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730B1 - 비데용 버블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용 버블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730B1
KR101960730B1 KR1020170176220A KR20170176220A KR101960730B1 KR 101960730 B1 KR101960730 B1 KR 101960730B1 KR 1020170176220 A KR1020170176220 A KR 1020170176220A KR 20170176220 A KR20170176220 A KR 20170176220A KR 101960730 B1 KR101960730 B1 KR 101960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cleaning liquid
screw pump
cylind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범석
황현식
박광훈
Original Assignee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비앤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에어펌프 및 워터펌프 그리고 변기의 볼에 버블을 배출하는 버블 노즐과 관로로 연결되되, 세정액 통부와, 버블 생성 통부를 구비하고 비데 제어부의 신호로 작동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블 도포장치는,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 통부와; 상기 세정액 통부의 상부에 조립 설치되는 버블 생성 통부와; 상기 버블 생성 통부의 내부를 거쳐 세정액 통부의 바닥에 닿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류 펌프부와,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스크류 펌프부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버블 생성 통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스크류펌프를 회전시켜 일정량의 세정액을 정확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데용 버블 도포 장치{Coating apparatus of bubble for bidet}
본 발명은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버블 생성 통에 세정액을 공급함에 있어 버블 생성 통을 통해 세정액 통까지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펌프부를 작동시켜 일정량의 세정액을 버블 생성 통에 신속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는, 이미 널리 개시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등록실용신안 제20-0313302호 "비데의 부가용액 투입장치", 등록실용신안 제20-0351198호 "공급수로를 갖는 거품 발생기가 장착된 비데", 공개특허 제10-2013-0109918호 "버블공급기구를 구비한 도기세정장치 및 도기 세정장치의 세정방법", 등록특허 제10-1577681호 "거품공급장치"등을 참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313302호"는, 세정액, 기능성 약품, 방향제등 향료, 또는 살균제 등을 부가용액투입장치에 설치된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로 부가액통을 가압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는 부가액을 직접 공급하는 것이 아닌 슬라이더를 전후진시키는 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351198호는, 거품발생하우징에 세제통이 직각으로 결합되는 거품발생기로 직각으로 설치됨에 따라 전체적인 부피가 크고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더라도 남아있는 세제 액이 소량일 경우 세제통의 압력 약화로 정량이 배출되지 않아 거품발생이 풍부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 제10-2013-0109918호는, 버블공급기구로써, 세정액이 혼합되는 혼합탱크에 구비된 버블발생부에서 임펠러에 의하여 생성된 버블이 버블배출부를 통해 도기에 배출되도록 하고 있지만, 정량펌프 외에 혼합탱크의 일측에 구비된 임펠러가 세정액 혼합된 원수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버블을 발생시키는 구조임에 따라 버블공급기의 전체적인 부피가 크고 호수로 많은 부품들이 연결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 제10-1577681호는, 세정액이 저장된 제1통과 거품을 생성하도록 기포발생부재를 구비한 제2통을 한 몸체로 형성하고 있고, 세정액공급관과 액이송관을 거친 물과 세정액이 맞닥뜨린 제2통 내의 기포발생부재에 공기가 공급되면 기포가 발생하여 자동 공급되도록 하고 있지만, 물과 세정액이 섞일 때 세정액의 정량 공급이 불투명한 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실용신안 제20-0313302호 "비데의 부가용액 투입장치" (공고 2003.05.14.) [특허문헌 0002] 등록실용신안 제20-0351198호 "공급수로를 갖는 거품 발생기가 장착된 비데"(공고 2004.05.20.) [특허문헌 0003] 공개특허 제10-2013-0109918호 "버블공급기구를 구비한 도기세정장치 및 도기 세정장치의 세정방법"(공개 2013.10.08.) [특허문헌 0004] 등록특허 제10-1577681호 "거품공급장치"(2015.12.1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버블 생성 통에 세정액을 공급함에 있어 버블 생성 통을 통해 세정액 통까지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펌프부를 작동시켜 정량의 세정액을 버블 생성 통에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정액 통 위에 버블 생성 통을 위치시켜 세정액을 스크류펌프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버블 생성 통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버블 생성 통에서의 버블 생성과 변기의 볼에 대한 버블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펌프 및 워터펌프 그리고 변기의 볼에 버블을 배출하는 버블 노즐과 관로로 연결되되, 세정액 통부와, 버블 생성 통부를 구비하고 비데 제어부의 신호로 작동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블 도포장치는,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 통부와; 상기 세정액 통부의 상부에 조립 설치되는 버블 생성 통부와; 상기 버블 생성 통부의 내부를 거쳐 세정액 통부의 바닥에 닿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류 