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0025B1 -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0025B1
KR101920025B1 KR1020160133738A KR20160133738A KR101920025B1 KR 101920025 B1 KR101920025 B1 KR 101920025B1 KR 1020160133738 A KR1020160133738 A KR 1020160133738A KR 20160133738 A KR20160133738 A KR 20160133738A KR 101920025 B1 KR101920025 B1 KR 101920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late member
paper form
formwork
ou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806A (ko
Inventor
조정훈
Original Assignee
이피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피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피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00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0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0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1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for circular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관 형상의 종이 거푸집을 용이하게 핸들링할 수 있도록 상기 종이 거푸집에 부착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는, 종이 거푸집의 내면에 배치되는 내측판부재와, 일단부가 내측판부재의 내면에 고정되며, 종이 거푸집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볼트부재와, 내측판부재와 종이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어 압착됨으로써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1 씰링부재와, 종이 거푸집의 외면에 배치되며,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을 통과한 볼트부재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외측판부재와, 외측판부재와 종이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어 압착됨으로써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2 씰링부재와, 외측판부재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 장치는 종이 거푸집의 길이방향 일단부 가까이에, 종이 거푸집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에 부착되며, 종이 거푸집의 길이방향 타단부 가까이에 더 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Attachment device for handling of paper formwork}
본 발명은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을 위해 종이 거푸집에 부착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 또는 구축물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기둥, 바닥, 벽 등이 형성될 위치에 소정의 형상을 가진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 과정을 거친 후 거푸집을 제거하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기둥, 바닥, 벽 등이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종래의 일반적인 거푸집은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종류에 따라 합판, 경질 섬유판, 합성수지, 알루미늄 패널, 강판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대략 수일 내지 수주 후에 제거되어 재사용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거푸집의 경우, 양생된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제거할 때 콘크리트 벽체로부터 거푸집 패널이 깔끔하게 이형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건물, 교량, 교각 등에 적용되는 기둥용 거푸집의 경우, 원통 형상의 거푸집을 제작하여 사용하나, 거푸집의 제작비용이 고가이고, 정확한 원의 형태로 제작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의 건축 용도에 따른 기둥용 원형 거푸집의 직경이 각기 달라 콘크리트 양생 후 제거하여 재사용이 용이하지 않아, 폐기됨으로써 환경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 교량, 교각 등에 적용되는 기둥의 직경이 클 경우, 기둥용 거푸집의 크기 또한 커져 이송 및 이동이 용이하지 않고, 중량 또한 크기에 비례하여 커짐으로써 건설현장까지의 수송 및 하적 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건축물, 구조물, 교량 및 교각 등의 기둥에 적용되는 원형 거푸집의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4198호에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특허 발명(발명의 명칭: 지관 거푸집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종이 거푸집)이 개시되어 있다.
종이로 이루어진 지관(紙管) 거푸집을 이용하면 거푸집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취급이 용이하여 이송 또는 하적 등의 운반이 용이하고, 거푸집 제작을 위한 공간 및 장소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작업 공간 및 제조 공간의 활용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제작비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부식이 발생하지 않아 건축물, 구조물, 교량 및 교각 등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의 적용이 가능하며, 거푸집 제거 후의 잔해물도 재질이 종이이므로 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이로 만들어진 지관 거푸집은 많은 장점을 갖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종이 거푸집은 일반적인 목재나 금속재 거푸집에 비해 그 중량이 비교적 가벼운데도 불구하고, 핸들링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종이 거푸집은, 그 재질의 특성상, 와이어를 걸기 위한 고리나 후크를 용접하기가 불가능하고 나사 등을 직접 체결하기도 힘들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관 형상의 종이 거푸집의 둘레에 와이어를 감아서 핸들링하였는데, 이 경우 종이 거푸집이 수직으로 세워지지 못하고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되므로, 기울어진 종이 거푸집을 작업자들이 직접 수직으로 세워야 하며, 이러한 작업은 힘들고 쉽지 않은 것이다.
