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446B1 -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 Google Patents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446B1
KR102492446B1 KR1020160111150A KR20160111150A KR102492446B1 KR 102492446 B1 KR102492446 B1 KR 102492446B1 KR 1020160111150 A KR1020160111150 A KR 1020160111150A KR 20160111150 A KR20160111150 A KR 20160111150A KR 102492446 B1 KR102492446 B1 KR 102492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unit
steam discharge
control uni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630A (ko
Inventor
곽동후
배호준
한승룡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1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446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 배출부의 고장 여부를 점검하여 사용자에게 증기 배출부의 고장을 알릴 수 있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는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내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내솥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내솥을 가열하고,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및 폐쇄 제어를 수행하되,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조리 공간의 압력을 기준으로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기능 또는 폐쇄 기능의 고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ELECTRIC PRESSURE COOKER WITH STEAM DISCHARGER TESTING FUNCTION}
본 발명은 전기 압력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기 배출부의 고장 여부를 점검하여 사용자에게 증기 배출부의 고장을 알릴 수 있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압력 조리기는 내솥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재료가 담긴 상태에서 내솥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기 압력 조리기는 흔히 전기 밥솥으로 대변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밥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전기 압력 조리기라는 명칭에 걸맞게 다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전기 압력 조리기의 기본적인 구조는, 본체와, 본체 안에 수용되는 내솥,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는 내솥을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뚜껑은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뚜껑에는 내솥 내의 증기 조절을 위해 증기 배출부(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 장치)가 설치되며, 이 증기 배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조리 공정 중 또는 조리 공정의 완료 후 내솥으로부터 증기를 배출한다.
이 증기 배출부의 개방 및 폐쇄 기능의 고장은 제어부의 솔레노이드 밸브 구동 회로의 고장, 제어부와 솔레노이드 밸브 간의 전기적인 신호 연결 고장(예를 들면, 단선), 솔레노이드 밸브 자체의 전기적인 고장(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코일의 단선 등),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구적 폐쇄(또는 폐쇄력) 불량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구적 개방(또는 개방력) 불량 등으로 야기될 수 있다.
이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에 고장이 있는 경우, 조리 공정 중에 내솥 내의 증기가 증기 배출부를 통하여 누설되어 내솥 내의 압력이 원하는 압력에 도달되지 않게 되므로, 조리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기 배출부의 개방 기능에 고장이 있는 경우, 내솥 내의 압력이 원활하게 감소되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종래의 전기 압력 조리기는 위와 같은 폐쇄 및 개방 기능에 고장이 난 증기 배출부를 점검하는 장치나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 및 개방 기능의 고장 여부를 점검하여 사용자에게 증기 배출부의 고장을 알릴 수 있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는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내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내솥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내솥을 가열하고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및 폐쇄 제어를 수행하되,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조리 공간의 압력을 기준으로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기능 또는 폐쇄 기능의 고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를 폐쇄 제어하고,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중에,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과 제 1 기준 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의 고장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 동작 시간이 상기 제 1 기준 가열 시간 미만이면서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이 제 1 기준 압력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 동작이 상기 제 1 기준 가열 시간 동안 수행되었으나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이 제 1 기준 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이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 고장을 상기 전기 압력 조리기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이 폐쇄 상태이며 상기 증기 배출부가 개방 제어된 대기 시간이 적어도 기준 대기 시간을 경과한 이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를 폐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 이전에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을 초기 압력으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초기 압력과 1기압 간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기준 압력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이 정상인 경우,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증기 배출부를 개방 제어한 후,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과 제 2 기준 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기능의 고장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를 폐쇄 제어한 후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이 제 