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4075B1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4075B1
KR102494075B1 KR1020160029399A KR20160029399A KR102494075B1 KR 102494075 B1 KR102494075 B1 KR 102494075B1 KR 1020160029399 A KR1020160029399 A KR 1020160029399A KR 20160029399 A KR20160029399 A KR 20160029399A KR 102494075 B1 KR102494075 B1 KR 102494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main
route
width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5721A (ko
Inventor
아야토 다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60115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4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4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61B3/02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0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 B65G47/6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제1 주경로(5)와 이 제1 주경로(5)는 반대 방향으로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하는 제2 주경로(6)에 부경로(7)가 접속된다. 부경로(7)는, 교차부(14)와, 제1 주경로(5) 및 교차부(14)에 접속된 제1 상류 경로(15)와, 제2 주경로(6) 및 교차부(14)에 접속된 제2 상류 경로(16)와, 교차부(14) 및 제2 주경로(6)에 접속된 제1 하류 경로(17)와, 교차부(14) 및 제1 주경로(5)에 접속된 제2 하류 경로(18)를 구비한다. 교차부(14)에는, 제1 상류 경로(15)와 제1 하류 경로(17)를 접속하는 제1 접속 경로(21)와, 제2 상류 경로(16)와 제2 하류 경로(18)를 접속하는 제2 접속 경로(22)가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또한 교차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주행 경로로서, 루프형으로 형성된 제1 주경로(main path)와, 루프형으로 형성된 제2 주경로와, 제1 주경로와 제2 주경로를 접속하는 부경로(sub-path)를 구비하고, 주행 경로를 따라 전진 방향으로만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搬送車)에 의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주경로를 구비한 물품 반송 설비가, 일본공개특허 제2013-184762호 공보에 예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도 1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루프 상의 복수의 경로는, 제1 주경로 및 제2 주경로에 대응하고, 상대적으로 큰 루프형의 경로 내, 작은 루프형의 경로를 연결하는 경로는, 부경로에 대응한다. 제1 주경로 및 제2 주경로에 대응하는 작은 루프형의 경로에서는, 물품 반송차는 같은 방향으로 주회(周回)하여 주행한다.
이와 같은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제1 주경로에서의 물품 반송차의 주회 방향과, 제2 주경로에서의 물품 반송차의 주회 방향이 반대 방향인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주경로(105) 및 제2 주경로(106)에 부경로(107)를 접속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즉, 부경로(107)에, 제1 주경로(105)로부터 제2 주경로(106)를 향해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제1 부경로(107a)와, 제2 주경로(106)로부터 제1 주경로(105)를 향해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제2 부경로(107b)를 구비하고, 이들 제1 부경로(107a)와 제2 부경로(107b)를 부경로(107)의 경로 폭 방향(Y)을 따라 나란히 위치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부경로(107a)의 단부(端部)나 제2 부경로(107b)의 단부는 제1 주경로(105)나 제2 주경로(106)와의 사이에서 물품 반송차가 원활하게 갈아탈 수 있도록 평면에서 볼 때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이 제1 부경로(107a)와 제2 부경로(107b)를 부경로(107)의 경로 폭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시키는 경우, 부경로(107)를 설치하기 위해 경로 폭 방향(Y)에 있어서 넓은 스페이스(W2)가 필요해진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부경로(107a)나 제2 부경로(107b)의 원호형의 단부를 경사 자세로 하여, 제1 부경로(107a)의 직선 부분과 제2 부경로(107b)의 직선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여 단차를 두고 위치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1 부경로(107a)와 제2 부경로(107b)를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시키면, 부경로(107)를 설치하기 위해 상하 방향(Z)에 있어서 넓은 스페이스가 필요하며, 부경로(107)도 입체 교차 구조로 되어 구조가 복잡화된다.
그래서, 부경로를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좁은 스페이스에서 설치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가 요구된다.
하나의 태양으로서, 물품 반송 설비는,
주행 경로로서, 루프형으로 형성된 제1 주경로와, 상기 제1 주경로와는 별도로, 루프형으로 형성된 제2 주경로와, 상기 제1 주경로와 상기 제2 주경로를 접속하는 부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전진 방향으로만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에 의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부경로는, 제1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경로와 접속된 제1 부경로와, 제2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경로와 접속된 제2 부경로를 가지고,
상기 제1 주경로와 상기 제2 주경로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제2 주경로부터 상기 제1 주경로를 향하는 방향을 제1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주경로부터 상기 제2 주경로를 향하는 방향을 제2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에 따른 한쪽의 방향을 제1 폭 방향으로 하고, 상기 폭 방향을 따른 다른 쪽의 방향을 제2 폭 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1 주경로 및 상기 제2 주경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경로이며,
상기 부경로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주경로와 상기 제2 주경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경로와 상기 제2 부경로가 교차하는 교차부와,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교차부에 접속된 제1 상류 경로와,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교차부에 접속된 제2 상류 경로와,
상기 제2 상류 경로에 대하여 상기 제1 폭 방향의 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교차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제3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경로와는 다른 제1 개별 경로에 접속된 제1 하류 경로와,
상기 제1 상류 경로에 대하여 상기 제1 폭 방향 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교차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제4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경로와는 다른 제2 개별 경로에 접속된 제2 하류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류 경로 및 상기 제1 하류 경로는,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2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이며,
상기 제2 상류 경로 및 상기 제2 하류 경로는,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이며,
상기 교차부는, 상기 제1 상류 경로의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와 상기 제1 하류 경로의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1 접속 경로와, 상기 제2 상류 경로의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와 상기 제2 하류 경로의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2 접속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 경로와 상기 제2 접속 경로와는,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또한 교차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주경로의 제1 접속부로부터 부경로의 제1 상류 경로로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는, 부경로를 제1 상류 경로, 교차부, 제1 하류 경로의 순서로 주행한 후, 제2 주경로에 합류하여 주행하거나, 또는 제1 개별 경로를 주행한다. 또한, 제2 주경로의 제2 접속부로부터 부경로의 제2 상류 경로로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는, 부경로를 제2 상류 경로, 교차부, 제2 하류 경로의 순서로 주행한 후, 제1 주경로에 합류하여 주행하거나, 또는 제2 개별 경로를 주행한다.
제1 주경로부터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경로(제1 상류 경로, 교차부 및 제1 하류 경로)와 제2 주경로부터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경로(제2 상류 경로, 교차부 및 제2 하류 경로)는, 교차부에 있어서 같은 높이에서 교차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상류 경로를 제2 하류 경로에 대하여 제2 폭 방향으로 가깝게 설치하고, 또한 제1 하류 경로를 제2 상류 경로에 대하여 제1 폭 방향으로 가깝게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상류 경로에서의 제1 주경로에 접속되는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나, 제2 상류 경로에서의 제2 주경로에 접속되는 단부를, 물품 반송차가 원활하게 분기 주행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볼 때 원호형으로 형성한 경우라도, 이들의 단부를 부경로의 폭 방향으로 크게 비켜 놓을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폭 방향에 있어서 넓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부경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단부를 폭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라도, 부경로에서의 제1 주경로부터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경로(제1 상류 경로, 교차부 및 제1 하류 경로)와, 제2 주경로부터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경로(제2 상류 경로, 교차부 및 제2 하류 경로)를 상하 방향으로 비켜 설정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상하 방향에 있어서도 넓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부경로를 설치할 수 있어, 입체 교차 등으로 구조가 복잡화되는 것도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부경로를 경로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좁은 스페이스에서 설치할 수 있다.
물품 반송 설비의 추가적인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진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주행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물품 반송차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물품 반송차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접속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한 쌍의 이동 레일부가 제1 주행 위치에 위치하는 교차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한 쌍의 이동 레일부가 제2 주행 위치에 위치하는 교차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한 쌍의 이동 가이드 레일이 제1 안내 위치에 위치하는 교차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한 쌍의 이동 가이드 레일이 제2 안내 위치에 위치하는 교차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의 주행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2개의 부경로를 폭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2개의 부경로를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2개의 부경로를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물품 반송차가 같은 방향으로 주행하는 2개의 평행한 부경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는,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은 가설 영역(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영역(A), 제2 영역(B) 및 가설 영역(C)의 각각은, 클린룸이다. 물품 반송 설비에는, 주행 경로(1)를 따라 전진 방향으로만 주행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차(2)와, 주행 경로(1)를 따라 설치된 주행 레일(3)(도 2 및 도 3 등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 레일(3)은, 천정으로부터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물품은, 반도체 기판을 수용하는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이다.
