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127A - 창틀 보조용 덧창 - Google Patents

창틀 보조용 덧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127A
KR20140128127A KR20130046913A KR20130046913A KR20140128127A KR 20140128127 A KR20140128127 A KR 20140128127A KR 20130046913 A KR20130046913 A KR 20130046913A KR 20130046913 A KR20130046913 A KR 20130046913A KR 20140128127 A KR20140128127 A KR 20140128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uxiliary
panel
window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6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이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화 filed Critical 이정화
Priority to KR20130046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8127A/ko
Publication of KR20140128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3Storm doors; Combination-screen-and-storm-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 보조용 덧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본 창틀의 내면이나 외면에 보조틀을 포함하는 덧창을 더 설치하되, 보조틀에 방충부재, 비닐부재, 차양부재, 합성수지 판재 등의 보조부재를 계절에 따라 임의로 교체 가능하고, 상기 보조부재를 여닫이 또는 미닫이 형태로 개폐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창틀(1)의 내면 또는 외면에 고정되는 내측판(11)과, 상기 내측판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판(12)과, 상기 수평판의 외측 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외측판(13)을 포함하는 보조 창틀(10); 상기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의 공간(14)으로 착탈 가능한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패널(23)을 포함하는 보조 문틀(20); 상기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패널(23)에 고정되는 보조부재(30);로 이루어진 창틀 보조용 덧창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창틀 보조용 덧창{OUTER WINDOW FOR SUPPORT OF WINDOW FRAME}
본 발명은 창틀 보조용 덧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음이나 단열, 방충, 차광 등을 위해 창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덧창으로서, 방충망, 비닐, 유리, 차양판 또는 합성수지 패널 등을 보조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여 4계절 사용 가능한 창틀 보조용 덧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에는 목재 또는 금속재의 창틀에 유리 재료의 창문이 설치되어 실내에 빛이 들게 하거나 환기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오래된 건축물이나 경량 건축물의 경우 창문에 틈이 많고 단일층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단열성이나 방충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방충망이 달린 이중창으로 교체하는 방안이 있으나 이는 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경제성이 없고, 또한 벽 구조물의 두께가 얇은 경우 이중창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므로 창문 교체 방식은 많은 제약이 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간단한 방안으로서, 겨울철에 단열성을 위해 창틀의 바깥쪽이나 안쪽에 비닐을 덧대어 부착한 다음, 여름철에는 방충망을 덧대어 부착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비닐이나 방충망을 부착할 때 벨크로(velcro, 상표명) 테이프나 양면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였다가 불필요할 때 다시 떼어낼 수 있으나, 이 경우 계절이 바뀔 때마다 교체 작업을 수행하므로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창틀이나 벽에 테이프 또는 못 자국이 남게 되어 미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이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본 창틀의 내면이나 외면에 보조 창틀과 보조 문틀을 포함하는 덧창을 더 설치하되, 보조 창틀에 방충부재, 비닐부재, 차양부재, 합성수지 판재, 유리재 등의 보조부재를 계절에 따라 임의로 교체 가능하고, 상기 보조부재를 여닫이 또는 미닫이 형태로 개폐할 수 있게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의 내면 또는 외면에 고정되는 내측판과, 상기 내측판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외측 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외측판을 포함하는 보조 창틀(10); 상기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의 공간으로 착탈 가능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패널을 포함하는 보조 문틀(20); 및 상기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패널에 고정되는 보조부재(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본 창틀의 외면 또는 내면에 보조 창틀을 장착한 다음, 보조 창틀에 방충부재, 비닐부재, 차양부재, 합성수지 판재, 유리재 등의 보조부재를 계절에 따라 임의로 교체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덧창을 통해 여름철에는 방충 기능을, 겨울철에는 단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한번 장착한 상태에서 4계절 내내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기본 창문과 같이 보조부재를 여닫이 또는 미닫이 형태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필요시 통풍이나 차폐가 가능하여 기능성과 편리성이 증대될 뿐 아니라, 미관을 해치지 않으므로 시각적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 보조용 덧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 보조용 덧창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부의 