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598B1 - 소변기 겸용 좌변기 - Google Patents

소변기 겸용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598B1
KR102580598B1 KR1020220005205A KR20220005205A KR102580598B1 KR 102580598 B1 KR102580598 B1 KR 102580598B1 KR 1020220005205 A KR1020220005205 A KR 1020220005205A KR 20220005205 A KR20220005205 A KR 20220005205A KR 102580598 B1 KR102580598 B1 KR 102580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cover
urine
toilet seat
ur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9041A (ko
Inventor
현경범
Original Assignee
현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경범 filed Critical 현경범
Priority to KR102022000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598B1/ko
Publication of KR2023010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25Combined with wash-basins, urinals, flushing devices for chamber-pots, bed-p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로(11a)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유입로(11a)를 통해 내측으로 공급되어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되며 양측 후방부위에 힌지결합부(11b)가 구비된 보울(11)과, 상기 보울(11)로부터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수배출부(12)가 구비된 좌변기 몸체부(10);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보울(11)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 커버(31)의 양측 후방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결합부(11b)와 결합되어 상기 보울 커버(31)의 직립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결합용 힌지부(32)와, 상기 보울 커버(31)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되는 보울안착부(33)와,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부에 사용자가 착석가능하도록 하는 착석부(34)가 구비된 커버부(30); 상기 커버부(30)의 상기 보울커버(31)의 내측 전방에 위치하고, 일측 단부부위 양측이 상기 보울커버(31)의 전방 측면 하부부위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어 소변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투입되는 소변이 부딪혀 상기 보울(11)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소변유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소변기 겸용 좌변기{A Combined Urinal and Toilet Bowl}
본 발명은 보울의 세척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한 착석에 해당하는 부위를 직립 회동시켜 소변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소변기 겸용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앉아서 보는 배변을 처리하는 좌변기와, 서서 보는 소변을 처리하는 소변기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렇게 좌변기와 소변기는 각각 별도로 구비되므로, 장소를 많이 차지하고, 오수배수설비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게 된다.
이에 따라, 좌변기와 소변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소변기 겸용 양변기의 사용예는 다양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형태로는, 좌변기의 후부에 소변기를 일체형으로 되어 변기 전체를 180도 회전시켜 좌변기와 소변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이며, 이의 예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113003호(발명의 명칭: 회전형 남녀 공용 변기)가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113003호에 개시된 변기는, 물탱크 부분에 소변기를 구성하여 변기가 앞뒤로 회전하도록 하여 소변기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특허는, 변기가 회전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화장실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에 문제점이 있으며, 변기의 회전에 따라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 형태로는 좌변기 본체와는 별도로 소변기가 구비되며 소변기를 회전 또는 회동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이며, 이의 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777165호(별명의 명칭: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한국등록특허 제10-1229955호(발명의 명칭: 자동으로 회전되는 남성용 소변기를 구비한 좌변기)가 있으며, 이를 각각 도 2와 도 3에 도시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29955호에 개시된 변기는, 좌변기(100) 일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소변기(400)를 설치하여, 소변을 볼 때에는 소변기(40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특허는, 소변기(400)가 좌변기(100)의 일측에 노출되게 되고, 소변기(400)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라인 등이 노출되게 되므로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좌변기(100)가 대형으로 되어 있어 화장실을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되어 공간활용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77165호에 개시된 변기는, 소변용기(51)가 저수조(30)의 설치홈(31)에 접철되어 수납된 상태에서 소변을 볼 때에는 소변용기(51)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특허는, 전술한 한국등록특허 제10-0777165호와는 달리, 소변용기(51)가 노출되지 않아 미관을 덜 해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한국등록특허 제10-0777165호와 마찬가지로, 좌변기가 대형으로 되어 있어 화장실을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되어 공간활용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세 번째 형태로는 좌변기의 후부에 일측면이 개방된 소변기가 결합된 형태이며, 이의 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869762호(발명의 명칭: 대소변 겸용 변기), 한국등록특허 제10-1232879호(발명의 명칭: 양변기에 탈부착이 가능한 접이식 소변기)가 있으며, 이를 각각 도 4와 도 5에 도시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77165호에 개시된 변기는, 좌변기(110)의 후부에 일측면이 개방된 소변기(120)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것으로, 좌변기(110)의 상부를 덮으며 착석하도록 하는 좌판(210)과, 좌판(210)에 힌지결합되는 수직판(220)으로 이루어진 커버(200)가 구비되어, 수직판(220)에 의해 소변기(120)의 개방된 일측을 덮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변기는, 