제1 영역(A)에 설정된 주행 경로(1)는, 루프형으로 설정된 복수의 제1 루프형 경로(1a)와, 인접하는 2개의 제1 루프형 경로(1a)에 접속된 복수의 제1 승계 경로(1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영역(B)에 설정된 주행 경로(1)는, 루프형으로 설정된 복수의 제2 루프형 경로(1c)와, 인접하는 2개의 제2 루프형 경로(1c)에 접속된 복수의 제2 승계 경로(1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 루프형 경로(1a)나 제2 루프형 경로(1c)를 따라, 물품을 수납하는 보관고나 물품에 수납되어 있는 반도체 기판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는 처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경로(1)에는, 제1 영역(A)의 하나의 제1 루프형 경로(1a)와 제2 영역(B)의 하나의 제2 루프형 경로(1c)에 접속된 제3 승계 경로(1e)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 제3 승계 경로(1e)를 부경로(7)라 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3 승계 경로(1e)에 접속되어 있는 제1 루프형 경로(1a)를 제1 주경로(5)라 칭하고, 제3 승계 경로(1e)에 접속되어 있는 제2 루프형 경로(1c)를 제2 주경로(6)라 칭하여 설명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경로(1)로서, 루프형으로 설정된 제1 주경로(5), 상기 제1 주경로와는 별도로 루프형으로 설정된 제2 주경로(6), 및 제1 주경로와 상기 제2 주경로를 접속하는 부경로(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부경로(7)는, 제1 주경로(5)의 제1 접속부(9)에 접속되고, 또한 제2 주경로(6)의 제2 접속부(10)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주경로(5)에서는, 물품 반송차(2)가 반시계 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에 대하여, 제2 주경로(6)에서는, 물품 반송차(2)가 시계 방향으로 주행한다. 이와 같이, 제1 주경로(5)는, 제2 주경로(6)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하는 경로로되어 있다. 즉, 제1 주경로(5) 및 제2 주경로(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하는 경로이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주경로(5)와 제2 주경로(6)의 배열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부(9)와 제2 접속부(10)의 배열 방향과도 등가(等價)]을 「길이 방향(X)」으로 한다. 길이 방향(X)을 따르는 한쪽의 방향이며, 길이 방향(X)에서의 제2 주경로(6)로부터 제1 주경로(5)를 향하는 방향[제2 접속부(10)로부터 제1 접속부(9)를 향하는 방향]을 「제1 길이 방향(X1)」으로 한다. 길이 방향(X)을 따르는 다른 쪽의 방향이며, 길이 방향(X)에서의 제1 주경로(5)로부터 제2 주경로(6)를 향하는 방향[제1 접속부(9)로부터 제2 접속부(10)를 향하는 방향]을 「제2 길이 방향(X2)」으로 한다. 또한, 길이 방향(X)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Y)」으로 하고, 또한 폭 방향(Y)을 따르는 한쪽의 방향을 제1 폭 방향(Y1)으로 하고, 폭 방향(Y)을 따르는 다른 쪽의 방향을 제2 폭 방향(Y2)으로 한다.
제1 주경로(5)는, 제2 주경로(6)에 대하여 제1 길이 방향(X1)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주경로(5) 중, 폭 방향(Y)을 따라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제1 폭 방향(Y1)을 향해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하는 경로를, 제1 폭 방향 경로(5a)라 칭한다. 제1 폭 방향 경로(5a)에는, 제1 주경로(5)로부터 부경로(7)로 분기하는 제1 접속부(9)와, 부경로(7)로부터 제1 주경로(5)에 합류하는 제4 접속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주경로(6) 중, 폭 방향(Y)을 따라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제1 폭 방향(Y1)을 향해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하는 경로를, 제2 폭 방향 경로(6a)라 칭한다. 제2 폭 방향 경로(6a)에, 물품 반송차(2)가 제2 주경로(6)로부터 부경로(7)로 분기하는 제2 접속부(10)와, 물품 반송차(2)가 부경로(7)로부터 제2 주경로(6)에 합류하는 제3 접속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경로(7)가 접속되는 제1 주경로(5)의 제1 폭 방향 경로(5a)와 제2 주경로(6)의 제2 폭 방향 경로(6a)는 같은 방향으로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한다.
환언하면, 제1 폭 방향(Y1)은, 제1 주경로(5)에 있어서 제2 주경로(6)와 대향하는 경로[제1 폭 방향 경로(5a)], 및 제2 주경로(6)에 있어서 제1 주경로(5)와 대향하는 경로[제2 폭 방향 경로(6a)]의 각각에 있어서, 폭 방향(Y)을 따라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제1 접속부(9) 및 제4 접속부(12)는, 제1 주경로(5)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2)가 제1 폭 방향(Y1)으로 주행하는 경로[제1 폭 방향 경로(5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접속부(10) 및 제3 접속부(11)는, 제2 주경로(6)에 있어서, 물품 반송차(2)가 제1 폭 방향(Y1)으로 주행하는 경로[제2 폭 방향 경로(6a)]에 설치되어 있다.
부경로(7)는, 제1 접속부(9)에 있어서 제1 주경로(5)와 접속된 제1 부경로(7a)와, 제2 접속부(10)에 있어서 제2 주경로(6)와 접속된 제2 부경로(7b)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제1 부경로(7a)는,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5, 21, 17"을 포함하는 경로이며, 제2 부경로(7b)는,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6, 22, 18"을 포함하는 경로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로의 구조 상은, 도면부호 "15, 23, 16"을 포함하는 경로, 및 도면부호 "17, 24, 18"을 포함하는 경로도 존재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의 경로를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하는 일은 없다.
부경로(7)는, 전체로서, 길이 방향(X)을 따라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경로(7)는, 교차부(14)와 제1 상류 경로(15)와 제2 상류 경로(16)와 제1 하류 경로(17)와 제2 하류 경로(18)를 구비하고 있다. 교차부(14)는, 길이 방향(X)에 있어서 제1 주경로(5)와 제2 주경로(6) 사이에 위치하고, 제1 부경로(7a)와 제2 부경로(7b)가 교차하는 부분이다. 제1 상류 경로(15)와 제2 하류 경로(18)는, 길이 방향(X)에 있어서 제1 주경로(5)와 교차부(1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하류 경로(18)는, 제1 상류 경로(15)로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제1 상류 경로(15)에 대하여 제1 폭 방향(Y1) 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상류 경로(16)와 제1 하류 경로(17)는, 길이 방향(X)에 있어서 제2 주경로(6)와 교차부(1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하류 경로(17)는, 제2 상류 경로(16)와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고, 또한 제2 상류 경로(16)에 대하여 제1 폭 방향(Y1)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상류 경로(15)와 제2 상류 경로(16)는 일직선 상에 설치되어 있고, 제1 하류 경로(17)와 제2 하류 경로(18)도 일직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교차부(14)와 제1 상류 경로(15)와 제2 상류 경로(16)와 제1 하류 경로(17)와 제2 하류 경로(18)는, 같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동일 평면 상에 설치되어 있음).
제1 상류 경로(15)는, 제1 길이 방향(X1) 측의 단부가, 제1 주경로(5)에서의 제1 폭 방향 경로(5a)의 제1 접속부(9)에 접속되고, 또한 제2 길이 방향(X2) 측의 단부가 교차부(14)에 접속되어 있다. 제1 하류 경로(17)는, 제1 길이 방향(X1) 측의 단부가 교차부(14)에 접속되고, 또한 제2 길이 방향(X2) 측의 단부가, 제2 주경로(6)에서의 제2 폭 방향 경로(6a)의 제3 접속부(11)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상류 경로(16)는, 제2 길이 방향(X2) 측의 단부가, 제2 주경로(6)에서의 제2 폭 방향 경로(6a)의 제2 접속부(10)에 접속되고, 또한 제1 길이 방향(X1) 측의 단부가 교차부(14)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하류 경로(18)는, 제2 길이 방향(X2) 측의 단부가 교차부(14)에 접속되고, 또한 제1 길이 방향(X1) 측의 단부가, 제1 주경로(5)에서의 제1 폭 방향 경로(5a)의 제4 접속부(12)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상류 경로(15) 및 제1 하류 경로(17)는, 물품 반송차(2)가 제2 길이 방향(X2)으로 주행하는 경로[제1 부경로(7a)]이다. 또한, 제2 상류 경로(16) 및 제2 하류 경로(18)는, 물품 반송차(2)가 제1 길이 방향(X1)으로 주행하는 경로[제2 부경로(7b)]이다.
