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060B1 - 감시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060B1
KR102415060B1 KR1020150160449A KR20150160449A KR102415060B1 KR 102415060 B1 KR102415060 B1 KR 102415060B1 KR 1020150160449 A KR1020150160449 A KR 1020150160449A KR 20150160449 A KR20150160449 A KR 20150160449A KR 102415060 B1 KR102415060 B1 KR 102415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sealed space
air
camera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949A (ko
Inventor
조세훈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0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0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5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H04N5/2251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촬상 유닛과, 상기 촬상 유닛이 지지되며,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 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밀폐공간에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상기 촬상 유닛과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밀폐공간에 저장된 상기 공기를 상기 촬상 유닛의 전방에 분사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시스템{Security camera system}
본 발명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안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외부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수요 및 시장성은 증가하고 있다.
아웃 도어용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는 렌즈 모듈을 보호하기 위해 투명한 커버를 설치하나, 외부 환경에 의해서 영상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한 커버에 빗물이나 서리 등의 자연현상으로 인해 선명한 영상을 확보가 불가능할 수 있다. 또한, 야외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투명한 커버에 붙으면 시야를 가려서 선명한 영상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클리닝 하여야 한다. 그러나, 크리닝 공정 중에는 카메라의 흔들림과 화면 가림이 발생하여 실질적인 감시 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물리적인 접촉으로 인해 커버 표면이 손상되어 내구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와이퍼(wiper)를 설치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이퍼의 구동으로 커버표면의 물리적 접촉 및 마찰로 커버 표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미세한 돌 가루 등에 의하여 투명커버의 표면에 손상이 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입력되는 영상에 노이즈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와이퍼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렌즈 커버를 친수 코팅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코팅층의 균일도포에 한계가 있으며, 우천시 불균일한 수막이 형성되어 영상의 외곡이 발생하고, 외부 환경에 의한 열화 에 의해서 기능이 저하 및 상실될 수 있다.
감시카메라 시스템과는 별도로 설치되며, 공기를 렌즈에 공급하는 에어 와이퍼(air wiper)를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빗물이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모터와 팬을 구비하여야 한다. 즉, 에어 와이퍼는 상당한 부피를 차지하여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외형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외부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의 본체 이외의 장치 추가에 따른 설치비용이나 중량이 증가하여 설치되는 장소나 설치용 보조장치의 강성이 증가해야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에어 와이퍼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과는 별도 장치인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482759호 (발명의 명칭: 감시카메라 와이퍼 장치)에는 와이퍼를 구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감시카메라가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482759호. (2015.01.08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외부적인 부피의 실질적인 증가 없이 하우징부에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이를 외부로 분사하여 감시 카메라의 외측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촬상 유닛과, 상기 촬상 유닛이 지지되며,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일 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밀폐공간에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상기 촬상 유닛과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밀폐공간에 저장된 상기 공기를 상기 촬상 유닛의 전방에 분사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고, 제1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촬상 유닛이 삽입되며, 상기 제1 밀폐공간과 이격된 제2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밀폐공간과 상기 제2 밀폐공간을 연통하는 연결유로를 가지는 연결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제1 밀폐공간 및 상기 제2 밀폐공간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부의 출구와 인접하게 설치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공간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밸브는 상기 압축공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와 상이하면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으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공기 공급부의 입구로 이동시키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나선형의 형상을 가지는 집진부를 구비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우징부가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챔버의 기능을 수행하여 추가적인 공기 저장 장치 없이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에 저장된 공기를 분사하는바,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노즐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필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노즐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노즐부(124)의 개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하우징부(110), 필터부(121), 공기 공급부(122), 조절 밸브(123), 노즐부(124), 제어부(130) 및 촬상 유닛(141)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부(110)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외부의 고정 구조물(미도시)에 고정된다. 하우징부(110)는 내부에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밀폐공간”은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우징부(110)로 인해 내부의 유체가 누설되지 않고, 외부의 유체가 유입되지 않는 닫힌 공간으로 정의한다. 또한, 이하에서 “외부”는 하우징부(110)의 외측영역으로 정의하고, “내부”는 하우징부(110)의 내측영역으로 정의한다.
