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762B1 -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762B1
KR102498762B1 KR1020210015489A KR20210015489A KR102498762B1 KR 102498762 B1 KR102498762 B1 KR 102498762B1 KR 1020210015489 A KR1020210015489 A KR 1020210015489A KR 20210015489 A KR20210015489 A KR 20210015489A KR 102498762 B1 KR102498762 B1 KR 102498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ormula
acid
skin
acceptabl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2017A (ko
Inventor
김태훈
허준오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두손애약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두손애약초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5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7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은 MMP-1 억제능 및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능이 우수하므로,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화장료, 식품 및 피부외용제의 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wrinkle effect comprising fermented product of Momordica charantia or compound isolated from therefrom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주로 외부의 물리적 손상 및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며, 수분 손실을 막는 보호장벽 역할을 한다. 피부의 구조를 보면 표피, 진피, 피하지방과 같은 3개 층으로 구성되고 표피는 이중 가장 얇은 층으로 피부의 보습 및 보호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최근 들어, 기후 변화 또는 환경 오염 등으로 인해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피부의 수분 손실 및 피부 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피부 노화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체의 생리적인 기능이 저하되어 자연적으로 유발되는 내인성 생리적 노화와 장기간 자외선 노출에 의해 진행되는 외인성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될 수 있다. 내인성 피부 노화의 임상적 특징은 피부가 얇아지고 탄력성이 감소하는 것이고, 조직학적 소견으로는 표피 및 진피의 두께가 얇아지고 혈관이 감소되며 진피 내 섬유아세포의 수가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외인성 피부 노화인 광노화의 임상적 특징은 피부가 거칠고 탄력성이 없어지며 불규칙한 색소 침착이 발생되고 깊은 주름살이 증가되는 것이다.
주름의 생성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가 보고되고 있는데, 우선 피부가 과다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 구성 성분인 콜라겐 분해가 촉진되어 피부가 탄력을 잃고 주름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온도 변화, 습도 저하 또는 바람 등에 의해 피부가 지나치게 건조해지면 외부에 대한 방어벽으로서의 피부 기능이 저하되어 주름이 생기기도 한다. 그리고 피부가 활성 산소종이나 자유라디칼에 노출되면 산화 작용에 의해 과산화 지질이 생성되고, 그로 인해 콜라겐 등의 피부 구성 단백질이 변형 또는 감소되어 주름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에 의한 주름 발생을 억제하고자 다양한 화장품 조성물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5-0106070에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세안제품'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여주 열수추출물에 양송이 분쇄물의 여과액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여주 발효물과 상기 여주 발효물의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학물(화학식 1 내지 3)이 MMP(Matrix metalloproteinase)-1 저해능과 제1형 프로콜라겐(type Ⅰ pro-collagen) 합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화학식 1 내지 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여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화학식 1 내지 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여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화학식 1 내지 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여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은 MMP-1 억제능 및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능이 우수하므로,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화장료, 식품 및 피부외용제의 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여주 열수추출물과 여주 발효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을 대상으로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수행한 결과이다. 빨간색 화살표: EtOAc 분획물에서 분리된 APM-1 화합물(tR 11.6 min), APM-2 화합물(tR 9.2 min) 및 APM-4 화합물(tR 7.3 min).
