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398B1 - 안전로프 지주 - Google Patents

안전로프 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398B1
KR101109398B1 KR1020040029762A KR20040029762A KR101109398B1 KR 101109398 B1 KR101109398 B1 KR 101109398B1 KR 1020040029762 A KR1020040029762 A KR 1020040029762A KR 20040029762 A KR20040029762 A KR 20040029762A KR 101109398 B1 KR101109398 B1 KR 101109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rope
stress concentration
support body
strut
cheolgolb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648A (ko
Inventor
모리타유타카
코다히로시
나구모타카시
Original Assignee
호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5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95Guide tracks for safet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체와 조립이라는 번잡한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되고, 이동하기 쉬우면서도 안전성이 높은 계단용 작업대 발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철골보(5)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와, 이 고정부재(3)에서 위쪽으로 세워진 지주본체(2), 이 지주본체(2)의 상단부에 부착된 안전로프(16)를 걸리게 하는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를 가진 안전로프 지주(1)로서, 상기 안전로프(16)가 잡아당겨짐으로써 상기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를 수평방향 내지 아래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지주본체(2)가 절곡될 때 발생하는 응력이 집중하는 응력집중부가 상기 지주본체(2)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안전로프 지주 {Master Rope Suppor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의 정면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를 철골보의 플랜지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의 지주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응력집중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응력집중부의 확대단면도로서,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응력집중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6은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철골보의 길이방향과 같은 쪽 측면에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가 2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를 철골보의 플랜지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평행하게 배치된 철골보의 바깥쪽 측면에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를 1개씩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응력집중부를 같은 높이에 다방향형으로 설치한 안전로프 지주의 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응력집중부를 같은 높이에 다방향형으로 설치한 안전로프 지주의 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응력집중부를 상하로 다른 높이에 다방향형으로 설치한 안전로프 지주의 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2는 응력집중부를 상하로 다른 높이에 다방향형으로 설치한 안전로프 지주의 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건물을 건설하는 도중의 고소작업의 안전을 확보할 목적으로 작업자가 허리에 차는 안전띠의 앞끝에 설치된 훅을 걸려지게 하는 안전로프(친강:親綱: master rope)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안전로프 지주(支柱: support)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골보의 플랜지부에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된 안전로프 지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철골보 플랜지부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안전로프 지주로, 수직으로 세워진 지주본체와, 이 지주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고정금구, 지주본체의 상단부에 부착되는 안전로프 보유지지금구를 갖도록 된 것을 사용하고 있는 바, 이는 철골보로 사용되는 H형강의 상부플랜지에 고정금구로 파지해서 고정시켜 철골보에 지주본체를 세워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1개의 철골보에는 2개 이상 여러 개의 안전로프 지주가 부착되고서, 서로 이웃하는 안전로프 지주 사이에는 각 안전로프 부착금구에 의해 부착된 안전로프가 둘러쳐지도록 되어 있다(예컨대 일본국 실개평5-52119호 공보 참조).
이에 따라, 작업자는 허리에 차고 있는 안전띠의 앞끝에 설치된 훅을 복수의 안전로프 지주끼리를 이어주고 있는 안전로프에다 걸어줌으로써, 작업자가 잘못해서 철골보에서 발을 헛디뎌 철골보에서 떨어지게 되더라도 안전띠에 매달릴 수 있게 되어 철골보에서 지상으로 떨어질 염려가 없게 되어, 안전하게 고소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작업성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고정금구에서 수직인 지주본체가 세워진 안전로프 지주에서는, 안전로프 보유지지금구가 작업자의 허리높이와 대략 같은 위치(작업장소 바닥에서 90cm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철골보에 안전로프 지주를 부착시키는 경우 안전로프 보유지지금구가 거추장스러운 존재로 된다.
그 때문에 일부에서는 안전로프 보유지지금구가 철골보의 바깥으로 튀어나간 위치에 있도록, 지주본체의 상단부를 철골보의 바깥으로 경사진 상태로 되도록 해서 지주본체를 고정금구에다 부착하도록 된 안전로프 지주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개평11-30043호 공보 참조).