외부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서 방진 및 방수 기능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우징부(110)의 내부에는 밀폐공간이 형성된다. 밀폐공간의 내부에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구동을 위한 회로부품, 광학부품, 제어부품 등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110)에 형성되는 밀폐공간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밀폐공간은 하우징부(110)를 이루는 부품의 배치 또는 개수에 따라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하우징부(110)는 내부에 하나의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10)는 서로 구분되는 커버부품들에 의해서 2개이상의 밀폐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2개의 밀폐공간이 형성된 하우징부(11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부(110)는 제1 하우징(111), 제2 하우징(112), 연결 커버(113), 제3 하우징(114) 및 보호 커버(115)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은 외부 구조물에 대해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제1 밀폐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은 공기 공급부(122)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압축되어 밀폐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밀폐공간(S1)의 내부에는 제1 발열부(151)와 제1 온도 센서(16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발열부(151)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 설치되며, 열을 방출하는 장치로서 특정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미도시)의 일부나 광학계(미도시)의 일부일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160)는 제1 밀폐공간(S1)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서모스탯(thermostat)일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160)는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렌즈 및 전자회로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적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제1 발열부(151), 제2 발열부(152) 및 적어도 하나의 팬을 구동하여 밀폐공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 발열부(151)는 공기 공급부(122)의 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발열부(151)는 공기 공급부(122)의 출구는 제1 하우징(111)의 일측에 연장된다. 제1 발열부(151)는 공기 공급부(122) 토출된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압축된 공기에 열을 가하여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의 상측에는 회동축(117)이 설치되어, 제3 하우징(114)에 대해서 회동할 수 있다. 회동축(117)은 구동부(135)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3 하우징(114)에 대해서 회동할 수 있다. 구동부(135)는 제어가 용이한 스텝 모터, 직류 모터, 서보 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회동축(117)은 제3 하우징(114)의 지지 프레임(116)에 풀리, 벨트 또는 기어 유닛, 베어링 유닛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과 제3 하우징(114)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이 외부의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유로 상에는 필터부(121) 및 공기 공급부(1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하우징(112)은 제1 하우징(111)에 대해서 틸팅(tilting)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12)은 내부공간에 제2 밀폐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12)은 촬상 유닛(141), 센서 유닛(142), 제2 발열부(152), 제1 냉각부(171) 및 제2 냉각부(172)를 구비할 수 있다.
촬상 유닛(141)은 광학계(미도시), 촬상 소자(미도시), 렌즈(미도시), 렌즈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렌즈를 보호하는 렌즈 커버는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며, 촬상을 위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촬상 유닛(141)의 일측에는 제2 발열부(15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발열부(152)는 촬상 유닛(14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로, 제2 밀폐공간(S2)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센서 유닛(142)은 외부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유닛(142)은 외부 생물의 근접 여부,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낙하 여부, 하우징부(110)에 가해지는 충격 여부 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142)은 외부 생물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레이저 센서(미도시), 광센서(미도시), 초음파센서(미도시) 또는 적외선 센서(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센서 유닛(142)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낙하 여부 또는 하우징부(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미도시), 가속도 센서(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42)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음성인식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전면 커버(143)는 촬상 유닛(141)과 센서 유닛(14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전면 커버(143)는 제2 하우징(112)의 일측을 밀폐시킬 수 있다.
제1 냉각부(171)는 제2 발열부(152)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제2 밀폐공간(S2)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제2 냉각부(172)는 센서 유닛(142)의 일측에 설치되어, 센서 유닛(142)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여 제2 밀폐공간(S2)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연결 커버(113)는 제1 하우징(111)과 제2 하우징(112)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 커버(113)의 일단은 제1 하우징(111)에 고정되고, 연결 커버(113)의 타단은 제2 하우징(112)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연결 커버(113)는 마주보도록 1쌍으로 설치되거나, 전면 커버(143)를 제외한 제2 하우징(112)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연결 커버(113)의 내측에는 제2 하우징(112)을 틸팅시키는 구동모듈(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 커버(113)의 내측에는 제1 밀폐공간(S1)과 제2 밀폐공간(S2)을 연통시키는 연결유로(125)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유로(125)를 통해서 제1 밀폐공간(S1)에 저장된 압축공기는 제2 밀폐공간(S2)으로 유입 또는 유출 될 수 있다.
제3 하우징(114)은 제1 하우징(11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3 하우징(114)은 지지 프레임(116)과 회동축(117)이 연결되어서 제1 하우징(111)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하우징(114)의 내부공간은 제1 밀폐공간(S1)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밀폐공간(S1)과 통합된 하나의 밀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제3 하우징(114)의 내부공간은 제1 밀폐공간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3 하우징(114)의 일측에는 공기 공급부(122)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공기 공급부(122)와 인접하게 배치된 필터부(121)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하우징(114)의 내부에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제3 발열부(153)와 제2 온도 센서(154)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하우징(114)의 외측에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을 커버하는 보호 커버(115)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하우징(114)과 보호 커버(115)의 사이에는 외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필터부(12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필터부(121)는 외관을 이루는 바디부와 내측에 설치되는 집진부(121d)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부(121)는 제1 하우징(111)과 제3 하우징(114)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121)는 제1 하우징(111)의 외측에 고정되어 외부의 공기를 제1 하우징(111)의 제1 밀폐공간(S1)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가지되
본 실시예에서 집진부(121d)는 싸이클론 방식으로 통상 물리적 필터의 교환을 할 필요가 없는 방식으로 제1 하우징(11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명이 될 수 있다.