1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증기 배출부를 개방 제어한 후,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과 제 2 기준 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기능의 고장을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 압력 조리기는 상기 뚜껑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솥의 상측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 이전의 온도를 초기 온도로 저장하고, 상기 제 2 기준 가열 시간의 가열 동작 이후의 상측 온도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솥에 액체가 있는 경우에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의 고장 판단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 압력 조리기는 상기 내솥의 하측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상기 하측 온도와 기준 판단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내솥에 액체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 및 개방 기능의 고장 여부를 점검하여 사용자에게 증기 배출부의 고장을 알릴 수 있어, 고장이 야기된 증기 배출부에 대한 신속한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화상과 같은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조리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 및 개방 기능의 고장 여부를 점검하는 중에, 내솥 내에 액체의 유무를 검사하거나 뚜껑 열림 검사를 수행하여,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증기 배출부의 점검 공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정확한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전기 압력 조리기의 과열에 의한 고장이나 화재 등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압력 조리기의 증기 배출부를 점검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 압력 조리기가 증기 배출부를 점검하는 중에 수행하는 뚜껑 열림 검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기 압력 조리기가 증기 배출부를 점검하는 중에 수행하는 액체 유무 검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 압력 조리기는 일반적인 전기 압력 조리기와 같이 내솥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본체 안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내솥, 본체(또는 수용부)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내솥과 뚜껑에 의해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압력 조리기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와, 메뉴나 현재 진행 중인 공정(예를 들면, 조리 공정, 증기 배출부 점검 공정 등) 또는 증기 배출부의 정상 및 고장 표시, 뚜껑 열림 상태 알림, 내솥에 액체 없음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3)와, 제어부(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증기 배출부(5)와, 본체의 수용부나 뚜껑에 장착되어 내솥의 상측, 측면, 하측 등에서 열을 가하는 가열부(7)와, 내솥의 내부 온도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9)와, 내솥 내부(또는 조리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11)와, 사용자로부터 메뉴 선택, 조리 공정 및 증기 배출부 점검 명령 등을 입력 받는 입력부(13)와,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대기 공정과, 조리 공정, 보온 공정 등을 수행하며, 압력 감지를 통한 증기 배출부(5)의 점검 공정을 수행하는 제어부(2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부(1), 표시부(3) 및 입력부(13)는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당연히 인식되는 정도의 기술에 해당되므로, 그 설명이 생략된다.
증기 배출부(5)는 제어부(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조리 공간 내의 증기의 배출 및 차단을 수행하는 증기 배출 밸브(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의 동작(개방 및 폐쇄)을 제어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부(5)는 증기 배출 밸브를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가열부(7)는 내솥의 상부를 가열하기 위해 뚜껑에 장착되는 상측 가열부와, 내솥의 측면을 가열하는 측면 가열부와, 내솥의 하측을 가열하는 하측 가열부로 구성된다. 다만, 상측 가열부와 측면가열부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온도 감지부(9)는 내솥의 상측, 측면 및 하측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20)에 감지된 온도를 인가한다.
압력 감지부(11)는 전기 압력 조리기의 뚜껑에 장착되어 내솥 내부(조리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20)에 감지된 압력을 인가한다.
제어부(20)는 상술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여, 대기 공정을 수행하다가, 메뉴의 선택과 조리의 시작 명령에 의해 조리 공정을 수행하고, 조리 공정 이후에 보온 공정을 수행하거나, 신규로 입력된 보온 명령에 따라 보온 공정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입력부(13)로부터의 증기 배출부 점검 명령에 따라 일정시간 후 압력 감지부(11)의 압력값을 저장하고, 증기 배출부(5)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여, 가열부(7)를 동작시키며, 압력 감지부(11)에 의해 감지된 압력에 따라 증기 배출부(5)의 폐쇄 기능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폐쇄 기능 점검 과정과, 증기 배출부(5)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며 가열 동작을 중단한 후, 압력 감지부(11)에 의해 감지된 압력에 따라 증기 배출부의 개방 기능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개방 기능 점검 과정을 포함하는 증기 배출부(5)의 점검 공정을 수행하여, 증기 배출부(5)의 점검 결과를 표시부(3)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공정을 수행하면서, 뚜껑이 닫혀 있는지 열려 있는지 검사하는 뚜껑 열림 검사 및/또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을 위해 공급된 액체(예를 들면, 물)의 유무 검사를 수행하여,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증기 배출부의 점점 공정이 수행되도록 하여 정확한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내솥에 액체가 없을 경우 증기 배출부의 점검을 종료시켜 전기 압력 조리기의 과열에 의한 고장 등을 방지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압력 조리기의 증기 배출부를 점검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S1)에서, 제어부(20)는 입력부(13)로부터 증기 배출부(5)에 대한 점검 명령을 획득하고, 표시부(3)를 통하여 증기 배출부(5)에 대한 점검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안내한다. 또한, 제어부(20)는 표시부(3)를 통하여 증기 배출부(5)에 대한 점검 공정을 위해 내솥에 일정량(예를 들면, 백미 물눈금 2 인분까지)의 물을 공급하도록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또는, 제어부(20)는 사용자가 늦어도 단계(S3) 이전에 일정량의 물을 내솥에 공급하도록 안내한다.
