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602B1 - 사출성형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602B1
KR101417602B1 KR1020130020815A KR20130020815A KR101417602B1 KR 101417602 B1 KR101417602 B1 KR 101417602B1 KR 1020130020815 A KR1020130020815 A KR 1020130020815A KR 20130020815 A KR20130020815 A KR 20130020815A KR 101417602 B1 KR101417602 B1 KR 10141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electromagnet
coil
mold
curren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923A (ko
Inventor
고지 모리타니
다츠야 시바타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8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2045/645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using magnetic means
    • B29C2045/647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using magnetic means using magnetost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494Controlled parameter
    • B29C2945/76525Electric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655Location of control
    • B29C2945/76702Closure or clamping device
    • B29C2945/76709Closure or clamping device clamping or closing dr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잔류자화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49)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10)는, 전자석(49)의 코일(48)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70)와, 전류공급부(70)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구비한다. 제어부(60)는, 전자석(49)의 코어(46)의 착자 및 소자를 행하는 공정을 제1 전류패턴으로 소정의 횟수 제어한 후, 상기 공정을 제2 전류패턴으로 소정의 횟수 제어한다. 제1 전류패턴과, 제2 전류패턴은, 소자공정에서 최후에 코일(48)에 공급하는 직류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이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출원은 2012년 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2-042530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기는, 금형장치의 캐비티 공간에 용융된 수지를 충전하고, 고화시킴으로써 성형품을 제조한다. 금형장치는 고정(固定)금형 및 가동(可動)금형으로 구성되고, 형체시에 고정금형과 가동금형 사이에 캐비티 공간이 형성된다. 금형장치의 형폐(型閉), 형체(型締) 및 형개(型開)는 형체장치에 의하여 행해진다. 형체장치로서, 형개폐동작에는 리니어모터를 이용하고, 형체동작에는 전자석을 이용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국제공개 제05/090052호 팸플릿
도 6은, 종래의 사출성형기의 전자석의 전류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자석은, 코어와, 코어의 둘레에 감기는 코일로 구성된다. 코일에 직류전류가 공급되면, 코일을 흐르는 직류전류에 의하여 코일 내에 자장이 발생하여, 코어가 착자되고, 자장이 강화된다. 그리고, 소정의 갭을 두고 대향하는 전자석과 연자성부재 사이에 흡착력이 발생하고, 그 흡착력에 의하여 형체력이 발생한다.
형체력을 해제할 때에는, 코어의 소자가 행해진다. 코어의 소자는, 먼저, 착자시와는 역방향의 직류전류를 코일에 공급하고, 이어서, 코일을 흐르는 직류전류의 방향을 반전하면서, 반전할 때마다 최대 전류치를 서서히 작게 설정함으로써 행해진다. 반전할 때마다 통전시간을 짧게 설정해도 된다. 코일을 흐르는 직류전류에 의하여 코일 내에 발생하는 자장은, 방향이 반전하면서, 강도가 감쇠한다. 그로 인하여, 코어의 각 자구(磁區)의 자기모멘트가 랜덤이 되어, 코어의 자화의 강도가 약해진다. 코어의 소자에 의하여, 형개 개시까지의 대기시간이 짧아진다. 소자 후의 코어에는 자화가 약간 남아 있다.
사출성형기에서는, 형폐, 형체 및 형개가 반복적으로 행해져서, 전자석의 코어의 착자 및 소자가 반복적으로 행해진다. 형개 개시로부터 형폐 완료까지의 사이에, 전자석의 코일에의 전류공급은 차단되어 있다.