펌프부와,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스크류 펌프부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버블 생성 통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정액 통부는, 스크류 축 홈이 형성되는 통 바닥판과, 상기 통 바닥판상에 조립되되 버블 생성 통부의 삽입용 중공관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삽입용 홀이 뚫려 형성되고, 상기 관삽입용 홀의 일 측에 세정액 보충용 액 보충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통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블 생성 통부는, 외부에 삽입용 중공관을 바닥에 돌출시켜 형성하고 내부에 버블이 채워지는 버블 챔버가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버블 통과;상기 버블 챔버를 형성한 버블 통을 밀봉하도록 버블 통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되, 중심에 경사진 세정액 유출로의 일 측에 패킹 설치 홀과 타 측에 세정액 이동 파이프가 하부에 결합되는 세정액 유도관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 챔버의 둘레에 버블 챔버와 연통되고 버블 노즐과 관로로 연결되는 버블 배출구와, 상기 에어펌프 및 워터펌프와 관로로 연결되는 에어 주입구 및 워터 주입구가 형성되는 통 덮개와; 상기 세정액 유출로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통 덮개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되, 스크류 축 홀이 뚫려 형성되는 세정액 유출로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정액 이동 파이프는, 스크류 펌프부와 나란히 일 측에 세정액이 흘러서 공급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세정액 이동 파이프와, 상기 세정액 이동 파이프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세정액 이동 파이프의 하단에 삽입되는 에어 밴트 밸브와, 세정액의 공급을 에어 밴트 밸브의 제어를 통하여 버블 통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정액 이동 파이프의 하단에 설치되는 에어 밴트 차단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 덮개에는, 에어펌프와 관로로 연결되는 에어 주입구에 연결되되, 버블 통의 하부 바닥에 공기를 미세하고 풍성하게 분사시켜 버블이 발생하도록 하는 에어스톤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정액 유출로 덮개에는, 스크류 축 홀이 편심 위치에 뚫려 형성되되, 경사 챔버 둘레의 결합돌기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통 덮개의 경사 챔버에 억지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돌기용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 펌프부는, 버블 통의 삽입용 중공관에 삽입 설치되되, 통 바닥판에서 이격되도록 외주면에 둘레 턱이 형성되는 스크류펌프 하우징과; 상기 스크류펌프 하우징 내에 세정액 통의 세정액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통 바닥판의 스크류 축 홈에 삽입 설치되는 스크류펌프와; 통 덮개의 경사 챔버와 연통하도록 통 덮개의 패킹 설치 홀에 삽입되면서 상기 스크류펌프 하우징의 상단에 설치되되, 세정액이 일정량 씩 토출될 수 있도록 유출홈이 형성되는 토출용 패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부는, 제어부의 전기적인 신호 여부에 따라 작동하되 모터 브라켓으로 통 덮개 상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대직경의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리되 스크류펌프의 축부에 고정 설치되는 소직경의 종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브라켓은, 통 덮개의 양측에 나란히 체결되되, 일 측에 체결공이 형성되는 체결바와; 상기 체결바의 양쪽 타 측 끝단 사이를 연결하되, 세정액 유출로 덮개와 구동기어를 겹쳐 형성되는 적층 높이 위에 모터 설치용 나사공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브릿지형 설치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에 의하면, 버블 생성통에 세정액을 공급함에 있어 버블 생성통을 관통하여 세정액통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펌프 하우징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스크류펌프를 회전시켜 일정량의 세정액을 정확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의 작용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펌프(4) 및 워터펌프(6) 그리고 변기의 볼에 버블을 배출하는 버블 노즐(8)과 관로로 연결되되, 세정액 통부(30)와, 버블 생성 통부(50)를 구비하고 비데 제어부(12)의 신호로 작동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버블 도포장치(10)는,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 통부(30)와; 상기 세정액 통부(30)의 상부에 조립 설치되는 버블 생성 통부(50)와; 상기 버블 생성 통부(50)의 내부를 거쳐 세정액 통부(30)의 바닥에 닿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류 펌프부(70)와,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스크류 펌프부(7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버블 생성 통부(5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세정액 통부(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 바닥판(34)과 통 몸체(39)로 구성된다. 통 바닥판(34)은, 스크류펌프(74)가 위치하도록 하는 스크류 축 홈(32)이 형성된다. 그리고 통 몸체(39)는, 상기 통 바닥판(34)상에 조립되되 버블 생성 통부(50)의 삽입용 중공관(52)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삽입용 홀(36)이 뚫려 형성되고, 상기 관삽입용 홀(36)의 일 측에 세정액 보충용 액 보충구(38)를 외부로 노출시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블 생성 통부(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블 통(54)과 통 덮개(64)와 세정액 유출로 덮개(66)로 구성된다.
