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098Y1 -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098Y1
KR200272098Y1 KR2020010031460U KR20010031460U KR200272098Y1 KR 200272098 Y1 KR200272098 Y1 KR 200272098Y1 KR 2020010031460 U KR2020010031460 U KR 2020010031460U KR 20010031460 U KR20010031460 U KR 20010031460U KR 200272098 Y1 KR200272098 Y1 KR 200272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bathroom
pipe
hol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 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 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 엔
Priority to KR2020010031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098Y1/ko

Links

Landscapes

  • Ventilation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기의 사용시에 시뇨나 분뇨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욕실내의 공기와 함께 신속히 건물의 외부나 옥상위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면에 악취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해 배기공으로 유도되는 변기시트를 변기 상면에 설치하여, 시트와 덮게를 결합하는 횡축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과하고 벽매립 입상관과 천장 배기횡주관을 지난 악취는 배기휀에 의해서 욕실내의 실내공기와 함께 실외 또는 배기통로나 배기입상관을 통하여 옥상위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욕실 천장속에 배기휀(21)을 설치하고 배기휀(21)의 후면에 역풍방지기(23)을 장착하며, 벽면에 방화담파(26)를 매설하여 방화담파(26)와 역풍방지기(23)을 연결자바라(28)로 연결하며, 배기휀(21)의 전면 일측에 욕실환기를 위한 배기그릴(25)이 천장(16)에 부착되고 배기휀(21)과 배기그릴(25)사이에 욕실환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풍량조절담파(24)가 장착되며, 배기휀(21)의 타 일측은 후술한 천장배기횡주관(15)과 연결된다.
상면(1a)과 저면(1b)사이에 보강대(1c)를 연결하여 내부에 중공부(1d)를 형성하고 저면(1b)에는 등간격으로 흡입공(15)을 배설하여 악취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중공부(1d)는 일측에 배기공(1e)을 형성하여 체결부(2)상의 삽입공(2a)과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변기시트(3)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2a)에는 양단부에 요철부(6b)와 내측에 통공(6a)이 구비된 연결관(6)을 삽입하고, 상기 요철부(6b)에는 덮게(8)의 하단 양측에 구비된 체결편(8a)을 일체로 결합하며, 상기 연결관(6)의 내측에는 외주연에 통공(7a)과 내부가 배출공(7b)으로 형성된 횡축(7)과, 저면에 하향관(9d)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브라켓트(9)를 삽입하고 상기 횡축(7)의 타 단부는 지지브라켓트(9)에 삽입하여 볼트로 변기본체(5)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향관(9d)은 배기횡주관(11)과 연결되며, 배기횡주관(11)은 벽매립입상관(14)과 접속되며 벽매립입상관(14)의 타단부는 천장배기횡주관(15)에 연결되고, 천장배기횡주관(15)을 상기에 기술한 배기휀(21)의 전면 일측에 접속함으로 완성된다.