종래, 착자공정에 있어서의 직류전류의 방향, 및 소자공정에 있어서의 직류전류의 방향의 반전수가 매회 동일했으므로, 소자 후에 매회 동일한 방향으로 잔류자화가 생기고, 잔류자화가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그로 인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용 공구가 코어에 흡착되며, 메인터넌스 작업의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잔류자화의 증가는, 코어 주변의 부재(예컨대, 상기 연자성부재)에서도 보여졌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잔류자화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태양에 의한 사출성형기는,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코일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와,
그 전류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그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의 코어의 착자 및 소자를 행하는 공정을 제1 전류패턴으로 소정 횟수 제어한 후, 상기 공정을 제2 전류패턴으로 소정의 횟수 제어하고,
상기 제1 전류패턴과, 상기 제2 전류패턴은, 소자공정에서 최후에 상기 코일에 공급하는 직류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잔류자화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폐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전자석의 전류패턴(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전자석의 전류패턴(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사출성형기의 전자석의 전류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데,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형폐를 행할 때의 가동플래튼의 이동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형개를 행할 때의 가동플래튼의 이동방향을 후방이라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폐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형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0은 사출성형기, Fr은 사출성형기(10)의 프레임, Gd는 그 프레임(Fr) 상에 부설되는 2개의 레일로 이루어진 가이드, 11은 고정플래튼이다. 고정플래튼(11)은, 형개폐방향(도면에 있어서 좌우방향)으로 뻗는 가이드(Gd)를 따라 이동 가능한 위치조정베이스(Ba) 상에 설치되어도 된다. 다만, 고정플래튼(11)은 프레임(Fr) 상에 재치(載置; 올려놓음)되어도 된다.
고정플래튼(11)과 대향하여 가동플래튼(12)이 배치된다. 가동플래튼(12)은 가동베이스(Bb) 상에 고정되고, 가동베이스(Bb)는 가이드(Gd) 상을 주행 가능하다. 이로써, 가동플래튼(12)은, 고정플래튼(11)에 대하여 형개폐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고정플래튼(1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또한, 고정플래튼(11)과 평행으로 리어플래튼(13)이 배치된다. 리어플래튼(13)은, 다리부(13a)를 통해 프레임(Fr)에 고정된다.
고정플래튼(11)과 리어플래튼(13) 사이에 4개의 연결부재로서의 타이바(14)(도면에 있어서는, 4개의 타이바(14) 중 2개만을 나타냄)가 가설된다. 타이바(14)를 통하여 고정플래튼(11)이 리어플래튼(13)에 고정된다. 타이바(14)를 따라 가동플래튼(12)이 진퇴가능하게 배치된다. 가동플래튼(12)에 있어서의 타이바(14)와 대응하는 개소에 타이바(14)를 관통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구멍이 형성된다. 다만, 가이드구멍 대신, 절결부(cutout)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타이바(14)의 전단부(도면에 있어서 우측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나사부에 너트(n1)를 나사결합하여 조임으로써, 타이바(14)의 전단부가 고정플래튼(11)에 고정된다. 타이바(14)의 후단부는 리어플래튼(13)에 고정된다.
고정플래튼(11)에는 고정금형(15)이, 가동플래튼(12)에는 가동금형(16)이 각각 장착되고, 가동플래튼(12)의 진퇴에 따라 고정금형(15)과 가동금형(16)이 접속분리되어, 형폐, 형체 및 형개가 행해진다. 다만, 형체가 행해짐에 따라, 고정금형(15)과 가동금형(16)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캐비티 공간이 형성되고, 캐비티 공간에 용융된 수지가 충전된다. 고정금형(15) 및 가동금형(16)에 의하여 금형장치(19)가 구성된다.
흡착판(22)은, 가동플래튼(12)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흡착판(22)은 장착판(27)을 통해 슬라이드베이스(Sb)에 고정되고, 슬라이드베이스(Sb)는 가이드(Gd) 상을 주행 가능하다. 이로써, 흡착판(22)은, 리어플래튼(13)보다 후방에 있어서 진퇴가능하게 된다. 흡착판(22)은, 연자성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다만, 장착판(27)은 없어도 되며, 이 경우, 흡착판(22)은 슬라이드베이스(Sb)에 직접 고정된다.
