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596B1 -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596B1
KR101923596B1 KR1020180061803A KR20180061803A KR101923596B1 KR 101923596 B1 KR101923596 B1 KR 101923596B1 KR 1020180061803 A KR1020180061803 A KR 1020180061803A KR 20180061803 A KR20180061803 A KR 20180061803A KR 101923596 B1 KR101923596 B1 KR 101923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surface
finishing
fixed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성
Original Assignee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1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벽면을 마감 및 단열하는 건축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있어서, 측단면이 "ㄷ"형상이고 상기 실내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박스프레임으로, 사각형상인 정면중심에는 원형삽입공을 갖는 정면판이 형성되고, 정면판 상하단에서 실내 벽면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상하면판이 각각 형성되며, 정면판의 원형삽입공 내측상하단에는 각각 실내 벽면으로 연장되어 선단부가 앵커볼트에 의해 실내 벽면에 고정되는 앵커공을 갖고 중심부에는 일부가 절단분리되어 탄성을 가지면서 선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부가 형성된 상하부탄성지지바를 각각 갖는 삽입공상하단고정바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정면 좌우측단에는 수직방향에서 내측으로 요부 형성되어 상하부에 각각 상하부체결공을 갖는 좌우측단체결요부가 각각 형성되는 벽면마감사각케이스; 측단면이 "┏┓"형상과 "┗┛"형상인 난연 및 단열재로, 좌우측에는 실내 벽면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고정앵커가 삽입되는 고정공을 각각 갖고 내부에는 각종 전선이 배선되는 배선공간을 각각 갖으며 상기 정면판 내측면 상단부와 상면판 내측면 그리고 상기 정면판 내측면 하단부와 하면판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상하단부밀착단열판; 상기 상하단부밀착단열판 사이의 정면판 내측면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난연 및 단열재인 판체로, 상기 원형삽입공 연장선상에 원형삽입통공을 갖는 정면부밀착단열판; 상기 벽면마감사각케이스의 정면판 원형삽입공에 삽입되는 원형통체의 난연 및 단열재로, 정면으로 돌출되는 선단부는 볼형이나 삼각뿔 또는 사각뿔형상 중 하나를 이루고 후방측 선단부에는 상기 삽입공상하단고정바의 상하부탄성지지바의 걸림돌부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링요부가 형성되는 방음및단열봉; 및 상기 벽면마감사각케이스가 실내 벽면에 좌우측과 상하부로 다수개가 밀착고정된 상태에서 정면판 좌우측단체결요부에 위치되어 상하부체결공 연장선상의 우측볼트공과 좌측볼트공을 통해 체결볼트로 좌우측으로 인접된 다른 벽면마감사각케이스와 일체로 체결하여 마감처리하는 마감체결수직판을 구비하는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존 벽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단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단열성능 및 방음성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배선 및 콘센트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노출면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Indoor wall surface finish for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벽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단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단열성능 및 방음성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배선 및 콘센트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노출면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적인 거주공간에서는 벽이 거의 대부분이 시멘트로 형성되어 있어 시멘트 자체에서 유해한 물질들이 발산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단열이나 보온 측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하며 방음효과가 떨어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중 여러 세대가 거주하는 아파트나 연립주택 또는 다세대주택 등과 같은 공동 주택에 있어서는 베란다(또는 발코니)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한 베란다는 각 단위세대 각각의 전면과 후면에 설치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아파트의 경우 전면과 후면에 베란다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 상기한 베란다들은 침실과 거실 및 주방을 구분시키기 위하여 창문이나 문이 달린 콘크리트 벽을 구축하거나 또는 대형의 문을 설치하는데, 최근에는 생활공간을 넓게 사용하기 위하여 침실, 거실 및 주방과 베란다 사이에는 대형의 문을 설치하고 또 상기 베란다에는 샤시창을 설치하는 건축양식을 채택하고 있다.
