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439Y1 -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439Y1
KR200168439Y1 KR2019990016249U KR19990016249U KR200168439Y1 KR 200168439 Y1 KR200168439 Y1 KR 200168439Y1 KR 2019990016249 U KR2019990016249 U KR 2019990016249U KR 19990016249 U KR19990016249 U KR 19990016249U KR 200168439 Y1 KR200168439 Y1 KR 200168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toilet
hole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균
Original Assignee
이두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균 filed Critical 이두균
Priority to KR2019990016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439Y1/ko
Priority to CA002381606A priority patent/CA2381606A1/en
Priority to BR0013236-5A priority patent/BR0013236A/pt
Priority to MXPA02001345A priority patent/MXPA02001345A/es
Priority to PCT/KR2000/000807 priority patent/WO2001011153A1/en
Priority to JP2001515389A priority patent/JP2003506601A/ja
Priority to AU64777/00A priority patent/AU6477700A/en
Priority to EP00952011A priority patent/EP1206603A1/en
Priority to NZ517068A priority patent/NZ517068A/en
Priority to CN00811553A priority patent/CN1371442A/zh
Priority to US10/049,019 priority patent/US6553581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의 사용시에 시뇨나 분뇨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신속하게 건물의 옥상위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저면에 악취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해 배기공으로 유도하는 시트를 변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하며, 시트와 덮개를 결합하는 횡축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하여 외부와 연결관 배관라인인 횡주관과 입상관을 통하여 건물 옥상위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면(1a)과 저면(1b) 사이에 보강대(1c)를 연결하여 내부에 중공부(1d)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등간격으로 흡입공(1f)을 배설하여 냄새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중공부(1d)는 일측에 배기공(1e)을 형성하여 체결구(2)상의 삽입공(2a)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변기시트(3)와; 상기 변기시트(3)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2a)에는 양단부에 요철부(6b)와 내측에 통공(6a)이 형성된 연결관(6)을 삽입하고, 상기 요철부(6b)에는 덮개(8)의 하단 양측에 구비된 체결편(8a)을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관(6)의 내측에는 외주연에 통공(7a)을 형성한 횡축(7)과 저면에 하향관(9d)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브라켓트(9)를 삽입하고, 상기 횡축(7)의 타단부는 지지브라켓트(9')에 삽입하여 볼트로 변기본체(5)에 결합된 배기공 개폐수단(10)과; 상기 하향관(9d)의 단부에는 배기횡주관(11)을 결합하여, 이 배기 횡주관(11)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를 단열이중관(13)으로 피복되어있는 배기 입상관(12)에 연결하여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15)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본 고안은 변기를 구성하고 있는 포집통의 시뇨나 분뇨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신속하게 건물의 옥상위로 배출시키기 위한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면에 악취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해 배기공으로 유도하는 변기시트를 변기 본체의 상면에 고정 설치하고, 변기시트와 덮개를 결합하는 연결관의 통공과 횡축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하여 외부와 연결된 배관라인인 배기 횡주관과 배기 입상관을 통하여 건물 옥상 위로 자동 배출되도록 하여 화장실의 실내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수단으로 천정에 부착된 배기용 동력 환풍기나, 무동력 배기 그릴을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방향제를 사용하여 냄새를 희석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나, 화장실이나 욕실에 발산되어 배어버린 냄새는 쉽게 제거되지 않아 장시간 머무르게 되어 이로 인하여 실내환경을 불결하게 만든다고 