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137B1 -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137B1
KR102496137B1 KR1020160140327A KR20160140327A KR102496137B1 KR 102496137 B1 KR102496137 B1 KR 102496137B1 KR 1020160140327 A KR1020160140327 A KR 1020160140327A KR 20160140327 A KR20160140327 A KR 20160140327A KR 102496137 B1 KR102496137 B1 KR 102496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ember
magnetic
nut
tie bar
split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683A (ko
Inventor
정현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1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6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2045/645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using magnetic means
    • B29C2045/647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using magnetic means using magnetost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프 너트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는, 이동 형판에 타이 바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상기 타이 바에 대한 체결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분할 너트 및 제2 분할 너트, 상기 제1 분할 너트와 제2 분할 너트에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자기 부재 및 제2 자기 부재, 및 상기 제1 자기 부재와 제2 자기 부재에 연결되어 유도되는 전자기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 {Half-Nut Combining Apparatus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응답 시간을 단축시켜 사이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기는 크게 사출 장치와 형체 장치로 구성되며,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사출성형기의 형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일반적인 사출성형기의 형체 장치(2)는 제조할 물품의 형상에 따른 캐비티(cavity)가 형성되어 형합 및 형개가 가능한 한 쌍의 금형(11, 21)과, 각각의 금형(11, 21)을 장착한 고정 형판(10)과 이동 형판(20), 상기 이동 형판(20)의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타이 바(30)와, 상기 이동 형판(20)을 타이 바(30)를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40) 및 상기 타이 바(30)에 맞물리거나 해제하여 이동 형판(20)을 이동 가능한 상태 또는 잠긴 상태로 유지하는 하프 너트(50)를 포함한다.
사출성형기의 형체 장치(2)는 금형(11, 21)을 형합 한 상태에서, 용융 수지를 금형(11, 21)의 캐비티 내부로 사출하고, 사출된 용융 수지가 굳은 다음 형개하여 완성된 성형품을 꺼낸다.
여기서, 타이 바(30)는 이동 형판(20)의 상, 하, 좌, 우가 모서리에 고정되는 4개의 타이 바(30)로 구성되며, 하프 너트(50)는 각각의 타이 바(30)를 잠그거나 해제한다.
각각의 하프 너트(50)는 2개의 분할 너트(51, 52)로 나눠져 있고, 내면에 이는 타이 바(30)에 형성된 톱니에 맞물릴 수 있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어, 체결 장치에 의해 타이 바(30)의 반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타이 바(30)에 형성된 톱니에 맞물리거나 해제됨으로써 이동 형판(20)을 잠김 상태 또는 이동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하프 너트(50)의 체결 장치는 2개의 분할 너트(51, 52)로 이루어지는 하프 너트(50)를 작동시키기 위해 특허문헌 1에서와 같은 유체 실린더 장치 등을 4개의 타이 바(30)에 연결하여 작동시켰다.
유체 실린더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연결 구조가 복잡해 지고 제어가 어려워 하프 너트를 당기는 작동이 불완전하게 이뤄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유압 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하프 너트(50)의 개폐에 소요되는 응답시간이 긴 문제가 있었다.
