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921B1 - 컵 디스펜서 장치 - Google Patents

컵 디스펜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921B1
KR102495921B1 KR1020210021833A KR20210021833A KR102495921B1 KR 102495921 B1 KR102495921 B1 KR 102495921B1 KR 1020210021833 A KR1020210021833 A KR 1020210021833A KR 20210021833 A KR20210021833 A KR 20210021833A KR 102495921 B1 KR102495921 B1 KR 102495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hamber body
discharge space
chamber
c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104A (ko
Inventor
오현환
양윤식
Original Assignee
(주)유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로 filed Critical (주)유로
Priority to KR1020210021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92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디스펜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소정의 배출공간을 갖도록 둘레를 따라 기둥패널과, 상단 일 부분에 컵통과홀을 갖는 상부패널을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컵이 적층된 컵뭉치를 수납하는 컵챔버와; 상기 베이스의 컵통과홀에 구비되어 상기 컵챔버에 수납된 컵을 한 개씩 배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컵챔버는 사각의 수직 길이를 갖는 함체로 내부의 후방에 한 줄의 컵뭉치가 수납되는 저장공간부와, 상기 디스펜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내부의 전방에 한 줄의 컵뭉치가 수납되는 배출공간부를 갖는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의 전방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챔버본체에 수납되는 컵뭉치의 노출을 방지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챔버본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부에 위치되는 컵뭉치를 배출공간부 측으로 밀착시키는 보충수단과; 상기 저장공간부와 배출공간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간부의 컵뭉치가 모두 소모되기 전까지 상기 보충수단에 의해 저장공간부에서 배출공간부로 이동하는 컵뭉치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폐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로 다수의 컵을 두 줄 이상으로 적층 수납이 가능하고, 한 줄의 컵이 소비되면 다음 줄의 컵을 자동으로 보충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작은 부피를 갖는 소형화로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컵 디스펜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컵 디스펜서 장치{Cup dispenser device}
본 발명은 컵 디스펜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컵을 두 줄 이상으로 적층 수납이 가능하고, 한 줄의 컵이 소비되면 다음 줄의 컵을 자동으로 보충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작은 부피를 갖는 소형화로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컵 디스펜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자판기에는 음료를 제공하기 위해 음료가 수용되는 컵을 제공해야 하므로 다수의 컵에서 한 개씩 제공하는 디스펜스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 컵 분배 장치는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컵 적층체를 지지하는 수단과, 적층체들 중 컵이 분배되는 어느 하나의 적층체를 선택하는 수단과, 선택된 적층체의 하부 컵을 그 적층체 아래의 위치에 떨어뜨려 분배하는 수단과, 분배된 컵을 컵이 떨어진 분배 위치에서 이용자가 집을 수 있는 판매 위치로 이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판매기에서 선택된 컵 적층체로부터 하부 컵을 분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컵 적층체들은 실제로 나선형과 일치하는 경로를 따라 배열되고, 이송수단은 분배되는 컵을 컵이 떨어진 분배 위치로부터 나선 경로를 따라서 계속해서 판매 위치까지 이송하도록 작동된다.
그러나, 상기 컵 분배 장치는 선택된 적층체에서 컵을 하부 컵부터 하나씩 하부로 떨어뜨려 분배하도록 되어 있어, 컵 적층체를 상부로 밀어올려 컵 적층체의 최상부 컵을 하나씩 분배하는 구조에 적용하지 못한다.