또한, 크레인 등이 설치되지 않는 구역에서 종이 거푸집을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작업자들이 종이 거푸집의 양단부를 손으로 잡고 들어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도 종이 거푸집을 손으로 잡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이 거푸집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종이 거푸집을 수직으로 세우거나 이동시킬 때 종이 거푸집을 용이하게 핸들링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0419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관 형상의 종이 거푸집을 용이하게 핸들링할 수 있도록 종이 거푸집에 부착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는,
관 형상의 종이 거푸집을 핸들링하기 위해 상기 종이 거푸집에 부착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로서,
상기 종이 거푸집의 내면에 배치되는 내측판부재;
일단부가 상기 내측판부재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종이 거푸집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볼트부재;
상기 내측판부재와 상기 종이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어 압착됨으로써 상기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1 씰링부재;
상기 종이 거푸집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외측판부재;
상기 외측판부재와 상기 종이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어 압착됨으로써 상기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2 씰링부재; 및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 장치는 상기 종이 거푸집의 길이방향 일단부 가까이에, 상기 종이 거푸집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부착 장치는 상기 종이 거푸집의 길이방향 타단부 가까이에 더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판부재와 외측판부재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판부재의 면적 및 두께는 상기 내측판부재의 면적 및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판부재는 1.0mm ~ 3.0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외측판부재는 2.0mm ~ 5.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판부재에는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볼트 삽입공에 삽입된 후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 쪽에서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판부재는 상기 종이 거푸집의 외면과 상응한 곡률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씰링부재와 제2 씰링부재는 점탄성물질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중심부에 상기 볼트부재가 삽입되는 중심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두 개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리부재는 밴드(band) 형상을 가지고, 양단부는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고, 중간부는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고리부재에는 후크 형상의 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재는 후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두 개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판부재에는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이 두 개 이상 관통 형성되며, 상기 부착 장치는, 상기 내측판부재, 상기 볼트부재, 상기 제1 씰링부재, 및 상기 제2 씰링부재를 각각 두 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에 의하면, 관 형상의 종이 거푸집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세우기가 용이하고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이동시키기도 용이하며, 종이 거푸집을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작업자들이 직접 들고 이동시키기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종이 거푸집의 내면과 외면에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진 내측판부재와 외측판부재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종이 거푸집을 지지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종이 거푸집과 내측판부재 사이 및 종이 거푸집과 외측판부재 사이에 제1 씰링부재와 제2 씰링부재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종이 거푸집에 형성된 관통공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는, 기존의 종이 거푸집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이미 제작된 종이 거푸집에 관통공만 형성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를 종이 거푸집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관 형상의 종이 거푸집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착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착 장치가 종이 거푸집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외측판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리부재에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와이어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고리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리부재에 와이어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종이 거푸집을 작업자들이 직접 이동시키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고리부재에 손잡이부재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부착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관 형상의 종이 거푸집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착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착 장치가 종이 거푸집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100)는, 종이 거푸집(10)을 용이하게 핸들링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상기 종이 거푸집(10)을 수직으로 세우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종이 거푸집(10)에 부착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100)(이하 간단하게 부착 장치라고 한다)는 관 형상의 종이 거푸집(10)의 길이방향 일단부 가까이에, 즉 종이 거푸집(10)을 수직으로 세웠을 때 상단부 가까이에 부착된다. 상기 부착 장치(100)는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에 각각 하나씩 부착된다. 상기 두 개의 부착 장치(100)는 상기 종이(10) 거푸집을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이동시킬 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부착 장치(100)는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길이방향 타단부 가까이에 추가적으로 하나 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부착 장치들(100) 중에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타단부 가까이에 부착된 두 개의 부착 장치(100)를 사용하여 종이 거푸집(10)을 예를 들어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작업자들이 직접 들고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부착 장치(100)는, 내측판부재(110), 볼트부재(120), 제1 씰링부재(130), 외측판부재(140), 제2 씰링부재(150), 및 고리부재(1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측판부재(110)는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내면(11)에 배치되는 것으로, 강판과 같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판부재(110)는 가로와 세로가 대략 5cm인 면적을 가진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직경에 따라 그 면적과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판부재(110)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내면(11)에 따라 어느 정도 휘어질 수 있는 두께, 예를 들어 대략 1.0mm ~ 3.0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2.0mm ~ 2.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착 장치(100)가 상기 종이 거푸집(10)에 견고하게 부착되었을 때, 상기 내측판부재(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지면서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내면(11)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질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종이 거푸집(1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트부재(120)는 상기 내측판부재(110)와 후술하는 외측판부재(140)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부착 장치(100)가 종이 거푸집(10)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볼트부재(120)의 일단부는 상기 내측판부재(110)의 내면(111) 중심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볼트부재(120)의 일단부는 상기 내측판부재(110)의 내면(111) 중심부에 예를 들어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판부재(110)의 내면(111)은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내면(11)과 마주보는 면이고, 상기 내측판부재(110)의 외면(112)은 상기 내면(111)의 반대쪽 면이다.
