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175A -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 Google Patents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175A
KR20160081175A KR1020140194550A KR20140194550A KR20160081175A KR 20160081175 A KR20160081175 A KR 20160081175A KR 1020140194550 A KR1020140194550 A KR 1020140194550A KR 20140194550 A KR20140194550 A KR 20140194550A KR 20160081175 A KR20160081175 A KR 20160081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illance camera
outside case
outer case
space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디시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디시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디시젼스
Priority to KR1020140194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1175A/ko
Publication of KR20160081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감시카메라를 내부 공간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공간부로 일정 압력의 압축공기를 일 측으로 인입시켜 타 측으로 인출시켜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렌즈부에 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감시카메라를 외부케이스 내부 공간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외부케이스의 전면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후면에서 상기 공간부로 압축 공기를 인입시켜 전면의 관통공으로 압축공기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되, 압축 공기를 토출하는 후면에는 에어홀이 형성된 격벽과 와류를 방지하는 격벽이 각각 형성되어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감시카메라에 분진 및 미세입자의 이물질이 유착되지 않도록 하는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서 일 측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압축공기를 인출시키며 이물질이 감시카메라가 위치된 외부케이스의 공간부에 발생되지 않고, 외부케이스에 유리 또는 보호부재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감시카메라의 감도를 상승시켰으며, 와류방지격벽으로 인해 와류의 생성을 미연에 방지하여 와류로 인한 이물질 발생이 없고, 이물질의 발생이 상대적으로 높은 페인트 공장, 도색공장, 미세분진이 발생되는 장소에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The surveillance camera outside case for alien substance pollution prevention }
본 발명은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감시카메라를 내부 공간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공간부로 일정 압력의 압축공기를 일 측으로 인입시켜 타 측으로 인출시켜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렌즈부에 이물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CCTV)는 은행,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이 높은 수준의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방범용 도로 사용되고, 우범 지대의 공원, 길거리에서는 범죄 예방용도로 사용되며, 도로의 교통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감시카메라가 옥외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눈, 비, 황사, 먼지 등의 이물질이 감시카메라의 렌즈 보호창 표면에 쉽게 달라붙는다. 이로 인해 해상도가 높은 고가의 카메라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피사체가 뿌옇게 보이고, 촬영되는 영상의 질이 떨어지거나 영상물을 판독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렌즈 보호창을 세척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와이퍼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DC 구동모터의 잦은 고장으로 인해 사후관리가 불편하게 된다. 또한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와이퍼가 고정되므로 와이퍼의 반복적인 회전으로 인해 와이퍼의 날(blade) 부위가 렌즈 보호창에 대해 이격이 발생됨에 따라, 렌즈 보호창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대로 제거할 수 없어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전술한 와이퍼가 외부환경(기온, 직사광선 등)에 노출되어 있어 뒤틀림으로 인해 변형되거나, 쉽게 마모되어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번호 20-0168764호의 ‘감시용 카메라의 보호케이스’와, 등록번호 20-0284656호의 ‘감시용 카메라의 스위치부 보호부재’와, 등록번호 20-0320755호의 ‘감시용 카메라의 보호커버’와, 공개번호 20-2009-0003167호의 ‘오에스디 카메라 구조’ 및 등록번호 10-1255522호의 ‘이물질 제거수단이 구비된 감시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처럼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분진이나 도색공장 같은 환경에서는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기 어려운데, 이는 전면 유리가 분진, 페인트 등으로 손쉽게 오염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터가 달린 작은 윈도우 브러쉬(자동차의 전면 유리를 세척하는 브러쉬)를 장착하거나 사용자가 압축공기를 감시카메라 케이스의 유리에 불어 유리에 분진이 부착되지 않도록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다.
상기한 작업에서도 분진의 유착을 완벽히 방지할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이물질에 대한 오염도가 높아져 최종적으로는 감시카메라의 기능이 불가능하게 된다.
