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384B1 -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384B1
KR101151384B1 KR1020090044457A KR20090044457A KR101151384B1 KR 101151384 B1 KR101151384 B1 KR 101151384B1 KR 1020090044457 A KR1020090044457 A KR 1020090044457A KR 20090044457 A KR20090044457 A KR 20090044457A KR 101151384 B1 KR101151384 B1 KR 101151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living room
toilet
liv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5646A (ko
Inventor
이상영
Original Assignee
스타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타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384B1/ko
Publication of KR20100125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5Extraordinary methods of construction, e.g. lift-slab, jack-b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이 생활실 옆에 마련되어 독립적인 주거생활이 가능하게 계획된 기숙사, 원룸 등 소형의 독립주거를 시공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간단하게 시공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안락한 주거생활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와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는 화장실이 생활실 옆에 마련되어 독립적인 주거생활이 가능하도록 계획되는 한편, 바닥프레임, 화장실바닥구성재, 화장실벽체구성재, 생활실바닥구성재, 생활실벽체구성재, 천장구성재의 조립구조로 완성됨과 아울러 생활실바닥구성재가 온돌바닥으로 구현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생활실은 화장실을 제외한 다른 생활공간(거실, 침실, 주방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는 플러그인 건축방식으로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 골조 내부에 삽입되는 3차원 내장구성재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콘테이너형 건물과 같이 단독의 독립주거로 활용할 수 있다.
독립주거, 조립, 원룸, 기숙사, 플러그인, 공동주택

Description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방법{Unit cabin housing for independent Living and construction method of apartment hous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실이 생활실 옆에 마련되어 독립적인 주거생활이 가능하게 계획된 기숙사, 원룸 등 소형의 독립주거를 시공생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간단하게 시공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안락한 주거생활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와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물은 시공현장에서 벽체, 슬래브 등의 골조를 시공한 후 창호 등을 설치하고 내외장을 마감하는 방법으로 완성된다. 현장작업량이 많아질수록 품질확보과 공사기간에서 불리해지므로, 최근에는 공장 제작된 각종 부재를 이용하여 현장작업량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공업화 건축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공업화 건축방식 중의 하나로 플러그인 건축방식이 있다. 플러그인 건축방 식은 골조를 시공한 후 골조 내부에 3차원으로 조립된 내장구성재를 삽입하여 완성하는 건축방식이다. 이와 같은 플러그인 건축방식은 공장생산된 3차원의 내장구성재를 현장에서 접속하는 과정만으로 신속하게 건물을 완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숙사, 원룸형 아파트, 소형 오피스텔, 병원 등과 같이 직사각 소형 평면이 반복 배치되도록 계획된 공동주택 시공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골조는 그대로 두면서 3차원의 내장구성재를 교체하기만 하면 건물의 용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플러그인 건축방식은 리모델링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플러그인 건축방식은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플러그인 건축방식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유니트 모델이 제시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편, 도시가구에서 1~2인에 의한 가구 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증대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최근에는 1~2인 가구와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방편으로 도시형 생활주택에 관한 규정이 마련되었다. 