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825U -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825U
KR20100006825U KR2020080017153U KR20080017153U KR20100006825U KR 20100006825 U KR20100006825 U KR 20100006825U KR 2020080017153 U KR2020080017153 U KR 2020080017153U KR 20080017153 U KR20080017153 U KR 20080017153U KR 20100006825 U KR20100006825 U KR 201000068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ction
toilet seat
line
su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717Y1 (ko
Inventor
주구환
Original Assignee
주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구환 filed Critical 주구환
Priority to KR2020080017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717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7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7Seats with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7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by diffusing deodorants in lava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Abstract

본 고안은 공중 화장실이나 가정용 화장실의 좌변기에서 발생되는 배변가스를 효율적으로 탈취 및 용해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면이나 내주면에 다수개의 흡입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변기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공과 흡입라인으로 연결된 상태로 변기몸체의 배변가스를 흡입하여 물탱크 내부의 물속에 용해되도록 하는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형성된 물흡입구와 타측에 형성된 물배출구를 연결하는 순환호스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순환호스에 장착되어 물탱크 내부의 물을 물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물배출구를 통해 물탱크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가 구비된 물순환부와, 상기 변기시트의 각 흡입공과 순환호스 사이를 연결하는 흡입라인과, 상기 순환호스와 흡입라인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되는 순환수의 유속변화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상기 흡입라인을 통해 흡입공으로부터의 배변가스가 자연 흡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순환수와 일정하고 균일하게 혼합 용해되도록 하는 아스피레이터와, 상기 흡입라인에 착탈식으로 조립장착되며 상기 아스피레이터에 의해 흡입공으로부터 흡입되는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을 탈취하고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탈취키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 변기몸체, 변기시트, 물순환부, 흡입라인, 아스피레이터, 탈취키트

Description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A stinking eliminator for a chamber pot}
본 고안은 공중 화장실이나 가정용 화장실의 좌변기에서 발생되는 배변가스를 효율적으로 탈취 및 용해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면이나 내주면에 다수개의 흡입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변기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공과 흡입라인으로 연결된 상태로 변기몸체의 배변가스를 흡입하여 물탱크 내부의 물속에 용해되도록 하는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형성된 물흡입구와 타측에 형성된 물배출구를 연결하는 순환호스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순환호스에 장착되어 물탱크 내부의 물을 물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물배출구를 통해 물탱크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가 구비된 물순환부와, 상기 변기시트의 각 흡입공과 순환호스 사이를 연결하는 흡입라인과, 상기 순환호스와 흡입라인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되는 순환수의 유속변화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상기 흡입라인을 통해 흡입공으로부터의 배변가스가 자연 흡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순환수와 일정하고 균일하게 혼합 용해되도록 하는 아스피레이터와, 상기 흡입라인에 착탈식으로 조립장착되며 상기 아스피레이터에 의해 흡입공으로부터 흡입되는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을 탈취하고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 키는 탈취키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2')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장치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는 물이 일정수위로 저장된 상태로 사용자의 용변을 수용하는 변기몸체(3')와, 앉은 자세로 용변을 보는 사용자의 피부가 변기몸체(3')에 직접 닿지 않도록 상기 변기몸체(3')의 상면부를 커버하는 변기시트(5')와, 상기 변기몸체(3')의 상부를 개폐하는 변기뚜껑(39')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변기몸체(3')의 상부 후방에는 용변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물탱크(6')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변기뚜껑(39')을 힌지식으로 열고 변기시트(5') 위에 앉아 용변을 본 후 상기 물탱크(6')의 물을 내려 용변을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좌변기(2')에서 용변을 볼 경우 용변물이 정화조로 배출되기 전까지 변기몸체(3') 내부에 일정수위로 저장되어 있으면서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상기 변기몸체(3') 내측으로 떨어진 용변물이 수면 속에 잠기게 될 경우에는 냄새가 덜 발생되나 용변물이 수면 위로 노출될 경우에는 용변물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상승하게 되어 용변자는 자신의 