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771B1 -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 Google Patents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771B1
KR102498771B1 KR1020210001792A KR20210001792A KR102498771B1 KR 102498771 B1 KR102498771 B1 KR 102498771B1 KR 1020210001792 A KR1020210001792 A KR 1020210001792A KR 20210001792 A KR20210001792 A KR 20210001792A KR 102498771 B1 KR102498771 B1 KR 102498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astening part
rope
fasten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9642A (ko
Inventor
송출용
조창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노텍
조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노텍, 조창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노텍
Priority to KR102021000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7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E04G3/325Safety devices for stabilising the mobile platform, e.g. to avoid it swinging in the w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4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characterised by supporting structures provided on the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가 제공된다.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는, 바디부와, 바디부 하측에 배치된 고정부 및 바디부 상측에 배치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이동부는 바디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및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Moveable support for hanging scaffold}
본 발명은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비계라 함은 매달린 외줄 달기 섬유 로프에 부착되어 지지 되는 작업 의자를 이용하여 근로자가 작업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고층건물의 도장, 견출, 청소, 보수, 검사 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이다.
이러한 달비계는 하측 방향으로 작업이 될 수 있도록 작업의자와 연결고정되는 작업용 로프와,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안전 로프, 실제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에 사용되는 물품을 걸어놓는 작업의자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엑스반도와, 안전 로프를 연결 고정시키는 구명줄로 구성된다.
특히 고층건물의 벽면에서 작업은 작업자가 작업용 로프에 연결된 작업의자에 앉아 이루어지며, 반복적으로 고정 위치를 변경하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위험할 뿐만 아니라, 오랜 작업시간이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 하측에 배치된 고정부 및 상기 바디부 상측에 배치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바디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레일부 및 제2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2 레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이동부 프레임과, 상기 이동부 프레임에 배치된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3 체결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4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 상기 제2 체결부, 상기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4 체결부 각각은 제1 레일홀, 제2 레일홀 및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 각각의 제2 레일홀에는 제1 레일부가 관통하고, 상기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4 체결부 각각의 제2 레일홀에는 제2 레일부가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 상기 제2 체결부, 상기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4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주 작업로프가 연결되는 제1 로프 연결부 및 보조 작업로프가 연결되는 제2 로프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주 작업로프 및 상기 보조 작업로프를 가이드하는 로프훼손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프훼손방지부는 상기 주 작업로프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보조 작업로프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부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제2 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홈의 지름은 상기 제2 홈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는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 두께는 35mm 내지 45mm이며, 상기 제2 두께는 40mm 내지 50mm일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 각각에 배치된 압력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 각각에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며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에 의하면, 작업자가 로프를 한번 타고 지면에 내려와 다시 옥상에 올라가는 반복 작업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이 효과적으로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작업자가 작업의자에 엎드려 탑승하지 않고, 서서 안정적으로 작업의자에 탑승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이동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구성들의 체결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훼손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이동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구성들의 체결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훼손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HMS)는 고정부(100), 바디부(200) 및 이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200) 및 바디부(200) 상측에 배치되되, 바디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부(300) 및 바디부(200) 하측에 배치된 고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00)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면(240),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면(240)에 제2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면(250)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면(240)과 제2 면을(250)을 연결하는 제3 면(260) 및 제4 면(27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00)의 제1 면(240), 제2 면(250), 제3 면(260) 및 제4 면(270은 서로 연결되어 사각 프레임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면(240), 제3 면(260) 및 제4 면(270)과 연결된 제1 보조면(2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2 면(250), 제3 면(260) 및 제4 면(270)과 연결된 제2 보조면(2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면(281)과 제2 보조면(282)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제1 보조면(281)과 제2 보조면(282)의 연결을 통하여 바디부(200)는 더 견고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디부(200)는 