Description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omitted}
본 고안은 변기를 구성하고 있는 포집통의 시뇨나 분뇨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욕실내의 공기와 함께 건물의 외부나 옥상위로 배출시키기 위한 취합식 욕실 및 변기의 배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악취를 흡입할 수 있으며 개폐장치가 구비된 변기시트를 변기 상면에 장착하고 변기시트와 배기휀 사이를 배기관으로 연결하여 악취를 배기휀까지 유도하며 배기관 전면 하단 일측에욕실 환기를 위한 배기그릴이 설치되고 배기휀과 그릴 사이에 풍량조절 담파가 설치되며, 배기휀 후면에 설치되는 역풍방지기와 벽면에 설치되는 방화담파를 연결자바라로 연결하므로 배기휀의 작동시 변기의 악취와 욕실내의 실내공기를 동시에 배출하여 청결한 욕실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천장에 부착하는 배기용 환풍기나 무동력 배기그릴을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 시키거나 방향제를 사용하여 냄새를 희석시키기 위한 방법을 사용하여 왔던 바,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기 출원(특허 99-45638)한 변기의 악취배출 장치는 저면에 악취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해 배기공으로 유도되는 변기시트를 변기본체의 상면에 고정 설치하고, 변기시트와 덮게를 결합하는 연결관의 통공과 횡측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배기횡주관을 통과하며, 배기 입상관을 통하여 옥상위로 배출하는 방식(변기와 배기입상관 말단부의 기압차와 배기입상관 내부에 체류하는 공기의 상승작용에 의하여 악취를 외부로 배출)으로 개발되었으나, 신축건물에 적용하기는 용이 하지만 변기의 악취만을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배기입상관을 설치해야하며, 기존건물에 적용할 시 무동력 배기그릴이 설치되어 있는 다층주택에는 기 사용하고 있는 배기통로를 이용하여 적용이 용이하지만, 욕실환기를 위하여 배기휀을 사용하는 다층주택에는 기 사용하고 있는 배기통로를 이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배기입상관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배기휀을 중심으로 후면에 역풍방지 기능을 갖는 역풍방지기가 구비되고 전면 일측은 천장배기 횡주관과 연결되며, 욕실내의 환기를 위한 배기그릴과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풍량조절 담파가 배기그릴과 배기휀의 사이에 구비되는 취합식 배기장치를 천장속에 설치하고, 저면에 흡입공과 중공부가 형성되어 악취를 흡입할 수 있고 후면에 개폐장치가 구비된 변기시트를 통하여 배기횡주관과 벽 매립입상관 및 천장배기횡주관을 설치하여 전술한 배기휀의 전면 단부에 접속하므로,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와 욕실내의 공기를 한 개의 배기휀으로 흡입하여, 연결 자바라와 방화담파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다층주택의 배기통로나 배기입상관을 통하여 옥상위로 배출하므로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가 실내로 발산되지 않으며, 담배연기나 습기와 같은 욕실 공기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와 이로부터 얻게되는 특유의 효과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1 단층 취합식 배기도
도2 다층 취합식 배기도
도3 배기 사시도
도4 취합 배기 구조도
도5 (A) 풍량조절 담파
(B) 혼합배기시 담파작동
(C) 단독배기시 담파작동
도6 (A) 역풍방지기
(B) 배기휀 작동중지시
(C) 배기휀 작동시
도7 악취배출 시트의 사시도
도8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9 (A) 개폐장치의 개방된 단면도
(B) 개폐장치의 폐쇄된 단면도
도10 (A) 변기시트의 구성 횡 단면도
(B) 변기시트의 구성 종 단면도
도11 15층 주택의 배기 배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좌대 1a-상면 1b-저면 1c-보강대 1d-중공부 1e-배기공 1f-흡입공
2-체결부 2a-삽입공 3-변기시트 5-변기본체 5a-포집통
6-연결관 6a,7a-통공 6b-요철부
7-횡축 7b-배출공 8-덮개 8a-체결편
9,9'-지지브라켓트 9a-요홈부 9b-체결공 9c-지지편 9d-하향관
10-배기공 개폐장치 11-배기횡주관 12-배기 입상관 13-배기 통로
14-벽매립 입상관 15-천장배기 횡주관 16-천장 17-욕실
21-배기휀 22-전선 23-역풍방지기 23a-개폐판 24-풍량조절담파
24a-배기공 24b-담파 25-배기그릴 26-방화담파 27-빗물방지 갓
