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542Y1 -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542Y1
KR0129542Y1 KR2019950028360U KR19950028360U KR0129542Y1 KR 0129542 Y1 KR0129542 Y1 KR 0129542Y1 KR 2019950028360 U KR2019950028360 U KR 2019950028360U KR 19950028360 U KR19950028360 U KR 19950028360U KR 0129542 Y1 KR0129542 Y1 KR 0129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abinet
vending machine
dispensing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298U (ko
Inventor
신춘식
신영석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2019950028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542Y1/ko
Publication of KR970019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2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5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개선된 컵 투출장치를 개시한다.
종래에는 복수의 컵열을 저장하는 컵저장수단이 원형 터릿방식 이었으므로 자동판매기 내에서의 공간점유율이 커서 특히 중,소형 및 슬림형 자동판매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컵 저장수단이 복수의 컵열을 횡방향으로 수납하는 캐비닛과, 투출위치 인접열의 컵열을 이송수단에 의해 투출위치로 이송하는 푸셔로 구성되어 자동판매기 내에서의 공간점유율을 대폭 줄임으로써 자동판매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제1도는 음료용 자동판매기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종래의 컵 투출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3도는 그 작동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컵 투출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5도는 그 결합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 장치의 컵 투출동작을 보인 평면도.
제7도(a)(b)는 본 고안 장치의 컵 이송동작을 보인 정면도들.
제8도(a)내지 (c)는 제7도에 대응하는 컵 이송안내수단의 작동을 보 인 평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컵저장수단 31 : 캐비닛(cabinet)
31a : (캐비닛의) 컵투출구 36 : 스토퍼(stopper)
41, 42, 43 : 위치결정판 44 : 투출가이드
45 : 푸셔(pusher) 46 : 가동로드(moving rod)
48 : 이송수단 50 : 이송모터
51 : 워엄(worm) 52 : 랙(rack)
54 : 이송감지스위치 60 : 컵투출수단
63 : 투출모터 64 : 구동캠 (drive cam)
65 : 링크(rink) 67 : 회전링
68 : (회전링의) 기어(gear) 70 : 투출캠
71 : (투출캠의) 롤러(roller)부 72 : (투출캠의) 기어부
73 : 투출감지스위치 75 : 유무감지스위치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 (Vending Machin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cup)을 투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는 커피 또는 담배 등의 음료나 물품을 복수종류 수납하여 일정한 금액을 투입한 뒤 필요품을 선택하면 선택된 물품이 자동으로 투출되는 장치로서, 설치공간이 작고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며 무인판매 할 수 있는 장점 등에 의해 점차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예를 들어 음료용 자동판매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투입구(도시하지 않음)나 동전투입구(1)에 지폐나 동전을 투입하고 수납된 음료의 종류를 표시하는 선택버튼(2)을 누르면, 음료투출구(3)의 컵홀더(cup holder:H)에 컵(C)이 투출된 뒤 이 컵(C)에 선택된 음료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따라 음료용 자동판매기에는 다수의 컵(C)을 저장하여 선택시 마다 1개의 컵(C)을 분리 투출하는 컵 투출장치가 구비되는데, 이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품위와 신뢰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제2도 및 제3도에는 이러한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종래의 컵 투출장치를 도시하였다. 