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786B1 -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786B1
KR102497786B1 KR1020210066661A KR20210066661A KR102497786B1 KR 102497786 B1 KR102497786 B1 KR 102497786B1 KR 1020210066661 A KR1020210066661 A KR 1020210066661A KR 20210066661 A KR20210066661 A KR 20210066661A KR 102497786 B1 KR102497786 B1 KR 102497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nnector
manhole
connector modul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974A (ko
Inventor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이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섭 filed Critical 이상섭
Priority to KR1020210066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786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이 개시된다. 개시된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은 하수본관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한 콘크리트 맨홀을 제조하기 위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원형 또는 각형 맨홀의 형성을 위한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을 준비하고, 바닥 거푸집의 상면에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을 올려 배치시키는 단계; b) 커넥터 구성품을 조립하여 커넥터 모듈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커넥터 모듈을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삽입하고, 위치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 모듈을 설정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d)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 완료 후 상기 위치고정지그 분리하는 단계; e)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및 상기 바닥 거푸집을 제거하여 콘크리트 맨홀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Manufacturing method for concrete manhole and concrete manhole manufactured by this method and construction of this manhol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맨홀을 제조하기 위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외측 거푸집에 별도의 타공홀을 형성하지 않고 위치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커넥터모듈의 배치위치를 용이하게 위치설정하여 맨홀 제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의 사이즈나 설치위치에 따라 별도의 거푸집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거푸집의 폐기를 줄이고 하나의 거푸집으로 다양한 맨홀제조를 가능하게 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맨홀(manhole)은, 지하에 설치된 각종 관로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하여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한 시설로서, 토목공사, 건축공사 및 기타공사를 시공함에 있어서, 하수 및 폐수 등의 처리를 위한 각종 관거의 중간에 시공된다.
이러한 콘크리트 맨홀에 하수관 또는 폐수관 등의 본관이 연결 시공되며, 이를 위해 맨홀의 하부 개구부(커넥터홀)에는 상기 본관과 접속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커넥터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를 구비한 콘크리트 맨홀은 내측거푸집과 외측거푸집을 이격되게 배치시키고, 그 사이에 커넥터가 장착된 커넥터홀거푸집을 설계상의 위치에 배치시킨 다음, 내측거푸집과 외측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 내측거푸집, 외측거푸집을 제거함으로써, 커넥터가 구비된 콘크리트맨홀이 완성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콘크리트 맨홀 제조에 있어서는 커넥터홀 거푸집을 내측거푸집과 외측거푸집 사이의 설계상 소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측거푸집 또는 외측거푸집에 타공홀을 형성시키고, 이 타공홀에 커넥터홀 거푸집을 용접이나 볼트체결 등의 방식으로 위치고정시킨 다음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커넥터의 설치위치나 직경사이즈가 다른 종류의 맨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새것의 내측거푸집 또는 외측거푸집을 준비하고, 이 새것의 외측거푸집 또는 내측거푸집에 제조할 커넥터의 사이즈나 설치위치에 맞게 타공홀을 형성시켜야 했다.
즉, 기존의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에서는 커넥터의 설치위치나 직경사이즈가 다른 여러 종류의 콘크리트 맨홀 제조시, 내측거푸집 또는 외측거푸집을 재사용하지 못하며, 이전 거푸집들은 폐기하고 각각의 종류에 맞는 내측거푸집 또는 외측거푸집을 각각 새로 준비해야 하는 점에서, 거푸집 준비에 필요한 자재비용이 많이 필요하며, 거푸집 준비에 필요한 작업시간 등이 많이 소요되어, 전체적인 콘크리트 맨홀 제조시간이 늘어나면서 콘크리트 맨홀의 단가를 낮추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0849527호 공개특허 10-2008-0058295호 등록특허 10-0749823호 등록실용 20-0386868호 공개특허 10-2014-012206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내/외측 거푸집에 별도의 타공홀을 형성하지 않고 위치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커넥터모듈의 배치위치를 용이하게 위치설정하여 맨홀을 제조함으로써 커넥터의 사이즈나 설치위치에 따라 별도의 거푸집을 사용할 필요 없이 하나의 거푸집으로도 다양한 설계의 맨홀 제조가 가능하게 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위치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커넥터 모듈의 배치위치를 수평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정밀하게 조정가능할 뿐 아니라, 거푸집과 커넥터 모듈에서 보다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위치고정지그를 보다 용이하게 조립하고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은 하수본관 연결을 위해 커넥터를 구비한 콘크리트 맨홀을 제조하기 위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원형 또는 각형 맨홀의 형성을 위한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을 준비하고, 바닥 거푸집의 상면에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을 올려 배치시키는 단계; b) 커넥터 구성품을 조립하여 커넥터 모듈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커넥터 모듈을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삽입하고, 위치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 모듈을 설정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d)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 완료 후 상기 위치고정지그를 분리하는 단계; e)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및 상기 바닥 거푸집을 제거하여 콘크리트 맨홀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고정지그는, 상기 외측 거푸집의 상단에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편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 거푸집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측단부에 높이고정홀이 형성된 지지판넬; 