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2706A - 이물질 자동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 Google Patents

이물질 자동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2706A
KR20190142706A KR1020180130359A KR20180130359A KR20190142706A KR 20190142706 A KR20190142706 A KR 20190142706A KR 1020180130359 A KR1020180130359 A KR 1020180130359A KR 20180130359 A KR20180130359 A KR 20180130359A KR 20190142706 A KR20190142706 A KR 20190142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frame
housing
cleaner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문
Original Assignee
김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문 filed Critical 김종문
Priority to KR102018013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42706A/ko
Publication of KR20190142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2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23/81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by dust removal, e.g. from surfaces of the image sensor or processing of the image signal output by the electronic image sensor
    • H04N5/217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가 제공된다. 상기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린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클린 모듈은 회전 가능한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 단과 연결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이 회전되도록 수축 및 연장되는 신축 프레임, 및 상기 바디 프레임의 타 단과 연결되어 렌즈 주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너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물질 자동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CCTV camera comprising Automatic removal appratus of foreign material}
본 발명은 거미줄을 포함한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 하우징 외부에 배치되는 신축 프레임의 수축 또는 연장에 따라, 바디 프레임 및 클리너가 회전하여, 렌즈 주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거미줄을 포함한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는 각종 보안 시설에 대한 보안 목적의 무인감시용, 은행이나 백화점 등에서의 도난방지 감시용, 공장에서 라인 점검 또는 불량점검용, 고속도로에서의 과속 무인감시 또는 교통 소통 상태 확인용, 전철역 구내의 안전 감시용 또는 기타의 안전설비의 안전점검 및 의료분야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은 CCTV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공장설비나 고속도로 변 또는 전철역 구내 등에 설치되는 경우 카메라에 먼지 등이 많이 쌓이게 되고, 천장 또는 벽 구석에 설치되는 경우 카메라 주위로 거미줄이 자주 생성되어 영상 촬영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CCTV 주위의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번호 20-2012-0000461(출원번호: 20-2010-0007777, 출원인: 이영모)에는, 피사체를 영상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감시카메라가 내장되는 본체와, 외부로부터 감시카메라를 보호하도록 본체 외측에 씌워지는 덮개와, 본체 일측에 설치되며 주기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렌즈 보호창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밖에도 CCTV 주위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 번호 20-2012-0000461
본 발명이 해결하고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렌즈 주위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거미줄을 포함한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물질 제거 범위가 증가된 거미줄을 포함한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터 또는 외력의 제공 없이 구동되는 거미줄을 포함한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촬영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 단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이 연장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축 또는 연장됨에 따라 상기 바디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신축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각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디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 프레임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여 상기 렌즈 주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너를 포함하는 클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축 프레임은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축 또는 연장되는 형상 기억합금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리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은 힌지축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리너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바디 프레임이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상기 촬영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 단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이 연장되는 방향인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축 또는 연장됨에 따라 상기 바디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신축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각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디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 프레임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여 상기 렌즈 주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클리너를 포함하는 상기 클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 프레임은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축 또는 연장되는 형상 기억합금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주위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는 촬영 모듈(110, 120), 및 클린 모듈(210, 220, 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모듈은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110) 및 상기 렌즈를 둘러싸는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2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은 도 1의 X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클린 모듈은 바디 프레임(210), 신축 프레임(220), 및 클리너(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 프레임(220), 상기 클리너(230), 및 상기 바디 프레임(230)는 각각 제1 방향, 제2 방향, 및 제3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각인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방향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X축, Y축, 및 Z축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클린 모듈의 각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된다.
상기 바디 프레임(210)은 상기 하우징(12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 프레임(210) 및 상기 하우징(120)은 힌지축(215)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프레임(210)은 상기 힌지축(215)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20)의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신축 프레임(220)은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축 프레임(220)은, 상기 신축 프레임(220)이 연장되는 방향인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수축 또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신축 프레임(220)이 수축 또는 연장되는 경우,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상기 하우징(120)의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신축 프레임(220)이 수축되는 경우, 상기 신축 프레임(220)이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일 단을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 프레임(210)은 상기 하우징(120)의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신축 프레임(220)이 연장되는 경우, 상기 신축 프레임(220)이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일 단을 밀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 프레임(210)은 상기 하우징(120)의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프레임(210)과 연결된 상기 신축 프레임(220)의 일 단과 반대 방향에 배치된 상기 신축 프레임(220)의 타 단은,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신축 프레임(220)이 수축 또는 연장되는 경우, 상기 바디 프레임(210)과 연결된 상기 신축 프레임(220)의 일 단의 위치는 변동되지만, 상기 신축 프레임(220)의 타 단의 위치는 변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신축 프레임(220)은 형상 기억합금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축 프레임(220)은 형상 기억합금을 포함하는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상기 형상 기억합금은 온도에 따라 수축 및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형상 기억합금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 기억합금은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형상 기억합금 구조물을 포함하는 상기 신축 프레임(220)은 태양이 떠있는 낮 시간 동안에는 수축되고, 태양이 진 후인 밤 시간 동안에는 연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구동 모터 또는 외력 없이, 상기 신축 프레임(220)의 수축 및 연장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클리너(230)는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타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일 단에는 상기 신축 프레임(220)이 연결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220)의 타 단에는 상기 