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747B1 - 포세식 좌변기 - Google Patents

포세식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747B1
KR100755747B1 KR1020060118078A KR20060118078A KR100755747B1 KR 100755747 B1 KR100755747 B1 KR 100755747B1 KR 1020060118078 A KR1020060118078 A KR 1020060118078A KR 20060118078 A KR20060118078 A KR 20060118078A KR 100755747 B1 KR100755747 B1 KR 100755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toilet
foam
outer cylind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엽
강관모
Original Assignee
뉴월드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월드인텍(주) filed Critical 뉴월드인텍(주)
Priority to KR102006011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세식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거품공급장치(1)와 좌변기 몸체(100)와 시트부(210)를 포함하는 포세식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몸체(100)는 거품을 변기통부(101)로 분출유도하기 위한 주-기포유도관(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주-기포유도관(110)은, 일단이 거품공급장치(1)와 연결되는 두개의 인입부(112)와, 인입부(112) 중 하나의 인입부(112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좌변기 몸체(100)의 상부 좌 영역을 차례로 가로질러 형성된 좌측 주-기포유도관(110a)과, 좌측 주-기포유도관(110a)의 일단과 연통되어 좌변기 몸체(100)의 상부 우 영역을 가로지른 후 다른 하나의 인입부(112b)의 타단과 결합하는 우측 주-기포유도관(110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좌측 주-기포유도관(110a)과 우측 주-기포유도관(110b)은 주-기포유도관의 전방 중심선(110c)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기포분출공(115)이 구비되고, 기포가 기포분출공(115)을 통해 변기통부(101)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포세식, 좌변기, 주-기포유도관, 기포

Description

포세식 좌변기{Foam Type Toile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포세식 좌변기의 주-기포유도관(110)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의 포세식 좌변기의 주-기포유도관(110)과 서브-기포유도관(120)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
도 4b는 본 발명의 포세식 좌변기의 주-기포유도관(110)과 서브-기포유도관(120)의 다른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포세식 좌변기의 주-기포유도관(110)에 형성된 기포분출공(115)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주-기포유도관(110) 펼친상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발생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발생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발생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발생장치의 구성 및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품공급장치 201 : 거품공급장치
10 : 외통 12 : 개방공
20 : 내통 22 : 포공
30 : 물공급부 32 : 물공급라인
34 : 수량조절밸브 36 : 부표
40 : 공기공급부 42 : 공기공급라인
44 : 공기량조절밸브 46 : 체크밸브
50 : 약품조 52 : 약품공급라인
52a : 조절핀 54 : 약품량조절밸브
60 : 향기액조 62 : 향기액공급라인
64 :향기액량 조절밸브 81 : 캡
100 : 좌변기 몸체 101 : 변기통부
110 : 주-기포유도관 110a : 좌측 주-기포유도관
110b : 우측 주-기포유도관 112 : 인입부
110c : 주-기포유도관의 전방 중심선
115 : 기포분출공 120 : 서브-기포유도관
122 : 서브-기포입구공 125 : 서브-기포분출공
130 : 후방 보울 210 : 시트부
220 : 내통 224 : 거품공급관
본 발명은 포세식(泡洗式)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이 화장실이고, 최근에 와서는 화장실문화라고 까지 일컬어 질 정도로 일상생활에서 화장실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화장실에서도 특히 그 주체라 할 수 있는 변기의 형태나 구조는 사회의 발달과 인간생활의 풍요로 인하여 청결성과 기능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변화를 나타내 보이고 있는데, 근자에는 변기의 내부 또는 외부의 일정한 장소에 물을 담수하여 필요시 수세할 수 있는 수세식의 양변기 또는 좌변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수세식 변기에 있어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최근의 기술로는, 물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수세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변기내부에 담수된 물속으로 공기의 유통관을 유입시키고 이 관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기포를 발생시켜 거품을 함유한 물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 경우에는 물만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기포를 발생시키는 경제성에 비하여 순수한 물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포발생력이 떨어져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는 구조로서 물에 기포성의 약품을 혼합하여 강제로 거품을 발생시켜 얻어지는 거품으로 수세하는 포세식 변기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처음에는 액상의 세제가 들어 있는 약품통의 내부에 심지를 넣고 심지의 상부에 설치된 블로워나 송풍팬을 통하여 심지상의 액상세제를 기포화시키는 구조였으나 장치가 복잡하고 조작이 불편하여 큰 호응은 얻지 못하였다.