KR10-1568568 B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프 너트의 응답 시간을 단축하여 전체 사이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하프 너트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형판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타이 바에 체결되거나 해제되어 이동 형판을 잠금 상태 또는 이동 가능한 상태로 구동하는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로서, 이동 형판에 타이 바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상기 타이 바에 대한 체결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분할 너트 및 제2 분할 너트, 상기 제1 분할 너트와 제2 분할 너트에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자기 부재 및 제2 자기 부재, 및 상기 제1 자기 부재와 제2 자기 부재에 연결되어 유도되는 전자기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분할 너트와 제2 분할 너트에 서로 반대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제3 자기 부재 및 제4 자기 부재, 및 상기 이동 형판 상에, 각각 상기 제3 자기 부재 및 제4 자기 부재와 마주하는 위치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된 제5 자기 부재 및 제6 자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자기 부재, 제4 자기 부재, 제5 자기 부재 및 제 6 자기 부재에 연결되어 유도되는 전자기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기 부재와 이와 마주하는 제2 자기 부재의 제1 세트를, 타이 바의 잠금 상태의 경우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하고, 타이 바의 해제 상태의 경우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자기 부재와 이와 마주하는 제5 자기 부재로 구성되는 제2 세트와 상기 제4 자기 부재와 이와 마주하는 제6 자기 부재로 구성되는 제3 세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세트가, 타이 바의 잠금 상태의 경우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하고, 타이 바의 해제 상태의 경우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1 세트, 제2 세트 및 제3 세트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자기 부재들이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세트, 제2 세트 및 제3 세트 중 하나 이상의 세트에서 하나의 자기 부재는 전자석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자기 부재는 영구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마주하는 자기 부재들이 서로 다른 극으로 자기화되도록 제어하고,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마주하는 자기 부재들이 서로 같은 극으로 자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 부재와 제2 자기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1 자기 부재 또는 제2 자기 부재, 또는 둘 다에 완충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분할 너트와 제2 분할 너트가 상기 타이 바에 대한 체결 위치로 이동 하는 경우, 상기 제1 자기 부재와 제2 자기 부재 사이에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인력이 작용한 뒤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척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하고, 또는 상기 제3 자기 부재와 제5 자기 부재 사이에 또는 제4 자기 부재와 제6 자기 부재 사이에 기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척력이 작용한 뒤 상기 제2 시간 보다 짧은 시간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프 너트의 응답 시간을 단축시켜 전체 사이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하프 너트 체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를 제공하여 제품의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한 하프 너트 체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출성형기의 형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사출성형기의 이동 형판의 일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프 너트 체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하프 너트의 열린 상태(a)와 잠금 상태(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하프 너트의 측면도로서, 열린 상태(a)와 잠금 상태(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프 너트 체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하프 너트의 열린 상태(a)와 잠금 상태(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5의 하프 너트의 측면도로서, 열린 상태(a)와 잠금 상태(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프 너트 체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열린 상태(a)와 잠금 상태(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프 너트 체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하프 너트의 열린 상태(a)와 잠금 상태(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하프 너트의 측면도로서, 열린 상태(a)와 잠금 상태(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형판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타이 바에 체결되거나 해제되어 이동 형판을 잠금 상태 또는 이동 가능한 상태로 구동하는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는, 이동 형판(20)에 타이 바(30)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상기 타이 바(30)에 대한 체결 위치(도 3의 (b))와 해제 위치(도 3의 (a))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분할 너트(110) 및 제2 분할 너트(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반원형 내부면을 포함하는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타이 바의 형상 및 이동 형판의 구조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에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자기 부재(111) 및 제2 자기 부재(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자기 부재(111) 및 제2 자기 부재(121)는 각각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의 일 면에 볼트 등의 고정 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 부재(111) 및 제2 자기 부재(121)에 제어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1 자기 부재(111) 및 제2 자기 부재(12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자기 부재(111)와 이와 마주하는 제2 자기 부재(121)의 제1 세트의 자기 부재를 구성하여,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형성된다.
