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065B1 -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065B1
KR102495065B1 KR1020220032993A KR20220032993A KR102495065B1 KR 102495065 B1 KR102495065 B1 KR 102495065B1 KR 1020220032993 A KR1020220032993 A KR 1020220032993A KR 20220032993 A KR20220032993 A KR 20220032993A KR 102495065 B1 KR102495065 B1 KR 10249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inishing material
square
indoor wall
flexible sil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피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피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피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03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coustic absorption means on the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04F13/0887Adhesiv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adhesive foils or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벽면(60)에 설치되어 실내 벽면(60)을 마감 및 단열하는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실내 벽면(60)에 접착제(12)로 접착고정되는 압착흡음판체로, 정면에는 기립된 직사각형상의 다수개 매직테이프(11)가 좌우측과 상하측으로 일정간격 접착고정되는 코르크흡입접합판넬(10); 수직기립된 직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전방에는 개방부(21)가 형성되고,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후방선단에는 전선(50)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배선홀(22a,23a)(24a,25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전방측 선단에는 외측으로 수직연장되는 선단걸림사각링(26)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선단걸림사각링(26)이 형성된 상기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전방측 선단 후방측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수직연장되는 외측사각지지링(26a)이 돌출형성되며, 후방에는 상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코르크흡입접합판넬(10)의 매직테이프(11)에 대응되면서 접착고정되는 매직테이프(27a)가 후면에 접착고정되는 후방고정판(27)이 형성되어 콘센트(28)나 스위치(29)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전장박스(20); 수직기립된 실리콘재질의 사각판체로, 중심에는 상기 전장박스(20)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선단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사각지지링(26a)에 걸림고정되는 사각관통공(31)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 및 측면에서 반달형상이고 정면에서 원형상인 원형마감부(41)가 형성되고, 원형마감부(41) 배면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사각관체로 상기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 외측에서 상기 저장박스(20)의 개방부(21) 내측으로 삽입되어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사각삽입관부(42)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마감마개(40)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매직테이프가 일정간격 부착된 코르크흡음접합판넬과 다수개 매직테이프에 부착고정되는 다수개의 전장박스와 전장박스에 삽입되는 플렉시블실리콘판넬과 전장박스의 개방부에 삽입고정되는 마감패널을 구비하여 기존 벽면에 보다 용이하게 간단히 시공할 수 있고, 코르크흡음접합판넬과 일정간격 이격설치된 플렉시블실리콘판넬에 의해 단열성능과 방음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부위에 필요한 갯수의 콘센트나 스위치를 손쉽게 설치하거나 원상복위할 수 있어 배선 및 콘센트나 스위치 설치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플렉시블실리콘판넬과 마감패널에 의해 노출면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Interior wall finishing material for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매직테이프가 일정간격 부착된 코르크흡음접합판넬과 다수개 매직테이프에 부착고정되는 다수개의 전장박스와 전장박스에 삽입되는 플렉시블실리콘판넬과 전장박스의 개방부에 삽입고정되는 마감패널을 구비하여 기존 벽면에 보다 용이하게 간단히 시공할 수 있고, 코르크흡음접합판넬과 일정간격 이격설치된 플렉시블실리콘판넬에 의해 단열성능과 방음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부위에 필요한 갯수의 콘센트나 스위치를 손쉽게 설치하거나 원상복위할 수 있어 배선 및 콘센트나 스위치 설치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플렉시블실리콘판넬과 마감패널에 의해 노출면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적인 거주공간에서는 벽이 거의 대부분이 시멘트로 형성되어 있어 시멘트 자체에서 유해한 물질들이 발산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단열이나 보온 측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하며 방음효과가 떨어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이런 건축물 중 여러 세대가 거주하는 아파트나 연립주택 또는 다세대주택 등과 같은 공동 주택에 있어서는 베란다(또는 발코니)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한 베란다는 각 단위세대 각각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아파트의 경우 전면과 후면에 베란다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 상기한 베란다들은 침실과 거실 및 주방을 구분시키기 위하여 창문이나 문이 달린 콘크리트 벽을 구축하거나 또는 대형의 문을 설치하는데, 최근에는 생활공간을 넓게 사용하기 위하여 침실, 거실 및 주방과 베란다 사이에는 대형의 문을 설치하고 또 상기 베란다에는 샤시창을 설치하는 건축양식을 채택하고 있다.
