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6369B1 -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 Google Patents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6369B1
KR100696369B1 KR1020050083854A KR20050083854A KR100696369B1 KR 100696369 B1 KR100696369 B1 KR 100696369B1 KR 1020050083854 A KR1020050083854 A KR 1020050083854A KR 20050083854 A KR20050083854 A KR 20050083854A KR 100696369 B1 KR100696369 B1 KR 10069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odor
toilet
adapter
vent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9001A (ko
Inventor
손종원
에이치. 마틴스 헨리
Original Assignee
손종원
에이치. 마틴스 헨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종원, 에이치. 마틴스 헨리 filed Critical 손종원
Priority to KR1020050083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6369B1/ko
Priority to CNA2006100869084A priority patent/CN1928555A/zh
Publication of KR20070029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8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for taking gas samp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내부의 대소변 냄새를 기체센서를 통해 검사하여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조기 건강진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한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는, 화장실 변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이 냄새를 통해 조기건강 검진을 가능하게 하는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에 있어서, 상부 림(rim) 주변으로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냄새의 유동 통로로 사용되는 통수관이 형성되는 변기본체와 전술한 변기본체의 후면측으로 형성되는 연장브라켓 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수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와 전술한 물탱크의 바닥부와 후면부로 형성되며 냄새가 흡입되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벤트채널과 전술한 벤트채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물탱크 기저면과 변기본체의 연장브라켓 상으로 고정되며 상기 벤트채널을 관통하는 측에 방사상으로 통기구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냄새가 유입되도록 하는 벤트어댑터와 전술한 벤트채널의 내부로 형성되며 변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감지하여 건강진단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체센서와 전술한 기체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디스플레이하는 진단유닛과 전술한 진단유닛을 통하여 분석한 냄새를 상기 벤트채널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벤트채널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환기 파이프와 전술한 환기 파이프 단부에 형성되며 냄새를 흡입하는 환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변기, 냄새배출, 기체센서, 건강진단, 벤트어댑터, 벤트채널, 진단유닛

Description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DEVICE FOR PHYSICAL EXAMINATION USING VENT ADAPTER}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의 부분확대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기본체
10 : 통수관
20 : 물탱크
30 : 벤트채널
40 : 벤트어댑터
42 : 통기구
50 : 기체센서
52 : 진단유닛
60 : 환기파이프
70 : 환기팬
본 발명은 변기 내부에 냄새를 흡입할 수 있는 벤트채널을 형성하여 변기 사용시 발생하는 안 좋은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이 냄새를 기체센서를 통해 검사하여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조기 건강진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한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업무용 빌딩 등 사람이 생활하는 곳에는 화장실이 갖추어져 있고, 화장실 내에는 사람의 생리적 현상인 배뇨와 배변을 행하기 위한 변기가 놓여져 있는데, 이러한 변기는 통상의 편리성을 위해 좌변기로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종래의 좌변기는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한 냄새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현재는 화장실 바닥 또는 천정에 환풍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전술한 환풍기를 설치하는 것 만으로는 화장실 내의 대소변으로 인한 냄새가 빠른 시간 내에 제거되지 않고 상당시간 동안 화장실에 머무르게 되어 불쾌감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사용자의 대소변에 의한 냄새는 사용자의 체질이나 식습관 등에 따라 그 정도가 다른데, '잘 먹고, 잘 자고, 잘 싼다.'라는 건강의 원칙이 있듯이 대소변은 우리 몸의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척도로 활용되고 있다.