요즈음에는 베란다를 생활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그런데, 건축물의 외벽은 철근 콘크리트로 구축된 상태이므로 콘크리트 벽면이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재질의 특성상 삭막함을 느끼게 되고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온도와 습도 등에 의해 결로 현상이 발생되며, 이 결로로 인하여 벽체에 곰팡이가 생겨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물론, 콘크리트 벽체의 벽면에 황토 몰탈 등을 도포하거나 시트지 등을 부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노출을 막을 수 있으나, 시공성이 어렵고 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현실성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베란다의 벽체(1)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의 벽면을 마감 및 단열하는 건축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벽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종방향 몰딩(10)과; 내부에 상기 벽면과 좌우 양측을 향해 개방된 수납부가 구비된 판상이며 상기 종방향 몰딩들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벽체의 벽면을 덮어 마감하는 합성수지의 마감판(20)과; 상기 마감판의 수납부에 수납되며 일면이 상기 벽체의 벽면에 밀착되는 단열재(30)와; 상기 마감판의 상부를 상기 벽체에 설치된 샤시틀(20)에 고정하는 상부 몰딩(40)과; 상기 베란다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마감판과 단열재의 저부를 막으면서 지지하는 하부 몰딩(50)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판은 상기 벽체의 벽면에 지지되는 수직부(21), 상기 수직부의 하단부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몰딩이 안착되는 안착부(22), 상기 안착부에 힌지봉(24)을 통해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단열재를 덮는 커버(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몰딩은 상기 샤시틀에 체결구(41)로 고정되는 고정부(42), 상기 고정부의 저부에 하부를 향해 연장형성되며 상기 마감판의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마감판을 지지하는 지지부(43)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몰딩은 상기 베란다의 바닥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마감판과 단열재의 저부를 지지하는 바닥부(51), 상기 바닥부의 일측에 힌지(53)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마감판과 단열재를 덮는 덮음부(52), 상기 덮음부에 체결되어 상기 바닥부을 고정하는 잠금구(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실내 벽면 마감재"가 특허등록 제10-1068591호로 개시된바 있었다.
이런 종래의 실내 벽면 마감재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벽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하여 쾌적한 실내 거주 환경을 마련할 수 있으나, 단열성능이 미약하고, 전자제품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을 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0685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 벽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단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단열성능 및 방음성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배선 및 콘센트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노출면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벽면을 마감 및 단열하는 건축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있어서,
측단면이 "ㄷ"형상이고 상기 실내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박스프레임으로, 사각형상인 정면중심에는 원형삽입공을 갖는 정면판이 형성되고, 정면판 상하단에서 실내 벽면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상하면판이 각각 형성되며, 정면판의 원형삽입공 내측상하단에는 각각 실내 벽면으로 연장되어 선단부가 앵커볼트에 의해 실내 벽면에 고정되는 앵커공을 갖고 중심부에는 일부가 절단분리되어 탄성을 가지면서 선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부가 형성된 상하부탄성지지바를 각각 갖는 삽입공상하단고정바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정면 좌우측단에는 수직방향에서 내측으로 요부 형성되어 상하부에 각각 상하부체결공을 갖는 좌우측단체결요부가 각각 형성되는 벽면마감사각케이스;
측단면이 "┏┓"형상과 "┗┛"형상인 난연 및 단열재로, 좌우측에는 실내 벽면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고정앵커가 삽입되는 고정공을 각각 갖고 내부에는 각종 전선이 배선되는 배선공간을 각각 갖으며 상기 정면판 내측면 상단부와 상면판 내측면 그리고 상기 정면판 내측면 하단부와 하면판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상하단부밀착단열판;
상기 상하단부밀착단열판 사이의 정면판 내측면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난연 및 단열재인 판체로, 상기 원형삽입공 연장선상에 원형삽입통공을 갖는 정면부밀착단열판;