연결면(C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면(CS)은 제2 면(250)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으며, 연결면(CS)은 제2 면(250)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 3에는 제2 면(250) 및 제2 면(250)에 체결된 연결면(CS)만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면(140)도 제2 면(250)과 동일하게 연결면(CS)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는 원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열처리된 베어링강,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 각각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1m 내지 5m일 수 있으며,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 각각의 지름은 20mm 내지 60m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의 양단은 연결면(CS)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일부(210)의 일단은 제1 면(240)에 체결된 연결면(CS)에 체결되고, 제1 레일부(210)의 타단은 제2 면(250)에 체결된 연결면(CS)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레일부(230)의 일단은 제1 면(240)에 체결된 연결면(CS)에 체결되고, 제2 레일부(230)의 타단은 제2 면(250)에 체결된 연결면(CS)에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는 제2 방향(Y축 방향)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일부만 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일부는 중첩하고, 일부는 비중첩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고정부(100)는 제1 부분(P1), 제1 부분(P1)과 이격하되 제1 부분(P1)과 마주하는 제2 부분(P2), 제1 부분(P1) 및 제2 부분(P2)을 연결하는 제3 부분(P3)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P1) 및 제2 부분(P2) 각각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부분(P3)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부분(P1) 및 제2 부분(P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부분(P1)은 제2 방향(Y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부분(P2)은 제2 방향(Y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과, 제3 방향(Z축 방향) 및 제3 방향(Z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 면(250)은 제3 부분(P3)을 기준으로 제2 방향(Y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현장에 따라 고정부(100)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부분(P3)의 하면에는 회전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재는 회전이 가능한 바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부분(P3)의 하면에는 회전부재가 배치되는 경우 제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HMS)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벽(W)에 고정부(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수단(FP)과 벽(W) 사이의 일정한 간격이 발생되도록 고정수단(FP)을 조절한 후,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HMS)에 제1 방향(X축 방향) 또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3 부분(P3)의 하면에 배치된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벽(W)의 상면을 따라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HMS)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손쉽게 작업 공간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100)는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00)는 제1 면(240) 및 제2 면(25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00)는 제1 면(240) 및 제1 보조면(281)에 사이에 배치된 제1 고정부 및 제2 면(250) 및 제1 보조면(282)에 사이에 배치된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부(100)는 3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100)는 고정수단(F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P2)에 연결되어 제3 방향(Z축 방향) 및 제3 방향(Z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고정수단(F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정부(100)는 벽(W)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수단(FP)을 통하여 벽(W)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부(100)의 고정을 통하여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HMS)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분(P2) 자체가 제3 방향(Z축 방향) 및 제3 방향(Z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P1) 자체가 제3 방향(Z축 방향) 및 제3 방향(Z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P1) 중 제2 부분(P2)과 마주하는 면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패턴은 다수의 오목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오목홈의 피치는 0.5cm 내지 1.2c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분(P2) 중 제1 부분(P1)과 마주하는 면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패턴은 다수의 오목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오목홈의 피치는 0.5cm 내지 1.2c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부분(P3)의 하면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패턴은 다수의 오목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오목홈의 피치는 0.5cm 내지 1.2cm일 수 있다.
이동부(300)는 이동부 프레임(300P)과, 이동부 프레임(300P)에 배치된 제1 로프 연결부(310), 제2 로프 연결부(320), 로프훼손방지부(350), 제1 체결부(341), 제2 체결부(343), 제3 체결부(345) 및 제4 체결부(347)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 연결부(310), 제2 로프 연결부(320)는 작업자의 작업 로프가 체결되는 곳으로 제1 로프 연결부(310)에는 주 작업로프가 체결되며, 제2 로프 연결부(320)에는 보조 작업로프가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구성은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프 연결부는 3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 연결부(310), 제2 로프 연결부(320) 각각은 샤클과 샤클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 연결부(310), 제2 로프 연결부(32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프 연결부(310)의 크기가 제2 로프 연결부(320)의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로프 연결부(310)의 크기가 제2 로프 연결부(320)의 크기가 동일할 수도 있으며, 제1 로프 연결부(310)의 크기가 제2 로프 연결부(320)의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훼손방지부(350)는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가 가이드 하는 부분으로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는 로프훼손방지부(350)에 가이드 된 상태로 로프가이드부(370)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로프훼손방지부(350)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제1 로프 연결부(310), 제2 로프 연결부(32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프훼손방지부(35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로프훼손방지부(350)는 이동부 프레임(300P)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으며, 