상기 볼트부재(120)는 상기 종이 거푸집(10)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14)을 통과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볼트부재(120)의 타단부는 상기 외측판부재(140)와 결합된다.
상기 외측판부재(140)는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외면(12)에 배치되는 것으로, 강판과 같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판부재(140)는 상기 내측판부재(120)보다 넓은 면적, 예를 들어 가로와 세로가 대략 10cm인 면적을 가진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직경에 따라 그 면적과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외측판부재(14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리부재(161)가 설치되며, 상기 고리부재(161)에 크레인의 와이어 또는 후크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측판부재(140)는 견고성을 위해, 상기 내측판부재(110)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 예를 들어 대략 2.0mm ~ 5.0m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3.0mm ~ 4.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외측판부재(140)는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외면(12)과 마주보는 내면(141)과, 상기 내면(141)의 반대쪽 면인 외면(142)을 가진다.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중심부에는 상기 볼트부재(12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14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볼트부재(120)의 타단부는 상기 볼트 삽입공(144)에 삽입된 후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외면(142) 쪽에서 너트(12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판부재(110)와 외측판부재(140)는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양측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부재(120)의 타단부가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외면(142)으로부터 대략 3cm 이내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후술하는 고리부재(161)에 와이어 또는 후크를 걸 때 상기 볼트부재(120)의 타단부가 간섭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외측판 부재(140)의 볼트 삽입공(144)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너트(122) 없이 상기 볼트부재(120)의 타단부가 상기 볼트 삽입공(144)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외측판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외측판부재(140)는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외면(12)과 상응한 곡률로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측판부재(140)와 종이 거푸집(10)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서 상기 종이 거푸집(1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일반적인 종이 거푸집(10)의 경우, 수분이 침투하게 되면 종이 재질의 특성상 수분에 접한 부분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종이 거푸집(10)의 내면(11)과 외면(12)은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내면(11)과 외면(12)을 통한 수분의 침투는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이 거푸집(10)에 관통공(14)이 형성되면, 그 관통공(14) 내부로 수분이 침투할 수 있게 되며, 그 수분은 종이 거푸집(10)의 벽체 내부로 침투하여 그 부분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100)는 제1 씰링 부재(130)와 제2 씰링 부재(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씰링부재(130)는 상기 내측판부재(110)와 상기 종이 거푸집(10) 사이에,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판부재(110)의 내면(111)과 종이 거푸집(10)의 내면(11)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씰링부재(150)는 상기 외측판부재(140)와 상기 종이 거푸집(10) 사이에,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내면(141)과 종이 거푸집(10)의 외면(1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씰링부재(130)와 제2 씰링부재(150)는 각각 그 중심부에 상기 볼트부재(120)가 삽입되는 중심공(131, 151)이 형성된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씰링부재(130)와 제2 씰링부재(150)는 상기 볼트부재(120)의 둘레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 씰링부재(130)는 상기 내측판부재(110)의 내면(111)에 미리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씰링부재(150)는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내면(141)에 미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씰링부재(130)와 제2 씰링부재(150)는 바람직하게는 고무와 같은 점탄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대략 1mm ~ 3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씰링부재(130)는, 상기 볼트부재(120)에 의해 상기 내측판부재(110)와 외측판부재(140)가 견고하게 체결될 때, 상기 내측판부재(110)와 종이 거푸집(10) 사이에서 압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씰링부재(130)는 상기 내측판부재(110)의 내면(111)과 종이 거푸집(10)의 내면(11)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제2 씰링부재(150)는, 상기 볼트부재(120)에 의해 상기 내측판부재(110)와 외측판부재(140)가 견고하게 체결될 때, 상기 외측판부재(140)와 종이 거푸집(10) 사이에서 압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씰링부재(150)는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내면(141)과 종이 거푸집(10)의 