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변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기압과 배기입상관 내부에 체류하는 공기의 상승작용에 의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실내에 체류하지 않도록 하여 화장실 환경을 항상 청결하고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목적으로 하는 바는 변기시트의 저면에 흡입공을 형성하여 용변시 발생되는 악취를 이 흡입공으로 흡입한 악취를 관체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악취가 내부에 머무르지 않게 되어 실내환경을 항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면과 저면 사이에 보강대를 연결하여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등간격으로 흡입공을 배설하여 냄새를 흡입하고, 상기 중공부는 일측에 배기공을 형성하여 체결구에 횡으로 형성된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된 변기시트와; 상기 변기시트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공에는 양단부에 요철부와 내측에 통공이 형성된 연결관을 삽입하고, 상기 요철부에는 덮개의 하단 양측에 구비된 체결편을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관의 내측에는 외주연에 통공을 형성한 횡축과 저면에 하향관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브라켓트를 삽입하고, 상기 횡축의 타단부는 지지브라켓트에 삽입하여 볼트로 변기 본체에 결합하는 배기공 개폐장치와; 상기 하향관의 단부에는 횡주관을 결합하여 파이프 비트상에 설치되어 있는 입상관에 연결하여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이로부터 얻게 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변기본체(5)를 구성하고 있는 포집통(5a)에서 발생되어 상부로 이동되는 악취를 유입하여 횡축(7)에 형성된 중공부(7b)로 유도하기 위한 변기시트(3)와, 변기시트(3)와 덮개(8)를 회동 가능토록 설치하여 이의 작동에 의해 배기공(1e)이 개폐되도록 하는 배기공 개폐장치(10)와, 배기공 개폐장치(10)와 연통되도록 설치하여 악취를 옥상의 상부로 자동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장치(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변기시트(3)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4 (a), (b)에 도시되어 있는 바 와 같이, 좌대(1)와 체결부(2)가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좌대(1)의 구성은 상면(1a)과 저면(1b) 사이에 보강대(1c)를 연결하여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중공부(1d)를 형성하고, 중공부(1d)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부(2)와 연통된 배기공(1e)이 형성되어 있고, 또 좌대(1)를 구성하고 있는 저면(1b)에는 포집통(5a)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악취를 유입하기 위한 흡입공(1f)이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부(2)는 후술하는 연결관(6)을 삽입하기 위한 횡으로 삽입공(2a)이 형성되어, 이 삽입공(2a)은 상술한 배기공(1e)에 의해서 변기시트(3)를 구성하고있는 중공부(1d)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흡입공(1f)으로 유입되는 악취가 중공부(1d)와 배기공(1e)을 통하여 삽입공(2a)까지 도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변기시트(5)에 의해 포집된 악취를 외부로 연결된 배관라인으로 안내하는 배기공 개폐장치(10)의 구성은 변기시트(3)를 구성하고 있는 체결부(2)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2a)에 삽입하여 양단부가 외부로 약간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양단부에 형성된 요철부(6a)에 덮개(8)를 회동 가능토록 결합하는 연결관(6)과, 연결관(6)에 삽입되는 횡축(7)과, 상기 횡축(7)의 양단부를 협지하여 변기 본체(3)에 고정하는 지지브라켓트(9)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연결관(6)은 변기시트(3)를 구성하고 있는 체결부(2)에 형성된 삽입공(2a)의 내측에 삽입되어 덮개(8)와 함께 작동되는 것으로, 덮개(8)를 열고 닫음에 의해서 배기공(1e)이 개폐되는 것으로서, 이의 외경은 체결부(2)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성형되어 내측에는 배기공(1e)과 동일한 크기의 통공(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6a)은 덮개(8)를 열었을 때 배기공(1e)과 연통되어 개방되고 닫을 경우에 폐쇄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기공(1e)과 직각방향의 위치에 형성하고, 양단부에는 요철부(6b)를 구비하여 덮개(8)의 하단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체결편(8a)을 일체로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덮개(8)가 결합된 연결관(6)의 내측에는 이 연결관(6)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횡축(7)을 삽입하여 변기시트(3)와 덮개(8)가 이 횡축(7)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횡축(7)의 