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4086A -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 Google Patents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54086A KR20240054086A KR1020220134392A KR20220134392A KR20240054086A KR 20240054086 A KR20240054086 A KR 20240054086A KR 1020220134392 A KR1020220134392 A KR 1020220134392A KR 20220134392 A KR20220134392 A KR 20220134392A KR 20240054086 A KR20240054086 A KR 202400540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pe
- movable support
- damage prevention
- rail
- axis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group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가 제공된다.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는,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고정부와, 한 쌍의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된 바디부 및 바디부에 체결되고, X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비계라 함은 매달린 외줄 달기 섬유 로프에 부착되어 지지 되는 작업 의자를 이용하여 근로자가 작업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 주로 고층건물의 도장, 견출, 청소, 보수, 검사 등의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이다.
이러한 달비계는 하측 방향으로 작업이 될 수 있도록 작업의자와 연결고정되는 작업용 로프와,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안전 로프, 실제 작업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에 사용되는 물품을 걸어놓는 작업의자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착용하는 엑스반도와, 안전 로프를 연결 고정시키는 구명줄로 구성된다.
특히 고층건물의 벽면에서 작업은 작업자가 작업용 로프에 연결된 작업의자에 앉아 이루어지며, 반복적으로 고정 위치를 변경하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위험할 뿐만 아니라, 오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는,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체결되고, X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며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부분의 하면에 배치된 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 각각에 설치된 제1 면과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의 일측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의 타측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2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 또는/및 제2 면의 측면에 배치된 회전안내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바디부의 제1 레일부에 배치된 제1 로프훼손방지부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와, 상기 바디부의 제2 레일부에 배치된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와, 상기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에 연결되는 제1 로프 연결부 및 제2 로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로프훼손방지부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 및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에 의하면, 작업자가 로프를 한번 타고 지면에 내려와 다시 옥상에 올라가는 반복 작업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이 효과적으로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작업자가 작업의자에 엎드려 탑승하지 않고, 서서 안정적으로 작업의자에 탑승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훼손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훼손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체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훼손방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는 고정부(100), 바디부(200) 및 이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300)는 바디부(200) 및 바디부(200) 상측에 배치되되, 바디부(200)와 체결된 상태에서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으며, 바디부(200) 양단부 하측에 배치된 고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100)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한 쌍의 고정부(100)를 연결부재로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100)는 제1 부분(110), 제1 부분(110)과 이격하되 제1 부분(110)과 마주하는 제2 부분(120), 제1 부분(110) 및 제2 부분(120)을 연결하는 제3 부분(13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0) 및 제2 부분(120) 각각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Y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0) 및 제2 부분(120)의 이격되는 간격은 벽(W)의 간격보다 넓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부분(130)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부분(110) 및 제2 부분(1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0)은 제3 부재(130)의 Y축 방향 단부에서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부분(120)은 제3 부재(130)의 Y축 반대방향 단부에서 Z축 방향과 Z축 반대방향 및 Y축 방향과 Y축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부분(130)의 하면에는 회전부재(14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재(140)는 회전이 가능한 바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부분(130)의 하면에 회전부재(140)가 배치되는 경우,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를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벽(W)에 고정부(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수단(150)과 벽(W)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발생되도록 고정수단(150)을 조절한 후,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에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제3 부분(130)의 하면에 배치된 회전부재가 회전하면서 벽(W)의 상면을 