단계(S3)에서, 제어부(20)는 뚜껑이 폐쇄된 상태에서 증기 배출부(5)를 개방 제어함으로써 내부 압력이 대기압으로 유지되도록 대기 동작을 수행한다. 수행된 대기 시간이 기준 대기 시간(예를 들면, 10초)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수행된 대기 시간이 기준 대기 시간을 경과하였으면, 단계(S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 대기한다. 사용자가 증기 배출부(5)의 점검을 위해, 물을 공급한 이후에 뚜껑을 닫게 되면, 이러한 뚜껑의 폐쇄(닫힘) 동작에 의하여 내솥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한 증기 배출부(5)의 점검을 위해 상승된 내솥 내부의 압력이 감소되어 안정화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단계(S3)에서 적어도 기준 대기 시간의 경과가 필요하다. 제어부(20)는 뚜껑의 개방 및 폐쇄를 뚜껑 개폐 감지부(미도시)를 통하여 뚜껑의 개방 및 폐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뚜껑 개폐 감지부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널리 알려진 기술에 불과하여 자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단계(S5)에서, 제어부(20)는 압력 감지부(11)로부터의 초기 압력(Pi)을 획득하여 저장하고, 증기 배출부(5)를 폐쇄 제어한다. 제어부(20)는 압력 감지부(11)의 압력을 1회만 감지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나, 계측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수 초간의 압력 감지값을 평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초기 압력(Pi)을 저장하는 이유는 전기 압력 조리기가 위치한 해발고도에 따른 대기압의 변경, 압력 감지부(11)의 압력 감지 오차 등의 문제로 인해 증기 배출부(5)의 고장 여부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전기 압력 조리기가 해발고도가 1500m인 도시에 위치한 경우, 해발고도가 0m인 도시처럼 1.0기압으로 감지되는 것이 아니라 약 0.8기압으로 감지되거나, 압력 감지부(11)의 압력 감지 오차로 인해 1.0 기압이 아닌 0.9기압이나 1.1기압으로 대기압이 감지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 편차를 보정하기 위해 초기 압력(Pi)을 이용한다.
단계(S7)에서, 제어부(20)는 가열부(7)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가열량으로 내솥에 대한 가열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제어부(20)는 가열 동작 시간을 산정하며, 압력 감지부(11)로부터의 감지 압력(Pc)을 지속적으로 획득한다. 가열량은 전기 압력 조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점검 시간 단축을 위해 최대 출력으로 가열된다.
단계(S9)에서, 제어부(20)는 내솥에 대한 가열 동작을 지속하면서, 산정된 가열 동작 시간과 제 1 기준 가열 시간을 비교한다. 제 1 기준 가열 시간은 가열 동작의 시작부터 증기 배출부(5)의 폐쇄 기능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가열 시간(예를 들면, 30분)에 해당된다. 만약 산정된 가열 동작 시간이 제 1 기준 가열 시간보다 작으면 단계(S1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3)로 진행한다.
단계(S11)에서, 제어부(20)는 압력 감지부(11)로부터의 감지 압력(Pc)과 제 1 기준압력을 비교한다. 제 1 기준 압력은 증기 배출부(5)의 폐쇄 기능이 정상일 때 제 1 기준 가열 시간 동안의 가열 동작에 의해 조리 공간의 압력이 상승될 수 있는 압력에 해당된다. 전기 압력 조리기에서 조리 중에 내솥 내부의 압력에 의해 개폐되는 압력추(또는 개폐추)가 증기배출관으로부터의 증기에 의해 들어 올려져 개방되어 내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며, 압력추 등의 기구적인 장치에 의해 결정되는 기구 압력 이내로 내솥의 압력이 유지된다. 제 1 기준 압력은 이러한 기구 압력 부근으로 결정됨으로써, 압력추가 증기에 의해 개방되기 이전까지 증기 배출부(5)의 폐쇄 기능의 점검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2.05기압이 기구 압력이라고 할 때, 제 1 기준 압력은 압력 감지 오차를 고려하여 기구 압력에 대하여 기설정된 크기나 비율 범위 이내의 기압(기구 압력 - 0.1 또는 0.05기압≤제 1 기준 기압≤기구 압력 + 0.1 또는 0.05기압)(예를 들면, 2.0기압)으로 설정된다. 제 1 기준 압력이 기구 압력보다 너무 높은 경우에는 압력추의 개방에 의해 증기가 배출되어 제 1 기준 압력에 도달하지 못하거나, 전기 압력 조리기의 압력 안전 장치가 동작될 수 있다. 