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208Y1 -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좌변기 - Google Patents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208Y1
KR200169208Y1 KR2019990016856U KR19990016856U KR200169208Y1 KR 200169208 Y1 KR200169208 Y1 KR 200169208Y1 KR 2019990016856 U KR2019990016856 U KR 2019990016856U KR 19990016856 U KR19990016856 U KR 19990016856U KR 200169208 Y1 KR200169208 Y1 KR 200169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ter
toilet bowl
vacuum pump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철
Original Assignee
강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철 filed Critical 강태철
Priority to KR2019990016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2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에서 용변을 볼 때 악취에 의한 불쾌감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는 용변을 보기 위한 사람이 걸터앉는 윗면과 물이 채워지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변기통과, 용변을 본 후 변기통에 물을 채우기 위한 물이 담겨지는 급수통 및 변기통 내부의 악취물질이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공기를 급수통에 담겨진 물 속으로 배기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좌변기{A CHAMBER POT HAVING A APPARATUS FOR ELIMINATION STINK}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장실에서 용변을 볼 때 악취에 의한 불쾌감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과거 화장실 문화는 주거 생활과 독립된 문화로 가옥과 분리된 상태였다. 그러나 현재는 주거생활의 발달로 화장실도 주택의 일부로 실내에 설치되어 과거의 독립된 화장실에서 욕실과 세면장 화장실 등이 복합된 복합문화로 발전을 하였다. 이에 따라서 주거생활에서 화장실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공간으로 현재는 내부 인테리어 전문업체가 생겨나는 등 많은 발전을 가져왔다.
한편, 변기도 과거보다 많은 발전을 하였으며, 특히 좌변기의 발달로 현재는 깔끔한 실내 화장실이 설치될 수 있었다. 그리고 실내 화장실에서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 것은 쾌적한 환경이다. 그러나, 실내 화장실에는 대부분 작은 환풍기만 설치되어 있을 뿐,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위한 특별한 장치가 없었다. 예컨대, 한 사람이 화장실에서 용변을 본 후 다음 사람이 세면 등 기타 용무를 위해 화장실에 들어갈 경우, 그 사람은 먼저 용변을 본 사람이 발생시킨 악취 때문에 불쾌감과 혐오감을 느끼게 된다. 기존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향제를 비치해 두고 필요시마다 방향제를 뿌려서 악취를 다소나마 약하게 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근본적인 악취를 제거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용변 중에 발생되는 악취가 화장실 실내 공기 중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악취를 제거하여 사용자가 보다 청결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변기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좌변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변기통 12a : 윗면
14 : 내부 공간 18 : 시트
20 : 급수통 32 : 흡입구
34 : 진공 펌프 36 : 버블 발생기
40 : 압력 스위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는 용변을 보기 위한 사람이 걸터앉는 윗면과 물이 채워지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변기통과; 용변을 본 후 상기 변기통에 물을 채우기 위한 물이 담겨지는 급수통 및; 상기 변기통 내부의 악취물질이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공기를 상기 급수통에 담겨진 물 속으로 배기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물에 잠기지 않는 위치인 상기 변기통 내부 상단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흡기관과; 상기 흡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변기통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 펌프와; 상기 진공 펌프와 연결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통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 펌프로부터 상기 제 2 관을 따라 배기되는 공기를 기포형태로 상기 급수통의 물 속에 불어넣어 공기속의 악취성분이 물속에 흡수되도록 하는 버블 발생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흡입구를 갖는 흡입대와; 상기 흡입대와 연결되는 흡기관과; 상기 흡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대를 통해 상기 변기통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 펌프와; 상기 진공 펌프와 연결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통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 펌프로부터 상기 배기관을 따라 배기되는 공기를 기포형태로 상기 급수통의 물 속에 불어넣어 공기속의 악취성분을 물 속에 흡수되도록 하는 버블 발생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통의 윗면에 설치되고 상기 변기통의 윗면에 가해지는 압력 유무에 따라 ON/OFF 되는 상기 진공 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 스위치와 상기 배기관 상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통의 윗면에 설치되는 시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트에는 상기 변기통 내부의 악취물질이 함유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좌변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10)는 용변시 나는 악취가 변기통 밖으로 빠져나오기전에 변기통 내에서 흡입하여 급수통에 담겨진 물 속으로 배기하여 악취 물질을 수세에 의한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변기통(12), 급수통(20), 시트(18) 그리고 상기 변기통(12) 내부의 악취를 흡입하여 급수통(20)의 물 속으로 배기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변기통(12)은 용변을 보기 위한 사람이 걸터 않는 윗면(12a)과 물이 채워지는 내부 공간(14)을 갖는다. 상기 변기통(12)에는 시트(18)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변기통(12)의 윗면(12a)에 설치된다. 상기 급수통(20)은 상기 변기통(12)의 뒤쪽에 설치된다. 상기 급수통(20)에는 용변을 본 후 상기 변기통(12)의 물을 채우기 위한 물이 담겨진다.