주택법 시행령에 따르면 도시형 생활주택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도시지역에 건설하는 주택으로서, 단지형 다세대주택, 원룸형 주택, 기숙사형 주택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은 플러그인 건축방식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콘테이너형 건물과 같이 단독의 독립주거로도 활용할 수 있는 유니트 모델로서, 조립식으로 간단하게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안락한 주거생활이 가능하고 아울러 도시형 생활주택으로 바람직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단위공간채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의 바람직한 이용방법으로 플러그인 건축방식의 공동주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상 특징을 갖는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와 공동주택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는 화장실이 생활실 옆에 마련되어 독립적인 주거생활이 가능하게 계획된 독립주거용 공간채로서, 평면계획과 일치하는 모양으로 화장실과 생활실을 구분하면서 조립 설치되는 바닥프레임; 화장실 부분의 바닥프레임 내부 공간에 조립 설치되어 화장실의 바닥을 구성하는 화장실바닥구성재; 창호용 개구부를 마련하면서 화장실 부분의 바닥프레임 위로 화장실바닥구성재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조립 설치되어 화장실의 벽체를 구성하는 화장실벽체구성재; 생활실 부분의 바닥프레임 내부 공간에 조립 설치되어 생활실의 바닥을 구성하는 생활실바닥구성재; 창호용 개구부를 마련하면서 생활실 부분의 바닥프레임 위로 생활실바닥구성재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조립 설치되어 생활실의 벽체를 구성하며, 화장실벽체구성재와 접속하는 위치에서 연결되도록 조립 설치되는 생활실벽체구성재; 및, 생활실벽체구성재와 화장실벽체구성재 위를 덮도록 조립 설 치되어 화장실과 생활실의 천장을 구성하는 천장구성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생활실바닥구성재가, 바닥프레임보다 춤이 낮은 것으로 저면을 바닥프레임 저면에 일치시켜면서 생활실 부분의 바닥프레임을 한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조립 설치되는 연결각관; 마루와 골이 연속하게 형성되면서 마루 아래의 춤이 연결각관의 춤과 동일한 것으로, 상기 연결각관을 마루에 수용시키면서 생활실 부분의 바닥프레임 내부 공간에 위치시켜 바닥프레임에 조립 설치되는 골데크; 상기 골데크의 마루 위에 설치되는 단열패널; 상기 단열패널 위에 설치되는 난방패널; 및, 상기 난방패널 위에 설치되는 바닥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시공방법은, 기둥 또는 벽체와 함께 슬래브를 시공하여 골조를 완성하는 단계; 골조 내부에 상기한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를 삽입하는 단계;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를 골조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단위공간채는 화장실이 생활실 옆에 마련되어 독립적인 주거생활이 가능하게 계획되는 한편, 전체적으로 조립식으로 구축되면서 생활실 바닥은 골데크를 적절히 사용하여 안정적인 난방바닥으로 구축되고 화장실 바닥은 아래에 배관공간을 가지는 배수바닥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단위공간채를 이용하면 안락한 주거생활이 가능한 주택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단위공간채는 화장실과 생활실을 구비하는 독립주거를 바닥, 벽, 천장이 조립된 상태로 부품화할 수 있기 때문에 기숙사, 원룸형 아파트, 소형 오피스텔, 병원 등과 같이 직사각 소형 평면이 반복 배치되도록 계획된 공동주택 시공에 플러그인 건축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을 신축 또는 리모델링으로 공사함에 있어 신속하게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와 바닥구성도를 보여주는데,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는 플러그인 건축방식으로 건물을 시공함에 있어 골조 내부에 삽입되는 3차원 내장구성재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콘테이너형 건물과 같이 단독의 독립주거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기숙사형 타입의 단위공간채에 대한 예로서 1개의 화장실(T)과 1개의 생활실(R)로 계획된 예이고, 도 2a와 도 2b는 원룸형 타입의 단위공간채에 대한 예로서 1개의 화장실(T)과 2개의 생활실(R)로 계획된 예인데, 모두 플러그인 방식의 건물시공에 이용할 경우를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직사각 평면을 가지되 생활실(R)과 만나지 않는 화장실(T) 모서리가 내들어간 평면으로 마련하고 있다. 화장실 모서리는 덕트공간으로 이용하기 위함이다.
특히, 도 2a와 도 2b는 1개의 화장실(T)과 2개의 생활실(R)로 계획된 단위공간채에 대한 예인데, 이러한 단위공간채는 보는 바와 같이 1개의 화장실(T)이 1개의 생활실(R)을 기본 단위공간채로 구성함과 동시에 새로운 생활실(R)을 기본 단위공간채와 동일한 규격으로 구성하여 기본 단위공간채에서 화장실(T) 모서리가 형성되지 아니한 생활실(R)의 어느 한 변에 새로운 생활실(R)이 덧붙여 연결 조립함으로써 단위공간채의 규모를 확장시키고 있다.
특히, 기숙사형 타입의 단위공간채를 (2.4m~2.5m)×(3.0m~8.0m)=(7.2㎡~20.0㎡)의 규격으로 하고, 원룸형 타입의 단위공간채를 (1EA~2EA){(2.4m~2.5m)×(5.0m~6.0m)}=(12㎡~30㎡)의 규격으로 한다면, 현행 주택법시행령에 부합하는 도시형 생활주택으로 바람직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는 화장실(T)이 생활실(R) 옆에 마련되어 독립적인 주거생활이 가능하도록 계획되는 한편, 바닥프레임(100), 화장실바닥구성재(200), 화장실벽체구성재(300), 생활실바닥구성재(400), 생활실벽체구성재(500), 천장구성재(600)의 조립구조로 완성됨과 아울러 생활실바닥구성재(400)가 온돌바닥으로 구현된다는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생활실(R)은 화장실(T)을 제외한 다른 생활공간(거실, 침실, 주방 등)을 의미한다.