양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내측에는 악취를 유입하기 위한 통공(7a)이 형성된 것으로서, 이 통공(7a)은 변기시트(3)상에 형성된 배기공(1e)과 동일 선상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동일한 크기로 갖는 것이고 일측의 저면에는 배출공(7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덮개(8)를 결합한 연결관(6)과 변기시트(3)에 구비된 체결부(2)를 순차적으로 결합한 횡측(7)의 양단부를 지지브라켓트(9)에 의해 변기본체(5)에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 지지브라켓트(9)의 구성은 외측면은 폐쇄되고 내측면은 횡축(7)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요홈부(9a)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체결공(9b)이 형성된 지지편(9c)이 일체로 구비된 것이다. 상기의 지지브라켓트(9)중 좌측의 지지브라켓트은 횡축(7)과 일체로 구성되어 저면에 하향관(9d)을 외측으로 연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변기본체(5)에 고정되어 변기시트(3)의 내부로 유입된 악취는 횡축(7)에 형성된 중공부(7b)를 통하여 하향관(9d)으로 배출되는 것으로서, 하향관(9d)까지 유도된 악취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배관라인을 통해 옥상의 상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배관장치(15)의 구성은 하향관(9d)의 단부에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배기횡주관(11)을 결합하여, 이 배기 횡주관(11)의 단부는 파이프 비트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배기 입상관(12)에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단독주택과 같은 단층주택의 배관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기 입상관(12)은 파이프 비트에 설치하여 건물 옥상 위로 배관하고, 파이프 비트에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는 건물 벽면속에 매립하여 건물 옥상으로 배관하며, 배기 횡주관(11)은 변기본체(5)의 이면에 매립된 배기입상관(12)에 연결하거나, 벽면속에 종으로 고정된 배기입상관(12)에 연결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연립주택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다층주택의 경우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기횡주관(11)은 변기 본체의 이면에 매립되어 파이프 비트내의 배기입상관(12)에 연결하며, 건물높이에 비례하여 배기입상관(12)내의 배기가스 상승속도가 빨라지므로 다층의 세대가 하나의 배기입상관(12)을 사용하여도 원활하게 배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단층주택이나 다층주택에 설치된 배기입상관(12)이 건물의 옥상위로 노출된 부위는 단열이중관(13)을 사용하거나 파이프 비트내에 배관하여 외부와 파이프 내부의 온도차를 유지하도록 하여, 습도가 많고 온도가 낮아지는 우천시나 새벽에도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배기입상관(12)의 말단부를 건물 옥탑 위까지 배관하여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였으며, 최 상층부를 기준하여 다층의 세대가 동시에 변기를 사용하여도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배기횡주관(11)의 구경은 35mm 파이프로 사용하며, 배기입상관(12)은 단층주택의 경우 50mm 이상, 다층주택의 경우 100mm 이상을 사용하여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변기본체(5)에 설치된 변기시트(3)에 사람이 앉게 되면 외부와 접한 공간이 80% 이상이 차단되게 됨으로, 배기입상관(12)내부의 공기 상승으로 인하여 실내공기가 차단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으로 빨려 들어가게 됨으로, 용변시 악취가 변기의 외부로 나오지 못하고, 변기시트(3)의 저면에 구비된 흡입공(1f)을 통하여 중공부(1d)로 유입되어, 변기시트(3)의 내부공간을 통과하여 횡축(7)을 거쳐 배기 횡주관(11)을 통과하여, 파이프 비트의 배기 입상관(12)으로 상승하여 건물의 옥상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배기공 개폐장치(10)는 도 3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변시 덮개(8)를 위로 젖히면 변기시트(3)에 형성된 배기공(1e)과 연결관(6)과 횡축(7)상에 형성된 통공(6a)(7a)이 일치하여 상호 연통되어 포집통(5a)에서 발생되는 냄새는 흡입공(1f)으로 유입되어 중공부(1d)의 일측에 형성된 배기공(1e)을 통하여 횡축(7)을 경유하여 배기 횡주관(11)으로 유도되어 파이프 비트상에 입설되어 있는 배기 입상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또 용변을 마치고 변기시트(3)를 뒤로 젖히거나 변기덮개(8)를 덮으면 변기시트(3)에 형성된 배기공(1e)이 폐쇄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기공(1e)을 개폐하므로서 다층주택에서는 1개의 배기입상관(12)을 다층의 세대가 사용함으로서 사용하지 않을 시 배기를 차단하여 배출효율을 높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상기와 작동되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변기덮개(8)를 열고 변기시트(3)위에 앉게 되면 변기시트 중앙의 외부와 접한 공간이 80% 이상 차단됨으로 실내의 공기가 차단되지 않는 공간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며, 용변시 발생한 악취는 변기시트(3)밑에 구성된 흡입공(1f)으로 흡입되어, 변기시트(3)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d)를 통하여 배기공(1e)으로 유도된다. 