최근에 시판되는 포세식(泡洗式) 좌변기는 전기전자 장치로서 거품 발생의 정도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데, 고장이 잦고 전기전자 장치의 불량이 많으며, 고장이 날 경우 A/S도 잘 되지 않아 사용자가 불편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품의 발생이 일정하지 않으며, 거품발생 장치의 내부가 전혀 보이지 않고 전기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버튼만을 사용하여 거품 발생 정도를 제어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거품 발생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전자 장치를 사용하여 생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기포발생기에 의해 생성되는 소음이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품공급 장치에서 공급된 기포는 압력 손실 때문에 좌변기 변기통부 주변에 골고루 공급되지 않고 양변기 후방에만 집중적으로 공급되고 변기통부 전방에는 적게 공급되는 등 거품 공급이 균일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변물이 낙하하는 보울 하부 부위는 조금씩 공급되는 기포 만으로 세척이 불가능하여 항상 오염된 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거품 발생이 일정하고,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거품 발생의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거품발생장치를 갖는 포세식(泡洗式) 좌변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품발생장치의 몸체 및/또는 밸브 몸체를 투명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거품의 발생 상태를 보면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거품 발생의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포세식(泡洗式) 좌변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이 적고 소음 특성이 우수한 포세식(泡洗式) 좌변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품발생장치 발생된 거품을 좌변기에 효과적이고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포세식(泡洗式) 좌변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품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거품을 용변물이 낙하하는 보울 하부 부위에 집중 공급하여 보울 하부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포세식(泡洗式) 좌변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는 거품공급장치(1)와 좌변기 몸체(100)와 시트부(210)를 포함하는 포세식 좌변기에 있어서, 좌변기 몸체(100)는 거품을 변기통부(101)로 분출유도하기 위한 주-기포유도관(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주-기포유도관(110)은, 일단이 거품공급장치(1)와 연결되는 두개의 인입부(112)와, 인입부(112) 중 하나의 인입부(112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좌변기 몸체(100)의 상부 좌 영역을 차례로 가로질러 형성된 좌측 주-기포유도관(110a)과, 좌측 주-기포유도관(110a)의 일단과 연통되어 좌변기 몸체(100)의 상부 우 영역을 가로지른 후 다른 하나의 인입부(112b)의 타단과 결합하는 우측 주-기포유도관(110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좌측 주-기포유도관(110a)과 우측 주-기포유도관(110b)은 주-기포유도관의 전방 중심선(110c)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기포분출공(115)이 구비되고, 기포가 기포분출공(115)을 통해 변기통부(101)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포세식 좌변기의 주-기포유도관(110)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는 거품공급장치(1)와 좌변기 몸체(100)와 시트부(210)를 포함하는 포세식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 몸체(100)는 거품을 변기통부(101)로 분출유도하기 위한 주-기포유도관(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기포유도관(110)은, 일단이 거품공급장치(1)와 연결되는 두개의 인입부(112)와, 인입부(112) 중 하나의 인입부(112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좌변기 몸체(100)의 상부 좌 영역을 차례로 가로질러 형성된 좌측 주-기포유도관(110a)과, 좌측 주-기포유도관(110a)의 일단과 연통되어 좌변기 몸체(100)의 상부 우 영역을 가로지른 후 다른 하나의 인입부(112b)의 타단과 결합하는 우측 주-기포유도관(11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포세식 좌변기의 주-기포유도관(110)에 형성된 기포분출공(115)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주-기포유도관(110) 펼친상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주-기포유도관(110a)과 우측 주-기포유도관(110b)은 주-기포유도관의 전방 중심선(110c)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기포분출공(115)이 구비되고, 기포가 기포분출공(115)을 통해 변기통부(101)로 공급된다.