바닥프레임(100)은 도 1b 및 도 2b에서와 같이 평면계획과 일치하는 모양으로 화장실(T)과 생활실(R)을 구분하면서 조립 설치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의 평면계획은 바닥프레임(100)으로 그 대로 투영되는데, 이로써 바닥프레임(100)을 바탕으로 화장실?생활실바닥구성재(200, 400)와 화장실?생활실벽체구성재(300, 500)를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바닥프레임(100)은 각관, 앵글, 채널 등 다양한 형태의 강재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C형 채널을 사용한 예를 확인할 수 있다.
화장실바닥구성재(200)는 화장실(T)의 바닥을 구성하도록 화장실(T) 부분의 바닥프레임(100) 내부 공간에 조립 설치되는 구성이다. 화장실바닥구성재(200)는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면서 적절한 배관설비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받침각관(210)과 배수바닥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 화장실바닥구성재(200)를 제안하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화장실벽체구성재(300)는 화장실(T)의 벽체를 구성하도록 창호용 개구부를 마련하면서 화장실(T) 부분의 바닥프레임(100) 위로 화장실바닥구성재(200)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조립 설치되는 구성이다. 화장실벽체구성재(300)에서 창호용 개구부는 생활실(R)에서 화장실(T)로 출입가능한 문(door) 형태가 될 것이며, 다만 경우에 따라 화장실(T) 환기를 위한 창문(window) 형태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화장실벽체구성재(300)는 도 3a와 같은 단위패널을 적절히 이용하여 도 5a 내지 도 5f와 같이 연결 조립하면서 완성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생활실바닥구성재(400)는 생활실(R)의 바닥을 구성하도록 생활실(R) 부분의 바닥프레임(100) 내부 공간에 조립 설치되는 구성이다. 생활실바닥구성재(400)는 안락한 주거생활을 위해 적절한 난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에서와 같이 연결각관(410), 골데크(420), 단열패널(430), 난방패널(440), 바닥마감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된 생활실바닥구성재(400)를 제안하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생활실벽체구성재(500)는 생활실(R)의 벽체를 구성하도록 창호용 개구부를 마련하면서 생활실(R) 부분의 바닥프레임(100) 위로 생활실바닥구성재(400)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조립 설치되는 구성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는 화장실(T)과 생활실(R)을 구분하는 내벽이 화장실벽체구성재(300)와 생활실벽체구성재(500)에 의해 2겹으로 완성되며 이러한 상태는 도 1a, 도 2a, 도 4a와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생활실벽체구성재(500)는 화장실벽체구성재(300)와 접속하는 위치(서로 만나는 위치)에서 연결되도록 조립 설치되는 구성인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는 화장실(T) 벽체와 생활실(R) 벽체가 서로 연결 구속되며 이러한 구속 상태는 도 5d와 도 5e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생활실벽체구성재(500)는 화장실벽체구성재(300)와 접속하는 위치뿐만 아니라,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서도 서로 연결되도록 조립할 수 있는데 이는 도 4a와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생활실벽체구성재(500)는 화장실벽체구성재(300)와 마찬가지로 단위패널을 적절히 이용하여 완성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는 화장실(T)과 생활실(R)을 구분하는 내벽이 화장실벽체구성재(300)와 생활실벽체구성재(500)에 의해 2겹으로 완성되는 것을 감안하여 생활실벽체구성재(500)를 완성함에 있어서는 도 3a와 도 3b의 단위패널을 함께 이용할 것을 제안하며,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천장구성재(600)는 화장실(T)과 생활실(R)의 천장을 구성하도록 생활실벽체구성재(500)와 화장실벽체구성재(300) 위를 덮으면서 조립 설치되는 구성이다. 천장구성재(600)는 화장실벽체구성재(300)로 이용되는 단위패널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천장구성재(600)는 화장실벽체구성재(300)와 생활실벽체구성재(500) 각각과 연결 조립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의 바람직한 조립순서를 살펴본다. 먼저 바닥프레임(100)을 조립한다. 이어 화장실바닥구성재(200)를 조립한 후 화장실벽체구성재(300)를 조립한다. 다음으로 생활실바닥구성재(400)를 조립한 후 생활실벽체구성재(500)를 조립한다. 마지막으로 천장구성재(600)를 조립한다. 이 경우 화장실벽체구성재(300), 생활실벽체구성재(500), 천장구성재(600)는 도 3a와 도 3b의 단위패널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도 3a와 도 3b는 도 1a와 도 2a의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제작에 이용된 단위패널을 보여주는데, 이 단위패널은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조립될 때 맞물리는 구조를 갖도록 특수 구조의 패널프레임(PF)과 단열재(PI)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패널프레임(PF)의 형태에 따라 제1,2단위패널(UP1, UP2) 두 가지로 구분하여 제안한다. 제1단위패널(UP1)은 30t 두께로 단열재(PI)가 15t로 마련하는 한편 제2단위패널(UP2)은 20t 두께로 단열재(PI)가 15t로 마련하는 것이 적당하며, 단열재(PI)는 미네랄울(mineral wool) 소재가 바람직하다.