도 4의 (a)와 같이 타이 바(30)의 해제 상태의 경우, 제1 세트의 상기 제1 자기 부재(111)와 이와 마주하는 제2 자기 부재(121)는 서로 척력(화살표)이 작용하여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의 간격이 서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의 (b)와 같은 타이 바(30)의 잠금 상태의 경우, 제1 세트의 제1 자기 부재(111)와 이와 마주하는 제2 자기 부재(121)는 서로 인력(점선)이 작용하여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가 서로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종래의 유압 구동 장치 대신에 자기 부재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하프 너트의 열림과 닫힘 동작을 수행하게 하므로, 이동 형판의 구조가 간편해 지고 깨끗한 환경에서 사출성형기의 형체 동작이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자기 부재(111)와 제2 자기 부재(121) 사이에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자기 부재(111)와 제2 자기 부재(121) 사이에 상기 제1 자기 부재(111) 또는 제2 자기 부재(121), 또는 둘 다에 고정되어 하프 너트의 체결 시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두 부재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유형의 완충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프 너트의 체결 시 충격 완화를 위하여,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가 체결될 때, 즉 하프 너트가 상기 타이 바에 대한 체결 위치로 이동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기 부재(111)와 제2 자기 부재(121) 사이에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인력이 작용한 뒤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척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체결 시점에 제1 자기 부재(111)와 제2 자기 부재(121) 사이에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작용하게 하여 체결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프 너트 체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하프 너트의 열린 상태(a)와 잠금 상태(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는 도 5의 하프 너트의 측면도로서, 열린 상태(a)와 잠금 상태(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의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의 구조는 도 3의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에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자기 부재(111) 및 제2 자기 부재(1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자기 부재(111) 및 제2 자기 부재(121)는 각각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의 일 면에 볼트 등의 고정 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기 부재(111) 및 제2 자기 부재(121)에 제어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1 자기 부재(111) 및 제2 자기 부재(12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자기 부재(111)와 이와 마주하는 제2 자기 부재(121)의 제1 세트의 자기 부재를 구성하여, 서로 상호작용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자기 부재(111)와 제2 자기 부재(121) 사이에 완충 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로 체결 시에 상기 제1 자기 부재(111)와 제2 자기 부재(121) 사이에 척력이 유도되어 체결 속도를 늦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예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의 경우,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에 서로 반대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제3 자기 부재(113) 및 제4 자기 부재(12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자기 부재(113) 및 제4 자기 부재(123)는 각각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의 일 면에 볼트 등의 고정 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형판(20) 상에 각각 상기 제3 자기 부재(113) 및 제4 자기 부재(123)와 마주하는 위치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된 제5 자기 부재(130) 및 제6 자기 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5 자기 부재(130) 및 제6 자기 부재(140)는 이동 형판(20)에 돌출되어 고정되는 브라켓에 고정되거나, 상기 제5 자기 부재(130) 및 제6 자기 부재(140) 자체가 이동 형판(20)의 일 측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자기 부재(113)와 이와 마주하는 제5 자기 부재(130)로 제2 세트의 자기 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제4 자기 부재(123)와 이와 마주하는 제6 자기 부재(140)로 구성되는 제3 세트의 자기 부재가 구성된다.
제2 세트와 제3 세트의 자기 부재들은 각각 서로 기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 서로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져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세트와 제3 세트의 자기 부재들은 제1 세트의 자기 부재들의 작용에 더하여 하프 너트의 잠금 작동 및 해제 작동을 가속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종래의 유압에 의하는 하프 너트의 체결 방식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하프 너트의 체결은 전자석의 작동에 기초하므로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체결 또는 해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3 자기 부재(113)와 제5 자기 부재(130)는 하프 너트의 간격이 클 경우, 즉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의 간격이 클 경우, 제1 자기 부재(111)와 제2 자기 부재(121)에 가해지는 자력이 그 사이의 간격이 넓히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세트 또는 제3 세트의 자기 부재들로 추가적인 자력을 가함으로써 하프 너트를 밀거나 당겨 하프 너트가 체결되거나 해제되게 할 수 있다. 이는, 제3 자기 부재(113)와 제5 자기 부재(13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제4 자기 부재(123)와 제6 자기 부재(14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이다.