제1 상류 경로(15)의 제1 길이 방향(X1) 측의 단부, 제2 상류 경로(16)의 제2 길이 방향(X2) 측의 단부, 제1 하류 경로(17)의 제1 길이 방향(X1) 측의 단부, 및 제2 하류 경로(18)의 제2 길이 방향(X2) 측의 단부의 각각은, 제1 주경로(5)나 제2 주경로(6)에 연결되는 부분은, 원호형의 경로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들의 단부에서는, 주경로(5, 6)에 연결되는 부분에서는 폭 방향(Y)을 따르고, 부경로(7)에 연결되는 부분에서는 길이 방향(X)을 따르는 형상이 되도록, 원호형의 경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접속부(9)와 제2 접속부(10)는 폭 방향(Y)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설치되고, 제3 접속부(11)와 제4 접속부(12)는 폭 방향(Y)으로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 접속부(11)는, 제2 접속부(10)보다 제1 폭 방향(Y1) 측에 위치하고, 제4 접속부(12)는, 제1 접속부(9)보다 제1 폭 방향(Y1) 측에 위치하고 있다.
교차부(14)에는, 제1 상류 경로(15)의 제2 길이 방향(X2) 측의 단부와 제1 하류 경로(17)의 제1 길이 방향(X1)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1 접속 경로(21)와, 제2 상류 경로(16)의 제1 길이 방향(X1) 측의 단부와 제2 하류 경로(18)의 제2 길이 방향(X2)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2 접속 경로(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교차부(14)에는, 제1 상류 경로(15)의 제2 길이 방향(X2) 측의 단부와 제2 상류 경로(16)의 제1 길이 방향(X1)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3 접속 경로(23)와, 제2 하류 경로(18)의 제2 길이 방향(X2) 측의 단부와 제1 하류 경로(17)의 제1 길이 방향(X1)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4 접속 경로(24)도 설치되어 있다. 제1 접속 경로(21)와 제2 접속 경로(22)와 제3 접속 경로(23)와 제4 접속 경로(24)는 같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동일 평면 상에 설치되어 있음).
제1 접속 경로(21)는, 제1 상류 경로(15)의 제2 길이 방향(X2)의 단부로부터 제1 길이 방향(X1) 측일수록 제1 폭 방향(Y1)에 위치하도록, 길이 방향(X)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이동(斜行)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접속 경로(22)는, 제2 하류 경로(18)의 제2 길이 방향(X2)의 단부로부터 제1 길이 방향(X1) 측일수록 제2 폭 방향(Y2)에 위치하도록 길이 방향(X)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속 경로(21)로 제2 접속 경로(22)는, 평면에서 볼 때 교차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제3 접속 경로(23)는, 제1 상류 경로(15)의 제2 길이 방향(X2)의 단부와 제2 상류 경로(16)의 제1 길이 방향(X1)의 단부를 연결하여, 길이 방향(X)을 따라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4 접속 경로(24)는, 제2 하류 경로(18)의 제2 길이 방향(X2)의 단부와 제1 하류 경로(17)의 제1 길이 방향(X1)의 단부를 연결하여, 길이 방향(X)을 따라 직선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상류 경로(15)와 제3 접속 경로(23)와 제2 상류 경로(16)는 일직선 상에 설치되어 있고, 제1 하류 경로(17)와 제4 접속 경로(24)와 제2 하류 경로(18)도 일직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물품 반송차(2)는 이들 제3 접속 경로(23) 및 제4 접속 경로(24)를 주행하지 않으므로, 도 1에 있어서는 제3 접속 경로(23) 및 제4 접속 경로(24)를 파선(破線)으로 나타내고 있다.
물품 반송차(2)가 제1 주경로(5)로부터 제2 주경로(6)로 주행할 때는, 제1 주경로(5)의 제1 접속부(9)에 의해 부경로(7)의 제1 상류 경로(15)로 분기하여 주행한 후, 부경로(7)의 교차부(14)[제1 접속 경로(21)]와 제1 하류 경로(17)를 주행하고, 제2 주경로(6)의 제3 접속부(11)에 의해 제2 주경로(6)에 합류하게 되어 있다. 또한, 물품 반송차(2)가 제2 주경로(6)로부터 제1 주경로(5)로 주행할 때는, 제2 주경로(6)의 제2 접속부(10)에 의해 부경로(7)의 제2 상류 경로(16)로 분기하여 주행한 후, 부경로(7)의 교차부(14)[제2 접속 경로(22)]와 제2 하류 경로(18)를 주행하고, 제1 주경로(5)의 제4 접속부(12)에 의해 제1 주경로(5)에 합류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물품 반송차(2)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물품 반송차(2)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물품 반송차(2)의 전후 방향을 차체 전후 방향이라 칭하고, 물품 반송차(2)의 가로 폭 방향을 차체 가로 폭 방향이라 칭하여 설명한다. 또한, 물품 반송차(2)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본 상태에서, 좌우 방향을 특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주행 경로(1)에 대해서는, 주행 경로(1)를 따른 방향을 경로 길이 방향으로 하고, 그 경로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경로 가로 폭 방향이라 칭하여 설명한다.
물품 반송차(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으로부터 매달려 지지된 주행 레일(3) 상을 그 주행 레일(3)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32), 주행 레일(3)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주행부(32)에 매달려 지지된 차체 본체부(31), 및 주행부(32)와 차체 본체부(31)를 연결하는 연결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차체 본체부(31)에는, 물품을 매단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33)가 구비되어 있고, 주행부(32)와 차체 본체부(31)는 연결부(3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는, 경로 길이 방향에서 볼 때 역U자형으로 형성된 레일용 지지체(35)에 의해 연결되고, 또한 이 레일용 지지체(35)를 통하여 천정부에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주행부(32)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전방 주행부(32F)와 후방 주행부(32R)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체 본체부(31)는, 전후 한 쌍의 연결부(34)의 각각에 세로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전방 주행부(32F) 및 후방 주행부(32R)의 각각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34)와 일체로 세로축심 주위로 회동(回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후 한 쌍의 연결부(34)는, 주행 레일(3)을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 주행부(32F)에는, 전동식의 구동 모터(36)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좌우 한 쌍의 주행륜(37)이,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 각각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주행 면을 주행하는 상태로 장착되고, 또한, 차체 상하 폭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상하 축심 주위)에서 자유 회전하는 좌우 한 쌍의 안내륜(38)이,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에서의 내측면에 맞닿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안내륜(38)에 대해서는, 차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전방 주행부(32F)에 2세트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주행부(32R)에는, 전방 주행부(32F)와 마찬가지로, 1세트의 좌우 한 쌍의 주행륜(37)과 2세트의 좌우 한 쌍의 안내륜(38)이 장착되어 있다.
차체 본체부(31)의 상면에는,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의 각각을 따라 설치된 급전선(51)으로부터 비접촉으로 구동용 전력이 공급되는 수전부(5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수전부(52)는, 차체 전후 방향에서 전후 한 쌍의 연결부(34)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있고, 주행 레일(3)에 형성되어 있는 연통부(3b)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수전부(52)는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방 주행부(32F)가 세로축심 주위로 회동하는데 동기하여 수전부(52)가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전방 주행부(32F)와 수전부(52)가 연동 기구(53)에 의해 연동 연결되어 있다.