필터부(121)는 하우징부(110)의 외부의 형상의 변형에 의하여 구비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하우징(111)의 외주면에 나선형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고 소정 이격된 하우징의 내주 표면간의 간극 사이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발생한 가속도로 인해 먼저와 같이 상대적인 무게를 갖는 이물질과 공기가 분리되어 질 수 있다.바디부는 입구부(121a), 출구부(121b), 테이퍼부(121c)를 구비할 수 있다. 입구부(121a)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하우징(111)과 제3 하우징(114)이 형성하는 공간과 연결된다. 출구부(121b)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며, 공기 공급부(122)의 입구와 연결된다.
테이퍼부(121c)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수직될 수 있다. 테이퍼부(121c)의 직경은 제2 방향으로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테이퍼부(121c)의 내부에는 집진부(121d)가 설치될 수 있다. 집진부(121d)는 나선형의 플레이트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집진부(121d)는 이동하는 공기중의 이물질이 부딪치게 하여, 상기 이물질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포집할 수 있다.
입구부(121a)로 유입된 공기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공기는 집진부(121d)의 플레이트에 부딪치고, 이물질은 플레이트를 따라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포집될 수 있다. 분리된 이물질은 중력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하여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물질이 필터링된 공기는 출구부(121b)로 이동하여 공기 공급부(122)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보면, 공기 공급부(122)는 입구가 필터부(121)와 연결되고, 출구는 제1 밀폐공간(S1)에 연결된다. 공기 공급부(122)는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는 압축기, 팬, 펌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122)는 제어부(130)와 연결되어, 밀폐공간의 온도 또는 압력이 설정온도 이상이거나 설정압력 이하이면 작동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필터부(121)와 공기 공급부(122)는 제1 하우징(111)에 고정되어, 제1 하우징(111)이 회전하더라도, 제1 하우징(111)과 제3 하우징(114) 사이의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조절 밸브(123)는 밀폐공간과 노즐부(124)를 연결할 수 있다. 조절 밸브(123)는 조절에 의하여 노즐부(124)에서 분사되는 압축공기의 유속이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 밸브(123)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조절 밸브(123)는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절될 수 있다.
노즐부(124)는 촬상 유닛(141)과 인접하도록 하우징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노즐부(124)는 촬상 유닛(141)의 렌즈 커버를 향하도록 연결 커버(113)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참조) 노즐부(124)는 밀폐공간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하우징부(110)의 외측에 분사할 수 있다. 노즐부(124)는 연결 커버(113)의 일측에 고정되어 전면 커버(143)에 분사되는바, 커버 표면에 부착된 먼지나 빗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노즐부(124)는 양측에서 동시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커버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발생한 진동으로 촬상 유닛(141) 또는 센서 유닛(142)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노즐부(124)는 밀폐공간과 연결되어, 밀폐공간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노즐부(124)는 제1 밀폐공간(S1)과 제2 밀폐공간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부(124)는 제1 밀폐공간(S1)과 연결되어 제1 밀폐공간(S1)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으며, 제2 밀폐공간(S2)과 연결되어 제1 밀폐공간(S1)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제1 밀폐공간(S1)과 제2 밀폐공간(S2)은 연결유로(125)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노즐부(124) 중 어느 하나는 제1 밀폐공간(S1)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제2 밀폐공간(S2)에 연결될 수 있다. 노즐부(124)는 각각 다른 밀폐공간과 연결되어 신속하게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제1 밀폐공간(S1)과 제2 밀폐공간(S2) 중 온도 또는 압력이 높은 공기를 우선 분사하여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노즐부(12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노즐부(124a)는 전면 커버(143)에 설치될 수 있다. 노즐부(124a)는 촬상 유닛(141)이 고정되는 전면 커버(143)에 설치될 수 있다. 노즐부(124a)는 촬상 유닛(141)의 렌즈 커버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노즐부(124a)의 개수는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2개의 노즐부(124a)가 마주보도록 설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노즐부(124a)는 전면 커버(143)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렌즈 커버의 표면에 직접 분사하는바, 렌즈 커버에 붙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12)이 틸팅 되더라도, 렌즈 커버에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공기 공급부(122), 조절 밸브(123), 제1 발열부(151), 제2 발열부(152), 제1 온도 센서(160), 제1 냉각부(171) 및 제2 냉각부(1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공기 공급부(122)와 연결되어, 공기 공급부(12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밀폐공간의 압력이 기 설정된 제1 압력보다 낮으면 공기 공급부(122)를 구동시키고, 기 설정된 제2 압력보다 높으면 공기 공급부(122)의 구동을 중단시켜서 밀폐공간이 소정 범위의 압력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밀폐공간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2 온도보다 높으면, 공기 공급부(122)를 구동시켜서 밀폐공간의 온도를 낮출수 있다.
