
제1공기공급관(230)을 통해 제1통(200)의 상부에 공기가 공급되면, 제1통(200)의 내부에 저장된 세정액은 제1통(200)의 하부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다. 그래서 세정액은 세정액공급관(220)의 제1입구(222)를 통해 유입되고, 세정액공급관(22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제1체크밸브(221)를 통과한 후, 제2통(300)의 상기 조절부재로 유입된다. 제1체크밸브(221)는 세정액이 한 방향으로만 유동되도록 구성되어, 세정액이 상기 조절부재에서 제1통(20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는 제2통(300)에 대해 상술한다.
제2통(300)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통(200)의 일측에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통(200)과 일체를 이룬다.
제2통(300)은 제1통(200)으로부터 세정액을 공급받아 거품을 생성하는 거품생성부(301)와, 거품을 오버플로우관(651)으로 배출하는 배출부(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거품생성부(301)의 외형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거품생성부(301)의 상면에는 ㄱ형상으로 절곡된 공기유입관(31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제어부(500)로부터 공기가 유입된다.
공기유입관(310)은 거품생성부(301)의 상면을 관통하여 거품생성부(301)의 내부에 형성된 제2공기공급관(311)에 연결된다.
제2공기공급관(311)은 거품생성부(301)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공기공급관(311)의 상부는 제1공기공급관(230)과 연결되어 연통되고, 제2공기공급관(311)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공기공급관(230)으로도 분기된다.
또한, 제2공기공급관(311)의 하부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포발생부재(350)의 하부에 연결된다. 그래서 기포발생부재(350)의 하부에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제2통(300), 즉 거품생성부(301)의 상부에는 상기 조절부재가 형성되어 기포발생부재(350)의 하부로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을 조절한다.
이하에는 상기 조절부재에 대해 상술한다.
상기 조절부재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품생성부(301)의 상면을 관통하여 배치된 원통 형상의 조절부재통(321)과, 조절부재통(3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세정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밸브(322)와, 조절부재통(321)의 전방 일측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세정액이 배출되는 배출관(323)과, 배출관(323)에 하측에 배치된 깔때기 형상의 호퍼(3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절부재통(321)은 제2통(300), 즉 거품생성부(301)의 상부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절부재통(321)은 중심이 상하로 관통된 중공 원통이다.
그리고 조절부재통(321)의 상부는 거품생성부(301)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부는 거품생성부(301)의 내측 상부로 돌출된다.
또한, 조절부재통(321)의 하부는 세정액공급관(220)의 상부와 연결되어, 세정액공급관(220)으로부터 세정액이 유입된다.
조절부재통(321)의 상부에는 조절밸브(322)가 배치되어, 조절부재통(321)의 내부로 조절밸브(322)가 삽입된다.
조절밸브(322)의 상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상부보다 직경이 좁은 핀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조절밸브(322)의 하부는 조절부재통(321)의 내부에 삽입된다.
조절밸브(322)는 회전하면서, 조절부재통(321)으로 삽입되는 정도가 조절된다.
조절부재통(321)의 하부 전방 일측에는 배출관(323)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조절밸브(322)의 삽입 정도를 조절하여, 세정액이 조절부재통(321)으로부터 배출관(323)으로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323)의 하부에는 원형의 관통홀(326)이 형성된다. 그래서 배출관(323)에서 배출된 세정액은 관통홀(326)을 통과해 호퍼(324)로 유입된다.
호퍼(324)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호퍼(324)는 배출관(323) 하측에 형성된 상부호퍼(324a)와, 상부호퍼(324a)의 일측 하부에 삼각형상으로 형성된 하부호퍼(324b)로 이루어진다.
상부호퍼(324a)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부호퍼(324a)의 상부 둘레는 관통홀(326)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둘레의 폭이 좁아지면서 후방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형성된다.