로프훼손방지부(350)는 제1 로프 연결부(310) 및 제2 로프 연결부(320)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훼손방지부(350)는 주 작업로프가 접촉하는 제1 접촉부(CTP1)와 보조 작업로프가 접촉하는 제2 접촉부(CTP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CTP1)는 제1 홈(H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접촉부(CTP2)는 제2 홈(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H1) 및 제2 홈 각각의 평면형상은 반원형상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홈(H1)의 지름은 제2 홈(H2)의 지름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CTP1)의 두께(d1)는 제2 접촉부(CTP2)의 두께(d2)보다 얇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촉부(CTP1)의 두께(d1)는 35mm 내지 45mm일 수 있으며, 제2 접촉부(CTP2)의 두께(d2)는 40mm 내지 50mm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CTP1)의 두께(d1)와 제2 접촉부(CTP2)의 두께(d2)는 동일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CTP1)의 두께(d1)가 제2 접촉부(CTP2)의 두께(d2)보다 두꺼울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CTP1) 및 제2 접촉부(CTP2)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접촉부(CTP1) 및 제2 접촉부(CTP2)에는 압력 감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감지 센서는 제1 접촉부(CTP1) 및 제2 접촉부(CTP2)에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로 인하여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설정된 압력이상의 값이 전달되는 경우 램프의 점등 또는 소리 등으로 외부에 위험여부를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주 작업로프는 제1 접촉부(CTP1)의 제1 홈(H1)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되고 보조 작업로프는 제2 접촉부(CTP2)의 제2 홈(H2)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보호 덮개 없이도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로프 훼손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훼손방지부(350)는 제2 방향(Y축 방향) 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로프훼손방지부(350)는 주 작업로프가 제1 접촉부(CTP1)의 제1 홈(H1)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2 방향(Y축 방향) 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로프훼손방지부(350)는 보조 작업로프가 제2 접촉부(CTP2)의 제2 홈(H2)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2 방향(Y축 방향) 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로프훼손방지부(350)가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가 하부 방향으로 훼손없이 손쉽게 연장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의 길이가 긴 경우, 중력, 장력 및 마찰력 등에 의하여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를 상부로 회수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며, 실제 작업현장에서는 별도의 도르래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이를 회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장비 없이도 로프훼손방지부(350)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 각각이 훼손 없이 손쉽게 상부 방향으로 회수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41), 제2 체결부(343), 제3 체결부(345) 및 제4 체결부(347)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341)와 제2 체결부(343)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3 체결부(345)와 제4 체결부(347)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41)와 제3 체결부(345)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제2 체결부(343)와 제4 체결부(347)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41), 제2 체결부(343)는 제1 레일부(210)와 체결될 수 있고, 제3 체결부(345), 제4 체결부(347)는 제2 레일부(230)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체결부(341), 제2 체결부(343), 제3 체결부(345) 및 제4 체결부(347)가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0)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바디부(200)와 이동부(300)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체결부(341), 제2 체결부(343), 제3 체결부(345) 및 제4 체결부(347)가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0)에 체결되어,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0)를 따라,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제1 체결부(341)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체결부(341) 내부에는 제1 레일홀(RH1), 제2 레일홀(RH2) 및 커버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레일홀(RH2) 내부에는 커버부(CP)가 배치될 수 있고, 커버부(CP)의 중심부에는 제1 레일홀(RH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레일홀(RH1)에는 제1 레일부(210)가 관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부(CP)의 내부에는 쇠구슬이 배치될 수 있으며 쇠구슬의 회전에 따라 제1 레일부(2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부(CP)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체결부(343) 내부에는 제1 레일홀(RH1), 제2 레일홀(RH2) 및 커버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레일홀(RH2) 내부에는 커버부(CP)가 배치될 수 있고, 커버부(CP)의 중심부에는 제1 레일홀(RH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레일홀(RH1)에는 제1 레일부(210)가 관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부(CP)의 내부에는 쇠구슬이 배치될 수 있으며 쇠구슬의 회전에 따라 제1 레일부(2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부(CP)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체결부(345) 내부에는 제1 레일홀(RH1), 제2 레일홀(RH2) 및 커버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레일홀(RH2) 내부에는 커버부(CP)가 배치될 수 있고, 커버부(CP)의 중심부에는 제1 레일홀(RH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레일홀(RH1)에는 제2 레일부(230)가 관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부(CP)의 내부에는 쇠구슬이 배치될 수 있으며 쇠구슬의 회전에 따라 제2 레일부(23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부(CP)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 체결부(347) 내부에는 제1 레일홀(RH1), 제2 레일홀(RH2) 및 커버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레일홀(RH2) 내부에는 커버부(CP)가 배치될 수 있고, 커버부(CP)의 중심부에는 제1 레일홀(RH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레일홀(RH1)에는 제2 레일부(230)가 관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부(CP)의 내부에는 쇠구슬이 배치될 수 있으며 쇠구슬의 회전에 따라 제2 레일부(23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부(CP)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부(CP)는 열처리된 베어링강,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41), 제2 체결부(343), 제3 체결부(345) 및 제4 체결부(347) 중 적어도 하나는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부(300)에는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레버(3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레버(330)는 제3 체결부(345) 및 제4 체결부(347) 사이에 위치하되 이동부(300) 하부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제2 체결부(343)의 일측에 브레이크 레버(3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 레버(330)를 통하여, 이동부(300)의 이동 및 정지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브레이크는 일측에 조임부가 배치된 고리 형상일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브레이크는 콜렛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부(300)는 수평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감지 센서는 이동부(300)가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3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수평 여부에 대한 감지를 할 수 있다. 