이에 따라, 안전로프 보유지지금구가 철골보의 폭보다도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어, 작업자가 철골보를 걸을 때 안전로프 보유지지금구가 거추장스럽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의 안전로프 지주에서는, 작업자가 철골보에서 떨어지는 경우에 안전로프에 수직방향으로 큰 충격력이 작용함으로써 안전로프에 인장력(引張力)이 작용하여, 그 안전로프가 떨어진 작업자를 중심으로 좌우로 배치되어 있는 안전로프 지주 상단부의 안전로프 보유지지금구를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고정금구와 지주본체의 접합부분에 닿는 지주본체의 하단부에 큰 굽힘응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지주본체가 굽혀지거나 고정금구가 파손되어 안전로프 지주가 철골보에서 탈락할 염려가 있었다. 그 결과, 고정금구가 파손된 경우는 물론 고정금구가 철골보에서 벗겨지지 않더라도 지주본체가 구부려진 경우에는 안전로프가 철골보 가까이 내지 철골보 보다 아래쪽으로 쳐지게 되어 작업자가 떨어지는 거리가 커지게 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에게 큰 충격력이 가해지거나 작업자가 철골보나 기타 구조물 등에 부딪치게 되어 큰 사고로 이어질 염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작업자가 철골보에서 떨어지는 경우에도 안전로프가 당초의 위치에서 크게 늘어지지 않는 안전로프 지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골보에다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서 위쪽으로 세워진 지주본체, 이 지주본체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안전로프를 걸려지도록 하는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를 가진 안전로프 지주로서, 상기 안전로프가 잡아당겨져 상기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를 수평방향 내지 아래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지주본체가 절곡될 때 발생하는 응력이 집중하는 응력집중부가 상기 지주본체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철골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서 위쪽으로 세워진 지주본체, 이 지주본체의 상단부에 부착된 안전로프가 걸려지게 되는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를 가진 안전로프 지주로서, 상기 안전로프가 잡아당겨지면 상기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를 수평방향 내지 아래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지주본체가 절곡될 때 발생하는 응력이 집중하는 응력집중부가 상기 지주본체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응력집중부에 응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응력집중부를 중심으로 지주본체의 외표면에 닿기까지 절곡(折曲)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낙하에 따른 충격력을 응력집중부에서 절곡되는 데에 필요한 에너지로 흡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자에게 주어지는 충격력이 그만큼 작아져 큰 사고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에 외력이 작용해서 상기 지주본체가 상기 응력집중부에서 절곡된 경우, 상기 응력집중부 보다 위쪽의 상기 지주본체의 일부가 상기 응력집중부 보다 아래쪽의 상기 지주본체의 일부에 닿게 됨으로써 상기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의 하강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에 외력이 작용해서 상기 지주본체가 상기 응력집중부에서 절곡된 경우, 상기 응력집중부 보다 위쪽의 상기 지주본체의 일부가 상기 응력집중부 보다 아래쪽의 상기 지주본체의 일부에 닿게 됨으로써 상기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의 하강위치가 제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이상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가 하강하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떨어져 낙하하는 거리가 근소한 거리에 그쳐, 작업자에게 주어지는 충격력이 더 작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지주본체는 위쪽으로 갈수록 상기 철골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 및 이 경사부 앞끝의 직립부를 갖는 한편, 상기 응력집중부가 상기 경사부와 직립부를 이어주는 굴곡부에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주본체는 위쪽으로 갈수록 상기 철골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 및 이 경사부 앞끝의 직립부를 갖는 한편, 상기 응력집중부가 상기 경사부와 직립부를 이어주는 굴곡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가 철골보의 측변에서 멀리 떨어져 있게 되어 작업자가 철골보 위를 걸을 때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가 거추장스럽지 않게 되고, 응력집중부와 굴곡부를 각각 다른 곳에 형성시키는 경우에 비해 가공이 간단해져 제조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응력집중부는 압축력이 작용하는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응력집중부가 압축력이 작용하는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주본체가 오목부를 중심으로 오목부 쪽으로 굴곡이 생기게 됨으로써, 충격흡수력 및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의 넘어지는 위치를 정확히 추정할 수 있어 안전로프 지주의 설계가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지주본체의 단면이 4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서, 상기 응력집중부에 상당하는 상기 지주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1쌍의 측면에 각각 