하부호퍼(324b)는 상부호퍼(324a)의 일측 하부에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호퍼(324b)의 하면은 하측 후방을 향해 경사진 빗변으로 형성되어, 세정액이 액이동로(340)의 상부로 유입되도록 유도한다.
호퍼(324)로 유입된 세정액은 상부호퍼(324a)를 거쳐 하부호퍼(324b)를 통과하고, 하부호퍼(324b)의 하부에 위치한 액이동로(340)의 상부로 세정액을 낙하시켜 공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부재는 액이동로(340)로 공급되는 세정액을 방울단위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조절부재의 조절밸브(322)를 이용하여 제2통(300)의 하부로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호퍼(324)의 하측에는 세정액이 이동하는 액이동로(340)가 상하 수직으로 형성된다.
액이동로(340)는 사각 막대 형상을 가지며, 중심이 상하로 관통된 중공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세정액은 액이동로(340)의 상부로 유입되어 액이동로(340)의 하부로 이동한다.
액이동로(340)의 상부는 세정액의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보다 둘레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이동로(340)의 하부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액이 배출되는 배출구(341)가 형성된다.
배출구(341)는 액이동로(340)의 측면 하부에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배출구(341)는 액이동로(340)의 측면에 형성되되, 기포발생부재(350)에 인접한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배출구(341)는 기포발생부재(350)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세정액이 배출구(341)를 통해 기포발생부재(350)의 하측으로 공급된다.
기포발생부재(35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공기공급관(311)의 하부 끝단에 배치된다.
또한, 기포발생부재(350)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어, 제2공기공급관(311)으로부터 기포발생부재(350)의 하부에 공기가 공급되면 기포를 발생시킨다. 기포발생부재(350)가 기포를 발생시켜, 거품생성부(301) 내부에 거품이 생성된다.
거품이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또한, 기포발생부재(350)의 전방에는 수직판(351)이 형성된다. 수직판(351)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포발생부재(350)에 대해 전방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수직판(351)은 기포발생부재(350) 주위의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를 좁혀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물과 세정액의 혼합이 촉진된다.
또한, 거품생성부(301) 내부의 유체는 수직판(351)의 주위를 회전하면서 거품발생이 더욱 잘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통(300)의 후방면 하부, 즉 거품생성부(301)의 후방면 하부에는 원형의 제2체크밸브(303)가 형성된다.
제1통(200) 및 제2통(300)이 좌변기(600)의 물탱크(650) 내부에 설치되면, 제2체크밸브(303)를 통해 물탱크(650) 내부의 물이 제2통(300), 즉 거품생성부(301)의 내부로 유입된다.
제2체크밸브(303)는 스윙식 체크밸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체크밸브(303)는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해서, 물탱크(650)에서 거품생성부(301)로 유입될 뿐, 거품생성부(301)에서 물탱크(650)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통(300)의 후방면 상부, 즉 거품생성부(301)의 후방면 상부에는 원형의 구멍(305)이 형성된다.
구멍(305)은 거품생성부(301)의 후방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구멍(305)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홀(326)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호퍼(324)의 하부보다 윗쪽에 위치한다.
그래서 물탱크(650)의 플러싱 마개(653)가 개방되어 물탱크(650)의 물이 변기통(601)으로 공급되는 플러싱때, 제2통(30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상승하여 관통홀(326)로 넘치는 것을 방지해준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거품공급장치(100)가 적용된 좌변기(600)의 작동 조건에 따라 좌변기(600)의 플러싱시 제2통(300) 내부의 물이 관통홀(326)까지 상승하여 넘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탱크(650) 내부의 평균수위를 과도하게 높게 설정하는 등의 경우이다. 이와 같이 제2통(300) 내부의 물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물은 구멍(305)을 통해 배출되어 관통홀(326)로의 물 넘침이 방지된다. 즉, 구멍(305)은 좌변기(600)의 플러싱시 혹시 발생할 지 모르는 관통홀(326)로의 물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예비 구멍이다.