물품 반송차(2)는, 전방 주행부(32F) 및 후방 주행부(32R)의 주행륜(37)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구동력이 부여되어 주행 레일(3) 상을 주행한다. 이 때, 전방 주행부(32F) 및 후방 주행부(32R)의 안내륜(38)이 한 쌍의 레일부(3a)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차체 가로 폭 방향에서의 위치가 규제된다. 이로써, 물품 반송차(2)는, 주행 경로(1)를 따라 주행한다. 또한, 물품 반송차(2)는, 차체 본체부(31)에 대하여 전방 주행부(32F) 및 후방 주행부(32R)가 연결부(34)에 대하여 차체 상하 폭 방향을 따른 축심 주위에서 요동한다. 이로써, 물품 반송차(2)는, 주행 경로(1)가 원호형[제1 상류 경로(15)의 제1 길이 방향(X1)의 단부 등]이라도 주행 경로(1)를 따라 주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의 사이에는, 연결부(34)와 좌우 한 쌍의 안내륜(38)이 차체 가로 폭 방향(레일 가로 폭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를 경로 가로 폭 방향으로 이간시킨 상태로 설치함으로써, 주행 레일(3)의 상방측 공간과 하방측 공간이 연통되고, 연결부(34)나 좌우 한 쌍의 안내체(28)가 위치하는 연통부(3b)가 형성된다(도 3 참조). 이 연통부(3b)는, 주행 경로(1)를 따라 연속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경로가 접속 또는 교차하고 있는 개소에서는, 각각의 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연통부(3b)끼리는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부(9)에서는, 제1 주경로(5)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연통부(3b)와, 제1 상류 경로(15)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연통부(3b)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레일부(3a)는, 주행 경로(1)를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지만, 2개의 경로가 접속 또는 교차하고 있는 개소에서는,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 중 적어도 한쪽이 분단(分斷) 개소에 있어서 분단되어 불연속으로 된다. 즉, 2개의 경로의 각각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 중 적어도 한쪽은, 분단 개소에 있어서 경로 길이 방향으로 분단되어 불연속으로 되는 불연속 구간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부(9)에서는, 제1 주경로(5)를 따라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 중 한쪽의 레일부(3a)[제1 상류 경로(15)가 존재하는 측(우측)의 레일부(3a)]는, 경로 길이 방향에 있어서 분단되어 있다. 즉, 상기 레일부(3a)는, 제1 주경로(5)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연통부(3b)와, 제1 상류 경로(15)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연통부(3b)를 연통시키기 위해 경로 길이 방향에 있어서 분단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주행부(32F)에는, 주행륜(37)보다 위쪽 개소에, 상하 축심(차체 상하 폭 방향에 따른 축심) 주위에서 회전하는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과,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을 일체로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4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 주행부(32R)에는, 전방 주행부(32F)와 마찬가지로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과 구동부(40)가 장착되어 있다.
주행 경로(1)에서의 제1 접속부(9) 등의 접속부나 교차부(14)에는, 안내 보조륜(39)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4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레일(3)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방 주행부(32F)는, 구동부(40)에 의해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을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의 위치를, 우측 안내 위치와, 좌측 안내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측 안내 위치에서는,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이, 전방 주행부(32F)의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우측에 위치하고, 가이드 레일(41)에 대하여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이 우측으로부터 맞닿는다. 좌측 안내 위치에서는,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이, 전방 주행부(32F)의 차체 가로 폭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좌측에 위치하고, 가이드 레일(41)에 대하여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이 좌측으로부터 맞닿는다. 후방 주행부(32R)는, 전방 주행부(32F)와 마찬가지로, 구동부(40)에 의해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을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을 우측 안내 위치와 좌측 안내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방 주행부(32F)에 구비되어 있는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과 후방 주행부(32R)에 구비되어 있는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은, 동기된 상태에서 같은 안내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은, 우측 안내 위치보다 우측으로의 이동이나 좌측 안내 위치보다 좌측으로의 이동이 도시하지 않은 규제부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이 우측 안내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41)에 의해 우측으로부터 가압된 경우라도, 규제부의 규제에 의하여, 전후 일치된 안내 보조륜(39)은 우측 안내 위치에 유지된다. 그러나,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이 우측 안내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41)에 의해 좌측으로 가압된 경우에는, 좌우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은 좌측 안내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즉, 좌우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은, 우측 안내 위치보다 좌측으로의 이동이나, 좌측 안내 위치보다 우측으로의 이동에 대해서는 규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41)에 의한 압압(押壓) 등의 외력에 의하여, 좌우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은, 우측 안내 위치로부터 좌측 안내 위치로 이동하거나, 좌측 안내 위치로부터 우측 안내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 접속부에서의 물품 반송차(2)의 주행에 대하여 제1 접속부(9)를 예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부(9)에 있어서는, 가이드 레일(41)로서, 제1 주경로(5)를 따라 설치되는 제1 주경로용 가이드 레일(41a)과, 제1 상류 경로(15)를 따라 설치되는 제1 상류용 가이드 레일(41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주경로(5)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에서의 우측의 레일부(3a)는, 물품 반송차(2)가 제1 주경로(5)로부터 우측의 제1 상류 경로(15)로 분기하여 주행할 때, 연결부(34)나 한 쌍의 안내륜(38)이 통과할 수 있도록, 경로 길이 방향으로 분단되어 불연속으로 되는 불연속 부분을 가지고 있다.
제1 주경로(5)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가, 2세트의 전후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이하, 단지 안내 보조륜(39)이라 칭함]을 좌측 안내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제1 접속부(9)에 진입하는 경우, 물품 반송차(2)는, 안내 보조륜(39)이 제1 주경로용 가이드 레일(41a)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주행한다. 그러므로, 안내 보조륜(39)은 제1 상류용 가이드 레일(41b)에 의해 안내되지 않고, 제1 주경로용 가이드 레일(41a)에 의해 안내된다. 이로써, 물품 반송차(2)는 제1 접속부(9)를 직진 주행한다.
물품 반송차(2)가, 제1 주경로(5)의 제1 접속부(9)를 직진 주행할 때, 좌우 한 쌍의 주행륜(37) 중 우측의 주행륜(37)이, 우측의 레일부(3a)의 불연속 부분에 있어서 레일부(3a)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한다. 그러나, 안내 보조륜(39)이 제1 주경로용 가이드 레일(41a)에 대하여 좌측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가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규제된다. 마찬가지로, 물품 반송차(2)가 제1 주경로(5)의 제1 접속부(9)를 직진 주행할 때, 좌우의 안내륜(38) 중 우측의 안내륜(38)이, 우측의 레일부(3a)의 불연속 부분에 있어서 레일부(3a)에 의해 안내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 우측의 안내륜(38) 대신에 안내 보조륜(39)이 제1 주경로용 가이드 레일(41a)에 좌측으로부터 접촉하므로, 주행부(32)는 상기 안내 보조륜(39)과 좌측의 안내륜(38)에 의해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제1 주경로(5)를 따라 안내된다.
또한, 제1 주경로(5)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가, 안내 보조륜(39)을 우측 안내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도 4에 나타낸 상태)에서 제1 접속부(9)에 진입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는, 안내 보조륜(39)이 제1 상류용 가이드 레일(41b)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주행한다. 그러므로, 안내 보조륜(39)이 제1 상류용 가이드 레일(41b)에 의해 안내된 상태에서, 물품 반송차(2)는 제1 접속부(9)를 분기 주행한다.
물품 반송차(2)가 제1 접속부(9)를 분기 주행할 때, 좌우 한 쌍의 주행륜(37) 중 좌측의 주행륜(37)은, 제1 주경로(5)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 사이의 연통부(3b) 상을 이동한다. 좌측의 주행륜(37)이 상기 연통부(3b) 상을 이동할 때는, 상기 주행륜(37)이 레일부(3a)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한다. 그러나, 안내 보조륜(39)이 제1 상류용 가이드 레일(41b)에 대하여 우측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규제된다. 마찬가지로, 물품 반송차(2)가 제1 접속부(9)를 분기 주행할 때, 좌우의 안내륜(38) 중 좌측의 안내륜(38)이 좌측의 레일부(3a)에 의해 안내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 좌측의 안내륜(38) 대신에 안내 보조륜(39)이 제1 상류용 가이드 레일(41b)에 우측으로부터 접촉하므로, 주행부(32)는 상기 안내 보조륜(39)과 우측의 안내륜(38)에 의해 차체 가로 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제1 주경로(5)로부터 제1 상류 경로(15)로 안내된다.
