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389U -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389U
KR20230001389U KR2020210003978U KR20210003978U KR20230001389U KR 20230001389 U KR20230001389 U KR 20230001389U KR 2020210003978 U KR2020210003978 U KR 2020210003978U KR 20210003978 U KR20210003978 U KR 20210003978U KR 20230001389 U KR20230001389 U KR 202300013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oilet bowl
unit
toilet
sea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용
Original Assignee
강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용 filed Critical 강성용
Priority to KR2020210003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389U/ko
Publication of KR202300013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38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탈취장치는, 용변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양변기 보울의 상부면에 거치되고, 사용자의 둔부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의 시트본체부; 상기 시트본체부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시트본체부의 하부면과 양변기 보울의 상부면 사이를 밀착시키는 구조이며, 사용자의 둔부, 시트본체부와 함께 양변기 보울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의 밀착고정부; 상기 시트본체부의 후방 하부면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로부터 양변기 보울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시트본체부의 전방 하부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를 통해 다시 양변기 보울 내부로 주입시키는 악취정화부; 상기 시트본체부 내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착석검출부; 및 상기 시트본체부 내부에 장착되고, 착석검출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악취정화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양변기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소변 및 대변이 양변기 내에 수납된 물에 낙하하여 발생하는 악취까지 모두 제거할 수 있는 양변기용 탈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Deodorizing Device For Toilet Bowl Having Odor Removal Structure}
본 고안은 양변기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에 장착되어 양변기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洋便器, A toilet stool / 좌변기)는 사람이 걸터앉아 용변(用便: 대변이나 소변을 배출하는 행위)을 보게 된 서양식의 수세식 변기를 말함은 통상적으로 주지된 사실이며, 용변 시 체내의 배설기관(排泄器官, Eliminatory organ)으로부터 배출되는 대소변은 그 즉시 심한 악취를 풍기게 마련이다.
정확히는, 사용자가 상기의 양변기 좌대에 착석한 채 용변행위로써 배출되는 배설물(대소변)은 소량이 담수(湛水 : 괸 물)된 변기 몸체의 배설공간 내로 낙하하는 극한 시간 동안에 대부분의 악취가 풍겨나는 것이며, 침수된 이후에도 기포를 통해 외부로 분출됨에 따라 주변인에게 심한 불쾌감을 주게 된다.
더불어, 전술된 바와 같이 용변시에 발생하는 생리적 소음 및 소변이 담수에 잠수하는 그 순간의 마찰음때문에, 타인에게 자신이 용변 중임을 알리게 된다는 수치심을 의식하게 하며, 특히 이러한 현상은 용변 보는 일을 은밀하고도 부끄럽게 생각하는 여성들에게 있어 크나큰 스트레스가 된다.
때문에, 대부분의 여성들 뿐만 아니라 일부 남성들까지도 용변과 동시에 로우탱크(저수조) 일측에 마련된 레버(또는 버튼)를 조작하여 물을 내리는 행동을 취함으로써 배설물의 냄새와 생리적 소음을 상쇄(相殺)시키려 부단히도 애쓰고 있다.
그러나, 이는 수돗물의 낭비를 심화시킬 뿐만 아니라 대소변이 배설되는 그 순간에 풍겨나는 악취까지 제거함은 불가능하다. 한편, 최근 들어 개시된 에티켓 벨[Etiquette-Bell, 위장음(僞裝音) 발생기]은 인위적인 전자음을 출력함에 따른 것이어서 또 다른 소음으로 느낄 수밖에 없고, 그의 작동을 위해서 사용자가 용변시마다 버튼을 직접 조작함으로 용변소음을 감추려는 행위를 노출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다.