상기 버블 통(54)은, 외부에 삽입용 중공관(52)을 바닥에 돌출시켜 형성하고 내부에 버블이 채워지는 버블 챔버(53)가 일정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통 덮개(64)는 상기 버블 챔버(53)를 형성한 버블 통(54)을 밀봉하도록 버블 통(54)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되, 중심에 경사진 세정액 유출로(55)의 일 측에 패킹 설치 홀(56)과 타 측에 세정액 이동 파이프(57)가 하부에 결합되는 세정액 유도관(58)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 챔버(59)의 둘레에 버블 챔버(53)와 연통되고 버블 노즐(8)과 관로로 연결되는 버블 배출구(61)와, 상기 에어펌프(4) 및 워터펌프(6)와 관로로 연결되는 에어 주입구(62) 및 워터 주입구(63)가 형성된다. 또한, 세정액 유출로 덮개(66)는, 상기 세정액 유출로(55)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통 덮개(64)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되, 스크류 축 홀(65)이 뚫려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정액 이동 파이프(5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펌프부(70)와 나란히 일 측에 세정액이 흘러서 공급될 수 있도록 세정액 유도관(58)에 설치되되, 상기 세정액 이동 파이프(57)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세정액 이동 파이프(57)의 하단에 삽입되는 에어 밴트 밸브(67)와, 세정액의 공급을 에어 밴트 밸브(67)의 제어를 통하여 버블 통(54)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정액 이동 파이프(57)의 하단에 설치되는 에어밴트 차단 브라켓(6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통 덮개(64)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펌프(4)와 관로로 연결되는 에어 주입구(62)에 연결되되, 버블 통(54)의 하부 바닥에 공기를 미세하고 풍성하게 분사시켜 버블이 발생하도록 하는 에어스톤(69)이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세정액 유출로 덮개(66)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축 홀(65)이 편심 위치에 뚫려 형성되되, 경사 챔버(59) 둘레의 결합돌기(59a)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통 덮개(64)의 경사 챔버(59)에 억지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돌기용 홀(59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 펌프부(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펌프 하우징(72)과 스크류펌프(74)와 토출용 패킹(76)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펌프 하우징(72)는, 버블 통(54)의 삽입용 중공관(52)에 삽입 설치되되, 통 바닥판(34)에서 이격되도록 외주면에 둘레 턱(73)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크류펌프(74)는, 상기 스크류펌프 하우징 (72)내에 세정액 통(39)의 세정액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통 바닥판(34)의 스크류 축 홈(32)에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토출용 패킹(76)은 통 덮개(64)의 경사 챔버(59)와 연통하도록 통 덮개(64)의 패킹 설치 홀(56)에 삽입되면서 상기 스크류펌프 하우징(72)의 상단에 설치되되, 세정액이 일정량 씩 토출될 수 있도록 유출홈(7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부(9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의 전기적인 신호 여부에 따라 작동하되 모터 브라켓(91)으로 통 덮개(64) 상에 설치되는 모터(92)와, 상기 모터(9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대직경의 구동기어(94)와, 상기 구동기어(94)에 맞물리되 스크류펌프(74)의 축부(74a)에 고정 설치되는 소직경의 종동기어(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모터(92)가 설치되는 모터 브라켓(91)은, 통 덮개(64)의 양측에 나란히 