외면(12)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씰링부재(130)에 의해,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중의 수분이 상기 종이 거푸집(10)에 관통 형성된 관통공(14)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관통공(14)을 통해 수분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씰링부재(150)에 의해, 에를 들어 비가 오는 경우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종이 거푸집(10)의 관통공(14)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재(161)는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핸들링을 위한 크레인의 와이어(181) 또는 후크를 걸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외면(142)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볼트 삽입공(144)의 양측에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재(161)는 밴드(band)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양단부는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외면(142)에 용접 또는 나사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중간부는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외면(142)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외면(142)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리부재에 와이어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두 개의 고리부재(161)에 연결부재(171)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 개의 고리부재(161) 각각의 중간부와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외면(14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연결부재(171)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걸리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171)의 중간부에 크레인의 와이어(181)가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71)에 크레인의 후크를 걸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연결부재(171)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두 개의 고리부재(161)에 와이어(181)를 직접 걸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두 개의 고리부재(161)에 후크 형상의 연결부재(172)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 개의 고리부재(161) 각각의 중간부와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외면(14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후크 형상의 연결부재(172)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걸리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172)의 중간부에 형성된 후크부에 크레인의 와이어 또는 후크가 걸리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72)가 후크 형상을 가지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172)에 크레인의 와이어 또는 후크를 보다 쉽게 걸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고리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고리부재에 와이어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외면(142)에는 후크 형상의 고리부재(162)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재(1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판부재(140)의 외면(142)에 두 개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한 개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두 개의 고리부재(162)에는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핸들링을 위한 크레인의 와이어(181)가 걸릴 수 있으며, 또는 크레인의 후크가 걸릴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100)에는 도 2에 도시된 고리부재(161)와 도 7에 도시된 고리부재(162) 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진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리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종이 거푸집을 작업자들이 직접 이동시키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고리부재에 손잡이부재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종이 거푸집(10)은 종래의 목재나 금속재 등의 거푸집에 비해 무게가 가벼우므로, 크레인 등이 설치되지 않는 구역에서는 작업자들이 종이 거푸집(10)을 직접 들고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부착 장치들(100) 중에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길이방향 일단부와 타단부 가까이에 부착된 두 개의 부착 장치(100)를 사용하여 종이 거푸집(10)을 예를 들어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작업자들이 직접 들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종이 거푸집(10)의 양단부 가까이에 형성된 두 개의 부착장치(100)의 고리부재(162)에 손잡이부재(174)를 걸고, 이 손잡이부재(174)를 작업자들이 손으로 잡고 종이 거푸집(10)을 들고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이 거푸집(10)을 작업자들이 손으로 잡기가 용이하므로, 종래에 비해 종이 거푸집(10)을 들어서 이동시키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부착 장치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착 장치(100)는, 하나의 외측판부재(150)에 두 개의 볼트부재(120)에 의해 두 개의 내측판부재(110)가 결합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제1 씰링부재(130)와 두 개의 제2 씰링부재(150)가 사용되며, 상기 외측판부재(140)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볼트 