28-연결자바라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상면(1a)와 저면(1b)사이에 보강대(1c)를 연결하여 내부에 중공부(1d)를 형성하고, 저면(1b)에는 등간격으로 흡입공(1f)을 배설하여 악취를 흡입하고 상기 중공부(1d)는 일측에 배기공(1e)을 구비하여, 체결부(2)에 횡으로 형성된 배출공(7b)의 통공(7a)과 연통되며, 변기시트(3)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2a)에는 양단부에 요철부(6b)와 내측에 통공(6a)이 형성된 연결관(6)을 삽입하고 상기 요철부(6b)에는 덮게(8)의 하단 양측에 구비된 체결편(8a)이 일체로결합되고, 상기 연결관(6)의 내측에는 외주연에 통공(7a)을 형성한 횡축(7)과 저면에 하향관(9d)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브라켓트(9)를 삽입하고, 상기 횡축(7)의 타 단부는 지지브라켓트(9')에 삽입하여 지지편(9c)의 체결공(9d)에 볼트로 변기본체(5)에 결합하여 변기시트(3)을 고정시키고 상기 하향관(9d)에는 벽 매립입상관(14)과 연결되는 배기횡주관(11)이 결합되며, 벽매립입상관(14)은 천장(16)속에서 천장배기횡주관(15)에 연결되어 후술한 배기휀(21)의 흡입에 의해 포집통(5a)의 악취가 빨려들갈수있는 통로를 구성하고, 변기(5)의 악취와 욕실(17)내의 공기를 동시에 배출하는 배기휀(21)이 천장(16)속에 설치되며, 배기휀(21)의 전면 일측은 천장배기 횡주관(15)과 연통되며, 다른 일측 하단은 욕실(17)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배기그릴(25)로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배기그릴(25)은 천장(16)에 고정 설치되어 배기휀(21)을 고정하게 되며, 배기휀(21)과 배기그릴(25)의 사이에 풍량조절담파(24)를 설치하고, 배기휀(21)의 후면에는 역풍바지기(23)와 방화담파(26)가 설치되며 역풍방지기(23)와 방화담파(26)를 연결자바라(28)로 연결하여,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와 욕실내의 공기를 한 개의 배기휀을 이용하여 외부나 배기통로(13)를 통하여 옥상위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변기시트(3)의 구성은 도8 내지 도9, 도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대(1)와 체결부(2) 및 배기공 개폐장치(10)가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좌대(1)의 구성은 상면(1a)과 저면(1b)사이에 보강대(1c)를 연결하여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중공부(1d)를 형성하고, 중공부(1d)의 일측에는 체결부(2)와 연통되는 배기공(1e)이 형성되어 중공부의 공기통로가 구비되며, 좌대(1)를 구성하고 있는 저면(1b)에는 포집통(5a)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유입하기 위한 흡입공(1f)이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부(2)는 연결관(6)을 삽입하기 위하여 횡으로 삽입공(2a)이 형성되어, 이 삽입공(2a)은 상술한 배기공(1e)에 의해서 중공부(1d)와 연통되어 흡입공(1f)로 유입되는 악취가 중공부(1d)와 배기공(1e)을 통하여 삽입공(2a)까지 도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배기공 개폐장치(10)의 구성은 변기시트(3)를 구성하고 있는 체결부(2)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삽입공(2a)에 양단부가 체결편(8a)과 결합되며 배기공(1e)과 연통되는 통공(6a)이 구비된 연결관(6)을 삽입하고, 덮게(8)의 체결편(8a)을 연결관(6)의 요철부(6b)에 결합하여 덮게(8)를 설치하며, 연결관(6) 내측의 통공(6a)과 연통되는 통공(7a)을 구비하고 내측이 하향관(9d)과 연통되는 배출공(7b)으로 구성된 횡축(7)을 연결관(6)의 내측에 삽입하고 지지브라켓트(9')로 횡축(7)을 협지한 뒤 변기본체(5)의 상면에 지지브라켓트(9,9')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연결관(6)은 변기시트(3)를 구성하고 있는 체결부(2)에 형성된 삽입공(2a)의 내측과 횡축(7)의 외측과의 사이에 밀착 삽입되어 덮게(8)와 함께 작동되는 것으로, 덮게(8)를 열고 닫음에 의해 배기공(1e)이 개폐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의 통공(6a)은 덮게(8)를 열었을 때 배기공(1e)과 횡축(7)의 통공(7a)과 연통되어 개방되고, 닫을 경우에 폐쇄되도록 하기 위하여 배기공(1e)과 직각 방향의 위치에 형성하고, 양단부에 요철부(6b)를 구비하여 덮게(8)하단부의 양측에 구성되어 있는 체결편(8a)과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덮게(8)가 결합된 연결관(6)의 내측에는 이 연결관(6)의 내경과 밀착 삽입되는 횡축(7)을 삽입하여 변기시트(3)와 덮게(8)가 이 횡축(7)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횡축(7)의 일측은 지지브라켓트(9)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타측의 단부는 지지브라켓트(9')의 요홈부(9a)에 삽입함으로서, 폐쇄되도록 하였으며, 중앙부에는 악취를 유입하기 위한 통공(7a)이 형성되고 이 통공(7a)은 변기시트(3)상에 형성된 배기공(1e)과 동일 선상으로 위치시키는 동시에, 내측에는 배출공(7b)이 형성되어 통공(7a)으로 유입된 악취를 하향관(9d)으로 보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덮게(8)를 결합한 연결관(6)과 변기시트(3)에 구비된 체결부(2)에 순차적으로 결합한 횡축(7)의 양단부를 지지브라켓크(9,9')에 의해 변기본체(5)에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 지지브라켓트(9')의 구성은 외측면은 폐쇄되고 내측면은 횡축(7)의 외경에 밀착 삽입될수 있는 직경의 요홈부(9a)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체결공(9b)이 형성된 지지편(9c)이 일체로 구비된 것이다.