도 3a는 화장실벽체구성재(300), 생활실벽체구성재(500), 천장구성재(600)에 주요하게 이용되는 제1단위패널(UP1)을 보여주는데, 제1단위패널(UP1)은 자체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패널프레임(PF)이 채택된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제1단위패널(UP1)의 패널프레임(PF)은, 벽면부(PF1); 벽면부(PF1) 일단에서 절곡 형성된 제1너비부(PF2); 벽면부(PF1) 타단에서 제1너비부(PF2)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제1너비부(PF2)보다 길게 형성된 제2너비부(PF3); 제1너비부(PF2)에서 벽면부(PF1)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벽면부(PF1)에 평행하면서 벽면부(PF1)보다 짧게 형성된 제1접속부(PF4); 제2너비부(PF3)에서 벽면부(PF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제1접속부(PF4)보다 길지만 벽면부(PF1)보다는 짧게 형성된 제2접속부(PF5); 제2접속부(PF5)에서 벽면부(PF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제2너비부(PF3)보다 짧게 형성된 제3접속부(PF6);로 구성된다. 도 3a에서는 제1,2너비부(PF2, PF3)가 벽면부(PF1)와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되면서 제1,2너비부(PF2, PF3)의 길이 차이가 패널프레임(PF)의 두께와 일치하는 패널프레임(PF)을 채택한 제1단위패널(UP1)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단위패널(UP1)은 수평 내지 수직 연결에서 상호 간 밀착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어 유리하다(도 5a 및 도 5b 참조). 이에 따라 제1단위패널(UP1)은 어느 하나의 제1단위패널(UP1)의 제1접속부(PF4)를 이웃하는 다른 제1단위패널(UP1)의 제2접속부(PF5) 또는 제3접속부(PF6)에 안착시킨 후 스크류볼트(SB) 등으로 연결 결속시킬 수 있으며, 안착 결과 이웃하는 제1단위패널(UP1) 상호 간은 제3접속부(PF6)에 걸리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맞물려 연결되기 때문에 제1단위패널(UP1)의 부분적인 탈락 우려는 없어진다.
도 3b는 생활실벽체구성재(500)에 부분적으로 이용되는 제2단위패널(UP2)을 보여주는데, 제2단위패널(UP2)은 생활실벽체구성재(500)와 화장실벽체구성재(300)의 접속 상황을 고려하여 제안된 형태이다. 제2단위패널(UP2)은 제1단위패널의 패널프레임(PF)에서 제3접속부(PF6)가 없으면서 제1,2너비부(PF2, PF3)가 짧게 마련된 형태의 패널프레임이 적용된다. 도 3b에서는 제1,2너비부(PF2, PF3)가 벽면부(PF1)와 경사진 방향으로 마련되면서 제1,2너비부(PF2, PF3)의 길이 차이가 패널프레임(PF)의 두께와 일치하는 패널프레임(PF)을 채택한 제2단위패널(UP2)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단위패널(UP2)은 상호 간 밀착 설치를 가능케 하여 연결부의 내력 증대에 유리하다(도 5a 및 도 5b 참조). 다만, 도 5d에서와 같이 제2단위패널(UP2)과 제1단위패널(UP1)이 만나 제2단위패널의 너비부가 제1단위패널(UP1)의 벽면부(PF1)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제1,2너비부(PF2, PF3)가 경사지게 마련된 제2단위패널(UP2)을 이용하더라도 제1단위패널(UP1)과 접속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단위패널(UP2)은 제1단위패널(UP1)과 접속 위치의 너비부가 제1단위패널의 벽면부(PF1)와 일치하는 형태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단위패널을 구성하는 단열재(PI)는 패널프레임(PF)의 벽면부(PF1) 내측에 소정 두께로 마련되는데, 이때 단열재(PI)는 패널프레임의 제1너비부(PF2)의 너비보다 얇은 두께로 마련하거나 군데군데 빈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단위패널 상호 간의 연결 결속을 위한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업공간은 향후 단열사춤으로 마무리되거나 그대로 두어 공기층으로 역할하게 할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도 1a와 도 2b의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에서 화장실(T)과 생활실(R)이 만나는 위치에서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c는 도 4a와 도 4b의 종단면도에서 생활실바닥구성재의 단면상세를 도시하는데, 이들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에서 화장실바닥구성재(200)와 생활실바닥구성재(400)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실바닥구성재(200)는 받침각관(210)과 배수바닥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각관(210)은 화장실(T) 부분의 바닥프레임(100) 위로 화장실(T) 부분의 바닥프레임(100)을 따라 조립 설치되는 구성이다. 