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669B1 - 감시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669B1
KR102494669B1 KR1020160052315A KR20160052315A KR102494669B1 KR 102494669 B1 KR102494669 B1 KR 102494669B1 KR 1020160052315 A KR1020160052315 A KR 1020160052315A KR 20160052315 A KR20160052315 A KR 20160052315A KR 102494669 B1 KR102494669 B1 KR 102494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vibrating member
vibrating
housing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3097A (ko
Inventor
임용섭
김대경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466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097A/ko
Priority to KR1020230008099A priority patent/KR20230019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19Details of cas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2Camera support structures, e.g. attachment means, po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영상촬영부와, 영상촬영부의 전방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커버와, 커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커버를 진동시키는 진동부재와, 진동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커버와 진동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커버의 진동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하우징과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커버의 진동을 흡수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시스템{Security camera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안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외부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대한 수요 및 시장성이 증가하고 있다.
아웃 도어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는 렌즈 모듈을 보호하기 위해 투명한 커버를 설치하나, 외부 환경에 의해 취득되는 영상에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한 커버에 빗물이나 서리 등의 자연현상으로 인해 물방울이 맺혀 시야를 가림으로써 선명한 영상을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야외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투명한 커버에 부착될 경우에도 시야를 가려 선명한 영상을 확보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주기적으로 세척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세척 중에는 감시 카메라가 흔들리거나 시야가 가려지게 되어 실질적인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물리적인 접촉으로 인해 커버의 표면이 손상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와이퍼(wiper)를 이용하여 커버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이퍼는 커버의 표면을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밖에 없고, 또한 와이퍼와 커버의 마찰로 인해 커버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미세한 돌 가루 등에 의하여 커버의 표면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취득되는 영상에 노이즈가 증가하여 선명한 화질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와이퍼는 외부에 노출되므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다른 방법으로, 커버의 표면을 친수 코팅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코팅층의 균일도포에 한계가 있으며, 우천시 불균일한 수막이 형성되어 영상에 왜곡이 발생하고, 외부 환경에 의한 열화 현상에 의해 기능이 저하하거나 상실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감시 카메라 시스템과는 별도로 설치되며, 렌즈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와이퍼(air wiper)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빗물이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모터와 팬을 구비하여야 한다. 즉, 에어 와이퍼는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여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외형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감시 카메라의 본체 이외의 외부에 설치되는 장치가 추가됨에 따라 설치비용이 증가될 수 있으며, 또한 전체적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중량이 증가되어 설치되는 장소나 설치용 보조장치의 강성이 증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 와이퍼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과는 별도 장치인 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482759호 (발명의 명칭: 감시카메라 와이퍼 장치)에는 와이퍼를 구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감시카메라 와이퍼 장치가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482759호 (2015.01.08. 공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커버에 부착되는 물방울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영상촬영부와, 영상촬영부의 전방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커버와, 커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커버를 진동시키는 진동부재와, 진동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커버와 진동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커버의 진동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하우징과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커버의 진동을 흡수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진동부재는 회전구동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진동부재는 회전구동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진동부재는 회전축으로부터 진동부재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부재는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커버를 진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진동부재가 제1 방향으로 커버를 진동시킬 경우, 하우징은 진동부재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을 구비하고, 씰링부재는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홀을 구비하며, 제1 수용홈과 제1 수용홀은 서로 연결되어 진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재도 함께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부재가 제2 방향으로 커버를 진동시킬 경우, 하우징 및 씰링부재 중 하나 이상은 진동부재 및 탄성부재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홀을 구비하고, 진동부재와 탄성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진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재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커버를 진동시키는 간단한 구조를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하여 커버의 표면에 부착되는 물방울이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동부재 및 회전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진동부재 및 회전구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다른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진동부재의 변형예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다른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 관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진동부재 및 회전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진동부재 및 회전구동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다른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하우징(110), 영상촬영부(120), 커버(130), 진동부재(140), 회전구동부(150), 탄성부재(160) 및 씰링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 내부에 밀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밀폐 공간이란, 하우징(110)에 의해 밀폐되어 외부로부터 유체나 이물질 등의 유입이 차단된 공간을 일컫는다.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하우징(110)의 밀폐 공간에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구동을 위한 회로부품과 광학부품 및 제어부품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하우징(110)은 일반적인 박스형 카메라(box type camera)의 본체로써, 하우징(110)의 Y축 방향으로의 절단면은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단,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X축 방향으로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을 중심으로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하우징(110)을 좌우로 각 운동시키는 패닝 구동부(미도시)와, 상하로 회동시키는 틸팅 구동부(미도시)와 별도로 결합될 수 있으며, 피사체(subject)를 확대 및 축소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줌 렌즈(zoom lens)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상하 및 좌우 회전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를 원하는 배율로 촬영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등의 외부 컨트롤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며, 사용자는 외부 컨트롤 장치를 조작하여 감시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 모드란 사용자가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수동으로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자세를 제어하는 수동 모드와, 사용자가 미리 저장해놓은 감시 위치를 일정한 시간에 순차적으로 감시하는 프리셋 모드일 수 있다.