대소변 중, 대변을 통한 건강상태 확인은, 그 빛깔과 형상 그리고 냄새가 기준이 되는데, 건강한 사람의 경우, 형상에 있어서는 약 2cm 정도 굵기에 10~15cm 길이로 물보다 무거워 가라앉는 것이 좋고, 색에 있어서는 황색에서 갈색 범위에 있는 변이 좋으며, 냄새에 있어서는 먹은 음식물의 종류와 장내의 세균의 상태에 따라서 다르나 그 판단에는 전문적인 지식이 요구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장실 냄새를 배출하는 변기의 경우, 단순히 냄새를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대변의 냄새를 통한 건강상태의 확인은 전문가 수준에서 가능한바, 대변 냄새의 확인을 통해 조기에 건강진단을 하여 질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은 수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기 내부에 기체센서를 구비하고 대소변의 냄새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조기건강진단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기 내부에 단부로 환기팬을 구비한 벤트채널을 형성하여 대소변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도록 한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화장실 변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이 냄새를 통해 조기건강 검진을 가능하게 하는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에 있어서, 상부 림 주변으로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냄새의 유동 통로로 사용되는 통수관이 상부면으로 형성되는 변기본체와, 전술한 변기본체의 후면측으로 형성되는 연장브라켓 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수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와, 전술한 물탱크의 바닥부와 후면부로 형성되며 냄새가 흡입되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벤트채널과, 전술한 벤트채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물탱크 기저면과 변기본체의 연장브라켓 상으로 고정되며 전술한 벤트채널을 관통하는 측에 방사상으로 통기구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냄새가 유입되도록 하는 벤트어댑터와 전술한 벤트채널의 내부로 형성되며 변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체센서와 전술한 기체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디스플레이하는 진단유닛과, 전술한 진단유닛을 통하여 분석한 냄새를 상기 벤트채널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전술한 벤트채널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환기 파이프와, 전술한 환기 파이프 단부에 형성되며 냄새를 흡입하는 환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벤트어댑터는 중공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외면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방사상으로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부면으로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그 상측으로 경사지게 통기구가 형성되며, 통기구 일측으로 관이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는 어댑터 본체와, 전술한 어댑터 본체의 하부 나사산으로 결합되는 나사 패킹부재와, 전술한 어댑터 본체의 상부면의 걸림턱에 고정되는 제 1, 2 패킹부재와, 전술한 삽입구의 양측으로 힌지결합되어 전술한 통기구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안착되고 개방과 폐쇄를 조작하는 연결부재가 후레쉬 버튼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물 내림 작동을 가능케 하는 후레쉬 밸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진단유닛은 전술한 변기의 일측이나 화장실 외부에 위치하여 전술한 기체센서를 통해 자료화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출력하여 볼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진단유닛은 전술한 기체센서를 통해 자료화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이 있을 시에 경고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주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2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의 부분확대도가 도시되며, 도 3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는 화장실 변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이 냄새를 통해 조기건강 검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또는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림(11) 주변으로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냄새의 유동 통로로 사용되는 통수관(10)이 형성되는 변기본체(1)와 전술한 변기본체(1)의 후면측으로 형성되는 연장브라켓(5) 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수관(10)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20)와 전술한 물탱크(20)의 바닥부와 후면부로 형성되며 냄새가 흡입되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벤트채널(30)과 전술한 벤트채널(3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물탱크(20) 기저면과 변기본체(1)의 연장브라켓(5) 상으로 고정되며 상기 벤트채널(30)을 관통하는 측에 방사상으로 통기구(42)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냄새가 유입되도록 하는 벤트어뎁터(40)와 전술한 벤트채널(30)의 내부로 형성되며 변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체센서(일명 "전자코")(50)와 전술한 기체센서(50)의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디스플레이하는 진단유닛(52)과 전술한 진단유닛(52)을 통하여 분석한 냄새를 상기 벤트채널(3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벤트채널(30)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환기파이프(60)와 전술한 환기파이프(60) 단부에 형성되며 냄새를 흡입하는 환기팬(7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변기본체(1)는 상부 림(11) 주변으로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냄새의 유동 통로로 사용되는 통수관(10)이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대소변을 일시 수용한 후, 물을 내려 하수구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변기본체(1)의 통수관(10) 상으로는 일측이 변기본체(1)와 힌지(8) 연결되는 시트(2)와 덮개(3)가 구비되는데, 전술한 시트(2)는 사용자가 전술한 변기본체(1)에 앉는데 있어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전술한 덮개(3)는 전술한 변기본체(1)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 전술한 시트(2) 상으로 덮어놓기 위해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시트(2)의 하부면에는 전술한 시트(2)가 전술한 통수관(10)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 되도록 해주는 범퍼버튼(4)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변기본체(1)의 후측으로는 연장브라켓(5)이 형성되는데, 그 내부로는 전술한 통수관(10)을 지나 전술한 배수구(9)로 물을 배출시킬 수 이도록 물 인입 챔버(6)가 형성되도록 하며, 전술한 변기본체(1)의 내부 하측은 하수구와 연결되고, 베이스 후렌지(7)에 의해 바닥면에 견고하게 지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변기본체(1)의 연장브라켓(5) 상에는 전술한 변기본체(1)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물탱크(20)는 전술한 물 인입 챔버(6)와 통수관(10)을 지나 배수구(9)를 통해 변기본체(1)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물탱크(20)는 외부의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물 인입파 이프(22)가 구비되며, 물탱크(20) 내부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추후에 설명될 벤트어뎁터(40) 상에 삽입되는 오버플로우 파이프(21)가 구비된다.