도 2는 여주 열수추출물, 여주 발효물, 여주 발효물의 분획물(n-Hexane layer, EtOAc layer, n-BuOH layer, H2O layer)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APM-1, APM-2, APM-4)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EGCG(양성대조군):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도 3은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CCD-986sk)에 UVB를 조사한 후 여주 열수추출물, 여주 발효물 또는 여주 발효물의 분획물(n-Hexane layer, EtOAc layer, n-BuOH layer, H2O layer)을 처리하여 MMP-1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Nor: 자외선 비조사군(시료 무처리). Cont: 자외선 조사군(시료 무처리), EGCG(양성대조군):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도 4는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CCD-986sk)에 UVB를 조사한 후 여주 열수추출물, 여주 발효물 또는 여주 발효물의 분획물(n-Hexane layer, EtOAc layer, n-BuOH layer, H2O layer)을 처리하여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CCD-986sk에 UVB를 조사한 후 여주 발효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로부터 분리된 APM-1(화학식 1), APM-2(화학식 2) 또는 APM-4(화학식 3) 화합물을 처리하여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CCD-986sk에 UVB를 조사한 후 APM-2 화합물을 처리하여 MMP-1 및 제1형 프로콜라겐의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이다. Nor: 자외선 비조사군(시료 무처리). Cont: 자외선 조사군(시료 무처리), EGCG(양성대조군):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또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여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21014079918-pat00001
Figure 112021014079918-pat00002
Figure 112021014079918-pat00003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은 여주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여주 발효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hly acetate, EtOA)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천연물로부터 추출하거나 합성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C12H8O6의 분자식을 갖는 Monaspilosuslin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여주 발효물은 여주 열수추출물을 양송이(Agaricus bisporus) 균사체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양송이 균사체는 양송이 분쇄물과 증류수의 혼합물을 여과하여 수득한 여과액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여과액에는 폴리페놀 산화효소(polyphenol oxidase)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여주 발효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MMP(Matrix metalloproteinase)-1 억제능과 제1형 프로콜라겐(type Ⅰ pro-collagen)의 합성능이 우수하여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이의 허용 가능한 염"은 본 발명 화합물의 생물학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거나 제약 용도로 부적절하지 않은 임의의 본 발명 화합물의 염을 나타낸다. 이러한 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유기 및 무기 반대이온으로부터 유래할 수 있으며, 이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염으로는 유기 또는 무기산,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술팜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헥산산, 시클로 펜틸프로피온산, 글리콜산, 글루타르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숙신산, 소르브산, 아스코르브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3-(4-히드록시벤조일)벤조산, 크르산, 신남산, 만델산, 프탈산, 라우르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1,2-에탄-디술폰산, 2-히드록시에탄술폰산, 벤젠 술폰산, 4-클로로벤젠술폰산, 2-나프탈렌술폰산, 4-톨루엔술폰산, 캄포르산, 캄포르술폰산, 4-메틸비시클로 [2.2.2]-옥트-2-엔-1-카르복실산, 글루코헵톤산, 3-페닐프로피온산, 트리메틸아세트산, 테르트-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히드록시나프토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시클로헥실술팜산, 퀸산 또는 뮤콘산 등과 형성된 산 부가염; 또는 모 화합물에 존재하는 산성 양성자가 금속 이온(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수산화물(예컨대,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리튬, 아연 및 바륨 수산화물), 암모니아로 치환되거나, 또는 유기 염기, 예컨대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유기 아민, 예를 들면 암모니아,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피콜린,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리신, 아르기닌, 오르니틴, 콜린,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클로로프로카인, 디에탄올아민, 프로카인, N-벤질페네틸아민, N-메틸글루카민 피페라진,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또는 테트라메틸암모늄 히드록시드와 배위 결합한 경우에 형성된 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염의 예로는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암모늄 또는 테트라알킬암모늄 염 등이 있으며, 화합물이 염기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비독성유기산 또는 무기산과의 염, 예컨대 히드로할라이드(예를 들면, 히드로클로라이드 또는 히드로브로마이드),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술파메이트, 니트레이트, 아세테이트,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헥사노에이트, 시클로펜틸프로피오네이트, 글리콜레이트, 글루타레이트, 루베이트, 락테이트, 말로네이트, 숙시네이트, 소르베이트, 아스코르베이트, 