적어도 1조(組)의 요철부(凹凸部)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지주본체의 단면이 4각형으로 이루어지고서, 상기 응력집중부에 상당하는 상기 지주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1쌍의 측면에 각각 적어도 1조의 요철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압축력이 걸려지는 쪽의 요철부는 요철부가 연속되는 방향으로 허물어지는 한편, 인장력이 걸려지는 쪽의 요철부는 요철부가 연속되는 방향으로 뻗게 됨으로써, 요철부에 작용하는 요철부를 중심으로 한 절곡모멘트가 직접적으로 흡수될 수 있게 되어, 거의 동일한 평면 사이에서 절곡이 재현될 수 있어, 다른 제품 사이에 충격흡수력이 흩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항상 안정된 절곡이 제품특성을 가진 안전로프 지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지주본체의 단면이 4각형으로 이루어지고서, 상기 응력집중부에 상당하는 상기 지주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1쌍의 측면에는 각각 적어도 1조의 요철부를 갖는 한편, 다른 2개의 변 중 1개의 변에는 압축력이 작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지주본체의 단면이 4각형으로 이루어지고서, 상기 응력집중부에 상당하는 상기 지주본체의 서로 마주보는 1쌍의 측면에 각각 적어도 1조의 요철부를 갖는 한편, 다른 2개의 변 중 1개의 변에는 압축력이 작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에서 보아 지주본체가 전후좌우 모든 방향에 대해 넘어뜨리려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작업자에게 주어지는 충격력이 약해지도록 할 수가 있어, 평행형 및 직교형 어느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안전로프 지주가 얻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응력집중부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의 상기 지주본체에 이 지주본체 끼리를 이어주는 가로걸침부재를 부착시키는 부착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응력집중부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의 상기 지주본체에, 이 지주본체 끼리를 이어주는 가로걸침부재를 부착시키는 부착부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부재에 가로걸침부재가 부착됨으로써 난간 아래에 사람이 통하는 간극이 만들어질 수가 없어, 작업자가 철골보에서 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안전로프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응력집중부가 응력집중방향을 달리하는 부위가 복수로 형성되거나, 지주본체의 상하방향 또는 지주본체의 주위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하면, 지주본체의 걸리는 방향이 다른 하중부하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안전로프 또는 가로걸침부재의 설정방향에 넓은 선택폭이 생기게 된다. 하중방향이 설계상의 예정방향에 대해 다소 각도적(角度的)으로 어긋나게 되더라도, 복수 방향으로 응력을 받는 방향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1방향의 경우에 비해 응력을 복수의 응력집중부로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말하자면 지주본 주위의 전방위 방향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1실시예는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철골보의 길이방향 같은 쪽 측변(側邊)에 복수로 배치되어 고정되는 이른바 평행형 안전로프 지주의 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다른 안전로프 지주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를 철골보의 플랜지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의 지주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응력집중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응력집중부의 확대단면도로서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응력집중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이다.
안전로프 지주(1)의 지주본체(2)에는 단면이 4각형인 각파이프가 사용되고서, 그 하단부에는 가재발모양 바이스(vice)형 고정부재(3)가 용접으로 접합되어져 있다. 이 고정부재(3)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C자 형상의 파지부재(把持部材;4)를 갖도록 되어 있는 바, 이 파지부재(4)에는 철골보(5)의 플랜지부(6)의 하부면에 닿는 하부플랜지부(7)와, 위쪽에서 아래쪽을 향해 나사끼움될 수 있는 고착나사(8)가 나사결합되는 지지부재(9)를 갖도록 되어 있다.
지주본체(2)의 대략 하반부는 위쪽으로 갈수록 철골보(5)의 플랜지부(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10)를 갖도록 되어 있고, 그 앞끝에는 지주본체(2)의 중간부인 소정의 위치에서 직립자세로 되어 있는 직립부(11)를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주본체(2)의 경사부(10)와 직립부(11)의 경계부인 굴곡부(屈曲部;12)는 지주본체(2)의 횡단면의 약 1/2의 높이까지 패어 들어간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주본체(2)를 수평방향으로 굽혀지도록 하는 외력(外力)이 발생한 경우, 지주본체(2)가 굴곡부(12)에서 굽혀질 때 발생하는 응력이 집중하는 응력집중부(應力集中部)가 존재하면 좋은 바, 오목부(13)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측면에서 본 반원형으로 된 것에 한하지 않고, V자 형상의 선단부에 곡면(R)을 형성한 것이나, 기타의 형상을 채용하여도 좋다. 단, 지주본체(2)가 절곡된 경우에는 굴곡부(12;응력집중부) 보다 아래쪽 지주본체(2)의 일부에 닿게 함으로써,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가 그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의 하강위치를 제한할 수 있는 형상이 되어야 한다.