로드(rod)(39)는, 후단부에 있어서 흡착판(22)과 연결시키고, 전단부에 있어서 가동플래튼(12)과 연결시켜서 배치된다. 따라서, 로드(39)는, 형폐시에 흡착판(22)이 전진함에 따라 전진되어 가동플래튼(12)을 전진시키고, 형개시에 흡착판(22)이 후퇴함에 따라 후퇴되어 가동플래튼(12)을 후퇴시킨다. 그로 인하여, 리어플래튼(13)의 중앙부분에 로드(39)를 관통시키기 위한 로드구멍(41)이 형성된다.
리니어모터(28)는, 가동플래튼(12)을 진퇴시키기 위한 형개폐구동부로서, 예컨대 가동플래튼(12)에 연결된 흡착판(22)과 프레임(Fr) 사이에 배치된다. 다만, 리니어모터(28)는 가동플래튼(12)과 프레임(Fr) 사이에 배치되어도 된다.
리니어모터(28)는, 고정자(29), 및 가동자(31)를 구비한다. 고정자(29)는, 프레임(Fr) 상에 있어서, 가이드(Gd)와 평행으로 또한 슬라이드베이스(Sb)의 이동 범위에 대응시켜 형성된다. 가동자(31)는, 슬라이드베이스(Sb)의 하단에 있어서, 고정자(29)와 대향시키고, 또한, 소정의 범위에 걸쳐서 형성된다.
가동자(31)는, 코어(34) 및 코일(35)을 구비한다. 코어(34)는, 고정자(29)를 향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자극(磁極)치(齒)(33)를 구비한다. 복수의 자극치(33)는, 형개폐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배열된다. 코일(35)은, 각 자극치(33)에 감긴다.
고정자(29)는, 도시되지 않은 코어, 및 그 코어 상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영구자석을 구비한다. 복수의 영구자석은, 형개폐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배열되어, 가동자(31)측의 자극이 N극과 S극으로 교대로 착자되어 있다.
가동자(31)의 코일(35)에 소정의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35)을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장과, 영구자석에 의하여 형성되는 자장의 상호작용으로, 가동자(31)가 진퇴된다. 그에 따라, 흡착판(22) 및 가동플래튼(12)이 진퇴되어, 형폐 및 형개가 행해진다. 리니어모터(28)는, 가동자(31)의 위치가 목표치가 되도록, 가동자(31)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센서(53)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피드백 제어된다.
다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고정자(29)에 영구자석을, 가동자(31)에 코일(35)을 배치하도록 되어 있지만, 고정자에 코일을, 가동자에 영구자석을 배치할 수도 있다. 그 경우, 리니어모터(28)가 구동됨에 따라, 코일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만, 형개폐구동부로서, 리니어모터(28) 대신에, 회전모터 및 회전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볼나사기구, 또는 유압실린더 혹은 공기압실린더 등의 유체압실린더 등이 이용되어도 된다.
전자석유닛(37)은, 리어플래튼(13)과 흡착판(22) 사이에 흡착력을 발생시킨다. 이 흡착력은, 로드(39)를 통해 가동플래튼(12)에 전달하고, 가동플래튼(12)과 고정플래튼(11) 사이에 형체력이 발생한다.
전자석유닛(37)은, 리어플래튼(13)측에 형성된 전자석(49), 및 흡착판(22)측에 형성된 흡착부(51)로 이루어진다. 흡착부(51)는, 흡착판(22)의 흡착면(전단면)의 소정의 부분, 예컨대, 흡착판(22)에 있어서 로드(39)를 포위하고, 또한, 전자석(49)과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리어플래튼(13)의 흡착면(후단면)의 소정의 부분, 예컨대, 로드(39)의 둘레에는, 전자석(49)의 코일(48)을 수용하는 홈(45)이 형성된다. 홈(45)으로부터 내측에 코어(46)가 형성된다. 코어(46)의 둘레에 코일(48)이 감긴다. 리어플래튼(13)의 코어(46) 이외의 부분에 요크(47)가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리어플래튼(13)과는 별도로 전자석(49)이, 흡착판(22)과는 별도로 흡착부(51)가 형성되지만, 리어플래튼(13)의 일부로서 전자석을, 흡착판(22)의 일부로서 흡착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전자석과 흡착부의 배치는 반대여도 된다. 예컨대, 흡착판(22)측에 전자석(49)을 설치하고, 리어플래튼(13)측에 흡착부(51)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전자석(49)의 코일(48)의 수는, 복수여도 된다.