수평 감지 센서는 설정된 ±오차값의 범위 밖으로 기울기가 형성된 경우 램프의 점등 또는 소리 등으로 외부에 위험여부를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HMS)는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300)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로프를 한번 타고 지면에 내려와 다시 옥상에 올라가는 반복 작업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이 효과적으로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HMS)는 바디부(200)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탑승 공간이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작업의자에 엎드려 탑승하지 않고, 서서 안정적으로 작업의자에 탑승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고정부
200: 바디부
210: 제1 레일부
230: 제2 레일부
240: 제1 면
250: 제2 면
260: 제3 면
270: 제4 면
281: 제1 보조면
282: 제2 보조면
300: 이동부
310: 제1 로프 연결부
320: 제2 로프 연결부
330: 브레이크 레버
P1: 제1 부분
P2: 제2 부분
P3: 제3 부분
HMS: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Claims (10)

  1. 바디부;
    상기 바디부 하측에 배치된 고정부; 및
    상기 바디부 상측에 배치된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바디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레일부 및 제2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2 레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이동부는, 이동부 프레임과, 상기 이동부 프레임에 배치된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3 체결부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4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 상기 제2 체결부, 상기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4 체결부 각각은 제1 레일홀, 제2 레일홀 및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부 각각의 제2 레일홀에는 제1 레일부가 관통하고,
    상기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4 체결부 각각의 제2 레일홀에는 제2 레일부가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 상기 제2 체결부, 상기 제3 체결부 및 상기 제4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주 작업로프가 연결되는 제1 로프 연결부 및 보조 작업로프가 연결되는 제2 로프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상기 주 작업로프 및 상기 보조 작업로프를 가이드하는 로프훼손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프훼손방지부는 상기 주 작업로프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보조 작업로프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부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제2 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홈의 지름은 상기 제2 홈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제1 접촉부는 제1 두께를 가지고, 상기 제2 접촉부는 제2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 두께는 35mm 내지 45mm이며, 상기 제2 두께는 40mm 내지 50mm이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 각각에 배치된 압력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감지 센서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 각각에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며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KR1020210001792A 2021-01-07 2021-01-07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KR102498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792A KR102498771B1 (ko) 2021-01-07 2021-01-07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792A KR102498771B1 (ko) 2021-01-07 2021-01-07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642A KR20220099642A (ko) 2022-07-14
KR102498771B1 true KR102498771B1 (ko) 2023-02-10

Family

ID=8240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792A KR102498771B1 (ko) 2021-01-07 2021-01-07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7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391847U (zh) * 2018-10-30 2019-09-17 吉林大学 具有自识别和避障能力的楼宇外擦玻璃机器人
CN212027056U (zh) * 2020-01-10 2020-11-27 白良福 一种建筑施工用吊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479A (ja) * 1993-06-28 1995-01-13 Tec:Kk 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391847U (zh) * 2018-10-30 2019-09-17 吉林大学 具有自识别和避障能力的楼宇外擦玻璃机器人
CN212027056U (zh) * 2020-01-10 2020-11-27 白良福 一种建筑施工用吊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642A (ko)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8118B1 (en) Fall arrest bypass device and method for using same
JP2008045363A (ja) 吊下げ装置
KR102036152B1 (ko) 과하중 방지용 작업대 클라이밍 장치
JP2014141343A (ja) 仮設手摺取付治具
US8869934B2 (en) Method, apparatus, and arrangement for a lifeline system
KR20220149959A (ko) 추락방지를 위한 와이어로프 안전장치
KR102498771B1 (ko)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CN102691474A (zh) 维护平台
KR20240054086A (ko)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KR20240083477A (ko) 달비계용 샤클유닛
KR20240083476A (ko)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지지장치
KR20190056097A (ko) 구명줄 장치
KR100545631B1 (ko) 추락방지를 위한 와이어로프의 가이드장치
JP2014226465A (ja) 橋梁工事用移動式安全帯取付装置
KR200467302Y1 (ko) 안전난간용 난간지주
JP2013048644A (ja) 親綱支持装置
US6505709B1 (en) Sleigh shaped device for mining raises
JP3146541U (ja) 命綱支持装置
JPH07158367A (ja) 墜落防止装置を有する伸縮はしご及び安全器
KR102365385B1 (ko) 천장 크레인용 새들 고정장치
KR20130038980A (ko) 중량장비용 구름방지 스토퍼
CN211572516U (zh) 防坠器及包含该防坠器的附着式升降脚手架
KR102338633B1 (ko) 탈부착 안전 난간
KR102342420B1 (ko) 추락방지용 작업발판이 구비된 안전사다리
EP2697449B1 (en) A roofing sea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