삽입공(14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외측판부재(140)에 고정 설치되는 고리부재(162)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도 2에 도시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두 개의 내측판부재(110)와 두 개의 볼트부재(120) 각각의 구성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내측판부재(110)와 볼트부재(120)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 씰링부재(130)와 제2 씰링부재(150) 각각의 구성도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도 10a에 도시된 외측판부재(140)의 크기는 도 2에 도시된 외측판부재(140)의 크기보다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도 10a에는 두 개의 내측판부재(110)와 두 개의 볼트부재(120)가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100)는 하나의 외측판부재(140)와, 세 개 내지 다섯 개의 내측판부재(110) 및 이와 동일한 수의 볼트부재(1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씰링부재(130)와 제2 씰링부재(150)도 동일한 수가 사용되며, 상기 외측판부재(140)에 형성되는 볼트 삽입공(144)의 수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판부재(140)에는 서로 간격을 두고 네 개의 볼트 삽입공(144)이 형성되고, 상기 네 개의 볼트 삽입공(144)에 네 개의 볼트부재(120)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네 개의 내측판부재(110), 네 개의 제1 씰링부재(130) 및 네 개의 제2 씰링부재(150)가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내측판부재(110)와 두 개 이상의 볼트부재(120)를 사용하는 부착 장치(100)에 의하면, 종이 거푸집(1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더욱 큰 직경을 가진 종이 거푸집(10)을 용이하게 핸들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100)는, 관 형상의 종이 거푸집(10)의 길이방향 일단부 가까이에, 종이 거푸집(1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에 각각 하나씩 부착되므로, 상기 종이(10) 거푸집을 정확하게 수직으로 세우기가 용이하고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이동시키기도 용이하다.
또한, 상기 부착 장치(100)를 상기 종이 거푸집(10)의 길이방향 타단부 가까이에 추가적으로 하나 더 부착함으로써, 종이 거푸집(10)을 예를 들어 수평으로 눕힌 상태에서 작업자들이 직접 들고 이동시키기가 용이하다.
또한, 종이 거푸집(10)의 내면과 외면에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진 상기 내측판부재(110)와 외측판부재(140)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종이 거푸집(10)을 지지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종이 거푸집(10)과 내측판부재(110) 사이 및 종이 거푸집(10)과 외측판부재(140) 사이에 제1 씰링부재(130)와 제2 씰링부재(150)가 각각 배치됨으로써, 종이 거푸집(10)에 형성된 관통공(14)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 장치(100)는, 기존의 종이 거푸집(10)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이미 제작된 종이 거푸집(10)에 관통공(14)만 형성하면, 상기 부착 장치(100)를 종이 거푸집(1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종이 거푸집 14...관통공
100...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110...내측판부재 120...볼트부재
122...너트 130...제1 씰링부재
131,151...중심공 140...외측판부재
144...볼트 삽입공 150...제2 씰링부재
161,162...고리부재 171,172...연결부재
174...손잡이부재 181...와이어

Claims (11)

  1. 관 형상의 종이 거푸집을 핸들링하기 위해 상기 종이 거푸집에 부착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로서,
    상기 종이 거푸집의 내면에 배치되는 내측판부재;
    일단부가 상기 내측판부재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종이 거푸집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볼트부재;
    상기 내측판부재와 상기 종이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어 압착됨으로써 상기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1 씰링부재;
    상기 종이 거푸집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외측판부재;
    상기 외측판부재와 상기 종이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어 압착됨으로써 상기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2 씰링부재; 및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 장치는 상기 종이 거푸집의 길이방향 일단부 가까이에, 상기 종이 거푸집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에 부착되고,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두 개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리부재는 밴드(band) 형상을 가지고, 양단부는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고, 중간부는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장치는 상기 종이 거푸집의 길이방향 타단부 가까이에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부재와 외측판부재는 금속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판부재의 면적 및 두께는 상기 내측판부재의 면적 및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부재는 1.0mm ~ 3.0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외측판부재는 2.0mm ~ 5.0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부재에는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볼트 삽입공에 삽입된 후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 쪽에서 너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판부재는 상기 종이 거푸집의 외면과 상응한 곡률로 휘어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씰링부재와 제2 씰링부재는 점탄성물질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중심부에 상기 볼트부재가 삽입되는 중심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고리부재에는 후크 형상의 연결부재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10. 관 형상의 종이 거푸집을 핸들링하기 위해 상기 종이 거푸집에 부착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로서,