배수바닥재(220)는, 배수용 개구부가 마련되면서 경사구배된 구배바닥판(221); 구배바닥판(221) 테두리에서 상향 수직하게 마련된 수직판(222); 수직판(222)에서 외향 수평하게 마련된 수평판(223); 구배바닥판(221) 아래에 마련된 보강스티프너(224);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아울러 그 춤(depth)이 바닥프레임(100)과 받침각관(210)의 춤을 합한 것보다 작게 구성된 것으로, 수평판(223)을 받침각관(210) 위에 거치시켜 조립 설치되어 받침각관(210)의 지지를 받는 구성이다. 배수바닥재(220)는 그 춤이 바닥프레임(100)과 받침각관(210)의 춤을 합한 것보다 작기 때문에 배수바닥재(220)가 설치되면 배수바닥재(220) 아래로 빈 공간이 마련되므로 이 공간을 배수 배관설비를 위한 공간(PS)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생활실바닥구성재(400)는, 연결각관(410), 골데크(420), 단열패널(430), 난방패널(440), 바닥마감재(450)의 적층구조로 구성되며, 골데크(420)와 연결각관(410)을 적절하게 채택한 결과 구조적으로 유리하면서도 시공이 간편한 바 닥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연결각관(410)은 바닥프레임(100)보다 춤이 낮은 것으로, 저면을 바닥프레임(100) 저면에 일치시켜면서 생활실(R) 부분의 바닥프레임(100)을 한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조립 설치되는 구성이다. 골데크(420)는 마루와 골이 연속하게 형성되면서 마루 아래의 춤이 연결각관(410)의 춤과 동일한 것으로, 상기 연결각관(410)을 마루에 수용시키면서 생활실(R) 부분의 바닥프레임(100) 내부 공간에 위치시켜 바닥프레임(100)에 조립 설치되는 구성이다. 단열패널(430)은 골데크(420)의 마루 위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도 4c에서는 은박(열반사 단열재)으로 구성된 단열패널(430)을 설치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은박 아래로 소정 두께의 내수합판을 확인할 수 있는데 내수합판은 생활실(R)의 바닥 높이를 일정 높이로 맞추면서 어느 정도의 충격음 저감과 단열을 위해 제안되었다. 물론 은박과 내수합판을 합한 두께로 통상의 단열재(스티로폼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도시하지 않았지만 골데크(420)의 골 위에도 단열재가 배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난방패널(440)은 단열패널(430) 위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난방패널(440)은 카본파이프패널과 같이 조립식으로 적용성이 우수한 전기패널로 채택함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습기에 의한 난방패널(440)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난방패널(440)의 표면은 부직포와 같은 방습재료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마감재(450)는 난방패널(440) 위에 설치되는 구성이며, 다만 도 4c에서는 바닥마감재(450) 아래에 완충재(목재, 금속재 등 다양한 소재 가능)를 두어 난방패널(440)을 보호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한편 도 1a 및 도 2a에서와 같이 생활실(R)의 일부 공간을 현관으로 계획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현관은 연결각관(410), 골데 크(420), 내수합판, 타일마감을 적층하는 정도이면 된다.
도 5a 내지 도 5f는 도 1a와 도 2a의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에서 각 부분별 횡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5a 내지 도 5f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에서 도 3a와 도 3b의 제1,2단위패널(UP1, UP2)을 이용할 때 단위패널 상호 간의 연결관계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단위패널 상호 간은 연결용 프로파일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도 5a는 도 3a의 제1단위패널(UP1)을 '갓(_∩_)' 모양의 연결용 프로파일(JP1)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연결한 예를 보여주며, 이러한 연결 상태는 도 1a와 도 2a의 단위공간채에서 제1단위패널(UP1)로 화장실벽체구성재(300), 생활실벽체구성재(500), 천장구성재(600)를 조립함에 있어 하나의 면을 구성할 때 적용한다.