전술한 변기와는 달리, 소변을 받기 위한 부위가 직립된 형태로 되어 소변 종료시점에도 소변기(120)로 소변이 투입되게 되므로 소변기(120) 외부로 소변을 흘리는 경우가 적어 위생에 대한 문제점이 적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소변을 볼 때, 좌판(210)을 상부로 회동시키고, 다시 좌판(210) 및 수직판(220)을 동시에 상부로 회동시켜 소변기(120)의 개방된 일측을 노출시켜야 하므로, 두 번의 회동작동에 따른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소변기(120)가 좌변기(110)의 후부에 위치하므로 변기의 앞뒤 거리가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대변을 보지 않는 경우에도 화장실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에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좌변기가 대형으로 되어 있어 화장실을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되어 공간활용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32879호에 개시된 변기는, 양변기(20)의 저수조(21) 전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접이식 소변기(30)를 부착하여 소변부(32)를 90도 회동시켜 개방되도록 하고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변기는, 전술한 한국등록특허 제10-0777165호에 개시된 변기와는 달리 변기의 앞뒤 거리가 길어지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양변기(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이식 소변기(30)를 탈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 또한, 좌변기가 대형으로 되어 있어 화장실을 차지하는 면적이 크게 되어 공간활용에는 효율적이지 못하다.
네 번째 형태로는 좌변기의 보울에 소변기를 일체로 구성하여 소변을 보게 될 때에는 보울 전체를 직립회동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이며, 이의 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516646호(발명의 명칭: 양변기)가 있으며, 이를 도 6 및 도 7에 도시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16646호에 개시된 변기는, 소변받이통(300)이 대변받이통(200)의 전방에 위치하고 소변받이통(300)과 대변받이통(2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소변받이통(300)과 대변받이통(200)을 동시에 직립회동시킨 상태에서 소변받이통(300)을 통해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소변은 소변받이통(300)을 거쳐 대변받이통(200)으로 이동되고, 대변받이통(200)으로 이동된 소변은 세척수분사노즐(130)에 의해 대변받이통(200)으로 세척수를 분사되도록 하여 대변받이통(200)에 수용된 오수를 배수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변을 보게 될 때에는 소변받이통(300)과 대변받이통(200)을 동시에 직립회동시키게 되므로, 전술한 세 번째 형태인 한국등록특허 제10-0869762호에 개시된 변기와는 달리, 대변을 보지 않는 경우 화장실 공간을 많이 적게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대변받이통(200)에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하여 세척수를 담수하게 되며, 소변을 보기 위하여 소변받이통(300)과 대변받이통(200)을 동시에 직립회동시켜야 하므로, 소변받이통(300)과 대변받이통(200)의 무게와 대변받이통(200)에 담수된 물의 무게로 인해, 회동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변받이통(300)에는 소변을 대변받이통(200)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소변배수관(310)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며, 소변배수관(310)의 배출측 단부는, 대변을 보기 위해 하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대변 받이통(200)의 수위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소변받이통(300)에는 소변을 대변받이통(200)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소변배수관(310)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변기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소변받이통(300)과 대변받이통(200)을 동시에 직립회동시키게 되므로, 대변받이통(200)으로부터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150)이 플렉서블한 주름관 형태로 구비되어야 하나, 잦은 회동에 따라 배수관(150)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인 좌변기는, 사용자가 착석을 하기 위하여 넓은 면적을 갖는 보울을 구비한다. 실제로 넓은 면적의 보울에서 실제로 세척수의 담수 및 오수의 세척을 위해 필요한 부피는 작으나, 사용자의 착석을 위해 넓은 면적을 갖는 보울을 구비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착석을 위하여 보울의 크기가 커짐에 따른 보울의 대형화로 인한 무게 증가로 좌변기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보울의 대형화로 인한 세척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변을 보지 않는 경우 공간을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도록 하여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소변기의 직립회동 작동이 원활하도록 하고, 구조가 간단한 소변기 겸용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울을 소형화시켜 변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소변기 겸용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로(11a)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유입로(11a)를 통해 내측으로 공급되어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되며 양측 후방부위에 힌지결합부(11b)가 구비된 보울(11)과, 상기 보울(11)로부터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수배출부(12)가 구비된 좌변기 몸체부(10);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보울(11)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 커버(31)의 양측 후방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결합부(11b)와 결합되어 상기 보울 커버(31)의 직립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결합용 힌지부(32)와, 상기 보울 커버(31)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되는 보울안착부(33)와,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부에 사용자가 착석가능하도록 하는 착석부(34)가 구비된 커버부(30); 상기 커버부(30)의 상기 보울커버(31)의 내측 전방에 위치하고, 일측 단부부위 양측이 상기 보울커버(31)의 전방 측면 하부부위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어 소변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투입되는 소변이 부딪혀 상기 보울(11)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소변유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울안착부(33) 내주연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 내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용 돌출부(33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울안착부(33)의 하부에는 대변을 보기 위해 상기 