상기 지지판넬과 상기 돌출편을 집어서 결합고정시키는 결합공구; 하단이 상기 커넥터모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가 상기 높이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넬에 상하 위치 조절하고 걸림방식으로 높이고정하여 상기 커넥터모듈을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의 설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커넥터 위치설정바;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위치설정바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 수나사산이 형성된 전산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상기 커넥터 모듈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설정바 본체; 너트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위치설정바 본체에 나사체결되어 상하 위치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높이 고정홀에 걸림이 이루어져 상기 커넥터 모듈을 상기 설정위치로 위치고정시키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지지판넬을 상기 결합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편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위치설정바 본체의 하단을 상기 커넥터모듈에 결합시키고 상기 커넥터 모듈을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위치설정바 본체의 상단부를 상기 높이고정홀에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위치설정바 본체의 상단부에 나사체결하여 높이 조정하여 상기 높이고정홀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커넥터 모듈을 상기 설정위치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간격조정단과 외측단이 각각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 본체와, 맨홀 시공시 상기 하수본관과 연결이 이루어지고, 연질이면서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넥터 본체에 결합설치되며 말단부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 삽입될 때 말단부가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커넥터 접속관;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맨홀의 시공구조물은 일측에 형성된 커넥터홀에 커넥터가 구비된 콘크리트 맨홀이 시공된 맨홀 시공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말단부에 하수본관의 말단이 삽입하여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말단부를 밴딩결합유닛으로 감싸 조여줌으로써 상기 커넥터의 말단부가 상기 하수본관에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밴딩결합유닛은, 소정길이를 갖는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넥터의 말단부를 감싸는 밴딩본체판부와, 상기 밴딩본체판부의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바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연결바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연결바가 가까워지도록 체결되어 상기 밴딩본체판부가 상기 커넥터의 말단부를 가압고정하도록 하는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딩본체판부는 양측단에 각각 제1고정부가 구성되고, 상기 제1고정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제2고정부가 구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가 상기 제2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밴딩본체판부의 양측부에 한 쌍의 고리부가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연결바는 상기 한 쌍의 고리부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바 각각의 길이 중간부분에는 상기 조임수단이 통과하여 체결되는 볼트통과홀이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리부 각각에는 상기 볼트통과홀이 노출되는 노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조임수단이 상기 노출홀을 통해 상기 볼트통과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측 거푸집이나 외측 거푸집에 커넥터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타공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이 위치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맨홀에 설치되는 커넥터 모듈의 사이즈나 설치위치에 따라 각각 별도의 내측 거푸집 및 외측 거푸집을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내측 거푸집 및 외측 거푸집을 재사용하면서 콘크리트 맨홀의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거푸집용 자재비용을 줄이고 거푸집 제작시간을 현저히 줄여 제품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또한, 커넥터 모듈을 제거하지 않아 인건비용을 줄이고, 거푸집 폐기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고정지그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커넥터 모듈을 위치설정 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모듈의 위치설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커넥터 모듈의 위치설정을 보다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양질의 맨홀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에서 커넥터 모듈이 내/외측 거푸집 사이의 설정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위치고정지그의 지지판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에서 위치고정지그의 지지판넬이 외측 거푸집의 상단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맨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과 하수본관을 연결하여 시공된 콘크리트 맨홀의 시공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밴딩결합유닛의 밴딩본체판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의 밴딩결합유닛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맨홀(200, 도 9 참조)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은 콘크리트 맨홀(200)의 하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커넥터 모듈(100)을 구비한 조립식 콘크리트 맨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여기서 커넥터 모듈(100)은 콘크리트 맨홀의 시공시 하수본관(210)이 접속되어 연결되도록 시공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은 거푸집 배치단계(s10), 커넥터 모듈 조립단계(s20), 커넥터 모듈 위치설정단계(s30), 콘크리트 타설 및 위치고정지그 분리단계(s40), 콘크리트 양생 및 거푸집 제거단계(s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거푸집 배치단계(s10)는 지면 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바닥거푸집(10)을 배치하고, 바닥 거푸집(10)의 상면에 컵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 거푸집(20)을 뒤집어서 배치하고, 내측 거푸집(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하가 개방된 관체로 이루어진 외측 거푸집(30)을 바닥 거푸집(10)의 상면에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바닥 거푸집(10)은 하단이 H빔으로 이루어져 바닥 거푸집(10)을 지면에 대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기 위한 간격부재(12)가 설치될 수 있다.
