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970B1 -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 Google Patents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970B1
KR101082970B1 KR1020100037440A KR20100037440A KR101082970B1 KR 101082970 B1 KR101082970 B1 KR 101082970B1 KR 1020100037440 A KR1020100037440 A KR 1020100037440A KR 20100037440 A KR20100037440 A KR 20100037440A KR 101082970 B1 KR101082970 B1 KR 10108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heelchair
user
sea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930A (ko
Inventor
심중선
김상희
Original Assignee
심규현
김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규현, 김상희 filed Critical 심규현
Priority to KR1020100037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970B1/ko
Priority to PCT/KR2011/002896 priority patent/WO2011132969A2/ko
Publication of KR2011011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4Bowls of flat shape with only slightly inclined bottom ; Squat-type clo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ilet Suppli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의 아래 부분이 개방된 휠체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실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휠체어의 시트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화장실 벽면으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어, 휠체어 등받이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휠체어의 시트 위에 위치할 수 있는 변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애인 등 휠체어 사용자가 휠체어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배변이 가능하고, 일반적인 장애인용 화장실보다 작은 공간으로 화장실을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Restroom for a person using wheelchair}
본 발명은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애인 등 휠체어를 사용하는 이용자가 용이하게 배변할 수 있는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지하철, 버스터미널, 역, 병원, 음식점, 관공서 등의 공공시설에는 노약자 및 장애인이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애인용 화장실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장애인용 화장실은 내부가 휠체어를 통해서도 이동할 수 있도록 일반인이 사용하는 화장실의 내부에 비하여 그 공간이 크고 넓게 형성되며, 좌변기의 주변에는 장애인이 손으로 잡고 몸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장애인용 화장실의 경우, 좌변기 주위에 지지대가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일반인이 사용하는 좌변기와 동일한 방식의 후면 좌식형 변기가 설치되어 배변을 위해서는 변기 앞에서 뒤로 돌아선 후에 착석하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종래의 장애인용 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휠체어에 탑승한 장애인이 출입문으로 들어간 후, 지지대를 의지하여 몸을 일으켜 세우고, 몸을 거의 180° 가까이 회전하여 좌변기에 착석해야 했다. 이는 단순히 휠체어의 방향을 전환하는 것에 따른 불편함뿐만 아니라 방향을 전환한 후 좌변기에 착석하기까지의 과정에서 지지대 하나만을 의지하여야 하므로 힘이 많이 소요되고 상당한 불편함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장애인 혼자서는 휠체어에서 좌변기로 또는 좌변기에서 휠체어로 이동할 수 없어 보호자 등의 도움을 받아야만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다 새로운 형태의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화장실의 변기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휠체어 사용자가 휠체어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화장실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은, 등받이의 아래 부분이 개방된 휠체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에 있어서, 화장실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휠체어의 시트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화장실 벽면으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어, 휠체어 등받이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휠체어의 시트 위에 위치할 수 있는 변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기는, 내부에 배변 수용 공간을 가지고, 휠체어 등받이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휠체어 시트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변기 본체; 및 변기 본체의 뒤쪽을 지탱하며, 배변 수용 공간과 연통하여 배변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된 변기 기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기 본체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변기는 화장실의 벽면으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변기가 화장실 벽안에 수용된 상태에서 변기 본체를 세척·살균하는 세척 살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기는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기가 위치한 전방의 바닥에는 휠체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턴테이블을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휠체어 사용자가 휠체어의 등받이 중 일부 개방된 부분으로 변기가 삽입되도록 하여, 휠체어 사용자가 휠체어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화장실의 이용이 가능하고, 종래의 장애인용 화장실보다 훨씬 작은 공간으로 화장실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턴테이블을 통해 화장실 내에서의 휠체어의 회전을 편리하게 할 수 있어 휠체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에서 변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변기가 휠체어의 등받이 개방부를 통해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휠체어의 등받이 중 일부가 개방된 휠체어에 적용되어 변기가 휠체어의 등받이 중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져, 휠체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휠체어 사용자'는 주로 하체에 장애를 가진 장애인이지만, 반드시 장애인에 한정되지 않고 노약자 등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라도 포함하는 개념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에서 변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의 변기가 휠체어의 등받이 개방부를 통해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의 변기(10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휠체어(50)의 시트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화장실 벽면으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어, 휠체어 등받이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휠체어 시트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변기(100)(보다 구체적으로는 변기 본체(20))는 일반적인 좌변기와 달리, 변기 본체(20)와 지면 사이에 변기 본체를 지탱하는 구조물이 없는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공간으로 휠체어(20)의 시트 아래 부분이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100)는, 변기 기단부(10)와 변기 본체(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변기 기단부(10)는 변기 본체(20)의 뒤쪽을 지탱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물탱크(미도시)와 배출구(40) 등 사용자의 배변을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배출구(40)는 변기 기단부(10)에 구비되며, 변기 본체(20)에 의해 형성되는 배변 수용 공간(30)과 연통하여 배변을 배출한다.