    상기 종이 거푸집의 내면에 배치되는 내측판부재;
    일단부가 상기 내측판부재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종이 거푸집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볼트부재;
    상기 내측판부재와 상기 종이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어 압착됨으로써 상기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1 씰링부재;
    상기 종이 거푸집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외측판부재;
    상기 외측판부재와 상기 종이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어 압착됨으로써 상기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2 씰링부재; 및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 장치는 상기 종이 거푸집의 길이방향 일단부 가까이에, 상기 종이 거푸집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에 부착되고,
    상기 고리부재는 후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에 간격을 두고 두 개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11. 관 형상의 종이 거푸집을 핸들링하기 위해 상기 종이 거푸집에 부착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로서,
    상기 종이 거푸집의 내면에 배치되는 내측판부재;
    일단부가 상기 내측판부재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종이 거푸집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삽입되는 볼트부재;
    상기 내측판부재와 상기 종이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어 압착됨으로써 상기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1 씰링부재;
    상기 종이 거푸집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부와 결합되는 외측판부재;
    상기 외측판부재와 상기 종이 거푸집 사이에 배치되어 압착됨으로써 상기 종이 거푸집의 관통공 내부로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제2 씰링부재; 및
    상기 외측판부재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착 장치는 상기 종이 거푸집의 길이방향 일단부 가까이에, 상기 종이 거푸집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양쪽에 부착되고,
    상기 외측판부재에는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공이 두 개 이상 관통 형성되며,
    상기 부착 장치는, 상기 내측판부재, 상기 볼트부재, 상기 제1 씰링부재, 및 상기 제2 씰링부재를 각각 두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KR1020160133738A 2016-10-14 2016-10-14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KR101920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738A KR101920025B1 (ko) 2016-10-14 2016-10-14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738A KR101920025B1 (ko) 2016-10-14 2016-10-14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06A KR20180041806A (ko) 2018-04-25
KR101920025B1 true KR101920025B1 (ko) 2018-11-20

Family

ID=6208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738A KR101920025B1 (ko) 2016-10-14 2016-10-14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002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344B1 (ko) * 2011-07-22 2012-06-08 이피아이주식회사 종이거푸집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837B1 (ko) * 2009-08-05 2012-04-19 미래이엔씨주식회사 해상 강관파일 부식방지 몰탈 도포용 폴리카보네이트 거푸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344B1 (ko) * 2011-07-22 2012-06-08 이피아이주식회사 종이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06A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224B2 (en) Utility dowel bracket
KR20180034807A (ko) 외단열 공법 및 그에 따른 외단열 벽체
KR100977804B1 (ko) 줄눈 가변형 갱폼
TWM556760U (zh) 預鑄版與預鑄版之間的梁位間隙封底結構
KR101142436B1 (ko) 하이브리드 종이거푸집
KR101920025B1 (ko) 종이 거푸집의 핸들링용 부착 장치
US5897816A (en) Concrete corner form
KR20190001642A (ko) 종이관 거푸집용 핸들링 장치
KR20090030898A (ko) 지관 거푸집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관 거푸집의시공방법
US20230272629A1 (en) Formwork panel
KR200282684Y1 (ko) 조립식 덮개판으로 보강되는 강관말뚝용 머리 보강장치
US20190292798A1 (en) String Line Bracket Systems
CN204299162U (zh) 悬挑工字钢梁锚固结构
JPH11190127A (ja) コンクリート型枠担持具
KR100715788B1 (ko) 거푸집 고정장치
CN213440258U (zh) 混凝土梁浇筑模具
US20050016114A1 (en) Masonry block anchor bolt assembly
JP2023177007A (ja) 荷出し開口用型枠とそれを用いた荷出し開口の形成方法
WO2010074680A1 (en) Concrete forming system
US20140231617A1 (en) Suspension moulds
KR101151344B1 (ko) 종이거푸집
CN210507826U (zh) 一种可拆卸悬挑梁预埋件
AU2020100237A4 (en) Apparatus to create step level changes in concrete building slabs
CN114856234B (zh) 一种既有结构梁的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JP3002665U (ja) 建築用仮り止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