KR 10-2118202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컵을 두 줄 이상으로 적층 수납이 가능하고, 한 줄의 컵이 소비되면 다음 줄의 컵을 자동으로 보충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작은 부피를 갖는 소형화로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컵 디스펜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소정의 배출공간을 갖도록 둘레를 따라 기둥패널과, 상단 일 부분에 컵통과홀을 갖는 상부패널을 포함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컵이 적층된 컵뭉치를 수납하는 컵챔버와; 상기 베이스의 컵통과홀에 구비되어 상기 컵챔버에 수납된 컵을 한 개씩 배출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디스펜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컵챔버는 사각의 수직 길이를 갖는 함체로 내부의 후방에 한 줄의 컵뭉치가 수납되는 저장공간부와, 상기 디스펜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내부의 전방에 한 줄의 컵뭉치가 수납되는 배출공간부를 갖는 챔버본체와; 상기 챔버본체의 전방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챔버본체에 수납되는 컵뭉치의 노출을 방지하는 개폐도어와; 상기 챔버본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부에 위치되는 컵뭉치를 배출공간부 측으로 밀착시키는 보충수단과; 상기 저장공간부와 배출공간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간부의 컵뭉치가 모두 소모되기 전까지 상기 보충수단에 의해 저장공간부에서 배출공간부로 이동하는 컵뭉치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폐수단은 상기 챔버본체 내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보충수단에 의해 배출공간부 측으로 이동하는 컵뭉치를 직접적으로 차폐하는 차폐와이어와; 상기 차폐와이어와 대응되는 챔버본체의 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차폐와이어의 차폐를 단속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컵을 두 줄 이상으로 적층 수납이 가능하고, 한 줄의 컵이 소비되면 다음 줄의 컵을 자동으로 보충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작은 부피를 갖는 소형화로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디스펜서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컵 디스펜서 장치에서 개폐도어 및 컵뭉치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으로 컵챔버의 내측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발명의 구성에 대해 정면으로 나나태는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컵 디스펜서 장치에서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컵 디스펜서 장치에 적용되는 컵챔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디스펜서 장치에 적용되는 컵챔버에서 차폐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컵 디스펜서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펜서의 일부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컵 디스펜서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펜서의 배출캠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컵 디스펜서 장치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소정의 배출공간(111)을 갖도록 둘레를 따라 기둥패널(110)과, 상단 일 부분에 컵통과홀(121)을 갖는 상부패널(120)을 포함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컵(11)이 적층된 컵뭉치(10)를 수납하는 컵챔버(2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컵통과홀(121)에 구비되어 상기 컵챔버(200)에 수납된 컵(11)을 한 개씩 배출하는 디스펜서(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상기 컵챔버(200)는 챔버본체(210), 개폐도어(220), 보충수단(230), 차폐수단(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챔버본체(210)는 사각의 수직 길이를 갖는 함체로 내부의 후방에 한 줄의 컵뭉치(10)가 수납되는 저장공간부(211)와, 상기 디스펜서(15)의 위치에 대응되는 내부의 전방에 한 줄의 컵뭉치(10)가 수납되는 배출공간부(21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개폐도어(220)는 상기 챔버본체(210)의 전방 개구부(215)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챔버본체(210)에 수납되는 컵뭉치(10)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보충수단(230)은 상기 챔버본체(2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부(211)에 위치되는 컵뭉치(10)를 배출공간부(213)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차폐수단(240)은 상기 저장공간부(211)와 배출공간부(213)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간부(213)의 컵뭉치(10)가 모두 소모되기 전까지 상기 보충수단(230)에 의해 저장공간부(211)에서 배출공간부(213)로 이동하는 컵뭉치(10)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수단(240)은 힌지브라켓(250), 차폐와이어(260), 트리거(27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브라켓(250)은 상기 챔버본체(210) 내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된다.
차폐와이어(260)는 상기 힌지브라켓(2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보충수단(230)에 의해 배출공간부(213) 측으로 이동하는 컵뭉치(10)를 직접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여기서, 차폐와이어(260)는 차단부(261), 힌지부(263), 지지바(265)를 포함하여 절곡된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차단부(261)는 수직 길이를 따라 'ㄷ'자 형상으로 요철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부(211)의 컵뭉치(10)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힌지부(263)는 상기 차단부(261)의 상/하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힌지브라켓(2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힌지브라켓(250)과 힌지부(263)의 사이에는 힌지스프링(251)이 권선되어 차폐와이어(260)가 배출공간부(213) 측 방향으로 탄성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바(265)는 상기 차단부(261)의 일측에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트리거(270)에 의해 토글 지지할 수 있다.
한편, 트리거(270)는 상기 차폐와이어(260)와 대응되는 챔버본체(210)의 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차폐와이어(260)의 차폐를 단속할 수 있다.