내측 거푸집(20)은 상향되게 직경이 작아지도록 외주면이 상하로 소정각도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완성된 콘크리트 맨홀에서 내측 거푸집(2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내측 거푸집(20) 및 외측 거푸집(30)은 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제조되는 콘크리트 맨홀이 각형 맨홀로 제조될 수도 있고, 내측 거푸집(20) 및 외측 거푸집(30)이 원형으로 제조되는 콘크리트 맨홀이 원형 맨홀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넥터 모듈 조립단계(s20)는 제조되는 콘크리트 맨홀(200)의 하부 일측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커넥터 모듈(100)을 조립하는 구성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커넥터 모듈(100)은 내측 커넥터본체(110), 외측 커넥터본체(120), 간격 조정커넥터(130)로 이루어진 커넥터 본체(101)와, 이 커넥터 본체(101)에 고정결합되며 맨홀의 시공시 하수본관(210)이 접속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는 커넥터 접속관(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본체(101)는 PE폼 재질로 이루어지며, 커넥터 접속관(140)은 EPDM 재질(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Ethylene Propylene Diene Methylene)로 이루어진다. 접속관(140)의 재질인 EPDM은 내후성, 내열성 및 내 오존성이 우수한 합성고무재질이다. 한편, 상기에서 커넥터 본체(101)는 PE폼재질, 커넥터 접속관(140)은 EMPD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 본체(101)는 PE폼 이외에는 다양한 합성수지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넥터 접속관(150)은 EPDM 고무 이외에도 다양한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간격 조정커넥터(130)은 외측단부가 내측 커넥터본체(110)에 삽입되고 겹쳐진 부분에 피스(나사)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간격 조정커넥터(130)는 내측단(132)이 내측 거푸집(20)의 외면에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간격 조정커넥터(130)는 내측 커넥터본체(110)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간격 조정커넥터(130)가 내측 커넥터본체(1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길이를 조절하여 결합시킴으로서 내측단(132)이 내측 거푸집(20)의 외면에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내측 커넥터본체(110)는 외측단 둘레에 제1플랜지(112)가 구비되고, 외측 커넥터본체(120)의 내측단 둘에는 제2플랜지(122)가 구비되며, 커넥터 접속관(140)의 내/외측단에는 제3플랜지(142)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접속관(140)은 외측 커넥터 본체(12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플랜지(112)와 제2플랜지(122) 사이에 제3플랜지(142)가 개재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제1플랜지(112),제3플랜지(142), 제2플랜지(122)를 피스 또는 타카로 결합함으로써 내측 커넥터본체(110)와 외측 커넥터본체(120)와 커넥터 접속관(140)을 결합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커넥터 접속관(140)은 제3플랜지(142)의 둘레에 직각되게 형성되어 제1플랜지(112)와 제2플랜지(122)의 측방 이탈을 방지하고, "ㅗ"형태로의 EPDM과 콘크리트의 접착으로 수밀성을 확보하는 이탈방지수밀턱(143)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커넥터본체(110)의 외면 일측에는 위치고정지그(35)의 하단이 분리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결합부(114)가 구성된다. 이 결합부(114)는 내측 커넥터 본체(11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끼움슬릿부(115)와, 이 끼움슬릿부(115)에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며 위치고정지그(35)의 하단과 나사체결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너트(116)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 위치설정단계(s30)는 조립된 커넥터 모듈(100)을 설계에 따른 설정위치에 위치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내측 거푸집(20) 및 외측 거푸집(30)에 별도의 타공홀을 형성하고, 이 타공홀에 커넥터 모듈(100)을 결합시키는 것이 아니라, 위치고정지그(35)를 이용하여, 위치고정지그(35)의 상단을 외측 거푸집(30)에 고정시키고, 위치고정시그(35)의 하단을 커넥터 모듈(100)의 결합부(114)에 고정시키며, 위치고정지그(35)로 커넥터 모듈(100)의 상하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커넥터 모듈(100)을 설정위치에 설치시킬 수 있다.