체결되되, 일 측에 체결공(97a)이 형성되는 체결바(97)와; 상기 체결바(97)의 양쪽 타 측 끝단 사이를 연결하되, 세정액 유출로 덮개(66)와 구동기어(94)를 겹쳐 형성되는 적층 높이 위에 모터 설치용 나사공(98a)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브릿지형 설치대(9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비데를 작동시켜 물을 흘려보내게 되면, 제어부(12)는 모터(92), 워터펌프(6), 에어펌프(4)순으로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모터(92)가 작동하면, 구동기어(94)와 스크류펌프(74)의 축부(74a)에 설치된 종동기어(96)는 회전하여 스크류펌프(74)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펌프(74)는 회전하는데, 이때 세정액 통(39)에 충진된 세정액을 펌핑하게 된다. 세정액은 펌핑을 통해 상승하여 토출용 패킹(76)을 통해 통 덮개(64)에 마련된 경사 챔버(59) 내부로 유출된다. 세정액은 토출용 패킹(76)의 유출홈(75)을 통해 일정량 씩 유출된다.
경사 챔버(59)에 유출된 세정액은 경사진 세정액 유출로(55)를 따라 흐른 후 세정액 유도관(58)을 통해 아래로 낙하한다. 이후 세정액은 세정액 유도관(58)을 따라 흘러내리고 세정액 이동 파이프(57)를 도달된 후 개방되는 에어 밴트 밸브(67)를 통해 에어밴트 차단 브라켓(68)를 거쳐 버블 생성 통(54)의 버블 챔버(53)에 토출된다.
이때, 에어펌프(4)와 워터펌프(6)의 작동으로 통 덮개(64)에 관로로 연결된 에어 주입구(62) 및 워터 주입구(63)를 통해 버블 챔버(53)에 공기와 물이 충진되는데, 에어 주입구(62)에 연결되고 버블 생성 통(54)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에어스톤(69)은, 물과 섞인 세정액에 공기를 배출함에 따라 버블 챔버(53)를 가득채우도록 버블을 발생시킨다.
상기 버블 챔버(53)를 채운 버블은, 버블 배출구(61)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함께 변기의 볼을 향해 설치된 버블 노즐(8)을 통해 변기의 볼에 배출된다. 즉, 변기의 볼 내 오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세척수와 함께 배출된 버블은 변기의 볼 내부를 가득 채우게 된다. 이러한 버블은 변기의 볼 내에 잔류하는 냄새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볼 표면을 세척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4: 에어펌프 6: 워터펌프
8: 버블 노즐 10: 버블 도포장치
12: 비데 제어부 30: 세정액 통부
32: 스크류 축 홈 34: 통 바닥판
36: 관삽입용 홀 38: 액 보충구
39: 통 몸체 50: 버블 생성 통부
52: 삽입용 중공관 53: 버블 챔버
54: 버블 통 55: 세정액 유출로
56: 패킹 설치 홀 57: 세정액 이동 파이프
58: 세정액 유도관 59: 경사 챔버
59a: 결합돌기 59b: 돌기용 홀
61: 버블 배출구 62: 에어 주입구
63: 워터 주입구 64: 통 덮개
65: 스크류 축 홀 66: 세정액 유출로 덮개
67: 에어 밴트 밸브 68: 에어 밴트 차단 브라켓
69: 에어스톤 70: 스크류 펌프부
72: 스크류펌프 하우징 73: 둘레 턱
74: 스크류펌프 74a; 축부
75: 유출홈 76: 토출용 패킹
90: 구동 모터부 91: 모터 브라켓
92: 모터 94: 구동기어
96: 종동기어

Claims (9)

  1. 에어펌프(4) 및 워터펌프(6) 그리고 변기의 볼에 버블을 배출하는 버블 노즐(8)과 관로로 연결되되, 세정액 통부(30)와, 버블 생성 통부(50)를 구비하고 비데 제어부(12)의 신호로 작동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버블 도포장치(10)는,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 통부(30)와;
    상기 세정액 통부(30)의 상부에 조립 설치되는 버블 생성 통부(50)와;
    상기 버블 생성 통부(50)의 내부를 거쳐 세정액 통부(30)의 바닥에 닿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는 스크류 펌프부(70)와,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스크류 펌프부(7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버블 생성 통부(50)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통부(30)는,