이때, 트리거(270)는 위치센서(280)와 솔레노이드(27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센서(280)는 상기 배출공간부(213)의 디스펜서(15) 측에 구비되어 수납된 컵뭉치(10)의 소모를 감지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271)는 상기 차폐와이어(260)와 대응되는 챔버본체(210)의 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위치센서(28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차폐와이어(26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지지바(265)를 토글하는 토글바(273)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보충수단(230)은 상기 챔버본체(210)의 후방에 관통하여 탄성 구비되는 복수의 탄성로드(231)와; 상기 챔버본체(210)의 내부에 수직 길이로 배치되어 상기 탄성로드(23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부(211)에 수납된 컵뭉치(10)를 배출공간부(213) 측으로 직접 일어내는 밀판(2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본체(210)의 측벽에는 상기 차폐와이어(260)의 차단 해제로 저장공간부(211)의 컵뭉치(10)가 배출공간부(213)로 이동할 때, 상기 차폐와이어(260)가 컵뭉치(10)에 간섭되지 않도록 차폐와이어(260)의 차단부(261) 및 지지바(265)를 수납하는 와이어챔버(2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220)의 전면에는 상기 챔버본체(210)의 내부에 수납된 컵뭉치(10)의 소모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2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의하면, 디스펜서(15)는 구동모터(41)에서 기어 연결되는 링케이스(20)를 포함하여 컵뭉치(10)에서 컵(11)을 한 개씩 배추할 수 이다.
링케이스(20)는 중앙부에 컵(11)의 통과가 가능한 컵배출공(21)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링케이스(20) 내에 컵배출공(21)의 주변을 따라 균등하게 정렬되도록 여러 배출캠(22)이 설치되어있다.
배출캠(22)은 그 일부가 컵배출공(21) 안쪽에 돌출되도록 중심의 캠축(2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배출캠(22)을 둘러싸도록 링케이스(20) 내에 연동되는 구동링(2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구동링(24)은 내측기어(25)를 외주에 외측기어(26)를 갖고, 배출캠(22)의 하부 외주에는 피니언기어(27)가 일체로 형성되고, 피니언기어(27)에 구동링(24)의 내측기어(25)가 치합에 의해 구동링(24)의 회전에 따라 배출캠(22)이 캠축(23)을 기준으로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하단지지면(30) 및 상단지지면(31)은 캠축(2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늘어나는 평평한 면이며, 하단지지면(30)과 상단지지면(31) 사이의 레벨 차이를 두어 하단지지면(30)과 상단지지면(31)은 비교적 완만하게 경사 안내경사면(33)을 통해 일련에 연결되어있다.
가압경사면(32)은 상단지지면(31)의 하부에서 캠축(23)을 경계로 안내경사면(33)의 반대측의 위치에 형성되고 가압경사면(32)의 경사 방향과 안내경사면(33)의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안내경사면(33)의 반대편의 상단지지면(31)의 방출 단부는 가압경사면(32)의 경사에 따라 가장자리 모양의 분리단부(34)가 있으며, 이 분리단부(34)가 하단지지면(30)의 해방 단부의 상부에 위치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하부에는 구동원으로 정역 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41)가 설치되고, 구동모터(41)의 출력축에 출력기어(42)가 설치되고, 이 출력기어(42)에 인접하여 감속기어(43)가 설치되어있다.
아이들기어(44)는 링케이스(20)의 둘레면의 일부에 형성된 홈부(20a) 통해 디스펜서(15)의 구동링(24)과 맞물려 구동모터(41)가 정방향으로 회전 할 때, 구동모터(41)의 출력기어(42) 감속기어(43) 및 아이들기어(44)를 통해 치합 반면 디스펜서(15)에서 구동링(24)이 구동모터(41)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이 구동링(24)의 내측기어(25)에 치합으로 배출캠(22)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며 출력기어(42)에 감속기어(43) 및 아이들기어(44)를 통해 치합한 디스펜서(15)의 구동링(24)이 구동모터(41)와 같은 정방향으로 회전이 구동링(24)의 내측기어(25)에 치합한 배출캠(22)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디스펜서(15)의 배출캠(22)은 구동모터(41)에 의해 동시에 구동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작동상태를 따라 컵뭉치(10)의 이동과정을 살펴본다.