반면에 제 1 기준 압력이 기구 압력보다 너무 낮을 경우, 기구 압력보다 낮은 압력 상태에서 증기 배출부(5)의 폐쇄 기능을 점검하는 것에 불과하여 기구 압력 부근에서 동작하는 증기 배출부(5)에 대한 정확한 점검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 1 기준 압력은 기구 압력에 대하여 기설정된 크기나 비율 범위 이내의 기압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초기 압력(Pi)이 전기 압력 조리기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압이 1.0기압인 것으로 가정하여 제 1 기준 압력을 고정 압력값(예를 들면, 2.0기압)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나, 제어부(20)가 전기 압력 조리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실제 대기압을 고려하여, 제 1 기준 압력을 보정한 이후에, 이 보정된 제 1 기준 압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 1 기준 압력의 보정 과정은 단계(S5)에서 저장된 초기 압력(Pi)을 이용하여 1.0기압으로부터 증가하거나 감소한 압력값(초기 압력(Pi)-1.0기압)을 산정하는 과정과, 전기 압력 조리기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압이 1.0기압인 경우에서 설정된 제 1 기준 압력에 산정된 압력값(초기 압력(Pi)-1.0기압)을 가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초기 압력(Pi)(예를 들면, 1.1기압)을 이용하여, 제 1 기준 압력을 2.0기압 + 0.1기압(1.0기압 기준 초과 압력) = 2.1기압으로 보정하여 제어부(20)는 보정된 제 1 기준 압력을 단계(S11)에서 사용한다. 만약 감지 압력(Pc)이 제 1 기준압력보다 같거나 크면, 단계(S1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9)로 진행한다.
상술된 단계(S9)에서의 제 1 기준 가열 시간은 전기 압력 조리기의 기구 압력(예를 들면, 2.05기압)에 따른 제 1 기준 압력(예를 들면, 2.0기압), 전기 압력 조리기의 가열량(예를 들면, 1350W), 내솥에 공급된 물량 및 수온 등에 따라 가변 설정될 수 있다.
단계(S13)에서, 제어부(20)는 단계(S9) 및 (S11)에서 가열 동작이 제 1 기준 가열 시간 동안 수행되었으나 감지 압력(Pc)이 제 1 기준 압력보다 낮은 경우에, 증기 배출부(5)의 폐쇄 기능이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3)를 통하여 증기 배출부(5)의 폐쇄 기능 고장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린다. 또한, 제어부(20)는 가열부(7) 가열을 중단하고, 증기 배출부(5)의 점검 공정을 종료한다.
단계(S15)에서, 제어부(20)는 증기 배출부(5)의 폐쇄 기능을 정상으로 판단하여 저장한다.
단계(S17)에서, 제어부(20)는 가열부(7)를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중단시켜 증기 배출부(5)의 폐쇄 기능 점검 공정을 종료하고, 증기 배출부(5)를 개방 동작으로 제어한다. 제어부(20)는 증기 배출부(5)의 개방 동작 제어 시부터 증기 배출부(5)의 개방 기능 점검 공정을 위해 증기 배출부(5)의 개방 시간을 산정한다. 가열부(7)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은 가열을 지속할 경우 조리 공간 내의 내부 압력이 감소되지 않거나 서서히 감소하게 되어 증기 배출부(5)의 개방 동작에 의해 증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20)는 압력 감지부(11)로부터의 감지 압력(Pc)을 지속적으로 획득한다.
단계(S19)에서, 제어부(20)는 산정된 증기 배출부(5)의 개방 시간과 기준 개방 시간을 비교한다. 기준 개방 시간은 증기 배출부(5)의 개방 제어 시 증기 배출부(5)의 개방 기능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시간(예를 들면, 2분)에 해당된다. 만약 증기 배출부(5)의 개방 시간이 기준 개방 시간 미만이면 단계(S2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3)로 진행한다.
단계(S21)에서, 제어부(20)는 압력 감지부(11)로부터의 감지 압력(Pc)과 제 2 기준압력을 비교한다. 제 2 기준 압력은 제 1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에서부터 기준 개방 시간 동안의 증기 배출부(5)의 개방 동작에 의해 조리 공간의 압력이 하강될 수 있는 압력에 해당된다. 또한, 초기 압력(Pi)이 전기 압력 조리기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압이 1.0기압인 것으로 가정하여 제 2 기준 압력을 고정 압력값(예를 들면, 1.2기압)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나, 제어부(20)가 전기 압력 조리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실제 대기압을 고려하여, 제 2 기준 압력을 보정한 이후에, 이 보정된 제 2 기준 압력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 2 기준 압력의 보정 과정은 단계(S5)에서 저장된 초기 압력(Pi)을 이용하여 1.0기압으로부터 증가하거나 감소한 압력값(초기 압력(Pi)-1.0기압)을 산정하는 과정과, 전기 압력 조리기가 설치된 장소의 대기압이 1.0기압인 경우에서 설정된 제 2 기준 압력에 산정된 압력값(초기 압력(Pi)-1.0기압)을 가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초기 압력(Pi)(예를 들면, 1.1기압)을 이용하여, 제 2 기준 압력을 1.2기압 + 0.1기압(1.0기압 기준 초과 압력) = 1.3기압으로 보정하여 제어부(20)는 보정된 제 2 기준 압력을 단계(S21)에서 사용한다. 만약 감지 압력(Pi)이 제 2 기준압력보다 같거나 작으면, 증기 배출부(5)의 개방 기능을 정상으로 판단하여, 단계(S2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19)로 진행한다.