한편, 본 고안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인 상기 수단은 진공 펌프(34), 버블 발생기(36), 흡입구(32), 흡기관(38a), 배기관(38b) 그리고 압력 스위치(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구(32)는 물에 잠기지 않는 위치인 상기 변기통(12)의 내부 상단에 'U'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 펌프(34)는 좌변기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잘 보이지 않는 후미진 곳(뒤쪽) 또는 설치가 편리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구(32)와 상기 진공 펌프(34)는 흡기관(38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버블 발생기(36)는 상기 급수통(2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버블 발생기(36)는 상기 배기관(38b)에 의해 상기 진공 펌프(34)와 연결된다. 상기 배기관 상에는 상기 버블 발생기로부터 상기 진공 펌프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check 밸브(50)가 설치 사용되었다. 한편, 상기 진공 펌프(34)는 상기 압력 스위치(4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된다. 상기 압력 스위치(40)는 상기 시트의 밑면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상기 시트(18)가 상기 변기통(12)의 윗면(12a)에 얹혀진 상태에서 시트에 가해지는 압력 유무에 따라 ON/OFF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변기통(12)에 용변을 보기 위한 사람이 앉으면 상기 시트(18)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고, 따라서 상기 압력 스위치(40)가 ON 상태가 되어 상기 진공 펌프(34)가 자동으로 가동된다. 그리고, 반대로 사람이 변기통(12)에서 일어나면 상기 압력 스위치(40)가 OFF 상태가 되면서 상기 진공 펌프(34)가 자동으로 정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진공 펌프(34)는 상기 압력 스위치(4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사람이 번거롭게 상기 진공 펌프(34)를 조작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진공 펌프(34)는 압력 스위치에 압력이 해제되어 가동이 정지될 때 일정 시간 가동 후 정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구조적인 특징은 변기통 내부의 악취 물질이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공기를 급수통에 담겨진 물 속으로 배기하도록 하는 수단을 갖는데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변기통 밖으로 확산되기 전에 흡입하여 급수통에서 수세에 의한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좌변기(1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기통(12) 윗면에 설치되는 시트(18')에 상기 변기통(12)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32')가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4에 도시된 좌변기(10'')는 도 1에 도시된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 변기통(12), 급수통(20), 시트(18), 그리고 상기 변기통(12) 내부의 악취를 흡입하여 급수통(20)의 물 속으로 배기하기 위한 수단 등을 갖으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첫 번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기에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통(12)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2)가 형성된 흡입대(32a)를 별도로 제작하여 기존의 좌변기에도 용이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 상기 흡입대(32a)는 상기 시트(18)의 밑면이나 상기 변기통(12) 상단 등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대(32a)의 후단에는 진공 펌프와 연결된 흡기관(38a)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좌변기에서의 악취 제거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상기 변기통(12)에 앉으면 상기 압력 스위치(40)가 스위칭되면서 상기 진공 펌프(34)가 구동된다. 한편, 용변을 볼 때 발생되는 악취는 변기통(12) 내부의 공기와 함께 상기 흡입구(32)로 빨려 들어간다. 이와 같이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는 상기 변기통(12) 밖으로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흡입구(32)로 흡입되는 것이다. 상기 흡입구(32)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기관(38a)을 통해 상기 진공 펌프(34)를 거쳐 배기관(38b)으로 흐른다. 그리고 그 공기는 상기 버블 발생기(36)를 통해 상기 급수통(20)의 물 속으로 배기된다. 이때, 상기 공기는 상기 버블 발생기(36)를 통해 기포 형태로 배기되며, 그 공기에 포함된 악취 물질은 물과 접촉되면서 용해된다. 예컨대, 용변을 볼 때 발생되는 악취 물질 중 대표적인 암모니아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물에 잘 녹는다. 한편, 상기 악취 물질이 용해된 상기 급수통(20)의 물은 용변을 마치고 배수시 폐수 처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좌변기(10)에서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는 변기통(12) 밖으로 빠져나가기 전에 상기 흡입구(32)로 빨려 들어가 상기 급수통(20)의 물 속으로 배기되어 용해되면서 제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청결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용변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는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변기통 밖으로 확산되기 전에 흡입하여 급수통에서 수세에 의한 방법으로 제거함으로 악취가 화장실 전체로 퍼지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용변 중 악취로 인한 불쾌감과 혐오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쾌적한 화장실 실내 환경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좌변기에 있어서:
    용변을 보기 위한 사람이 걸터앉는 윗면과 물이 채워지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변기통과;
    용변을 본 후 상기 변기통에 물을 채우기 위한 물이 담겨지는 급수통 및;
    상기 변기통 내부의 악취물질이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고 그 흡입된 공기를 상기 급수통에 담겨진 물 속으로 배기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공기에 함유된 악취물질이 수세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물에 잠기지 않는 위치인 상기 변기통 내부 상단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흡기관과;
    상기 흡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변기통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 펌프와;
    상기 진공 펌프와 연결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통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 펌프로부터 상기 제 2 관을 따라 배기되는 공기를 기포형태로 상기 급수통의 물 속에 불어넣어 공기속의 악취성분을 물속에 흡수되도록 하는 버블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흡입구를 갖는 흡입대와;
    상기 흡입대와 연결되는 흡기관과;
    상기 흡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대를 통해 상기 변기통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 펌프와;
    상기 진공 펌프와 연결되는 배기관 및;
    상기 배기관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통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 펌프로부터 상기 배기관을 따라 배기되는 공기를 기포형태로 상기 급수통의 물 속에 불어넣어 공기속의 악취성분을 물 속에 흡수되도록 하는 버블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통의 윗면에 설치되고 상기 변기통의 윗면에 가해지는 압력 유무에 따라 ON/OFF 되는 상기 진공 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압력 스위치 및;
    상기 배기관 상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통의 윗면에 설치되는 시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트에는 상기 변기통 내부의 악취물질이 함유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장치를 갖는 좌변기.
KR2019990016856U 1999-08-16 1999-08-16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좌변기 KR200169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856U KR200169208Y1 (ko) 1999-08-16 1999-08-16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856U KR200169208Y1 (ko) 1999-08-16 1999-08-16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208Y1 true KR200169208Y1 (ko) 2000-02-15

Family

ID=19584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856U KR200169208Y1 (ko) 1999-08-16 1999-08-16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2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32A (ko) * 2002-08-30 2004-03-09 양회성 좌변기의 냄새 소멸장치
KR20200037713A (ko) * 2018-10-01 2020-04-09 이상곤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232A (ko) * 2002-08-30 2004-03-09 양회성 좌변기의 냄새 소멸장치
KR20200037713A (ko) * 2018-10-01 2020-04-09 이상곤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KR102175283B1 (ko) * 2018-10-01 2020-11-06 이상곤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717Y1 (ko)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KR20130002392A (ko) 탈취장치를 갖는 양변기
KR102130169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200169208Y1 (ko)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좌변기
JP2958657B2 (ja) 水洗トイレの脱臭装置
KR200432717Y1 (ko) 악취제거변기
JP3358798B2 (ja) 簡易型消臭装置
RU2292427C2 (ru) Система устранения неприятного запаха из туалета
CN110847314B (zh) 大便器用除臭装置
JPH1121982A (ja) 排便装置
JPH09299282A (ja) トイレの排臭装置
JP2905784B2 (ja) 水洗トイレの脱臭装置
KR200210867Y1 (ko) 변기용 탈취장치
KR100254499B1 (ko) 환기식 양변기
KR200345819Y1 (ko) 악취제거설비를 갖는 좌변기
KR200165609Y1 (ko) 화장실 냄새제거장치
KR102110953B1 (ko) 원피스 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US20060107449A1 (en) Fast environmentally benign toilet deodorizer
KR102169150B1 (ko) 직수식 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040020232A (ko) 좌변기의 냄새 소멸장치
KR200301084Y1 (ko) 좌변기의 탈취장치
JP2567868B2 (ja) 水洗トイレの脱臭装置
CN208293702U (zh) 一种集成式冲水箱
KR200212597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수세식 좌변기
KR200219365Y1 (ko) 좌변기 악취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