상기 벽면마감사각케이스의 정면판 원형삽입공에 삽입되는 원형통체의 난연 및 단열재로, 정면으로 돌출되는 선단부는 볼형이나 삼각뿔 또는 사각뿔형상 중 하나를 이루고 후방측 선단부에는 상기 삽입공상하단고정바의 상하부탄성지지바의 걸림돌부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링요부가 형성되는 방음및단열봉; 및
상기 벽면마감사각케이스가 실내 벽면에 좌우측과 상하부로 다수개가 밀착고정된 상태에서 정면판 좌우측단체결요부에 위치되어 상하부체결공 연장선상의 우측볼트공과 좌측볼트공을 통해 체결볼트로 좌우측으로 인접된 다른 벽면마감사각케이스와 일체로 체결하여 마감처리하는 마감체결수직판을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벽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단열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단열성능 및 방음성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배선 및 콘센트 설치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노출면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의 결합모습을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우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의 시공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 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는, 실내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벽면을 마감 및 단열하는 것으로, 실내 벽면(60)에 일정간격 좌우측과 상하측으로 각각 밀착고정되는 벽면마감사각케이스(10)와, 배선공간(23,23a)을 갖고 벽면에 고정되며 벽면마감사각케이스(10)의 내측 상하면에 각각 밀착되는 난연이면서 단열재인 상하단부밀착단열판(20,20a)과, 벽면마감사각케이스(10)의 내측 정면에 밀착되는 단열재인 정면부밀착단열판(30)과, 벽면마감사각케이스(10)의 원형삽입공(11aa)에 삽입고정되는 단열재인 방음및단열봉(40)과, 다수개의 마감체결수직판(50)을 수직방향으로 일체고정시키는 마감체결수직판(5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벽면마감사각케이스(10)는, 측단면이 "ㄷ"형상이고 상기 실내 벽면(60)에 고정설치되는 박스프레임으로, 사각형상인 정면중심에는 원형삽입공(11aa)을 갖는 정면판(11)이 형성되고, 정면판(11) 상하단에서 실내 벽면(60)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상하면판(11a,11b)이 각각 형성되며, 정면판(11)의 원형삽입공(11aa) 내측상하단에는 각각 실내 벽면(60)으로 연장되어 선단부가 앵커볼트(12b,13b)에 의해 실내 벽면(60)에 고정되는 앵커공(12a,13a)을 갖고 중심부에는 일부가 절단분리되어 탄성을 가지면서 선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부(12d,13d)가 형성된 상하부탄성지지바(12c,13c)를 각각 갖는 삽입공상하단고정바(12,13)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정면 좌우측단에는 수직방향에서 내측으로 요부 형성되어 상하부에 각각 상하부체결공(14a,14b)(15a,15b)을 갖는 좌우측단체결요부(14,1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하단부밀착단열판(20,20a)은, 측단면이 "┏┓"형상과 "┗┛"형상인 난연 및 단열재로, 좌우측에는 실내 벽면(60)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고정앵커(22,22a)가 삽입되는 고정공(21,21a)을 각각 갖고 내부에는 각종 전선이 배선되는 배선공간(23,23a)을 각각 갖으며 상기 정면판(11) 내측면 상단부와 상면판(11a) 내측면 그리고 상기 정면판(11) 내측면 하단부와 하면판(11b) 내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상기 정면부밀착단열판(30)은, 상기 상하단부밀착단열판(20,20a) 사이의 정면판(11) 내측면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난연 및 단열재인 판체로, 상기 원형삽입공(11aa) 연장선상에 원형삽입통공(31)을 갖는다
상기 방음및단열봉(40)은, 상기 벽면마감사각케이스(10)의 정면판(11) 원형삽입공(11aa)에 삽입되는 원형통체의 난연 및 단열재로, 정면으로 돌출되는 선단부는 볼형이나 삼각뿔 또는 사각뿔형상 중 하나를 이루고, 후방측 선단부에는 상기 삽입공상하단고정바(12,13)의 상하부탄성지지바(12c,13c)의 걸림돌부(12d,13d)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링요부(41)가 형성된다.
상기 마감체결수직판(50)은, 상기 벽면마감사각케이스(10)가 실내 벽면(60)에 좌우측과 상하부로 다수개가 밀착고정된 상태에서 정면판(11) 좌우측단체결요부(14,15)에 위치되어 상하부체결공(14a,15a)(14b,15b) 연장선상의 우측볼트공(51a,52a)과 좌측볼트공(51,52)을 통해 체결볼트(51b,52b)로 좌우측으로 인접된 다른 벽면마감사각케이스(10)와 일체로 체결하여 마감처리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실내 벽면(60)에 손쉽게 설치가능하고, 벽면마감사각케이스(10) 내측면의 상하단부밀착단열판(20,20a)과 정면부밀착단열판(30) 및 방음및단열봉(40)으로 인해 실내 벽면(60)의 단열성능을 보다 향상되며, 필요에 따라서 방음및단열봉(40)을 사각뿔이나 삼각뿔 및 원통 등으로 노출면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더불어 동시에 원하는 단열성능 및 방음성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하단부밀착단열판(20,20a)의 밴선공간(23,23a)을 통해서 각종 전자제품과 연결되는 배선 및 콘센트 설치를 위한 편의성이 크게 증대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벽면마감사각케이스 11 : 정면판
11a : 상면판 11b : 하면판
11aa : 원형삽입공 12,13 : 삽입공상하단고정바
12a,13a : 앵커공 12b,13b : 앵커볼트
12c,13c : 상하부탄성지지바 12d,13d : 걸림돌부