이것은 원형 터릿(turret:11)의 복수의 컵 저장실(12)에 다수의 컵(C)이 포개진 컵열을 각각 저장하고, 제어부(도시않됨)에 판매신호가 입력되면 제3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투출모터(18)에 의해 구동캠 (19)이 180° 회전됨에 따라 링크(rink:20)로 연결된 회전링(22)이 그 하우징 (housing:21)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다. 그러면 하우징(21)에 지지되어 회전링(22)의 내주에 이맞물림 된 복수의 투출캠(23)이 동시에 동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이들에 외주가 접촉 지지된 최하부의 컵(C)이 가이드(guide:24)를 따라 음료투줄구(3)의 컵홀더(H)로 투출된다. 계속해서 구동캠 (19)이 360° 회전하면 회전링(22)이 링크(20)에 의해 초기위치로 역회전됨에 따라 각 투출캠(23)이 동시에 역회전되어 그 다음 컵(C)의 외주를 접촉 지지하며, 이 때 구동캠(19)이 투출감지스위치(25)에 접촉되는 것으로 컵(C)의 투출을 감지하여 투출모터(18)가 정지함으로써 컵(C)의 투출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이와같은 동작으로 터릿(11)의 해당 컵 저장실(12)의 컵(C)이 전부 소모되면 감지레버(27)를 통해 유무감지스위치(26)가 이를 감지하고, 이에따라 공급모터(13)가 구동되어 기어(14)를 통해 터릿(11)이 소정각도 회전함으로써 대기중인 그 다음 컵 저장실(12)이 투출위치로 이동되어 컵(C)을 공급하게 된다. 나머지 부호10은 터릿(11)을 지지하는 받침대, 15는 컵(C)을 보호하는 커버(cover), 16은 먼지유입 방지용 덮개이며, 17은 베이스(base)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컵 투출장치는 원형 터릿방식이므로 많은량의 컵(C)을 저장할 수는 있으나 자동판매기 내에서의 공간점유율이 상당히 클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이에따라 대용량의 자동판매기는 별 문제가 되지 않으나, 중소형 및 슬림형 자동판매기의 경우 제품의 전체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충분한 량의 컵을 저장할 수 있으면서도 제품 내에서의 공간점유율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는, 다수의 컵을 저장하는 컵저장수단과, 판매신호에 따라 컵저 장수단으로부터 한개의 컵을 음료투출구의 컵홀더로 투출시키는 컵투출수단을 구비하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에 있어서, 컵저장수단이, 다수의 컵이 포개진 컵열을 횡방향으로 복수열 수납하는 캐비닛(cabinet)과,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어 투출위치에 인접한 1열의 컵열을 컵투출수단과 연통하는 투출위치로 이송시키는 푸셔(pusher)와, 푸셔를 소정간격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캐비닛에 컵열측으로 탄성 바이어스(彈性bias) 되어 푸셔에 의해 이송되는 1열의 컵열을 지지하는 스토퍼 (stopper)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이송수단이, 이송모터와, 이송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워엄(worm)과, 푸셔와 연결되며 워엄과 이맞물림되어 소정간격을 왕복 이동하는 랙(rack)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푸셔에 의한 컵열의 이송여부를 감지하는 이송감지스위치가 구비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복수의 컵열이 캐비닛에 횡방향으로 수납되므로 충분한 량의 컵을 저장할 수 있으면서도 자동판매기 내에서의 공간점유율이 현저히 감소되게 되는 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어 설치의 편의성 향상등에 효과를 발휘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는 다수의 컵(C)을 저장하는 컵저장수단(30)과 판매신호에 따라 컵저장수단으로부터 한개의 컵(C)을 음료투출구(제1도의 3)의 컵홀더(H)로 투출하는 컵투출수단(60)으로 구성된다.
컵저장수단(30)은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다수의 컵(C)이 포개진 컵을 횡방향으로 복수열 수납하는 직사각형 단면의 캐비닛(31)과, 이 캐비닛(31)에 수납된 컵열 중 투출위치 인접열의 1열의 컵열을 컵투출수단(60)과 연통하도록 이송시키는 푸셔(45)와, 이 푸셔(45)를 소정간격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송수단(48)을 구비한다.
캐비닛(31)은 ㄷ 자형의 몸체(33) 전면에 도어(door:33)가 설치되고 상측에 상판(34)이 설치되어 구성되며, 도어(33)의 하측으로는 지지판(35)이 설치된다. 캐비닛(31)의 하부에는 컵열을 지지하는 받침판(40)이 설치되는데, 이 받침판(40)은 1열의 컵열이 컵투출수단(60)과 연통할 수 있도록 그 일측으로부터 소정길이 만큼 설치되어 이와 캐비닛(31)의 대향하는 내측면간에 컵투출구(31a)를 형성한다. 컵투출구(31a)의 주변에는 투출위치의 컵열을 컵투출수단(60)과 정렬시키는 복수의 위치결정판(41)(42)(43)들이 캐비닛(31)의 몸체(32)와 도어(33) 및 받침판(40)에 분산되어 설치되고, 지지판(35)에는 컵(C)이 컵투출수단(60)으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44)가 설치된다.