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지주본체(2)의 측변과 직교하는 1쌍의 서로 마주보는 측변에는 깊이가 지주본체(2)의 횡단면의 약 1/4의 높이까지 패어든 요철부(14)가 복수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주본체(2)를 수평방향으로 굽혀지도록 하는 외력이 발생한 경우, 지주본체(2)가 굴곡부(12)로부터 절곡될 때 발생하는 응력이 집중하는 응력집중부가 존재하면 좋은 바, 연속한 복수의 요철부(14) 대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측면에서 보아 부채모양을 하고서 중앙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깊어지도록 된 부채모양 오목부(15)나 기타의 형상을 채용하여도 된다. 단, 지주본체(2)가 절곡되는 경우에 굴곡부(12;응력집중부) 보다 위쪽의 지주본체(2)의 일부가 굴곡부(12) 보다 아래쪽 지주본체(2)의 일부에 닿게 함으로써,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가 그 이상 하강하지 않도록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의 하강위치를 제한할 수 있는 형상이어야 한다.
오목부(13) 및 요철부(14)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깊이는 지주본체의 재료, 지주본체의 형상, 내하중(耐荷重) 및, 기타의 설계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지주본체(2)의 상단부에는 안전로프(16)가 걸려지는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가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는 지주본체(2)의 각파이프 상단부의 개구부를 막아주는 평탄부(18)와 이 평판부(18)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를 아래쪽으로 뒤로 접혀지도록 해서 지주본체(2)의 측면에 접촉하도록 된 부착면부(19,19)를 가진 부착금구부(20)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 부착금구부(20)의 평탄부(18) 중앙부에는 수직방향 위쪽으로 병렬로 뻗은 2개의 지주(21,21)를 그 위쪽에 형성된 가로가 긴 모양의 원형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안전로프(16)가 걸려지는 걸림부(22)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 걸림부(22)는 1개의 환봉(丸棒)을 굽혀 가공해서 제작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병렬로 된 2개의 지주(21,21)는 서로 접촉해 있는 것으로 그 접촉부가 용접 등으로 일체로 된 것은 아니고, 그 근원만을 평탄부(18)에다 용접해서 고정시킨 것이다. 이는 작업자가 철골보(5)에서 떨어져 안전로프(16)가 끌어당겨짐으로써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를 수평방향 내지 아래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력이 작용한 경우, 2개의 지주(21,21)가 떨어짐으로서 걸림부(22)의 형상이 쉽게 변형되도록 고려를 한 것으로, 이에 의해 작업자에게 걸리는 충격력이 작아질 수 있게 된다.
정면에서 보아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의 걸림부(22)의 좌우 바깥쪽에는 난간(23)을 파지하는 파지금구(24)가 부착금구부(20)에 착탈될 수 있게 부착되어져 있다. 또, 오목부(13)와 고정부재(3) 사이의 지주본체(2)에는, 지주본체(2)끼리 이어주는 가로걸침부재(25)가 부착될 수 있는 부착부재(26)가 착탈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난간(23)과 가로걸침부재(25)는 반드시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파지금구(24)와 부착부재(26)는 필요에 따라 사용하면 된다.
도시된 안전로프 지주(1)는 고정부재(3)가 견고한 것으로 되어 있어서, 그 하단부에 무게중심이 있게 된다. 그 때문에, 운반할 때의 균형을 고려해서 고정부재(3)에 가까운 지주본체(2)의 안쪽에 손잡이(27)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 설명한 구성을 가진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철골보의 길이방향의 같은 쪽 측변에 안전로프 지주가 2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철골보(5)의 플랜지부(6) 하부면에 파지부재(4)의 하부플랜지부(7)를 굽히고, 철골보(5)의 플랜지부(6) 상부면에 2개의 고착나사(8,8)의 앞끝이 눌려지도록 나사를 박아줌으로써 안전로프 지주(1)를 철골보(5)의 플랜지부(6)에 강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2개의 고착나사(8,8)를 균등한 힘으로 나사끼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좌우의 안전로프 지주(1,1)의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17)의 걸림부(22,22)에 안전로프(16)에 부착되어 있는 카라비나(carabiner)나 훅(hook)과 같은 금구(28,28)를 걸려지게 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안전로프(16)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어느 한쪽 금구(28)에 가깝게 턴버클(turn-buckle)과 같은 긴장기(緊張器;29)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해서 2개의 안전로프 지주(1,1)의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17)에 안전로프(16)가 부착되면, 작업자(S)는 허리에 찬 안전띠의 앞끝에 설치된 훅(30)을 안전로프(11)에다 건다. 