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3477A - 달비계용 샤클유닛 - Google Patents

달비계용 샤클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3477A
KR20240083477A KR1020220167661A KR20220167661A KR20240083477A KR 20240083477 A KR20240083477 A KR 20240083477A KR 1020220167661 A KR1020220167661 A KR 1020220167661A KR 20220167661 A KR20220167661 A KR 20220167661A KR 20240083477 A KR20240083477 A KR 20240083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hackle
unit
prevention member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7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노텍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노텍
Publication of KR2024008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3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E04G3/325Safety devices for stabilising the mobile platform, e.g. to avoid it swinging in the w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4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characterised by supporting structures provided on the roofs

Abstract

달비계용 샤클유닛이 제공된다. 달비계용 샤클유닛은 하단부가 개방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의 양단부에 통공이 관통된 샤클몸체 및 샤클몸체의 통공에 착탈되는 샤클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달비계용 샤클유닛{Shackle unit for hanging scaffold}
본 발명은 달비계용 샤클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로프의 치우침 및 작업로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달비계용 샤클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비계라 함은 매달린 외줄 달기 섬유 로프에 부착되어 지지되는 작업 의자를 이용하여 근로자가 작업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고층건물의 도장, 견출, 청소, 보수, 검사 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이다.
이러한 달비계는 하측 방향으로 작업이 될 수 있도록 작업의자와 연결고정되는 작업용 로프와,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안전 로프, 실제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에 사용되는 물품을 걸어놓는 작업의자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엑스반도와, 안전 로프를 연결 고정시키는 구명줄로 구성된다.
특히 고층건물의 벽면에서 작업은 작업자가 작업용 로프에 연결된 작업의자에 앉아 이루어지며, 반복적으로 고정 위치를 변경하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위험할 뿐만 아니라,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946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로프의 치우침 및 작업로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달비계용 샤클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샤클유닛은, 하단부가 개방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의 양단부에 통공이 관통된 샤클몸체 및 상기 샤클몸체의 통공에 착탈되는 샤클핀을 포함한다.
상기 샤클몸체의 상단부 일측에 돌출되어 작업로프의 치우침을 방지하는 된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클몸체의 측부에 돌출되고, 샤클몸체에 감겨지는 작업로프의 처짐을 방지하는 로프 처짐 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프 처짐 방지부재는, 상기 샤클몸체의 일 측부에 배치되는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 및/또는 상기 샤클몸체의 타 측부에 배치되는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와 상기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는 서로 다른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달비계용 샤클유닛에 의하면, 제1 로프 연결부 및 제1 로프훼손방지부를 통해 건물의 측부로 연장된 작업로프에 감겨져 배치되어 작업로프의 치우침 및 작업로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샤클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샤클유닛이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샤클유닛에 작업로프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샤클유닛에 작업로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샤클유닛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샤클유닛이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샤클유닛에 작업로프를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샤클유닛에 작업로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샤클유닛(500)은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는 고정부(100), 바디부(200) 및 이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300)는 바디부(200) 및 바디부(200) 상측에 배치되되, 바디부(200)와 체결된 상태에서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으며, 바디부(200) 양단부 하측에 배치된 고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100)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한 쌍의 고정부(100)를 연결부재로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100)는 제1 부분(110), 제1 부분(110)과 이격하되 제1 부분(110)과 마주하는 제2 부분(120), 제1 부분(110) 및 제2 부분(120)을 연결하는 제3 부분(13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0) 및 제2 부분(120) 각각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Y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0) 및 제2 부분(120)의 이격되는 간격은 벽(W)의 간격보다 넓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부분(130)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부분(110) 및 제2 부분(1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0)은 제3 부재(130)의 Y축 방향 단부에서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부분(120)은 제3 부재(130)의 Y축 반대방향 단부에서 Z축 방향과 Z축 반대방향 및 Y축 방향과 Y축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부분(130)의 하면에는 회전부재(14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재(140)는 회전이 가능한 바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부분(130)의 하면에 회전부재(140)가 배치되는 경우,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를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벽(W)에 고정부(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수단(150)과 벽(W)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발생되도록 고정수단(150)을 조절한 후,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에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3 부분(130)의 하면에 배치된 회전부재가 회전하면서 벽(W)의 상면을 따라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를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를 