도 6에 의하면, 챔버본체(210)의 전면에 개구부(215)에서 개폐도어(220)를 오픈하여 저장공간부(211) 및 배출공간부(213)에 각각 컵뭉치(10)를 밀어 넣어 후방에 보충수단(230)의 탄성로드(231)가 후퇴하고, 차폐수단(240)의 차폐와이어(260)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켜 저장공간부(211)의 컵뭉치(10)가 배출공간부(213)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챔버본체(210)의 배출공간부(213)에서 디스펜서(15)에 의해 컵(11)을 배출하여 배출공간부(213)의 컵뭉치(10)를 소모한다.
도 7에 의하면, 배출공간부(213)에서 컵뭉치(10)가 소모되면, 위치센서(280)가 컵(11)의 유무를 확인하여 트리거(270)의 솔레노이드(271)가 작동하게 되어 도 8에 도시와 같이, 트리거(270)의 토글바(273)가 지지바(265)의 파지를 해제하여 힌지스프링(251)의 탄성력에 의해 차폐와이어(260)가 전방으로 회전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와 같이, 차폐와이어(260)가 보충수단(230)의 밀대 역할로 저장공간부(211)의 컵뭉치(10)를 배출공간부(213)로 이동시켜 배출공간부(213)에 컵뭉치(10)를 보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컵을 두 줄 이상으로 적층 수납이 가능하고, 한 줄의 컵이 소비되면 다음 줄의 컵을 자동으로 보충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해 작은 부피를 갖는 소형화로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컵뭉치 11: 컵
15: 디스펜서 20: 링케이스
20a: 홈부 21: 컵배출공
22: 배출캠 23: 캠축
24: 구동링 25: 내측기어
26: 외측기어 27: 피니언기어
30: 하단지지면 31: 상단지지면
33: 안내경사면 32: 가압경사면
34 분리단부 41: 구동모터
42: 출력기어 43: 감속기어
44: 아이들기어 100: 베이스
110: 기둥패널 111: 배출공간
120: 상부패널 121: 컵통과홀
200: 컵챔버 210: 챔버본체
211: 저장공간부 213: 배출공간부
215: 개구부 217: 와이어챔버
220: 개폐도어 221: 투시창
230: 보충수단 231: 탄성로드
233: 밀판 240: 차폐수단
250: 힌지브라켓 251: 힌지스프링
260: 차폐와이어 261: 차단부
263: 힌지부 265: 지지바
270: 트리거 271: 솔레노이드
273: 토글바 280: 위치센서

Claims (5)

  1. 하부에 소정의 배출공간(111)을 갖도록 둘레를 따라 기둥패널(110)과, 상단 일 부분에 컵통과홀(121)을 갖는 상부패널(120)을 포함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컵(11)이 적층된 컵뭉치(10)를 수납하는 컵챔버(2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컵통과홀(121)에 구비되어 상기 컵챔버(200)에 수납된 컵(11)을 한 개씩 배출하는 디스펜서(15)를 포함하며,
    상기 컵챔버(200)는,
    사각의 수직 길이를 갖는 함체로 내부의 후방에 한 줄의 컵뭉치(10)가 수납되는 저장공간부(211)와, 상기 디스펜서(15)의 위치에 대응되는 내부의 전방에 한 줄의 컵뭉치(10)가 수납되는 배출공간부(213)를 갖는 챔버본체(210)와;
    상기 챔버본체(210)의 전방 개구부(215)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챔버본체(210)에 수납되는 컵뭉치(10)의 노출을 방지하는 개폐도어(220)와;
    상기 챔버본체(2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부(211)에 위치되는 컵뭉치(10)를 배출공간부(213) 측으로 밀착시키는 보충수단(230)과;
    상기 저장공간부(211)와 배출공간부(213)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공간부(213)의 컵뭉치(10)가 모두 소모되기 전까지 상기 보충수단(230)에 의해 저장공간부(211)에서 배출공간부(213)로 이동하는 컵뭉치(10)의 이동을 차단하는 차폐수단(240)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수단(240)은,
    상기 챔버본체(210) 내부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힌지브라켓(250)과;
    상기 힌지브라켓(25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보충수단(230)에 의해 배출공간부(213) 측으로 이동하는 컵뭉치(10)를 직접적으로 차폐하는 차폐와이어(260)와;
    상기 차폐와이어(260)와 대응되는 챔버본체(210)의 측벽에 구비되어 상기 차폐와이어(260)의 차폐를 단속하는 트리거(270)를 포함하되,
    상기 챔버본체(210)의 측벽에는 상기 차폐와이어(260)의 차단 해제로 저장공간부(211)의 컵뭉치(10)가 배출공간부(213)로 이동할 때, 상기 차폐와이어(260)가 컵뭉치(10)에 간섭되지 않도록 차폐와이어(260)의 차단부(261) 및 지지바(265)를 수납하는 와이어챔버(2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디스펜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충수단(230)은,