따라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를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를 다음의 작업위치로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100)는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0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1 면(230) 및 제2 면(24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100)는 3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100)는 고정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부분(120)에 연결되어 Y축 방향 또는 Y축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고정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정부(100)는 벽(W)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수단(150)을 통하여 벽(W)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부(100)의 고정을 통하여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분(120) 자체가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0) 자체가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부분(110) 자체가 Y축 방향 또는 Y축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110) 중 제2 부분(120)과 마주하는 면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패턴은 다수의 오목홈 또는 오목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오목홈 또는 오목돌기의 피치는 0.5 ~ 1.2cm 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분(120) 중 제1 부분(110)과 마주하는 면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패턴은 다수의 오목홈 또는 오목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오목홈 또는 오목돌기의 피치는 0.5 ~ 1.2cm 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부분(130)의 하면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끄럼 방지 패턴은 다수의 오목홈 또는 오목돌기를 포할 수 있으며, 다수의 오목홈 또는 오목돌기의 피치는 0.5 ~ 1.2cm 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한 쌍의 고정부(100)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면(230), 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면(230)과 Y축 방향과 교차하는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면(230)과 제2 면(240)은 제3 부분(130)을 기준으로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현장에 따라 고정부(100)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제3 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면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면(230)과 제2 면(240)을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면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고정부(100)에 착탈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고정부(100)에 볼트/너트의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핀부재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면(230)과 제2 면(240)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부를 Y축 방향과 Y축 반대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면(230)과 제2 면(240)은 복수의 설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공은 제1 면(230)과 제2 면(240) 내부에 Z축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기에서 설명하는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이동부(3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의 제1 면(230), 제2 면(240) 또는 제1 면(230), 제2 면(240), 제3 면은 서로 연결되어 사각 프레임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는 제1 면(230)과 제2 면(240)의 일측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레일부(220)는 제1 면(230)과 제2 면(240)의 타측 상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열처리된 베어링강,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 각각의 길이는 제1 면(230)과 제2 면(240) 사이의 간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의 X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1 내지 5m 일 수 있으며,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 각각의 지름은 20 내지 60mm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의 양단은 제1 면(230)의 설치공과 제2 면(240)의 설치공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Y축 방향으로 이격되면서 Z축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Y축 방향으로 일부만 중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Y축 방향으로 일부는 중첩하고, 일부는 비중첩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Y축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는 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200)는 회전안내롤러(250)를 더 포함할수 있다. 회전안내롤러(250)는 제1 면(230) 또는/및 제2 면(240)의 측면에 배치되어 작업공구의 전선 등이 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부(300)는 바디부(200)에 체결되고,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부(300)는 제1 로프 연결부(310)와 제2 로프 연결부(320),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 연결부(310)와 제2 로프 연결부(320)는 작업자의 작업 로프가 체결되는 곳으로, 제1 로프 연결부(310)에는 주 작업 로프가 체결되며, 제2 로프 연결부(320)에는 보조 작업 로프가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구성은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프 연결부는 3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 연결부(310)와 제2 로프 연결부(320) 각각은 샤클과 샤클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 연결부(310)와 제2 로프 연결부(32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프 연결부(310)의 크기가 제2 로프 연결부(320)의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로프 연결부(310)의 크기가 제2 로프 연결부(320)의 