용변물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맡으면서 용변을 보아야 하므로 악취로 인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배변가스가 화장 실 내부 공기를 오염시키게 되어 다음 차례로 화장실을 사용하게 되는 사람에게까지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694856호의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에서는 좌판의 저면에 결합되어 용변시 좌변기 주변에서 발생되는 배변가스를 흡기하는 흡기수단과, 이 흡기수단과 연결되며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흡기수단의 내부에 포집된 배변가스를 이송하는 흡기팬과, 이 흡기팬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좌판의 저면에 장착되고 하단부는 좌변기와 접촉되어 사용자가 좌판에 앉을 경우 하중에 의해 작동하여 흡기팬을 구동시키는 센서스위치와, 상기 흡기팬과 연계된 상태로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송된 배변가스를 물속으로 배기하는 가스배기부로 구성되어 있어 용변시 발생되는 좌변기 주변의 배변가스를 흡기수단으로 신속하게 흡기한 후 센서스위치에 의해 구동되는 흡기팬을 통하여 가스배기부로 이송하여 수조의 물속으로 배기함으로써 악취로 인한 당사자 및 타인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나, 상기 종래 특허의 경우 배변가스가 이송호스를 통해 단순히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가스배기부의 격자형 배기관을 거쳐 다수의 배기구를 통해 물속으로 배기되도록 되어 있어 물속으로 배기된 배변가스가 물속에서 제대로 용해되지 않고 대부분 기포형태로 수면위로 떠올라 악취가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통상적으로 좁은 공간에 설치되는 좌변기의 특성상 흡기팬의 크기가 소형으로 유지될 수 밖에 없어 상기 흡기팬에 의한 배변가스의 흡입력이 낮아 한꺼번에 많은 양의 배변가스를 흡입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흡기팬에 의한 흡입력이 수조의 수압보다 낮은 경우에는 배기관을 통해 수조속으로 배기되지 않으며, 또한 일정기간 사용시 배변가스가 이송되는 이송호스 및 가스배기부의 배기관 내주면에는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이 침착(沈着)된 상태로 들러붙어 있어 침착된 악취성분에 의한 냄새가 더욱 심각한 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특허의 가스배기부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진기가 구비되어 있어 배기되는 배변가스를 미세한 기포형태로 만들어 물과의 용해성을 높이도록 하였으나 상기 초음파발진기에 의한 배변가스의 용해성이 높지 않아 수면위로 떠올라 외부로 배출되는 배변가스의 악취는 대부분 그대로 남아 있으며, 또한 수조를 계속적으로 진동시켜 용변을 보는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로 유지되지 못하고 불쾌감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탱크 내부의 물을 순환호스를 통해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물순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호스에는 아스피레이터를 장착하여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되는 순환수의 유속변화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변기몸체의 배변가스가 자연 흡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순환수와 배변가스가 일정하고 균일하게 혼합 용해된 상태에서 물탱크 내부로 순환되어 배변가스의 포집효율을 높이고 물탱크 속에서 배변가스가 그대로 남아 기포형태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흡입라인에 착탈식으로 조립장착되는 탈취키트를 구비하여 상기 아스피레이터에 의해 흡입공으로부터 흡입되는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을 먼저 1차적으로 탈취제거하고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킨 상태에서 순환호스로 보내 배변가스의 냄새제거효율을 극대화하고, 또한 흡입라인세척부를 구비하여 일정기간 사용시 흡입라인 및 탈취키트에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이 침착된 것을 세척가능하도록 하며, 방향제분사부를 구비하여 일정농도 이상의 배변가스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면이나 내주면에 다수개의 흡입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변기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공과 흡입라인으로 연결된 상태로 변기몸체의 배변가스를 흡입하여 물탱크 내부의 물속에 용해되도록 하는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형성된 물흡입구와 타측에 형성된 물배출구를 연결하는 순환호스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순환호스에 장착되어 물탱크 내부의 물을 물흡입구로부터 흡입하여 물배출구를 통해 물탱크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가 구비된 물순환부와, 상기 변기시트의 각 흡입공과 순환호스 사이를 연결하는 흡입라인과, 상기 순환호스와 흡입라인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순환호스 내부에서 순환되는 순환수의 유속변화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상기 흡입라인을 통해 흡입공으로부터의 배변가스가 자연 흡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순환수와 일정하고 균일하게 혼합 용해되도록 하는 아스피레이터와, 상기 흡입라인에 착탈식으로 조립장착되며 상기 아스피레이터에 의해 흡입공으로부터 흡입되는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을 탈취하고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탈취키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물탱크 내부의 물을 순환호스를 통해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물순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호스에는 아스피레이터를 장착하여 순환호스를 통해 순환되는 순환수의 유속변화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변기몸체의 배변가스가 자연 흡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순환수와 배변가스가 일정하고 균일하게 혼합 용해된 상태에서 물탱크 내부로 순환되어 배변가스의 포집효율을 높일 수 있고 물탱크 속에서 배변가스가 그대로 남아 기포형태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흡입라인에 착탈식으로 조립장착되는 탈취키트를 구비하여 상기 아스피레이터 에 의해 흡입공으로부터 흡입되는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을 먼저 1차적으로 