그렇게 하면 훅(30)이 안전로프(16)에 대해 자유로이 이동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자(S)가 철골보(5) 위를 걷게 되면 그 걸음에 따라 안전로프(16)에 걸려져 있는 훅(30)이 안전로프(16)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가령 작업자(S)가 잘못해서 철골보(5)에서 발을 헛디뎌 철골보(5)에서 떨어지는 경우에는, 안전로프(16)의 어떤 위치에서도 작업자(S)가 허리에 찬 안전띠의 앞끝에 설치된 훅(30)에 의해 안전로프(16)에 매달리게 됨으로써, 철골보(5)에서 지상으로 떨어질 염려가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작업자(S)는 안심하고 철골보(5) 위에서 고소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1)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과 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낙하에 의한 충격력을 오목부(13)의 절곡에 필요한 에너지로 흡수할 수가 있어서, 작업자에게 주어지는 충격력이 그만큼 작아지게 된다. 또, 지주본체(2)의 오목부(13)에 의해 위쪽의 지주본체(2)의 일부가 오목부(13) 보다 아래쪽의 지주본체(2)의 일부에 닿게 되어 그 이상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가 하강하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낙하거리가 조금 커지는데 지나지 않게 되어, 작업자에 주어지는 충격력이 다시 더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1)에 의하면, 작업자가 철골보에서 떨어지는 경우에도 안전로프(16)가 당초의 위치에서 크게 늘어지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에게 주어지는 충격력을 작아지도록 억제할 수가 있어 큰 사고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2실시예는 평행하게 병렬로 설치된 복수의 철골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위치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고정된 이른바 직교형 안전로프 지주의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를 철골보의 플랜지부에다 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안전로프(16)가, 안전로프 지주(1)가 고정되어 있는 철골보(5)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가 안전로프 지주(1)가 고정되어 있는 철골보(5)를 걸어다닐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로프 지주(1)가 고정되어 있는 철골보(5)에서 걸어다니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제1실시예와 같이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가 철골보(5) 바깥쪽으로 튀어나간 위치가 되도록 지주본체(2)의 상단부를 철골보(5)의 바깥쪽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해서 지주본체(2)를 고정부재(3)에 부착시키는 일이 필요치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제2실시예에서는 지주본체(2)가 일직선상으로 직립한 상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 안전로프(16)가 잡아당겨지게 됨으로써,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를 수평방형 내지 아래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력이 작용한 경우, 지주본체가 절곡될 때 발생하는 응력이 집중하는 응력집중부를 직립한 지주본체(2)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응력집중부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주본체(2)의 횡단면의 약 1/2의 높이까지 패어 들어간 오목부(13)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오목부(13)는 고정부재(3)의 파지부재(4)의 하부플랜지부(7)와 고착나사(8)가 설치된 것과 같은 쪽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평행하게 배치된 철골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하고서, 각 철골보의 바깥쪽 측변에 안전로프 지주를 1개씩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조작해서 2개의 안전로프 지주(1,1)를 각 철골보(5)의 바깥쪽 플랜지부(6)에다 강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안전로프 지주(1)는 그 고정부재(3)의 파지부재(4)의 하부플랜지부(7)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도록 한다. 다음, 좌우 안전로프 지주(1)의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17)의 걸림부(22,22)에다 안전로프(16)에 부착되어 있는 캬라비나나 훅과 같은 금구(28,28)를 건다. 이와 같이 해서, 2개의 안전로프 지주(1,1)의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17)에 안전로프(16)가 부착되면, 작업자는 허리에 찬 안전띠의 앞 끝에 설치된 훅(30)을 안전로프(16)에다 걸게 된다. 이렇게 하면 훅(30)이 안전로프(16)에 대해 자유로이 이동할 수가 있게 되므로, 작업자가 철골보(5)와 직교하는 다른 철골보(도시되지 않음) 위를 걷더라도, 그 걸음에 따라 안전로프(16)에 걸려진 훅(30)이 안전로프(16)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작업자가 철골보 위를 걷는 도중 철골보에서 발을 헛디뎌 철골보에서 떨어지게 된 경우에는, 안전로프(16)의 어느 위치에서도 허리에 찬 안전띠 앞끝에 설치된 훅(30)에 의해 안전로프(16)에 매달리게 됨으로써, 걷고 있던 철골보에서 지상으로 떨어질 염려가 없게 된다. 더구나, 작업자의 낙하에 의해 안전로프(16)가 아래로 당겨지면, 안전로프(16)에 걸려져있던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에 수평방향 내지 밑으로 기울어져 이동하는 외력이 작용해서 지주본체(2)의 상단부를 서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2개의 지주본체(2,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13)에 압축력이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작업자의 낙하에 다른 충격력이 큰 경우에는 오목부(13)를 중심으로 해서 지주본체(2)의 오목부(13) 보다 위쪽 지주본체(2)의 일부가 오목부(13) 보다 아래쪽의 지주본체(2) 중앙부에 닿을 때까지 절곡시켜지게 된다.