상술된 단계(S19)의 기준 개방 시간은 기구 압력(예를 들면, 2.05기압)에 따른 제 2 기준 압력(예를 들면, 1.2기압), 솔레노이드 밸브의 시간당 토출량 등에 따라 가변 설정될 수 있다.
단계(S23)에서, 제어부(20)는 단계(S19) 및 (S21)에서 증기 배출부(5)의 개방이 기준 개방 시간 동안 수행되었으나 감지 압력(Pc)이 제 2 기준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 전기 압력 조리기의 증기 배출부(5)의 개방 기능이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3)를 통하여 증기 배출부(5)의 개방 기능 고장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린다. 또한, 제어부(20)는 증기 배출부(5)의 점검 공정을 종료한다.
단계(S25)에서, 제어부(20)는 증기 배출부(5)의 개방 기능을 정상으로 판단하여 저장하며, 표시부(3)를 통하여 증기 배출부(5)의 점검 결과(폐쇄/개방 기능의 정상)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린다.
상술된 단계(S1)는 증기 배출부(5)에 대한 점검 공정이 단독으로 수행되는 경우에 필요한 것이며, 다른 공정에 연속하여 증기 배출부(5)에 대한 점검 공정이 수행될 경우에는 단계(S1)가 수행되지 않는다.
제어부(20)는 상술된 단계들(S7 내지 S25)을 1회만 수행하여 증기 배출부(5)의 정상 또는 고장 판단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되고 있으나, 점검의 신뢰성을 위하여 수 회 반복하여 진행하여 개방 및/또는 폐쇄 기능이 모두 정상인 경우에만 최종 정상으로 판단하고, 검사 결과를 표시부(3)를 통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20)는 단계들(S1 내지 S15)로 구성된 증기 배출부(5)에 대한 폐쇄 기능 점검 과정과, 단계들(S17 내지 S25)로 구성된 증기 배출부(5)에 대한 개방 기능 점검 과정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증기 배출부(5)에 대한 개방 기능 점검 과정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경우, 제어부(20)는 단계(S5)와 (S7)를 수행하며, 감지 압력(Pc)이 제 1 기준 압력 이상이 될 때까지 가열 동작을 수행한 이후에, 단계들(S17 내지 S25)을 수행하며, 단계(S25)에서 증기 배출부(5)의 점검 결과(개방 기능의 정상)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린다.
도 3은 도 1의 전기 압력 조리기가 증기 배출부를 점검하는 중에 수행하는 뚜껑 열림 검사 방법의 순서도이다. 제어부(20)는 도 1의 증기 배출부를 점검하는 방법을 수행하면서 도 3의 뚜껑 열림 검사 방법을 수행한다. 뚜껑이 열린 상태에서 도 1의 증기 배출부를 점검하는 방법을 수행하게 될 경우, 가열부(7)의 가열 동작에 의해서도 내솥의 압력이 상승하지 않게 되어, 증기 배출부(5)의 고장 여부와 상관없이 내솥의 압력이 낮게 감지되어 고장 판단의 정확성이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고장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3의 뚜껑 열림 검사 방법이 수행하여,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도 1의 증기 배출부를 점검하는 방법이 수행되도록 한다.
단계(S31)에서, 제어부(20)는 가열 동작 이전인 단계(S7) 이전에 온도 감지부(9)(자세하게는, 뚜껑의 저면에 장착된 상측 온도 감지부)로부터 내솥의 상측 온도(뚜껑이 닫힌 상태에서는 내솥의 상측 온도이며, 뚜껑이 열린 상태에서는 외부 온도를 의미함)를 초기 온도(Ti)로 획득하여 저장한다.
단계(S33)에서, 제어부(20)는 단계(S7)에서 가열부(7)를 가열 동작 제어하여 가열 동작을 시작할 때까지 대기한다. 만약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가열 동작이 시작되면 단계(S35)로 진행하며, 가열부(7)의 가열 동작 시간을 산정한다.
