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436B1 -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436B1
KR101142436B1 KR1020100052322A KR20100052322A KR101142436B1 KR 101142436 B1 KR101142436 B1 KR 101142436B1 KR 1020100052322 A KR1020100052322 A KR 1020100052322A KR 20100052322 A KR20100052322 A KR 20100052322A KR 101142436 B1 KR101142436 B1 KR 101142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tube
band
branch pip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789A (ko
Inventor
조정훈
Original Assignee
이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피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피아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43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2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21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cardboar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1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for circular colum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은, 원통형으로 배치된 한 쌍의 반원형 지관; 및 상기 지관의 원통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관을 감싸면서 압박하는 압박수단;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지관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서로 체결되어 상기 지관을 압박하며, 상기 지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앵글; 복수 개의 상기 앵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관에 감싸지는 밴드; 및 상기 지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앵글에 각각 체결고정되며, 상기 밴드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밴드의 양단부를 서로에 대한 방향으로 당기도록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봉;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원기둥을 만들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이 한 쌍의 반원형 지관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지관을 압박수단이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관이 원통형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아울러, 본 발명의 거푸집이 반원형 지관(紙管)으로 구성됨에 따라, 운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여 시공시간과 작업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Hybrid paper formwork}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으로서, 한 쌍의 반원형 지관을 압박수단이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관이 원통형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이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가설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각종 건축물 또는 구축물 등을 건축할 경우, 기둥, 바닥, 벽 등에 소정형상의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 등을 주입한 후 양생하여 원하는 모양의 형상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건물, 교량, 교각 등에 적용되는 기둥용 거푸집의 경우, 종래에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기둥으로 형성하였으나, 미관적인 측면이나 공간성, 또한 단면적당 받는 힘을 비교할 때 원형 기둥이 더 우수하므로 현재에는 주로 원형 기둥으로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목재합판이나 스틸판 또는 플라스틱판 등으로 원형 거푸집을 제작하는 경우, 거푸집의 제작비용이 고가이고, 정원형의 형태로 제작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건물의 건축 용도에 따른 기둥용 거푸집의 직경이 각기 달라 콘크리트 양생 후 제거하여 재사용이 용이하지 않아, 폐기됨으로써 환경적인 측면에서 불리하고, 분해하여 다시 제작한 후 사용할 경우, 비용이 상승되고, 재사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건물, 교량, 교각 등에 적용되는 기둥의 직경이 클 경우, 기둥용 거푸집의 크기 또한 커져 이송 및 이동이 용이하지 않고, 중량 또한 크기에 비례하여 커짐으로써 건설 현장까지의 수송 및 하적 등에 어려움이 있다.
일례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992-0016680호에서는 측압이 크게 되는 지중 구조물을 현장 콘크리트로 제적하고 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발생되는 측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거푸집 판넬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거푸집은 각 판넬들을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여 고정시켜 제작되고, 따라서 철거시 수많은 볼트 및 너트의 결합을 해체하여야 하므로 설치 및 철거시 시공시간 및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한계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한 쌍의 반원형 지관을 압박수단이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관이 원통형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은, 원통형으로 배치된 한 쌍의 반원형 지관; 및 상기 지관의 원통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관을 감싸면서 압박하는 압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지관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서로 체결되어 상기 지관을 압박하며, 상기 지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앵글; 복수 개의 상기 앵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관에 감싸지는 밴드; 및 상기 지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앵글에 각각 체결고정되며, 상기 밴드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밴드의 양단부를 서로에 대한 방향으로 당기도록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띠 형상으로서 양단부에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가 억지벌림 후 두 개의 상기 지지봉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서 감싸, 두 개의 상기 지지봉을 서로에 대한 방향으로 당기도록 구성되는 조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임부재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밴드는, 양단부에 상기 지지봉이 끼워지는 끼움구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가 형성된 양단부에서 상기 조임부재의 굴곡부가 상기 지지봉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봉이 노출되는 노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밴드는 섬유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앵글은, 상기 지관을 감싸면서 접촉하는 원형 접촉부; 상기 접촉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봉이 끼워져서 체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접촉부와 연결부 양단부 부위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며, 각각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에 체결부재가 끼워져서 서로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앵글 연결부의 연결구에는 제1 