도 5b는 도 3a의 제1단위패널(UP1)을 'ㄱ' 모양의 연결용 프로파일(JP2)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연결한 예를 보여주며, 이러한 연결 상태는 도 1a와 도 2a의 단위공간채에서 제1단위패널(UP1)로 화장실벽체구성재(300)와 생활실벽체구성재(500)를 조립함에 있어 직각모서리를 구성할 때 적용한다.
도 5c는 도 3a의 제1단위패널(UP1)과 도 3b의 제2단위패널(UP2)을 'ㄷ' 모양의 연결용 프로파일(JP3)을 이용하여 병렬로 연결한 예를 보여주며, 이러한 연결상태는 도 1a와 도 2a의 단위공간채에서 제1단위패널(UP1)로 화장실벽체구성재(300)를 조립함과 아울러 제1,2단위패널로 생활실벽체구성재(500)를 조립함에 있어 화장실(T)과 생활실(R)을 구분하는 내벽(창호용 개구부가 형성된 변의 내벽)을 구성할 때 적용한다.
도 5d는 도 3a의 제1단위패널(UP1) 2개와 도 3b의 제2단위패널(UP2) 1개를 '수직 Z' 모양의 연결용 프로파일(JP4)을 이용하여 병렬과 수직으로 동시에 연결한 예를 보여주며, 이러한 연결상태는 도 1a와 도 2a의 단위공간채에서 제1단위패널(UP1)로 화장실벽체구성재(300)를 조립함과 아울러 제1,2단위패널로 생활실벽체구성재(500)를 조립함에 있어 화장실벽체구성재(300)와 생활실벽체구성재(500)의 접속부분(창호용 개구부가 형성된 변의 접속부분)을 구성할 때 적용한다.
도 5e는 도 3a의 제1단위패널(UP1) 2개를 서로 안착시키지 않은 상태로 어느 하나가 들어가게 배치한 후 'ㄱ' 모양의 연결용 프로파일(JP5)을 이용하여 수직으로 연결한 예를 보여주며, 이러한 연결상태는 도 1a와 도 2a의 단위공간채에서 제1단위패널(UP1)로 화장실벽체구성재(300)를 조립함과 아울러 제1,2단위패널로 생활실벽체구성재(500)를 조립함에 있어 화장실벽체구성재(300)와 생활실벽체구성재(500)의 접속부분(창호용 개구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변의 접속부분)을 구성할 때 적용한다.
도 5f는 도 3a의 제1단위패널(UP1)을 'ㄷ' 모양의 연결용 프로파일(JP6)을 이용하여 병렬로 연결한 예를 보여주며, 이러한 연결상태는 도 2a의 단위공간채에서 제1단위패널(UP1)로 생활실벽체구성재(500)를 조립함에 있어 2개의 생활실(R)을 각각 구분하는 내벽(창호용 개구부가 형성된 변의 내벽)을 구성할 때 적용한다.
도 6은 도 1a의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를 이용하여 플러그인 건축방 식으로 공동주택을 시공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보는 바와 같이 기둥 또는 벽체와 함께 슬래브를 시공하여 골조를 완성한 후, 골조 내부에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를 삽입하여 골조에 접속하면 공동주택을 완성할 수 있다. 이때 단위공간채는 골조 외곽을 둘러싸는 외벽 마감재, 골조 내부의 복도를 둘러싸는 복도벽 마감재 등을 매개로 골조와 접속(위치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의 일 실시예로서 기숙사형 타입의 단위공간채에 대한 평면도, 바닥구성도, 벽체조립순서도를 보여준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의 다른 실시예로서 원룸형 타입의 단위공간채에 대한 평면도, 바닥구성도, 벽체조립순서도를 보여준다.
도 3a와 도 3b는 도 1a와 도 2a의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제작에 이용된 단위패널을 보여준다.
도 4a와 도 4b는 도 1a와 도 2b의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에서 화장실과 생활실이 만나는 위치에서의 종단면도(A-A, B-B)를 도시한다.