영상촬영부(120)는 렌즈 및 촬상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컨트롤 장치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감시 모드에 따라 구동되어 감시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상세히, 렌즈는 전술한 줌 렌즈 및 포커싱 렌즈(focusing len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상소자는 영상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CCM(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130)는 영상촬영부(1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영상촬영부(12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성요소로써,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어 외부의 피사체를 영상촬영부(120)로 투영시킬 수 있다.
커버(13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방향(도 1의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으나, 커버(130)는 제1 방향 이외에도 제1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설치될 수도 있다. 단,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버(130)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진동부재(140)는 커버(13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커버(130)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진동부재(140)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작동 방식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구동부(150)는 진동부재(14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진동부재(140)는 회전구동부(150)의 회전축(C)에 결합되어,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탄성부재(160)는 커버(130)와 진동부재(140)의 사이에 설치되어 커버(130)의 진동을 지지할 수 있다. 상세히, 탄성부재(160)는 커버(130)가 진동하는 동안 커버(130)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진동부재(140)에 의해 커버(130)가 직접적인 힘을 받아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6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일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탄성부재(160)는 커버(130)의 진동을 흡수 및 지지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그 어떠한 물질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씰링부재(170)는 하우징(110)과 커버(130)의 사이에 설치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커버(130)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씰링부재(17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고무,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다면 그 어떠한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진동부재(140) 및 회전구동부(15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진동부재(140)는 회전구동부(150)의 회전축(C)을 중심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편심 회전자(eccentric rotating mass)일 수 있다. 즉, 진동부재(140)는 회전축(C)을 중심으로 일측은 L1의 길이를 갖고,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은 L1보다 긴 L2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L1의 길이를 갖는 진동부재(140)의 일측을 "단측"이라고 정의하고, L2의 길이를 갖는 진동부재(140)의 타측은 "장측"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다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동부재(140)의 장측이 탄성부재(160) 및 커버(130)를 진동시키고 있는 경우를 "제1 위치"라고 하고,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동부재(140)의 단측이 탄성부재(160) 및 커버(130)를 진동시키고 있는 경우를 "제2 위치"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상세히, 진동부재(14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왕복하며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진동부재(140)와 회전구동부(150)와 같은 간단한 구성으로 커버(130)에 제1 방향(참조부호 A)으로 진동을 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진동부재(140)를 수용하는 수용홈(11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부재(140)의 회전 반경은 L2의 길이에 해당하므로, 수용홈(111)은 진동부재(140)가 회전하는 데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L2의 두 배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거나 그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130)와 진동부재(140) 사이에는 탄성부재(160)가 개재되어 진동부재(140)의 회전 구동 중에 지속적으로 커버(130)의 진동을 탄성 지지할 수 있으므로, 돌발적으로 커버(130)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과 커버(130)의 사이에는 씰링부재(170)가 개재될 수 있으며, 씰링부재(170)는 커버(130)의 진동을 흡수하여 커버(130)의 진동으로 인해 하우징(110)이 파손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씰링부재(170)는 탄성부재(160)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홀(17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수용홀(171)은 제1 수용홈(111)과 서로 연결되어 진동부재(140)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재(160)도 함께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진동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진동부재(140a)는 회전구동부(150a)의 회전축(C)을 중심으로 R의 반지름을 갖는 원형의 편심 회전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진동부재(140a)는 회전축(C)으로부터 진동부재(140a)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41a)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141a)는 