단계(S35)에서, 제어부(20)는 온도 감지부(9)에 의해 감지된 내솥의 상측 온도(Tt)를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압력 감지부(11)로부터의 감지 압력(Pc)을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저장한다.
단계(S37)에서, 제어부(20)는 가열 동작 시간과 제 2 기준 가열 시간을 비교한다. 제 2 기준 가열 시간은 가열부(7)의 가열 동작에 의해 내솥의 압력 및 내솥의 상측 온도(Tt)가 충분히 상승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예를 들면, 20분)에 해당되며, 전기 압력 조리기의 가열량, 내솥에 투입된 물량 및 수온에 따라 가변 설정될 수 있다. 뚜껑이 열린 상태에서는 증기 배출부(5)의 폐쇄 기능이 정상적이더라도 단계(S9) 및 (S11)에서 제 1 기준 가열 시간 동안의 가열 동작으로 감지 압력(Pc)이 제 1 기준 압력에 도달할 수 없으므로, 제 2 기준 가열 시간은 제 1 기준 압력 시간보다 작도록 설정되어 증기 배출부(5)의 폐쇄 기능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기 이전에 뚜껑 열림 검사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20)는 가열 동작 시간이 제 2 기준 가열 시간 이상이 될 때까지 가열부(7)의 가열 동작을 수행하며, 만약 가열 동작 시간이 제 2 기준 가열 시간 이상이 되면 단계(S39)로 진행한다.
단계(S39)에서, 제어부(20)는 압력 감지부(11)로부터의 감지 압력(Pc)과 제 3 기준 압력을 비교한다. 제 3 기준 압력은 뚜껑이 닫혀진 상태에서 제 2 기준 가열 시간 이상의 가열 동작에 의해 조리 공간의 압력이 상승하여 최소한 도달할 수 있는 압력(예를 들면, 1.1기압)에 해당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 2 기준 가열 시간이 제 1 기준 가열 시간보다 작게 설정되는 이유와 동일하게, 제 3 기준 압력은 제 1 기준 압력보다 낮게 설정된다. 또한, 단계(S11)의 제 1 기준 압력과 단계(S21)의 제 2 기준 압력에서 초기 압력(Pi)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것과 동일하게 제 3 기준 압력도 보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감지 압력(Pc)이 제 3 기준 압력보다 높으면, 제어부(20)는 뚜껑이 정상적으로 닫힌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4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41)로 진행한다.
단계(S41)에서, 제어부(20)는 온도 감지부(9)로부터의 상측 온도(Tt)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상측 온도(Tt)와 초기 온도(Ti) 간의 온도차(Tt-Ti)를 산정하고, 산정된 온도차(Tt-Ti)와 기준 판단 온도차를 비교한다. 기준 판단 온도차는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제 2 기준 가열 시간 이상의 가열 동작에 의해 초기 온도(Ti)로부터 상승하여 최소한 도달할 수 있는 온도차이다. 전기 압력 조리기의 뚜껑이 열린 상태인 경우, 조리 공간 내부의 증기 또는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상측 온도(Tt)의 온도 변화가 작을 것이며, 반대로 뚜껑이 닫혀있는 경우, 내부의 증기 또는 열기로 인해 상측 온도(Tt)의 온도 변화가 크게 되므로, 이러한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제어부(20)는 뚜껑의 열림/닫힘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39)에서 증기 배출부(5)의 폐쇄 기능 고장으로 인해 감지 압력(Pc)이 제 3 기준 압력보다 작을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20)가 단계(S41)의 비교 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뚜껑 열림 상태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만약 산정된 온도차(Tt-Ti)가 기준 판단 온도차보다 크면 단계(S4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45)로 진행한다.
단계(S43)에서, 제어부(20)는 뚜껑의 상태를 뚜껑 닫힘 상태로 판단하고, 뚜껑 열림 검사를 종료하고, 수행 중인 도 1의 증기 배출부를 점검하는 방법을 계속 수행한다.
단계(S45)에서, 제어부(20)는 뚜껑의 상태를 뚜껑 열림 상태로 판단하고, 표시부(3)를 통하여 전기 압력 조리기의 뚜껑 열림 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린다.
단계(S47)에서, 제어부(20)는 가열부(7)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고 증기 배출부(5)에 대한 점검을 종료한 이후에, 뚜껑 열림 검사를 종료한다.