특히, 차량의 도색공장과 같이 페인트 등의 미세 입자가 발생되는 장소에서는 감시카메라의 설치 자체가 불가능하며, 미세한 입자나 분진의 제거를 위해 압축공기를 사용하게 되면, 압축공기의 흐름에 따라 발생되는 와류현상으로 인해 케이스의 주변으로 분진 또는 미세입자가 렌즈의 전면 유리에 유착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이물질 발생이 순간적이며 장시간 사용 시, 이물질에 대한 오염이 심각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감시카메라를 외부케이스 내부 공간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외부케이스의 전면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후면에서 상기 공간부로 압축 공기를 인입시켜 전면의 관통공으로 압축공기가 인출될 수 있도록 하되, 압축 공기를 토출하는 후면에는 에어홀이 형성된 격벽과 와류를 방지하는 격벽이 각각 형성되어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된 감시카메라에 분진 및 미세입자의 이물질이 유착되지 않도록 하는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감시카메라를 보호하는 외부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는 감시카메라가 위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렌즈부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부의 전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관통공을 형성하며, 후면에는 상기 공간부로 압축공기를 인입시키는 에어인입구와 감시카메라의 작동에 따른 배선이 연결된 배선구(1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에 의하면, 외부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서 일 측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압축공기를 인출시키며 이물질이 감시카메라가 위치된 외부케이스의 공간부에 발생되지 않고, 외부케이스에 유리 또는 보호부재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감시카메라의 감도를 상승시켰으며, 와류방지격벽으로 인해 와류의 생성을 미연에 방지하여 와류로 인한 이물질 발생이 없고, 이물질의 발생이 상대적으로 높은 페인트 공장, 도색공장, 미세분진이 발생되는 장소에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외부케이스를 나타내는 정면사시도와 후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외부케이스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격벽에 형성된 에어홀의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3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대한 압축공기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외부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에 본 발명인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인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10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감시카메라를 보호하는 외부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는 감시카메라(200)가 위치되는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감시카메라(200)의 렌즈부(210)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부(210)의 전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관통공(120)을 형성하며, 후면에는 상기 공간부(110)로 압축공기를 인입시키는 에어인입구(130)와 감시카메라(200)의 작동에 따른 배선이 연결된 배선구(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후면에서 감시카메라(200)가 구성된 공간부(11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에어홀(151)이 형성된 격벽(150)이 구성된다.
상기 격벽(150)에 형성되는 에어홀(151)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15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에어홀(151)은 각각의 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격벽(150)과 외부케이스(100)의 후면 사이에는 에어인입구(130)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의 와류현상을 방지하도록 일 측에 개방부(161)가 형성된 와류방지격벽(160)이 구성된다.
상기 격벽(150)과 와류방지격벽(160)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구조에 따라 각각 다수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인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이물질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100)는 도 1, 도 2를 참고로 설명하면, 내부의 공간부(110)로 에어인입구(130)를 통해 압축공기를 인입시킨 후, 압축공기의 흐름에 의해 공간부(110)의 압축공기가 외부케이스(100)의 일 측에 형성된 관통공(120)을 통해 인출되며 외부케이스(100) 내부의 이물질에 대한 유착 또는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관통공(120)을 통해 인입될 수 있는 이물질에 대해 에어인입구(130)의 압력을 조절하여 외부에서 관통공(120)으로 인입되는 이물질의 속도보다 공간부(110)에서 관통공(120)을 거쳐 외부로 인출되는 압축공기의 속도를 높게 하여 외부에서 관통공(120)을 통해 외부케이스(100) 내부 공간부(110)로 이물질이 인입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에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내부에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감시카메라(200)가 위치될 수 있도록 공간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110)는 감시카메라(200)와 상기 감시카메라(200)의 일 측에 구성된 렌즈부(210)가 위치되어도 상기 감시카메라(200)의 전면과 후면에 일정 간격의 여유 공간이 발생될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이 있어야 한다.
상기한 공간부(110)의 공간은 도 7의 경우 실내 돔형 카메라에 적용될 경우, 감시카메라의 전면과 후면 보다는 렌즈부(210)가 회전하게 됨에 따른 여유 공간을 말하며, 상기한 여유 공간에 대해서는 감시카메라(200)의 종류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으로 상기한 설명에 한정하지 않겠다.
외부케이스(100)의 전면에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20)은 외부케이스(100) 내부의 공간부(110)에 위치된 감시카메라(200)가 렌즈부(210)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부(210)의 전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다.
외부케이스(100)의 후면에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인입구(130)와 배선구(140)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인입구(130)는 외부의 압축공기를 외부케이스(100) 내부로 인입시키며, 이때 압축공기를 인입시키는 별도의 에어인입부재가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는 사용에 따라 외부케이스(100)에 일체로 구성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배선구(140)는 감시카메라(200)의 작동에 따른 배선이 연결되는 것이며, 이는 배선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외부케이스(100)의 후면에서 감시카메라(200)가 구성된 공간부(11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격벽(150)이 구성된다.
상기 격벽(150)에는 에어홀(151)이 형성되는데, 상기 에어홀(151)은 에어인입구(130)에서 인입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에어홀(151)을 거쳐 감시카메라(200)가 위치된 공간부(110)를 통해 관통공(120)을 거쳐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에어홀(15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50)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다수개 형성되는 에어홀(151)은 그 크기와 형상이 전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각각의 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홀(151) 각각의 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은 하기 설명하는 와류방지격벽(160)의 개방부(161)에서 가까운 에어홀(151)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고, 먼 곳에 형성된 에어홀(151)의 크기를 크게 하여 와류방지격벽(160)의 개방부(161)를 거쳐 에어홀(151)을 관통하여 공간부(110)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의 양과 속도를 최대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격벽(150)과 외부케이스(100)의 후면 사이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161)가 형성된 와류방지격벽(160)이 구성된다.
