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869Y1 - 좌변기 - Google Patents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869Y1
KR200463869Y1 KR2020120008602U KR20120008602U KR200463869Y1 KR 200463869 Y1 KR200463869 Y1 KR 200463869Y1 KR 2020120008602 U KR2020120008602 U KR 2020120008602U KR 20120008602 U KR20120008602 U KR 20120008602U KR 200463869 Y1 KR200463869 Y1 KR 200463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water
toilet
valve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만
Original Assignee
유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희만 filed Critical 유희만
Priority to KR2020120008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8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8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2010/3668Detection of the presence of a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쉽게 물티슈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는 급수관(40)에 연결된 배수관(50)이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50)의 단부에서 배출되는 물로 티슈(1)를 적셔 손쉽게 물티슈를 만들 수 있으므로, 물티슈를 항상 휴대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좌변기{toilet bowl}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손쉽게 물티슈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본체(10)와, 상기 변기본체(10)에 구비된 좌대(20)와, 상기 좌대(2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커버(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변기본체(10)는 상면 중앙부에 용변부(11a)가 오목하게 형성된 착석부(11)와, 상기 착석부(11)의 후측 상면에 구비된 물탱크(12)로 구성된다.
상기 물탱크(12)는 급수관(40)에 연결되어 항상 내부에 일정수량의 물이 저장되는 것으로, 용변 후 물탱크(12)에 구비된 배수밸브(12a)를 조작하면 물탱크(12) 내부의 물이 용변부(11a)로 공급되어 용변부(11a) 내부의 배설물이 정화조 등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좌대(20)는 중앙부에 상기 용변부(11a)에 대응되는 개구부(21)가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링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착석부(11)의 상면 후측에는 브라켓(11b)이 구비되고, 상기 좌대(20)와 커버(30)는 후단부가 상기 브라켓(11b)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30)와 좌대(20)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변기를 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30)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연 후 좌대(20)에 앉을 수 있으며, 좌대(20)에 앉은 사용자는 좌대(20)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21)를 통해 용변을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물탱크(12)의 구조는 생략되기도 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급수관(40)은 상기 착석부(11)에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좌변기의 구조 및 작용은 등록실용신안 제20-0180467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좌변기에 비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상기 비데는 좌변기의 좌대(20)를 대신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항문과 국부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52)이 구비되어 용변 후 국부와 항문을 향해 물을 분사하여 닦아낼 수 있으므로, 매우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데는 가격이 고가일 뿐 아니라 관리가 번거로워서, 역 등과 같은 공공시설의 화장실에 설치되는 좌변기에는 비데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 비데를 사용하던 사용자는 이러한 공공시설의 화장실에서 용변을 본 후 화장지를 이용하여 뒤처리를 하게 되므로, 깔끔하지 못한 느낌을 갖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공시설의 화장실에서 용변을 본 후 물티슈를 이용하여 뒤처리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항상 물티슈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쉽게 물티슈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좌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좌변기는 물탱크(12)를 가진 변기본체(10)와, 상기 변기본체(10)에 구비된 좌대(20)와, 상기 좌대(2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커버(30)를 포함하고, 상기 변기본체(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40)에 연결된 배수관(50)과, 상기 배수관(50)의 중간부에 연결된 개폐밸브(5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50)으로 배출되는 물로 티슈(1)를 적셔 물티슈를 만들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배수관(50)의 하측에는 상기 배수관(50)에서 배출된 물을 수집하는 집수용기(60)가 구비되며, 상기 집수용기(60)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본체(61)와, 다수개의 배수공(62a)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61)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면에 올려진 상기 티슈(1)를 지지하는 지지패널(62)과, 상기 용기본체(6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12)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용기본체(61)의 내부와 상기 물탱크(12)의 내부를 연결하는 배수로(63a)가 형성된 연결부(63)를 포함하여, 상기 배수관(50)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용기본체(61)에 수집된 후 상기 배수로(63a)를 통해 상기 물탱크(12)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50)의 단부에는 상기 집수용기(60)를 향하도록 배치된 분사노즐(52)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밸브(51)는 전자개폐밸브를 이용하며, 상기 배수관(50)의 단부 또는 상기 집수용기(6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 또는 티슈(1)가 근접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70)과, 상기 근접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밸브(51)를 제어하는 제어유닛(8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관(50)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8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배수관(5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는 급수관(40)에 연결된 배수관(50)이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50)의 단부에서 배출되는 물로 티슈(1)를 적셔 손쉽게 물티슈를 만들 수 있으므로, 물티슈를 항상 휴대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좌변기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를 도시한 것으로, 변기본체(10)와, 상기 변기본체(10)에 구비된 좌대(20)와, 상기 좌대(2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커버(30)를 포함하는 것은 종래의 좌변기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변기본체(10)는 상면 중앙부에 용변부(11a)가 오목하게 형성된 착석부(11)와, 상기 착석부(11)의 후측 상면에 구비된 물탱크(12)로 구성된다.