도 4c는 도 4a와 도 4b의 종단면도에서 생활실바닥구성재의 단면상세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f는 도 1a와 도 2b의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에서 각 부분별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시공방법을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바닥프레임
200: 화장실바닥구성재
210: 받침각관
220: 배수바닥재
300: 화장실벽체구성재
400: 생활실바닥구성재
410: 연결각관
420: 골데크
430: 단열패널
440: 난방패널
450: 바닥마감재
500: 생활실벽체구성재
600: 천장구성재
UP1: 제1단위패널
UP2: 제2단위패널
JP1, JP2, JP3, JP4, JP5, JP6: 연결용 프로파일
SB: 스크류볼트
T: 화장실
R: 생활실

Claims (7)

  1. 화장실(T)이 생활실(R) 옆에 마련되어 독립적인 주거생활이 가능하게 계획된 독립주거용 공간채로서,
    계획된 독립주거용 공간채의 평면계획과 일치하는 모양으로 화장실(T)과 생활실(R)을 구분하면서 조립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00);
    화장실(T) 부분의 바닥프레임(100) 내부 공간에 조립 설치되어 화장실(T)의 바닥을 구성하는 화장실바닥구성재(200);
    창호용 개구부를 마련하면서 화장실(T) 부분의 바닥프레임(100) 위로 화장실바닥구성재(200)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조립 설치되어 화장실(T)의 벽체를 구성하는 화장실벽체구성재(300);
    생활실(R) 부분의 바닥프레임(100) 내부 공간에 조립 설치되어 생활실(R)의 바닥을 구성하는 생활실바닥구성재(400);
    창호용 개구부를 마련하면서 생활실(R) 부분의 바닥프레임(100) 위로 생활실바닥구성재(400)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조립 설치되어 생활실(R)의 벽체를 구성하며, 화장실벽체구성재(300)와 접속하는 위치에서 연결되도록 조립 설치되는 생활실벽체구성재(500); 및,
    생활실벽체구성재(500)와 화장실벽체구성재(300) 위를 덮도록 조립 설치되어 화장실(T)과 생활실(R)의 천장을 구성하는 천장구성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생활실바닥구성재(400)는,
    바닥프레임(100)보다 춤이 낮은 것으로, 저면을 바닥프레임(100) 저면에 일치시켜면서 생활실(R) 부분의 바닥프레임(100)을 한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조립 설치되는 연결각관(410);
    마루와 골이 연속하게 형성되면서 마루 아래의 춤이 연결각관(410)의 춤과 동일한 것으로, 상기 연결각관(410)을 마루에 수용시키면서 생활실(R) 부분의 바닥프레임(100) 내부 공간에 위치시켜 바닥프레임(100)에 조립 설치되는 골데크(420);
    상기 골데크(420)의 마루 위에 설치되는 단열패널(430);
    상기 단열패널(430) 위에 설치되는 난방패널(440);
    상기 난방패널(440) 위에 설치되는 바닥마감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2. 제1항에서,
    상기 화장실바닥구성재(200)는,
    화장실(T) 부분의 바닥프레임(100) 위로 화장실(T) 부분의 바닥프레임(100)을 따라 조립 설치되는 받침각관(210);
    배수용 개구부가 마련되면서 경사구배된 구배바닥판(221), 구배바닥판(221) 테두리에서 상향 수직하게 마련된 수직판(222), 수직판(222)에서 외향 수평하게 마련된 수평판(223), 구배바닥판(221) 아래에 마련된 보강스티프너(224)를 포함하여 구성됨과 아울러 춤(depth)이 바닥프레임(100)과 받침각관(210)의 춤을 합한 것보 다 작게 구성된 것으로, 수평판(223)을 받침각관(210) 위에 거치시켜 조립 설치되는 배수바닥재(2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화장실벽체구성재(300)는 상기 배수바닥재의 수평판(223) 위에 거치시켜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화장실벽체구성재(300), 생활실벽체구성재(500), 천장구성재(600)는 단위패널을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조립 설치되되,
    상기 단위패널은
    벽면부(PF1), 벽면부(PF1) 일단에서 절곡 형성된 제1너비부(PF2), 벽면부(PF1) 타단에서 제1너비부(PF2)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제1너비부(PF2)보다 길게 형성된 제2너비부(PF3), 제1너비부(PF2)에서 벽면부(PF1)와 대면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벽면부(PF1)에 평행하면서 벽면부(PF1)보다 짧게 형성된 제1접속부(PF4), 제2너비부(PF3)에서 벽면부(PF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제1접속부(PF4)보다 길지만 벽면부(PF1)보다는 짧게 형성된 제2접속부(PF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패널프레임(PF);과,
    상기 패널프레임의 벽면부(PF1)와 제1,2너비부(PF2, PF3)로 둘러싸인 내측에 소정 두께로 마련되는 단열재(PI);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4. 제3항에서,
    상기 단위패널은,
    벽면부(PF1), 제1,2너비부(PF2, PF3), 제1,2접속부(PF4, PF5), 제2접속부(PF5)에서 벽면부(PF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되 제2너비부(PF3)보다 짧게 형성된 제3접속부(PF6)로 구성된 제1단위패널(UP1);
    벽면부(PF1), 제1,2너비부(PF2, PF3), 제1,2접속부(PF4, PF5)로 구성됨과 동시에 제1,2너비부(PF2, PF3)가 상기 제1단위패널(UP1)의 패널프레임의 제1,2너비부(PF2, PF3)보다 짧게 구성된 패널프레임(PF)에 의한 제2단위패널(UP2);로 구분되되,
    상기 화장실벽체구성재(300)는 상기 제1단위패널(UP1)만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되며,