탈취제거하고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킨 상태에서 순환호스로 보내 배변가스의 냄새제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또한 흡입라인세척부를 구비하여 일정기간 사용시 흡입라인 및 탈취키트에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이 침착된 것을 세척할 수 있으며, 방향제분사부를 구비하여 일정농도 이상의 배변가스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용변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1)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중 화장실이나 또는 가정용 화장실의 좌변기(2)에서 발생되는 배변가스를 효율적으로 탈취 및 용해제거하는 장치로서, 좌변기(2)의 변기몸체(3) 상면부에 장착되며 저면이나 내주면에 다수개의 흡입공(4)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변기시트(5)와, 좌변기(2)의 물탱크(6) 일측에 형성된 물흡입구(7)와 타측에 형성된 물배출구(8)를 연결하는 순환호스(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순환호스(11)에 장착되어 물탱크(6) 내부의 물을 물흡입구(7)로부터 흡입하여 물배출구(8)를 통해 물탱크(6)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12)가 구비된 물순환부(10)와, 상기 변기시트(5)의 각 흡입공(4)과 순환호스(11) 사이를 연결하는 흡입라 인(13)과, 상기 순환호스(11)와 흡입라인(13)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순환호스(11)를 통해 순환되는 순환수의 유속변화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상기 흡입라인(13)을 통해 흡입공(4)으로부터의 배변가스가 자연 흡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순환수와 일정하고 균일하게 혼합 용해되도록 하는 아스피레이터(20)와, 상기 흡입라인(13)에 착탈식으로 조립장착되며 상기 아스피레이터(20)에 의해 흡입공(4)으로부터 흡입되는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을 탈취하고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탈취키트(14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변기(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좌변식 변기와 동일한 구조로서 내측에는 물이 일정수위로 저장된 상태로 사용자의 용변을 수용하는 변기몸체(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변기몸체(3)의 상면부에는 앉은 자세로 용변을 보는 사용자의 피부가 변기몸체(3)에 직접 닿지 않도록 변기몸체(3)의 상면부를 커버하는 변기시트(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변기몸체(3)의 상부 후방에는 용변을 배출시키기 위한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물탱크(6)가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변기시트(5)위에 앉아 용변을 본 후 상기 물탱크(6)의 물을 내려 용변을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변기(2)는 변기몸체(3)의 상부를 개폐하는 통상적인 변기뚜껑(도시하지 않음)이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용변 후 변기뚜껑을 덮어 배변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변기시트(5)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2)의 변기몸체(3) 상면부에 장착되며 저면이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흡입공(4)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있고 상기 각 흡입공(4)은 흡입라인(13)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아스피레이터(20)로부터의 흡입력에 의해 변기몸체(3) 내측에서 발생되는 배변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라인(13)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변기시트(5)는 전방 하부에 통상의 센서스위치(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센서스위치(9)는 유,무선으로 상기 물순환부(10)의 순환펌프(12)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변기시트(5)에 앉을 경우 하중에 의해 센서스위치(9)가 눌리면서 자동적으로 상기 순환펌프(12)를 작동시켜 배변가스의 흡입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변기시트(5)에서 일어서면 센서스위치(9)에 회로연결된 통상의 타이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상기 순환펌프(12)가 작동되도록 하여 배변가스의 흡입작동이 충분히 이루어진 후 순환펌프(12)를 정지시켜 흡입작동이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물순환부(1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2)의 물탱크(6) 일측 하부에 형성된 물흡입구(7)와 타측 하부에 형성된 물배출구(8)를 연결하는 순환호스(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순환호스(11)에 장착되어 물탱크(6) 내부의 물을 물흡입구(7)로부터 흡입하여 물배출구(8)를 통해 물탱크(6) 내부로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12)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순환호스(11)에 연결 설치되 는 아스피레이터(20)를 통해 흡입라인(13)에 흡입력이 가해지도록 하면서 흡입되는 배변가스를 순환되는 물과 일정하고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여 배변가스에 포함된 암모니아성분 등이 물속에 용이하게 용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순환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6)의 타측 하부에 형성된 물배출구(8)에 탈취키트(14b)가 착탈식으로 조립장착되어 있어 상기 물탱크(6) 내부로 배출되는 배변가스가 혼합된 순환수의 악취성분을 탈취하면서 순환수를 물탱크(6) 내부로 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탈취키트(14b)는 흡입라인(13)에 설치된 상기 탈취키트(14a)와 동일한 구조로서 도 2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배출구(8)보다 직경이 큰 케이싱(1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15)의 양측에는 각각 입구와 출구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물배출구(8)에 케이싱(15)의 입구부분이 착탈식으로 연결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15)의 내부에는 입구와 출구쪽에 각각 