말레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타르타레이트, 시트레이트, 벤조에이트, 3-(4-히드록시벤조일푸마레이트, 타르타레이트, 시트레이트, 벤조에이트, 3-(4-히드록시벤조일)벤조에이트, 피크레이트, 신나메이트, 만델레이트, 프탈레이트, 라우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 메실레이트), 에탄술포네이트, 1,2-에탄-디술포네이트, 2-히드록시에탄술포네이트, 벤젠술포네이트(베실레이트), 4-클로로벤젠술포네이트, 2-나프탈렌술포네이트, 4-톨루엔술포네이트, 캄포레이트, 캄포르술포네이트, 4-메틸비시클로[2.2.2]-옥트-2-엔-1-카르복실레이트, 글루코헵토네이트,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아세테이트, 테르트-부틸아세테이트, 라우릴 술페이트, 글루코네이트, 벤조에이트, 글루타메이트, 히드록시나프토에이트, 살리실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시클로헥실술파메이트, 퀴네이트 또는 뮤코네이트 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스킨, 스킨 소프트너, 스킨 토너,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져, 비누 및 파우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담체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여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은 여주 발효물의 분획물에서 분리된 것으로,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손상'은 태양광선의 자외선에 반복적이거나 장기간 노출 시 주름 생성 또는 피부 탄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콜라겐분해효소인 MMP-1을 억제시키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 감소된 제1형 프로콜라겐의 합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자외선에 반복적이거나 장기간 노출 시 유발된 주름 생성 또는 피부 탄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다양한 방식 또는 형태로 인체에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되어 적용 가능한 피부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우더, 연고제, 겔제, 크림제, 리니멘트제, 로션제, 액제, 또는 에어로졸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외용제로 제제화할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 외에 첨가물 등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3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여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은 여주 발효물의 분획물에서 분리된 것으로,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MMP-1 억제능과 제1형 프로콜라겐의 합성능이 우수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여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어,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이너뷰티 푸드(inner beauty food)의 형태로 섭취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갖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이너뷰티는 '먹는 화장품 또는 뷰티 푸드'로 일컬어지는 푸드로, 피부에 좋은 여러 가지 성분을 몸속으로 흡수시켜 피부 체질을 건강하게 바꾸는 식품을 지칭하며, 피부 타입에 맞는 화장품을 고르듯 피부 컨디션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해 개개인에게 맞는 이너뷰티 푸드를 선택하여 섭취할 수 있다. 전술한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과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여주 발효물을 포함하는 이너뷰티 푸드를 혼용할 경우, 화장품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 증진 효과가 월등히 높아져 더욱 효과적인 피부의 주름 개선 및 보습 증진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여주 발효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여주 발효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음료는 탄산음료, 기능성이온음료, 쥬스(예를 들어, 사과, 배, 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쥬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저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여주 발효물 제조
(주)두손애약초에서 구입한 건조된 여주 4.5 kg을 물 45 L에 침지하고 9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저온감압농축하여 여주 열수추출물 농축액 1.5 kg을 수득하였다. 또한, 여주 열수추출물의 효소 반응을 위해 양송이(Agaricus bisporus) 40 g을 증류수 100 ㎖과 혼합하여 믹서기로 분쇄하고 5겹 거즈로 필터링하여 폴리페놀 산화효소(polyphenol oxidase)가 함유된 효소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효소원(60 ㎖)의 폴리페놀 산화효소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피로갈롤(pyrogallol)을 기질로 사용하여 산화 반응 후 생성되는 벤조트로폴론(benzotropolone)의 함량을 UV 분광광도계로 3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흡광도값이 0.78~0.79인 효소원을 여주 열수추출물의 효소 반응에 사용하였다. 흡광도는 효소원 1.5 ㎖을 200 mM 피로갈롤(in 50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7.2) 1.5 ㎖과 함께 석영셀에 넣고 5분 동안 산화 반응을 유도한 후 측정하였으며, Blank군에는 1.5 ㎖의 기질 용액과 증류수 1.5 ㎖을 첨가하여 측정하였다(Food Chemistry, 88, 2004, 69-77 및 BBRC, 130(2), 1985, 633-639 참고).
그 다음, 여주 열수추출물 농축액 15 g을 증류수 40 ㎖에 희석하고 효소원 60 ㎖과 함께 500 ㎖의 비커에 담은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80분 동안 반응시킨 후 감압농축하여 여주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여주 발효물로부터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 분리
여주의 효소 반응 실험을 36회 반복 수행하였으며, 생산된 여주 발효물 750 g을 10% 메탄올(MeOH) 2 ℓ에 희석한 후 n-헥산(hexane, 2 ℓ×3회), 에틸아세테이트(EtOAc, 2 ℓ×3회) 및 n-부탄올(BuOH, 2 ℓ×3회)를 이용하여 분획하여 추출한 후 상기 각 용매별 분획물을 저온감압농축하고 건조시켜 n-hexane 분획물 0.2 g, EtOAc 분획물 3.3 g, n-BuOH 분획물 17.4 g 및 H2O 분획물 540.9 g을 얻었다.