즉, 제2 세트와 제3 세트의 자기 부재들을 부가함으로써 자기력이 추가되어 더욱 빠른 체결 또는 해제 작동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자기 부재, 제4 자기 부재, 제5 자기 부재 및 제 6 자기 부재에 연결되어, 제2 세트 및 제3 세트의 자기 부재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바(30)의 해제 상태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세트의 상기 제1 자기 부재(111)와 이와 마주하는 제2 자기 부재(121)는 서로 척력(화살표)이 작용하여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의 간격이 서로 벌어지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제2 세트 및 제3 세트 중 하나 이상의 세트에서 자기 부재들 사이에 서로 인력(점선)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가 더욱 쉽게 분리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의 접하는 면에서와 그 반대방향 면에서 분할 너트를 서로 멀어지도록 밀어내 하프 너트의 해제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b)와 같은 타이 바(30)의 잠금 상태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1 세트의 제1 자기 부재(111)와 이와 마주하는 제2 자기 부재(121)는 서로 인력(점선)이 작용하여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가 서로 밀착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2 세트 및 제3 세트 중 하나 이상의 세트에서 자기 부재들 사이에서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가 더욱 쉽게 밀착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프 너트의 인접한 면과 반대 방향 면에서 힘을 작용하게 하여 하프 너트가 더욱 빠르게 잠금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가 체결될 때, 즉 하프 너트가 상기 타이 바에 대한 체결 위치로 이동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자기 부재(113)와 제5 자기 부재(130) 사이에 또는 제4 자기 부재(123)와 제6 자기 부재(140) 사이에 기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척력이 작용한 뒤 상기 제2 시간 보다 짧은 시간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체결 시점에 상기 제3 자기 부재(113)와 제5 자기 부재(130) 사이에 또는 제4 자기 부재(123)와 제6 자기 부재(140) 사이에 하프 너트를 반대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게 하여,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의 체결 속도를 줄여 완충 작용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프 너트 체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열린 상태(a)와 잠금 상태(b)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형판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타이 바에 체결되거나 해제되어 이동 형판을 잠금 상태 또는 이동 가능한 상태로 구동하는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는, 이동 형판(20)에 타이 바(30)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상기 타이 바(30)에 대한 체결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분할 너트(110) 및 제2 분할 너트(120), 상기 제1 분할 너트(110)와 제2 분할 너트(120)에 서로 반대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제3 자기 부재(113) 및 제4 자기 부재(123), 상기 이동 형판(20) 상에, 각각 상기 제3 자기 부재(113) 및 제4 자기 부재(123)와 마주하는 위치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된 제5 자기 부재(130) 및 제6 자기 부재(140), 및 상기 제3 자기 부재(113), 제4 자기 부재(123), 제5 자기 부재(130) 및 제6 자기 부재(140)에 연결되어, 상기 제3 자기 부재(113)와 이와 마주하는 제5 자기 부재(130)로 구성되는 제2 세트와 상기 제4 자기 부재(123)와 이와 마주하는 제6 자기 부재(140)로 구성되는 제3 세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세트가, 타이 바의 잠금 상태의 경우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하고, 타이 바의 해제 상태의 경우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바(30)의 해제 상태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2 세트 및 제3 세트 중 하나 이상의 세트에서 자기 부재들 사이에 서로 인력(점선)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프 너트는 해제 상태를 유지하여 타이 바는 이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b)와 같은 타이 바(30)의 잠금 상태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제2 세트 및 제3 세트 중 하나 이상의 세트에서 자기 부재들 사이에서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프 너트는 타이 바(30)에 대한 잠금 상태를 유지하여, 타이 바(30)를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7의 제3 실시예의 경우, 제1 세트의 자기 부재들이 없이, 제2 세트 및 제3 세트의 자기 부재들만으로 하프 너트 잠금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세트의 자기 부재들만을 배치하여, 하프 너트 잠금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트, 제2 세트 및 제3 세트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자기 부재들은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에서 각각의 전자석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함으로써 각각의 자기 부재들의 극성 또는 자기화 상태를 제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세트, 제2 세트 및 제3 세트 중 하나 이상의 세트에서 하나의 자기 부재는 전자석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자기 부재는 영구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세트에서 하나의 자기 부재의 자기화를 제어함으로써 하프 너트의 잠금 또는 해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의 세트에서 서로 마주하는 자기 부재들 사이에 인력 또는 척력을 유도하도록 자기화를 제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에서,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마주하는 자기 부재들이 서로 다른 극으로 자기화되도록 제어하고,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마주하는 자기 부재들이 서로 같은 극으로 자기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형체 장치의 타이 바를 둘러싸고 있는 하프 너트의 승압 동작 시에 하프 너트의 잠김 상태 또는 해제 상태를 유지할 때에 자기력을 사용하므로, 응답 시간을 단축하여 형체 동작의 전체 사이클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하프 너트끼리 맞닿는 면에 자기 부재를 삽입하여, 하프 너트의 열림과 닫힘이 자기력에 의해 수행되므로, 작업 환경이 더욱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시간이 적게 들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10: 고정 형판
20: 이동 형판
30: 타이 바
110: 제1 분할 너트
120: 제2 분할 너트
111; 제1 자기 부재
121: 제2 자기 부재
113: 제3 자기 부재
123: 제4 자기 부재
130: 제5 자기 부재
140: 제6 자기 부재

Claims (9)

  1. 이동 형판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타이 바에 체결되거나 해제되어 이동 형판을 잠금 상태 또는 이동 가능한 상태로 구동하는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로서,