나사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의 상하부에는 상기 제1 나사라인과 대응되는 제2 나사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앵글의 연결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봉의 제2 나사라인에 너트부재가 끼워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앵글은 스틸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한 쌍의 반원형 상기 지관은 두 겹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관의 내주면은, PET 코팅지 또는 OPP 코팅지로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관의 외주면은, 마대지로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관의 외주면은, 파라핀 코팅지, PE 코팅지, OPP코팅지, PE 섬유 코팅지 및 타폴린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마감재에 의해 추가적인 마감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관의 테두리부는, 마스킹 테이프, OPP 테이프 및 PE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테이프를 사용하여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은, 콘크리트 원기둥을 만들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이 한 쌍의 반원형 지관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지관을 압박수단이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관이 원통형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거푸집이 반원형 지관(紙管)으로 구성됨에 따라, 운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여 시공시간과 작업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에서 지관에 설치된 앵글과 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에서 지지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에서 조임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에서 지관에 설치된 앵글과 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에서 지지봉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에서 조임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배치된 한 쌍의 반원형 지관(20), 상기 지관(20)에 감싸도록 구성되는 압박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지관(20)은 반원형으로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두 개의 반원형이 서로 이어진 배치를 이루어 원통형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반원형 지관(紙管)(20)은 종래의 목재합판, 스틸판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된 정원형의 거푸집에 비하여, 수송, 하적 등의 과정에서 취급이 용이하고,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거푸집 제작비용이 경감되고, 경량으로 인하여 시공시에도 시공자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양생 후 추가적인 마감처리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관(20)의 내주면은 PET 코팅지 또는 OPP 코팅지를 사용하여 마감처리된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지관 원지는 PE 코팅지를 사용하여 마감처리를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의 반원형 지관(20)의 내주면은 PET 코팅지 또는 OPP 코팅지를 사용하여 마감처리를 함으로써, 내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거푸집을 제거시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지관(20)의 외주면은 마대지를 사용하여 마감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대지를 사용하여 반원형 지관(20)의 외주면을 마감처리함으로써, 폭우 등에 대비하여 내수성을 향상시키고 건설 현장의 거친 환경에도 변형을 줄일 수 있어서 거푸집의 외부표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관(20)의 외주면에서는 파라핀 코팅지, PE 코팅지, OPP 코팅지, PE 섬유 코팅지, PP 섬유 코팅지, 타포린지 등의 마감재를 사용하여 추가적인 마감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지관(20)은 이송 또는 하적 등의 운반 및 시공시 외주면이 손상되기 쉽고, 외주면의 손상된 부분은 물 등 습기에 의한 강도 저하가 발생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마감재를 사용하여 반원형 지관(20)의 외주면을 마감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이 물 등의 습기에 의하여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반원형 지관(20)의 테두리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마스킹 테이프, OPP 테이프, PE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마감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관(20)은 두 겹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즉 한 쌍의 반원형 지관(20)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이 내측에 배치되고, 또 하나의 원통형 지관(20)이 상기 내측의 원통형 지관(20)의 외측에서 겹쳐 배치된다.
이때, 내측 지관(20)에서 양단부 사이의 길이방향 이음되는 제1 이음새(21)가, 외측 지관(20)에서 양단부 사이의 길이방향 이음되는 제2 이음새(22)와 90도 간격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지관(20)이 타설되는 콘트리트에 의한 외측방향 횡압력에 견디어서 원통형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켜준다.
그리고, 상기 압박수단(40)은 상기 지관(20)의 원통형을 유지하도록 지관(20)을 감싸면서 압박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압박수단(40)은 지관(20)을 감싸는 앵글(50)과 밴드(60), 및 상기 앵글(50)에 설치되어 밴드(60)를 지지하는 지지봉(70)을 포함한다.
상기 앵글(50)은 지관(20)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서로 체결되어 지관(20)을 압박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앵글(50)은 지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앵글(50)은 지관(20)을 감싸는 접촉부(52), 상기 접촉부(52)로부터 수직방향 연장된 연결부(54), 및 상기 접촉부(52)와 연결부(54)의 양단부 부위에 구성되는 체결부(56)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52)는 지관(20)을 감싸면서 접촉하며, 지관(20)이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 벌어지지 않고 콘크리트 원기둥이 될 수 있도록 횡방향 압박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54)는 접촉부(52)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봉(70)이 체결되는 연결구(55)가 형성된다.
즉, 연결부(54)는 지관(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부분으로서, 지관(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봉(70)이 끼워져서 체결되는 연결구(55)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앵글(50) 연결부(54)의 연결구(55)에는 제1 나사라인이 형성되며, 지지봉(70)의 상하부에는 상기 제1 나사라인과 대응되는 제2 나사라인(70a)이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앵글(50)의 연결부(54)를 지지하도록 지지봉(70)의 제2 나사라인(70a)에 하나 이상의 너트부재(72)가 끼워진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체결부(56)는 접촉부(52)와 연결부(54) 양단부 부위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56)는 접촉부(52)로부터 외측방향, 연결부(54)로부터 지관(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체결부(56)는 서로 마주보도록 두 개가 형성되는데, 각각의 체결부(56)에는 체결구(57)가 마련되어 두 개의 상기 체결구(57)에 체결부재(59)가 끼워짐에 따라 마주보는 상기 체결부(56)들이 서로 체결된다.