다음의 작업위치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100)는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0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1 면(230) 및 제2 면(24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100)는 3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100)는 고정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120)에 연결되어 Y축 방향 또는 Y축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고정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정부(100)는 벽(W)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수단(150)을 통하여 벽(W)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부(100)의 고정을 통하여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분(120) 자체가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0) 자체가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부분(110) 자체가 Y축 방향 또는 Y축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한 쌍의 고정부(100)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면(230), 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면(230)과 Y축 방향과 교차하는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면(230)과 제2 면(240)은 제3 부분(130)을 기준으로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현장에 따라 고정부(100)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제3 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면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면(230)과 제2 면(240)을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면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고정부(100)에 착탈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고정부(100)에 볼트/너트의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핀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면(230)과 제2 면(240)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부를 Y축 방향과 Y축 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면(230)과 제2 면(240)은 복수의 설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공은 제1 면(230)과 제2 면(240) 내부에 Z축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에서 설명하는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이동부(3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의 제1 면(230), 제2 면(240) 또는 제1 면(230), 제2 면(240), 제3 면은 서로 연결되어 사각 프레임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는 제1 면(230)과 제2 면(240)의 일측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레일부(220)는 제1 면(230)과 제2 면(240)의 타측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열처리된 베어링강,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 각각의 길이는 제1 면(230)과 제2 면(240)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의 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1 내지 5m 일 수 있으며,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 각각의 지름은 20 내지 60mm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의 양단은 제1 면(230)의 설치공과 제2 면(240)의 설치공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Y축 방향으로 이격되면서 Z축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Y축 방향으로 일부만 중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Y축 방향으로 일부는 중첩하고, 일부는 비중첩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Y축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회전안내롤러(250)를 더 포함할수 있다. 회전안내롤러(250)는 제1 면(230) 또는/및 제2 면(240)의 측면에 배치되어 작업공구의 전선 등이 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부(300)는 바디부(200)에 체결되고,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부(300)는 제1 로프 연결부(310)와 제2 로프 연결부(320),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 연결부(310)와 제2 로프 연결부(320)는 작업자의 작업로프(400)가 체결되는 곳으로, 제1 로프 연결부(310)에는 주 작업로프가 체결되며, 제2 로프 연결부(320)에는 보조 작업로프가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구성은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프 연결부는 3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 연결부(310)와 제2 로프 연결부(320) 각각은 샤클과 샤클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 연결부(310)와 제2 로프 연결부(32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프 연결부(310)의 크기가 제2 로프 연결부(320)의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로프 연결부(310)의 크기가 제2 로프 연결부(320)의 크기가 동일할 수도 있으며, 제1 로프 연결부(310)의 크기가 제2 로프 연결부(320)의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를 가이드 하는 부분으로 제1 레일부(210)에 체결되어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레일부(210)에 체결되어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가 각각 형성되고 제1 레일부(210)에 체결되어 각각 이동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Z축 방향으로 제1 로프 연결부(310)와 제2 로프 연결부(32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제1 로프 연결부(310) 및 제2 로프 연결부(320)와 중첩되게 위치할 수 있으나, 비중첩되게 위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는 제1 접촉부를 포함하고,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제2 접촉부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 및 제2 홈 각각의 평면형상은 반원형상으로 파인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홈의 지름은 제2 홈의 지름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에는 압력 감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감지 센서는 제1 접촉부 및 제2 접촉부에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로 인하여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설정된 압력이상의 값이 전달되는 경우, 램프의 점등 또는 소리 등으로 외부에 위험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주 작업로프는 제1 접촉부의 제1 홈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되고, 보조 작업로프는 제2 접촉부의 제2 홈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된다. 