커버부(30)의 하부 회동에 의해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될 때 충격을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충격흡수패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일반적인 좌변기의 보울과는 달리 오수의 세척에 관여하는 부위를 제외한 사용자의 착석에만 관여하는 부위를 변형시켜, 대변을 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착석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직립회동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보울을 소형화시켜 변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대변을 보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착석에 관여하는 부위를 직립회동시킴으로써, 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도록 하여 화장실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착석에 관여하는 부위의 직립회동 작동이 원활하며, 구조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소변유로를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도 소변유도부의 회동에 의해 소변유로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구조가 매우 간단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종래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보울과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좌변기 몸체부와 커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대변을 보기 위해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좌변기 몸체부에 커버부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2와 도 13은 소변을 보기 위해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좌변기 몸체부로부터 커버부가 직립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보울과 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좌변기 몸체부와 커버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대변을 보기 위해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좌변기 몸체부에 커버부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2와 도 13은 소변을 보기 위해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의 좌변기 몸체부로부터 커버부가 직립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좌변기 몸체부(10); 커버부(30); 및 소변유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좌변기 몸체부(10)는, 보울(11)과 오수배출부(12)가 구비된다.
상기 보울(11)은, 일반적인 좌변기와 마찬가지로,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로(11a)가 형성되며, 상기 세척수유입로(11a)를 통해 내측으로 공급되어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보울(11)이 벽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세척수유입로(11a)로 공급되는 세척수 공급방식에 따라, 직수가 직접공급되는 직수형 좌변기와, 수조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는 수조형 좌변기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보울(11)은 양측 후방부위에 힌지결합부(11b)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힌지결합부(11b)에는 후술할 커버부(30)에 구비된 커버결합용 힌지부(32)가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되게 된다.
상기 오수배출부(12)는, 상기 보울(11)로부터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오수배출부(12)는, 통상, 역U자형 또는 S자형으로 되어 보울(11)에 수용된 오수가 배출될 때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보울(11)에 수용된 나머지 오수가 흡입배출되도록 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사이펀관으로 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오수배출부(12)가 사이펀(siphon) 관으로 된 것을 도시하였다(도 11 및 도 13 참조).
아울러, 상기 오수배출부(12)는, 한국등록특허 제10-2133230호(발명의 명칭: 초절수 양변기)에 개시된 오수배출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오수배출부는 세척수유입로로부터 일부의 세척수를 분기시켜 분기된 세척수가 일정량 이상이 되면 오수배출관을 회동시켜 보울에 수용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상기 커버부(30)는,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보울 커버(31)와, 커버결합용 힌지부(32)와, 보울안착부(33)와, 착석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울 커버(31)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보울(11)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울커버(31)의 상부 개구부(31a)는 대변을 보기 위해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와 연통되어 대변이 상기 보울(11)로 투입되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울커버(31)의 하부 개구부(31b)는 소변을 보기 위해 상기 보울커버(31)를 직립회동시킬 때 상기 보울(11)이 통과되어 상기 보울커버(31)가 직립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울커버(31)는 상기 보울커버(31)를 회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31c)가 전방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울 커버(31)는, 소변을 보기 위해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되었을 때, 후술할 소변유도부(30)의 전방 외측을 감싸게 됨으로써 소변이 상기 소변유도부(30) 외측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울 커버(31)에는 커버결합용 힌지부(32)와 소변투입공(35)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결합용 힌지부(32)는, 상기 보울 커버(31)의 양측 후방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결합부(11b)와 결합되어 상기 보울 커버(31)의 직립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결합용 힌지부(32)는, 소변을 보기 위한 상기 보울 커버(31)의 직립회동 및 대변을 보기 위한 상기 보울 커버(31)의 복귀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보울안착부(33)는, 상기 보울 커버(31)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착석부(34)는,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부에 사용자가 착석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결합용 힌지부(32)에 의한 상기 보울 커버(31)의 직립회동시 상기 착석부(34)의 상면이 벽체와 접하여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안착부(33) 및 상기 착석부(34)는 일체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상기 보울(11)의 크기를 크게 그렸지만, 상기 보울(11)의 크기는 상기 커버부(30) 크기의 대략 1/3 내지 1/2 수준이다.