그 다음, MMP-1 저해 활성 및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율이 우수한 EtOAc 분획물의 가용부 2.3 g을 Toyopearl HW-40 column(2.5 cm i.d.×42 cm)을 이용하여 H2O/MeOH의 MeOH 함량을 높이면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EMC01~EMC06 소분획을 얻었다. YMC Pack ODS A-302 column(4.6 cm i.d.×150 mm, 5 ㎛)을 충진제로 이용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소분획물 EMC02 171.4 mg으로부터 APM-1(tR 11.6 min, 19.7 mg) 및 APM-2(tR 9.2 min, 16.3 mg) 화합물을 얻었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소분획물 EMC01로부터 APM-4(tR 7.3 min, 13.4 mg)을 수득하였다(도 1). 이동상은 0.1% 포름산(formic acid, solvent A)과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solvent B)을 사용하였으며, 구배 용출(gradient elution)을 100% solvent A로 분석하여 30 min, 0% A; 100% B의 용매 조성으로 물질을 분석하였고, 이동상의 유속은 1.0 ㎖/min을 유지하여 280 nm에서 화합물을 검출하였다(표 1).
Figure 112021014079918-pat00004
실시예 2. 여주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화학식 1 내지 3 화합물의 구조결정
상기 여주 발효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분광화학적 및 구조 분석을 통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Monaspilosuslin 화합물과 화학식 2 및 3으로 표시되는 신규 화합물로 결정하였다.
2-1. 화학식 1(Monaspilosuslin)
화합물 1은 갈색 무결정형 분말상 형태로 화합물을 얻었으며, FABMS 측정 결과 m/z 323 [M+Na]+의 base peak를 확인하여 분자량을 추정하였다. 1H NMR 스펙트럼에서 trans-olefin에 해당하는 시그널이 δ 7.85 (1H, d, J = 15.6 Hz, H-8) 및 6.23 (1H, d, J = 15.6 Hz, H-7)이 측정되었고, 한 개의 이중결합에 해당하는 singlet proton이 δ 5.77 (1H, s, H-10)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한 개의 oxygenated methine δ 4.09 (1H, m, H-3), 한 개의 hydroxymethyl기 δ 3.70 (1H, d, J = 7.2 Hz, H-13), 3.63 (1H, d, J = 7.2 Hz, H-13), 두 개의 methylene group δ 2.00 (1H, m, H-2), 1.80 (1H, m, H-4), 1.78 (1H, m, H-2), 1.77 (1H, m, H-4)이 관찰되었으며, 3개의 methyl기가 δ 1.96 (3H, s, H-14), 1.08 (3H, s, H-12), 0.86 (3H, s, H-11)에서 관찰되었다. 13C NMR 및 HSQC 스펙트럼에서 한 개의 carbonyl기가 δ 173.3 (C-15)에서 관찰되었고, trans-olefin, oxygenated methine, hydroxymethyl, methyl 등의 시그널이 관찰되었다. 1H-1H COSY, HMBC 및 NOESY 등의 2D NMR 측정결과 화합물 1은 Monascus pilosus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쌀에서 분리된 sequiterpene 화합물인 monaspilosuslin 화합물으로 구조 결정하였다.