도 4a는 본 발명의 포세식 좌변기의 주-기포유도관(110)과 서브-기포유도관(120)의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포세식 좌변기의 주-기포유도관(110)과 서브-기포유도관(120)의 다른 구성을 보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포세식 좌변기는 거품이 유입되는 서브-기포입구공(122)과 변기통부(101)의 내부 보울 하측에 형성된 서브-기포분출공(125)을 서로 연결하는 서브-기포유도관(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브-기포유도관(120)은 거품공급장치(1)로부터 발생된 기포가 서브-기포분출공(125)을 통해 변기통부(101)의 내부 후방 보울(130) 하측으로 직접 공급되게 유도함으로써, 변기통부(101)의 내부 후방 보울(130) 하측에 기포가 집중 공급되도록 한다.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서브-기포입구공(122)은 인입 부(112) 또는 주-기포유도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구성요소의 소정위치에 형성된다.
서브-기포입구공(122)은 인입부(112)중 적어도 하나의 인입부(예를들어, 112a)의 하면 소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주-기포유도관 하부에 형성함이 도기의 구조상 생산 및 작업의 편리성을 가져다준다. 주-기포유도관 중에서도 기포 압력이 높은 좌변기 후방측에 연결된다. 인입부(112) 또는 좌변기 후방측 주-기포유도관(110)의 위치에 서브-기포입구공(122)을 형성하였을 때 후방 보울(130) 하측에 공급되는 거품 공급량이 가장 적당하고 이렇게 하였을 때 거품의 통제가 용이하다. 기포발생장치의 별도의 공급라인과 연결될 수 있는데, 즉, 주-기포유도관(110)의 기포공급라인(24a, 24b)과 다른 라인을 통해 기포가 서브-기포입구공(122)으로 직접 유입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서브-기포분출공(125)의 분출 기포가 과다할 수 있으며, 이를 통제하기 위해 기포 유입구를 줄이면 과다한 압력 손실로 에너지 소모가 커질 수 있다.
종래의 도기형 좌변기의 통상적인 외부 높이인 370 ~ 380mm 중에 내부 보울의 높이는 180 ~ 230mm 정도였다. 이것은 내부 보울의 경사가 완만함을 의미하고 이는 위에서 내려오는 거품의 가속력이 떨어지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거품의 가속력의 감소를 막아서 거품이 원활하게 하강하게 함으로써 용변의 씻김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 몸체(100)의 높이(L1)가 370 ~ 380mm일 때, 후방 보울(130)의 높이(L2)를 280 ~ 300mm 로 하였다.
시제품의 시험결과 거품이 원활하게 하강하게 함으로써 용변의 깨끗하게 세척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발생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공급장치(1)는, 외통(10)이 구비된 포세식 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이며; 외통(10)의 내부에 위치하고, 거품이 운집하는 부위(20d)의 외면에 거품공급라인(24a, 24b)에 연결되는 포공(22)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상인 내통(20)이 구비되고;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되고; 공기공급라인(42)의 일단은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통(20)의 내부공간에 놓이고, 공기공급라인(42)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공기량조절밸브(44)와, 공기공급부(40)가 멈춤시에 내통(20)으로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46)가 구비되고; 약품공급라인(52)이 약품조(50)와 외통(10)의 내부를 연결하고, 약품공급라인(52)에는 수동으로 조절핀(52a)을 회전시켜 약품공급라인(52)의 개방 횡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과되는 약품량을 조절하는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약품량조절밸브(54)가 구비된다.
내통(20)이 외통(10)의 내부에 위치하고, 거품이 운집하는 부위(20d)의 외면에 거품공급라인(24a, 24b)에 연결되는 포공(22)이 형성된다. 내통(20)의 폐쇄된 상면에는 포공(22)이 형성될 수 있다. 내통(20)의 하부는 개방된 형상이다. 내통(20)의 개방된 하부는 외통(10)의 하면 대비 들떠 있어 물이 저항을 받지 않고 출입할 수 있게 구성된다.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된다.
공기공급라인(42)의 일단은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통(20)의 내부공간에 놓이고, 공기공급라인(42)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공기량조절밸브(44)와, 공기공급부(40)가 멈춤시에 내통(20)으로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46)가 구비된다.