상기 소변유도부(50)는, 판상으로 되며, 상기 커버부(30)의 상기 보울커버(31)의 내측 전방에 위치하고, 양측이 상기 보울커버(31)의 전방 측면 하부부위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어 소변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투입되는 소변이 부딪혀 상기 보울(11)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변유도부(50)는 양측에 상기 보울커버(31)의 전방 측면 하부부위에 힌지결합되기 위한 보울커버 결합용 힌지부(51)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되어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된 상태에서의 상기 소변유도부(50) 상단부위에는 소변을 세척하기 위한 소변세척노즐(52)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변세척노즐(52)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상기 세척수유입로(11a)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일부를 분기시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되어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된 상태에서의 상기 소변유도부(50) 주위에는, 상기 소변세척노즐(52)에 의한 세척후 상기 소변유도부(50)에 남아 있는 세척수를 제거하기 위한 압축공기 분사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소변세척노즐(52)에 의한 세척후 상기 소변유도부(50)에 남아 있는 세척수를 건조하기 위한 건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소변유도부(50)는, 상기 커버부(30)가 하방 회동될 때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의 전방부위와 접하여 상방으로 회동되게 되며,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될 때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어 소변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되어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소변유도부(50)는, 좌우방향으로는 상부로 복록한 원호형상을 이루고, 상하방향으로는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투입되는 소변이 부딪혀 원활하게 상기 보울(11)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흘러내려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30)가 직립회동되어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소변유도부(50)는, 상부로 복록한 형상을 이루되, 하방으로 유선형으로 형성되게 되면, 대변을 보기 위해 상기 커버부(30)가 하방 회동될 때 상기 보울(11)의 전방 단부가 원호로 되어 있고, 상기 소변유도부(50)의 소변과 접촉하는 면이 상기 보울(11)의 전방단부와 같은 원호형태로 되므로, 상기 커버부(30) 하부 회동작동시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11)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되어 상기 소변유도부(50)의 회동복귀작동이 원활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소변유도부(50)는,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자중에 의해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변을 보기 위한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또는 대변을 보기 위한 상기 커버부(30)의 하방 복귀회동시,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스프링(미도시됨)으로 탄지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보울커버(31)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커버부(30)의 외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변유도부 회동제한돌기(미도시됨)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일반적인 좌변기의 보울과는 달리 오수의 세척에 관여하는 부위를 제외한 사용자의 착석에만 관여하는 부위를 변형시켜, 대변을 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착석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직립회동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보울을 소형화시켜 변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대변을 보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착석에 관여하는 부위를 직립회동시킴으로써, 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도록 하여 화장실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착석에 관여하는 부위의 직립회동 작동이 원활하며, 구조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소변유로를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도 소변유도부의 회동에 의해 소변유로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구조가 매우 간단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대변 및 소변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대변의 경우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보울안착부(33)를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 테두리에 안착시키고,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착석부(34)에 착석을 하고 대변을 보게 된다. 대변을 본 후의 상기 보울(11)의 세척과정은 일반변기와 동일하다.