위치고정지그(35)는 지지판넬(40)과, 결합공구(50)와, 커넥터 위치설정바(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판넬(40)은 소정길이를 갖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지며, 후단부는 외측 거푸집(30)의 상단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편(31)과 결합공구(50)에 의해 결합되어 선단부가 외측 거푸집(30)의 상단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선단부에는 높이고정홀(41)이 형성되고, 이 높이고정홀(41)에는 커넥터 위치설정바(60)의 직경보다 크도록 구성되어 커넥터 위치설정바(60)가 통과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결합공구(50)는 바이스 플라이어로 이루어져, 도 3 및 도 8과 같이 돌출편(31)과 지지판넬(40)의 후단부이 겹쳐진 상태에서 그립핑하여 지지판넬(40)을 외측 거푸집(30)의 상단에 결합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판넬(40)의 후단부가 돌출편(31)의 겹쳐지는 위치를 조정하여 결합공구(50)로 결합시킴으로써, 커넥터 모듈(100)의 수평방향 설치위치를 조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위치설정바(60)는 전산볼트로 이루어진 위치설정바 본체(61)와, 위치설정바 본체(61)에 나사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걸림부재(6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위치설정바 본체(61)는 하단이 내측 커넥터본체(110)의 외면 상측에 형성된 결합부(114)의 너트(116)에 나사체결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걸림부재(62)는 높이고정홀(41)보다 큰 사이즈로 구성되어 위치설정바 본체(61)가 높이고정홀(41) 통과시 걸림부재(62)가 높이고정홀(41) 밑에서는 받치고 위에서는 높이고정홀(41)에 걸려 위치설정바 본체(61)가 수직하게 매달린 형태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걸림부재(62)를 위치설정바 본체(61)에 역회전 또는 정회전 시킴으로써 위치설정바 본체(61)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위치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위치설정바 본체(61)의 하단에 결합된 커넥터 모듈(100)을 내측 거푸집(20)과 외측 거푸집(30) 사이에서 상하 높이조정하여 커넥터 모듈(100)을 설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모듈 위치설정단계(s30)는 지지판넬(40)을 결합공구(50)를 이용하여 돌출편(31)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위치설정바 본체(61)의 하단을 커넥터 모듈(100)의 결합부(114)에 고정시키고, 커넥터 모듈(100)을 내측 거푸집(20)과 외측 거푸집(30)의 사이공간으로 삽입시키는 단계와, 위치설정바 본체(61)를 높이고정홀(41)에 통과시키고 걸림부재(62)가 위치설정바 본체(61)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하여 높이고정홀(41)에 걸리도록 하여 커넥터 모듈(100)을 설정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위치고정지그(35)를 이용하여 커넥터 모듈(100)을 내측 거푸집(20)과 외측 거푸집(30) 사이의 설정위치에 위치시키면, 커넥터 본체(101)의 외측단이 외측 거푸집(30)의 내면에 밀착이 이루어지고, 커넥터 본체(101)의 내측단이 내측 거푸집(20)의 외면에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 본체(101)은 외측 커넥터본체(120)의 외측단이 외측 거푸집(30)의 내면에 밀착되고, 간격 조정커넥터(130)의 내측단(132)이 내측 거푸집(2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의 커넥터 모듈(100)은 커넥터 접속관(140)의 말단부(140a)가 외측 커넥터본체(1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커넥터 모듈(100)을 설정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해 커넥터 접속관(140)의 말단부(140a)가 외측 커넥터본체(120)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커넥터 접속관(140)의 말단부(140a)를 내측으로 접어 넣은 후 커넥터 모듈(100)을 내측 거푸집(20)과 외측 거푸집(30) 사이로 삽입하여 설정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 타설 및 위치고정지그 분리단계(s40)는 상기 s30) 단계를 거쳐 커넥터 모듈(100)을 내측 거푸집(20)과 외측 거푸집(30) 사이의 설정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내측 거푸집(20)과 외측 거푸집(30) 사이 공간으로 타설하고, 진동다짐기를 이용하여 타설 콘크리트에 진동을 가하여 콘크리트 다짐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위치고정지그(35)를 결합부(114)에서 분리하고 외측 거푸집(30)에서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의 타설 후, 결합공구(50)의 결합을 해제하여 지지판넬(40)을 돌출편(31)에서 분리하고, 위치설정바 본체(61)를 회전시켜 결합부(114)의 너트(116)에서 체결을 해제시키고,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에서 꺼냄으로써 위치고정지그(35)를 외측 거푸집(30)과 커넥터 모듈(1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콘크리트 양생 및 거푸집 제거단계(s50)은 상기 s40 단계를 거친 후, 소정시간이 지나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내측 거푸집(20), 외측 거푸집(30), 바닥 거푸집(10)을 분리 제거함으로써 콘크리트 맨홀(200) 제품이 완성된다.