제어부(20)는 상술된 단계(S39)에서 감지 압력(Pc)이 제 3 기준 압력보다 작거나 같으면 단계(S41)를 수행함이 없이 단계(S45)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상술된 단계(S37)에서 단계(S39)를 수행함이 없이 단계(S41)를 수행할 수도 있다. 뚜껑 열림 검사의 보다 높은 정확성을 위해서, 도 3과 같이 단계(S39) 및 (S41)이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전기 압력 조리기가 증기 배출부를 점검하는 중에 수행하는 액체 유무 검사 방법의 순서도이다. 증기 배출부를 점검하는 방법이 수행될 때, 내솥에 액체(예를 들면, 물)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공급된 액체가 모두 증발된 경우(즉, 내솥에 액체가 없는 경우), 내솥의 내부 압력이 충분히 증가하지 않아 증기 배출부(5)의 점검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으며, 가열부(7)의 가열 동작에 의해 내솥이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내솥에 액체가 없는 경우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내솥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20)는 도 4의 액체 유무 검사 방법을 수행한다.
단계(S51)에서, 제어부(20)는 내솥에 액체가 없는 경우에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는 내솥의 하측 온도(Tb)를 사용하기 위해, 온도 감지부(9)에 의해 감지된 내솥의 하측 온도(Tb)를 획득하여 저장한다.
단계(S53)에서, 제어부(20)는 가열부(7)의 가열 동작을 수행하면서 하측 온도(Tb)와 기준 판단 온도를 비교한다. 기준 판단 온도는 내솥에 액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온도(예를 들면, 150)이다. 만약 하측 온도(Tb)가 기준 판단 온도보다 낮으면 내솥에 액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20)는 증기 배출부(5)를 점검하는 방법을 수행하면서 단계(S53)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제어부(20)는 단계(S55)를 수행한다.
단계(S55)에서, 제어부(20)는 내솥에 액체가 없음으로 판단하고, 표시부(3)를 통하여 액체 없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린다.
단계(S57)에서, 제어부(20)는 증기 배출부(5)를 점검하는 방법을 종료(가열부(7)가 동작 중이면 가열부(7)의 동작 중단을 포함)하여 내솥의 과열에 의한 화재나 전기 조리기의 고장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하며, 표시부(3)를 통하여 증기 배출부(5)를 점검하는 방법의 종료 또는 내솥의 과열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제어부(20)는 증기 배출부(5)를 점검하는 방법의 수행 중에 내솥에 액체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 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내솥에 액체가 있는 경우에만 증기 배출부(5)를 점검하는 방법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부(20)는 적어도 가열부(7)의 가열 동작이 수행 중일 때 내솥에 액체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전원부 3: 표시부
5: 증기 배출부 7: 가열부
9: 온도 감지부 11: 압력 감지부
13: 입력부 20: 제어부

Claims (32)

  1. 본체 내부에 수용되는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내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상기 내솥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 공간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와;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내솥을 가열하고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및 폐쇄 제어를 수행하되,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 획득된 상기 조리 공간의 압력을 기준으로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기능 또는 폐쇄 기능의 고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를 폐쇄 제어하고,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여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중에,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과 제 1 기준 압력을 비교하되,
    상기 가열 동작이 제 1 기준 가열 시간 동안 수행되었으나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이 상기 제 1 기준 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이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동작 시간이 상기 제 1 기준 가열 시간 미만이면서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이 상기 제 1 기준 압력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 고장을 상기 전기 압력 조리기에 구비된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 폐쇄 상태이며 상기 증기 배출부가 개방 제어된 대기 시간이 적어도 기준 대기 시간을 경과한 이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를 폐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8.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 이전에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을 초기 압력으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초기 압력과 1기압 간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기준 압력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이 정상인 경우,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증기 배출부를 개방 제어한 후,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과 제 2 기준 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기능의 고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를 폐쇄 제어한 후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이 제 1 기준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고 상기 증기 배출부를 개방 제어한 후,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과 제 2 기준 압력을 비교하여,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기능의 고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시간과 기준 개방 시간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시간이 상기 기준 개방 시간 미만인 동안에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이 제 2 기준 압력보다 낮거나 같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기능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이 상기 기준 개방 시간 동안 수행되었으나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이 제 2 기준 압력보다 높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의 개방 기능이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14.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 이전에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을 초기 압력으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초기 압력과 1기압 간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기준 압력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15. 