    상기 생활실벽체구성재(500)는 상기 제1단위패널(UP1)과 제2단위패널(UP2)을 동시에 이용하여 조립 설치되되 제2단위패널(UP2)은 화장실벽체구성재(300)와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한편 제1단위패널(UP1)은 그 외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천장구성재(600)는 상기 제1단위패널(UP1)만을 이용하여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단위공간채는 전체적으로 직사각 평면을 가지되 생활실(R)과 만나지 않 는 화장실(T) 모서리가 내들어간 평면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6. 제5항에서,
    상기 단위공간채에서 화장실(T) 모서리가 형성되지 아니한 생활실(R)의 어느 한 변에 새로운 생활실(R)이 덧붙여 연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7. 공동주택을 시공함에 있어,
    기둥 또는 벽체와 함께 슬래브를 시공하여 골조를 완성하는 단계;
    골조 내부에 제5항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를 삽입하는 단계;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를 골조에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시공방법.
KR1020090044457A 2009-05-21 2009-05-21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방법 KR101151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57A KR101151384B1 (ko) 2009-05-21 2009-05-21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457A KR101151384B1 (ko) 2009-05-21 2009-05-21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646A KR20100125646A (ko) 2010-12-01
KR101151384B1 true KR101151384B1 (ko) 2012-06-08

Family

ID=43503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457A KR101151384B1 (ko) 2009-05-21 2009-05-21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3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555B1 (ko) 2005-10-20 2006-11-29 주식회사 포스코 구조일체형 바닥온돌 장치
KR100722164B1 (ko) 2006-04-29 2007-05-30 스타코 주식회사 육상건축물 및 해양구조물의 건축용 조립식 객실의 일체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555B1 (ko) 2005-10-20 2006-11-29 주식회사 포스코 구조일체형 바닥온돌 장치
KR100722164B1 (ko) 2006-04-29 2007-05-30 스타코 주식회사 육상건축물 및 해양구조물의 건축용 조립식 객실의 일체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646A (ko)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48685B2 (ja) 公共設備設置用の事前に組み立てられた壁パネル
RU2628352C2 (ru) Сборный модуль для здания
US20180274254A1 (en) Container type combination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RU263413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я
JP6186085B2 (ja) プレハブ式の間仕切り壁および端部壁
US3793796A (en) Modular building system
KR100741757B1 (ko) 복층건물의 층간 구조체
RU2007132435A (ru) Система помещений, судно, здание и способ конструирования системы помещений
CA2722360A1 (en) Building that uses composite light-weight panels fo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20170009422A (ko) 주거 및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다층식 큐브 하우스
KR100842115B1 (ko) 공동주택용 피난구 구조
KR102495065B1 (ko)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KR102087034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조립식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151384B1 (ko) 도시형 생활주택용 단위공간채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 시공방법
JP6473382B2 (ja) 集合住宅
FI127802B (fi) Menetelmä rakennuksen rakentamiseksi
KR20070080802A (ko) 조립식월칸막이 시공방법
JP2009127339A (ja) コンテナハウスの構造
KR100622018B1 (ko) 건축물의 구축방법 및 이로부터 구축된 건축물
JP7233842B2 (ja) 住宅用可動間仕切り構造
JP6770829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壁パネルの接合構造並びに接合方法
JP5496537B2 (ja) 組立式のサニタリーユニット
KR20160100773A (ko) 조립식 벽체유닛의 결합구조
US20240200328A1 (en) Prefabricated structural panel, manufacturing method and structural system
JP4264376B2 (ja) 壁裏床下接続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