한편 캐비닛(31)의 전면 일측, 즉 컵투출구(31a)의 대향측에는 푸셔 (45)에 의한 컵열의 이송시 컵열에 접촉하여 이송에 의한 컵열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스토퍼(36)가 설치된다. 이 스토퍼(36)는 바람직하기로 원형 단면의 봉을 소정형상으로 절곡하여 구성되며, 그 양 단부가 캐비닛(31)의 지지판(35)과 상판(34)에 브라켓(37)(38)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스프링(39)에 의해 컵열측으로 탄성바이어스 된다.
푸셔(45)는 캐비닛(31)의 몸체(32) 상하부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슬릿(guide slit:32a)쌍을 통해 캐비닛(31) 배면측의 가동로드(moving rod:46)쌍과 블트(bolt:47)로 연결되어 캐비닛(31)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푸셔(45)는 바람직하기로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대략 L자형 단면을 가진다.
이송수단(48)으로서 캐비닛(31)의 배면에 프레임(49)이고정되고 이 프레임(49)에 소정길이의 워엄(51)이 횡방향으로 지지되어 이송모터(50)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된다. 워엄(51)의 하부에는 워엄(51)과 이맞물림 되어 그 구동에 따라 횡방향으로 소정간격을 왕복 이동하는 랙(52)이 구비되며, 이 랙(52)의 지지핀(53)에 적어도 하나의 가동로드(46)가 연결된다. 프레임(49)의 일측에는 푸셔(45)에 의한 컵열의 이송여부를 감지하는 이송감지스위치(54)가 커버(55)에 의해 지지된다.
컵투출수단(60)으로서 캐비닛(31)의 하부에 상호 결합되는 상,하부 케이스(case:61,62)가 구비되고, 하부케이스(62)상의 일측에는 캐비닛(31)의 컵투출구(31a)와 대향하는 컵투출구멍(66a)을 가지는 하우징(66)이 고정된다.
하우징(66)은 상부 및 하부로 분할 구성되어 내부에 회전링(67)과 최하측 컵(C)의 외주에 접촉하는 복수의 투출캠(70)을 수납한다. 회전링(67)은 내주에 기어(gear:68)를 가지며 하우징(66) 외주의 슬롯(slot:66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러그(lug:69)를 가진다.
복수의 투출캠(70)은 동일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하우징(6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컵(C)의 외주를 접촉 지지하는 롤러부(roller部:71)와 이 롤러부(71)와 편심되어 회전링(67)의 기어(68)와 이맞물림되는 기어부(72)로 구성된다.
하우징(66)에 근접된 하부케이스(62) 상에는 투출모터(63)가 구비되고, 이 투출모터(63)의 회전축에는 회전링(67)의 러그(69)와 링크(65)로 연 결되어 투출캠(70)을 구동시키는 구동캠(64)이 설치된다. 하부케이스(62)의 일측에는 구동캠(64)의 회전을 감지함으로써 컵(C)의 투출여부를 감지하는 투출감지스위치(73)가 브라켓(74)을 통해 설치된다.