걸름망(16a)(16b)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걸름망(16a)(16b)의 내측에는 각각 모래층(17a)(17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모래층(17a)(17b) 사이에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규조토 등으로 된 흡착층(18)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모래층(17a)(17b)은 가운데부분에 구비된 흡착층(18)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물배출구(8)를 통해 물탱크(6) 내부로 배출되는 순환수는 탈취키트(14b)의 걸름망(16a)(16b)에서 먼지나 이물질 등이 걸름처리되며 순환수에 포 함된 암모니아 등의 악취성분은 흡착층(18)에서 흡착처리되어 악취성분이 탈취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순환수가 물탱크(6) 내부로 곧바로 배출되지 않고 탈취키트(14b)의 내부에 구비된 걸름망(16a)(16b)과 모래층(17a)(17b)과 흡착층(18)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일부 기포상태의 배변가스를 더욱 미세한 기포상태로 만들어 물탱크(6) 내부로 배출하여 물속에 더욱 용이하게 용해되도록 하며 순환수가 상기 물배출구(8)보다 직경이 큰 케이싱(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순환수의 유속을 크게 감소시켜 배출시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흡입라인(13)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시트(5)에 천공된 다수개의 흡입공(4)과 순환호스(11) 사이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되, 일측은 변기시트(5)의 내측 하부를 통해 관통설치된 상태로 각 흡입공(4)과 연통되도록 되어 있고 타측은 변기시트(5)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순환호스(11)에 연결설치되는 아스피레이터(20)의 흡입관(22)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아스피레이터(2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각 흡입공(4)으로부터의 배변가스를 흡입하여 아스피레이터(20)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라인(13)은 변기시트(5)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탈취키트(14a)가 착탈식으로 조립장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아스피레이터(20)에 의해 흡입공(4)으로부터 흡입되는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을 1차적으로 탈취하면서 흡입라인(13)을 따라 흡입되는 배변가스의 흡입시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되, 상 기 탈취키트(14a)는 물탱크(6)의 물배출구(8)에 설치된 탈취키트(14b)와 동일한 구조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라인(13)보다 직경이 큰 케이싱(1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15)의 양측에는 각각 입구와 출구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흡입라인(13) 사이에 착탈식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15)의 내부에는 입구와 출구쪽에 각각 걸름망(16a)(16b)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걸름망(16a)(16b)의 내측에는 각각 모래층(17a)(17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모래층(17a)(17b) 사이에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규조토 등으로 된 흡착층(18)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모래층(17a)(17b)은 가운데부분에 구비된 흡착층(18)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흡입라인(13)을 통해 흡입되는 배변가스는 탈취키트(14a)의 걸름망(16a)(16b)에서 먼지나 이물질 등이 걸름처리되며 배변가스에 포함된 암모니아 등의 악취성분은 흡착층(18)에서 흡착처리되어 악취성분이 1차적으로 탈취되면서 배변가스의 냄새제거효율을 높이도록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배변가스가 흡입라인(13)보다 직경이 큰 케이싱(15)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확산되어 배변가스가 좁은 흡입라인(13)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울림이나 공명현상 등이 감소하여 배변가스의 흡입시 소음이 저감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상기 흡입라인(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시 트(5)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송풍팬(19)이 연통설치되어 있어 상기 흡입공(4)에서 아스피레이터(20)쪽으로 송풍작동되면서 상기 아스피레이터(20)의 흡입력을 보강하여 흡입라인(13)에 더욱 강한 흡입력을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스피레이터(2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키트(14a)에 의해 1차적으로 탈취(脫臭)처리된 배변가스를 다시 물에 용해시켜 2차적으로 탈취처리하는 부분으로, 상기 순환호스(11) 사이에 연결장착된 상태로 순환호스(11)를 통해 순환되는 순환수가 아스피레이터(20)를 거쳐 순환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아스피레이터(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관형상으로 일측에서 내측 중앙부(21)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좁아졌다가 중앙부(21)에서 그 내경이 가장 최소값을 가지며 상기 중앙부(21)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스피레이터(20)의 가운데부분에는 중앙부(21)의 타측과 서로 연통된 흡입관(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관(22)은 흡입라인(13)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직경이 큰 순환호스(11)로부터 유입되는 순환수가 직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 아스피레이터(20)의 내측 중앙부(21)를 통과한 직후 다시 순환호스(11)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상기 중앙부(21)를 통과하는 순환수의 유속이 순간적으로 증가하면서 압력이 낮아져 상기 아스피레이터(20) 내부와 흡입관(22)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되므로 상기 흡입관(22)과 연결된 흡입라인(13)을 통해 배변가스가 자연적으로 흡입되고 흡입된 배변가스는 계속적으로 순환되는 