또한, 제2통(300), 즉 거품생성부(301)의 측면 상부에는 원형의 제3체크밸브(304)가 형성된다.
제3체크밸브(304)도 스윙식 체크밸브로 형성되어 유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한다. 제3체크밸브(304)를 통해서는 거품생성부(301)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한편, 거품생성부(301) 내부의 평균수위는 좌변기(600) 사용시 물탱크(650)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수위로 정의된다. 즉, 플로트(654)의 상승이 멈추는 수위이다.
제3체크밸브(304)는 거품생성부(301)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평균수위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또한, 거품생성부(301)의 내부, 즉 기포발생부재(350)의 상측에는 제1공간(360)이 형성된다.
거품생성부(301)에서 생성된 거품은 제1공간(360)을 거쳐 배출부(380)의 제2공간(385)으로 이동하고, 결합 어댑터(382)와 연결된 좌변기(600)의 오버플로우관(651)을 통해 변기통(601)으로 배출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부(380)는 거품생성부(301)의 정면 좌측에 형성된다. 즉, 배출부(380)는 제1통(200) 및 제2통(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부(380)는 거품생성부(301)의 상부에서 제1통(20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1공간(360)과 연통된 제2공간(385)을 형성한다.
배출부(380)의 상부에는 원통 형상의 보충수 공급부(383)가 형성된다.
보충수 공급부(383)는 제2공간(385)의 상측에 배치되고, 배출부(380)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충수 공급부(383)의 상부에는 보충수 호스(652)가 결합되어 보충수가 공급된다. 보충수 공급부(383)를 통과해 보충수가 제2공간(385)으로 공급되고, 오버플로우관(651)으로 이동한다.
제2공간(385)의 하부에는 원통 형상의 결합통(381)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통(381)의 하부에는 결합통(381)의 내측에는 원통 형상의 결합 어댑터(38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결합 어댑터(382)의 하부에는 오버플로우관(651)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래서 제2공간(385)으로 유입된 거품 및 보충수는 결합통(381) 및 결합 어댑터(382)를 거쳐 오버플로우관(651)으로 공급된다.
결합 어댑터(382)는 좌변기(600)의 오버플로우관(651)을 결합통(381) 하부에 결합하는 중간 연결부 역할을 한다.
좌변기(600)의 오버플로우관(651)의 직경이나 길이에 따라 결합 어댑터(382) 없이 결합통(381)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고, 결합 어댑터(382)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결합 어댑터(382)의 하부에는 제3공간(384)이 형성되어 오버플로우관(651)이 배치된다. 즉, 오버플로우관(651)은 결합 어댑터(382)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3공간(384)에 위치한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통(200) 및 제2통(300)의 하부에는 제1절곡부(240) 및 제2절곡부(241)가 형성된다.
제1절곡부(240) 및 제2절곡부(241)는 제3공간(384)의 하측에 위치한다.
제1절곡부(240) 및 제2절곡부(241)는 제1통(200) 및 제2통(300)의 내측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래서 오버플로우관(651)의 길이가 짧을 경우, 오버플로우관(651)의 하부에 형성된 플러싱 마개(653)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거품생성부(301)는 제1통(200)과 나란히 배치되고, 배출부(380)는 거품생성부(301)의 상부에 형성되고 오버플로우관(651)에 결합된다. 그래서 제1통(200) 및 제2통(300)을 컴팩트하게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통(200) 및 제2통(300)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다. 그리고 제2통은 우측에 배치된 거품생성부(301)와 정면 중앙에 배치된 배출부(380)로 이루어진다.