분해 사시도로서, 보조 창틀의 코너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도 1의 C부의 분해 사시도로서, 보조 문틀의 코너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k는 보조 창틀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보조 문틀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 보조용 덧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틀 보조용 덧창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틀 보조용 덧창은, 창틀에 고정되는 보조 창틀(10)과, 상기 보조 창틀에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보조 문틀(20) 및 상기 보조 문틀(2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보조부재(30)는 여름철에 사용되는 방충망이나, 단열 기능을 가진 비닐 또는 합성수지판 등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창틀(10)은 창틀(1)의 내면 또는 외면에 고정되는 내측판(11)과, 상기 내측판(11)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판(12)과, 상기 수평판(12)의 외측 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외측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상기 내측판(11)과 외측판(13) 사이에는 상기 보조 문틀(20)이 내입되는 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 문틀(20)은 상기 공간(14)으로 착탈 가능한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21)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패널(23)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보조 부재(30)는 상개 패널(2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3과 같이 상기 공간(14)에는 수평판(12)에서 돌출된 레일돌기(15)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21)에는 상기 레일돌기(15)가 내입되는 레일홈(22)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 문틀(20)이 상기 공간(14) 내에서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B부의 분해 사시도로서, 보조 창틀의 코너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창틀(10)이 4각 창틀(1)에 맞추어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보조 창틀(10) 4개가 서로 직각으로 연결되고, 각 코너 연결 부분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 각 코너를 커버하는 코너마감부재(10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C부의 분해 사시도로서, 보조 문틀의 코너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문틀(20)은 4개가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어 4각 틀을 이루게 할 수 있고, 이때 각 연결 코너에는 연결구(20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보조 문틀(20)의 각 단부에는 홀(2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00)에는 직각 방향으로 상기 홀(2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0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4개의 보조 문틀(20)이 상호 직각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연결구(200)를 설치하면 상기 보조부재(30)를 설치하기 위한 틀을 이룰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k는 보조 창틀(10)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a와 같이 내측판(11)과 외측판(13) 사이 공간(14)에는 레일돌기(15)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세로로 설치된 창틀(1)에 부착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측판(11)은 양면테이프나 벨크로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3)(도 3 참조)에 의해 창틀(1)에 고정될 수도 있고, 나사나 볼트, 못 등의 고정부재(4)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6b와 같이 상기 공간(14)에는 레일돌기(15)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내측판(11)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110)가 더 형성되어 상기 수평연장부(110)가 창틀(1)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조 창틀(10)이 창틀(1)에 더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6c와 같이 상기 수평연장부(110)의 단부에는 상기 내측판(11)과 평행하도록 연장된 수직연장부(111)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직연장부(111)와 내측판(11) 사이에 창틀(1)의 상단부가 끼워지게 되므로 보조 창틀(10)이 창틀(1)에 더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6d와 같이 상기 공간(14)에 레일돌기(15)가 설치되는 대신, 상기 공간(14)에 상기 보조 문틀(20)의 베이스(21)가 내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e와 같이 상기 레일돌기(15)의 상단부분은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베이스(21)와의 접촉면이 최소화되어 마찰력이 감소하므로 보조 문틀(20)이 더 부드럽게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6f와 같이 상기 수평판(12)은 내측판(11)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돌출되되, 상기 수평판(12)의 단부와 상기 내측판(11)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판(16)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조 문틀(20)의 큰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g와 같이 상기 지지판(16)은 착탈 가능하게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지지판(16)의 각 단부에는 결속홈(16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12)과 내측판(11)에 각각 상기 결속홈(160)에 내입되는 결속돌기(161)가 구비된다.