약품공급라인(52)이 약품조(50)와 외통(10)의 내부를 연결하고, 약품공급라인(52)에는 수동으로 조절핀(52a)을 회전시켜 약품공급라인(52)의 개방 횡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과되는 약품량을 조절하는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약품량조절밸브(54)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직접 내통(20) 내부의 거품발생상태와 좌변기로 거품이 유입되는 상태를 직접 보면서 공기량조절밸브(44)와 약품량조절밸브(54)를 조작하여 원하는 사용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외통(10) 및 내통(20)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공기공급부(40)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도달하여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소음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공기공급부(40)는 외통(10)과 이격되어 화장실 외부에 구비된다.
외통(10)은 양변기 몸체(3)의 후부에 구비되고 외통(10)의 측면 중 양변기 몸체(3)를 향하는 측면의 상부에는 거품공급라인(24)을 위한 개방공(12)이 구비된다.
약품조(50)는 외통(10)의 상부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약품조(50)의 상부에는 향기액조(60)가 구비되고, 상기 향기액조(60)는 향기발생액의 흐름량을 조절하기 위한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향기액량 조절밸브(64)가 구비된 향기액공급라인(62)에 의해 외통(10)의 내부와 연결된다.
약품조(50)의 상부에 약품을 주입하기 위한 캡(8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약품은 알콜계 계면 활성제 또는 알콜계 계면 활성제인 네코놀로 구성된 그룹안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세식 좌변기에 있어서, 두개의 거품공급라인(24a, 24b)에 각각 연결된 포공(22a, 22b)의 수는 두개이고, 서브-기포입구공(122)이 형성되는 인입부(112a)와 연통하는 포공(22a)의 개방 단면적은 다른 하나의 포공(22b)의 개방 단면적보다 넓어서 서브-기포유도관(120)과의 연결에 따른 압력 손실에도 불구하고 기포가 기포분출공(115)을 통해 변기통부(101)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발생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발생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공급장치(201)는, 외통(10)과, 외통(10) 내부에 놓이는 측면과 상면이 폐쇄되고 하부 중 적어도 일부는 개방된 형상인 내통(220)이 구비되고; 상단이 내통(220)의 거품이 운집하는 부위(220d)에 위치하고 외통(10)을 관통한 후 하단이 인입부(112)와 연결되는 거품공급관(224)이 구비되고;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되고; 공기공급라인(42)의 일단은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통(20)의 내부공간에 놓이고, 공기공급라인(42)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공기량조절밸브(44)와, 공기공급부(40)가 멈춤시에 내통(20)으로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46)가 구비되고; 약품공급라인(52)이 약품조(50)와 외통(10)의 내부를 연결하고, 약품공급라인(52)에는 수동으로 조절핀(52a)를 회전시켜 약품공급라인(52)의 개방 횡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과되는 약품량을 조절하는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약품량조절밸브(54)가 구비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발생장치의 구성 및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공급장치(201)는, 외통(10)과 상기 외통(10) 내부에 놓이는 하부중 적어도 일부는 개방된 형상인 내통(220)이 구비되고; 상기 내통(220)의 거품이 운집하는 부위(220d)로부터 상기 인입부(112)까지 거품의 통로를 제공하는 거품공급관(224)이 구비되고; 외통을 위한 물 공급수단과 내통을 위한 공기 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약품조(50) 내의 약품은 상기 외통(10)의 내부를 향하는 약액낙하홀(57)과 통기홀(58)의 작용을 통해 상기 외통(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상기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된다(외통을 위한 물 공급수단).
공기공급라인(42)의 일단은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통(20)의 내부공간에 놓이고, 상기 공기공급라인(42)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공기량조절밸브(44)와, 상기 공기공급부(40)가 멈춤시에 상기 내통(20)으로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46)가 구비된다(내통을 위한 공기 공급수단).