14,15 : 좌우측단체결요부 14a,15a : 상부체결공
14b,15b : 하부체결공
20,20a : 상하단부밀착단열판 21,21a : 고정공
22,22a : 고정앵커 23,23a : 배선공간
30 : 정면부밀착단열판 31 : 원형삽입통공
40 ; 방음및단열봉 41 : 링요부
50 : 마감체결수직판 51,52 : 좌측볼트공
51a,52a : 우측볼트공 51b,52b : 체결볼트
60 : 실내 벽면

Claims (1)

  1. 실내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벽면을 마감 및 단열하는 건축용 실내 벽면 마감재에 있어서,
    측단면이 "ㄷ"형상이고 상기 실내 벽면에 고정설치되는 박스프레임으로, 사각형상인 정면중심에는 원형삽입공을 갖는 정면판이 형성되고, 정면판 상하단에서 실내 벽면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상하면판이 각각 형성되며, 정면판의 원형삽입공 내측상하단에는 각각 실내 벽면으로 연장되어 선단부가 앵커볼트에 의해 실내 벽면에 고정되는 앵커공을 갖고 중심부에는 일부가 절단분리되어 탄성을 가지면서 선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부가 형성된 상하부탄성지지바를 각각 갖는 삽입공상하단고정바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정면 좌우측단에는 수직방향에서 내측으로 요부 형성되어 상하부에 각각 상하부체결공을 갖는 좌우측단체결요부가 각각 형성되는 벽면마감사각케이스;
    측단면이 "┏┓"형상과 "┗┛"형상인 난연 및 단열재로, 좌우측에는 실내 벽면에 각각 삽입고정되는 고정앵커가 삽입되는 고정공을 각각 갖고 내부에는 각종 전선이 배선되는 배선공간을 각각 갖으며 상기 정면판 내측면 상단부와 상면판 내측면 그리고 상기 정면판 내측면 하단부와 하면판 내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상하단부밀착단열판;
    상기 상하단부밀착단열판 사이의 정면판 내측면에 위치되어 밀착되는 난연 및 단열재인 판체로, 상기 원형삽입공 연장선상에 원형삽입통공을 갖는 정면부밀착단열판;
    상기 벽면마감사각케이스의 정면판 원형삽입공에 삽입되는 원형통체의 난연 및 단열재로, 정면으로 돌출되는 선단부는 볼형이나 삼각뿔 또는 사각뿔형상 중 하나를 이루고 후방측 선단부에는 상기 삽입공상하단고정바의 상하부탄성지지바의 걸림돌부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링요부가 형성되는 방음및단열봉; 및
    상기 벽면마감사각케이스가 실내 벽면에 좌우측과 상하부로 다수개가 밀착고정된 상태에서 정면판 좌우측단체결요부에 위치되어 상하부체결공 연장선상의 우측볼트공과 좌측볼트공을 통해 체결볼트로 좌우측으로 인접된 다른 벽면마감사각케이스와 일체로 체결하여 마감처리하는 마감체결수직판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KR1020180061803A 2018-05-30 2018-05-30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KR101923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803A KR101923596B1 (ko) 2018-05-30 2018-05-30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803A KR101923596B1 (ko) 2018-05-30 2018-05-30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596B1 true KR101923596B1 (ko) 2018-11-29

Family

ID=6456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803A KR101923596B1 (ko) 2018-05-30 2018-05-30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5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622B1 (ko) 2016-04-08 2016-05-30 (주)서진이앤씨 단열효율이 개선된 마감재 내장형 건축물 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622B1 (ko) 2016-04-08 2016-05-30 (주)서진이앤씨 단열효율이 개선된 마감재 내장형 건축물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0661A (en) Prefabricated dwelling unit
KR102495065B1 (ko)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CA2652839C (en) Insulation system for cement walls
KR102146453B1 (ko) 공동주택용 실내벽면 마감구
KR101609863B1 (ko) 공동주택용 실내벽면 마감재
KR101923596B1 (ko)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KR101876385B1 (ko) 장수명 주택의 내벽체 구조
KR20120002908U (ko) 조립식 타일마감재
KR101836445B1 (ko) 간격 조절 기능을 구비한 벽면 마감 조립체
US3378964A (en) Building construction and method
KR200416574Y1 (ko) 난방기능을 가지는 조립식건물
RU2235834C1 (ru) Панель дл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теплоизоляции стен
KR20180062087A (ko) 조립식 욕실 벽체 및 그 설치 방법
KR102164638B1 (ko) 스티로폼을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9150110A (ja) コンテナハウスの構造
JP2009127339A (ja) コンテナハウスの構造
WO2022081011A1 (en) Modular system for a building
KR101250680B1 (ko) 건식욕실건조방법
JP5496537B2 (ja) 組立式のサニタリーユニット
KR100650500B1 (ko) 시공이 용이한 공동주택의 기초부 외단열구조
KR100928567B1 (ko) 건축용 실내벽면 마감재
KR200384807Y1 (ko) 베란다 세대간 칸막이
KR101557151B1 (ko) 건축용 내벽체 및 건축용 내벽체의 시공방법
JP2005290778A (ja) 建築構造
KR100655270B1 (ko) 공동주택용 욕실전용 히팅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