    이동 형판에 타이 바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상기 타이 바에 대한 체결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제1 분할 너트 및 제2 분할 너트,
    상기 제1 분할 너트와 제2 분할 너트에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자기 부재 및 제2 자기 부재; 및
    상기 제1 자기 부재와 제2 자기 부재에 연결되어 유도되는 전자기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할 너트와 제2 분할 너트에 서로 반대하는 면에 각각 형성된 제3 자기 부재 및 제4 자기 부재; 및
    상기 이동 형판 상에, 각각 상기 제3 자기 부재 및 제4 자기 부재와 마주하는 위치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된 제5 자기 부재 및 제6 자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자기 부재, 제4 자기 부재, 제5 자기 부재 및 제 6 자기 부재에 연결되어 유도되는 전자기력을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분할 너트와 제2 분할 너트가 상기 타이 바에 대한 체결 위치로 이동 하는 경우, 상기 제1 자기 부재와 제2 자기 부재 사이에 기 설정된 제1 시간 동안 인력이 작용한 뒤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척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하고, 또는
    상기 제3 자기 부재와 제5 자기 부재 사이에 또는 제4 자기 부재와 제6 자기 부재 사이에 기 설정된 제2 시간 동안 척력이 작용한 뒤 상기 제2 시간 보다 짧은 시간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하는 하프 너트 체결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자기 부재와 이와 마주하는 제2 자기 부재의 제1 세트를, 타이 바의 잠금 상태의 경우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하고, 타이 바의 해제 상태의 경우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너트 체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자기 부재와 이와 마주하는 제5 자기 부재로 구성되는 제2 세트와 상기 제4 자기 부재와 이와 마주하는 제6 자기 부재로 구성되는 제3 세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세트가, 타이 바의 잠금 상태의 경우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하고, 타이 바의 해제 상태의 경우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자기화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너트 체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 제2 세트 및 제3 세트 각각에서 하나 이상의 자기 부재들이 전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너트 체결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 제2 세트 및 제3 세트 중 하나 이상의 세트에서 하나의 자기 부재는 전자석으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자기 부재는 영구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너트 체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마주하는 자기 부재들이 서로 다른 극으로 자기화되도록 제어하고,
    서로 척력이 작용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마주하는 자기 부재들이 서로 같은 극으로 자기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너트 체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부재와 제2 자기 부재의 사이에, 상기 제1 자기 부재 또는 제2 자기 부재, 또는 둘 다에 완충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프 너트 체결 장치.
  9. 삭제
KR1020160140327A 2016-10-26 2016-10-26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 KR102496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27A KR102496137B1 (ko) 2016-10-26 2016-10-26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27A KR102496137B1 (ko) 2016-10-26 2016-10-26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683A KR20180045683A (ko) 2018-05-04
KR102496137B1 true KR102496137B1 (ko) 2023-02-06

Family

ID=62199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327A KR102496137B1 (ko) 2016-10-26 2016-10-26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1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4838B2 (ja) * 2019-02-25 2021-04-07 日精樹脂工業株式会社 型締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563B1 (ko) * 2001-11-27 2005-03-08 엘지전선 주식회사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형체결장치
JP2013082178A (ja) * 2011-10-12 2013-05-09 Sumitomo Heavy Ind Ltd 射出成形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922A (ja) * 2000-07-11 2002-01-23 Delta Tooling Co Ltd 磁気回路を利用した除振機構
JP4976995B2 (ja) * 2007-11-30 2012-07-18 三菱重工プラスチッ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型締装置
KR101568568B1 (ko) 2014-02-03 2015-11-1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가변 형체력을 가지는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563B1 (ko) * 2001-11-27 2005-03-08 엘지전선 주식회사 자기유변유체를 이용한 형체결장치
JP2013082178A (ja) * 2011-10-12 2013-05-09 Sumitomo Heavy Ind Ltd 射出成形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683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67922A (ja) ダイカストマシンにおける離型剤のスプレイ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496137B1 (ko) 사출성형기의 하프 너트 체결 장치
JP2003011194A (ja) 射出マシン
US20160214297A1 (en) Slim injection molding apparatus
JP5624113B2 (ja) 射出成形機のノズルタッチ機構
KR101327250B1 (ko) 사출성형기
JP2009029086A (ja) 型締装置
KR101626509B1 (ko) 탠덤 성형장치의 잠금장치
JP2007331248A (ja) 射出成形金型
JP2021171921A (ja) 成形機の金型固定装置
JP4965372B2 (ja) 型締装置
JP2008531356A (ja) 鋳型を収容するための装置
JP6634707B2 (ja) 金型落下防止装置
CN203611436U (zh) 模具结构
JP6854838B2 (ja) 型締装置
KR101559234B1 (ko) 사출성형기의 가변속도 하프 너트 체결장치 및 방법
KR100565509B1 (ko) 사출 금형 장치
CN109571881A (zh) 智能侧抽芯机构
JP5774443B2 (ja) 射出成形機
CN105881856A (zh) 成形机的安全装置
JP2008093986A (ja) 型締装置
KR101417602B1 (ko) 사출성형기
KR101327254B1 (ko) 사출성형기
JP6901192B1 (ja) 金型交換装置
JP6699138B2 (ja) 樹脂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