전술한 오버플로우 파이프(21)는 추후에 설명될 벤트어뎁터(40) 상에 수직으로 삽입되는데, 전술한 물 인입 파이프(22)로부터 공급받은 전술한 오버플로우 파이프(21) 이상으로 차오를 경우 전술한 오버플로우 파이프(21)를 통하여 일부를 배수해 내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물탱크(20)의 바닥부와 후면부에는 벤트채널(30)이 이어져 형성되는데, 전술한 벤트채널(30)은 전술한 변기본체(1) 내의 대소변에서 발생되는 냄새가 흡입되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물탱크(20)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바닥 벤트채널(30a)과 후면부에 형성되는 후면 벤트채널(30b)은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높은 볼륨과 낮은 공기압을 유지토록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벤트채널(30)에는, 전술한 바닥 벤트채널(30a)을 관통하며 전술한 물탱크(20)에 상측이, 전술한 연장브라켓(5)에 하측이 각각 고정되는 벤트어뎁터(40)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벤트어뎁터(40)는 전술한 물탱크(20)에서 전술한 물 인입 챔버(6)로 물을 배수시키는 배수관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전술한 바닥 벤트채널(30a)을 관통하는 부분으로 방사상 통기구(42)를 형성하여 전술한 변기본체(1) 내의 대소변 냄새를 전술한 벤트채널(30)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벤트어뎁터(40)는 중공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외면으로는 나사산(41)이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방사상으로 통기구(42)가 형성되고, 상부면으로는 걸림턱(43)이 형성되어 그 상측으로 경사지게 관통구(44)가 형성되며, 관통구(44) 일측으로 관이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45)가 형성되는 어댑터 본체와, 상기 어댑터 본체의 하부 나사산(41)으로 결합되는 나사 패킹부재(46)와, 상기 어댑터 본체의 상부면의 걸림턱(43)에 고정되는 제 1, 2 패킹부재(47,48)와, 상기 삽입구(45)의 양측으로 힌지 결합되어 상기 관통구(44)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안착되고 개방과 폐쇄를 조작하는 연결부재(49aa)가 후레쉬 버튼(23)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물 내림 작동을 가능케 하는 후레쉬 밸브(49)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통기구(42)는 외부에서 내부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물탱크(20)로부터 배수되는 물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벤트어뎁터(40)는 전술한 물탱크(20) 하부면으로 지지 되도록 걸림턱(43)이 형성되는데 그 하측으로 제 1, 2 패킹부재(47,48)를 구비하여 양측에서 압박하여 고정하도록 하며, 전술한 연장브라켓(5) 상으로 결합되는 전술한 벤트어뎁터(40)의 하측은 나사산(41)을 형성하므로 나사 패킹부재(46)로 압박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벤트어뎁터(40)가 관통되는 벤트채널(30) 내부에는 기체센서(50)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기체센서(50)는 변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대소변이 함유하고 있는 특정 기체의 농도나 독성을 띄는 기체의 함유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변기본체(1)의 일측이나 화장실 외부에는 전선(51)에 의해 기체센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단유닛(52)이 구비되는데 전술한 진단유닛(52)은 기체센서(50)의 신호를 감지하고 자료화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5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출력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진단유닛(52)은 전술한 변기본체(1)의 대소변으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냄새를 분석하여 디스플레이부(5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출력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알람장치를 구비하여 건강상에 이상이 있을 경우 경고음을 발송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벤트어뎁터(40)와 기체센서(50)가 구비되는 벤트채널(30)의 단부에는 환기파이프(60)가 연결되어 형성되는데, 전술한 환기파이프(60)는 벤트채널(30)을 통과한 냄새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냄새가 화장실 내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완전하게 밀폐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환기파이프(60)의 단부에는 환기팬(70)이 형성되는데, 전술한 환기팬(70)은 전원선(7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송풍력을 발휘해 전술한 변기본체(1)의 대소변 냄새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환기파이프(60)는, 압력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온(on)/오프(off) 되는데, 전술한 압력스위치(도시되지 않음)는 전술한 시트(2) 하부에 위치하는 압력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시트(2) 상으로 앉을 경우 압력이 가해서 스위치가 온(0n)이 되어 작동하며, 일어설 경우 압력이 제거됨으로 오프(off)가 되어 작동이 멈추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센서 이외에도,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나,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열감지 센서에 의해서도 작동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전술한 변기본체(1)의 시트(2)를 변기본체(1)의 통수관(10) 안착시키고 앉으면 압력센서에 의한 압력스위치가 온(on)으로 되어 환기팬(70)이 작동한다.