전자석유닛(37)에 있어서, 코일(48)에 전류를 공급하면, 전자석(49)이 구동되고, 흡착부(51)를 흡착하여, 형체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60)는, 예컨대 CPU 및 메모리 등을 구비하고, 메모리에 기록된 제어 프로그램을 CPU에 의하여 처리함으로써, 리니어모터(28) 및 전자석(49)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60)는, 전자석(49)의 코일(48)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70)를 제어한다. 제어부(60)는, 코일(48)에 공급하는 직류전류의 방향 및 전류치(크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류공급부(70)에 출력한다.
전류공급부(70)는, 예컨대 복수의 파워모듈을 포함한 인버터 등에 의하여 구성된다. 전류공급부(70)는, 제어부(60)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따른 직류전류를 전자석(49)의 코일(48)에 공급한다.
전류공급부(70)에는, 직류전원(80)이 접속되어 있다. 직류전원(80)은, 교류전원(90)의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는 다이오드 등의 정류기(82), 정류기(8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류를 평활화하는 콘덴서(84)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부(60)는, 형체력을 검출하는 형체력센서(55)와 접속되어 있고, 형체력센서(55)의 검출결과에 근거하여, 소정의 형체력이 생기도록, 전류치를 설정해도 된다. 형체력센서(55)는, 예컨대 형체력에 따라 신장되는 타이바(14)의 변형(신장량)을 검출하는 변형센서여도 된다. 또한, 형체력센서(55)로서는, 예컨대 로드(39)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하는 로드셀 등의 하중센서, 전자석(49)의 자장을 검출하는 자기센서가 사용 가능하고, 형체력센서(55)의 종류는 다종 다양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사출성형기(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출성형기(10)의 각종 동작은, 제어부(60)에 의한 제어하에서 행해진다.
제어부(60)는, 형폐공정을 제어한다. 도 2의 상태(형개상태)에 있어서, 제어부(60)는, 리니어모터(28)를 구동하여, 가동플래튼(12)을 전진시킨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금형(16)이 고정금형(15)에 맞닿고, 형폐공정이 완료된다. 이때, 리어플래튼(13)과 흡착판(22) 사이, 즉 전자석(49)과 흡착부(51) 사이에는, 갭(δ0)이 형성된다. 다만, 형폐에 필요하게 되는 힘은, 형체력과 비교되어 충분히 작아진다.
이어서, 제어부(60)는, 형체공정을 제어한다. 제어부(60)는, 도 1의 상태(형폐상태)에서 전류공급부(70)를 제어하여, 전자석(49)의 코일(48)에 직류전류를 공급한다. 그렇게 하면, 코일(48)을 흐르는 직류전류에 의하여 코일(48) 내에 자장이 발생하여, 코어(46)가 착자되고, 자장이 강화된다. 그리고, 소정의 갭을 두고 대향하는 전자석(49)과 흡착부(51) 사이에 흡착력이 발생하고, 이 흡착력이 로드(39)를 통해 가동플래튼(12)에 전달되어, 가동플래튼(12)과 고정플래튼(11) 사이에 형체력이 발생한다. 형체상태의 금형장치(19)의 캐비티 공간에 용융된 수지가 충전되고, 냉각, 고화되어 성형품이 된다.
