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566B1 -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배 물건 배송방법 - Google Patents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배 물건 배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566B1
KR102493566B1 KR1020220099812A KR20220099812A KR102493566B1 KR 102493566 B1 KR102493566 B1 KR 102493566B1 KR 1020220099812 A KR1020220099812 A KR 1020220099812A KR 20220099812 A KR20220099812 A KR 20220099812A KR 102493566 B1 KR102493566 B1 KR 102493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ase
conveyor system
heating uni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숙
Original Assignee
최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숙 filed Critical 최정숙
Priority to KR102022009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85Postal items, e.g. letters, parc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은 물건을 이동시키는 택배 물건 컨베이어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상기 케이스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발열부(70); 상기 발열부의 일측에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 및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부를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봉 형태의 롤러를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부; 상기 브라켓부 상에서 상기 작업대의 폭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롤러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을 감싸면서 롤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롤러안착부; 상기 레일부 상에서 상기 브라켓부가 고정 되도록 하여 상기 롤러안착부에 안착되는 롤러와 다른 롤러의 배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브라켓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인식부가 동작을 인식할 때, 상기 발열부가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배 물건 배송방법 {System of Conveying Goods And Method of Delivering Goods}
본 발명은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배 배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에서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배 배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는 다양한 화물 등 물건을 특정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된다. 컨베이어는 실내 및 실외에서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되어 운용된다.
특히 컨베이어가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 겨울에는 물건을 다루는 작업자가 추위에 고생하게 된다.
컨베이어를 이용할 때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배 배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은 물건을 이동시키는 택배 물건 컨베이어에 있어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20); 상기 케이스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30);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발열부(40); 상기 발열부의 일측에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50); 및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11); 상기 레일부(11)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부(11)를 따라 회전 가능 하도록 고정되고, 봉 형태의 롤러를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부(12); 상기 브라켓부(12) 상에서 상기 케이스(10)의 폭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롤러(20)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을 감싸면서 롤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롤러안착부(13); 상기 레일부(11) 상에서 상기 브라켓부(12)가 고정 되도록하여 상기 롤러안착부(13)에 안착되는 롤러와 다른 롤러의 배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브라켓고정부(14);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인식부(50)가 동작을 인식할 때, 상기 발열부(40)가 ON/OFF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작업자의 발에 의해 ON/OFF 제어되는 페달 스위치(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40)가 상기 페달 스위치에 의해 ON/OFF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4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통공이 형성되는 본체(41),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며, 발열 소자(42)가 부착된 PBC기판(43); 및 PBC기판(43)의 일면에 설치되어 PBC기판(43)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판(44), 상기 본체의 통공에 전도판(45)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판(45)의 일면에 상기 PBC기판(43)과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발열 소자(42)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는 히트싱크(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의 지면 접점에 상기 케이스에 가해지는 진동을 완화하는 완충부(8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택배 물건 배송 방법은 작업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컨베이어 시스템 다가오는 작업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작업자의 체온을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작업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을 가동하는 단계;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 주변의 기온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기온이 일정 온도 이하이고, 상기 작업자의 손동작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에 구비된 발열부가 가동되는 단계; 및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운반되는 택배 물건의 운반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발열부의 가동이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작업자에게 작업 편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을 나타낸 사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발열부에 전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현재 실시하고 있는 전력계를 도시한 사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사진도에서 발열부 및 페달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케이스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의 케이스에 설치된 레일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발열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 물건 배송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을 나타낸 사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발열부에 전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현재 실시하고 있는 전력계를 도시한 사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은 케이스(10),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 케이스(10)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30), 케이스(10)의 외부에 설치되는 발열부(40), 발열부(40)의 일측에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50), 및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부(60)를 포함한다.
또한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지지부(30)의 지면 접점에 케이스(10)에 가해지는 진동을 완화하는 완충부(80)가 포함될 수 있다. 완충부(80)는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80)는 충격 흡수 재질일 수 있다.