또한, 하수관(정화조)으로 하향 배출토록 하는 방식의 악취제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악취의 강제 배출 후 그의 역류현상을 즉시 차단해야 함은 필연적이다 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가 개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양변기는 양변기 보울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수관으로 배출하는 구조로서, 양변기 보울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없어, 일부 악취만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91641호 (등록일자: 2005년05월18일)
본 고안의 목적은, 양변기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소변 및 대변이 양변기 내에 수납된 물에 낙하하여 발생하는 악취까지 모두 제거할 수 있는 양변기용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양변기용 탈취장치는, 용변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양변기 보울의 상부면에 거치되고, 사용자의 둔부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의 시트본체부; 상기 시트본체부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시트본체부의 하부면과 양변기 보울의 상부면 사이를 밀착시키는 구조이며, 사용자의 둔부, 시트본체부와 함께 양변기 보울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의 밀착고정부; 상기 시트본체부의 후방 하부면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로부터 양변기 보울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시트본체부의 전방 하부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를 통해 다시 양변기 보울 내부로 주입시키는 악취정화부; 상기 시트본체부 내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착석검출부; 및 상기 시트본체부 내부에 장착되고, 착석검출부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악취정화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취정화부는, 상기 밀착고정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공기흡입구와 연통되어 공기흡입구와 공기유동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구조의 공기흡입라인; 상기 밀착고정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공기배출구와 연통되어 공기유동부와 공기배출구를 서로 연통시키는 구조의 공기배출라인; 상기 밀착고정부의 후방 중앙부에 내장되고, 공기흡입라인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배출라인으로 유동시키는 공기유동부; 상기 공기유동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공기흡입라인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부유하는 냄새입자를 흡착하여 정화처리하는 공기필터; 및 상기 밀착고정부의 후방 중앙부에 내장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공기유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악취정화부는, 상기 공기필터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공기필터에 의해 정화처리된 공기에 향기를 주입하는 향기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용 탈취장치는, 상기 양변기 보울의 내측 전방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양변기 보울의 내측면을 따라 양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공기배출구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양변기 보울의 후방을 향해 분사하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양변기의 보울 상부면을 덮어 씌우는 형태의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전방에어커튼 형성부; 및 상기 양변기 보울의 내측 양측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양변기 보울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공기배출구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양변기 보울의 중앙을 향해 분사하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양변기의 보울 상부면을 덮어 씌우는 형태의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양변기용 탈취장치는, 상기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는, 상기 양변기 보울의 내측 좌측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좌측장착부; 및 상기 양변기 보울의 내측 우측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좌측장착부와 전후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우측장착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의 좌측장착부와 우측장착부에 의해 양변기 보울의 후방 내측에 공기의 소용돌이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흡입구는 공기의 소용돌이가 형성되는 중심을 감싸는 소정 길이의 반경을 가지는 원형태로 시트본체부의 후방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변기용 탈취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시트본체부, 밀착고정부, 악취정화부, 착석검출부 및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양변기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소변 및 대변이 양변기 내에 수납된 물에 낙하하여 발생하는 악취까지 모두 제거할 수 있는 양변기용 탈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양변기용 탈취장치에 따르면,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흡입라인, 공기배출라인, 전방에어커튼 형성부 및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를 구비함으로써, 양변기 보울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양변기 보울 내부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성장하는 공기 소용돌이를 형성하여 양변기 보울 내부의 악취를 공기흡입구를 통해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정화처리할 수 있어 양변기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소변 및 대변이 양변기 내에 수납된 물에 낙하하여 발생하는 악취까지 모두 제거할 수 있는 양변기용 탈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악취제거 양변기를 나타내는 절단면도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탈취장치를 양변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양변기용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양변기용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B-B'선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양변기용 탈취장치의 악취정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악취정화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탈취장치를 양변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탈취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시트본체부(110), 밀착고정부(120), 악취정화부(130), 착석검출부(140) 및 제어부(150)를 구비함으로써, 양변기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소변 및 대변이 양변기 내에 수납된 물에 낙하하여 발생하는 악취까지 모두 제거할 수 있는 양변기용 탈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탈취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양변기용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양변기용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B-B'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양변기용 탈취장치의 악취정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탈취장치(100)의 시트본체부(110)는, 용변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양변기 보울(11)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둔부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착고정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본체부(110)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시트본체부(110)의 하부면과 양변기 보울의 상부면 사이를 밀착시키는 구조이다. 