기타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같은 구성부재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서 그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한편,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오목부(13)와 요철부(14)가 모두 같은 지주본체(2)에 형성되도록 하고서, 안전로프 지주(1)를 직교형 및 평행형 어느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오목부(13) 또는 요철부(14) 어느 한쪽만을 채용한 직교형 또는 평행형 전문의 안전로프 지주(1)로 하여도 좋다.
(제3실시예)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3실시예는 이른바 다방향형(多方向型) 안전로프 지주의 예이다. 도 9 및 도 10은 단면이 4각형인 지주에 대해 넘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방향을 2개 방향으로 설정하고서, 그 각각이 지주본체(2)의 직각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한 응력집중부를 1쌍(2개)으로 형성시킨 예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그 측면도이다.
본 제3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4각형을 이룬 각파이프가 사용되고서, 가재발모양 바이스형 고정부재(3)와 파지부재(4), 하부플랜지부(7) 및 고착나사(8)를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본체(2)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사부(10)와 직립부(11)를 갖도록 되어 있다.
지주본체(2)의 경사부(10)와 직립부(11)의 경계부분인 굴곡부(12)는, 지주본체(2)의 정면과 배면을 잇는 연결선 방향으로 패어 들어간 오목부(13a,13a)가 서로 마주보는 정면과 배면에 각각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응력이 집중하는 방향을 정면과 배면을 잇는 선 방향으로 하게 된다.
또, 오목부(13a,13b)가 형성되어 있는 면, 즉 지주본체(2)의 정면과 배면에 직교하는 지주본체(2)의 측면에는, 깊이가 지주본체(2)의 횡단면의 약 1/4까지 패어 들어간 요철부(14)가 상하로 복수개가 연속해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정면과 배면을 잇는 방향의 하중응력을 오목부(13a,13b)에 한층 더 유연하게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오목부(13a,13b) 및 요철부(14)의 구체적인 형상과 깊이는 지주본체(2)의 재료와, 지주본체의 형상, 내하중 및, 기타의 설계조건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경될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지주본체(2)의 최하단에서부터 계측해서 오목부(13a,13b)와 대략 같은 높이에 해당하는 지주본체(2)의 측면에는 다시 오목부(15a)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즉, 지주본체(2)의 정면과 측면 및 배면에 모두 같은 위치의 높이로 몸통둘레방향으로 오목부(13a,13b)와 그 높이 및 크기가 거의 같고, 오목한 바닥부에는 파장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나란한 파형(波形)의 요철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 라, 응력집중의 방향을 양 측면을 잇는 선의 방향으로 할 수가 있게 된다. 지주본체(2)의 양 측면을 잇는 선 방향으로 향하는 응력은 오목부(15a)에 유연하게 집중시켜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타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17)와, 평탄부(18), 부착면부(19,19), 지주(21), 걸림부(22) 및, 손잡이(27)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직선상으로 배치된 철골보(5)의 길이방향으로 같은 쪽 측변에 안전로프 지주(1)가 배치되는 경우에 사용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행으로 배치된 철골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거나, 직교하지 않는 둔각이나 예각으로 마주보도록 해서, 각 철골보의 바깥쪽 측변에 안전로프 지주(1)를 1개씩 고정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는, 지주의 정면에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하중이 걸리는 것을 예정하고 있으나, 하중방향이 예정방향보다 각도상으로 크게 어긋나더라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가 있게 된다.
(제4실시예)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4실시예도 이른바 다방향형 안전로프 지주의 예이다. 도 11 및 도 12는 단면이 4각형인 지주에 대해 넘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방향을 2개 방향으로 하고서, 그 각각이 지주본체(2)의 직각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한 응력집중부를 형성시킨 예를 나타낸다. 응력집중부는 지주본체(2)의 최하단에서 계측하여 다른 높이에 닿는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도 11은 본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로프 지주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그 측면도이다.
본 제4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4각형을 이룬 각파이프가 사용되고서, 가재발모양 바이스형 고정부재(3)와 파지부재(4), 하부플랜지부(7) 및 고착나사(8)를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본체(2)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사부(10)와 직립부(11)를 갖도록 되어 있다.