제 1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를 제 2 기준 가열 시간 동안 가열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의 압력과 제 3 기준 압력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이 상기 제 3 기준 압력보다 높으면 상기 뚜껑이 닫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이 상기 제 3 기준 압력보다 낮거나 같으면 상기 뚜껑이 열린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의 고장 판단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압력 조리기는 상기 뚜껑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솥의 상측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 이전의 온도를 초기 온도로 저장하고, 상기 제 2 기준 가열 시간의 가열 동작 이후의 상측 온도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이 상기 제 3 기준 압력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측 온도와 초기 온도 간의 온도차와 기준 판단 온도차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차가 상기 기준 판단 온도차보다 크면 상기 뚜껑이 닫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차가 상기 기준 판단 온도차 이하이면 상기 뚜껑이 열린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의 고장 판단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24.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압력 조리기는 상기 뚜껑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내솥의 상측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 이전의 온도를 초기 온도로 저장하고, 상기 제 2 기준 가열 시간의 가열 동작 이후의 상측 온도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측 온도와 초기 온도 간의 온도차와 기준 판단 온도차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차가 상기 기준 판단 온도차보다 크면 상기 뚜껑이 닫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차가 상기 기준 판단 온도차 이하이면 상기 뚜껑이 열린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의 고장 판단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29. 제 1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솥에 액체가 있는 경우에 상기 증기 배출부의 폐쇄 기능의 고장 판단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압력 조리기는 상기 내솥의 하측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온도 감지부로부터의 상기 하측 온도와 기준 판단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내솥에 액체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솥의 하측 온도가 기준 판단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내솥에 액체가 있는 것을 판단하며, 상기 내솥의 하측 온도가 상기 기준 판단 온도보다 높거나 같으면 상기 내솥에 액체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솥에 액체가 없는 경우에 상기 가열부의 가열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KR1020160111150A 2016-08-30 2016-08-30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KR102492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150A KR102492446B1 (ko) 2016-08-30 2016-08-30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150A KR102492446B1 (ko) 2016-08-30 2016-08-30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630A KR20180024630A (ko) 2018-03-08
KR102492446B1 true KR102492446B1 (ko) 2023-01-27

Family

ID=6172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150A KR102492446B1 (ko) 2016-08-30 2016-08-30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4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4922B2 (ja) * 2002-08-07 2007-08-08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圧力炊飯器
JP4071617B2 (ja) * 2002-12-24 2008-04-02 リンナイ株式会社 炊飯器
JP2011224107A (ja) * 2010-04-19 2011-11-10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JP2012231915A (ja) * 2011-04-28 2012-11-29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炊飯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9698A (ko) * 2001-08-30 2003-03-07 주식회사 노비타 전기압력밥솥의 이상압력감지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4922B2 (ja) * 2002-08-07 2007-08-08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圧力炊飯器
JP4071617B2 (ja) * 2002-12-24 2008-04-02 リンナイ株式会社 炊飯器
JP2011224107A (ja) * 2010-04-19 2011-11-10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JP2012231915A (ja) * 2011-04-28 2012-11-29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炊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630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6490B2 (ja) 圧力フライヤー
EP2566293A1 (en) Appliance heater malfunction detection
CA3094263C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pressure cooking appliance, and pressure cooking appliance
US20180064280A1 (en) Control of the heating of a household appliance via virtual temperature
KR200378462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제어장치
KR102492446B1 (ko) 증기 배출부의 점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CN110859489B (zh) 真空烹饪器具及控制其泄压的方法和装置以及存储介质
EP2604929B1 (en) Cooking equipment and a method of detecting operating conditions of a cooking equipment
CN108523644B (zh) 压力烹饪器具的测试方法及装置
KR101686516B1 (ko) 조리 동작 중 비정상 조건 처리 방법
KR20180020818A (ko) 전기 압력 조리기
KR102483788B1 (ko) 압력 누설 감지 기능을 지닌 전기 압력 조리기
CN207484136U (zh) 一种蒸气设备
KR101466861B1 (ko) 스팀오븐의 대류팬 제어방법
KR20200137783A (ko) 파우셋부가 구비된 전기레인지를 이용한 자동조리 제어방법
JP2000283467A (ja) コンロの湯沸かし装置
JP2015132465A (ja) 蒸気発生装置
EP361073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team generating system for a cooking oven with steam cooking function and steam generating system
KR100646337B1 (ko) 보일러의 누수 감지방법
CN110967207B (zh) 一种整体式热泵热水器系统焊堵性能检测方法
CN114234060B (zh) 一种燃气烤炉的漏气报警方法及系统
JP5312881B2 (ja) 炊飯器
KR101864040B1 (ko)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JP5743660B2 (ja) 蒸気発生装置
KR100818512B1 (ko) 전기밥솥의 안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