이때, 밀착고정부(120)는, 사용자의 둔부, 시트본체부(110)와 함께 양변기 보울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악취정화부(130)는, 시트본체부(110)의 후방 하부면에 형성된 공기흡입구(130a)로부터 양변기 보울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시트본체부(110)의 전방 하부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130b)를 통해 다시 양변기 보울 내부로 주입시키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착석검출부(140)는, 시트본체부(110)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시트본체부(110)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착석검출부(14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악취정화부(13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악취정화부(130)는, 특정 구조의 공기흡입라인(131), 공기배출라인(132), 공기유동부(133), 공기필터(134) 및 전력공급부(135)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악취정화부(130)의 공기흡입라인(131)은, 밀착고정부(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공기흡입구(130a)와 연통되어 공기흡입구(130a)와 공기유동부(133)를 서로 연통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공기배출라인(132)은, 밀착고정부(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공기배출구(130b)와 연통되어 공기유동부(133)와 공기배출구(130b)를 서로 연통시키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악취정화부(130)의 공기유동부(133)는, 밀착고정부(120)의 후방 중앙부에 내장되는 구성으로서, 공기흡입라인(131)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배출라인(132)으로 유동시키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필터(134)는, 공기유동부(133)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공기흡입라인(131)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부유하는 냄새입자를 흡착하여 정화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부(135)는, 밀착고정부(120)의 후방 중앙부에 내장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공기유동부(133)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필터(134)와 인접하여 향기처리부(136)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향기처리부(136)는, 공기필터(134)에 의해 정화처리된 공기에 향기를 주입할 수 있다. 향기처리부(136)에 의해 주입될 수 있는 향기의 예시로서, 샤프란 향기, 쟈스민 향기, 쿨 민트 향기를 들 수 있다.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악취정화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용 탈취장치(10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전방에어커튼 형성부(160) 및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17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에어커튼 형성부(160)는, 양변기 보울의 내측 전방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양변기 보울의 내측면을 따라 양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다. 이때, 전방에어커튼 형성부(160)는, 공기배출구(130b)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양변기 보울의 후방을 향해 분사하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양변기의 보울 상부면을 덮어 씌우는 형태의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170)는, 양변기 보울의 내측 양측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양변기 보울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다. 이대,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170)는, 공기배출구(130b)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양변기 보울의 중앙을 향해 분사하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양변기의 보울 상부면을 덮어 씌우는 형태의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1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으로 분리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좌측장착부(171) 및 우측장착부(172)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170)의 좌측장착부(171)는, 양변기 보울의 내측 좌측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공기배출구(130b)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양변기 보울의 중앙을 향해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또한,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170)의 우측장착부(172)는, 양변기 보울의 내측 우측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좌측장착부(171)와 전후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170)의 좌측장착부(171)와 우측장착부(172)에 의해 양변기 보울의 후방 내측에 공기의 소용돌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기흡입구(130a)는 공기의 소용돌이가 형성되는 중심을 감싸는 소정 길이의 반경을 가지는 원형태로 시트본체부(110)의 후방 하부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위치에 배치되는 공기흡입라인(131), 공기배출라인(132), 전방에어커튼 형성부(160) 및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170)를 구비함으로써, 양변기 보울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양변기 보울 내부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성장하는 공기 소용돌이를 형성하여 양변기 보울 내부의 악취를 공기흡입구(130a)를 통해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정화처리할 수 있어 양변기 사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배출되는 소변 및 대변이 양변기 내에 수납된 물에 낙하하여 발생하는 악취까지 모두 제거할 수 있는 양변기용 탈취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1: 양변기 보울
12: 세척수 탱크
13: 림
14: 출수구
100: 양변기용 탈취장치
110: 시트본체부