약액낙하홀(57)의 단면적은 상기 통기홀(58)의 단면적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약액낙하홀(57)로 약액이 낙하하고 통기홀(58)은 약액 감소로 인해 생긴 음압을 해소하여 약액의 자유 낙하를 돕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세면수를 활용하는 양변기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발생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발생 약품은 약품공급라인(52)을 통해 외통(10)으로 공급되어 물과 섞이고, 공기공급부(40)(또는 기포발생기)에서 발생된 기포는 공기공급라인(42)을 통해 직접 내통(20)으로 유입되어 거품을 발생시킨다. 공기공급부(40)의 작동이 멈춘 경우 역류에 의해 전기장치인 공기공급부(40)(또는 기포발생기)가 손상 받을 수 있어 체크밸브(46)를 구비한다. 발생한 거품은 포공(22), 거품공급라인(24), 및 개방공(12)을 경유하여 좌변기로 균일하게 공급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세식 좌변기의 거품발생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발생 약품은 약품공급라인(52)을 통해 외통(10)으로 공급되어 물과 섞이고, 공기공급부(40)(또는 기포발생기)에서 발생된 기포는 공기공급라인(42)을 통해 직접 내통(220)으로 유입되어 거품을 발생시킨다. 공기공급부(40)의 작동이 멈춘 경우 역류에 의해 전기장치인 공기공급부(40)(또는 기포발생기)가 손상 받을 수 있어 체크밸브(46)를 구비한다. 발생한 거품은 거품공급관(224)을 경유하여 좌변기로 균일하게 공급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거품 발생이 일정하고,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거품 발생의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거품발생장치를 갖는 포세식(泡洗式) 좌변기가 제공된다.
또한, 거품발생장치의 몸체 및/또는 밸브 몸체를 투명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거품의 발생 상태를 보면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거품 발생의 정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포세식(泡洗式) 좌변기가 제공된다.
또한, 고장이 적고 소음 특성이 우수한 포세식(泡洗式) 좌변기가 제공된다.
또한, 거품발생장치 발생된 거품을 좌변기에 효과적이고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포세식(泡洗式) 좌변기가 제공된다.
또한, 거품발생장치로부터 발생된 거품을 용변물이 낙하하는 보울 하부 부위에 집중 공급하여 보울 하부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포세식(泡洗式) 좌변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1)

  1. 거품공급장치(1)와 좌변기 몸체(100)와 시트부(210)를 포함하는 포세식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몸체(100)는 거품을 변기통부(101)로 분출유도하기 위한 주-기포유도관(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주-기포유도관(110)은, 일단이 상기 거품공급장치(1)와 연결되는 두개의 인입부(112)와, 상기 인입부(112) 중 하나의 인입부(112a)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좌변기 몸체(100)의 상부 좌 영역을 차례로 가로질러 형성된 좌측 주-기포유도관(110a)과, 상기 좌측 주-기포유도관(110a)의 일단과 연통되어 상기 좌변기 몸체(100)의 상부 우 영역을 가로지른 후 다른 하나의 인입부(112b)의 타단과 결합하는 우측 주-기포유도관(110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측 주-기포유도관(110a)과 우측 주-기포유도관(110b)은 주-기포유도관의 전방 중심선(110c)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기포분출공(115)이 구비되고, 기포가 상기 기포분출공(115)을 통해 상기 변기통부(101)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좌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거품이 유입되는 서브-기포입구공(122)과 상기 변기통부(101)의 내부 보울 하측에 형성된 서브-기포분출공(125)을 서로 연결하는 서브-기포유도관(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거품공급장치(1)로부터 발생된 기포가 상기 서브-기포분출공(125)을 통해 상기 변기통부(101)의 내부 후방 보울(130) 하측으로 직접 공급됨으로써, 상기 변기통부(101)의 내부 후방 보울(130) 하측에는 기포가 집중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좌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기포입구공(122)은 인입부(112) 또는 주-기포유도관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구성요소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좌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 몸체(100)의 높이는 370 ~ 380mm이고, 상기 후방 보울(130)의 높이는 280 ~ 30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좌변기.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공급장치(1)는, 외통(10)이 구비된 포세식 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이며;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위치하고, 거품이 운집하는 부위(20d)의 외면에 거품공급라인(24a, 24b)에 연결되는 포공(22)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상인 내통(20)이 구비되고;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상기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되고;