도 6h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보조 창틀(10)은 창틀(1)의 내면 또는 외면에 고정되는 내측판(11)과, 상기 내측판(11)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판(12)과, 상기 수평판(12)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레일돌기(15)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보조 문틀(20)의 베이스(21)에는 상기 레일돌기(15)에 착탈 가능하도록 레일홈(22)이 형성되며, 이 경우 외측판(13)이 생략되므로 보조 창틀(10)의 경량화와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도 6i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보조 창틀(10)은 창틀(1)의 내면 또는 외면에 고정되는 내측하판(11')과, 상기 내측하판(1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받침판(12')과, 상기 받침판(12')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창틀(1)에 고정되는 내측상판(11")과, 상기 내측상판(1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상판(12")과, 상기 수평상판(12")의 외측 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외측판(1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내측하판(11')은 고정부재(4) 등으로 창틀(1)에 반영구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내측상판(11")은 접착부재(3)를 통해 창틀(1)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변경 방안으로서 도 6j와 같이 보조 창틀(10)은 창틀(1)의 내면 또는 외면에 고정되는 내측판(11)과, 상기 내측판(11)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받침판(12')과, 상기 받침판(12')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판(11)의 외면에 고정되는 내측상판(11")과, 상기 내측상판(11")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상판(12")과, 상기 수평상판(12")의 외측 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외측판(1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내측판(11)은 고정부재(4) 등으로 창틀(1)에 반영구적으로 고정되고, 상기 내측상판(11")은 접착부재(3)를 통해 내측판(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6에서 일부 도면에만 도시하였으나, 내측판(11) 또는 내측상판(11")의 상단에는 수평연장부(11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평연장부(110)의 단부에는 수직연장부(111)가 더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k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내측판(11)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판(12)에는 요홈(12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요홈(120)에는 털부재(1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판(12)에 레일돌기나 외측판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조 문틀(20)을 여닫이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보조 문틀(20)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a와 같이 비닐(31) 등의 보조 부재는 접착부재(3)를 통해 패널(23)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21)의 하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 창틀(10)과의 접촉 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상기 패널(23)의 일측 면에는 돌기(25)가 구비되고, 커버(250)는 상기 돌기(25)를 감싸도록 결속된다. 이 경우 비닐(31)의 가장자리를 상기 돌기(25)와 커버(250) 사이에 개재시켜서 고정할 수 있고, 필요시 커버(250)를 분리하면 비닐(31)을 떼어낼 수 있으므로 보조부재의 교체가 용이하다.
도 7c와 같이 상기 패널(23)의 양측 면에 돌기(25)를 마련하는 경우, 2겹의 비닐(31)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d와 같이 패널(23)에 비닐(31)을 고정시키는 방식은, 상기 패널(23)에 홈(26)을 형성하고, 삽입부재(260)가 상기 홈(26)에 끼워져서 졀속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홈(26)은 패널(23)의 일측 면 또는 양측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보조 창틀 11: 내측판
12: 수평판 13: 외측판
14: 공간 15: 레일돌기
16: 지지판
20: 보조 문틀 21: 베이스
22: 레일홈 23: 패널
24: 홀 25: 돌기
26: 홈
30: 보조부재 31: 비닐

Claims (17)

  1. 창틀(1)의 내면 또는 외면에 고정되는 내측판(11)과, 상기 내측판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판(12)과, 상기 수평판의 외측 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외측판(13)을 포함하는 보조 창틀(10);
    상기 내측판과 외측판 사이의 공간(14)으로 착탈 가능한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패널(23)을 포함하는 보조 문틀(20);
    상기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패널(23)에 고정되는 보조부재(3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2. 창틀(1)의 내면 또는 외면에 고정되는 내측판(11)과, 상기 내측판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판(12)과, 상기 수평판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레일돌기(15)를 포함하는 보조 창틀(10);
    상기 레일돌기에 착탈 가능하도록 레일홈(22)이 형성된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패널(23)을 포함하는 보조 문틀(20);
    상기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패널(23)에 고정되는 보조부재(3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3. 창틀(1)의 내면 또는 외면에 고정되는 내측하판(11')과, 상기 내측하판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받침판(12')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창틀에 고정되는 내측상판(11")과, 상기 내측상판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상판(12")과, 상기 수평상판의 외측 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외측판(13)을 포함하는 보조 창틀(10);
    상기 내측상판과 외측판 사이의 공간(14)으로 착탈 가능한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패널(23)을 포함하는 보조 문틀(20);
    상기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패널(23)에 고정되는 보조부재(3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4. 창틀(1)의 내면 또는 외면에 고정되는 내측판(11)과, 상기 내측판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받침판(12')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판의 외면에 고정되는 내측상판(11")과, 상기 내측상판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상판(12")과, 상기 수평상판의 외측 단부에서 상향 연장된 외측판(13)을 포함하는 보조 창틀(10);