롤러는 드럼 형태로 제작된다. 복수의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롤러와 맞닿은 물건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컨베이어가 실외에 설치될 경우 특히 날씨가 추운 겨울에 작업자는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에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발열부(40)가 제공된다. 또한 발열부(40)를 작동하게 하는 동작인식부(50) 및 페달 스위치(70)가 제공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및 발열부(4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력 제공 수단에 파워 버튼(111), 롤러의 역회전, 정지, 정회전으로 제어하는 롤러 제어 스위치(112), 롤러의 속도를 조절하는 스피드 콘트롤러(113) 그리고 비상 시 시스템의 작동을 중지하는 비상버튼(1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력 제공 수단은 컨베이어를 가동함과 동시에 발열부(40)에 필요한 전력을 함께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도 1의 사진도에서 발열부 및 페달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0)는 케이스(10)의 상부에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11), 레일부(11)에 연결되어, 레일부(11)를 따라 회전 가능 하도록 고정되고, 봉 형태의 롤러를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부(12), 브라켓부(12) 상에서 작업대의 폭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롤러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을 감싸면서 롤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롤러안착부(13), 레일부(11) 상에서 브라켓부(12)가 고정되도록하여 롤러안착부(13)에 안착되는 롤러와 다른 롤러의 배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브라켓고정부(14)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2의 케이스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3의 케이스에 설치된 레일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레일부(11)는 케이스(10) 상부의 폭 방향 테두리 부위에 마주보면서 케이스(10)의 길이 발향으로 한 쌍이 배치된다. 레일부(11)는 막대 형태의 레일, 레일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개의 돌출돌기(15)와, 돌출돌기(15)들의 사이 공간을 이루는 음각홈(16)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11)의 레일은 브라켓부(12)가 레일 상에서 회전 가능 하도록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레일 상에는 다수 개의 브라켓부(12)가 배치되게 되고 각각의 브라켓부(12)에는 롤러(20)가 배치되어 브라켓부(12)가 레일 상에서 사용자의 필요한 위치에 배치됨으로 인해 다수 개의 롤러(20)의 이격 간격이 정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돌출돌기(15)와 음각홈(16)은 브라켓고정핀(17) 통해 브라켓부(12)가 레일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브라켓부(12)는 레일에 연결되어 레일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고, 봉 형태의 롤러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 브라켓부(12)는 레일에 안착되는 안착홈(18)과 롤러안착부(13)가 형성된 부위에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안착부(13)와 함께 롤러가 안착된 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홈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18)은 레일을 감싸면서 레일 상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레일과 대응된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전홈(19)은 롤러 브라켓부(12)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롤러의 길이방향 양측말단의 하면을 감쌀 수 있도록 반원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작인식부(50)가 동작을 인식할 때, 발열부(40)가 동작한다. 동작인식부(50)가 동작을 인식하는 방법은 기존의 다양한 기술에 의한다. 예를 들면, 동작인식부(50)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레이저의 간섭이 일어날 경우 사람의 손이나 발 등 신체를 인식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방법은 생략하기로 한다.
동작인식부(50)는 발열부(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발열부(40)에 발열부(40)가 동작하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페달 스위치(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40)가 페달 스위치(70)에 의해 ON/OFF 제어될 수 있다. 페달 스위치(70)는 발에 의해 ON/OFF 제어된다. 페달 스위치(70)는 기존의 페달 스위치(70)를 이용하므로 이는 기존의 방법에 의한다. 작업자가 작업자의 신체 일부 예를들면 손이나 발을 일정 영역에 동작하면 동작인식부(50)가 작업자의 움직임 동작을 인식하고, 발열부(40)가 동작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도 6는 도 2에 도시한 발열부를 더욱 상세히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열부(40)는, 두께를 갖는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통공이 형성되는 본체일 수 있다. 발열부(40)는 본체 내부에 내장된다. 발열부(40)는 발열 소자가 부착된 PBC기판 및 인쇄회로기판 일면에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판, 본체의 통공에 전도판이 형성되고, 전도판의 일면에 상기 PBC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발열 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는 히트싱크(46)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의 표면은 손 모양으로 음각된 손음각부(47)가 형성된다. 손음각부(47)는 원형으로 파인 형태를 포함하며, 사람의 손가락에 해당하는 다섯개의 길이로 음각된 형태를 포함한다. 발열부(40)는 왼손 및 오른손 모양의 손음각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40)에 손음각부(47)가 형성됨으로써 작업자는 굳이 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손의 감각만으로 발열부(40)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열 소자는 전도판과 밀착 설치되어 열을 전도 받는다. 발열 소자는 특히 펠티에(Peltier) 효과로 발열 작용을 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는 반도체이다. 반도체와 P형 반도체에 동판을 접속하고 여기에 전류가 흘려지면 펠티에 효과에 의해 발열 작용이 일으켜진다.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의 가동을 위한 전기력이 발열부(40)에 적용된다.