요즈음에는 베란다를 생활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그런데, 건축물의 외벽은 철근 콘크리트로 구축된 상태이므로 콘크리트 벽면이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재질의 특성상 삭막함을 느끼게 되고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온도와 습도 등에 의해 결로 현상이 발생되며, 이 결로로 인하여 벽체에 곰팡이가 생겨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물론, 콘크리트 벽체의 벽면에 황토 몰탈 등을 도포하거나 시트지 등을 부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노출을 막을 수 있으나, 시공성이 어렵고 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현실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베란다의 벽체(1)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의 벽면을 마감 및 단열하는 건축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벽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종방향 몰딩(10)과; 내부에 상기 벽면과 좌우 양측을 향해 개방된 수납부가 구비된 판상이며 상기 종방향 몰딩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의 벽면을 덮어 마감하는 합성수지의 마감판(20)과; 상기 마감판의 수납부에 수납되며 일면이 상기 벽체의 벽면에 밀착되는 단열재(30)와; 상기 마감판의 상부를 상기 벽체에 설치된 샤시틀(20)에 고정하는 상부 몰딩(40)과; 상기 베란다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감판과 단열재의 저부를 막으면서 지지하는 하부 몰딩(50)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판은 상기 벽체의 벽면에 지지되는 수직부(21),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몰딩이 안착되는 안착부(22), 상기 안착부에 힌지봉(24)을 통해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단열재를 덮는 커버(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몰딩은 상기 샤시틀에 체결구(41)로 고정되는 고정부(42), 상기 고정부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연장형성되며 상기 마감판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마감판을 지지하는 지지부(43)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몰딩은 상기 베란다의 바닥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마감판과 단열재의 저부를 지지하는 바닥부(51),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힌지(53)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마감판과 단열재를 덮는 덮음부(52), 상기 덮음부에 체결되어 상기 바닥부을 고정하는 잠금구(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실내 벽면 마감재"가 특허등록 제10-1068591호(2011.10.04.공고)로 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실내 벽면 마감재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하여 쾌적한 실내 거주 환경을 마련할 수는 있으나, 단열성능이 미약하고, 전자제품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하기 쉽지 않은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KR)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68591호(2011.10.04.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매직테이프가 일정간격 부착된 코르크흡음접합판넬과 다수개 매직테이프에 부착고정되는 다수개의 전장박스와 전장박스에 삽입되는 플렉시블실리콘판넬과 전장박스의 개방부에 삽입고정되는 마감패널을 구비하여 기존 벽면에 보다 용이하게 간단히 시공할 수 있고, 코르크흡음접합판넬과 일정간격 이격설치된 플렉시블실리콘판넬에 의해 단열성능과 방음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부위에 필요한 갯수의 콘센트나 스위치를 손쉽게 설치하거나 원상복위할 수 있어 배선 및 콘센트나 스위치 설치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플렉시블실리콘판넬과 마감패널에 의해 노출면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 벽면(60)에 설치되어 실내 벽면(60)을 마감 및 단열하는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실내 벽면(60)에 접착제(12)로 접착고정되는 압착흡음판체로, 정면에는 기립된 직사각형상의 다수개 매직테이프(11)가 좌우측과 상하측으로 일정간격 접착고정되는 코르크흡입접합판넬(10);
수직기립된 직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전방에는 개방부(21)가 형성되고,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후방선단에는 전선(50)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배선홀(22a,23a)(24a,25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전방측 선단에는 외측으로 수직연장되는 선단걸림사각링(26)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선단걸림사각링(26)이 형성된 상기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전방측 선단 후방측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수직연장되는 외측사각지지링(26a)이 돌출형성되며, 후방에는 상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코르크흡입접합판넬(10)의 매직테이프(11)에 대응되면서 접착고정되는 매직테이프(27a)가 후면에 접착고정되는 후방고정판(27)이 형성되어 콘센트(28)나 스위치(29)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전장박스(20);
수직기립된 실리콘재질의 사각판체로, 중심에는 상기 전장박스(20)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선단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사각지지링(26a)에 걸림고정되는 사각관통공(31)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 및
측면에서 반달형상이고 정면에서 원형상인 원형마감부(41)가 형성되고, 원형마감부(41) 배면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사각관체로 상기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 외측에서 상기 저장박스(20)의 개방부(21) 내측으로 삽입되어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사각삽입관부(42)가 형성되는 다수개의 마감마개(40)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의 매직테이프가 일정간격 부착된 코르크흡음접합판넬과 다수개 매직테이프에 부착고정되는 다수개의 전장박스와 전장박스에 삽입되는 플렉시블실리콘판넬과 전장박스의 개방부에 삽입고정되는 마감패널을 구비하여 기존 벽면에 보다 용이하게 간단히 시공할 수 있고, 코르크흡음접합판넬과 일정간격 이격설치된 플렉시블실리콘판넬에 의해 단열성능과 방음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부위에 필요한 갯수의 콘센트나 스위치를 손쉽게 설치하거나 원상복위할 수 있어 배선 및 콘센트나 스위치 설치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플렉시블실리콘판넬과 마감패널에 의해 노출면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의 체결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의 시공시 결합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절취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는, 실내 벽면(60)에 설치되어 실내 벽면(60)을 마감 및 단열하는 마감재로, 코르크흡입접합판넬(10)과, 다수개의 전장박스(20)와, 다수개의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과, 다수개의 마감마개(40)로 구성된다.