순환수와 일정하고 균일하게 혼합되어 미세한 기포상태로 포함되면서 배변 가스에 포함된 암모이나성분 등이 순환수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용해되어 배변가스의 냄새제거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스피레이터(20)의 흡입관(22) 내측에는 통상의 체크밸브(38)가 설치되어 있어 순환펌프(12)의 가동이 멈출 경우 물이 흡입관(22)을 통해 흡입라인(13)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기간 사용시 흡입라인(13)의 내주면 및 탈취키트(14a)에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이 침착(沈着)된 것을 세척하기 위한 흡입라인세척부(23)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흡입라인세척부(23)는 물탱크(6)에 물을 공급하는 통상의 물공급라인(24)과 상기 흡입라인(13)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세척라인(2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척라인(25)에는 세척액공급라인(26)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액공급라인(26)에는 세척액저장조(27)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액저장조(27)에 저장된 세척액을 세척액공급라인(26)을 통해 고압상태로 세척라인(25)으로 보내는 세척액공급펌프(2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라인(13)에서 세척라인(25)이 연결된 부분과 아스피레이터(20) 사이에 차단밸브(29)가 설치되어 있어 세척시에는 차단밸브(29)를 차단하여 세척라인(25)에서 순환호스(11)쪽으로 세척액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라인(25)에서 세척액공급라인(26)이 연결된 부분과 물공급라인(24) 사이에는 물공급밸브(30)가 설치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물공급라인(24)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물탱크(6)쪽으로만 공급되도록 하고 세척시에는 상기 물공급밸브(30)를 개방하여 물공 급라인(24)에서 공급되는 물이 세척라인(25)으로도 유입되어 세척액공급라인(26)으로부터 고압으로 공급되는 세척액과 혼합되면서 흡입라인(13)으로 보내져 상기 흡입라인(13) 및 탈취키트(14a)가 함께 세척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세척액공급라인(26)에는 세척액조절밸브(31)가 설치되어 있어 세척액공급라인(26)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액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기 차단밸브(29)와 물공급밸브(30)와 세척액조절밸브(31)는 통상의 솔레노이드식 밸브로 구성하여 전자동식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농도 이상의 잔류 배변가스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방향제분사부(32)를 변기시트(5)에 연결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방향제분사부(32)는 통상의 방향제가 저장된 상태로 내부의 가스압력에 의해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방향제분사장치(3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변기시트(5)의 저면에는 통상의 가스감지센서(34)가 설치되어 있어 일정농도 이상의 암모니아가스 등이 감지되면 상기 방향제분사장치(33)를 작동시켜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하되, 상기 방향제분사장치(33)에는 방향제공급라인(35)이 변기시트(5)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방향제공급라인(35)은 일측이 변기시트(5)의 내측 하부에 관통설치된 상태로 변기시트(5)의 외측면 하부에 천공된 복수개의 방향제토출공(36)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타측은 변기시트(5)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방향제분사장치(33)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방향제분사장치(33)에서 분사된 방향제가 방향제공급라인(35)을 거쳐 방향제토출공(36)을 통해 변기시트(5)의 외측으로 토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방향제토출공(36)은 방향제가 하향분사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변기시트(5)에 착석한 사용자쪽으로 방향제가 분사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방향제가 묻지 않으면서 방향제의 토출로 인해 더욱 쾌적한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방향제공급라인(35)에는 방향제공급밸브(37)가 설치되어 있어 방향제공급라인(35)을 통해 공급되는 방향제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1)가 장착된 좌변기(2)에서 용변을 보기위해 사용자가 변기시트(5)에 착석하면 변기시트(5)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센서스위치(9)가 사용자의 하중을 감지하여 물순환부(10)의 순환펌프(12)를 작동시키고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펌프(12)는 물탱크(6)의 물흡입구(7)와 물배출구(8)에 연결설치된 순환호스(11)를 통해 물탱크(6) 내부의 물을 계속적으로 순환시키게 되며 이 때 상기 순환호스(11)에 연결설치된 아스피레이터(20)에서 흡입력이 발생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큰 순환호 스(11)로부터 유입되는 순환수가 직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 아스피레이터(20)의 내측 중앙부(21)를 통과한 직후 다시 순환호스(11)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상기 중앙부(21)를 통과하는 순환수의 유속이 순간적으로 증가하면서 압력이 낮아져 상기 아스피레이터(20) 내부와 아스피레이터(20)의 중앙부(21)와 연통설치된 흡입관(22)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되어 흡입력이 발생되고 상기 아스피레이터(20)의 흡입관(22)에 연결된 흡입라인(13)에서 변기시트(5)에 천공된 다수개의 흡입공(4)을 통해 변기몸체(3)의 배변가스를 흡입하게 된다.