이와 같이 배기공(1e)에 도달한 악취는 변기시트(3)에 형성된 배기공(1e)과 변기덮개(8)를 결합한 연결관(6)과 횡축(7)상에 형성된 통공(6a)(7a)으로 유입되어 일측에 하향으로 형성된 하향관(9d)으로 유도되게 된다. 악취는 계속해서 하향관(9d)의 단부에 고정된 배기 횡주관(11)을 지나 배기입상관(12)으로 들어가 계속해시 상부로 상승하게 되어, 옥상 위까지 연결된 배기입상관(12)의 말단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용변을 마치고 변기시트(3)를 뒤로 젖히거나 변기덮개(8)를 덮으면 도 3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관(6)에 형성된 통공(6a)이 덮개(8)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여 폐쇄부가 변기시트(8)에 형성된 배기공(1e)을 차단하게 되는 것으로서 악취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기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구성 요소인 배기공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배기공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a)는 배기공이 개방된 경우이고, (b)는 배기공이 폐쇄된 경우의 단면도
도 4는 본 변기시트의 구성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a)는 횡단면도, (b)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6은 단층주택의 배기 배관도
도 7은 다층주택의 배기 배관도
도 8은 15층 주택의 배기 배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좌대 1a…상면 1b…하면 1c…보강대 1d…중공부
1e…배기공 1f…흡입공 2…체결부 2a…삽입공
3…변기시트 5…변기본체 6…연결관 6a…통공
6b…요철부 7…횡축 7a…통공 7b…배출공
8…덮개 9…지지브라켓트 9a…통공 10…배기공 개폐장치
11…배기 횡주관 12…배기 입상관 13…단열 이중관
변기의 구성은 도 1, 도 2, 도 3에 도시 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변기시트(3)와 변기물탱크(2)의 사이에 시트 고정관(5)의 배기구(10) 및 고정볼트(9)가 설치되도록 변기 본체(1)의 상부에 구멍을 확보하여, 변기시트(3) 및 변기덮게(4)를 삽입하고 내부에 공기통로를 구비한 시트고정관(5)을 고정볼트(9)로 고정함으로 변기시트를 설치하는 것이다.
변기본체(1)에 설치된 변기시트(3)에 사람이 앉게 되면 외부와 접한 공간이 80%이상이 차단되게 되므로, 배기입상관(12) 내부의 공기 상승으로 인하여, 실내 공기가 차단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므로, 용변시 악취가 변기의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변기시트(3)밑 부분에 구비된 흡입구(7)를 통하여 흡입되어, 변기시트(3)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여 시트고정관(5)을 거쳐 배기 횡주관(11)을 통과하여, 파이프 비트의 배기 입상관(12)으로 상승하여 건물 옥상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4는 변기시트(3)의 상세도로서, 변기시트(3)의 밑면에 변기내부의 공기가 빨려 들어갈수 있도록 흡입구(7)를 형성하고, 변기시트(3) 내부를 공기의 이동통로로 이용하기 위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변기시트(3)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트 보강대(8)를 설치하였다.
변기시트(3)의 후면 시트 접속관(3a)은 도 5의(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형으로 제작되어 시트고정관(5)에 삽입되고, 배기통로(6)는 절개되어 변기시트(3)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하였다.
도 5는 시트고정관(c)과 변기시트(A) 및 변기덮개(B)접속부의 상세도로서, 시트고정관(5)은 변기시트(3)의 내부 공기를 배기 횡주관으로 보낼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배기통로(6)를 시트접속관(3a)의 배기통로와 일치하도록 절개하였으며, 접속고정관(5a)은 변기시트(3)와 변기덮개(4)를 조립 한 다음 시트고정관(5)에 삽입하여 고정볼트(9)로 변기에 고정하도록 하였다.
변기덮게 접속관(4a)은 배기 개,폐관(4b)과 홈으로 맞물려서 일체형으로 움직이도록 하였으며, 배기 개,폐관(4b)의 배기통로(6)는 변기덮게(4)를 뒤로 젖혔을때 변기시트(3)의 공기통로와 일치 하도록 절개하였다.
시트 고정관(5)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시트접속관(3a)내부에 배기 개,폐관(4b)을 배기통로(6)가 일치하도록 삽입하고, 변기덮게(4)가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 변기덮게 접속관(4a)을 약간 벌려서 배기 개,폐관(4b)의 홈에 맞도록 삽입하여 시트접속관(3a)내부에 조립한다.
조립된 시트 접속관(3a)과 변기덮게 접속관(4a)을 시트고정관(5)의 겉에 삽입한 다음, 접속 고정관(5a)을 시트 고정관(5) 일측에 삽입하고, 4군데의 고정볼트(9)로 변기본체(1) 상부에 고정하므로 설치가 완료되며, 변기시트(3) 및 변기덮게(4)는 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뒤로는 젖힐수 있도록 하였다.