2-2. 화학식 2(New)
화합물 2는 노란색의 무결정형 분말상 형태로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UV 스펙트럼에서 227 및 291 nm의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어 γ-lactone 골격임을 시사하였다. HRFABMS 스펙트럼에서 m/z 143.0344 [M+H]+의 base peak를 확인하여 분자량을 추정하였으며, 분자식은 C6H7O4로 확인하였다. 1H NMR 스펙트럼에서 한 개의 이중결합에 해당하는 proton 시그널이 δ 7.91 (1H, s, H-6)에서 관찰되었으며, 한 개의 methyl기가 δ 2.27 (3H, s, H-7)에서 관찰되었다. 13C NMR 및 HSQC 스펙트럼에서 한 개의 carbonyl carbon 시그널이 δ 168.5 (C-2)에서 관찰되었으며, 5개의 이중결합 carbon 시그널과 함께 한 개의 methyl기가 δ 13.8 (C-7)에서 관찰되었다. Key HMBC 스펙트럼에서 H-6이 C-4, 5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H-7이 C-2, 3, 4와의 HMBC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화합물 2는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신규 화합물로 확인하였으며, tetronic acid 유도체 화합물로 구조 결정하였다.
2-3. 화학식 3(New)
화합물 3는 역시 노란색의 무결정형 분말상 형태로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UV 스펙트럼에서 226 및 290 nm의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어 γ-lactone 골격임을 시사하였다. HRFABMS 스펙트럼에서 m/z 1145.0499 [M+H]+의 base peak를 확인하여 분자량을 추정하였으며, 분자식은 C6H9O4로 확인하였다. 1H NMR 스펙트럼에서 한 개의 oxygenated proton 시그널이 δ 4.18 (1H, dd, J = 9.6, 4.2 Hz, H-5)에서 관찰되었으며, 한 개의 hydroxymethyl기가 δ 4.32 (1H, dd, J = 11.4, 4.2 Hz, H-4), 4.09 (1H, dd, J = 11.4, 9.6 Hz, H-6), 한 개의 methyl기가 δ 1.98 (3H, s, H-7)에서 관찰되었다. 13C NMR 및 HSQC 스펙트럼에서 한 개의 carbonyl carbon 시그널이 δ 187.6 (C-2)에서 관찰되었으며, 2개의 이중결합 carbon 시그널과 한 개의 oxygenated carbon δ 67.5 (C-5), hydroxymethyl δ 71.4 (C-6)와 함께 한 개의 methyl기가 δ 14.8 (C-7)에서 관찰되었다. Key HMBC 스펙트럼에서 H-5이 C-2, 4, 6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H-6이 C-4, 5, H-7이 C-2, 3, 4와의 HMBC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C-5 위치의 절대배열은 tetronic acid 유도체의 비선광도값과의 비교로 결정하였다. 화합물 3는 [α]D:-13.9(c 0.1, MeOH)로 측정되었 C-5의 절대배열은 S-배열로 확인하였으며, 화합물 3은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신규 화합물로 구조 결정하였다.
실시예 3. 세포 독성 측정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입한 CCD-986sk 세포주(Human skin fibroblast cells)는 10% FBS(fetal bovine serum)와 1% penicillin/streptomycin(100 U/㎖)을 첨가한 DMEM(Dulbeccos'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미국)을 사용하여 37℃, 5% CO2 배양기에 적응시켜 계대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된 CCD-986sk 세포를 플레이에 분주한 후 시료(여주 열수추출물, 여주 발효물, 여주 발효물의 분획물 또는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를 처리하고 배양한 후 MTT 용액(5 mg/㎖)을 처리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540 nm에서 ELISA plate reader(Tecan Austria GmBH, Grodig, Austria)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여주 발효물, 여주 발효물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모두 9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도 2),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여주 발효물, 여주 발효물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세포 독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MMP-1 저해 활성 측정
UVB(20 mJ/cm2)가 조사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CCD-986sk)의 배양액에 존재하는 MMP-1 단백질의 함량은 ELISA 키트(R&D Systems, 미국)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MP-1 키트의 표준 용액은 6.25~100 ng/㎖로 1/2 희석하였고, 표준 용액 100 ㎕와 시료 100 ㎕를 MMP-1 ELISA 키트의 마이크로 플레이트(micro plate)에 분주하고 HRP(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 100 ㎕를 첨가한 후 2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완충 용액으로 각 웰을 5회 반복 세척하여 비결합 항원을 제거하고 100 ㎕의 chromogenic tetramethyl benzidine을 넣어 30분간 반응시킨 후 100 ㎕의 정지 용액을 넣고 15분 후에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를 사용하였다.