즉, 제1통(200)은 좌측에 배치되고, 거품생성부(301)는 우측에 배치된다. 제1통(200)과 거품생성부(301) 사이의 상부에는 배출부(380)가 배치된다. 그리고 배출부(380)의 하부에는 오버플로우관(651)이 삽입되는 제3공간(384)이 형성된다. 그래서 정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중앙하부가 개방된 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제1통(200) 및 제2통(300)은 좌우 무게중심이 효율적으로 분배되고, 제1통(200) 및 제2통(300)을 컴팩트하게 일체로 형성하기에 용이하다. 그래서 물탱크(650) 내부의 오버플로우관(651)에 착탈하며 사용하기 편리하다.
제어부(50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탱크(650)의 외측 또는 인접한 벽면에 설치된다.
제어부(500)는 에어펌프(502)와 제4체크밸브(501)와 타이머와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부(500)는 일측에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전원코드(503)를 포함한다.
제어부(500)는 에어펌프(502)에서 공기유입관(310)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제어한다. 에어펌프(502)와 공기유입관(310) 사이에는 제4체크밸브(501)가 형성되어 공기가 일방향으로만 흐르게 한다.
즉, 공기유입관(310)에서 에어펌프(502)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어부(500)는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가 동작을 감지하여 공기유입관(310)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타이머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공기의 공급 양을 조절함으로써, 거품공급장치(100)의 거품 공급을 제어한다.
이하에는 도 7을 참고하여, 거품공급장치(100)가 좌변기(600)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한다.
좌변기(600) 및 좌변기(600)의 동작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비롯하여 기존에 많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변기(600)는 버튼(655)을 눌러 물탱크(650) 하부의 플러싱 마개(653)를 개방함으로써, 물탱크(650)의 물을 변기통(601)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보충수 호스(652)를 통한 보충수의 공급은 물탱크(650) 내부의 물 수위에 따라 동작하는 플로트(654)에 의해 조절된다.
거품공급장치(100)는 변기통(601)의 후방에 설치된 물탱크(650)의 내부에 설치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거품공급장치(100)는 오버플로우관(651) 상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보충수 호스(652)는 거품공급장치(100)의 보충수 공급부(383)에 결합된다.
이하에는 거품공급장치(100)를 통해 변기통(601)에 거품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물탱크(650) 외부에 설치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변기통(601)에 거품을 공급하려고 제어부(500) 근처에 손을 근접시키면, 적외선 센서 등이 움직임을 감지하여 공기유입관(310)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그리고 공기유입관(31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제어부(500)의 타이머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된다.
그 후, 도 2, 도 3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00)의 에어펌프(502)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공기유입관(310)으로 유입된다. 그 후 제1공기공급관(230)을 통해 제1통(200)의 상부와, 제2공기공급관(311)을 통해 제2통(300)의 하부, 즉 거품생성부(301) 하부에 형성된 기포발생부재(350)에 공급된다.
제1통(200)의 상부로 공급된 공기는 제1통(200) 내부의 세정액에 압력을 가해 세정액이 세정액공급관(220) 하부의 제1입구(222)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래서 세정액은 세정액공급관(220) 통해 이동하여 제1체크밸브(221)를 통과한 후, 조절밸브(322)를 포함하는 상기 조절부재에 도달한다.
상기 조절부재의 조절밸브(322)를 조작하여 제2통(300), 즉 거품생성부(301)의 하부로 공급되는 세정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재에서 세정액은 조절부재통(321)과 배출관(323)과 호퍼(324)를 차례로 거쳐 액이동로(340)로 낙하된다.
액이동로(340)를 통과한 세정액은 기포발생부재(350)의 하부로 공급된다.
또한, 제2통(300)의 하부, 즉 기포발생부재(350)가 배치된 거품생성부(301)의 하부는 제2체크밸브(303)를 통해 물탱크(650)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제3체크밸브(304)의 아래 부근 수위까지 채워진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3체크밸브(304) 아래의 제1공간(360)에는 제2체크밸브(303)로 유입된 물이 채워지고, 제3체크밸브(304) 위의 제2공간(385)에는 제3체크밸브(304)로 유입된 공기가 채워진다.