다음에, 교차부(1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차부(14)에서는, 제1 접속 경로(21)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에 대해서는, 제1 접속 경로(21)의 상류부와 하류부에서 각각 좌우 한쪽에만 레일부(3a)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 경로(21)의 상류부에서는 상기 제1 접속 경로(21)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의 레일부(3a)[이하, 제1 좌측 레일부(a1)라 칭함]만이 구비되어 있다. 제1 접속 경로(21)의 하류부에서는 상기 제1 접속 경로(21)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의 레일부(3a)[이하, 제1 우측 레일부(a2)라 칭함]만이 구비되어 있다.
제2 접속 경로(22)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에 대해도 마찬가지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접속 경로(22)의 상류부에서는 상기 제2 접속 경로(22)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의 레일부(3a)[이하, 제2 우측 레일부(a3)라 칭함]만이 구비되어 있다. 제2 접속 경로(22)의 하류부에서는 상기 제2 접속 경로(22)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의 레일부(3a)[이하, 제2 좌측 레일부(a4)라 칭함]만이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좌측 레일부(a1)와 제1 우측 레일부(a2)는, 제2 접속 경로(22)를 따라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할 때 상기 물품 반송차(2)의 연결부(34)나 좌우 한 쌍의 안내륜(38)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접속 경로(21)의 경로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이간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접속 경로(21)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주행 레일(3)은 불연속 구간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우측 레일부(a3)와 제2 좌측 레일부(a4)는, 제1 접속 경로(21)를 따라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할 때 상기 물품 반송차(2)의 연결부(34)나 좌우 한 쌍의 안내륜(38)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2 접속 경로(22)의 경로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이간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 접속 경로(22)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주행 레일(3)은 불연속 구간을 가지고 있다.
교차부(14)에는, 좌우 한 쌍의 레일부(3a)로서 기능하는 한 쌍의 이동 레일부(43)가 구비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이동 레일부(43)는, 제1 주행용 위치(도 5 참조)와 제2 주행용 위치(도 6 참조)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주행용 위치에서는, 한 쌍의 이동 레일부(43)는, 제1 접속 경로(21)의 경로 길이 방향으로는, 각각 제1 좌측 레일부(a1) 및 제1 우측 레일부(a2)에 연속되도록 위치하고, 또한 제1 접속 경로(21)의 경로 좌우 방향으로는, 제1 좌측 레일부(a1) 및 제1 우측 레일부(a2)와 마찬가지로 서로 이간되어 있다. 제2 주행용 위치에서는, 한 쌍의 이동 레일부(43)는, 제2 접속 경로(22)의 경로 길이 방향으로는, 각각 제2 우측 레일부(a3) 및 제2 좌측 레일부(a4)에 연속되도록 위치하고, 또한 제2 접속 경로(22)의 경로 좌우 방향으로는, 제2 우측 레일부(a3) 및 제2 좌측 레일부(a4)와 마찬가지로 서로 이간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차부(14)에는, 4개의 고정된 가이드 레일(b1, b2, b3, b4)이 구비되어 있다. 제1 상류 가이드 레일(b1)은, 제1 접속 경로(21)의 상류부를 따라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41)이다. 제1 하류 가이드 레일(b2)은, 제1 접속 경로(21)의 하류부를 따라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41)이다. 제2 상류 가이드 레일(b3)은, 제2 접속 경로(22)의 상류부를 따라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41)이다. 제2 하류 가이드 레일(b4)은, 제2 접속 경로(22)의 하류부를 따라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41)이다. 제1 상류 가이드 레일(b1)과 제1 하류 가이드 레일(b2)은, 제2 접속 경로(22)를 따라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할 때 상기 물품 반송차(2)의 안내 보조륜(39)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접속 경로(21)의 경로 길이 방향으로 이간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상류 가이드 레일(b3)과 제2 하류 가이드 레일(b4)은, 제1 접속 경로(21)를 따라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할 때 상기 물품 반송차(2)의 안내 보조륜(39)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2 접속 경로(22)의 경로 길이 방향으로 이간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차부(14)에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 레일(44)[제1 이동 가이드 레일(b5) 및 제2 이동 가이드 레일(b6)]이 더 구비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이동 가이드 레일(44)은, 제1 상류 가이드 레일(b1)과 제1 하류 가이드 레일(b2) 사이에 위치하도록, 또는, 제2 상류 가이드 레일(b3)과 제2 하류 가이드 레일(b4) 사이에 위치하도록, 자세 변경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규정된 위치(후술하는 제1 안내용 위치 및 제2 안내용 위치)에 설정된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이동 가이드 레일(44)의 각각이 가이드 레일(41)로서 기능한다.
한 쌍의 이동 가이드 레일(44)은, 제1 안내용 위치(도 7 참조)와 제2 안내용 위치(도 8 참조)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안내용 위치는, 제1 이동 가이드 레일(b5)이 제1 상류 가이드 레일(b1)에 연결되고, 제2 이동 가이드 레일(b6)이 제1 하류 가이드 레일(b2)에 연결되는 위치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안내용 위치는, 제1 이동 가이드 레일(b5)이 제2 하류 가이드 레일(b4)에 연결되고, 제2 이동 가이드 레일(b6)이 제2 상류 가이드 레일(b3)에 연결되는 위치이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상류 경로(15)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가, 안내 보조륜(39)을 좌측 안내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교차부(14)에 진입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는, 안내 보조륜(39)가 제1 상류 가이드 레일(b1)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주행한다. 그러므로, 제1 접속 경로(21)의 상류부에서는, 안내 보조륜(39)이 제1 상류 가이드 레일(b1)에 의해 안내되어, 물품 반송차(2)는, 좌측 방향으로 진로 변경하고, 제1 상류 경로(15)로부터 제1 접속 경로(21)의 상류부로 주행한다. 물품 반송차(2)가 제1 상류 경로(15)로부터 제1 접속 경로(21)의 상류부로 주행할 때, 좌우 한 쌍의 주행륜(37) 중 우측의 주행륜(37)이 레일부(3a)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하지만, 안내 보조륜(39)이 제1 상류 가이드 레일(b1)에 대하여 좌측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가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규제된다.
제1 상류 가이드 레일(b1)에는, 제1 안내 위치에 위치하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 레일(44)의 한쪽의 제1 이동 가이드 레일(b5)이 연결되어 있다. 물품 반송차(2)가 제1 접속 경로(21)의 상류부로부터 중류부로 진행하면, 안내 보조륜(39)이 제1 상류 가이드 레일(b1)에 이어서, 제1 이동 가이드 레일(b5)에 의해 안내되고, 물품 반송차(2)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규제된 상태로 주행한다.
제1 접속 경로(21) 중류부에서는, 가이드 레일(41)의 환승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안내 위치에 위치하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 레일(44)의 다른 쪽의 제2 이동 가이드 레일(b6)에 안내 보조륜(39)이 접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41)에 의한 압압 등의 외력에 의하여, 좌우 한 쌍의 안내 보조륜(39)은, 우측 안내 위치로부터 좌측 안내 위치로 이동하거나, 좌측 안내 위치로부터 우측 안내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이동 가이드 레일(b6)에 의해 안내 보조륜(39)이 우측으로 안내됨으로써, 안내 보조륜(39)은 좌측 안내 위치로부터 우측 안내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물품 반송차(2)가 중류부를 주행할 때는, 한 쌍의 이동 레일부(43)가 제1 주행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주행륜(37) 모두가, 이동 레일부(43)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가이드 레일(41)의 환승이 행해진다.
제1 접속 경로(21)의 하류부에서는, 안내 보조륜(39)은 제1 하류 가이드 레일(b2)에 의해 안내된다. 물품 반송차(2)는, 제1 접속 경로(21)의 하류부로부터 제1 하류 경로(17)로 주행한다. 물품 반송차(2)가 제1 접속 경로(21)의 하류부로부터 제1 하류 경로(17)로 주행할 때는, 좌우 한 쌍의 주행륜(37) 중 좌측의 주행륜(37)이 레일부(3a)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상태가 발생하지만, 안내 보조륜(39)이 제1 하류 가이드 레일(b2)에 대하여 우측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물품 반송차(2)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제1 상류 경로(15)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는, 교차부(14)의 제1 접속 경로(21)를 주행한 후, 제1 하류 경로(17)로 주행한다(도 5 참조).