이에 따라,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로프 훼손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는 주 작업로프가 제1 접촉부의 제1 홈에 접촉한 상태에서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고,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보조 작업로프가 제2 접촉부의 제2 홈에 접촉한 상태에서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가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가 하부 방향으로 훼손없이 손쉽게 연장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의 길이가 긴 경우, 중력, 장력 및 마찰력 등에 의하여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를 상부로 회수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며, 실제 작업현장에서는 별도의 도르래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이를 회수하고 있는 실정이나,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가 각각 Z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 각각이 훼손없이 손쉽게 상부 방향으로 회수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40), 제2 체결부(34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40)와 제2 체결부(341)는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40)와 제2 체결부(341)는 제2 레일부(220)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바디부(200)와 이동부(300)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41)가 제2 레일부(220)에 체결되어 제2 레일부(220)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40)는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에 연결되고, 제2 체결부(341)는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에 연결되어 제1 체결부(340) 및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체결부(341)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가 각각 이동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 중 적어도 하나는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 각각의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부(300)에는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레버(3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레버(330)는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 사이에 위치하되, 이동부(300) 상부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레버(330)는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41) 일측에 또는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41) 각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 레버(330)를 통하여 이동부(300)의 이동 및 정지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브레이크는 일측에 조임부가 배치된 고리 형상일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브레이크는 콜렛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부(300)는 수평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감지 센서는 이동부(300)가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에 체결된 상태에서 X축 방향으로 수평 여부에 대한 감지를 할 수 있다. 수평 감지 센서는 설정된 ±오차값의 범위 밖으로 기울기가 형성된 경우 램프의 점등 또는 소리 등으로 외부에 위험여부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를 포함하는 작업로프(400)는 섬유를 꼬아 만든 굵은 줄로 통상의 로프(rope)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작업로프(400)는 제1 로프 연결부(310)와 제2 로프 연결부(320) 각각에 연결되고,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를 통해 건물의 측부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작업로프(400)에 배치되고, 작업의자의 설치를 위한 샤클(500)을 더 포함하고, 몇몇 실시예에서 샤클(500)은 샤클몸체(510), 샤클핀(52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샤클몸체(510)는 하단부가 개방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의 양단부에는 통공(511)이 관통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샤클몸체(510)는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5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512)는 샤클몸체(510)의 상단부 일측에 돌출되어 상단부 일측으로 밀착되는 작업로프(400)가 한 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512)는 샤클몸체(510)의 상단부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512)는 샤클몸체(510)에 요입된 홈 또는 홀에 끼움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끼움 결합은 억지 끼움, 나사 체결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한 쌍의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512)의 간격은 작업로프(400)를 수용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치우침 방지부재(512) 사이에 위치한 작업로프(400)가 샤클몸체(510)에서 한 쪽으로 치우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512)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512)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512)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512)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작업로프(40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으로 인한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512)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샤클몸체(511)는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는 샤클몸체(510)의 측부에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는 샤클몸체(510)에 요입된 홈 또는 홀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는 샤클몸체(510)에 감겨지는 작업로프(4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는 샤클몸체(510)의 일 측부에 배치되는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a)를 포함하고,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는 샤클몸체(510)의 타 측부에 배치되는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a)와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b)는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a)와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b)는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a)는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b)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a)와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b)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a)와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b)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a)와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b)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a)와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b)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작업로프(400)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으로 