    공기공급라인(42)의 일단은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통(20)의 내부공간에 놓이고, 상기 공기공급라인(42)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공기량조절밸브(44)와, 상기 공기공급부(40)가 멈춤시에 상기 내통(20)으로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46)가 구비되고;
    약품공급라인(52)이 약품조(50)와 외통(10)의 내부를 연결하고, 상기 약품공급라인(52)에는 수동으로 조절핀(52a)를 회전시켜 상기 약품공급라인(52)의 개방 횡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과되는 약품량을 조절하는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약품량조절밸브(5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좌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공급장치(1)는, 사용자가 직접 내통(20) 내부의 거품발생상태와 좌변기로 거품이 유입되는 상태를 직접 보면서 공기량조절밸브(44)와 약품량조절밸브(54)를 조작하여 원하는 사용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외통(10) 및 내통(20)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공급부(40)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도달하여 사용자에게 인지되는 소음레벨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공급부(40)는 상기 외통(10)과 이격되어 화장실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좌변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공급장치(1)는, 외통(10)이 구비된 포세식 좌변기용 거품발생장치이며;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위치하고, 거품이 운집하는 부위(220d)의 외면에 포공(22)이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상인 내통(20)이 구비되고;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상기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되고; 공기공급라인(42)의 일단은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통(20)의 내부공간에 놓이고, 상기 공기공급라인(42)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공기량조절밸브(44)와, 상기 공기공급부(40)가 멈춤시에 상기 내통(20)으로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46)가 구비되고; 약품공급라인(52)이 약품조(50)와 외통(10)의 내부를 연결하고, 상기 약품공급라인(52)에는 수동으로 조절핀(52a)를 회전시켜 상기 약품공급라인(52)의 개방 횡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과되는 약품량을 조절하는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약품량조절밸브(5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두개의 거품공급라인(24a, 24b)에 각각 연결된 포공(22a, 22b)의 수는 두개이고, 상기 서브-기포입구공(122)이 형성되는 인입부(112) 또는 주-기포유도관(110)과 연통하는 포공(22a)의 개방 단면적은 다른 하나의 포공(22b)의 개방 단면적보다 넓어서 서브-기포유도관(120)과의 연결에 따른 압력 손실에도 불구하고 기포가 상기 기포분출공(115)을 통해 상기 변기통부(101)로 균일하게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좌변기.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공급장치(201)는, 외통(10)과, 상기 외통(10) 내부에 놓이는 측면과 상면이 폐쇄되고 하부중 적어도 일부는 개방된 형상인 내통(220)이 구비되고;
    상단이 상기 내통(220)의 거품이 운집하는 부위(220d)에 위치하고 상기 외통(10)을 관통한 후 하단이 상기 인입부(112)와 연결되는 거품공급관(224)이 구비되고;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상기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되고;
    공기공급라인(42)의 일단은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통(20)의 내부공간에 놓이고, 상기 공기공급라인(42)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공기량조절밸브(44)와, 상기 공기공급부(40)가 멈춤시에 상기 내통(20)으로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46)가 구비되고;
    약품공급라인(52)이 약품조(50)와 외통(10)의 내부를 연결하고, 상기 약품공급라인(52)에는 수동으로 조절핀(52a)를 회전시켜 상기 약품공급라인(52)의 개방 횡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통과되는 약품량을 조절하는 투명한 외부 케이스를 갖는 약품량조절밸브(5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좌변기.
  9.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공급장치(201)는, 외통(10)과 상기 외통(10) 내부에 놓이는 하부중 적어도 일부는 개방된 형상인 내통(220)이 구비되고;
    상기 내통(220)의 거품이 운집하는 부위(220d)로부터 상기 인입부(112)까지 거품의 통로를 제공하는 거품공급관(224)이 구비되고;
    외통을 위한 물 공급수단과 내통을 위한 공기 공급수단을 구비하고;
    약품조(50) 내의 약품은 상기 외통(10)의 내부를 향하는 약액낙하홀(57)과 통기홀(58)의 작용을 통해 상기 외통(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좌변기.