그래서 거품생성부(301)의 하부에는 물과 세정액이 섞여 기포발생부재(350)의 주위에 배치된다. 기포발생부재(350)에 공기가 공급되면, 물과 세정액이 섞인 유체에 기포를 발생시켜 거품을 생성한다.
이때 기포발생부재(350)의 전방에 배치된 수직판(351)으로 인해, 거품생성부(301) 내부의 유체가 통과하는 유로가 좁아져 유체의 속도가 빨라지고, 또한 유체가 수직판(351) 주위를 회전하면서 거품이 용이하게 잘 발생 된다.
생성된 거품은 제1공간(360)을 거쳐 제2공간(385)으로 이동한다. 그 후 결합 어댑터(382)에 연결된 오버플로우관(651)을 통해 변기통(601)으로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제2통(300), 즉 거품생성부(301)에서 거품을 생성하고, 좌변기(600)의 물탱크(65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거품 공급을 위해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좌변기(600)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없이 물탱크(650)에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일반형 오버플로우관(651)이 장착된 좌변기(600)에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물탱크(650) 내부에 배치되어 좌변기(600)의 외관 및 화장실 미관을 훼손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통(300)의 거품은 오버플로우관(651)을 통해 좌변기(600)의 변기통(601)으로 공급되고, 제어부(500)는 제2통(300)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제어함으로써 거품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어, 물 내림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손쉽게 거품을 공급할 수 있다. 그래서 변기통(601) 내부에 도포된 거품이 쿠션역할을 하여 배변(대변/소변) 및 비데 사용시 오물이 튀어 변기 내부 및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대변 및 소변의 공기 중 노출을 최소화하여 악취를 저감할 수 있고, 플러싱시에도 거품이 대변 및 소변을 끝까지 감싸 배출하므로 대변 및 소변분자의 공기 중 비산을 저감하여 화장실 위생환경을 증진할 수 있다. 그리고 변기통(601)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거품 형태의 세정액이 변기통(601) 내의 거의 모든 곳을 장시간 도포하여 오물을 용해하므로 세정효과가 우수하다.
변기솔 등을 이용한 수동 청소시 세정액를 도포하기 힘든 변기물이 배출되는 곳이나 변기통(601) 내부에 예각이 형성된 부분까지 거품이 자동으로 도포되므로, 별도의 세정제를 몸을 구부려 도포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지속적으로 거품을 통해 세정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거품을 생성하는 세정액에는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하여 발향제를 첨가하면 더욱 쾌적한 화장실 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00: 거품공급장치 200: 제1통
210: 세정액투입부 211: 뚜껑
220: 세정액공급관 221: 제1체크밸브
222: 제1입구 230: 제1공기공급관
240: 제1절곡부 241: 제2절곡부
250: 저장공간 300: 제2통
301: 거품생성부 303: 제2체크밸브
304: 제3체크밸브 305: 구멍
310: 공기유입관 311: 제2공기공급관
321: 조절부재통 322: 조절밸브
323: 배출관 324: 호퍼
324a: 상부호퍼 324b: 하부호퍼
326: 관통홀 340: 액이동로
341: 배출구 350: 기포발생부재
351: 수직판 360: 제1공간
380: 배출부 381: 결합통
382: 결합 어댑터 383: 보충수 공급부
384: 제3공간 385: 제2공간
500: 제어부 501: 제4체크밸브
502: 에어펌프 503: 전원코드
600: 좌변기 601: 변기통
650: 물탱크 651: 오버플로우관
652: 보충수 호스 653: 플러싱 마개
654: 플로트 655: 버튼

Claims (8)

  1. 좌변기에 거품을 공급하는 거품공급장치에 있어서,
    세정액이 저장된 제1통;
    거품을 생성하는 제2통;
    상기 제1통 및 상기 제2통을 관통하여 상기 제2통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제1통에 배치되는 세정액공급관;
    상기 거품이 상기 좌변기의 변기통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통 및 상기 제2통은 상기 좌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통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는 상기 제1통으로 공급되어 상기 세정액이 상기 세정액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제2통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통과 상기 제2통은 일체로 형성되는 거품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통은 거품생성부와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품생성부는 상기 제1통과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거품생성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좌변기의 오버플로우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통은 상기 좌변기의 오버플로우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품을 상기 오버플로우관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공급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통으로 공급되는 상기 세정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거품공급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통의 내부에는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기포발생부재에 상기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거품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공급장치.