    스크류 축 홈(32)이 형성되는 통 바닥판(34)과, 상기 통 바닥판(34)상에 조립되되 버블 생성 통부(50)의 삽입용 중공관(52)이 결합될 수 있도록 관삽입용 홀(36)이 뚫려 형성되고, 상기 관삽입용 홀(36)의 일 측에 세정액 보충용 액 보충구(38)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통 몸체(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생성 통부(50)는,
    외부에 삽입용 중공관(52)을 바닥에 돌출시켜 형성하고 내부에 버블이 채워지는 버블 챔버(53)가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버블 통(54)과;
    상기 버블 챔버(53)를 형성한 버블 통(54)을 밀봉하도록 버블 통(54)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되, 중심에 경사진 세정액 유출로(55)의 일 측에 패킹 설치 홀(56)과 타 측에 세정액 이동 파이프(57)가 하부에 결합되는 세정액 유도관(58)을 형성하며, 경사 챔버(59)의 둘레에 버블 챔버(53)와 연통되고 버블 노즐(8)과 관로로 연결되는 버블 배출구(61)와, 상기 에어펌프(4) 및 워터펌프(6)와 관로로 연결되는 에어 주입구(62) 및 워터 주입구(63)가 형성되는 통 덮개(64)와;
    상기 세정액 유출로(55)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통 덮개(64)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되, 스크류 축 홀(65)이 뚫려 형성되는 세정액 유출로 덮개(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이동 파이프(57)는,
    스크류 펌프부(70)와 나란히 일 측에 세정액이 흘러서 공급될 수 있도록 세정액 유도관(58)에 설치되되, 상기 세정액 이동 파이프(57)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세정액 이동 파이프(57)의 하단에 삽입되는 에어 밴트 밸브(67)와, 세정액의 공급을 에어 밴트 밸브(67)의 제어를 통하여 버블 통(54)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정액 이동 파이프(57)의 하단에 설치되는 에어 밴트 차단 브라켓(6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 덮개(64)에는,
    에어펌프(4)와 관로로 연결되는 에어 주입구(62) 연결되되, 버블 통(54)의 하부 바닥에 공기를 미세하고 풍성하게 분사시켜 버블이 발생하도록 하는 에어스톤(69)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유출로 덮개(66)에는,
    스크류 축 홀(65)이 편심 위치에 뚫려 형성되되, 경사 챔버(59) 둘레의 결합돌기(59a)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통 덮개(64)의 경사 챔버(59)에 억지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돌기용 홀(59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펌프부(70)는,
    버블 통(54)의 삽입용 중공관(52)에 삽입 설치되되, 통 바닥판(34)에서 이격되도록 외주면에 둘레 턱(73)이 형성되는 스크류펌프 하우징(72)과; 상기 스크류펌프 하우징(72)내에 세정액 통(39)의 세정액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통 바닥판(34)의 스크류 축 홈(32)에 삽입 설치되는 스크류펌프(74)와; 통 덮개(64)의 경사 챔버(59)와 연통하도록 통 덮개(64)의 패킹 설치 홀(56)에 삽입되면서 상기 스크류펌프 하우징(72)의 상단에 설치되되, 세정액이 일정량 씩 토출될 수 있도록 유출홈(75)이 형성되는 토출용 패킹(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부(90)는,
    제어부(12)의 전기적인 신호 여부에 따라 작동하되 모터 브라켓(91)으로 통 덮개(64) 상에 설치되는 모터(92)와, 상기 모터(9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대직경의 구동기어(94)와, 상기 구동기어(94)에 맞물리되 스크류펌프(74)의 축부(74a)에 고정 설치되는 소직경의 종동기어(9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브라켓(91)은,
    통 덮개(64)의 양측에 나란히 체결되되, 일 측에 체결공(97a)이 형성되는 체결바(97)와; 상기 체결바(97)의 양쪽 타 측 끝단 사이를 연결하되, 세정액 유출로 덮개(66)와 구동기어(94)를 겹쳐서 형성되는 적층 높이 위에 모터 설치용 나사공(98a)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브릿지형 설치대(9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용 버블 도포장치.