먼저, 여주 발효물과 이의 분획물의 MMP-1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여주 열수추출물 100 μg/㎖ 처리군의 MMP-1 저해능은 약 14%인 반면, 여주 발효물 100 μg/㎖ 처리군의 MMP-1 저해능은 약 22%로 여주 열수추출물에 효소를 처리하여 반응시킬 경우 MMP-1 저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여주 발효물의 분획물 중에서 EtOAc 분획물의 100 μg/㎖ 처리군에서는 약 36%의 MMP-1 저해능이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도 3 및 표 2 참고). 이를 통해 여주 열수추출물에 비해 여주 발효물 또는 여주 발효물의 분획물이 MMP-1 생성을 감소시켜 콜라겐 분해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MMP-1 저해 활성
Samples MMP-1 inhibition (%)a
25 μg/mL 50 μg/mL 100 μg/mL
여주 열수추출물 7.7±1.5 9.7±2.1 14.3±2.2
여주 발효물 9.0±2.0 16.5±1.8 22.9±1.4
n-Hexane 분획물 7.3±2.0 10.7±1.5 14.7±2.4
EtOAc 분획물 13.3±0.9 20.8±1.1 36.5±2.0
n-BuOH 분획물 0.1±0.1 1.3±2.7 3.5±2.0
H2O 분획물 0.1±0.1 1.0±2.5 1.5±3.0
(-)-EGCG b 57.5±0.7 64.1±1.3 74.3±1.3
a: IC50 values were determined by regression analysis and expressed as mean ± SD of three replicates.
b: 양성대조군 positive control.
실시예 5.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율 측정
UVB(20 mJ/cm2)가 조사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CCD-986sk)를 24웰-플레이트에 5×104 세포/웰 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PBS(Phosphate bufferes sailne)로 2회 세척하고 무혈청 배양액을 첨가하였다. 24시간 후 시료를 처리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액을 수집하여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액 내 콜라겐 합성 정도는 procollagen type I C-peptide assay 키트(Takara Bio Inc., 일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를 사용하였다.
먼저, 여주 발효물과 이의 분획물의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UVB 조사군(cont, 시료 무처리)은 UVB 비조사군(Nor, 시료 무처리)에 비해 프로콜라겐 합성량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UVB 조사 후 여주 발효물 또는 이의 n-Hexane 분획물, EtOAc 분획물, n-BuOH, H20 분획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UVB 조사군에 비해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여주 발효물의 분획물 중에서 EtOAc 분획물은 25 μg/㎖, 50 μg/㎖ 또는 100 μg/㎖의 모든 농도에서 양성대조군(EGCG)과 유사한 수준으로 제1형 프로콜라겐이 합성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4 및 표 3).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능
Samples type Ⅰ pro-collagen synthesis rate(%)
25 μg/mL 50 μg/mL 100 μg/mL
여주 열수추출물 20.8±0.2 25.7±0.5 30.3±0.6
여주 발효물 38.7±0.5 52.3±0.8 76.2±1.0
n-Hexane 분획물 21.3±0.3 25.0±0.5 33.3±0.8
EtOAc 분획물 52.8±0.4 70.7±0.8 82.3±1.2
n-BuOH 분획물 38.7±0.5 42.6±0.4 55.3±0.8
H2O 분획물 43.4±0.7 53.2±1.0 62.3±0.6
(-)-EGCG 65.3±1.0 73.5±1.2 85.6±1.3
또한, 제1형 저해능이 가장 우수하였던 여주 발효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분리된 APM-1(화학식 1), APM-2(화학식 2) 또는 APM-4(화학식 3)의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UVB 조사군(cont, 시료 무처리)은 UVB 비조사군(Nor, 시료 무처리)에 비해 프로콜라겐 합성량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UVB 조사 후 APM-1, APM-2 또는 APM-4 화합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UVB 조사군에 비해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량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특히 APM-1 또는 APM-2 화합물은 양성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제1형 프로콜라겐이 합성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5 및 표 4).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능
Samples type Ⅰ pro-collagen synthesis rate(%)
10 μM 20 μM 30 μM
APM-1 52.8±0.5 90.6±0.8 96.7±1.1
APM-2 38.7±0.3 81.1±1.2 93.4±1.2
APM-4 20.5±0.3 29.2±0.3 34.3±0.7
(-)-EGCG 48.3±0.7 59.9±0.8 64.3±0.8
또한, 여주 발효물의 EtOAc 분획물로부터 분리된 APM-2 화합물의 MMP-1 및 제1형 프로콜라겐 발현량을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으로 확인한 결과, UVB 조사에 의해 증가된 MMP-1 발현량이 APM-2를 처리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UVB 조사에 의해 감소된 제1형 프로콜라겐 발현량이 APM-2를 처리함에 따라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이를 통해, 여주 열수추출물에 비해 여주 발효물, 여주 발효물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은 피부 진피에서 구조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세포외 기질의 일차적인 구성요소인 제1형 프로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및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117862610-pat00005

    [화학식 2]
    Figure 112022117862610-pat00006

    [화학식 3]
    Figure 112022117862610-pat00007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3의 화합물은 여주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및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피부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117862610-pat00008