상기 아스피레이터(20)에 의해 흡입공(4)으로부터 흡입되는 배변가스는 흡입라인(13)에 설치된 탈취키트(14a)를 통과하면서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이 1차적으로 탈취되고 흡입라인(13)을 통해 흡입되는 배변가스의 흡입소음이 저감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라인(13)을 통해 흡입되는 배변가스는 탈취키트(14a)의 내부에 구비된 걸름망(16a)(16b)에서 먼지나 이물질 등이 걸름처리되며 배변가스에 포함된 암모니아 등의 악취성분은 활성탄, 제올라이트, 규조토 등으로 된 흡착층(18)에서 흡착처리되어 악취성분이 1차적으로 탈취되고, 또한 상기 배변가스가 흡입라인(13)보다 직경이 큰 케이싱(15)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확산되어 배변가스가 좁은 흡입라인(13)을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울림이나 공명현상 등이 크게 감소하여 배변가스의 흡입시 소음이 저감되며, 상기 탈취키트(14a)를 거친 배변가스는 아스피레이터(20)의 흡입관(22)을 통해 계속적으로 순환되는 순환수와 일정하고 균일하게 혼합되어 미세한 기포상태로 포함되면서 2차적으로 배변가스에 포 함된 암모이나성분 등이 순환수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용해되어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배변가스가 혼합된 순환수는 순환호스(11)를 따라 이송되면서 물배출구(8)를 통해 물탱크(6) 내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물배출구(8)에는 탈취키트(14b)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탈취키트(14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걸름망(16a)(16b)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 등이 걸름처리되고 순환수에 포함된 암모니아 등의 악취성분은 흡착층(18)에서 흡착처리되어 악취성분이 3차적으로 탈취되며, 상기 순환수가 물탱크(6) 내부로 곧바로 배출되지 않고 탈취키트(14b)의 내부에 구비된 걸름망(16a)(16b)과 모래층(17a)(17b)과 흡착층(18)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일부 기포상태의 배변가스를 더욱 미세한 기포상태로 만들어 물탱크(6) 내부로 배출하여 물속에 더욱 용이하게 용해되도록 하며 순환수가 상기 물배출구(8)보다 직경이 큰 케이싱(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순환수의 유속을 크게 감소시켜 배출시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사용자가 용변을 마친 후 변기시트(5)에서 일어서게 되면 상기 센서스위치(9)에 구비된 타이머(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배변가스의 흡입작동이 이루어진 후 순환펌프(12)의 작동이 정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1)에 구비된 흡입라인세척부(23)를 통해 상기 흡입라인(13) 및 탈취키트(14a)를 세척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6)에 물을 공급하는 통상의 물공급라인(24)과 상기 흡입라인(13) 사이에 연결설치된 세척라인(25)의 물공급밸브(30)를 개방하여 물공급라인(24)에서 공급되는 물이 세척라인(25)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라인(25)에 연결된 세척액공급라인(26)의 세척액공급펌프(28)를 가동시켜 세척액저장조(27)로부터의 세척액이 고압상태로 세척액공급라인(26)을 통해 세척라인(25)으로 보내지도록 하여 물공급라인(24)으로부터의 물과 세척액이 혼합되도록 하며 상기 흡입라인(13)에서 세척라인(25)이 연결된 부분과 아스피레이터(20) 사이에 설치된 차단밸브(29)를 차단하여 세척라인(25)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액이 흡입라인(13)쪽으로만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흡입라인(13)을 따라 이송되는 고압의 세척액은 흡입라인(13) 및 탈취키트(14a)에 흡착된 악취성분을 세척하면서 변기시트(5)의 각 흡입공(4)을 통해 변기몸체(3) 내부로 곧바로 배출되어 간단하게 세척이 이루어지며 세척액저장조(27)로부터의 세척액이 일정량 공급된 후에는 세척액공급펌프(28)의 가동을 중지시키고 세척액조절밸브(31)를 차단하여 세척액이 더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한 후 상기 물공급밸브(30)만 일정시간동안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여 깨끗한 물로 흡입라인(13)이 다시한번 세척되도록 한다.
세척수에 의해 흡입라인(13)과 탈취키트(14a)의 세척이 완료되면 차단밸브(29)를 열고 물공급밸브(30)와 세척액조절밸브(31)를 닫은 상태에서 순환펌프(12)를 일정시간 동안 가동하여 상기 아스피레이터(20)에 흡입력이 부여되면서 흡인라인(13) 및 탈취키트(14a)속의 잔류세척수가 흡입된 공기와 함께 물탱크(6)쪽으로 보내지면서 자연건조 되도록 한다.
또한, 화장실 내에 일정농도 이상의 잔류 배변가스가 감지되면 방향제분사부(32)를 통해 자동으로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시트(5)의 저면에 설치된 통상의 가스감지센서(34)에 의해 일정농도 이상의 암모니아가스 등이 감지되면 방향제분사장치(33)를 작동시켜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하며, 상기 방향제분사장치(33)로부터 분사되는 방향제는 방향제공급라인(35)을 통해 이송되어 변기시트(5)의 외측면 하부에 천공된 복수개의 방향제토출공(36)을 통해 변기시트(5) 외측으로 하향분사되어 사용자가 더욱 쾌적한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의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측면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의 평면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에서 아스피레이터와 순환호스의 연결부분을 도시한 단면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에서 탈취키트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에 흡입라인세척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에 방향제분사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8은 종래 좌변기의 사시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2, 2'. 좌변기
3, 3'. 변기몸체 4. 흡입공
5, 5'. 변기시트 6, 6'. 물탱크
7. 물흡입구 8. 물배출구
9. 센서스위치 10. 물순환부
11. 순환호스 12. 순환펌프
13. 흡입라인 14a, 14b. 탈취키트
15. 케이싱 16a, 16b. 걸름망
17a, 17b. 모래층 18. 흡착층
19. 송풍팬 20. 아스피레이터
21. 중앙부 22. 흡입관
23. 흡입라인세척부 24. 물공급라인
25. 세척라인 26. 세척액공급라인
27. 세척액저장조 28. 세척액공급펌프
29. 차단밸브 30. 물공급밸브
31. 세척액조절밸브 32. 방향제분사부
33. 방향제분사장치 34. 가스감지센서
35. 방향제공급라인 36. 방향제토출공
37. 방향제공급밸브 38. 체크밸브
39'. 변기뚜껑

Claims (7)