계속해서, 제어부(60)는, 전류공급부(70)를 제어하여, 전자석(49)의 코어(46)를 소자한다. 코어(46)의 소자는, 먼저, 착자시와는 역방향의 직류전류를 코일(48)에 공급하고, 이어서, 코일(48)에 공급하는 직류전류의 방향을 반전하면서, 반전할 때마다 최대 전류치를 서서히 작게 설정함으로써 행해진다. 반전할 때마다 통전시간을 짧게 설정해도 된다. 코일(48)을 흐르는 직류전류에 의하여 코일(48) 내에 발생하는 자장은, 방향이 반전하면서, 강도가 감쇠된다. 그로 인하여, 코어(46)의 각 자구의 자기모멘트가 랜덤이 되어, 코어(46)의 자화의 강도가 약해진다. 코어(46)의 소자에 의하여, 형개 개시까지의 대기시간이 짧아진다. 다만, 소자공정 동안, 직류전류의 방향이 한 방향으로 유지되고, 반전시키지 않아도 되다.
이어서, 제어부(60)는, 형개공정을 제어한다. 제어부(60)는, 리니어모터(28)의 코일(35)에 전류를 공급하여, 가동플래튼(12)을 후퇴시킨다. 가동금형(16)이 후퇴하여 형개를 행한다. 형개 후, 도시하지 않은 이젝터장치가 가동금형(16)으로부터 성형품을 빼낸다.
사출성형기(10)에서는, 형폐, 형체 및 형개가 반복적으로 행해져서, 전자석(49)의 코어(46)의 착자 및 소자가 반복적으로 행해진다. 형개 개시로부터 형폐 완료까지의 동안에, 전자석(49)의 코일(48)에의 전류공급은 차단되어 있다.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전자석의 전류패턴(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직류전류의 방향 및 전류치를 나타낸다.
제어부(60)는, 전자석(49)의 코어(46)의 착자 및 소자를 행하는 공정을 제1 전류패턴(P100)으로 소정의 횟수 제어한 후, 상기 공정을 제2 전류패턴(P200)으로 소정의 횟수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60)는, 상기 공정을 1회 제어할 때마다, 전류패턴을 제1 전류패턴(P100)과 제2 전류패턴(P200) 사이에서 변경한다.
제1 전류패턴(P100)과 제2 전류패턴(P200)은, 소자공정에서 최후에 코일(48)에 공급하는 직류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이다. 소자공정에서 최후에 코일(48)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장의 방향이 반전되므로, 잔류자화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잔류자화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작업용 공구의 코어(46)에의 흡착이 억제되므로, 메인터넌스 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진다. 이 효과는, 코어(46)뿐만이 아니라, 코어(46) 주변의 부재(예컨대 흡착판(22))에 대하여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전류패턴(P100)과 제2 전류패턴(P200)은, 착자공정에서 코일(48)에 공급하는 직류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이다. 코어(46)의 착자방향이 반전되므로, 잔류자화의 증가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류패턴(P100)과 제2 전류패턴(P200)은, 착자공정에서 코일(48)에 공급하는 직류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이므로, 소자공정에서 최초로 코일(48)에 공급하는 직류전류의 방향도 역방향이 된다.
또한, 제2 전류패턴(P200)은, 제1 전류패턴(P100)을 반전시킨 것이어도 된다. 즉, 제1 전류패턴(P100)과 제2 전류패턴(P200)은, (1) 착자공정에 있어서의 직류전류의 최대전류치(I0), (2) 착자공정에 있어서의 직류전류의 통전시간(Δt0), (3) 소자공정에서 직류전류의 방향을 반전하는 횟수, (4) 소자공정에서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직류전류를 흘리는 각 통전시간(Δt1~Δt5), 및 (5) 각 통전시간(Δt1~Δt5)에 있어서의 최대 전류치(I1~I5)가 동일해도 된다. 제1 전류패턴(P100)에 의한 착자 및 소자의 영향이, 제2 전류패턴(P200)에 의한 착자 및 소자의 영향과 상쇄된다.