본 발명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맨홀(200)이 완성된 후, 내측으로 접어두었던 커넥터 접속관(140)의 말단부(140a)를 외측으로 꺼내어 말단부(140a)가 외측 커넥터본체(120)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완성된 큰크리트 맨홀(2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은 기존과 같이 내측 거푸집(20)과 외측 거푸집(30)에 별도의 타공홀을 형성하고, 이 타공홀에 커넥터 모듈(100)을 결합시키지 않고서도, 위치고정지그(35)를 이용하여 커넥터 모듈(100)을 내측 거푸집(20)과 외측 거푸집(30) 사이의 설정위치에 정밀하게 위치조정하여 위치설정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모듈(100)의 다양한 사이즈, 다양한 설계 위치에 따라, 내측 거푸집(20)과 외측 거푸집(30)의 폐기 없이 내측 거푸집(20)과 외측 거푸집(30)의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내측 커넥터본체(110)의 외면에는 위치고정지그(35)의 하단이 분리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내측 커넥터본체(11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끼움슬릿부(115)와, 이 끼움슬릿부(115)에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며 위치설정바 본체(61)의 하단과 나사체결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너트(116)로 이루어진 결합부(114)가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설정바 본체(61)가 전산볼트로 이루어지되, 위치설정바 본체(61)의 하단에 스크류 나사가 일체로 구성되어, 위치설정바 본체(61)을 회전시켜 위치설정바 본체(61) 하단에 형성된 스크류나사가 내측 커넥터본체(110)의 외면에 직접 침투하여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위치설정바 본체(61)를 체결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위치설정바 본체(61)를 내측 커넥터본체(110)에서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맨홀(200)을 하수본관(210)과 연결 시공한 콘크리트 맨홀의 시공구조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맨홀 시공 구조물은 하수본관(210)의 말단부를 커넥터 접속관(140)의 말단부(140a) 내측을 통해 커넥터모듈(100)의 내부로 삽입하여 접속시킨 다음, 밴딩결합유닛(300)으로 커넥터 접속관(140)의 말단부(140a)를 감싸 조여줌으로써 커넥터 접속관(140)과 하수본관(210)을 결합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딩결합유닛(300)은 소정길이를 갖는 PE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커넥터 접속관(140)의 말단부(140a) 외면을 감싸는 밴딩본체판부(310)와, 밴딩본체판부(310)의 양단에 설치되며 서로 나란히 병렬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바(320)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연결바(320)을 서로 연결하며 한 쌍의 연결바(320)를 서로 가까워지도록 체결하여 밴딩본체판부(310)가 커넥터 접속관(140)의 말단부(140a)를 가압하여 커넥터 접속관(140)과 하수본관(21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임수단(3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밴딩본체판부(310)는 양측단에 각각 제1고정부(314)가 구성되고, 이 제1고정부(314)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제2고정부(315)가 구성되어, 양측단부 각각을 고리형태로 말어 제1고정부(314)를 제2고정부(315)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b1,b2)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양단부에 한 쌍의 고리부(312, 도 12 참조)가 구성된다.