상기 코르크흡입접합판넬(10)은, 상기 실내 벽면(60)에 접착제(12)로 접착고정되는 압착흡음판체로, 정면에는 기립된 직사각형상의 다수개 매직테이프(11)가 좌우측과 상하측으로 일정간격 접착고정된다.
상기 전장박스(20)는, 수직기립된 직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전방에는 개방부(21)가 형성되고,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후방선단에는 전선(50)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배선홀(22a,23a)(24a,25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상기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전방측 선단에는 외측으로 수직연장되는 선단걸림사각링(26)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선단걸림사각링(26)이 형성된 상기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전방측 선단 후방측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수직연장되는 외측사각지지링(26a)이 돌출형성되며, 후방에는 상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코르크흡입접합판넬(10)의 매직테이프(11)에 대응되면서 접착고정되는 매직테이프(27a)가 후면에 접착고정되는 후방고정판(27)이 형성되어 콘센트(28)나 스위치(29)가 장착된다.
상기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은, 수직기립된 실리콘재질의 사각판체로, 중심에는 상기 전장박스(20)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선단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사각지지링(26a)에 걸림고정되는 사각관통공(31)이 형성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상기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이 서로 접하여 만나는 지점에서는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의 일부를 접어 내부에서의 전선(50) 배선작업 등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감마개(40)는, 측면에서 반달형상이고 정면에서 원형상인 원형마감부(41)가 형성되고, 원형마감부(41) 배면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사각관체로 상기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 외측에서 상기 저장박스(20)의 개방부(21) 내측으로 삽입되어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사각삽입관부(4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벽체(60) 부착되어 일정간격 부착된 다수개의 매직테이프(11)를 갖는 코르크흡음접합판넬(10)과, 다수개 매직테이프(11)에 부착고정되는 매직테이프(27a)를 갖는 다수개의 전장박스(20)와, 다수개 전장박스(20)에 삽입되는 다수개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과, 다수개 전장박스(20)의 개방부(21)에 삽입고정되는 다수개의 마감패널(40)을 구비하여, 벽체(60)에 보다 용이하게 간단히 시공할 수 있고, 코르크흡음접합판넬(10)과 일정간격 이격설치된 다수개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에 의해 단열성능과 방음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부위의 전장박스(20)에 필요한 콘센트(28)나 스위치(29)를 손쉽게 설치하거나 원상복위할 수 있어 전선(50)의 배선 및 콘센트(28)나 스위치(29) 설치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고, 다수개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과 다수개 마감패널(40)에 의해 벽체(60) 노출면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코르크흡음접합판넬
20 : 전장박스
30 : 플렉시블실리콘판넬
40 : 마감마개
50 : 전선
60 : 벽체

Claims (1)

  1. 실내 벽면(60)에 설치되어 실내 벽면(60)을 마감 및 단열하는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로, 상기 실내 벽면(60)에 접착제(12)로 접착고정되는 압착흡음판체로 정면에는 기립된 직사각형상의 다수개 매직테이프(11)가 좌우측과 상하측으로 일정간격 접착고정되는 코르크흡입접합판넬(10)과, 수직기립된 직육면체의 박스형상으로 전방에는 개방부(21)가 형성되고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후방선단에는 전선(50)이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배선홀(22a,23a)(24a,25a)이 각각 통공형성되며 콘센트(28)나 스위치(29)가 장착되는 다수개의 전장박스(20)와, 수직기립된 실리콘재질의 사각판체로 중심에는 사각관통공(31)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과, 측면에서 반달형상이고 정면에서 원형상인 원형마감부(41)가 형성되고 상기 전장박스(20)의 개방부(21)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마감마개(40)를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전장박스(20)는, 상기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전방측 선단에는 외측으로 수직연장되는 선단걸림사각링(26)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선단걸림사각링(26)이 형성된 상기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전방측 선단 후방측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수직연장되는 외측사각지지링(26a)이 돌출형성되며, 후방에는 상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코르크흡입접합판넬(10)의 매직테이프(11)에 대응되면서 접착고정되는 매직테이프(27a)가 후면에 접착고정되는 후방고정판(27)이 형성되고;