배기의 개,폐장치는, 사람이 용변시 3개의 배기통로(6)가 일치 하므로 열리게 되며, 용변을 마치고 변기시트(3)를 뒤로 젖히거나, 변기덮게(4)를 덮으면 닫히도록 하여, 다층 주택에서는 1개의 배기입상관(12)을 다층의 세대가 사용함으로, 사용하지 않을시 배기를 차단하여 배출 효율을 높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도 6은 단층주택의 배기 배관도로서, 배기입상관(12)의 설치는 파이프 비트에 설치하여 건물옥상으로 배관하고, 파이프 비트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때는 건물 벽면속에 매립하여 건물 옥상으로 배관하며, 배기횡주관(11)은 변기본체 뒤 벽면에 매립된 배기입상관(12)에 연결되거나, 벽면속에 매립되어 파이프비트의 배기입상관(12)에 연결한다.
건물옥상 위 배기 입상관(12)의 노출된 부위는, 단열이중관(l3)을 사용하거나 파이프 비트내에 배관하여, 외부와 파이프 내부의 온도차를 유지하도록 하여, 습도가 많고 온도가 낮아지는 우천시나 새벽에도 배기가 원활히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도 7, 도 8은 다층주택의 배기 배관도로서, 배기 횡주관(11)은 변기본체 뒤 벽면에 매립되어 파이프 비트 내의 배기 입상관(12)에 연결하며, 건물 높이에 비례하여 배기 입상관(12)내의 배기가스 상승 속도가 빨라지므로 다층의 세대가 1기의 배기 입상관(12)을 사용하여도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배기 입상관(12)의 말단부를 건물 옥탑위까지 배관하여 바람의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였으며, 최 상층부를 기준하여 다층의 세대가 동시에 변기를 사용하여도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배기횡주관(11)의 구경은 35mm파이프로 사용하며, 배기입상관(12)은 단층주택의 경우 50mm이상, 다층주택의 경우 100mm 이상을 사용하여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 지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변기덮게(4)가 닫아져 배기가 차단된 상태에서 변기덮게(4)를 뒤로 젖히면,변기시트(3)와 변기덮게(4) 및 시트고정관(5)의 배기통로(6)가 일치하므로, 배기입상관(12)내의 기체 상승 작용에 의해 공기가 빨려 들어가게 된다.
사람이 변기시트(3)위에 앉게 되면 시트중앙의 외부와 접한 공간이 80%이상 차단됨으로, 실내의 공기가 차단되지 않은 공간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며, 용변시 발생한 악취는 변기시트(3)밑에 구성된 흡입구(7)로 흡입되어, 변기시트(3)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시트 고정관(5)으로 들어가게 된다.
시트 고정관(5)내의 공기는 배기 횡주관(11)을 지나 배기 입상관(12)으로 들어가 위로 상승하게 되어, 옥상 위까지 연결된 배기 입상관(12) 말단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용변을 마치고 변기시트(3)를 뒤로 젖히거나, 변기덮게(4)를 덮으면 배기가차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용변시 악취가 변기 내에서 건물 옥상으로 배출되어 실내로 발산되지 않으므로, 쾌적한 화장실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용변시 악취가 실내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악취 때문에 배기용 동력환풍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악취를 희석시키기 위하여 방향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기압과 배기입상관 내부에 체류하는 공기의 상승작용에 의해 악취가 자동적으로 배출되는 것으로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전기요금 등 별도의 유지비용이 필요하지 않으며, 더욱 큰 효과는 쾌적한 화장실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Claims (2)

  1. 상면(1a)과 저면(1b)사이에 보강대(1c)를 연결하여 내부에 중공부(1d)를 형성하고 저면에는 등간격으로 흡입공(1f)을 배설하여 냄새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중공부(1d)는 일측에 배기공(1e)을 형성하여 체결구(2)상의 삽입공(2a)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변기시트(3)와; 상기 변기시트(3)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2a)에는 양단부에 요철부(6b)와 내측에 통공(6a)이 형성된 연결관(6)을 삽입하고, 상기 요철부(6b)에는 덮개(8)의 하단 앙측에 구비된 체결편(8a)을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연결관(6)의 내측에는 외주연에 통공(7a)을 형성한 횡축(7)과 저면에 하향관(9d)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브라켓트(9)를 삽입하고, 상기 횡축(7)의 타단부는 지지브라켓트(9')에 삽입하여 볼트로 변기본체(5)에 결합된 배기공 개폐장치(10)와; 상기 하향관(9d)의 단부에는 배기횡주관(11)을 결합하여, 이 배기횡주관(11)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를 단열이중관(13)으로 피복되어 있는 배기입상관(12)에 연결하여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주택에 설치되는 배기 입상관(12)에는 각 세대의 변기와 연결된 다수개의 배기 횡주관(11)을 일체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악취배출장치.