이 한 쌍의 고리부(312) 각각에는 한 쌍의 연결바(320)가 각각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한 쌍의 연결바(320) 각각에는 길이 방향 중간부분을 관통하는 볼트통과홀(32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밴딩본체판부(310)의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고리부(312)에는 연결바(320)가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통과홀(322)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장홀형태의 노출홀(313)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조임수단(330)은 이 노출홀(313)을 통해 볼트통과홀(32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조임수단(330)은 볼트로 이루어지고, 이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332)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도 10 및 도 12와 같이, 일측의 노출홀(313)을 통해 한 쌍의 연결바(320)에 형성된 각각의 볼트통과홀(322)을 통과한 후, 타측의 노출홀(313)을 통과한 후, 너트(332)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너트(332)를 볼트에 체결 후 조여주게 되면 한 쌍의 연결바(320)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밴딩본체판부(310)가 커넥터 접속관(140)의 말단부(140a)를 강하게 조여 가압해줌으로써 커넉터 접속관(140)과 하수본관(21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한 쌍의 연결바(320)를 조임수단(330)을 통해 체결하여 커넥터 접속관(140)의 말단부(140a)를 가압하는 밴딩본체판부(310)에 의해 커넥터 접속관(140)과 하수본관(210)이 결합되는 경우, 밴딩본체판부(310)의 양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고리부(312)는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의 고리부(312)가 이격된 공간으로 커넥터 접속관(14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12와 같이 한 쌍의 고리부(312)가 이격된 사이 공간으로 커넥터 접속관(140)의 외면이 노출되지 하도록 조임수단(330)으로 한 쌍의 연결바(320)를 체결하기 전에 커넥터 접속관(140)의 외면에 밀착되어 한 쌍의 고리부(312) 사이공간으로 접속관(140)의 외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조임수단(330)에 의해 한 쌍의 연결바(320)가 커넥터 접속관(140)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견디도록 지지하는 밴드 받침판(34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바닥거푸집
12…간격부재
20…내측 거푸집
30…외측 거푸집
31…돌출편
35…위치고정지그
40…지지판넬
41…높이고정홀
50…바이스 플라이어
60…커넥터 위치설정바
61...위치설정바 본체
62…걸림부재
100…커넥터 모듈
101…커넥터 본체
110…내측 커넥터본체
112…제1플랜지
114…결합부
115…끼움슬릿부
116…너트
120…외측 커넥터본체
122…제2플랜지
130…간격 조정커넥터
140…커넥터 접속관
142…제3플랜지
143…이탈방지수밀턱
200…콘크리트 맨홀
210…하수본관
300…밴딩결합유닛
310…밴딩본체판부
312…고리부
313…노출홀
314…제1고정부
315…제2고정부
320…연결바
322…볼트통과홀
330…조임수단
332…너트
340...밴드받침판

Claims (8)

  1. 하수본관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한 콘크리트 맨홀을 제조하기 위한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지면 상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바닥 거푸집을 배치하고, 상기 바닥 거푸집의 상면에 컵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 거푸집을 뒤집어서 배치하고, 상기 내측 거푸집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하가 개방된 관체로 이루어진 외측거푸집을 상기 바닥 거푸집의 상면에 배치시키는 단계;
    b) 커넥터 구성품을 조립하여 커넥터 모듈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커넥터 모듈의 외측단은 상기 외측거푸집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커넥터 모듈의 내측단은 상기 내측 거푸집의 외면에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커넥터 모듈을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삽입하고 위치고정지그를 이용하여 상기 커넥터 모듈을 설정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
    d)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 완료 후 상기 위치고정지그를 분리하는 단계;
    e)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및 상기 바닥 거푸집을 제거하여 콘크리트 맨홀을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고정지그는,
    상기 외측 거푸집의 상단에 외측으로 형성된 돌출편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 거푸집 상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측단부에 높이고정홀이 형성된 지지판넬;
    상기 지지판넬과 상기 돌출편을 집어서 결합고정시키는 결합공구;
    하단이 상기 커넥터 모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가 상기 높이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판넬에 상하 위치 조절하고 걸림방식으로 높이고정하여 상기 커넥터 모듈을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의 설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커넥터 위치설정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 위치설정바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 수나사산이 형성된 전산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상기 커넥터 모듈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설정바 본체;
    너트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위치설정바 본체에 나사체결되어 상하 위치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높이 고정홀에 걸림이 이루어져 상기 커넥터 모듈을 상기 설정위치로 위치고정시키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지지판넬을 상기 결합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편에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위치설정바 본체의 하단을 상기 커넥터 모듈에 결합시키고 상기 커넥터 모듈을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위치설정바 본체의 상단부를 상기 높이고정홀에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위치설정바 본체에 나사체결하여 높이 조정하여 상기 높이고정홀에 걸리도록 하여 상기 커넥터 모듈을 상기 설정위치로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모듈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간격조정단과 외측단이 각각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커넥터 본체와,
    맨홀 시공시 상기 하수본관과 연결이 이루어지고, 연질이면서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넥터 본체에 결합설치되며 말단부가 상기 커넥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내측 거푸집과 외측 거푸집 사이 삽입될 때 말단부가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로 삽입이 이루어지는 커넥터 접속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6.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크리트맨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맨홀.