사용자의 대소변이 변기본체(1) 내부에 수용되게 되면, 전술한 환기팬(70)의 송풍력에 의해 냄새가 흡입되고, 전술한 통수관(10) 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전술한 배수구(9)를 통하여 전술한 연장브라켓(5)의 물 인입 챔버(6)로 흡입되는데, 이때 통수관(10)을 비롯한 물 인입 챔버(6) 내부는 물이 고여있지 않은 상태이다.
전술한 물 인입 챔버(6)로 흡입된 냄새는 연장브라켓(5) 상으로 고정되어 있는 전술한 벤트어뎁터(40)를 지나 벤트어뎁터(40)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술한 통기구(42)를 통하여 물탱크(20)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는 바닥 벤트채널(30a)로 유입된다.
그런 다음, 대소변의 냄새는 전술한 기체센서(50)가 대소변이 함유하고 있는 특정 기체의 농도나 독성을 띄는 기체의 함유 여부 등을 감지함으로써 분석되고, 분석된 자료는 전술한 진단유닛(52)의 디스플레이부(53)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거나 출력되며, 경우에 따라 경고음을 발송한다.
기체센서(50)를 통과한 냄새는 전술한 물탱크(20) 후면부로 형성되는 후면 벤트채널(30b)을 따라 환기파이프(60)로 흡입되며, 전술한 환기팬(70)을 통해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에 의하면, 변기 내부에 기체센서를 구비하고 대소변의 냄새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조기건강진단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변기 내부에 단부로 환기팬을 구비한 벤트채널을 형성하여 대소변으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여 화장실을 사용하는데 있어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화장실 변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배출시킴과 동시에, 이 냄새를 통해 조기건강 검진을 가능하게 하는 건강진단장치에 있어서,
    상부 림 주변으로 물을 공급하는 동시에 냄새의 유동 통로로 사용되는 통수관이 형성되는 변기본체;
    상기 변기본체의 후면측으로 형성되는 연장브라켓 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수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바닥부와 후면부로 형성되며 냄새가 흡입되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벤트채널;
    상기 벤트채널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물탱크 기저면과 변기 연장브라켓 상으로 고정되며 상기 벤트채널을 관통하는 측에 방사상으로 통기구를 형성하여 이를 통해 냄새가 유입되도록 하는 벤트어댑터;
    상기 벤트채널의 내부로 형성되며 변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체센서;
    상기 기체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디스플레이하는 진단유닛;
    상기 진단유닛을 통하여 분석한 냄새를 상기 벤트채널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벤트채널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환기 파이프; 및
    상기 환기 파이프 단부에 형성되며 냄새를 흡입하는 환기팬;을 포함하며,
    상기 벤트어댑터는 중공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 외면으로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앙으로는 방사상으로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부면으로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그 상측으로 경사지게 관통구가 형성되며, 관통구 일측으로 관이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가 형성되는 어댑터 본체와, 상기 어댑터 본체의 하부 나사산으로 결합되는 나사 패킹부재와, 상기 어댑터 본체의 상부면의 걸림턱에 고정되는 제 1, 2 패킹부재와, 상기 삽입구의 양측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관통구 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안착되고 개방과 폐쇄를 조작하는 연결부재가 후레쉬 버튼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물 내림 작동을 가능케 하는 후레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유닛은 상기 변기의 일측이나 화장실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체센서를 통해 자료화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출력하여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유닛은 상기 기체센서를 통해 자료화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상이 있을시에 경고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4. 삭제