    상기 내측상판과 외측판 사이의 공간(14)으로 착탈 가능한 베이스(21)와, 상기 베이스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패널(23)을 포함하는 보조 문틀(20);
    상기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패널(23)에 고정되는 보조부재(3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 문틀(20)은 4개가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어 4각 틀을 이루고, 각 코너에는 연결구(20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되, 상기 보조 문틀의 각 단부에는 홀(2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00)에는 직각 방향으로 상기 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0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6. 제 1항, 제 3항,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14)에 레일돌기(15)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레일돌기(15)가 내입되는 레일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7. 제 1항, 제 3항,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11)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11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장부(110)의 단부에는 상기 내측판(11)과 평행하도록 연장된 수직연장부(11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9.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상판(11")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11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장부(110)의 단부에는 상기 내측상판(11")과 평행하도록 연장된 수직연장부(11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11. 제 1항, 제 3항,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14)에 상기 베이스(21)가 내입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레일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돌기(15)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21)와의 접촉면이 감소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12)은 내측판(11)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돌출되되, 상기 수평판(12)의 단부와 상기 내측판(11)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판(16)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6)은 착탈 가능하게 되되, 상기 지지판(16)의 각 단부에 결속홈(16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과 내측판에 각각 상기 결속홈에 내입되는 결속돌기(16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1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3)의 일측 면 또는 양측 면에 돌기(25)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25)를 감싸서 결속되는 커버(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1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23)의 일측 면 또는 양측 면에 홈(26)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끼움 결속되는 삽입부재(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1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30)는 방충망, 비닐, 합성수지판, 유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보조용 덧창.
KR20130046913A 2013-04-26 2013-04-26 창틀 보조용 덧창 KR20140128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913A KR20140128127A (ko) 2013-04-26 2013-04-26 창틀 보조용 덧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913A KR20140128127A (ko) 2013-04-26 2013-04-26 창틀 보조용 덧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127A true KR20140128127A (ko) 2014-11-05

Family

ID=5245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6913A KR20140128127A (ko) 2013-04-26 2013-04-26 창틀 보조용 덧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81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220A (ko) * 2017-09-27 2019-04-04 대림산업 주식회사 덧창
KR102118112B1 (ko) * 2019-07-09 2020-06-09 권금주 창호용 방진망과 방충망 선택 사용구조
KR102151185B1 (ko) 2019-12-31 2020-09-02 (주)코렌아트 보강바가 구비되는 이중 방충망 창호 구조
KR102648737B1 (ko) * 2023-01-06 2024-03-18 (주) 텍스토머 방충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220A (ko) * 2017-09-27 2019-04-04 대림산업 주식회사 덧창
KR102118112B1 (ko) * 2019-07-09 2020-06-09 권금주 창호용 방진망과 방충망 선택 사용구조
KR102151185B1 (ko) 2019-12-31 2020-09-02 (주)코렌아트 보강바가 구비되는 이중 방충망 창호 구조
KR102648737B1 (ko) * 2023-01-06 2024-03-18 (주) 텍스토머 방충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8127A (ko) 창틀 보조용 덧창
JP2011202360A (ja) 開口部装置
KR101913569B1 (ko) 가변형 구조를 갖는 창호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KR20110036397A (ko) 커튼 웰 시스템 창호용 보조문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JP5374239B2 (ja) 開口部装置
JP6644654B2 (ja) 建物開口部の上部排水構造
JP6877918B2 (ja) 外壁改装構造
JP6867238B2 (ja) 建具
JP4852578B2 (ja) 機能面材の取付構造、取付方法および建具
JP5303499B2 (ja) 改装サッシユニット及び改装ユニットの取付方法
KR20160004239U (ko) 글라스창호 및 한지창호를 구비한 복합 창호
JP2007040101A (ja) サッシ窓
JP3892857B2 (ja) サッシ窓
KR20130081810A (ko) 우드셔터의 설치구조 및 설치방법
JPS6113670Y2 (ko)
JP7240841B2 (ja) 建具
KR101627814B1 (ko) 실내 기능성 창호
JP6831212B2 (ja) 自動ドア
JPH0219494Y2 (ko)
JP2007247150A (ja) 引戸構造施工方法及び引戸構造
JP3277322B2 (ja) 障 子
JPH0145355Y2 (ko)
JP3447983B2 (ja) 建 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31

Effective date: 2016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