발열부(40)의 본체는 배선이 가능한 배선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배선 홀을 통하여 전기선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열부(40)의 본체에는 컨베이어의 일부에 걸어 설치하기 위한 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부는 컨베이어 시스템이 외부에 설치된 경우 작업자에게 추위를 이겨내게 하는 등의 편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 물건 배송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택배 물건 배송 방법은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컨베이어 시스템 다가오는 작업자를 감지하는 단계(a), 감지된 작업자의 체온을 감지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을 가동하는 단계(b), 컨베이어 시스템 주변의 기온을 측정하는 단계(c), 측정된 기온이 일정 온도 이하이고, 작업자의 손동작을 인식하는 경우 컨베이어 시스템에 구비된 발열부가 가동되는 단계(d) 및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운반되는 택배 물건의 운반이 종료되는 경우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발열부의 가동이 종료되는 단계(e)를 포함한다.
단계(a)에서 열감지 카메라가 작업자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열감지 카메라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작업자가 접근하면 작업자의 동작의 감지가 이뤄지고 컨베이어 시스템이 가동된다(단계(b)).
컨베이어 시스템이 야외에 설치되는 경우, 작업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야외 기온 측정(단계(c)) 및 작업자의 손동작을 인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먼저 야외의 온도가 소정의 기온보다 작고 동시에 작업자의 손동작이 인식되는 경우 발열부가 가동된다(단계(d))
모든 택배 물건이 이동된 경우 컨베이어 시스템은 종료된다(단계(e)).
일실시예에 따른 택배 물건 배송 방법에 의해, 컨베이어 시스템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과정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자동화에 의해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는 발열부에 의해 추위를 이기는 등의 편의를 제공받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케이스
11 : 레일부
12 : 브라켓부
13 : 롤러안착부
14 : 브라켓고정부
15 : 돌출돌기
16 : 음각홈
17 : 브라켓고정핀
18 : 안착홈
19 : 회전홈
20 : 롤러
30 : 지지부
40 : 발열부
47 : 손음각부
50 : 동작 인식부
60 : 모터부
70 : 페달 스위치
80 : 완충부

Claims (5)

  1. 물건을 이동시키는 택배 물건 컨베이어에 있어서,
    케이스(10);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롤러(20);
    상기 케이스 하부에 형성된 지지부(30);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는 발열부(40);
    상기 발열부의 일측에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인식부(50); 및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주보면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11);
    상기 레일부(11)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부(11)를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봉 형태의 롤러를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부(12);
    상기 브라켓부(12) 상에서 상기 케이스(10)의 폭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롤러(20)의 길이방향 양측 끝단을 감싸면서 롤러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롤러안착부(13);
    상기 레일부(11) 상에서 상기 브라켓부(12)가 고정 되도록하여 상기 롤러안착부(13)에 안착되는 롤러와 다른 롤러의 배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브라켓고정부(14);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인식부(50)가 동작을 인식할 때, 상기 발열부(40)가 ON/OFF로 동작하고,
    열감지 카메라 및
    작업자의 발에 의해 ON/OFF 제어되는 페달 스위치(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감지 카메라가 일정 기준 이상의 온도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발열부(40)가 상기 페달 스위치에 의해 ON/OFF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4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통공이 형성되는 본체(41),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되며, 발열 소자(42)가 부착된 PBC기판(43); PBC기판(43)의 일면에 설치되어 PBC기판(43)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열차단판(44),
    상기 본체의 통공에 전도판(45)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판(45)의 일면에 상기 PBC기판(43)과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발열 소자(42)에서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는 히트싱크(46);
    상기 본체의 표면은 왼손 및 오른손에 대응되는 모양으로 음각된 손음각부(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의 지면 접점에 상기 케이스에 가해지는 진동을 완화하는 완충부(8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5.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한 택배 물건의 배송을 보조하는 택배 물건 배송 방법에 있어서,
    (a)작업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컨베이어 시스템 다가오는 작업자를 감지하는 단계;
    (b)상기 감지된 작업자의 체온을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작업자의 동작을 감지하고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을 가동하는 단계;
    (c)상기 컨베이어 시스템 주변의 기온을 측정하는 단계;
    (d)상기 측정된 기온이 일정 온도 이하이고, 상기 작업자의 손동작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에 구비된 발열부가 가동되는 단계; 및
    (e)상기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운반되는 택배 물건의 운반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시스템 및 발열부의 가동이 종료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택배 물건 배송 방법.