  1. 저면이나 내주면에 다수개의 흡입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변기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공과 흡입라인으로 연결된 상태로 변기몸체의 배변가스를 흡입하여 물탱크 내부의 물속에 용해되도록 하는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6)의 일측에 형성된 물흡입구(7)와 타측에 형성된 물배출구(8)를 연결하는 순환호스(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순환호스(11)에 장착되어 물탱크(6) 내부의 물을 물흡입구(7)로부터 흡입하여 물배출구(8)를 통해 물탱크(6) 내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12)가 구비된 물순환부(10)와, 상기 변기시트(5)의 각 흡입공(4)과 순환호스(11) 사이를 연결하는 흡입라인(13)과, 상기 순환호스(11)와 흡입라인(13)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며 상기 순환호스(11)를 통해 순환되는 순환수의 유속변화에 따른 압력차에 의해 상기 흡입라인(13)을 통해 흡입공(4)으로부터의 배변가스가 자연 흡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순환수와 일정하고 균일하게 혼합 용해되도록 하는 아스피레이터(20)와, 상기 흡입라인(13)에 착탈식으로 조립장착되며 상기 아스피레이터(20)에 의해 흡입공(4)으로부터 흡입되는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을 탈취하고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탈취키트(14a)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키트(14a)는 흡입라인(13)보다 직경이 큰 케이 싱(1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15)의 양측에는 각각 입구와 출구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흡입라인(13) 사이에 착탈식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15)의 내부에는 입구와 출구쪽에 각각 걸름망(16a)(16b)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걸름망(16a)(16b)의 내측에는 각각 모래층(17a)(17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모래층(17a)(17b) 사이에는 흡착층(18)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순환부(10)는 물탱크(6)의 타측 하부에 형성된 물배출구(8)에 탈취키트(14b)가 착탈식으로 조립장착되어 있어 상기 물탱크(6) 내부로 배출되는 배변가스가 혼합된 순환수의 악취성분을 탈취하면서 순환수를 물탱크(6) 내부로 배출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탈취키트(14b)는 물배출구(8)보다 직경이 큰 케이싱(15)이 구비되어 있고 케이싱(15)의 양측에는 각각 입구와 출구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물배출구(8)에 케이싱(15)의 입구부분이 착탈식으로 연결장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싱(15)의 내부에는 입구와 출구쪽에 각각 걸름망(16a)(16b)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걸름망(16a)(16b)의 내측에는 각각 모래층(17a)(17b)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모래층(17a)(17b) 사이에는 흡착층(18)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피레이터(20)는 "T"자형 관형상으로 일측에서 내측 중앙부(21)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좁아졌다가 중앙부(21)에서 그 내경이 가장 최소값을 가지며 상기 중앙부(21)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넓어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아스피레이터(20)의 가운데부분에는 중앙부(21)의 타측과 서로 연통된 흡입관(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관(22)은 흡입라인(13)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직경이 큰 순환호스(11)로부터 유입되는 순환수가 직경이 점점 작아지게 형성된 아스피레이터(20)의 내측 중앙부(21)를 통과한 직후 다시 순환호스(11)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상기 중앙부(21)를 통과하는 순환수의 유속이 순간적으로 증가하면서 압력이 낮아져 상기 아스피레이터(20) 내부와 흡입관(22)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되어 상기 흡입관(22)과 연결된 흡입라인(13)을 통해 배변가스가 자연적으로 흡입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5. 제 1항이나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라인(13)은 변기시트(5)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송풍팬(19)이 연통설치되어 있어 상기 흡입공(4)에서 아스피레이터(20)쪽으로 송풍작동되면서 상기 아스피레이터(20)의 흡입력을 보강하여 흡입라인(13)에 더욱 강한 흡입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6. 제 1항이나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라인(13)은 내주면에 배변가스의 악취성분이 침착된 것을 세척하기 위한 흡입라인세척부(2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라인세척부(23)는 물탱크(6)에 물을 공급하는 통상의 물공급라인(24)과 상기 흡입라인(13)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세척라인(25)이 구비되고 상기 세척라인(25)에는 세척액공급라인(26)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액공급라인(26)에는 세척액저장조(27)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액저장조(27)에 저장된 세척액을 고압으로 세척액공급라인(26)을 통해 세척라인(25)으로 보내는 세척액공급펌프(2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흡입라인(13)에서 세척라인(25)이 연결된 부분과 아스피레이터(20) 사이에는 차단밸브(29)가 설치되어 있어 세척시에는 차단밸브(29)를 차단하여 세척라인(25)에서 순환호스(11)쪽으로 세척액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라인(25)에서 세척액공급라인(26)이 연결된 부분과 물공급라인(24) 사이에는 물공급밸브(30)가 설치되어 있어 세척시에만 상기 물공급밸브(30)를 개방하여 물공급라인(24)에서 공급되는 물이 세척라인(25)으로 유입되어 세척액공급라인(26)으로부터의 세척액과 혼합되면서 흡입라인(13)으로 보내져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시트(5)는 일정농도 이상의 잔류 배변가스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방향제분사부(32)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방향제분사부(32)는 통상의 방향제가 저장된 상태로 내부의 가스압력에 의해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방향제분사장치(33)가 구비되고 상기 변기시트(5)의 저면에는 통상의 가스감지센서(34)가 설치되어 있어 일정농도 이상의 암모니아가스가 감지되면 상기 방향제분사장치(33)를 작동시켜 방향제가 분사되도록 하되, 상기 방향제분사장치(33)에는 방향제공급라인(35)이 