상기의 지지브라켓트(9)는 횡축(7)과 일체로 구성되어 저면에 하향관(9d)을 하부로 연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변기본체(5)에 고정되어 설치된 변기시트(3)상의 횡축(7)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하향관(9d)을 배기횡주관(11)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취합식 배기장치의 구성은 도1내지 도2,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변시 포집통(5a)의 악취와 욕실(17)의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휀(21)은 천장(16)의내부에 설치되며, 배기휀(21)의 후면에는 배기휀(21)의 작동시에 풍속에 의해 열리며, 배기휀(21)의 정지시에는 닫히게 되어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풍방지기(23)가 설치되며, 배기휀(21)의 전면 일측에는 도7에 도시되어 있는 배기횡주관(11)과 연결되는 벽매립입상관(14)과 연결되고 포집통(5a)의 악취를 배기휀(21)으로 유도하는 천장배기횡주관(15)과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타 일측에는 욕실(17)의 공기를 배기휀(21)이 흡입할 수 있는 구조의 배기그릴(25)이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휀(21)과 배기그릴(25)의 사이에는 풍량조절담파(24)가 설치되며, 배기휀(21)의 후면의 벽면에는 방화담파(26)가 설치되며 방화담파(26)와 역풍방지기(23)의 연결은 연결자바라(28)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풍량조절담파(24)는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기공(24a)과 담파(24b)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람이 용변시는 변기시트(3)를 뒤로 젖히게 되므로 배기공(1e)과 통공(6a,7a)이 일치되므로 포집통(5a)의 악취가 빨려 들어가게 되며, 이때는 도7의 (b)와 같이 풍량조절담파(24)의 배기공(24a)을 통해서만 욕실(17)내의 공기가 배출되는 것으로, 배기공(24a)의 크기는 변기의 악취배출과 욕실내의 공기를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용변을 마치고 변기시트(3)를 닫게 되면 포집통(5a)의 공기 배출이 차단되므로, 배기휀(21)에 부하가 걸릴수 있으므로 이때는 도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량에 의해서 담파(24b)가 위로 들리면서 실내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하여 배기휀(21)의 작동에 무리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용변과 관계없이 욕실(17)에서 다른일을 수행할 때도 위와 같이 작동하여 배기휀(21)에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의 배기휀(21)의 전선(22)은 욕실(17)전등의 전기선에 결속되는 것으로, 욕실전등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시되지 않음)
상기의 방화담파(26)의 설치는 다층주택에 혹시 발생할지도 모르는 화재에 대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화재시는 열에 의해서 방화담파(26)의 내부에 고정된 납이 녹아 담파가 닫히게 되므로, 외부나 배기통로(13)와 욕실(17)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빗물방지갓(27)은 단층주택 등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비바람이 칠때 빗물이 방화담파(26)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연립주택이나 아파트등과 같은 다층주택의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개의 배기통로(13)나 배기입상관(12)을 이용하여 다층의 세대가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사람이 용변을 위하여 욕실전등을 켜게되면, 욕실전등과 함께 배기휀(21)이 작동하게 되면 역풍방지기(23)가 풍속에 의하여 열리게 되고 이때는 변기시트(3)가 닫혀 있으므로 도5의 (c)와 같이 풍량조절담파(24)의 담파(24b)가 들리는 상태로 욕실(17)의 배기만 이루어지는 것이다.