그리고, 제2 상류 경로(16)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가, 교차부(14)의 제2 접속 경로(22)를 주행한 후, 제2 하류 경로(18)로 주행하는 경우(도 6 참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보조륜(39)을 우측 안내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교차부(14)에 진입하는 점이나, 한 쌍의 이동 레일부(43)가 제2 주행 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한 쌍의 이동 가이드 레일(44)이 제2 안내 위치에 위치하는 점 이외에는, 물품 반송차(2)가 제1 접속 경로(21)를 주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2 상류 경로(16), 제2 접속 경로(22), 제2 하류 경로(18)를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제1 주경로(5)의 제1 접속부(9)로부터 부경로(7)의 제1 상류 경로(15)로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2)는, 부경로(7)를 제1 상류 경로(15), 교차부(14), 제1 하류 경로(17)의 순서로 주행한 후, 제2 주경로(6)에 합류 주행한다(도 1 참조). 또한, 제2 주경로(6)의 제2 접속부(10)로부터 부경로(7)의 제2 상류 경로(16)로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2)는, 부경로(7)를 제2 상류 경로(16), 교차부(14), 제2 하류 경로(18)의 순서로 주행한 후, 제1 주경로(5)에 합류 주행한다(도 1 참조). 교차부(14)에서는, 제1 주경로(5)로부터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하는 경로와 제2 주경로(6)로부터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하는 경로가, 같은 높이에서 교차하고 있다. 따라서, 부경로(7)를 폭 방향(Y) 및 상하 방향으로 좁은 스페이스에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부경로(7)를 구성하는 2개의 경로(107a, 107b)를 단순하게 폭 방향으로 나란히 위치시킨 경우(평행 상태에 위치시킨 경우)에 필요해지는 폭 방향(Y)의 스페이스(W2)에 비하여, 2개의 경로(7a, 7b)를 교차시켰을 경우에는 필요해지는 폭 방향(Y)의 스페이스(W1)를 작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류 경로(17)의 제2 길이 방향(X2)의 단부를 제2 주경로(6)에 접속하고, 제2 하류 경로(18)의 제1 길이 방향(X1)의 단부를 제1 주경로(5)에 접속하는 형태를 예시했다. 즉, 제3 접속부(11)에 있어서, 제1 하류 경로(17)와 제2 주경로(6)가 접속되고, 제4 접속부(12)에 있어서, 제2 하류 경로(18)와 제1 주경로(5)가 접속되어 있는 형태를 예시했다. 그러나,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류 경로(17)의 제2 길이 방향(X2)의 단부를, 제1 주경로(5) 및 제2 주경로(6)와는 다른 제1 개별 경로(46)에 접속하고, 제2 하류 경로(18)의 제1 길이 방향(X1)의 단부를, 제1 주경로(5) 및 제2 주경로(6)와는 다른 제2 개별 경로(47)에 접속해도 된다. 즉, 제3 접속부(11)에 있어서, 제1 하류 경로(17)와 제1 개별 경로(46)가 접속되고, 제4 접속부(12)에 있어서, 제2 하류 경로(18)와 제2 개별 경로(47)가 접속되어 있는 형태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경로(1)로서, 제1 주경로(5)와 제2 주경로(6)와 부경로(7)에 더하여, 제2 주경로(6)의 제1 폭 방향(Y1) 측에 위치하는 제1 개별 경로(46)와, 제1 주경로(5)의 제1 폭 방향(Y1) 측에 위치하는 제2 개별 경로(4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주경로(5)의 제1 폭 방향 경로(5a)에서의 제1 폭 방향(Y1) 측의 단부에 제1 접속부(9)를 구비하고, 제2 주경로(6)의 제2 폭 방향 경로(6a)에서의 제1 폭 방향(Y1) 측의 단부에 제2 접속부(10)를 구비한다. 제1 주경로(5)의 제1 접속부(9)로부터 부경로(7)의 제1 상류 경로(15)로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2)는, 부경로(7)를 제1 상류 경로(15), 교차부(14), 제1 하류 경로(17)의 순서로 주행한 후, 제1 개별 경로(46)를 주행한다. 또한, 제2 주경로(6)의 제2 접속부(10)로부터 부경로(7)의 제2 상류 경로(16)로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2)는, 부경로(7)를 제2 상류 경로(16), 교차부(14), 제2 하류 경로(18)의 순서로 주행한 후, 제2 개별 경로(47)를 주행한다.
(2) 상기에 있어서는, 교차부(14)에, 제1 접속 경로(21) 및 제2 접속 경로(22)에 더하여, 제3 접속 경로(23) 및 제4 접속 경로(24)를 구비하는 형태를 예시했다. 그러나, 교차부(14)에 제3 접속 경로(23)나 제4 접속 경로(24)를 따라 설치되는 주행 레일(3)이나 가이드 레일(41)을 구비하지 않고, 교차부(14)에, 제1 접속 경로(21) 및 제2 접속 경로(22)만이 구비되는 형태여도 된다.
[실시 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반송 설비의 개요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물품 반송 설비는, 하나의 태양으로서,
주행 경로로서, 루프형으로 형성된 제1 주경로와, 상기 제1 주경로와는 별도로, 루프형으로 형성된 제2 주경로와, 상기 제1 주경로와 상기 제2 주경로를 접속하는 부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전진 방향으로만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에 의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부경로는, 제1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경로와 접속된 제1 부경로와, 제2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경로와 접속된 제2 부경로를 가지고,
상기 제1 주경로와 상기 제2 주경로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제2 주경로부터 상기 제1 주경로를 향하는 방향을 제1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주경로부터 상기 제2 주경로를 향하는 방향을 제2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을 따른 한쪽의 방향을 제1 폭 방향으로 하고, 상기 폭 방향을 따른 다른 쪽의 방향을 제2 폭 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1 주경로 및 상기 제2 주경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경로이며,
상기 부경로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주경로와 상기 제2 주경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경로와 상기 제2 부경로가 교차하는 교차부와,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교차부에 접속된 제1 상류 경로와,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교차부에 접속된 제2 상류 경로와,
상기 제2 상류 경로에 대하여 상기 제1 폭 방향의 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교차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제3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경로와는 다른 제1 개별 경로에 접속된 제1 하류 경로와,
상기 제1 상류 경로에 대하여 상기 제1 폭 방향의 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교차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제4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경로와는 다른 제2 개별 경로에 접속된 제2 하류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류 경로 및 상기 제1 하류 경로는,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2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이며,
상기 제2 상류 경로 및 상기 제2 하류 경로는,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이며,
상기 교차부는, 상기 제1 상류 경로의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와 상기 제1 하류 경로의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1 접속 경로와, 상기 제2 상류 경로의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와 상기 제2 하류 경로의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2 접속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 경로와 상기 제2 접속 경로는,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또한 교차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주경로의 제1 접속부로부터 부경로의 제1 상류 경로로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는, 부경로를 제1 상류 경로, 교차부, 제1 하류 경로의 순서로 주행한 후, 제2 주경로에 합류하여 주행하거나, 또는 제1 개별 경로를 주행한다. 또한, 제2 주경로의 제2 접속부로부터 부경로의 제2 상류 경로로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는, 부경로를 제2 상류 경로, 교차부, 제2 하류 경로의 순서로 주행한 후, 제1 주경로에 합류하여 주행하거나, 또는 제2 개별 경로를 주행한다.