KR1020140073228A 2014-06-17 2014-06-17 거품공급장치 KR10157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228A KR101577681B1 (ko) 2014-06-17 2014-06-17 거품공급장치
PCT/KR2015/006047 WO2015194818A1 (ko) 2014-06-17 2015-06-16 거품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3228A KR101577681B1 (ko) 2014-06-17 2014-06-17 거품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681B1 true KR101577681B1 (ko) 2015-12-15

Family

ID=5493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228A KR101577681B1 (ko) 2014-06-17 2014-06-17 거품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7681B1 (ko)
WO (1) WO20151948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38B1 (ko) * 2016-05-30 2016-09-19 박정길 악취제거 변기
KR101960730B1 (ko) 2017-12-20 2019-07-17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비데용 버블 도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1141A (zh) * 2018-07-11 2018-10-16 范良清 一种活氧泡沫洁厕节水消毒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94B1 (ko) * 2012-04-09 2012-07-31 박영순 포세식 양변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9338B2 (ja) * 1992-10-28 1996-10-30 ネポン株式会社 太陽電池を備えた泡洗式トイレ装置
JPH094025A (ja) * 1995-06-20 1997-01-07 Inax Corp 泡便器及び泡便器の制御方法
KR100755747B1 (ko) * 2006-11-28 2007-09-05 뉴월드인텍(주) 포세식 좌변기
KR101025040B1 (ko) * 2010-10-06 2011-03-25 이엔후레쉬 주식회사 포세식 양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94B1 (ko) * 2012-04-09 2012-07-31 박영순 포세식 양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7438B1 (ko) * 2016-05-30 2016-09-19 박정길 악취제거 변기
KR101960730B1 (ko) 2017-12-20 2019-07-17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비데용 버블 도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4818A1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5066B2 (ja) 衛生陶器洗浄システム
JP5044363B2 (ja) 便器装置
KR102068142B1 (ko) 좌변기용 버블공급장치
JP4552930B2 (ja) 洗浄水吐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水洗便器
KR101577681B1 (ko) 거품공급장치
US8631519B1 (en) Toilet cleanser and deodorizer dispenser
JP2009500546A (ja) 水洗タンク用の洗浄剤ディスペンサ
KR101908846B1 (ko) 세정액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변기 수조
JP4470936B2 (ja) 薬液混入水吐出装置および水洗便器装置
JP2003342993A (ja) 局部洗浄装置
AU2015391963B2 (en) Device for delaying introduction of agents to a cistern
US20180044902A1 (en) Liquid Chemical Dispensing Apparatus for Toilet Bowls with Remote Liquid Reservoir
JP2009108509A (ja) 便器装置
JP6538490B2 (ja) 水洗式便器
JP2011069127A (ja) 便器装置
JP5302850B2 (ja) 便器装置
US20140020164A1 (en) System for Delivering Chemicals to a Toilet Bowl
KR200351198Y1 (ko) 공급수로를 갖는 거품 발생기가 장착된 비데
KR100784674B1 (ko) 포세식 좌변기
KR200434735Y1 (ko) 포세식 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JP3226478U (ja) マイクロバブル水生成システム
JP7134741B2 (ja) 泡発生装置及び便器装置
KR20140087347A (ko) 변좌 세척기능이 구비된 비데 및 그 제어방법
JP7371288B1 (ja) 便座装置および便座ユニット
JP7057237B2 (ja) 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