클리너(23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리너(230)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클리너(230)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긴 경우, 상기 클린 모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클리너(230) 또한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신축 프레임(220)이 수축 또는 연장됨에 따라, 상기 클리너(230)가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렌즈(110) 주위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리너(230)는 상기 렌즈(110) 주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물질은 거미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클리너(23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리너(230)가 상기 렌즈(110)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 렌즈(110)가 촬영하는 영상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신축 프레임(220)이 상기 형상 기억합금 구조물을 포함하는 경우, 구동 모터 없이, 상기 신축 프레임(220)의 수축 또는 이완이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 프레임(2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또는 외력 없이, 상기 클리너(230)는 상기 렌즈(110) 주위를 반복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110) 주위에 배치된 거미줄과 같은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제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미줄과 같은 이물질의 형성이 예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는 상기 렌즈(110), 및 상기 렌즈(110)를 둘러싸는 상기 하우징(120)을 포함하는 상기 촬영 모듈, 및 상기 하우징(120)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20)의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상기 바디 프레임(210),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일 단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20)이 연장되는 방향인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축 또는 연장됨에 따라 상기 바디 프레임(210)을 상기 하우징(120)의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신축 프레임(220),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각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여 상기 렌즈(110) 주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클리너(230)를 포함하는 상기 클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 프레임(220)은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축 또는 연장되는 형상 기억합금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렌즈 주위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가 설명되었다. 이하, 이물질 제거 영역 범위가 향상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가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을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는 촬영 모듈(110, 120), 및 클린 모듈(210, 220, 230, 240, 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모듈은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110) 및 상기 렌즈를 둘러싸는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2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은 도 1의 X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클린 모듈은 바디 프레임(210), 제1 신축 프레임(220), 제1 클리너(230), 제2 클리너(240), 및 제2 신축 프레임(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신축 프레임(22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클리너(230, 240)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바디 프레임(210) 및 상기 제2 신축 프레임(250)은 제3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에 직각인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방향은 각각, 도 4에 도시된 X축, Y축, 및 Z축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클린 모듈의 각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된다.
상기 바디 프레임(210)은 상기 하우징(12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 프레임(210) 및 상기 하우징(120)은 제1 힌지축(215)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프레임(210)은 상기 제1 힌지축(215)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20)의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축 프레임(220)은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축 프레임(220)은, 상기 제1 신축 프레임(220)이 연장되는 방향인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수축 또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축 프레임(220)이 수축 또는 연장되는 경우,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상기 하우징(120)의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축 프레임(22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가 포함하는 상기 신축 프레임(220)과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제1 클리너(230)는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타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리너(23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가 포함하는 상기 클리너(230)와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제2 클리너(240)는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타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클리너(240) 및 상기 바디 프레임(210)은 제2 힌지축(216)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클리너(240)는 상기 제1 클리너(230)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신축 프레임(220)이 수축 또는 연장되는 경우, 상기 제1 클리너(230) 및 상기 제2 클리너(240)는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어, 상기 렌즈(110) 주위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클리너(240)는 상기 제2 힌지축(216)에 의하여,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연장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클리너(230) 및 상기 제2 클리너(240) 사이에는 상기 제2 신축 프레임(2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신축 프레임(250)은 상기 제1 클리너(230) 및 상기 제2 클리너(240)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신축 프레임(250)은 형상 기억합금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신축 프레임(250)은 형상 기억합금을 포함하는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신축 프레임(250)이 포함하는 형상 기억합금은, 상기 제1 신축 프레임(220)이 포함하는 형상 기억합금과 반대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신축 프레임(220)이 포함하는 형상 기억합금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축되는 경우, 상기 제2 프레임(250)이 포함하는 형상 기억합금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신축 프레임(220)이 포함하는 형상 기억합금이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연장되는 경우, 상기 제2 신축 프레임(250)이 포함하는 형상 기억합금은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수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신축 프레임(250)은 상기 제2 클리너(240)가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연장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클리너(24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클리너(240)는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제1 회전이 수행되는 동시에,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연장되는 방향을 축으로 제2 회전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이 제거되는 상기 렌즈(110) 주위의 영역 범위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는 상기 렌즈(110), 및 상기 렌즈(110)를 둘러싸는 상기 하우징(120)을 포함하는 상기 촬영모듈, 및 상기 하우징(120)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20)의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상기 바디 프레임(210),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일 단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120)이 연장되는 방향인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축 또는 연장됨에 따라 상기 바디 프레임(210)을 상기 하우징(120)의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제1 신축 프레임(220),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각 방향인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여 상기 렌즈(110) 주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제1 클리너(230), 상기 제1 클리너(230)와 마주보며 이격되도록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타 단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2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 제1 회전 운동 및 상기 바디 프레임(210)이 연장되는 방향을 축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 운동이 수행되어 상기 렌즈(110) 주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기 제2 클리너(240), 및 상기 제1 클리너(230) 및 제2 클리너(24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클리너(240)가 상기 제2 회전 운동을 수행하도록 수축 및 연장되는 제2 신축 프레임(2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신축 프레임(220) 및 상기 제2 신축 프레임(230)은 온도에 따라 수축 또는 연장되는 형상 기억합금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 제거 범위가 증가된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 렌즈
120: 하우징
210: 바디 프레임
215: 힌지축, 제1 힌지축
216: 제2 힌지축
220: 신축 프레임, 제1 신축 프레임
230: 클리너, 제1 클리너
240: 제2 클리너
250: 제2 신축 프레임