제어부(130)는 조절 밸브(123)와 연결되어 조절 밸브(123)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조절 밸브의 온/오프를 조절하거나, 개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밀폐공간의 온도가 제2 압력보다 높으면, 조절 밸브(123)를 구동시킨다. 또한, 밀폐공간의 압력이 제2 압력보다 높으면 조절 밸브(123)를 구동시킨다.
제어부(130)는 제1 발열부(151) 및 제2 발열부(152)와 연결되어, 밀폐공간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 온도보다 낮으면, 제1 발열부(151) 및/또는 제2 발열부(152)를 구동시켜서, 밀폐공간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밀폐공간의 습도가 기 설정된 습도보다 높으면 제1 발열부(151) 및 또는 제2 발열부(152)를 구동하여 습도를 낮출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온도 센서(160)와 연결되어 밀폐공간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냉각부(171) 및 제2 냉각부(172)와 연결되어, 밀폐공간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2 온도보다 낮으면, 제1 냉각부(171) 및/또는 제2 냉각부(172)를 구동시켜서, 밀폐공간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부(171) 및/또는 제2 냉각부(172)를 구동시켜서 내부에 설치된 촬상 유닛(141)이나 센서 유닛(14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다시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공기는 제1 하우징(111)과 제3 하우징(114) 사이의 유로로 이동하여 필터부(121)로 유입된다. 필터부(121)는 집진부(121d)에 의해서 이물질이 필터링 되고, 공기 공급부(122)로 이동한다. 공기 공급부(122)는 제어부(130)에 의해서 구동되면, 공기는 압축되어 제1 밀폐공간(S1) 및 제2 밀폐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어부(130)에 밀폐공간은 일정한 범위의 온도 또는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부(110)에 형성된 밀폐공간은 조절 밸브(123)와 연결되고, 제어부(130)는 조절 밸브(123)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노즐부(124)는 조절 밸브(123)가 개방되면, 밀폐공간에서 저장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압축공기는 촬상 유닛(141)의 렌즈 커버를 향하여 분사되는바, 렌즈 커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하우징부(110)가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챔버의 기능을 수행하여 추가적인 공기 저장 장치 없이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종래에는 압축공기를 분사하기 위해서 새로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실외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이 필수적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기존의 방진, 방수 기능을 구비한 하우징부(110)를 이용하여 내부공간에 압축공기를 저장하고 이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시스템 외형의 변화나 중량의 증가 없이 변화가 없이 압축공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추가적인 설치가 필요없어 비용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하우징부(110)에 저장된 공기를 분사하는바, 하우징부(110)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켜서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냉각시키기 위해서 냉각팬을 발열부품이 있는 공간이나 일정온도를 유지해야하는 부품에 인접하게 설치하여야 하낟. 즉, 종래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냉각 팬을 복수개 구비하여 부품의 수 증가, 비용의 증가,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외부의 공기를 유동시켜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직접 방출시킬 수 있다. 즉,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하우징부(110)에 저장된 공기를 분사하는바, 냉각장치를 최소화 하여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을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렌즈커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와 같이 2개의 팬과 2개의 발열부를 대신하여 1개의 펌프와 1개의 발열부로 구성이 될 수 있고, 팬의 적정 가동시간 초과에 따른 교체를 위한 시간과 인건비 및 시스템 사용중단의 부가적인 문제점들이 해소가 되는 효과가 있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공기 공급부(122)의 출구와 인접하게 발열부를 배치하여, 밀폐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추어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습도가 높은 공기가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 유입되면, 부품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공기 공급부(12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이동경로상에 발열부를 배치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소정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게 하우징의 내부에 유지가 됨으로써 외부에서 습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을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밀폐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의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공기 공급부(122)의 입구에 필터부(121)를 설치하여 압축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감시 카메라 시스템
110: 하우징부
111: 제1 하우징
112: 제2 하우징
113: 연결 커버
121: 필터부
122: 공기 공급부
123: 조절 밸브
124: 노즐부
125: 연결유로
130: 제어부
141: 촬상 유닛
142: 센서 유닛
143: 전면 커버

Claims (6)

  1.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촬상 유닛;