변기 본체(20)는 변기 기단부(10)에 의해 그 뒤쪽이 지탱되는 외팔보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휠체어(50)의 등받이 중 개방부로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본체(20)는 종래의 변기에 비해 그 두께(T)가 슬림한 형태를 갖는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의 변기(100)에서 변기 본체(20)는 휠체어(50)의 시트와 등받이 사이의 개방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휠체어(50)의 시트 보다 높은 위치로 그 높이(H)가 설정되어 있고, 휠체어(50) 등받이의 개방부 높이보다 작은 두께(T)를 가지며, 휠체어(50) 시트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L)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휠체어 사용자가 휠체어(50)에 앉은 상태에서 변기(100) 측으로 후진하면서 몸을 살짝 일으켜 세우는 정도의 동작만으로도 변기(100)에 쉽게 착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휠체어(50)의 등받이 중 일부가 개방된 부분으로 변기(100)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는 것에 발명의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발명의 목적을 이룰 수 있다면 변기(100)의 구성은 어떠한 형태로든 변형 가능하다.
예컨대, 변기 본체(20)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제로 이루어져 가볍고 튼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변기 본체(20)에는 배변 수용 공간(30)에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물 분사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기 본체(20)는 일반적인 좌변기보다 그 두께가 얇으므로, 배변 수용 공간(30)에 퇴적된 배변이 사용자의 신체에 묻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배출구(40)와 연결되어 배변을 흡입하는 배변 흡입 수단을 더 구비하고 사용자가 스위치(미도시)를 눌렀을 때나 일정 시간마다 작동시켜 배변이 청결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변기(100)에는 비데 노즐(미도시)를 설치하거나, 배기구(45)를 마련하여 사용시 청결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악취를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변기 기단부(10)는 화장실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변기 기단부(10)는 화장실 벽 안에 매립되어 변기 본체(20)만이 돌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은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변기(100)가 위치한 전면의 바닥에 휠체어(5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턴테이블(200)과 턴테이블(200)의 회전 구동을 위한 스위치(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턴테이블 상부의 천정으로부터 늘어뜨려 설치하거나 화장실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화장실 내부에서 방향 전환을 위한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에 탑승한 사용자가 출입문을 통해 화장실 내로 직선으로 진입한다(①). 그런 다음, 상기 턴테이블(200)에 휠체어를 위치시킨 뒤 턴테이블(200)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휠체어의 후면이 변기(100) 측을 향하도록 한다(②). 그런 뒤, 휠체어(50)를 변기(100) 측으로 천천히 후진하여(③) 휠체어 등받이 중 개방부로 변기 본체(20)를 삽입하고 착석한다. 배변이 끝나면 사용자는 휠체어(50)를 전진하여 턴테이블(200)에 휠체어를 위치시킨 뒤 턴테이블(200)을 회전시켜 화장실에서 나가거나 세면대(300)를 이용하고 화장실을 나갈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변기(100)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하체가 부자유한 사용자가 양팔로 휠체어(50)를 후진시키면서 동시에, 등받이의 개방부로 삽입되는 변기 본체(20) 위에 착석하기 위해 양팔로 휠체어의 팔걸이나 변기(100) 좌우에 설치된 손잡이(110)에 의지하여 몸을 들어올리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이하에에서는 변기(100)가 화장실 벽면으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은 화장실 벽면으로부터 출몰가능하게 설치된 변기(100)를 구비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변기(100)는 화장실 벽 안에 수용되어 있다가 사용시에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전진하고, 배변이 끝나면 다시 벽안으로 후퇴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변기 기단부(10) 아래 지면에는 변기(100)가 진퇴할 수 있는 레일(미도시)이 마련되고, 변기(100)를 진퇴시킬 수 있는 구동 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변기 구동 수단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변기의 후면에서 변기(100)를 밀거나 당기는 액추에이터나, 전동기와 기어 등의 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구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이 닿는 위치의 벽면에 변기 구동 수단을 작동하기 위한 스위치를 마련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휠체어(50)를 화장실 벽면까지 후진한 후, 스위치를 눌러 변기(100)를 전진시킴으로써 변기 본체(20)가 휠체어 등받이의 개방부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양팔로 휠체어 팔걸이를 의지하여 몸을 살짝 들어올려 변기 본체(20)에 착석할 수 있게 된다. 