KR2019990016249U 1999-08-09 1999-08-09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200168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249U KR200168439Y1 (ko) 1999-08-09 1999-08-09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US10/049,019 US6553581B1 (en) 1999-08-09 2000-07-26 Odor exhausting apparatus for water closet
MXPA02001345A MXPA02001345A (es) 1999-08-09 2000-07-26 Aparato para eliminacion de olores para un retrete.
BR0013236-5A BR0013236A (pt) 1999-08-09 2000-07-26 Aparelho de exaustão de odor para banheiro
CA002381606A CA2381606A1 (en) 1999-08-09 2000-07-26 Odor exhausting apparatus for water closet
PCT/KR2000/000807 WO2001011153A1 (en) 1999-08-09 2000-07-26 Odor exhausting apparatus for water closet
JP2001515389A JP2003506601A (ja) 1999-08-09 2000-07-26 水洗便所用悪臭排出装置
AU64777/00A AU6477700A (en) 1999-08-09 2000-07-26 Odor exhausting apparatus for water closet
EP00952011A EP1206603A1 (en) 1999-08-09 2000-07-26 Odor exhausting apparatus for water closet
NZ517068A NZ517068A (en) 1999-08-09 2000-07-26 Odor exhausting apparatus for water closet with suction ports on seat connected to tubular hinge
CN00811553A CN1371442A (zh) 1999-08-09 2000-07-26 用于卫生间的臭气排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249U KR200168439Y1 (ko) 1999-08-09 1999-08-09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638A Division KR100343755B1 (ko) 1999-08-09 1999-10-20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439Y1 true KR200168439Y1 (ko) 2000-02-15

Family

ID=1958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249U KR200168439Y1 (ko) 1999-08-09 1999-08-09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4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3480A2 (en) * 2003-01-09 2004-07-29 Hong-Man Kim Apparatus for exhausting bad smell from chamber
KR200451717Y1 (ko) 2008-12-26 2011-01-07 주구환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3480A2 (en) * 2003-01-09 2004-07-29 Hong-Man Kim Apparatus for exhausting bad smell from chamber
WO2004063480A3 (en) * 2003-01-09 2004-11-18 Hong-Man Kim Apparatus for exhausting bad smell from chamber
KR200451717Y1 (ko) 2008-12-26 2011-01-07 주구환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94670A1 (en) Ventilation system for malodorous air removal
US20070186334A1 (en) Ventilating apparatus for a toilet
EA013932B1 (ru) Сборный модульный дом из конструкций из формованного под давлением порошка
CN102031814A (zh) 通风马桶
US6553581B1 (en) Odor exhausting apparatus for water closet
KR200168439Y1 (ko)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CN201007032Y (zh) 下排风防臭座便器
KR100343755B1 (ko)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WO2005069968A2 (en) Central toilet/bath room venting
US20220034076A1 (en) Ventilated toilet
KR200211134Y1 (ko) 간이 화장실
CN201991054U (zh) 新型模块化快速组装移动式节水厕所
CN2226090Y (zh) 通风除臭组合箱
KR200272098Y1 (ko)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KR200191294Y1 (ko) 변기의 악취배출 배관장치
CN2423329Y (zh) 大便器排臭装置
CN212129360U (zh) 一种通风改良卫生厕所除臭装置
CN212406247U (zh) 一种环保泡沫通风式野外公厕
CN2214460Y (zh) 一种用于公厕的排便臭管路装置
JP2822877B2 (ja) 排水・排気兼用竪管
KR0120147Y1 (ko) 배수배관용 집수죠인트
CN201280753Y (zh) 带有自动封堵装置的座便器
KR200277556Y1 (ko) 변기의 악취 배출 장치
KR20240000256U (ko) 양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JPH08296256A (ja) 集合住宅用排水方法及びその設備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貯留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