    상기 촬상 유닛이 지지되며,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일 측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밀폐공간에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촬상 유닛과 인접하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밀폐공간에 저장된 상기 공기를 상기 촬상 유닛의 전방에 분사하는 노즐부; 및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상기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공기 공급부와 연결되며 제1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촬상 유닛이 삽입되며 상기 제1 밀폐공간과 이격되는 제2 밀폐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틸팅되는 제2 하우징 및 단부에 상기 제2 하우징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밀폐공간과 상기 제2 밀폐공간을 연통하는 연결유로를 가지는 연결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커버는 서로 마주 보도록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한 쌍의 연결 커버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노즐부 중 하나는 상기 제1 밀폐공간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밀폐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밀폐공간 및 상기 제2 밀폐공간 중 온도 또는 압력이 높은 공기를 먼저 분사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60449A 2015-11-16 2015-11-16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415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449A KR102415060B1 (ko) 2015-11-16 2015-11-16 감시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449A KR102415060B1 (ko) 2015-11-16 2015-11-16 감시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949A KR20170056949A (ko) 2017-05-24
KR102415060B1 true KR102415060B1 (ko) 2022-06-30

Family

ID=5905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449A KR102415060B1 (ko) 2015-11-16 2015-11-16 감시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8514B (zh) * 2019-10-21 2020-12-08 毛琴飞 一种具有防镜雾化作用的监控安防设备
CN111010500B (zh) * 2019-12-03 2021-06-15 东莞市翰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拆装便捷的散热型摄像头
CN111589827A (zh) * 2020-05-27 2020-08-28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一种投影仪用投影镜头辅助清洁装置
KR102607980B1 (ko) * 2021-11-01 2023-11-3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오픈 루프 냉각 방식을 적용한 적외선 카메라의 영상검출장치 및 오픈 루프 냉각 방식을 적용한 적외선 카메라의 영상검출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288B1 (ko) * 1996-02-15 1999-06-01 윤종용 기류를 이용한 카메라 하우징의 먼지 제거장치
KR101140863B1 (ko) * 2010-05-28 2012-05-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카메라 보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0089A (ko) * 2014-03-24 2015-10-02 (주)디앤씨테크 렌즈전면부 이물질 제거장치를 갖는 무인감시 카메라
KR101482759B1 (ko) 2014-07-23 2015-01-26 주식회사 시큐라플러스 감시카메라 와이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288B1 (ko) * 1996-02-15 1999-06-01 윤종용 기류를 이용한 카메라 하우징의 먼지 제거장치
KR101140863B1 (ko) * 2010-05-28 2012-05-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카메라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949A (ko) 201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5060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6640199B2 (ja) 光学センサの保護のための装置
KR102456483B1 (ko) 광학 또는 광전자 디바이스의 투명한 커버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 디바이스
KR101736299B1 (ko) 공기 퍼지부를 구비한 산업용 cctv
US8898852B2 (en) Air burst to clear detection window
US20130062228A1 (en) Method for prevention of pollution of the glass of the front window of a housing for an outdoor surveillance camera and a housing for implementation of this method
WO2019100316A1 (zh) 防尘结构、双目传感器及无人飞行器
CN101685244B (zh) 投射式图像显示装置
KR20190008190A (ko) 자동차용 광 검출 시스템
US20230204946A1 (en) Optical component protector
JP5940272B2 (ja) 撮像装置用エンクロージャ
JP5352950B2 (ja) プロジェクター装置
KR102195145B1 (ko) 렌즈의 보호 및 클리닝장치
CN100553735C (zh) 电子装置
KR101969054B1 (ko) 보안 카메라용 습기 제거 장치 및 습기 방지용 보안 카메라
KR102124996B1 (ko) 카메라 렌즈 전면 자동 세척장치
KR100698919B1 (ko) 카메라 하우징의 윈도우 먼지 제거장치
CN111221207A (zh) 一种用于虚拟现实的便于通风散热的全息投影装置
KR102494669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WO2020045084A1 (ja) 投影装置とその制御方法
WO2023249103A1 (ja) ハウジングユニット及びカメラユニット
KR20160081175A (ko) 이물질 오염방지용 감시카메라 외부케이스
CN104570562B (zh) 投影机及其除尘装置
KR102666887B1 (ko) 옥외설치용 프로젝터 함체
JP6735488B2 (ja) 画像投影システムおよび浴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