상기 물탱크(12)는 급수관(40)에 연결되어 항상 내부에 일정수량의 물이 저장되며, 용변 후 물탱크(12)에 구비된 배수밸브(12a)를 조작하면 물탱크(12) 내부의 물이 용변부(11a)로 공급되어 용변부(11a) 내부의 배설물이 정화조 등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급수관(40)에 연결되며 개폐밸브(51)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관(50)과, 상기 배수관(50)의 하측에 구비되어 배수관(50)에서 배출된 물을 수집하는 집수용기(6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배수관(50)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파이프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물탱크(12)를 통과하여 상기 집수용기(60)에 대응되며 선단부에는 분사노즐(5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50)의 선단부는 상기 집수용기(60)를 향하도록 하측으로 벤딩되어 배수관(50)을 통해 공급된 물이 분사노즐(52)을 통해 상기 집수용기(60)의 상부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밸브(51)는 상기 배수관(5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조작하면 상기 배수관(50) 내부의 유로를 개방하여 급수관(40)을 통해 공급된 물이 상기 분사노즐(52)을 통해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51)는 사용자가 조작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수관(50) 내부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하는 자동개폐밸브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51)는 상기 물탱크(12)의 전면에 고정설치되어, 사용자가 좌대(20)에 앉은 상태에서 개폐밸브(51)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수용기(60)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본체(61)와, 다수개의 배수공(62a)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61)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면에 올려진 티슈(1)를 지지하는 지지패널(62)과, 상기 용기본체(6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물탱크(12)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용기본체(61)의 내부와 물탱크(12)를 연결하는 배수로(63a)가 형성된 연결부(63)로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61)는 상기 분사노즐(52)의 하측에 위치되어 분사노즐(52)을 통해 분사된 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패널(62)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판재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본체(61) 상측의 개구부를 덮도록 용기본체(61)의 내부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63)는 배수로(63a)가 물탱크(12)에 저장된 물의 수면보다 상측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52)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지지부재(62)의 배수공(62a)을 통해 용기본체(61)에 수집된 후 상기 배수로(63a)를 통해 물탱크(12)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50)과 집수용기(6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12)의 일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좌대(20)에 앉은 사용자가 움직일 때 배수관(50) 또는 용기본체(61)가 거치적거리게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변기는 사용자가 상기 집수용기(60)의 지지부재(62) 상면에 티슈(1)를 올려놓은 후 상기 개폐밸브(51)를 조작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배수관(50)의 분사노즐(52)을 통해 티슈(1)의 상면으로 물이 분사되어 물티슈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물티슈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화장실에 배치된 보통의 티슈(1)를 이용하여 손쉽게 물티슈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배수관(50)의 단부에는 분사노즐(52)이 구비되어, 배수관(50)을 통해 공급된 물이 미세하게 분사되어 상기 지지부재(62)에 올려진 티슈(1)에 균일하게 분사되어 티슈(1)가 균일하게 젖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50)의 하측에는 집수용기(60)가 구비되므로, 배수관(50)에서 배출된 물이 화장실의 바닥에 떨어져 화장실 바닥이 젖거나 바닥에 떨어진 물이 튀어서 사용자의 바지 등에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집수용기(60)는 물탱크(12)에 연결되어 수집된 물을 물탱크(12)로 배출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물탱크(12)가 없이 급수관(40)이 직접 착석부(11)로 연결된 종류의 좌변기의 경우, 상기 집수용기(60)는 상기 착석부(11)에 연결되어 착석부(11) 내부의 용변부(11a)로 물을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개폐밸브(51)는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전자개폐밸브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집수용기(60)에는 사용자의 손이나 티슈(1)가 근접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70)이 구비되고, 상기 근접감지수단(70)에는 상기 개폐밸브(51)를 제어하는 제어유닛(80)이 연결된다.