배변이 끝나면 사용자는 다시 스위치를 작동시키고 양팔로 휠체어 팔걸이를 의지하여 몸을 살짝 들어올림으로써 변기(100)가 화장실 벽안의 수용 공간으로 후퇴하도록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변기 기단부(10) 및 변기 본체(20)를 포함한 변기(100) 전체가 화장실 벽면으로부터 진퇴 가능한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변기 기단부(10)를 벽안에 매립 고정 설치하고, 변기 본체(20) 만을 진퇴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배출구(40)는 신축 가능한 플랙시블 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변기(100)가 벽면으로부터 진퇴 가능한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배변후 변기(100)가 변기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변기 본체(20)를 세척·살균하는 세척 살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변기 세척 살균 수단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변기 수용 공간의 상부에서 세척·살균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세척 살균후 온풍을 불어 건조시키는 온풍 건조기와, 변기 수용 공간 바닥에서 세척·살균액을 배수하는 배수구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의 변기(100)에서 변기 본체(20)의 높이(H)는 휠체어(50)의 시트 높이에 대응되어 설치되는데, 휠체어에 따라서는 시트 높이가 규격화되어 있지 않거나 변기 본체(20)의 높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변기 본체(20)가 원활하게 휠체어 등받이의 개방부로 삽입되지 않거나, 삽입되더라도 휠체어 시트 위에 안정적으로 위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높이의 휠체어(50)에 적용가능 하도록 변기(100)는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변기(100)를 승강 가능한 테이블 위에 배치하고, 벽면에는 변기(100)가 위치한 테이블의 승강 스위치를 마련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은 휠체어 사용자가 휠체어 등받이의 개방부로 변기를 삽입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배변이 가능하고, 턴테이블을 통해 휠체어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장애인등 휠체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변기 10 : 변기 기단부
20 : 변기 본체 30 : 배변 수용 공간
40 : 배출구 45 : 배기구
50 : 휠체어 200 : 턴테이블

Claims (10)

  1. 등받이의 아래 부분이 개방된 휠체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에 있어서,
    상기 화장실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휠체어(50)의 시트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화장실 벽면으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휠체어 등받이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휠체어의 시트 위에 위치할 수 있는 변기(10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변기(100)는,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화장실 벽면 안에 수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스위치를 누르면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휠체어(50) 쪽으로 전진하여 상기 휠체어 등받이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고, 배변후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화장실 벽면 안으로 후퇴하여 화장실 벽면 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100)는,
    내부에 배변 수용 공간(30)을 가지고, 상기 휠체어 등받이의 개방된 부분으로 삽입되어 휠체어 시트 위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변기 본체(20); 및
    상기 변기 본체(20)의 뒤쪽을 지탱하며, 상기 배변 수용 공간(30)과 연통하여 배변을 배출하는 배출구(40)가 구비된 변기 기단부(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20)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100)에는 상기 배변 수용 공간(30)에 수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물 분사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100)에는 비데 노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100)가 화장실 벽면 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변기 본체(20)를 세척·살균하는 세척 살균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100)에는 상기 배출구(40)와 