KR1020050083854A 2005-09-08 2005-09-08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KR10069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854A KR100696369B1 (ko) 2005-09-08 2005-09-08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CNA2006100869084A CN1928555A (zh) 2005-09-08 2006-06-14 使用气味排放适配器的身体检查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854A KR100696369B1 (ko) 2005-09-08 2005-09-08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001A KR20070029001A (ko) 2007-03-13
KR100696369B1 true KR100696369B1 (ko) 2007-03-19

Family

ID=3785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854A KR100696369B1 (ko) 2005-09-08 2005-09-08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6369B1 (ko)
CN (1) CN19285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69Y1 (ko) 2012-09-25 2012-11-30 유희만 좌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8452A (zh) * 2011-03-22 2011-08-31 黄少彬 太阳能化厕排气装置
JP6659689B2 (ja) * 2014-11-27 2020-03-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ガス・センサー・システム及びガス・センシング方法
JP6701507B2 (ja) * 2015-01-30 2020-05-27 Toto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CN105842300A (zh) * 2015-01-30 2016-08-10 Toto株式会社 身体信息检测系统
US20160223550A1 (en) * 2015-01-30 2016-08-04 Toto Lt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CN104727413B (zh) * 2015-03-31 2016-09-14 苏州路之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健康监控智能座便器
CN106703150A (zh) * 2017-02-22 2017-05-24 青岛爱丽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马桶杀毒、除臭、监测装置
EP3606412A4 (en) * 2017-04-07 2020-12-23 Toi Labs, Inc. BIO CONTROL DEVICES, PROCEDURES AND SYSTEMS FOR USE IN A BATHROOM ENVIRONMENT
CN110441504A (zh) * 2019-08-22 2019-11-12 王鹂辉 一种马桶用人体排泄物气味检测分析仪及分析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6362A (ja) * 1997-12-25 1998-06-30 Toto Ltd 健康管理装置
KR200184947Y1 (ko) 2000-01-15 2000-06-01 홍순영 양변기 냄새 정화장치
KR200272098Y1 (ko) * 2001-10-15 2002-04-13 주식회사 바이오 엔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6362A (ja) * 1997-12-25 1998-06-30 Toto Ltd 健康管理装置
KR200184947Y1 (ko) 2000-01-15 2000-06-01 홍순영 양변기 냄새 정화장치
KR200272098Y1 (ko) * 2001-10-15 2002-04-13 주식회사 바이오 엔 욕실 및 변기의 배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69Y1 (ko) 2012-09-25 2012-11-30 유희만 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28555A (zh) 2007-03-14
KR20070029001A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369B1 (ko)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US20090307831A1 (en) Odor-free toilet
JP6072309B2 (ja) 衛生便器
JP4928888B2 (ja) 洋風便器装置
JP2003096874A (ja) 水洗便器の排臭装置
US20080301865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100709400B1 (ko) 벽걸이형 위생 소변기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JP2017067749A (ja) 排便ガス回収システム
KR200306436Y1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KR200381138Y1 (ko) 좌변기 악취제거 장치
KR100386377B1 (ko) 거품발생장치가 구비된 소변기
KR20190089256A (ko) 냄새흡입장치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KR20100126989A (ko) 변기장치
US11828054B1 (en) Internally ventilated toilet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0330071Y1 (ko) 비데용 악취배출장치
KR20180009299A (ko) 양변기용 탈취 장치
JP2007285007A (ja) 生体情報測定便器
JP2520904Y2 (ja) 脱臭機能を有する小便器
KR102175283B1 (ko)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JPH0444538A (ja) 脱臭便器
JP2017067752A (ja) 排便ガス回収システム
JPH0617465A (ja) トイレ内の脱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