상부케이스(61)에는 캐비닛(31)의 컵투출구(31a)와 대향하는 컵투출구멍(61a)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캐비닛(31)의 컵투출위치에의 컵(C)의 유무를 감지하는 유무감지스위치(75)가 브라켓(76)을 통해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컵 투출장치의 작동을 제6도 내지 제8도를 병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캐비닛(31)의 내부에는 다수의 컵(C)이 포개진 복수열의 컵열이 횡방향으로 배열 수납된다. 이 때 투출위치의 컵열은 캐비닛(31)의 컵투출구(31a)를 통해 컵투출수단(60)과 연통하고, 나머지 컵열은 받침판(40)상에 위치되어 스토퍼(36)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투출열의 하부측의 컵(C)들은 위치결정판(41)(42)(43)들에 외주가 접촉하여 하우징(66)의 컵투출구멍(66a)과 정확히 정렬되고, 최하부의 컵(C)은 상부케이스(61)와 하우징(66)의 컵투출구멍(61a)(66a)에 위치되어 복수의 투출캠(70)에 외주가 접촉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판매신호가 입력되면 투출모터(63)에 의해 구동캠(64)이 1회전함으로써 투출열의 최하부의 컵(C)이 음료투출구(3)의 컵홀더(H)로 투출된다. 즉 제6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캠(64)이 180° 회전하면 링크(65)에 의해 회전링(67)이 소정각도 회전하고, 이에따라 복수의 투출캠(70)이 회전링(67)의 기어(68)와 이맞물림 된 기어부(72)에 의해 동시에 동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롤러부(71)가 컵(C)의 외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투출열의 최하부의 컵(C)이 컵홀더(H)로 투출되는 것이다. 이때 투출되는 컵(C)은 투출가이드(44)에 의해 정확히 안내된다. 이어서 제6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캠(64)이 360°, 즉 1회전하면 링크(65)에 의해 회전링(67)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위치로 복원되고, 이에따라 각 투출캠(7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위치로 복원됨으로써 그 롤러부(71)가 다음 위치의 컵(C) 외주를 접촉 지지하게 된다. 이때 구동캠(64)이 1회전하여 투출감지스위치(73)에 접촉하면 투출감지스위치(73)가 컵(C)의 투출완료를 감지 하고, 이에따라 투출모터(63)가 정지된다.
이와같은 동작으로 판매신호에 따라 컵(C)이 음료투출구(3)로 투출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캐비닛(31)의 투출위치의 컵(C)이 전부 소모되면 유무감지스위치(75)가 이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에 따라 제7도 및 제8도와 같이 컵저장수단(30)의 이송수단(48)이 작동되어 투출위치 인접열의 컵열을 투출위치로 이송시키게 된다.
제7에서, 컵 유무감지스위치(75)에 투출열의 컵(C) 소모가 감지되면 (a)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송수단(48)의 이송모터(50)가 구동되어 워엄(51)이 소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따라 이와 이맞물림 된 랙(52)이 캐비닛(31)의 투출위치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랙(52)에 연결된 가동로드(46)쌍이 동시에 이동되고, 이와 볼트(47)로 고정된 푸셔(45)가 캐비닛(31)의 가이드슬릿(32a)쌍에 이송 안내되어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접열의 컵열을 투출위치로 이송시킨다.
이때 컵열을 지지하는 스토퍼(36)는 컵열의 이송력에 의해 제8도(a)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같이 캐비닛(31)의 도어(33)측으로 회전되고, 이에따라 이송되는 컵열은 스토퍼(36)의 탄성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로 이송된다. 이어서 제8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31)의 투출위치로 컵열의 이송이 완료되면 스토퍼(36)는 그 선단부가 푸셔(45)에 걸리게 되고, 이와같이 투출위치로 이송된 컵열은 컵투출수단(60)과 연통하여 정렬된다.