지주본체(2)의 경사부(10)와 직립부(11)의 경계에는 굴곡부(12)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굴곡부(12)의 정면에는 오목하게 함몰되는 방향으로 오목부(13c)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오목부(13c)에는 지주본체(2)의 정면과 배면을 잇는 선 방향으로 깊게 패어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응력이 집중하는 방향을 정면과 배면을 잇는 선 방향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지주본체(2)의 정면에 직교하는 양 측면에는 오목부(13c)와 같은 높이 부근에 요철부(14c)가 형성되어 있어서, 오목부(13c)의 깊이방향으로 한층 더 휘어지기 쉽도록 되어 있다.
지주본체(2)의 한쪽 측면에는 오목부(13c) 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제2오목부(13d)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제2오목부(13d)는 상기 오목부(13c)와 그 깊이 및 크기가 대체로 같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응력집중의 방향이 양 측면을 잇는 선의 방향이 되도록 되어 있다. 지주본체(2)의 배면에는 오목부(13d)와 높이가 같은 요철부(14d)가 다시 형성되어, 양 측면을 잇는 선 방향의 응력에 대응해서 보다 더 휘어지기가 쉬워져, 충격에너지를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직교라고는 할 수 없는 각도로 서로 마주보도록 되어 있어서, 각 철골보의 바깥쪽 측변에다 안전로프 지주(1)를 1개씩 고정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안전로프 지주는 지주의 면에 직각방향으로 하중이 걸리는 것을 예정하고 있으나, 하중방향이 각도상에서 약간 어긋나더라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거의 전방위의 하중에 대응할 수가 있게 된다.
또, 본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와는 달리, 하부플랜지부(7)를 지지하는 보강부재(7a)가 이 하부플랜지부(7)의 바깥쪽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하부플랜지부(7)를 안쪽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제작하기가 용이하고, 강도도 약간 더 강해질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철골보에 고정부재를 매개로 설치된 안전로프에 고소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허리에 차는 안전띠의 앞끝에 설치된 훅이 걸려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철골보에서 떨어지는 경우에도 안전로프 가 당초의 위치에서 크게 늘어지지 않는 안전로프 지주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9)

  1. 철골보의 플랜지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서 위쪽으로 세워지고 단면이 사각형인 지주본체, 이 지주본체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안전로프를 걸려지게 하는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를 가진 안전로프 지주로서, 상기 안전로프가 당겨져 상기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를 수평방향 내지 아래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지주본체가 절곡될 때 발생하는 응력이 집중하는 응력집중부를 상기 지주본체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형성시킨 안전로프 지주에 있어서,
    상기 응력집중부 보다 위쪽의 상기 지주본체의 일부가, 상기 응력집중부 보다 아래쪽의 상기 지주본체의 일부에 닿게됨으로써 상기 안전로프 보유지지부재의 하강위치를 제한하고, 또 상기 응력집중부에 상당하는 상기 지주본체의 마주보는 한쌍의 측면에는 각각 적어도 1조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다른 2개 면 중의 한 면에는 압축력이 작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지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본체는, 위쪽으로 갈수록 상기 철골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부 및 이 경사부 앞끝에서 연장된 직립부를 갖추는 한편, 상기 응력집중부는 상기 경사부와 직립부를 이어주는 굴곡부의 내측에 형성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지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집중부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의 상기 지주본체에, 이들 지주본체들을 서로 이어주는 가로걸침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지주.
  8.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집중부는, 응력집중방향을 달리하는 부위를 복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로프 지주.