여기에서, 상기 체결부재(59)는 일례로서, 체결구(57)에 끼워지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양단부가 통과하여 체결되는 두 개의 너트부재가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마주보는 상기 체결부(56)를 견고히 체결되도록 하는 어떠한 체결부재도 활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앵글(50)은, 스틸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밴드(60)는 복수 개의 상기 앵글(50) 사이에 배치되어 지관(20)에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밴드(60)는 양단부에 지지봉(70)이 끼워지는 끼움구(61)가 형성된다.
일례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는 밴드(60)의 양단부의 일정부분이 접힌 후 끝단라인만 부착고정시켜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60)는 섬유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봉(70)은 지관(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앵글(50)에 각각 체결고정되며, 밴드(60)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밴드(60)의 양단부를 서로에 대한 방향으로 당기도록 지지하는 구성을 이룬다.
상기 지지봉(70)은 지관(20)에 설치되어 고정된 앵글(50)에 설치되어, 두 개의 앵글(50) 사이에 배치되는 밴드(60)의 양단부를 서로에 대한 방향으로 밀어서, 밴드(60)가 앵글(50)과 같이 지관(20)을 횡방향 압박하도록 하여 지관(20)이 원통형 형상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봉(70)이 앵글(50) 연결부(54)의 연결구(55)와 밴드(60)의 끼움구(61)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구조는 이미 상술하였기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재(80)는 띠 형상으로서 양단부에 굴곡부(81)가 형성된다.
이러한 조임부재(80)는 굴곡부(81)가 억지벌림 후 두 개의 상기 지지봉(70)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서 감싸, 두 개의 지지봉(70)을 서로에 대한 방향으로 당기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조임부재(80)의 가로길이는 두 개의 지지봉(70) 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되어, 양단부의 굴곡부(81)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지지봉(70)을 밀면서 들어가서 최종적으로 굴곡부(81)가 지지봉(70)을 감싸도록 위치이동된다.
이에 따라, 조임부재(80)는 두 개의 지지봉(70)이 서로에 대해 멀어지지 않도록, 두 개의 지지봉(7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켜준다.
이때, 상기 조임부재(8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굴곡부(81)가 일정 정도 억지벌림되어 지지봉(70)에 체결된 후 지지봉(70)을 일정 정도 이상의 힘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강성을 지닌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도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임부재(80)는 밴드(60)가 배치된 부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밴드(60)에서 지지봉(70)이 노출되는 노출부(62)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임부재(80)는 끼움구(61)가 형성된 밴드(60)의 양단부에서 굴곡부(81)가 지지봉(70)을 감싸도록 밴드(60)의 양단부에서 내측으로 파여진 상기 노출부(62)에 위치되어 지지봉(70)에 설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원기둥을 만들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인 원통형 지관이 한 쌍의 반원형 지관(20)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지관(20)을 감싸면서 압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지관(20)이 원통형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 지관 40 : 압박수단
50 : 앵글 52 : 접촉부
54 : 연결부 55 : 연결구
56 : 체결부 57 : 체결구
59 : 체결부재 60 : 밴드
61 : 끼움구 62 : 노출부
70 : 지지봉 72 : 너트부재
80 : 조임부재 81 : 굴곡부

Claims (14)

  1. 원통형으로 배치된 한 쌍의 반원형 지관; 및
    상기 지관의 원통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관을 감싸면서 압박하는 압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박수단은,
    상기 지관을 감싸면서 양단부가 서로 체결되어 상기 지관을 압박하며, 상기 지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앵글;
    복수 개의 상기 앵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관에 감싸지는 밴드;
    상기 지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앵글에 각각 체결고정되며, 상기 밴드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밴드의 양단부를 서로에 대한 방향으로 당기도록 지지하는 두 개의 지지봉; 및
    띠 형상으로서 양단부에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가 억지벌림 후 두 개의 상기 지지봉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끼워서 감싸, 두 개의 상기 지지봉을 서로에 대한 방향으로 당기도록 구성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양단부에 상기 지지봉이 끼워지는 끼움구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구가 형성된 양단부에서 상기 조임부재의 굴곡부가 상기 지지봉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봉이 노출되는 노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섬유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은,
    상기 지관을 감싸면서 접촉하는 원형 접촉부;