상기 근접감지수단(70)은 일반적인 발광부와 수광부가 구비된 적외선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61)의 상측둘레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62)에 티슈(1)를 올려놓으면 이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근접감지수단(70)의 신호를 감시하여,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62)에 티슈(1)를 올려놓은 것이 감지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전자개폐밸브를 제어하여 배수관(50) 내부의 유로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분사노즐(52)을 통해 물이 분사되어 티슈(1)를 적실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50)의 중간부에는 상기 제어유닛(8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히터(90)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80)은 상기 전자개폐밸브를 개방하여 배수관(50) 내부의 유로를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히터(90)를 작동시켜 배수관(50)을 통해 공급되어 배출되는 물을 적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좌변기는 사용자가 상기 집수용기(60)의 상면에 티슈(1)를 올려놓으면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여 티슈(1)가 젖도록 함으로, 사용자가 개폐밸브(51)를 조작하여야 하는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수관(50)의 중간부에는 히터(90)가 구비되어 배수관(50)에서 배출되는 물을 적절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한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을 때 티슈(1)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가 지나치게 낮아서 사용자가 물에 젖은 티슈(1)를 사용할 때 차가움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근접감지수단(70)은 상기 용기본체(61)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근접감지수단(70)은 상기 배수관(50)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변기본체 20. 좌대
30. 커버 40. 급수관
50. 배수관 60. 접수용기
70. 근접감지수단 80. 제어유닛
90. 히터

Claims (5)

  1. 물탱크(12)를 가진 변기본체(10)와,
    상기 변기본체(10)에 구비된 좌대(20)와,
    상기 좌대(2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된 커버(30)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40)에 연결된 배수관(50)과,
    상기 배수관(50)의 중간부에 연결된 개폐밸브(51)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수관(50)으로 배출되는 물로 티슈(1)를 적셔 물티슈를 만들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50)의 하측에는 상기 배수관(50)에서 배출된 물을 수집하는 집수용기(60)가 구비되며,
    상기 집수용기(60)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본체(61)와,
    다수개의 배수공(62a)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본체(61)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면에 올려진 상기 티슈(1)를 지지하는 지지패널(62)과,
    상기 용기본체(6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12)의 일측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용기본체(61)의 내부와 상기 물탱크(12)의 내부를 연결하는 배수로(63a)가 형성된 연결부(63)를 포함하여,
    상기 배수관(50)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용기본체(61)에 수집된 후 상기 배수로(63a)를 통해 상기 물탱크(12)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50)의 단부에는 상기 집수용기(60)를 향하도록 배치된 분사노즐(5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51)는 전자개폐밸브를 이용하며,
    상기 배수관(50)의 단부 또는 상기 집수용기(6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 또는 티슈(1)가 근접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감지수단(70)과,
    상기 근접감지수단(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개폐밸브(51)를 제어하는 제어유닛(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50)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8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배수관(5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KR2020120008602U 2012-09-25 2012-09-25 좌변기 KR200463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602U KR200463869Y1 (ko) 2012-09-25 2012-09-25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602U KR200463869Y1 (ko) 2012-09-25 2012-09-25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869Y1 true KR200463869Y1 (ko) 2012-11-30

Family

ID=4756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602U KR200463869Y1 (ko) 2012-09-25 2012-09-25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86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203Y1 (ko) 2004-08-19 2004-11-17 강호철 환자용 침대
KR100696369B1 (ko) 2005-09-08 2007-03-19 손종원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KR200462813Y1 (ko) 2012-03-29 2012-10-02 (주)서이 비데용 쑥 엑기스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203Y1 (ko) 2004-08-19 2004-11-17 강호철 환자용 침대
KR100696369B1 (ko) 2005-09-08 2007-03-19 손종원 벤트어댑터를 이용한 건강진단장치
KR200462813Y1 (ko) 2012-03-29 2012-10-02 (주)서이 비데용 쑥 엑기스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35376B (zh) 一种智能护理床垫
US7802323B2 (en) Portable toilet
CN104088347A (zh) 全自动节水防溅臀蹲坐两用便器
KR102007945B1 (ko) 스마트 양변기
KR200463869Y1 (ko) 좌변기
JP3140480U (ja) 便座自動洗浄装置
US20090044324A1 (en) Bidet toilet seat apparatus and system for its use
KR101257204B1 (ko) 자동 작동 변기
CN203677425U (zh) 一种智能护理床垫
CN203924285U (zh) 一种设置在马桶上的防尿溅装置
KR102007946B1 (ko) 스마트 양변기
CA2369603C (en) Commode-urinal
CN211898720U (zh) 一种医用挂式洗手池
KR200487235Y1 (ko) 좌변기용 소변 튐 방지장치
JP3156625U (ja) 洋式便器に設置する小便器
CN106968308B (zh) 自动座便器
CN104594480A (zh) 一种自动冲水的坐便器及其控制方法
CN214712286U (zh) 一种三层马桶盖
CN205296330U (zh) 一种旁挂式便洁器
CN203866940U (zh) 一种马桶上自动防尿溅装置
CN204163168U (zh) 一种马桶上防尿溅装置
CN103993638B (zh) 一种马桶上防尿溅装置
KR101359284B1 (ko) 여성 전용 소변기
CN220521491U (zh) 一种男性站立小便时防止尿液飞溅的马桶
CN203878699U (zh) 带沙发式固定椅的防溅水的坐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