제1 주경로부터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경로(제1 상류 경로, 교차부 및 제1 하류 경로)와 제2 주경로부터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경로(제2 상류 경로, 교차부 및 제2 하류 경로)는, 교차부에 있어서 같은 높이에서 교차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상류 경로를 제2 하류 경로에 대하여 제2 폭 방향으로 접근해 설치하고, 또한 제1 하류 경로를 제2 상류 경로에 대하여 제1 폭 방향으로 접근해 설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상류 경로에서의 제1 주경로에 접속되는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나, 제2 상류 경로에서의 제2 주경로에 접속되는 단부를, 물품 반송차가 원활하게 분기 주행 가능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볼 때 원호형으로 형성한 경우라도, 이들의 단부를 부경로의 폭 방향으로 크게 비켜 놓을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폭 방향에 있어서 넓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부경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단부를 폭 방향에 있어서 같은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라도, 부경로에서의 제1 주경로부터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경로(제1 상류 경로, 교차부 및 제1 하류 경로)와, 제2 주경로부터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경로(제2 상류 경로, 교차부 및 제2 하류 경로)를 상하 방향으로 비켜서 설정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상하 방향에 있어서도 넓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부경로를 설치할 수 있어, 입체 교차 등에서 구조가 복잡화되는 것도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부경로를 경로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좁은 스페이스에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류 경로와 상기 제2 주경로가 접속되고, 상기 제4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류 경로와 상기 제1 주경로가 접속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주경로의 제1 접속부로부터 부경로의 제1 상류 경로로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는, 부경로를 제1 상류 경로, 교차부, 제1 하류 경로의 순서로 주행한 후, 제2 주경로에 합류하여 주행함으로써, 제2 주경로로 갈아탈 수 있다. 또한, 제2 주경로의 제2 접속부로부터 부경로의 제2 상류 경로로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는, 부경로를 제2 상류 경로, 교차부, 제2 하류 경로의 순서로 주행한 후, 제1 주경로에 합류 주행함으로써, 제1 주경로로 갈아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 주경로부터 제2 주경로로 물품 반송차를 갈아탈 수 있고, 또한 제2 주경로부터 제1 주경로로 물품 반송차를 갈아탈 수 있는 부경로를,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좁은 스페이스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개별 경로가, 상기 제2 주경로의 상기 제1 폭 방향의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별 경로가, 상기 제1 주경로의 상기 제1 폭 방향의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류 경로와 상기 제1 개별 경로가 접속되고, 상기 제4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류 경로와 상기 제2 개별 경로가 접속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주경로의 제1 접속부로부터 부경로의 제1 상류 경로로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는, 부경로를 제1 상류 경로, 교차부, 제1 하류 경로의 순서로 주행한 후, 제2 주경로의 제1 폭 방향에 위치하는 제1 개별 경로를 주행한다. 또한, 제2 주경로의 제2 접속부로부터 부경로의 제2 상류 경로로 분기 주행한 물품 반송차는, 부경로를 제2 상류 경로, 교차부, 제2 하류 경로의 순서로 주행한 후, 제1 주경로의 제1 폭 방향에 위치하는 제2 개별 경로를 주행한다. 이와 같이, 제1 주경로부터 제1 개별 경로로의 경로, 및 제2 주경로부터 제2 개별 경로로의 경로를,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에 있어서 좁은 스페이스로 설치할 수 있어, 물품 반송차의 주행 거리도 짧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폭 방향은, 상기 제1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경로와 대향하는 경로, 및 상기 제2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경로와 대향하는 경로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제1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폭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2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폭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에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제1 주경로와 제2 주경로가 대향하는 측에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가 설치되므로, 짧은 거리로 부경로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폭 방향이, 상기 제1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경로와 대향하는 경로, 및 상기 제2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경로와 대향하는 경로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방향이며, 제1 하류 경로가 제3 접속부에 있어서 제2 주경로와 접속되고, 제2 하류 경로가 제4 접속부에 있어서 제1 주경로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4 접속부는, 상기 제1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폭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3 접속부는, 상기 제2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폭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에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제1 주경로와 제2 주경로가 대향하는 측에 제1 접속부, 제2 접속부, 제3 접속부 및 제4 접속부가 설치되므로, 짧은 거리로 부경로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접속부는, 상기 제2 접속부보다 상기 제1 폭 방향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 접속부는, 상기 제1 접속부보다 상기 제1 폭 방향 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접속부와 제3 접속부를 연결하는 제1 부경로와, 제2 접속부와 제4 접속부를 연결하는 제2 부경로가, 교차부에 있어서 적절히 교차하고, 폭 방향에서의 부경로의 폭 방향 길이를 적절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차부가, 상기 제1 상류 경로의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와 상기 제2 상류 경로의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3 접속 경로와, 상기 제2 하류 경로의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와 상기 제1 하류 경로의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4 접속 경로를 구비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도 13은, 부경로(107)로서, 물품 반송차가 길이 방향(X)으로 같은 방향으로 주행하는 2개의 평행한 경로(107c, 107d)를 예시하고 있다. 도 13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경로(121, 122)는, 상기 2개의 평행한 경로(107c, 107d)의 사이에서, 물품 반송차를 서로 갈아타게 할 수 있는 접속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도면부호 "123" 및 도면부호 "124"로 나타내는 경로는, 상기 2개의 평행한 경로(107c, 107d)의 각각에 있어서, 각 경로를 직진하는 경우의 접속 경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파선으로 나타낸 경로(121, 122)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를 교차부라고 생각하면, 도 13에 나타낸 부경로(107)는, 전술한 제1 접속 경로, 제2 접속 경로, 제3 접속 경로 및 제4 접속 경로의 위치 관계와 같은 위치 관계인 4개의 접속 경로(121, 122, 123, 124)를 구비한 교차부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경로(107)는, 예를 들면, 물품 반송차가 길이 방향(X)으로 같은 방향으로 주행하는 2개의 평행한 경로의 사이에서, 물품 반송차를 서로 갈아타게 하는 경우에 이용되어 왔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교차부(107)에 있어서, 제2 접속 경로에 대응하는 도면부호 "122"의 경로가, 제1 접속 경로에 대응하는 도면부호 "121"의 경로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와는, 길이 방향(X)에 있어서 반대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물품 반송차가 대향하여 주행하는 2개의 경로(예를 들면, 도 10에 예시하는 107a, 107b)의 폭 방향(Y)에서의 배열 순서를, 상류측과 하류측으로 교환할 때의 경로 교환용의 교차부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면, 기존의 설비에 있어서, 경로 사이를 갈아타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교차부를, 경로 폭 방향의 위치를 교환하기 위한 교차부로서 유용할 수 있다. 이로써, 전용의 교차부를 준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물품 반송 설비의 기능 향상을 도모할 때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1 : 주행 경로
2 : 물품 반송차(물품 반송차)
5 : 제1 주경로
6 : 제2 주경로
7 : 부경로
7a : 제1 부경로
7b : 제2 부경로
9 : 제1 접속부
10 : 제2 접속부
14 : 교차부
15 : 제1 상류 경로
16 : 제2 상류 경로
17 : 제1 하류 경로
18 : 제2 하류 경로
21 : 제1 접속 경로
22 : 제2 접속 경로
23 : 제3 접속 경로
24 : 제4 접속 경로
46 : 제1 개별 경로
47 : 제2 개별 경로
X : 길이 방향
X1 : 제1 길이 방향
X2 : 제2 길이 방향
Y : 폭 방향
Y1 : 제1 폭 방향
Y2 : 제2 폭 방향

Claims (9)

  1. 주행 경로로서, 루프형으로 형성된 제1 주경로, 상기 제1 주경로와는 별도로, 루프형으로 형성된 제2 주경로, 및 상기 제1 주경로와 상기 제2 주경로를 접속하는 부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전진 방향으로만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에 의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부경로는, 제1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경로와 접속된 제1 부경로와, 제2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경로와 접속된 제2 부경로를 가지고,
    상기 제1 주경로와 상기 제2 주경로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또한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제2 주경로부터 상기 제1 주경로를 향하는 방향을 제1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주경로부터 상기 제2 주경로를 향하는 방향을 제2 길이 방향으로 하고,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고, 또한 상기 폭 방향을 따른 한쪽의 방향을 제1 폭 방향으로 하고, 상기 폭 방향을 따른 다른 쪽의 방향을 제2 폭 방향으로 하고,
    상기 제1 주경로 및 상기 제2 주경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경로이며,
    상기 부경로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주경로와 상기 제2 주경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부경로와 상기 제2 부경로가 교차하는 교차부,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제1 접속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교차부에 접속된 제1 상류 경로,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제2 접속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교차부에 접속된 제2 상류 경로,
    상기 제2 상류 경로에 대하여 상기 제1 폭 방향 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교차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제3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경로와는 다른 제1 개별 경로에 접속된 제1 하류 경로, 및
    상기 제1 상류 경로에 대하여 상기 제1 폭 방향 측에 위치하면서, 또한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상기 교차부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가 제4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경로와는 별개의 제2 개별 경로에 접속된 제2 하류 경로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류 경로 및 상기 제1 하류 경로는,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2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이며,
    상기 제2 상류 경로 및 상기 제2 하류 경로는,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이며,
    상기 교차부는, 상기 제1 상류 경로의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와 상기 제1 하류 경로의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1 접속 경로와, 상기 제2 상류 경로의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와 상기 제2 하류 경로의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2 접속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 경로와 상기 제2 접속 경로는,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또한 교차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류 경로와 상기 제2 주경로가 접속되고, 상기 제4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류 경로와 상기 제1 주경로가 접속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별 경로가, 상기 제2 주경로의 상기 제1 폭 방향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개별 경로가, 상기 제1 주경로의 상기 제1 폭 방향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류 경로와 상기 제1 개별 경로가 접속되고,
    상기 제4 접속부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류 경로와 상기 제2 개별 경로가 접속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 방향은, 상기 제1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경로와 대향하는 경로, 및 상기 제2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경로와 대향하는 경로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제1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폭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2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폭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 방향은, 상기 제1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경로와 대향하는 경로, 및 상기 제2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경로와 대향하는 경로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제1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폭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2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폭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 방향은, 상기 제1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경로와 대향하는 경로, 및 상기 제2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경로와 대향하는 경로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제1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폭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제2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폭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폭 방향은, 상기 제1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제2 주경로와 대향하는 경로, 및 상기 제2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제1 주경로와 대향하는 경로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물품 반송차가 주행하는 방향이며,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4 접속부는, 상기 제1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폭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접속부 및 상기 제3 접속부는, 상기 제2 주경로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차가 상기 제1 폭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로에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속부는, 상기 제2 접속부보다 상기 제1 폭 방향 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 접속부는, 상기 제1 접속부보다 상기 제1 폭 방향 측에 위치하고 있는, 물품 반송 설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부가, 상기 제1 상류 경로의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와 상기 제2 상류 경로의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3 접속 경로와, 상기 제2 하류 경로의 상기 제2 길이 방향 측의 단부와 상기 제1 하류 경로의 상기 제1 길이 방향 측의 단부를 접속하는 제4 접속 경로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 반송 설비.