120: 밀착고정부
130: 악취정화부
130a: 공기흡입구
130b: 공기배출구
131: 공기흡입라인
132: 공기배출라인
133: 공기유동부
134: 공기필터
135: 전력공급부
136: 향기처리부
140: 착석검출부
150: 제어부
160: 전방에어커튼 형성부
170: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
171: 좌측장착부
172: 우측장착부

Claims (5)

  1. 용변을 수납하는 공간이 형성된 양변기 보울(11)의 상부면에 거치되고, 사용자의 둔부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의 시트본체부(110);
    상기 시트본체부(11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시트본체부(110)의 하부면과 양변기 보울의 상부면 사이를 밀착시키는 구조이며, 사용자의 둔부, 시트본체부(110)와 함께 양변기 보울 내부를 밀폐하는 구조의 밀착고정부(120);
    상기 시트본체부(110)의 후방 하부면에 형성된 공기흡입구(130a)로부터 양변기 보울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시트본체부(110)의 전방 하부면에 형성된 공기배출구(130b)를 통해 다시 양변기 보울 내부로 주입시키는 악취정화부(130);
    상기 시트본체부(110) 내부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착석 여부를 검출한 후,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150)에 전달하는 착석검출부(140); 및
    상기 시트본체부(110) 내부에 장착되고, 착석검출부(14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악취정화부(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정화부(130)는,
    상기 밀착고정부(120)의 내부에 형성되고, 공기흡입구(130a)와 연통되어 공기흡입구(130a)와 공기유동부(133)를 서로 연통시키는 구조의 공기흡입라인(131);
    상기 밀착고정부(120)의 내부에 형성되고, 공기배출구(130b)와 연통되어 공기유동부(133)와 공기배출구(130b)를 서로 연통시키는 구조의 공기배출라인(132);
    상기 밀착고정부(120)의 후방 중앙부에 내장되고, 공기흡입라인(131)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배출라인(132)으로 유동시키는 공기유동부(133);
    상기 공기유동부(133)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공기흡입라인(131)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부유하는 냄새입자를 흡착하여 정화처리하는 공기필터(134); 및
    상기 밀착고정부(120)의 후방 중앙부에 내장되고,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공기유동부(13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13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정화부(130)는,
    상기 공기필터(134)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공기필터(134)에 의해 정화처리된 공기에 향기를 주입하는 향기처리부(13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용 탈취장치는,
    상기 양변기 보울의 내측 전방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양변기 보울의 내측면을 따라 양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공기배출구(130b)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양변기 보울의 후방을 향해 분사하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양변기의 보울 상부면을 덮어 씌우는 형태의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전방에어커튼 형성부(160); 및
    상기 양변기 보울의 내측 양측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양변기 보울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공기배출구(130b)로부터 전달되는 공기를 양변기 보울의 중앙을 향해 분사하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양변기의 보울 상부면을 덮어 씌우는 형태의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용 탈취장치는,
    상기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170)는,
    상기 양변기 보울의 내측 좌측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좌측장착부(171);
    상기 양변기 보울의 내측 우측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좌측장착부(171)와 전후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우측장착부(172);
    를 포함하고,
    상기 양측방에어커튼 형성부(170)의 좌측장착부(171)와 우측장착부(172)에 의해 양변기 보울의 후방 내측에 공기의 소용돌이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흡입구(130a)는 공기의 소용돌이가 형성되는 중심을 감싸는 소정 길이의 반경을 가지는 원형태로 시트본체부(110)의 후방 하부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KR2020210003978U 2021-12-29 2021-12-29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KR2023000138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78U KR20230001389U (ko) 2021-12-29 2021-12-29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978U KR20230001389U (ko) 2021-12-29 2021-12-29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389U true KR20230001389U (ko) 2023-07-06

Family

ID=8715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978U KR20230001389U (ko) 2021-12-29 2021-12-29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38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641B1 (ko) 2002-10-28 2005-05-30 이복식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641B1 (ko) 2002-10-28 2005-05-30 이복식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717Y1 (ko) 좌변기용 냄새제거장치
JPH08302796A (ja) 水洗便器用泡発生装置
KR20190061457A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KR101656137B1 (ko) 악취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230001389U (ko)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용 탈취장치
US6823532B1 (en) Malodor control systems for toilets
JP2007092493A (ja) トイレ消臭芳香装置
KR102407222B1 (ko) 악취제거구조를 포함하는 양변기
KR20150142383A (ko) 변기 악취제거장치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438551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101710832B1 (ko) 악취배출 장치
CN107923171B (zh) 便器除臭装置
JP2551868Y2 (ja) 脱臭便器
JPH10159152A (ja) 悪臭源遮蔽用発泡装置および泡沫式悪臭源遮蔽方法
KR200219365Y1 (ko) 좌변기 악취 제거 장치
KR102169150B1 (ko) 직수식 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JP5170546B2 (ja) 排泄物自動処理装置
KR20200037713A (ko) 수처리를 통한 악취제거장치
TWI797371B (zh) 廁所空間用除臭裝置以及衛生洗淨裝置
KR102110953B1 (ko) 원피스 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0438550Y1 (ko) 악취제거 및 그의 역류방지를 위한 양변기
KR20100126989A (ko) 변기장치
JP2680343B2 (ja) 脱臭機能を有する水洗便器
KR20040020232A (ko) 좌변기의 냄새 소멸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