KR1020220099812A 2022-08-10 2022-08-10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배 물건 배송방법 KR102493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812A KR102493566B1 (ko) 2022-08-10 2022-08-10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배 물건 배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9812A KR102493566B1 (ko) 2022-08-10 2022-08-10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배 물건 배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3566B1 true KR102493566B1 (ko) 2023-01-31

Family

ID=85108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9812A KR102493566B1 (ko) 2022-08-10 2022-08-10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배 물건 배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56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6372B2 (ja) * 2001-10-11 2006-1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ンベア装置における作業者の検知方法
KR20150118637A (ko) * 2014-04-14 2015-10-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롤러 지지구를 갖는 컨베이어장치
KR20220007902A (ko) * 2020-06-29 2022-01-20 씨제이대한통운 (주) 택배 차량 적재함 내부 냉난방 공조를 위한 물류센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6372B2 (ja) * 2001-10-11 2006-1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コンベア装置における作業者の検知方法
KR20150118637A (ko) * 2014-04-14 2015-10-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롤러 지지구를 갖는 컨베이어장치
KR20220007902A (ko) * 2020-06-29 2022-01-20 씨제이대한통운 (주) 택배 차량 적재함 내부 냉난방 공조를 위한 물류센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4892B2 (ja) ロボットの設置台の輝度が変化するロボットシステム
EP2305594B1 (en) Learning device and learning method in article conveyance facility
JP4465355B2 (ja) 移動調整機能付きリニアモータ
US7341187B2 (en) Article sensor and article transport device having same
JP2005500963A (ja) 高速コンベヤ上の対象物を測定および方向変換する方法と装置
KR102493566B1 (ko) 택배 물건 컨베이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택배 물건 배송방법
JP2005502489A (ja) 位置決め方法及び装置
EP1468945A2 (en) A material sortation system
JP5944868B2 (ja) 容器の搬送向き変換装置
JP2005503307A (ja) コンベアラインのシステムにおける主コンベアラインとエンドレスチェーンを有するコンベアユニットとの接続のためのワークモジュール
CN106256716A (zh) 搬送设备
KR20000015381A (en) Speed ordering device and method of elevator
ATE452850T1 (de) Personenfördervorrichtung mit direktangetriebenen trittkörpern
WO2004076319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gning items on a conveyor
CN106081518A (zh) 机场行李输送装置及方法
EP2246152B1 (en) Corner bevelling assembly for bevelling corners of glass sheets
KR101544384B1 (ko) 관성력 제공부를 갖는 가상 현실 시스템 및 이의 관성력 제공 방법
CN110329714A (zh) 一种利用斜坡落差的传送轨道装置
CN206201165U (zh) 一种陶瓷坯料输送设备
JP4768595B2 (ja) 組立てラインシステム
KR970706172A (ko) 아이스크림 샌드위치 병합 서브-어샘블리(ice cream sandwich collator sub-assembly)
CN220865788U (zh) 一种用于直线交叉带分拣机的供包机
CN220097654U (zh) 印制电路板传料装置
JP2006247772A (ja) 硬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裁断加工方法
KR20200102044A (ko) 차량용 모션 인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