    상기 접촉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봉이 끼워져서 체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접촉부와 연결부 양단부 부위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성되며, 각각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에 체결부재가 끼워져서 서로 체결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 연결부의 연결구에는 제1 나사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의 상하부에는 상기 제1 나사라인과 대응되는 제2 나사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앵글의 연결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봉의 제2 나사라인에 너트부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은 스틸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10.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반원형 상기 지관은 두 겹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11.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의 내주면은,
    PET 코팅지 또는 OPP 코팅지로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12.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의 외주면은,
    마대지로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의 외주면은,
    파라핀 코팅지, PE 코팅지, OPP코팅지, PE 섬유 코팅지 및 타폴린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마감재에 의해 추가적인 마감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관의 테두리부는,
    마스킹 테이프, OPP 테이프 및 PE 테이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테이프를 사용하여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KR1020100052322A 2010-06-03 2010-06-03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KR101142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322A KR101142436B1 (ko) 2010-06-03 2010-06-03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322A KR101142436B1 (ko) 2010-06-03 2010-06-03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789A KR20110132789A (ko) 2011-12-09
KR101142436B1 true KR101142436B1 (ko) 2012-05-08

Family

ID=4550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322A KR101142436B1 (ko) 2010-06-03 2010-06-03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43795B (zh) * 2013-12-24 2016-09-14 山东万鑫建设有限公司 扣合式木模板圆柱混凝土浇筑施工方法
KR20190001642A (ko) * 2017-06-27 2019-01-07 이피아이주식회사 종이관 거푸집용 핸들링 장치
KR102195671B1 (ko) * 2020-03-13 2020-12-29 성국현 유연시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시공방법
CN112593701B (zh) * 2020-11-26 2021-12-14 中核华辰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柱模板结构及施工方法
CN113006475B (zh) * 2021-03-04 2022-06-24 西安建工第一建筑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土木施工的混凝土模板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3758U (ko) 1986-03-04 1987-09-10
KR200300614Y1 (ko) 2002-10-23 2003-01-14 최흥용 외관이 미려한 콘크리트 기둥용 조립식 형틀
KR20090030898A (ko) * 2007-09-21 2009-03-25 이피아이주식회사 지관 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관 거푸집의시공방법
KR20100031220A (ko) * 2008-09-12 2010-03-22 이피아이주식회사 반원형 지관으로 형성된 종이 거푸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3758U (ko) 1986-03-04 1987-09-10
KR200300614Y1 (ko) 2002-10-23 2003-01-14 최흥용 외관이 미려한 콘크리트 기둥용 조립식 형틀
KR20090030898A (ko) * 2007-09-21 2009-03-25 이피아이주식회사 지관 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관 거푸집의시공방법
KR20100031220A (ko) * 2008-09-12 2010-03-22 이피아이주식회사 반원형 지관으로 형성된 종이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789A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436B1 (ko)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US8240633B2 (en) Concrete forming apparatus for use in forming concrete support columns
KR100996832B1 (ko) 반원형 지관으로 형성된 종이 거푸집
KR101163026B1 (ko) 단일겹의 반원형 지관 하이브리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원통형 구조물의 성형방법
US20080245022A1 (en) Framework System For Truss Deck Using Construction Mold Assembly
KR20090010301A (ko) 프리컬럼을 사용한 폭렬방지형 고강도 철근콘크리트기둥부재의 제작방법
US3609935A (en) Permanent form for precast tilt-up concrete modules and process
KR20180040285A (ko) 콘크리트 기둥용 거푸집 구조체
US20090108170A1 (en) Concrete forming system
CN105649327A (zh) 采用半圆形模板进行钢管柱外混凝土浇筑的方法
CN111706073A (zh) 新型单向密肋模板以及安装方法
KR20190001642A (ko) 종이관 거푸집용 핸들링 장치
KR200372661Y1 (ko) 거푸집 분리형 트러스 데크
KR101105836B1 (ko) 접합부 종이거푸집 및 이의 src 구조 접합부 시공방법
KR101075982B1 (ko) 설치가 용이하고 방수성이 강화된 종이슬리브
KR100695491B1 (ko)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101151344B1 (ko) 종이거푸집
KR200215303Y1 (ko) 원형 콘트리트 기둥용 거푸집
KR20020033988A (ko) 철콘 구조의 고급화 방안
WO2010074680A1 (en) Concrete forming system
KR101806000B1 (ko) 서포트 길이 연장용 익스텐더
KR200321053Y1 (ko) 철선트러스 거푸집
CN219080946U (zh) 一种可拆卸式外脚手架连墙件
CN114351943B (zh) 定型化钢模大截面劲性清水混凝土柱结构及施工方法
KR101920025B1 (ko)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