  10. 제9항에 있어서,
    물공급라인(32)의 일단은 물공급부(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외통(10)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량조절밸브(34)가 구비되고, 상기 수량조절밸브(34)는 수위와 연동하는 부표(36)에 의해 제어되고;
    공기공급라인(42)의 일단은 공기공급부(4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통(20)의 내부공간에 놓이고, 상기 공기공급라인(42)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공기량조절밸브(44)와, 상기 공기공급부(40)가 멈춤시에 상기 내통(20)으로부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4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좌변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낙하홀(57)의 단면적은 상기 통기홀(58)의 단면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좌변기.
KR1020060118078A 2006-11-28 2006-11-28 포세식 좌변기 KR100755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078A KR100755747B1 (ko) 2006-11-28 2006-11-28 포세식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078A KR100755747B1 (ko) 2006-11-28 2006-11-28 포세식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747B1 true KR100755747B1 (ko) 2007-09-05

Family

ID=3873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078A KR100755747B1 (ko) 2006-11-28 2006-11-28 포세식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57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91Y1 (ko) 2010-12-15 2011-09-30 이엔후레쉬 주식회사 신규의 공기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세식 양변기
WO2015194818A1 (ko) * 2014-06-17 2015-12-23 강현덕 거품공급장치
KR101590158B1 (ko) 2015-08-21 2016-01-29 김성화 거품 세정식 양변기
KR101657438B1 (ko) * 2016-05-30 2016-09-19 박정길 악취제거 변기
KR200486073Y1 (ko) * 2017-05-04 2018-03-30 김동용 좌변기용 거품을 이용한 물튀김 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8136A (ja) * 1990-07-09 1992-03-03 Nepon Kk 泡洗式トイレ装置の泡の供給方法
KR200316413Y1 (ko) 2003-03-18 2003-06-18 김용석 수세식과 포세식 겸용 변기의 거품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8136A (ja) * 1990-07-09 1992-03-03 Nepon Kk 泡洗式トイレ装置の泡の供給方法
KR200316413Y1 (ko) 2003-03-18 2003-06-18 김용석 수세식과 포세식 겸용 변기의 거품발생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891Y1 (ko) 2010-12-15 2011-09-30 이엔후레쉬 주식회사 신규의 공기공급장치가 구비된 포세식 양변기
WO2015194818A1 (ko) * 2014-06-17 2015-12-23 강현덕 거품공급장치
KR101590158B1 (ko) 2015-08-21 2016-01-29 김성화 거품 세정식 양변기
KR101657438B1 (ko) * 2016-05-30 2016-09-19 박정길 악취제거 변기
KR200486073Y1 (ko) * 2017-05-04 2018-03-30 김동용 좌변기용 거품을 이용한 물튀김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747B1 (ko) 포세식 좌변기
CN210032016U (zh) 一种陶瓷智能马桶
JP2012521506A (ja) 便器用ビデの流路制御装置、及び流路制御装置を有する便器用ビデ
KR101590158B1 (ko) 거품 세정식 양변기
JP2008138422A (ja) 洗浄水吐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水洗便器
WO2015141684A1 (ja) 便器装置および便器
JP4175063B2 (ja) 水洗便器
KR20100006825U (ko)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JP4470936B2 (ja) 薬液混入水吐出装置および水洗便器装置
CN101827982B (zh) 一种使用储存能量作为能源的除味坐便器
KR200434736Y1 (ko) 포세식 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JP2008202267A (ja) 温水洗浄装置
KR101781727B1 (ko) 마이크로 버블 생성 장치 제어시스템
KR200434735Y1 (ko) 포세식 좌변기용 거품발생장치
KR100784674B1 (ko) 포세식 좌변기
JP6538490B2 (ja) 水洗式便器
JP2008240401A (ja) 洋風水洗式便器
KR101577681B1 (ko) 거품공급장치
JP2003253727A (ja) 防臭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水洗便器
JP6828244B2 (ja) 浴槽洗浄装置及び風呂給湯システム
KR200351198Y1 (ko) 공급수로를 갖는 거품 발생기가 장착된 비데
CN207047983U (zh) 除臭便器
JP2008274615A (ja) トイレ装置
KR101865904B1 (ko) 절수 및 탈취 양변기
CN201024505Y (zh) 喷嘴式发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