회전축(C)의 중심으로부터 h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a에 나타난 진동부재(140a)의 경우에는 진동부재(140a)의 본체 부분, 즉 반지름 R을 갖는 진동부재(140a)의 외주면이 탄성부재(160)와 접촉하여 커버(130)를 진동하는 제3 위치(도 7 참조)와, 돌출부(141a)가 탄성부재(160)와 접촉하여 커버(130)를 진동하는 제4 위치(도 6 참조)의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커버(130)를 진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b를 참조하면, 진동부재(140b)는 복수개의 돌출부(141b)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진동부재(140a)(140b)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고 가정했을 때 도 5b에 도시된 복수개의 돌출부(141b)를 구비하는 진동부재(140b)는 도 5a에 도시된 진동부재(140a)보다 더 빠른 주기로 커버(130)를 진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동부재(140a)(140b)에 구비되는 돌출부(141a)(141b)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커버(130)에 가해지는 진동의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도3에 나타난 진동부재(140)의 구성을 도 5a, 도 5b에 나타난 진동부재(140a)(140b)와 같이 간단히 변경함으로써 커버(130)에 가해지는 진동 주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다른 작동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은 진동부재(240)와 회전구동부(150)의 배치 구조를 제외하면 전술한 도 1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동일하게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6과 도 7의 하우징(210), 영상촬영부(220), 커버(230), 탄성부재(260), 씰링부재(270)에 대해서는 약술하고, 대신 진동부재(240)와 회전구동부(150)를 중심으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6과 도 7에 나타난 진동부재(240)는 도 5a의 진동부재(140a)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진동부재(240)는 제1 방향(도 1의 참조부호 A)과 교차하는 제2 방향(참조부호 B)으로 커버(23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때,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동부재(240)의 돌출부(241)가 탄성부재(260) 및 커버(230)를 진동시키고 있는 경우를 "제5 위치"라고 하고,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진동부재(240)의 반지름 R을 갖는 외주면이 탄성부재(260) 및 커버(230)를 진동시키고 있는 경우를 "제6 위치"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진동부재(240)는 제5 위치와 제6 위치 사이를 왕복하여 회전축(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진동부재(240)와 회전구동부(250)와 같은 간단한 구성으로 커버(230)를 제2 방향(참조부호B)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상세히, 하우징(210) 및 씰링부재(270) 중 하나 이상은 진동부재(240) 및 탄성부재(260)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는 제2 수용홀(도 6의 271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씰링부재(270)는 탄성부재(260)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홀(271)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 및 7의 하우징(210)은 탄성부재(260)를 수용하는 별도의 구조를 갖지 않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하우징(210)은 탄성부재(260)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홀(271)과 일체로 연결되는 별도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진동부재(240)와 탄성부재(260)가 함께 이동하는 구동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진동부재(240)와 탄성부재(260)가 함께 제2 수용홀(271)에 수용될 수 있는 것으로 묘사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진동부재(240)가 제2 수용홀(271)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부재(260)를 가압하고, 이때 탄성부재(260)는 제2 수용홀(271)에 수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및 도 6에 나타난 회전구동부(150)(250)는 전술한 외부 컨트롤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영상촬영부(120)(22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이 커버(130)(230)에 맺힌 물방울로 인해 흐리게 보일 경우, 사용자가 직접 외부 컨트롤 장치를 조작하여 회전구동부(150)(250)를 구동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는 외부 컨트롤 장치를 조작하여 회전구동부(150)(250)의 회전 속도 또한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버(130)(230)에 가해지는 진동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200)은 커버(130)(230)에 부착되는 물방울이나 이물질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외부 컨트롤 장치를 이용하여 회전구동부(150)(250)를 직접적으로 제어할 필요 없이, 커버(130)(230)에 물방울이나 이물질이 부착된 것을 센서가 감지할 경우 자동으로 회전구동부(150)(250)를 구동하여 커버(130)(230)에 진동을 가할 수도 있다. 물론, 영상촬영부(120)(220)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기설정된 선명도 이하의 영상이 얻어질 경우에도 자동으로 회전구동부(150)(250)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200)의 구성에 의하면, 진동부재(140)(240)와 이를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150)(250)와 같은 간단한 구성으로 커버(130)(230)를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60)(260)와 씰링부재(170)(270)는 커버(130)(230)의 지속적인 진동을 흡수 및 완화 해줌으로써, 하우징(110)(210)이나 커버(130)(230)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심할 경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감시 카메라 시스템 140: 진동부재
110: 하우징 150: 회전구동부
120: 영상촬영부 160: 탄성부재
130: 커버 170: 씰링부재