크기가 동일할 수도 있으며, 제1 로프 연결부(310)의 크기가 제2 로프 연결부(320)의 크기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를 가이드 하는 부분으로 제1 레일부(210)에 체결되어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1 레일부(210)에 체결되어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가 각각 형성되고 제1 레일부(210)에 체결되어 각각 이동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Z축 방향으로 제1 로프 연결부(310)와 제2 로프 연결부(32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제1 로프 연결부(310) 및 제2 로프 연결부(320)와 중첩되게 위치할 수 있으나, 비중첩되게 위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는 제1 접촉부(CTP1)를 포함하고,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제2 접촉부(CTP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는 제1 홈을 포함하고, 제2 접촉부는 제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홈 및 제2 홈 각각의 평면형상은 반원형상으로 파인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홈의 지름은 제2 홈의 지름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CTP1)의 두께(d1)는 제2 접촉부(CTP2)의 두께(d2)보다 얇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촉부(CTP1)의 두께는 35 내지 45mm 일 수 있으며, 제2 접촉부(CTP2)의 두께는 40 내지 50mm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CTP1)의 두께(d1)와 제2 접촉부(CTP2)의 두께(d2)는 동일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1촉부(CTP1)의 두께(d1)가 제2 접촉부(CTP2)의 두께(d2)보다 두꺼울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CTP1) 및 제2 접촉부(CTP2)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접촉부(CTP1) 및 제2 접촉부(CTP2)에는 압력 감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감지 센서는 제1 접촉부(CTP1) 및 제2 접촉부(CTP2)에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로 인하여 전달되는 압력을 감지하여 설정된 압력이상의 값이 전달되는 경우, 램프의 점등 또는 소리 등으로 외부에 위험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주 작업로프는 제1 접촉부(CTP1)의 제1 홈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되고, 보조 작업로프는 제2 접촉부(CTP2)의 제2 홈에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된다. 이에 따라,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로프 훼손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는 주 작업로프가 제1 접촉부(CTP1)의 제1 홈에 접촉한 상태에서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고,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는 보조 작업로프가 제2 접촉부(CTP2)의 제2 홈에 접촉한 상태에서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가 Z축 방향 또는 Z축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가 하부 방향으로 훼손없이 손쉽게 연장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의 길이가 긴 경우, 중력, 장력 및 마찰력 등에 의하여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를 상부로 회수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며, 실제 작업현장에서는 별도의 도르래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이를 회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별도의 장비 없이도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가 각각 Z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주 작업로프 및 보조 작업로프 각각이 훼손없이 손쉽게 상부 방향으로 회수될 수 있게 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40), 제2 체결부(34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40)와 제2 체결부(341)는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40)와 제2 체결부(341)는 제2 레일부(220)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바디부(200)와 이동부(300)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41)가 제2 레일부(220)에 체결되어 제2 레일부(220)을 따라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340)는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에 연결되고, 제2 체결부(341)는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에 연결되어 제1 체결부(340) 및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와 제2 체결부(341)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가 각각 이동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체결부(34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체결부(340) 내부에는 제1 레일홀(RH1), 제2 레일홀(RH2) 및 커버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레일홀(RH2) 내부에는 커버부(CP)가 배치될 수 있고, 커버부(CP)의 중심부에는 제1 레일홀(RH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레일홀(RH1)에는 제1 레일부(210)가 관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부(CP)의 내부에는 쇠구슬 또는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으며 쇠구슬의 회전에 따라 제1 레일부(210)에 체결된 상태에서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부(CP)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체결부(341) 내부에는 제1 레일홀(RH1), 제2 레일홀(RH2) 및 커버부(CP)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레일홀(RH2) 내부에는 커버부(CP)가 배치될 수 있고, 커버부(CP)의 중심부에는 제1 레일홀(RH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레일홀(RH1)에는 제1 레일부(210)가 관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부(CP)의 내부에는 쇠구슬이 배치될 수 있으며 쇠구슬의 회전에 따라 제1 레일부(2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부(CP)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부(CP)는 열처리된 베어링강,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 중 적어도 하나는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 