인한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a)와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513b)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샤클몸체(510)는 로프 이동제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프 이동제어부재는 샤클몸체(510)의 하단부 내면에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샤클몸체(510)에 감긴 작업로프(400)의 샤클몸체(510) 내부로의 이동을 로프 이동제어부재가 제어함으로써 샤클핀(520)이 샤클몸체(510)의 통공(511)으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샤클핀(520)은 샤클몸체(510)의 통공(511)에 착탈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샤클핀(520)은 샤클핀 몸체(521), 손잡이(52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샤클핀 몸체(521)는 봉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샤클핀 몸체(521)의 타측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샤클핀 몸체(521)는 유도대(52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도대(521a)는 샤클핀 몸체(521)의 타측 단부에 샤클핀 몸체(5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어 샤클몸체(510)의 통공(51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샤클몸체(510)의 통공(511)에 결합되는 유도대(521a)의 단부는 만곡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도대(521a)의 단부가 만곡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통공(511)으로의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샤클핀 몸체(521)는 걸림턱(521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걸림턱(521b)은 샤클핀 몸체(521)의 일측에 돌출되어 통공(511)으로의 결합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샤클핀 몸체(521)가 통공(511)으로 결합될 때, 걸림턱(521b)이 샤클몸체(510)의 외면에 밀착되면서 샤클핀 몸체(521)의 통공(511) 결합을 제한함으로써 걸림턱(521b)으로부터 손잡이(522)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손잡이(522)는 샤클핀 몸체(521)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손잡이(522)는 샤클핀 몸체(52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샤클핀 몸체(521)의 일측 단부에 손잡이(522)가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샤클핀 몸체(521)에 안착되는 작업로프(400)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샤클핀 몸체(521)에 안착되는 작업로프(400)가 외측으로 벌어져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는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300)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로프를 한번 타고 지면에 내려와 다시 옥상에 올라가는 반복 작업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이 효과적으로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는 바디부(200)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탑승 공간이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작업의자에 엎드려 탑승하지 않고, 서서 안정적으로 작업의자에 탑승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100: 고정부
110: 제1 부분
120: 제2 부분
130: 제3 부분
140: 회전부재
150: 고정수단
200: 바디부
210: 제1 레일부
220: 제2 레일부
230: 제1 면
240: 제2 면
250: 회전안내롤러
300: 이동부
310: 제1 로프 연결부
320: 제2 로프 연결부
330: 브레이크 레버
340: 제1 체결부
341: 제2 체결부
350: 제1 로프훼손방지부
351: 제2 로프훼손방지부
400: 작업로프
500: 샤클유닛
510: 샤클몸체
511: 통공
512: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
513: 로프 처짐 방지부재
513a: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
513b: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
520: 샤클핀
521: 샤클핀 몸체
521a: 유도대
521b: 걸림턱
522: 손잡이

Claims (6)

  1. 하단부가 개방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부분의 양단부에 통공이 관통된 샤클몸체; 및
    상기 샤클몸체의 통공에 착탈되는 샤클핀을 포함하는 달비계용 샤클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클몸체의 상단부 일측에 돌출되어 작업로프의 치우침을 방지하는 된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달비계용 샤클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치우침 방지부재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으로 배치되는 달비계용 샤클유닛.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클몸체의 측부에 돌출되고, 샤클몸체에 감겨지는 작업로프의 처짐을 방지하는 로프 처짐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달비계용 샤클유닛.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처짐 방지부재는,
    상기 샤클몸체의 일 측부에 배치되는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 및/또는
    상기 샤클몸체의 타 측부에 배치되는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를 포함하는 달비계용 샤클유닛.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프 처짐 방지부재와 상기 제2 로프 처짐 방지부재는 서로 다른 선상에 배치되는 달비계용 샤클유닛.
KR1020220167661A 2022-12-05 달비계용 샤클유닛 KR20240083477A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3477A true KR20240083477A (ko) 2024-06-12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681B1 (ko) 추락 방지 조립체
KR101246665B1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JP4307235B2 (ja) 架線吊り上げ装置
JP2010185185A (ja) 仮設手摺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220149959A (ko) 추락방지를 위한 와이어로프 안전장치
JP5771829B2 (ja) 仮設ガイドレール用固定装置
KR200461101Y1 (ko)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KR20240083477A (ko) 달비계용 샤클유닛
JP5584871B2 (ja) 仮設ガイドレールの取付金具
KR20240054086A (ko)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KR20240083476A (ko)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지지장치
KR102498771B1 (ko)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JP3171037U (ja) 親綱支持装置
KR20190056097A (ko) 구명줄 장치
KR200467302Y1 (ko) 안전난간용 난간지주
CN105484486A (zh) 可调节刚性拉接装置
JP2014030606A (ja) 昇降用安全装置
JP3185370U (ja) 梯子(3)
JP5476738B2 (ja) スレート屋根用安全設備
KR20200059815A (ko) 자재 연결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안전장치
CN215441185U (zh) 一种钢丝绳索扣插编工具
KR102516500B1 (ko) 비계의 안전 덮개
KR102338633B1 (ko) 탈부착 안전 난간
CN220778867U (zh) 一种钢结构安装用安全绳悬挂装置
KR200480875Y1 (ko) 로프 작업용 견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