Claims (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의 전방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투명한 커버;
    상기 커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커버를 진동시키는 진동부재;
    상기 진동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커버와 상기 진동부재에 개재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지속적으로 상기 커버의 진동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의 사이에 설치되고, 소정의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진동을 흡수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회전구동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진동부재의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진동시키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진동시킬 경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진동부재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제1 수용홀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수용홈과 상기 제1 수용홀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도 함께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커버를 진동시킬 경우,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씰링부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제2 수용홀을 구비하고,
    상기 진동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도 함께 이동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0160052315A 2016-04-28 2016-04-28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494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315A KR102494669B1 (ko) 2016-04-28 2016-04-28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0230008099A KR20230019255A (ko) 2016-04-28 2023-01-19 감시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315A KR102494669B1 (ko) 2016-04-28 2016-04-28 감시 카메라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099A Division KR20230019255A (ko) 2016-04-28 2023-01-19 감시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097A KR20170123097A (ko) 2017-11-07
KR102494669B1 true KR102494669B1 (ko) 2023-02-01

Family

ID=603850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315A KR102494669B1 (ko) 2016-04-28 2016-04-28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0230008099A KR20230019255A (ko) 2016-04-28 2023-01-19 감시 카메라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099A KR20230019255A (ko) 2016-04-28 2023-01-19 감시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946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1866B (zh) * 2018-09-29 2021-06-29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室内除尘方法、装置及系统
KR102502389B1 (ko) * 2022-05-12 2023-02-23 주식회사 디케이앤트 빗물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감시 카메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77B1 (ko) * 2009-12-29 2011-01-13 지승태 감시카메라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150B1 (ko) * 2008-01-11 2014-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의 먼지 제거 장치
KR101482759B1 (ko) 2014-07-23 2015-01-26 주식회사 시큐라플러스 감시카메라 와이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77B1 (ko) * 2009-12-29 2011-01-13 지승태 감시카메라 윈도우의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255A (ko) 2023-02-07
KR20170123097A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19255A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7207864B2 (ja) 光センサ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及び関連する運転支援システム
US6607606B2 (en) Self-cleaning lens shield
KR101704342B1 (ko) 렌즈커버 청소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JP5045967B2 (ja) 投射型表示装置
JP6740275B2 (ja) 清掃装置
JP7362236B2 (ja) 光センサ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対応する組み立て方法
KR102294403B1 (ko) 와이퍼를 구비한 cctv 카메라
US20080181600A1 (en) Photographing Device in Particular For Video Surveillance and Working Methods of Same
JP2007110665A (ja) カメラハウジング装置
JP6494243B2 (ja) 撮像装置
JP2004329497A (ja) 球形ハウジング装置
KR20200141708A (ko) 청소장치가 구비된 차량번호 판독용 카메라장치
KR102124996B1 (ko) 카메라 렌즈 전면 자동 세척장치
JP7481819B2 (ja) 自動車両用の運転支援システムの光学センサ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
WO2005096091A1 (en) Cameras and methods of cleaning cameras
US20200307523A1 (en) Vehicle optical device
JP2000267181A (ja) カメラ用ワイパー装置
JP2017173389A (ja) 撮像装置
KR200494074Y1 (ko) 촬상 장치
KR102301660B1 (ko) 윈도우 회전형 센서 클리닝 시스템
KR100717894B1 (ko) 팬/틸트 카메라
KR20190142706A (ko) 이물질 자동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US20170329203A1 (en) Shutter unit, imaging apparatus provided with shutter unit
KR102168750B1 (ko) Cctv용 탈부착 이물질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