소변의 경우에는, 도 11의 상태인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 테두리에 안착된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서로 이격되도록,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보울(11)에 힌지결합된 상기 보울 커버(31)를 직립회동시키면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소변유도부(50)가 상기 보울커버(31)의 내부에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변을 상기 소변유도부(50)로 투입시키면, 투입된 소변은 상기 소변유도부(50)에 부딪혀 상기 소변유도부(50)에 의해 상기 보울(11)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소변기 겸용 좌변기는, 일반적인 좌변기의 보울과는 달리 오수의 세척에 관여하는 부위를 제외한 사용자의 착석에만 관여하는 부위를 변형시켜, 대변을 보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착석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소변을 보는 경우에는 직립회동시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보울을 소형화시켜 변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세척수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대변을 보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착석에 관여하는 부위를 직립회동시킴으로써, 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도록 하여 화장실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착석에 관여하는 부위의 직립회동 작동이 원활하며, 구조가 간단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될 때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울안착부(33) 내주연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 내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용 돌출부(33a)(도 10, 도 12 참조)가 구비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보울(11)은 세척이 용이한 도자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안착부(33) 및 상기 착석부(34)는 일체형으로 되어 도자기 또는 합성수지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안착부(33) 및 상기 착석부(34)가 도자기로 된 경우에는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될 때 충격을 흡수되도록 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울안착부(33)의 하부에는 대변을 보기 위해 상기 커버부(30)의 하부 회동에 의해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될 때 충격을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충격흡수패드(미도시됨)가 부착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11)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을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커버부(30)의 하부 회동시 상기 커버부(30)의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될 때 충격을 흡수되도록 하는 댐퍼실린더(미도시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좌변기 몸체부 11: 보울
11a: 세척수유입로 11b: 힌지결합부
12: 오수배출부 30: 커버부
31: 보울 커버 32: 커버결합용 힌지부
33: 보울안착부 33a: 유동방지용 돌출부
34: 착석부 50: 소변유도부
51: 보울커버 결합용 힌지부 52: 소변세척노즐

Claims (3)

  1.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는 세척수유입로(11a)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유입로(11a)를 통해 내측으로 공급되어 일정량의 세척수가 저장되며 양측 후방부위에 힌지결합부(11b)가 구비된 보울(11)과,
    상기 보울(11)로부터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수배출부(12)가 구비된 좌변기 몸체부(10);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되고 상기 보울(11)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보울 커버(31)와,
    상기 보울 커버(31)의 양측 후방부위에 위치하며 상기 힌지결합부(11b)와 결합되어 상기 보울 커버(31)의 직립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결합용 힌지부(32)와,
    상기 보울 커버(31)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되는 보울안착부(33)와,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부에 사용자가 착석가능하도록 하는 착석부(34)가 구비된 커버부(30);
    상기 커버부(30)의 상기 보울커버(31)의 내측 전방에 위치하고, 일측 단부부위 양측이 상기 보울커버(31)의 전방 측면 하부부위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커버부(30)의 직립회동시 상기 보울(11)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회동되어 소변유로를 형성함으로써 투입되는 소변이 부딪혀 상기 보울(11) 내부를 향하여 하부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는 소변유도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겸용 좌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안착부(33) 내주연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 내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보울안착부(33)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용 돌출부(33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겸용 좌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안착부(33)의 하부에는 대변을 보기 위해 상기 커버부(30)의 하부 회동에 의해 상기 보울안착부(33)가 상기 보울(11)의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안착될 때 충격을 흡수되도록 하기 위한 충격흡수패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겸용 좌변기.
KR1020220005205A 2022-01-12 2022-01-12 소변기 겸용 좌변기 KR102580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205A KR102580598B1 (ko) 2022-01-12 2022-01-12 소변기 겸용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205A KR102580598B1 (ko) 2022-01-12 2022-01-12 소변기 겸용 좌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041A KR20230109041A (ko) 2023-07-19
KR102580598B1 true KR102580598B1 (ko) 2023-09-20

Family

ID=8742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205A KR102580598B1 (ko) 2022-01-12 2022-01-12 소변기 겸용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5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041A (ko)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7846B2 (ja) 水洗大便器
KR100999397B1 (ko) 오줌 튀김 방지 기능이 구비된 소변기
JP6862690B2 (ja) 水洗大便器
KR200443599Y1 (ko) 남성용 소변장치
JP2008025264A (ja) 洋風便器装置
CN109750726B (zh) 一种上下水封翻转节水马桶
KR100777165B1 (ko) 남자용 소변기가 설치된 좌변기
KR100978796B1 (ko) 남성용 소변기가 구비된 양변기
KR102580598B1 (ko) 소변기 겸용 좌변기
KR101492182B1 (ko) 소변기가 장착된 절수양변기
KR20210034840A (ko)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JP2010174451A (ja) 水洗大便器
JPH11346960A (ja) 収納式便所装置
KR200476196Y1 (ko) 세면대 일체형 좌변기
KR200426389Y1 (ko) 소변 튐 방지용 보조기구가 구비된 좌변기
CN105863016A (zh) 一种防尿液外溢的马桶盖及马桶
JP2558873B2 (ja) 収納式便器ユニット
JP2558874B2 (ja) 回動式便器ユニット
KR101865904B1 (ko) 절수 및 탈취 양변기
JP4600380B2 (ja) 便器
JPH02274930A (ja) 収納式便器ユニット
JPH09165808A (ja) 便 器
CN208167890U (zh) 一种防溅水马桶
CN207707842U (zh) 一种前隔挡式马桶盖
KR102480617B1 (ko) 소변 비산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