각각의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부(300)에는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브레이크 레버(33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레버(330)는 제1 로프훼손방지부(350)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351) 사이에 위치하되, 이동부(300) 상부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레버(330)는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41) 일측에 또는 제1 체결부(340) 및 제2 체결부(341) 각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 레버(330)를 통하여 이동부(300)의 이동 및 정지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브레이크는 일측에 조임부가 배치된 고리 형상일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브레이크는 콜렛척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부(300)는 수평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감지 센서는 이동부(300)가 제1 레일부(210) 및 제2 레일부(220)에 체결된 상태에서 X축 방향으로 수평 여부에 대한 감지를 할 수 있다. 수평 감지 센서는 설정된 ±오차값의 범위 밖으로 기울기가 형성된 경우 램프의 점등 또는 소리 등으로 외부에 위험여부를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는 X축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300)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로프를 한번 타고 지면에 내려와 다시 옥상에 올라가는 반복 작업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시간이 효과적으로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10)는 바디부(200)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탑승 공간이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작업의자에 엎드려 탑승하지 않고, 서서 안정적으로 작업의자에 탑승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100: 고정부
110: 제1 부분
120: 제2 부분
130: 제3 부분
140: 회전부재
150: 고정수단
200: 바디부
210: 제1 레일부
220: 제2 레일부
230: 제1 면
240: 제2 면
250: 회전안내롤러
300: 이동부
310: 제1 로프 연결부
320: 제2 로프 연결부
330: 브레이크 레버
340: 제1 체결부
341: 제2 체결부
350: 제1 로프훼손방지부
351: 제2 로프훼손방지부
100: 고정부
110: 제1 부분
120: 제2 부분
130: 제3 부분
140: 회전부재
150: 고정수단
200: 바디부
210: 제1 레일부
220: 제2 레일부
230: 제1 면
240: 제2 면
250: 회전안내롤러
300: 이동부
310: 제1 로프 연결부
320: 제2 로프 연결부
330: 브레이크 레버
340: 제1 체결부
341: 제2 체결부
350: 제1 로프훼손방지부
351: 제2 로프훼손방지부
Claims (7)
-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체결되고, X 방향 또는 X축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이격되며 상기 제1 부분과 마주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분의 하면에 배치된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 각각에 설치된 제1 면과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의 일측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1 면과 제2 면의 타측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2 레일부를 포함하는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또는/및 제2 면의 측면에 배치된 회전안내롤러를 더 포함하는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바디부의 제1 레일부에 배치된 제1 로프훼손방지부 및 제2 로프훼손방지부;
상기 바디부의 제2 레일부에 배치된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에 연결되는 제1 로프 연결부 및 제2 로프 연결부를 포함하는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프훼손방지부와 제2 로프훼손방지부 및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레버를 더 포함하는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4392A KR20240054086A (ko) | 2022-10-18 | 2022-10-18 |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34392A KR20240054086A (ko) | 2022-10-18 | 2022-10-18 |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4086A true KR20240054086A (ko) | 2024-04-25 |
Family
ID=90885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4392A KR20240054086A (ko) | 2022-10-18 | 2022-10-18 |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54086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6189B1 (ko) | 2012-09-06 | 2013-06-18 | 강민구 | 달비계용 로프 고정 장치 |
-
2022
- 2022-10-18 KR KR1020220134392A patent/KR2024005408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6189B1 (ko) | 2012-09-06 | 2013-06-18 | 강민구 | 달비계용 로프 고정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61681B1 (ko) | 추락 방지 조립체 | |
KR102036152B1 (ko) | 과하중 방지용 작업대 클라이밍 장치 | |
KR20220149959A (ko) | 추락방지를 위한 와이어로프 안전장치 | |
JP2008045363A (ja) | 吊下げ装置 | |
CN102691474A (zh) | 维护平台 | |
JP7062279B2 (ja) | 墜落防止器具 | |
CN203684637U (zh) | 脚手架自动定位及防坠装置 | |
KR101109398B1 (ko) | 안전로프 지주 | |
KR102498771B1 (ko) |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 |
CN106150057A (zh) | 一种分片式液压提升爬架 | |
KR20240054086A (ko) |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 | |
CN202416823U (zh) | 一种高空作业平台 | |
KR20210003452A (ko) | 높이 조절형 이동식 작업대 | |
KR20240083477A (ko) | 달비계용 샤클유닛 | |
KR102600088B1 (ko) | 철탑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추락 방지장치 | |
KR101169218B1 (ko) | 달비계용 작업의자 | |
KR20240083476A (ko) | 달비계용 이동식 지지대의 지지장치 | |
JP2012087524A (ja) | 梯子アタッチメント | |
JP2868747B1 (ja) | 昇降機 | |
CN206110636U (zh) | 一种分片式液压提升爬架 | |
WO2017164557A1 (ko) | 건물 외벽 작업을 위한 안전 사다리 | |
KR102363185B1 (ko) |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 |
JP7161744B2 (ja) | 移動体取付具、安全具、安全装置、運搬体取付具及び昇降装置 | |
JP3180786U (ja) | 墜落防止装置 | |
CN105484486A (zh) | 可调节刚性拉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