    [화학식 2]
    Figure 112022117862610-pat00009

    [화학식 3]
    Figure 112022117862610-pat00010
  4.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및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 또는 이의 허용 가능한 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117862610-pat00011

    [화학식 2]
    Figure 112022117862610-pat00012

    [화학식 3]
    Figure 112022117862610-pat00013
KR1020210015489A 2021-02-03 2021-02-03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98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89A KR102498762B1 (ko) 2021-02-03 2021-02-03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489A KR102498762B1 (ko) 2021-02-03 2021-02-03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017A KR20220112017A (ko) 2022-08-10
KR102498762B1 true KR102498762B1 (ko) 2023-02-13

Family

ID=8284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489A KR102498762B1 (ko) 2021-02-03 2021-02-03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7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995B1 (ko) 2020-05-15 2021-01-27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여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항염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832A (ko) * 2014-02-10 2015-08-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여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위한 여주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128974B1 (ko) * 2017-09-11 2020-07-01 박상준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995B1 (ko) 2020-05-15 2021-01-27 주식회사 피에프네이처 여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항염증,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ng-Jen Cheng. 외 3명. Natural Product Research: Formerly Natural Product Letters. Natural Product Research, 10 May 2010, 750-758
강정훈. Leuconostoc mesenteroidesies 균주를 이용한 여주 추출물 발효 및 생산물의 생리활성 특성.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20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017A (ko)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0122A (ko) 이소사쿠라네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1664A (ko) 디메틸제일아스테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98762B1 (ko)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25562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39619B1 (ko) 프레이럽토린 에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20094230A (ko) 탁시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 증진용 조성물
KR102498763B1 (ko)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614802B1 (ko) 갈릭산 산화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438389B1 (ko) 포도나무 뿌리 유래의 스틸벤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11234919B2 (en) Compound produced by means of marine microorganism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enhancing elasticity and skin whitening comprising same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KR102629001B1 (ko) 디오스불빈 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0259A (ko) 메틸 갈레이트 산화 반응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hhdp 디메틸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03190B1 (ko) 아주골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670660B1 (ko) Hhdp 디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메틸 갈레이트 산화 반응물의 제조방법
KR101672841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661161B1 (ko) 세사미놀 함량이 증진된 참깨 중탕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102600558B1 (ko) 아트라릭산을 포함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122297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포 산화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101357A (ko) 에피세사미논 디글루코시드 및 세사미놀 디글루코시드 함량이 증진된 참깨 고속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230130258A (ko) Hhdp 디메틸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메틸 갈레이트 산화 반응물의 제조방법
KR20220112020A (ko) 여주 발효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3361B1 (ko) 디하이드로탄시논 아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512773B1 (ko) 바바치닌 에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70080084A (ko) 네포딘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40013514A (ko) 바위수국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