변기시트(5)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방향제공급라인(35)은 일측이 변기시트(5)의 내측 하부에 관통설치된 상태로 변기시트(5)의 외측면 하부에 천공된 복수개의 방향제토출공(36)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타측은 변기시트(5)의 후방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방향제분사장치(33)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방향제분사장치(33)에서 분사된 방향제가 방향제공급라인(35)을 거쳐 방향제토출공(36)을 통해 변기시트(5) 외측 하부로 하향분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KR2020080017153U 2008-12-26 2008-12-26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KR200451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153U KR200451717Y1 (ko) 2008-12-26 2008-12-26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153U KR200451717Y1 (ko) 2008-12-26 2008-12-26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825U true KR20100006825U (ko) 2010-07-06
KR200451717Y1 KR200451717Y1 (ko) 2011-01-07

Family

ID=4424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153U KR200451717Y1 (ko) 2008-12-26 2008-12-26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717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881B1 (ko) * 2013-05-24 2014-06-30 박정현 변기용 냄새제거 변기시트
KR101582961B1 (ko) * 2015-10-01 2016-01-07 최중길 양변기의 세정액 공급장치
KR20170065814A (ko) * 2015-12-04 2017-06-14 김상규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
CN107923171A (zh) * 2015-07-30 2018-04-17 金相奎 便器除臭装置
KR20200037713A (ko) * 2018-10-01 2020-04-09 이상곤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CN114305191A (zh) * 2022-01-10 2022-04-12 中山东菱威力电器有限公司 一种冲水马桶空气净化型智能马桶盖
KR20220079487A (ko) * 2020-12-04 2022-06-13 (주)수테크놀로지 직수식 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200495719Y1 (ko) 2021-11-04 2022-08-02 문기선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58Y1 (ko) 2013-04-12 2013-10-29 배호근 양변기 악취 제거장치
US10640963B2 (en) 2015-07-30 2020-05-05 Su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removing bad odor from toile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173A (ko) * 1989-11-25 1991-06-28 한신일 육류용 소스 및 그 제조방법
JPH05301091A (ja) * 1992-02-29 1993-11-16 Tatsuo Okazaki 三槽ポット型電解水生成装置
KR200168439Y1 (ko) 1999-08-09 2000-02-15 이두균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100343755B1 (ko) 1999-10-20 2002-07-19 주식회사 바이오 엔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100344974B1 (ko) * 2000-01-05 2002-07-20 이현상 전자장비 함체의 수동공조시스템 설계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881B1 (ko) * 2013-05-24 2014-06-30 박정현 변기용 냄새제거 변기시트
CN107923171A (zh) * 2015-07-30 2018-04-17 金相奎 便器除臭装置
CN107923171B (zh) * 2015-07-30 2020-09-08 金相奎 便器除臭装置
KR101582961B1 (ko) * 2015-10-01 2016-01-07 최중길 양변기의 세정액 공급장치
KR20170065814A (ko) * 2015-12-04 2017-06-14 김상규 2웨이 타입의 변기 악취제거장치
KR20200037713A (ko) * 2018-10-01 2020-04-09 이상곤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KR20220079487A (ko) * 2020-12-04 2022-06-13 (주)수테크놀로지 직수식 매립형 변기의 악취제거장치
KR200495719Y1 (ko) 2021-11-04 2022-08-02 문기선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CN114305191A (zh) * 2022-01-10 2022-04-12 中山东菱威力电器有限公司 一种冲水马桶空气净化型智能马桶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717Y1 (ko)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717Y1 (ko)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KR101977027B1 (ko) 버블공급기구를 구비한 도기세정장치 및 도기세정장치의 세정방법
JP6072309B2 (ja) 衛生便器
KR20130077763A (ko) 좌변기용 버블공급장치
KR20130002392A (ko) 탈취장치를 갖는 양변기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102130169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JP2007285070A (ja) バキューム式トイレ装置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JP2016120079A (ja) 便座装置
KR200427889Y1 (ko) 바람막을 이용한 탈취 및 항균 변기시트
JP4057772B2 (ja) 簡易トイレ用消臭装置および消臭装置付き簡易トイレ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JP2007120268A (ja) 水洗装置及び身体洗浄装置付き便器を具備する椅子
KR200301084Y1 (ko) 좌변기의 탈취장치
KR20100126989A (ko) 변기장치
KR101775395B1 (ko) 위생 세정 장치
CN219208393U (zh) 一种便于清洁的肠道水疗机
KR200169208Y1 (ko)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좌변기
KR20230001389U (ko)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KR200219365Y1 (ko) 좌변기 악취 제거 장치
KR100654209B1 (ko) 변기용 악취 제거 장치
KR200329773Y1 (ko) 비데기용 살균필터
KR200307244Y1 (ko) 자동식 크리너
KR20220106546A (ko) 거품생성장치 및 거품을 생성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