연결되어, 배변을 흡입하는 배변 흡입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100)는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100)가 위치한 전방의 바닥에는 휠체어(5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턴테이블(20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KR1020100037440A 2010-04-22 2010-04-22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KR10108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440A KR101082970B1 (ko) 2010-04-22 2010-04-22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PCT/KR2011/002896 WO2011132969A2 (ko) 2010-04-22 2011-04-21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440A KR101082970B1 (ko) 2010-04-22 2010-04-22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930A KR20110117930A (ko) 2011-10-28
KR101082970B1 true KR101082970B1 (ko) 2011-11-11

Family

ID=44834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440A KR101082970B1 (ko) 2010-04-22 2010-04-22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82970B1 (ko)
WO (1) WO201113296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726A (ko) 2021-06-17 2022-12-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KR20220169599A (ko) 2021-06-21 2022-12-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90B1 (ko) * 2020-05-12 2020-11-09 정재홍 장애인화장실용 휠체어회전장치
ES1260019Y (es) * 2020-11-02 2021-04-23 Garcia Armide Jimenez Vehículo-carroza para ocio y esparcimiento adaptad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878A (ja) * 1999-02-08 2000-08-15 Toto Ltd 壁掛け式大便器ユニット
KR100354415B1 (ko) * 2000-02-03 2002-09-30 (주)보라 무인 자동세척 공중화장실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9259Z2 (it) * 1986-07-29 1988-09-20 At Avanzata Tecnologia Srl Apparecchio sanitario girevole a scomparsa.
US7540040B2 (en) * 2005-01-18 2009-06-02 Roenick Harry A Bedside care unit
KR20070032763A (ko) * 2007-02-23 2007-03-22 김창덕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6878A (ja) * 1999-02-08 2000-08-15 Toto Ltd 壁掛け式大便器ユニット
KR100354415B1 (ko) * 2000-02-03 2002-09-30 (주)보라 무인 자동세척 공중화장실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726A (ko) 2021-06-17 2022-12-2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KR20220169599A (ko) 2021-06-21 2022-12-28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애인용 화장실의 세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930A (ko) 2011-10-28
WO2011132969A3 (ko) 2012-03-08
WO2011132969A2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9065B2 (en) Toilet
KR101082970B1 (ko) 휠체어 사용자용 화장실
CN206526209U (zh) 智能马桶成套设备
CN105902233B (zh) 洁身便盆及装有洁身便盆的轮椅、坐便椅和坐便床
KR102033055B1 (ko)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US20040231035A1 (en) Portable venting commode
CN204655316U (zh) 具有自动坐便器的电动轮椅
US7269863B1 (en) Automatic self-cleaning toilet
CN107242941A (zh) 具有冲水集便功能的护理机器人
CN101889930A (zh) 一种具有坐便和坐浴功能的病床
US20200268222A1 (en) Hospital and special needs pedestal toilet
US20220290418A1 (en) Mobile washing station
CN205923878U (zh) 洁身便盆及装有洁身便盆的轮椅、坐便椅和坐便床
CN205163444U (zh) 带有便后冲洗功能的坐具及相应的电动轮椅
CN206308766U (zh) 一种折叠卫生间
CN104800010A (zh) 具有自动座便器的电动轮椅
CN213114867U (zh) 蹲坐转换方便器
CN110924503A (zh) 一种外插式坐便器架
CN220477764U (zh) 一种妇产科护理用洗浴设备
US20180049603A1 (en) Waste Management Chair System and Method
CN113718914A (zh) 蹲坐一体式马桶
KR102503449B1 (ko) 소변튐 방지 좌변기
CN202380550U (zh) 一种可清洗消毒的踏板式座便器
CN219847138U (zh) 一种轮椅式马桶存水装置
CN210483137U (zh) 一种方便清理的移动母婴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