    상기 챔버본체(210)의 후방에 관통하여 탄성 구비되는 복수의 탄성로드(231)와;
    상기 챔버본체(210)의 내부에 수직 길이로 배치되어 상기 탄성로드(23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부(211)에 수납된 컵뭉치(10)를 배출공간부(213) 측으로 직접 일어내는 밀판(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디스펜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도어(220)의 전면에는,
    상기 챔버본체(210)의 내부에 수납된 컵뭉치(10)의 소모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22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디스펜서 장치.
KR1020210021833A 2021-02-18 2021-02-18 컵 디스펜서 장치 KR10249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833A KR102495921B1 (ko) 2021-02-18 2021-02-18 컵 디스펜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833A KR102495921B1 (ko) 2021-02-18 2021-02-18 컵 디스펜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04A KR20220118104A (ko) 2022-08-25
KR102495921B1 true KR102495921B1 (ko) 2023-02-06

Family

ID=8311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833A KR102495921B1 (ko) 2021-02-18 2021-02-18 컵 디스펜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9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755B1 (ko) * 1998-07-20 2003-01-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자동 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4974B2 (ja) * 1993-12-20 2001-03-12 松下冷機株式会社 カップ自動販売機のカップ収容装置
JP3144981B2 (ja) * 1994-04-25 2001-03-12 松下冷機株式会社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カップ搬出装置
KR0129542Y1 (ko) * 1995-10-11 1999-03-20 정몽원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KR102118202B1 (ko) 2019-02-08 2020-06-02 주식회사 달콤 컵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2755B1 (ko) * 1998-07-20 2003-01-24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자동 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04A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3729B2 (en) Stirrer or spoon dispenser for beverage dispensing machines
CN100493996C (zh) 药片填充装置
JP5564868B2 (ja) 薬剤払出装置
US5167345A (en) Dual dispenser
US20060097001A1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cine
KR20090026127A (ko) 캡 공급 장치
KR102495921B1 (ko) 컵 디스펜서 장치
US9384621B1 (en) Product and cup dispensing mechanisms concentrically arranged on common rotatable wheel in a sanitized vending machine
US3036730A (en) Dispensing apparatus
JP2020036978A (ja) 薬剤払出装置
JP2007179158A (ja) 物品払い出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ゲーム機
US2236688A (en) Bottle dispensing machine
KR100631588B1 (ko) 앰플공급장치
JP2011032014A (ja) 原料搬出装置
CN221273948U (zh) 一种按序发药机构
JP3095429B2 (ja) 景品払出機
JP2020081156A (ja) 固形薬剤分包装置
JP4953836B2 (ja) カップ飲料提供装置のカップ供給装置
US11911253B1 (en) Bulk loading feminine hygiene product dispenser
JPH08141207A (ja) 景品払出し機
KR0133082Y1 (ko) 컵 반출장치
JP2017040511A (ja) ノズルチップ供給装置
JPH0352748Y2 (ko)
KR20060040735A (ko) 담배갑에만 한정되지 않는 패킷을 위한 디스펜서
JP4936995B2 (ja) 棒金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