  9. 삭제
KR1020040029762A 2003-05-08 2004-04-29 안전로프 지주 KR101109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0608 2003-05-08
JP2003130608 2003-05-08
JP2003390664A JP3853780B2 (ja) 2003-05-08 2003-11-20 親綱支柱
JPJP-P-2003-00390664 2003-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648A KR20040095648A (ko) 2004-11-15
KR101109398B1 true KR101109398B1 (ko) 2012-01-30

Family

ID=3406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762A KR101109398B1 (ko) 2003-05-08 2004-04-29 안전로프 지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853780B2 (ko)
KR (1) KR1011093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69Y1 (ko) 2010-03-30 2012-08-23 주식회사 디케이에스코리아 건축공사용 안전브라켓
KR102182853B1 (ko) * 2020-05-11 2020-11-25 한국전력공사 안전대 지지장치
KR20230090906A (ko) 2021-12-15 2023-06-22 한국전력공사 안전대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4306B2 (ja) * 2006-01-17 2012-01-18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親綱取付装置
WO2014153201A1 (en) 2013-03-14 2014-09-25 Alterg, Inc. Method of gait evaluation and training with differential pressure system
US10342461B2 (en) 2007-10-15 2019-07-09 Alterg, Inc. Method of gait evaluation and training with differential pressure system
JP5502396B2 (ja) * 2009-08-25 2014-05-28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手摺支柱および先行手摺
WO2014138281A1 (en) 2013-03-05 2014-09-12 Alterg, Inc. Monocolumn unweighting systems
WO2014153088A1 (en) 2013-03-14 2014-09-25 Alterg, Inc. Support frame and related unweighting system
WO2014153016A1 (en) 2013-03-14 2014-09-25 Alterg, Inc. Cantilevered unweighting systems
JP5584814B1 (ja) * 2013-10-17 2014-09-0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安全帯取付具および屋根構造
JP6494383B2 (ja) * 2015-04-08 2019-04-03 株式会社杉孝 足場用手摺
KR101674186B1 (ko) * 2016-03-07 2016-11-08 김한흠 고소작업용 안전로프 지지장치
JP6795934B2 (ja) * 2016-09-14 2020-12-02 小野 辰雄 手摺装置
WO2019079655A1 (en) 2017-10-18 2019-04-25 Alterg, Inc. SYSTE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APPROPRIATE DATA AND METHODS OF OPERATING DRIVING SYSTEMS WITH RELIEF
JP7190391B2 (ja) * 2019-05-07 2022-12-15 株式会社タカミヤ 親綱用仮設支柱
PL441032A1 (pl) * 2022-04-26 2023-10-30 Cbr Rock Master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półka Komandytowa Amortyzujący słupek asekuracyjn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3767A (ja) * 1984-09-14 1986-04-28 東急建設株式会社 建枠用支柱
JPH0658044A (ja) * 1992-08-04 1994-03-01 Tokai Rika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ウ駆動用制御回路
JPH0667697A (ja) * 1992-06-17 1994-03-11 Sumitomo Electric Ind Ltd 音声合成装置
JPH06218072A (ja) * 1993-01-27 1994-08-09 Masaaki Mizuta 高所作業用安全索の保持構造及び保持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3767A (ja) * 1984-09-14 1986-04-28 東急建設株式会社 建枠用支柱
JPH0667697A (ja) * 1992-06-17 1994-03-11 Sumitomo Electric Ind Ltd 音声合成装置
JPH0658044A (ja) * 1992-08-04 1994-03-01 Tokai Rika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ウ駆動用制御回路
JPH06218072A (ja) * 1993-01-27 1994-08-09 Masaaki Mizuta 高所作業用安全索の保持構造及び保持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69Y1 (ko) 2010-03-30 2012-08-23 주식회사 디케이에스코리아 건축공사용 안전브라켓
KR102182853B1 (ko) * 2020-05-11 2020-11-25 한국전력공사 안전대 지지장치
KR20230090906A (ko) 2021-12-15 2023-06-22 한국전력공사 안전대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648A (ko) 2004-11-15
JP2004353439A (ja) 2004-12-16
JP3853780B2 (ja)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398B1 (ko) 안전로프 지주
US1003039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RU2400609C2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строительстве
JP4462441B2 (ja) 足場・支保工兼用機材
JP2014141343A (ja) 仮設手摺取付治具
WO2005001220A1 (en) Improvements in scaffolding brackets
US20210196995A1 (en) Suspension cable wall anchoring device
JP2016089445A (ja) 安全ネットおよび足場の支持装置
US20080041660A1 (en) Traveling fall protection system
AU2020100560A4 (en) A Shroud
JP4737475B1 (ja) 梯子アタッチメント
US6220391B1 (en) Scaffolding structure
JP4641871B2 (ja) 屋根工事用足場
JP3306861B2 (ja) 高所作業用ネット
JP2017218802A (ja) 履いたままで移動可能な高所作業用足場
KR102671364B1 (ko) 철탑용 안전발판 조립체
CN218205852U (zh) 一种建筑工程钢结构攀登防坠装置
CN104847101B (zh) 一种钢结构屋面长悬挑部位装饰作业操作平台
EP1876315A1 (en) Integral safety system which can be used for construction
JP7158334B2 (ja) 墜落防止構造
CA2241053C (en) Scaffolding structure
KR102649039B1 (ko) 자재 인양 개구부의 안전다리
KR100758111B1 (ko) 건설현장용 안전계단
JP4491361B2 (ja) 屋根工事用墜落防護装置
JP4219473B2 (ja) 屋根上作業用の安全用器具及び安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