다만, 제1 및 제2 전류패턴(P100, P200)에 대하여, 소자공정 동안, 직류전류의 방향이 일방향으로 유지되어, 반전하지 않아도 되다.
도 5는, 일 실시형태에 의한 사출성형기의 전자석의 전류패턴(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직류전류의 방향 및 전류치를 나타낸다.
제어부(60)는, 전자석(49)의 코어(46)의 착자 및 소자를 행하는 공정을 제1 전류패턴(P100)으로 소정의 횟수 제어한 후, 상기 공정을 제2 전류패턴(P201)으로 소정의 횟수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60)는, 상기 공정을 1회 제어할 때마다, 전류패턴을 제1 전류패턴(P100)과 제2 전류패턴(P201) 사이에서 변경한다.
제1 전류패턴(P100)과 제2 전류패턴(P201)은, 소자공정에서 최후에 코일(48)에 공급하는 직류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이다. 소자공정에서 최후에 코일(48)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장의 방향이 반전되므로, 잔류자화의 방향을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잔류자화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작업용 공구의 코어(46)에의 흡착이 억제되므로, 메인터넌스 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진다. 이 효과는, 코어(46)뿐만 아니라, 코어(46) 주변의 부재(예컨대 흡착판(22))에 대하여도 얻을 수 있다.
제2 전류패턴(P201)은, 제1 전류패턴(P100)에 대하여, 착자공정에서 코일(48)에 공급하는 직류전류의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고, 소자공정에 있어서의 직류전류의 방향의 반전 횟수를 1회 늘림으로써, 소자공정에서 최후에 코일(48)에 공급하는 직류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다만, 소자공정에 있어서의 직류전류의 방향의 반전 횟수는 1회 줄여도 되며, 홀수회 증감하고 있으면 된다.
제2 전류패턴(P201)은, 제1 전류패턴(P100)에 대하여, 착자공정의 개시부터 소자공정의 도중까지 동일한 패턴으로 되어 있다. 즉, 제1 전류패턴(P100)과 제2 전류패턴(P201)은, (1) 착자공정에 있어서의 직류전류의 최대전류치(I0), (2) 착자공정에 있어서의 직류전류의 통전시간(Δt0), (3) 소자공정에서 순방향 또는 역방향의 직류전류를 흘리는 각 통전시간(Δt1~Δt5), 및(4) 각 통전시간(Δt1~Δt5)에 있어서의 최대 전류치(I1~I5)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다만, 제1 및 제2 전류패턴(P100, P201) 중 어느 일방에 대하여, 소자공정 동안, 직류전류의 방향이 일방향으로 유지되어, 반전하지 않아도 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 치환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석(49)의 코일(48)의 전류패턴의 변경을, 전자석(49)의 코어(46)의 착자 및 소자를 행하는 공정을 1회 제어할 때마다 행하지만, 그 공정을 복수회 제어할 때마다 행해도 된다. 또한, 하나의 전류패턴으로 그 공정을 M회(M은 1 이상의 자연수) 행한 후, 다른 하나의 전류패턴으로 그 공정을 N회(N은 1 이상의 자연수, 단 N≠M) 행하고, 또한 그 후, 상기 하나의 전류패턴으로 그 공정을 N회 행한 후, 상기 다른 하나의 전류패턴으로 그 공정을 M회 행하며, 이를 반복해도 된다. 다만, 그 공정을 1회 제어할 때마다, 전류패턴의 변경을 행함으로써, 잔류자화의 증가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10 사출성형기
15 고정금형
16 가동금형
19 금형장치
46 전자석의 코어
48 전자석의 코일
49 전자석
60 제어부
70 전류공급부

Claims (4)

  1.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의 코일에 직류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부와,
    상기 전류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의 코어의 착자 및 소자를 행하는 공정을 제1 전류패턴으로 소정의 횟수 제어한 후, 상기 공정을 제2 전류패턴으로 소정의 횟수 제어하고,
    상기 제1 전류패턴과, 상기 제2 전류패턴은, 소자공정에서 최후에 상기 코일에 공급하는 직류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패턴과, 상기 제2 전류패턴은, 착자공정에서 상기 코일에 공급하는 상기 직류전류의 방향, 및 소자공정에서 최초로 상기 코일에 공급하는 직류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인 사출성형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류패턴은, 상기 제1 전류패턴을 반전시킨 것인 사출성형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석의 코어의 착자 및 소자를 행하는 공정을 1회 제어할 때마다, 상기 공정에서 상기 전자석의 코일에 공급되는 전류의 전류패턴을 상기 제1 전류패턴과 상기 제2 전류패턴 사이에서 변경하는 사출성형기.