KR1020160029399A 2015-03-26 2016-03-11 물품 반송 설비 KR102494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4736 2015-03-26
JP2015064736A JP6358142B2 (ja) 2015-03-26 2015-03-26 物品搬送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721A KR20160115721A (ko) 2016-10-06
KR102494075B1 true KR102494075B1 (ko) 2023-01-30

Family

ID=5697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399A KR102494075B1 (ko) 2015-03-26 2016-03-11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58177B2 (ko)
JP (1) JP6358142B2 (ko)
KR (1) KR102494075B1 (ko)
CN (1) CN106005924B (ko)
TW (1) TWI6904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58142B2 (ja) * 2015-03-26 2018-07-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304122B2 (ja) * 2015-05-13 2018-04-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477439B2 (ja) * 2015-11-17 2019-03-0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US9950791B2 (en) * 2016-03-08 2018-04-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rone receiver
US9852642B2 (en) 2016-03-08 2017-12-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rone air traffic control and flight plan management
US10062292B2 (en) 2016-03-08 2018-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amming language for execution by drone
US10417917B2 (en) 2016-03-08 2019-09-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rone management data structure
JP6690497B2 (ja) * 2016-10-28 2020-04-2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652084B2 (ja) * 2017-02-09 2020-02-1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919610B2 (ja) * 2018-03-22 2021-08-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7455008B2 (ja) 2020-06-23 2024-03-2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0370A (ja) 2011-11-24 2013-06-06 Daifuku Co Ltd 天井設置型の物品搬送設備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28918C (en) * 1993-07-29 1999-09-21 Eiji Orisaka Conveying system and method for a production line
DE9406061U1 (de) * 1994-04-12 1995-08-10 Mts Modulare Transp Sys Gmbh Sortieranlage zum Sortieren von einzeln geförderten Gegenständen
DE19725644A1 (de) * 1997-06-18 1998-12-24 Alsthom Cge Alcatel Bahn für mittels Weichen verzweigte Schienenstränge
US6235634B1 (en) * 1997-10-08 2001-05-22 Applied Komatsu Technology, Inc. Modular substrate processing system
US6629502B2 (en) * 2000-09-14 2003-10-07 Daifuku Co., Ltd. Conveyance system
JP3508130B2 (ja) * 2000-09-21 2004-03-22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
JP3601454B2 (ja) * 2001-02-07 2004-12-15 村田機械株式会社 無人搬送車システム
JP4048409B2 (ja) * 2001-10-22 2008-02-20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設備
US6655297B2 (en) * 2002-04-19 2003-12-02 Daifuku Co., Ltd. Transfer system using movable bodies
JP3981885B2 (ja) * 2003-05-20 2007-09-26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JP2005031873A (ja) * 2003-07-10 2005-02-03 Trecenti Technologies Inc 搬送システムおよび半導体製造システム
TWI291447B (en) * 2003-12-26 2007-12-21 Murata Machinery Ltd Track guided vehicle system
JP4148194B2 (ja) * 2004-07-22 2008-09-10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台車システム
JP4720267B2 (ja) * 2005-04-14 2011-07-13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走行車システム
WO2007056443A2 (en) * 2005-11-07 2007-05-18 Brooks Automation, Inc. Reduced capacity carrier, transport, load port, buffer system
US20070201967A1 (en) * 2005-11-07 2007-08-30 Bufano Michael L Reduced capacity carrier, transport, load port, buffer system
JP4264840B2 (ja) * 2006-10-20 2009-05-20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走行車
JP4366663B2 (ja) * 2007-06-28 2009-11-18 村田機械株式会社 搬送台車システム
TW201013820A (en) * 2008-09-24 2010-04-01 Inotera Memories Inc Automatic transpor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099454B2 (ja) * 2009-03-27 2012-12-19 株式会社ダイフク 交差部切換設備
JP5686501B2 (ja) * 2009-03-27 2015-03-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US8272331B2 (en) * 2009-09-11 2012-09-25 Autran Corp. Automated transport system
JP5141987B2 (ja) * 2009-12-07 2013-02-1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US20110241845A1 (en) * 2010-04-06 2011-10-06 Sullivan Robert P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Identification Features
JP5440870B2 (ja) * 2010-08-19 2014-03-12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5472209B2 (ja) * 2011-05-31 2014-04-1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5720954B2 (ja) 2012-03-06 2015-05-20 株式会社ダイフク 天井搬送車の清掃装置
SG11201506361WA (en) * 2013-02-15 2015-09-29 Murata Machinery Ltd Conveyance system
JP6007880B2 (ja) * 2013-10-10 2016-10-12 株式会社ダイフク 天井搬送車
JP6269535B2 (ja) * 2015-03-04 2018-01-31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358142B2 (ja) * 2015-03-26 2018-07-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278341B2 (ja) * 2015-04-06 2018-02-1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304122B2 (ja) * 2015-05-13 2018-04-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327213B2 (ja) * 2015-06-30 2018-05-2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507897B2 (ja) * 2015-07-10 2019-05-0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0370A (ja) 2011-11-24 2013-06-06 Daifuku Co Ltd 天井設置型の物品搬送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05924A (zh) 2016-10-12
KR20160115721A (ko) 2016-10-06
US9758177B2 (en) 2017-09-12
JP2016184690A (ja) 2016-10-20
US20160280239A1 (en) 2016-09-29
TW201641411A (zh) 2016-12-01
TWI690478B (zh) 2020-04-11
JP6358142B2 (ja) 2018-07-18
CN106005924B (zh)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075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2422207B1 (ko) 물품 반송 설비
US9061839B2 (en) Ceiling installation type article transport facility
JP5527619B2 (ja) 天井設置型の物品搬送設備
JP5477651B2 (ja) 物品搬送設備
KR102422565B1 (ko) 물품 반송 설비
JP5686501B2 (ja) 物品搬送設備
EP2511150B1 (en) Item conveyance infrastructure
JP6613941B2 (ja) 物品搬送設備
US8607709B2 (en) Intersection navigation system
KR101407418B1 (ko) 반송 시스템
KR20200067256A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419358B1 (ko) 반송시스템
JP2003212113A (ja) 無人搬送車システム
JP2010006478A (ja) 走行システム
JP5304160B2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