한편 컵열이 투출위치로 이송 완료되면 이송감지스위치(54)가 이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에 따라 제7도 (b)에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같이 이송모터(50)가 역회전하여 워엄(51)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따라 랙(52)이 초기위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가동로드(46)쌍으로 연결된 푸셔(45)가 제7도(a)와 같이 초기위치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스토퍼(36)가 스프링(39)의 탄성에 의해 회전하여 제8도(c)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위치로 복원됨으로써 컵(C)의 공급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캐비닛(31)이 컵열을 2열 수납하고 푸셔(45)가 한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의 목적일 뿐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캐비닛(31)이 컵열을 2열 이상 수납하고 그에 대응하여 푸셔(45)를 복수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이송수단(48)도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의 컵열이 캐비닛에 횡방향으로 수납되게 되므로 원형 터릿방식인 종래에 비해 설치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자동판매기내에서의 컵투출장치의 공간점유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바, 대형은 물론 중,소형 및 슬림형 자동판매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설치의 편의성 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다수의 컵을 저장하는 컵저장수단과, 판매신호에 따라 상기 컵저장수단으로부터 한개의 컵을 음료투출구의 컵홀더로 투출시키는 컵투출수단을 구비하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컵저장수단(30)이, 다수의 컵(C)이 포개진 컵열을 횡방향으로 복수열 수납하는 캐비닛(31)과, 상기 캐비닛(31)의 내부에 설치되어 투출위치에 인접한 1열의 컵열을 상기 컵투출수단(60)과 연통하는 투출위치로 이송시키는 푸셔(45)와, 상기 푸셔(45)를 소정간격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송수단(48)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31)에 상기 푸셔(45)에 의해 이송되는 컵열을 지지하는 스토퍼(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6)가 상기 캐비닛(3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컵열측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48)이, 이송모터(50)와, 상기 이송모터(50)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워엄(51)과, 상기 푸셔(45)와 연결되며 상기 워엄(51)과 이맞물림되어 소정간격을 왕복 이동하는 랙(52)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31)의 배면에 상기 푸셔(45)와 고정되며 상기 랙(52)에 연결되는 가동로드(4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45)에 의한 상기 컵열의 이송여부를 감지하는 이송감지스위치(5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31)에 상기 1열의 컵열을 상기 컵투출수단(60)과 연동하도록 정렬시키는 복수의 위치 결정판(41)(42)(4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31)에 상기 컵(C)의 상기 컵투출수단(60)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투출가이드(4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KR2019950028360U 1995-10-11 1995-10-11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KR0129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360U KR0129542Y1 (ko) 1995-10-11 1995-10-11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360U KR0129542Y1 (ko) 1995-10-11 1995-10-11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298U KR970019298U (ko) 1997-05-26
KR0129542Y1 true KR0129542Y1 (ko) 1999-03-20

Family

ID=1942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360U KR0129542Y1 (ko) 1995-10-11 1995-10-11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5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2297A3 (en) * 2018-02-02 2020-04-30 Jukka Llc Assembly for product support and deployment for a vending machine
KR20220118104A (ko) * 2021-02-18 2022-08-25 (주)유로 컵 디스펜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2297A3 (en) * 2018-02-02 2020-04-30 Jukka Llc Assembly for product support and deployment for a vending machine
KR20220118104A (ko) * 2021-02-18 2022-08-25 (주)유로 컵 디스펜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298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3459A (en) Dispensing machine
US7032776B2 (en) Vending machine bucket drive control
US4574980A (en) Vending machine dispensing mechanism
US20110068116A1 (en) Product discharge and delivery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US5397025A (en) Product dispensing and storage device
US4298138A (en) Tandem column vender apparatus
US3952915A (en) Delivery unit for helical feed merchandising machine
US3883038A (en) Can and bottle vendor
EP0535855B1 (en) Cup dispenser
US3831806A (en) Vending machine having product level sensing switch and method of conversion of multi-column vending machines for conjoint operation of at least two columns
KR19990045287A (ko) 대형 상품 자동판매 시스템
US2923392A (en) Horizontal conveyor sandwich merchandising machine
US3837528A (en) Article delivery systems for vending 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ctuated dispensers
EP0178244B1 (en) Article vendor
US2835409A (en) Dispensing apparatus
KR0129542Y1 (ko)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CA1215948A (en) Antitheft side mounted escrows for vending machine
KR890003573Y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
KR100764676B1 (ko) 이종 페트병을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용 랙크
KR101260763B1 (ko) 자동 판매기
KR970006653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송출장치
US4429807A (en) Adjustable dispensing mechanism for vending machine
KR960005292B1 (ko)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 낙하 장치
KR100624706B1 (ko) 페트병 자동판매기용 랙크
JP3446526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