용변을 위하여 변기시트(3)를 뒤로 젖히게 되면 배기공개폐장치(10)의 배기공(1e)과 통공(6a,7a)이 일치되므로 포집통(5a)의 공기가 빨려 들어가게 되며, 이때는 도5의(b)와 같이 담파(24b)는 닫히고 배기공(24a)으로 정량의 공기만 배출되는 것이다.
변기시트(3)에 사람이 않게 되면 포집통(5a)의 외부와 접한 공간이 80%이상 차단되게 됨으로 배기휀(21)의 흡입력에 의해 실내공기가 차단되지 않은 공간으로 빨려 들어가게 되므로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는 실내로 나오지 못하고, 변기시트(3)의 저면(1b)에 구비된 흡입공(1f)을 통하여 중공부(1d)로 유입되어, 변기시트(3)의 내부공간을 통과하여 횡측(7)의 배출공(7b)을 지나, 하향관(9d)으로 들어가게 된다.
하향관(9d)을 통과한 악취는 배기횡주관(11)과 벽매립입상관(14)을 거쳐 천장배기횡주관(15)으로 유입되게 되며, 욕실(17)내의 공기와 함께 배기휀(2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거나 배기입상관(12)이나 배기통로(13)를 통하여 옥상위로 배출되는 것이다.
용변을 마치고 변기시트(3)를 뒤로 젖히거나 변기덮게(3)을 덮으면 포집통(5a)의 공기가 더 이상 빨려 들어가지 않아, 도5의(c)와 같이 담파(24b)가 풍량에 의해 다시 들리면서 공기가 통과하므로 배기휀(21)에 부하가 걸리지않아 배기휀(21)을 보호하면서 욕실(17)의 배기와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욕실내에서 일을 마치고 나오면서 전등스위치를 끄게 되면 배기휀(21)도 동시에 멈추며, 역풍방지기(23)의 개폐판(23a)이 닫히게 되므로 단층주택의 외부 바람이나 다층주택의 배기통로(13)의 역풍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가 실내로 발산되기 전에, 욕실내의 배기와 함께 효과적으로 배출하므로 용변시 악취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와 악취 때문에 사용하는 방향제등이 필요치 않으며 쾌적한 욕실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상면(1a)과 저면(1b)사이에 보강대(1c)를 연결하여 내부에 중공부(1d)를 형성하고 저면(1b)에는 등간격으로 흡입공(1f)을 배설하여 냄새가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중공부(1d)는 일측에 배기공(1e)을 형성하여 체결부(2)상의 삽입공(2a)과 연통되도록 구성된 변기시트(3)와; 상기 변기시트(3)의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2a)에는 양단부에 요철부(6b)와 내측에 통공(6a)이 형성된 연결관(6)을 삽입하고, 상기 요철부(6b)에는 덮개(8)의 하단 양측에 구비된 체결편(8a)이 일체로 결합되어, 덮게(8)을 열고 닫음에 따라 개폐가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관(6)의 내측에는 외주연에 통공(7a)과 내부에 배출공(7b)을 형성한 횡축(7)과 저면에 하향관(9d)이 일체로 구비된 지지브라켓트(9')를 삽입하고, 상기 횡축(7)의 타단부는 지지브라켓트(9')에 삽입하여 볼트로 변기본체(5)에 결합된 배기공 개폐장치(10)와; 상기 하향관(9d)의 단부에는 배기 횡주관(11)을 결합하고 이 배기 횡주관(11)에는 배기 입상관(12)과 연결하여 용변시 발생한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에 있어서,
    욕실(17)의 천장(16)속에 욕실(17)의 전등스위치에 의해서 작동하는 배기휀(21)이 설치되며, 배기휀(21)의 후면에는 역풍방지기(23)을 설치하여 역풍을 방지하며, 외부나 배기통로(13)와 접하는 벽속에 방화담파(26)가 설치되고, 방화담파(26)와 역풍방지기(23)는 연결자바라(28)로 연결되며, 배기휀(21)의 전면 일측 하단부에 욕실(17)의 배기를 위한 배기그릴(25)이 설치되고 배기그릴(25)과 배기휀(21)의 사이에 풍량조절담파(24)가 구성되며, 배기휀(21)의 전면 일측에는천장배기횡주관(15)이 접속되고, 천장배기횡주관(15)의 타측은 벽매립입상관(14)과 연결되며,벽매립입상관(14)은 상기에 기술한 배기횡주관(11)에 접속되므로, 천장(16)속의 배기휀(21)의 작동에 의하여 용변시 발생하는 악취와 욕실(17)내의 공기를 동시에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조절담파(24)는 정량공기가 통과하는 배기공(24a)과 배기휀(21)의 부하 방지를 위한 담파(24b)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변시 변기(5)내 포집통(5a)의 배기와 욕실(17)의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질 때는 담파(24b)가 닫혀 있어, 욕실(17) 내의 공기는 배기공(24a)을 통해서만 배출되고, 변기(5)의 배기가 차단될 때는 배기휀(21)의 흡입력에 의해 담파(24b)가 위로 들리면서 욕실(17)내의 