KR1020170176220A 2017-12-20 2017-12-20 비데용 버블 도포 장치 KR101960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220A KR101960730B1 (ko) 2017-12-20 2017-12-20 비데용 버블 도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220A KR101960730B1 (ko) 2017-12-20 2017-12-20 비데용 버블 도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730B1 true KR101960730B1 (ko) 2019-07-17

Family

ID=6751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220A KR101960730B1 (ko) 2017-12-20 2017-12-20 비데용 버블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7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02Y1 (ko) 2003-02-07 2003-05-14 권병성 비데의 부가용액투입장치
KR200351198Y1 (ko) 2004-03-08 2004-05-20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공급수로를 갖는 거품 발생기가 장착된 비데
KR20130109918A (ko) 2012-03-28 2013-10-08 코웨이 주식회사 버블공급기구를 구비한 도기세정장치 및 도기세정장치의 세정방법
KR101577681B1 (ko) 2014-06-17 2015-12-15 강현덕 거품공급장치
KR101657438B1 (ko) * 2016-05-30 2016-09-19 박정길 악취제거 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02Y1 (ko) 2003-02-07 2003-05-14 권병성 비데의 부가용액투입장치
KR200351198Y1 (ko) 2004-03-08 2004-05-20 웅진코웨이개발 주식회사 공급수로를 갖는 거품 발생기가 장착된 비데
KR20130109918A (ko) 2012-03-28 2013-10-08 코웨이 주식회사 버블공급기구를 구비한 도기세정장치 및 도기세정장치의 세정방법
KR101577681B1 (ko) 2014-06-17 2015-12-15 강현덕 거품공급장치
KR101657438B1 (ko) * 2016-05-30 2016-09-19 박정길 악취제거 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4767B2 (en) Pull pumps, refill units and dispensers for pull pumps
US9539598B2 (en) Dispensers for diluting a concentrated liquid and dispensing the diluted concentrate
ES2264796T3 (es) Conjunto para acoplar una linea de fluido a una tobera giratoria.
JP5801961B2 (ja) 小便器の排出口用のインサート
JP2016506782A (ja) 容器ベントを有するポンプ
US20100205731A1 (en) Toilet flusher with the time-offset release of two substances
US20100205728A1 (en) Toilet Cleaner Dispenser with an Adjustable Substance Dispensing Amount
RU2473746C2 (ru) Смывной аппарат с запуском высвобождения действующего вещества посредством направленного на смывную воду датчика
US5881396A (en) Toilet cleaner controller device
JP2016506782A5 (ko)
PT2103241E (pt) Bomba de espuma de alta velocidade
US20100205729A1 (en) Toilet Flusher having a Defined Substance Dispensing Amount
JP5469093B2 (ja) オンタンク式トイレディスペンサ
US20100205730A1 (en) Toilet Cleaner Dispenser with Directed Substance Release
JP4470936B2 (ja) 薬液混入水吐出装置および水洗便器装置
KR101960730B1 (ko) 비데용 버블 도포 장치
CA3050986C (en) Air freshener and automated unblocking device for plumbing trap for sinks, wash basins or similar.
JP2014051831A (ja) 便器装置
JP2018053574A (ja) 便器装置
WO2005076728A2 (en) Cartridge device and method for adding supplements to a toilet cistern
JP5473308B2 (ja) 水洗便器用薬液供給装置
US20200000292A1 (en) Venting system
US20200000291A1 (en) Dispenser
JP7057237B2 (ja) 便器装置
CN217678190U (zh) 用于衣物洗涤设备的进水组件和衣物洗涤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