  7. 삭제
  8. 삭제
KR1020210066661A 2021-05-25 2021-05-25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 KR102497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61A KR102497786B1 (ko) 2021-05-25 2021-05-25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661A KR102497786B1 (ko) 2021-05-25 2021-05-25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74A KR20220158974A (ko) 2022-12-02
KR102497786B1 true KR102497786B1 (ko) 2023-02-07

Family

ID=8441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661A KR102497786B1 (ko) 2021-05-25 2021-05-25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7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8558A (ja) * 2002-05-10 2003-11-19 Toyota Motor Corp アンカー孔形成装置
KR100728309B1 (ko) 2006-12-29 2007-06-13 화평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구 일체형 맨홀 구조체 및 그 제조장치
KR100749823B1 (ko) * 2006-04-21 2007-08-17 최승선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101817278B1 (ko) 2016-10-04 2018-01-11 최달헌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KR102178222B1 (ko) * 2020-07-17 2020-11-12 박민영 하수맨홀용 커넥터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868Y1 (ko) 2005-03-24 2005-06-16 조용우 맨홀 거푸집
KR100744173B1 (ko) * 2007-01-24 2007-08-01 청호산업 주식회사 지수단관 고정수단을 갖는 맨홀 성형장치
KR100849527B1 (ko) 2007-12-24 2008-07-31 주식회사 우성 맨홀의 관 연결부재
KR20080058295A (ko) 2008-01-14 2008-06-25 최승선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20140107812A (ko) * 2013-02-28 2014-09-05 최승선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40122061A (ko) 2013-04-09 2014-10-17 오영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접속관 연결용 맨홀 거푸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8558A (ja) * 2002-05-10 2003-11-19 Toyota Motor Corp アンカー孔形成装置
KR100749823B1 (ko) * 2006-04-21 2007-08-17 최승선 맨홀, 이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연결방법
KR100728309B1 (ko) 2006-12-29 2007-06-13 화평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구 일체형 맨홀 구조체 및 그 제조장치
KR101817278B1 (ko) 2016-10-04 2018-01-11 최달헌 맨홀 제조장치, 이에 의한 맨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일체형 맨홀
KR102178222B1 (ko) * 2020-07-17 2020-11-12 박민영 하수맨홀용 커넥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974A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2818A (en) Anchor bolt positioning system for concrete foundations
KR101358242B1 (ko) 입상관 고정장치
KR101076084B1 (ko) 배관 고정용 클램프
KR102497786B1 (ko) 콘크리트 맨홀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맨홀 및, 이 맨홀의 시공구조물
KR101641339B1 (ko) 거푸집의 간격유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 방법
CN209874483U (zh) 一种剪力墙预留空调洞可拆卸固定模具
KR101142436B1 (ko)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KR101598339B1 (ko)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체결구
US3198476A (en) Tapered tie bolt
CN211114842U (zh) 可重复使用的对拉螺栓
CN217812347U (zh) 一种可伸缩、折叠、快拆式框架梁模板夹具
CN108547447B (zh) 一种边模固定装置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KR101759199B1 (ko)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거푸집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CN215443103U (zh) 一种用于封堵预留洞口的支模工具
KR101806000B1 (ko) 서포트 길이 연장용 익스텐더
KR200349955Y1 (ko) 안전난간대 설치용 강관고정장치
US8418428B2 (en) Embedded mesh in precast walls
KR101639311B1 (ko) 맨홀철개 높이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보수공법
JP2004238869A (ja) 鉄筋継手金具と鉄筋の接続方法
KR101429146B1 (ko) 안전 테트라포드 거푸집 제작 장치 및 방법
CN219080946U (zh) 一种可拆卸式外脚手架连墙件
CN219137435U (zh) 拔钢管时固定钢管的装置
KR200321053Y1 (ko) 철선트러스 거푸집
KR101509409B1 (ko) 측구거푸집설치장치 및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