공기가 배기공(24a)과 열려진 담파(24a) 사이로 통과하여 배기휀(21)의 부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배기휀(21)의 후면에 설치되는 역풍바지기(23)는 배기휀(21)의 작동시 풍속에 의하여 개폐판(23a)이 열리게 되며, 배기휀(21)의 정지시에는 자동으로 닫혀 외부나 배기통로(13)내의 공기가 욕실(17)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나 배기통로(13)와 접한 벽속에 방화담파(26)를 설치하여, 화재시 열에 의하여 방화담파(26)의 내부에 고정된 납이 녹아 담파가 닫히게 되어, 외부 및 배기통로(13)와 욕실(17)내부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다층주택에 설치되는 배기통로(13)나 배기입상관(12)에는 각 층의 욕실(17)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방화담파(26)를 일체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KR2020010031460U 2001-10-15 2001-10-15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KR200272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460U KR200272098Y1 (ko) 2001-10-15 2001-10-15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460U KR200272098Y1 (ko) 2001-10-15 2001-10-15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098Y1 true KR200272098Y1 (ko) 2002-04-13

Family

ID=73082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460U KR200272098Y1 (ko) 2001-10-15 2001-10-15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0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69B1 (ko) * 2005-09-08 2007-03-19 손종원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69B1 (ko) * 2005-09-08 2007-03-19 손종원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4888Y1 (ko) 다기능 환기 시스템
KR101624547B1 (ko) 공동주택의 제연시스템
PL216684B1 (pl) Urządzenie do usuwania powietrza z miski ustępowej do atmosfery zewnętrznej
JP3044021B1 (ja) 中高層共同住宅の換気構造
KR200272098Y1 (ko)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KR100533413B1 (ko) 주택 내부 환기 시스템
JP5370632B2 (ja) 建築物の換気構造
US20100058525A1 (en) Toilets
KR100867305B1 (ko)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 개선구조
KR100492328B1 (ko) 방음판 및 역풍차단 터미널이 내장된 변기 악취 배출 시스템.
KR20090129864A (ko) 악취 배출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100488298B1 (ko) 변기 좌석 환기 장치
US20060096013A1 (en) Odorless commode
KR102668363B1 (ko) 변기 악취 제거장치
RU2198351C2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вентиляционного воздуха в здания
KR100343755B1 (ko)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US20050044612A1 (en) Odorless toilet
KR102649717B1 (ko) 환기창이 없는 공동주택용 화장실 환기개선장치
KR200168439Y1 (ko) 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JP2000081237A (ja) 低気密住宅用自然換気建造物の構造及び自然換気システム
KR102211956B1 (ko) 욕실 및 주방의 환기장치
NL2033103B1 (en) Centralized exhaust system for bathroom space of multi-story building
KR10186355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욕실 환기구조
JP3176071U (ja) トイレ脱臭装置
JP3471057B2 (ja) セントラル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