상기 와류방지격벽(160)은 에어인입구(130)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의 와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방부(161)를 형성하여 일정 방향으로 인입, 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상기한 개방부(161)는 와류방지격벽(160)의 상측, 하측 또는 측면부 중 어느 한 곳 또는 복수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격벽(150)과 와류방지격벽(160)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구조에 따라 각각 다수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0)가 돔형의 경우에는 격벽(150)과 와류방지격벽(160)을 양측 또는 돔 형상으로 일체로 구성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써, 상기 격벽(150)과 와류방지격벽(160)의 수량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겠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공간부(110)에서 일 측에 형성된 관통공(120)으로 압축공기를 인출시키며 이물질이 감시카메라(200)가 위치된 외부케이스(100)의 공간부(110)에 발생되지 않고, 외부케이스(100)에 유리 또는 보호부재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감시카메라(200)의 감도를 상승시켰으며, 와류방지격벽(160)으로 인해 와류의 생성을 미연에 방지하여 와류로 인한 이물질 발생이 없고, 이물질의 발생이 상대적으로 높은 페인트 공장, 도색공장, 미세분진이 발생되는 장소에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발명이라 하겠다.
있다.
100 : 외부케이스
110 : 공간부 120 : 관통공 130 : 에어인입구 140 : 배선구
150 : 격벽 151 : 에어홀 160 : 와류방지격벽 161 : 개방부
200 : 감시카메라 210 : 렌즈부

Claims (6)

  1.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감시카메라를 보호하는 외부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는 감시카메라(200)가 위치되는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감시카메라(200)의 렌즈부(210)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렌즈부(210)의 전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관통공(120)을 형성하며, 후면에는 상기 공간부(110)로 압축공기를 인입시키는 에어인입구(130)와 감시카메라(200)의 작동에 따른 배선이 연결된 배선구(1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후면에서 감시카메라(200)가 구성된 공간부(110)로 일정 간격 이격된 부분에는 에어홀(151)이 형성된 격벽(15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50)에 형성되는 에어홀(151)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5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에어홀(151)은 각각의 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5.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50)과 외부케이스(100)의 후면 사이에는 에어인입구(130)로 인입되는 압축공기의 와류현상을 방지하도록 일 측에 개방부(161)가 형성된 와류방지격벽(16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50)과 와류방지격벽(160)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구조에 따라 각각 다수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KR1020140194550A 2014-12-31 2014-12-31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KR20160081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550A KR20160081175A (ko) 2014-12-31 2014-12-31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550A KR20160081175A (ko) 2014-12-31 2014-12-31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175A true KR20160081175A (ko) 2016-07-08

Family

ID=56503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550A KR20160081175A (ko) 2014-12-31 2014-12-31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11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983B1 (ko) * 2019-02-12 2020-08-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장치
CN114762861A (zh) * 2021-01-12 2022-07-19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用于保护相机免受外来杂屑污染的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983B1 (ko) * 2019-02-12 2020-08-14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장치
CN114762861A (zh) * 2021-01-12 2022-07-19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用于保护相机免受外来杂屑污染的设备
CN114762861B (zh) * 2021-01-12 2024-01-23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用于保护相机免受外来杂屑污染的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911B1 (ko) 삼단 일체형 cctv 지주
CN210578870U (zh) 一种计算机监控系统用监控摄像头防护装置
KR101181405B1 (ko) 이물질 제거 및 광 차단 기능이 구비된 감시카메라
US11052434B2 (en) Positive air pressure system (PAPS) for camera enclosures in dirty environments
US20200262582A1 (en) Dust-proofing structure, binocular sensor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10757300B2 (en) Camera housing and imaging method
KR101663674B1 (ko) 복합형 주차차단장치
KR102462890B1 (ko) 촬영 시야확보 기능을 갖는 돔형 cctv 카메라
KR101766626B1 (ko) 단말장치가 구비된 cctv 시스템
KR20160081175A (ko)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US20170056932A1 (en) Detection device cleaning apparatus having fan
KR102124996B1 (ko) 카메라 렌즈 전면 자동 세척장치
US10260938B2 (en) Foreign substance prevention apparatus
RU2679164C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смотрового окна кожуха видеокамеры
KR102415060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US12013258B2 (en) Sensor assembly for a vehicle
KR101969054B1 (ko) 보안 카메라용 습기 제거 장치 및 습기 방지용 보안 카메라
JP2009053065A (ja) 粉塵撮影装置
KR101074877B1 (ko) 발수 기능이 있는 감시카메라
JP5895263B2 (ja) 観察窓の汚れ防止装置
JP6187442B2 (ja) カメラハウジングおよび撮像方法
JP2003175767A (ja) 赤外線カメラ及び赤外線カメラ搭載車両
KR101783864B1 (ko) 차량용 카메라
KR102153254B1 (ko) 이물질 부착 방지 구조의 카메라 장치
KR101774305B1 (ko) 카메라용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