Claims (6)

  1. 감시카메라에 있어서,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촬영 모듈;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한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일 단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이 연장되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축 또는 연장됨에 따라 상기 바디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측면의 법선을 회전축으로 회전시키는 신축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타 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과 직각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디 프레임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 프레임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여 상기 렌즈 주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너;를 포함하는 클린 모듈을 포함하는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프레임은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수축 또는 연장되는 형상 기억합금 구조물을 포함하는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은 힌지축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포함하는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상기 바디 프레임이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보다 짧은 것을 포함하는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
KR1020180130359A 2018-10-30 2018-10-30 이물질 자동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KR20190142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359A KR20190142706A (ko) 2018-10-30 2018-10-30 이물질 자동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359A KR20190142706A (ko) 2018-10-30 2018-10-30 이물질 자동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407A Division KR101929711B1 (ko) 2018-06-18 2018-06-18 거미줄을 포함한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2706A true KR20190142706A (ko) 2019-12-27

Family

ID=69062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359A KR20190142706A (ko) 2018-10-30 2018-10-30 이물질 자동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427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3332A (zh) * 2021-08-09 2022-06-07 福建海峡基石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智慧监管装置
KR20230018246A (ko) * 2021-07-29 2023-02-07 안영준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461U (ko) 2010-07-09 2012-01-17 이영모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감시카메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461U (ko) 2010-07-09 2012-01-17 이영모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감시카메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246A (ko) * 2021-07-29 2023-02-07 안영준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 장치
CN114593332A (zh) * 2021-08-09 2022-06-07 福建海峡基石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智慧监管装置
CN114593332B (zh) * 2021-08-09 2023-12-19 福建海峡基石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智慧监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711B1 (ko) 거미줄을 포함한 이물질 자동 제거 감시카메라
JP7286552B2 (ja) 光学センサ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
KR101704342B1 (ko) 렌즈커버 청소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KR20190142706A (ko) 이물질 자동 제거 장치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US6607606B2 (en) Self-cleaning lens shield
KR102213523B1 (ko) 청소장치가 구비된 차량번호 판독용 카메라장치
KR200461592Y1 (ko) 이물질 제거 기능이 구비된 감시카메라
CN103179342A (zh) 监控摄像机和监控方法
KR20230019255A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168750B1 (ko) Cctv용 탈부착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633033B1 (ko) 보조 카메라를 구비하는 팬틸트 카메라 장치
KR102069124B1 (ko) 옥외 노출형 cctv 카메라의 항온 항습 장치
JP4270543B2 (ja) 監視カメラ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メンテナンス維持装置
KR101662015B1 (ko) 감지카메라 장치
EP0991040A3 (en) A scanning and cleaning device for an explosion-proof casing for monitor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a surveillance television camera operating in an explosive environment
US20200201032A1 (en) Image pickup device and automatic cleaning assembly thereof
KR20150115294A (ko) 돔형 카메라 장치
KR102660283B1 (ko) Cctv 카메라 녹화 품질을 개선시켜 줄 수 있는 커버
CN111050053A (zh) 一种矿用摄像机
KR20160081175A (ko)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KR101581718B1 (ko) 카메라용 멀티형 광필터 체인저
KR20120110389A (ko) 곡면 세정장치 및 상기 곡면 세정장치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US11642702B2 (en) Self-cleaning optical housing arrangement
KR101511226B1 (ko) 광학 렌즈 시스템 및 이의 활용.
KR100863508B1 (ko) 다영역 감시시스템의 카메라내장형 이차 곡면경구조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