KR1020130020815A 2012-02-28 2013-02-27 사출성형기 KR101417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42530A JP5726788B2 (ja) 2012-02-28 2012-02-28 射出成形機
JPJP-P-2012-042530 2012-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923A KR20130098923A (ko) 2013-09-05
KR101417602B1 true KR101417602B1 (ko) 2014-07-08

Family

ID=4908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815A KR101417602B1 (ko) 2012-02-28 2013-02-27 사출성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26788B2 (ko)
KR (1) KR101417602B1 (ko)
CN (1) CN103286924B (ko)
TW (1) TWI5249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12524B (zh) * 2023-04-29 2024-01-26 东莞佳旭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切换注塑模具的注塑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861A (ko) * 2001-08-17 2004-02-2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출장치 및 사출방법
KR20070022222A (ko) * 2004-03-19 2007-02-26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형체장치 및 형 두께 조정방법
KR20070055565A (ko) * 2004-09-27 2007-05-30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형체장치
KR20080063859A (ko) * 2004-03-19 2008-07-0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형체장치 및 형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7146B2 (ja) * 1990-09-05 1997-06-04 保 藤田 吸着用電磁石の制御方法および回路
CN2086645U (zh) * 1990-11-27 1991-10-16 山东临清机床附件厂 带充退磁装置的新型磁力吸盘
JPH05220798A (ja) * 1992-02-17 1993-08-31 Toshiba Mach Co Ltd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5340625B2 (ja) * 2008-04-08 2013-11-1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型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861A (ko) * 2001-08-17 2004-02-2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출장치 및 사출방법
KR20070022222A (ko) * 2004-03-19 2007-02-26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형체장치 및 형 두께 조정방법
KR20080063859A (ko) * 2004-03-19 2008-07-0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형체장치 및 형체방법
KR20070055565A (ko) * 2004-09-27 2007-05-30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형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38959A (zh) 2013-10-01
KR20130098923A (ko) 2013-09-05
CN103286924B (zh) 2015-10-28
CN103286924A (zh) 2013-09-11
JP5726788B2 (ja) 2015-06-03
JP2013176917A (ja) 2013-09-09
TWI524980B (zh)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7824B1 (ko) 사출성형기
KR101327250B1 (ko) 사출성형기
JP5774420B2 (ja) 射出成形機
JP2009029086A (ja) 型締装置
KR101330043B1 (ko) 사출성형기
KR101417602B1 (ko) 사출성형기
KR101417605B1 (ko) 사출성형기 및 구동장치
JP2012201036A (ja) 射出成形機
KR101339974B1 (ko) 사출성형기
JP2007290173A (ja) 型締装置及び型締力制御方法
JP5774441B2 (ja) 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機の型厚調整方法
KR101339972B1 (ko) 사출성형기
JP4777299B2 (ja) 型締制御装置
JP4777298B2 (ja) 型締制御装置
KR101403780B1 (ko) 사출성형기
KR101395386B1 (ko) 사출성형기
JP5823349B2 (ja) 射出成形機
JP5710293B2 (ja) 成形機
JP4855822B2 (ja) 型締装置及び型締力制御方法
TW201436988A (zh) 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