    상기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의 사각관통공(31)은, 상기 전장박스(20) 좌우측면(22,23)과 상하면(24,25) 선단 외측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사각지지링(26a)에 걸림고정되며;
    상기 마감마개(40)의 원형마감부(41) 배면에는, 후방측으로 돌출된 사각관체로, 상기 플렉시블실리콘판넬(30) 외측에서 상기 전장박스(20)의 개방부(21) 내측으로 삽입되어 억지끼움으로 고정되는 사각삽입관부(4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KR1020220032993A 2022-03-16 2022-03-16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KR102495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993A KR102495065B1 (ko) 2022-03-16 2022-03-16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2993A KR102495065B1 (ko) 2022-03-16 2022-03-16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065B1 true KR102495065B1 (ko) 2023-02-06

Family

ID=85223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993A KR102495065B1 (ko) 2022-03-16 2022-03-16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0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199B1 (ko) 2023-03-15 2023-09-06 주식회사 이공오스튜디오 마감패널
KR102579341B1 (ko) 2023-03-15 2023-09-15 주식회사 이공오스튜디오 마감패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2450A (ja) * 1994-05-25 1995-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の床パネル構造
KR20070090133A (ko) * 2007-08-17 2007-09-05 이영규 벽체 배수판
KR101068591B1 (ko) 2011-05-31 2011-10-04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실내 벽면 마감재
KR20190001549U (ko) * 2017-12-14 2019-06-24 박태근 건축용 마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2450A (ja) * 1994-05-25 1995-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の床パネル構造
KR20070090133A (ko) * 2007-08-17 2007-09-05 이영규 벽체 배수판
KR101068591B1 (ko) 2011-05-31 2011-10-04 (주)종현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실내 벽면 마감재
KR20190001549U (ko) * 2017-12-14 2019-06-24 박태근 건축용 마감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199B1 (ko) 2023-03-15 2023-09-06 주식회사 이공오스튜디오 마감패널
KR102579341B1 (ko) 2023-03-15 2023-09-15 주식회사 이공오스튜디오 마감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5065B1 (ko)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RU2628352C2 (ru) Сборный модуль для здания
US5070661A (en) Prefabricated dwelling unit
US20060059792A1 (en) Modular prefabricated house
US10689893B2 (en) Sliding door
US6701676B1 (en) Attic access apparatus
KR102146453B1 (ko) 공동주택용 실내벽면 마감구
US5606833A (en) Wall structure
US4998388A (en) Preformed unitized closet
KR20140128127A (ko) 창틀 보조용 덧창
KR101923596B1 (ko)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JP3182313B2 (ja) 住宅用内装構造、内壁構造及びユニット設備室
JP7233842B2 (ja) 住宅用可動間仕切り構造
KR20220116659A (ko) 밀폐형 도어 문틀구조
KR100928567B1 (ko) 건축용 실내벽면 마감재
CN101769082A (zh) 一种集装箱套房
JPH0734127Y2 (ja) 室内防音用間仕切装置
KR101151384B1 (ko)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방법
JP7315754B2 (ja) 集合住宅の住戸
JPH0752814Y2 (ja) 出入口用の壁パネル
JP3321696B2 (ja) 出 窓
JP2022059190A (ja) 戸建て住宅
JP6804856B2 (ja) 建物
JP289595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への排水パイプ取付方法
JP2001288906A (ja) 一居住室型住居の居住室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