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344B1 - 유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344B1
KR102492344B1 KR1020207015864A KR20207015864A KR102492344B1 KR 102492344 B1 KR102492344 B1 KR 102492344B1 KR 1020207015864 A KR1020207015864 A KR 1020207015864A KR 20207015864 A KR20207015864 A KR 20207015864A KR 102492344 B1 KR102492344 B1 KR 102492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emulsion composition
component
less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653A (ko
Inventor
게이코 미조구치
유코 기시모토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1Emulsions characterized by droplet sizes below 1 micr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세라마이드류를 안정적으로 유화시키고 있으며, 매끄러운 사용감을 갖고, 도포막이 지속되는 유화 조성물의 제공.
(A)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B)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C) 세라마이드류, 및 (D) 물을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A/B) 가 0.5 이상 60 이하인 유화 조성물.

Description

유화 조성물
본 발명은,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최외층에 존재하는 각질층을 구성하는 각질 세포의 간극에는, 각층 (角層) 세포 간 지질로 불리는 지질이 존재하고 있다. 이 각층 세포 간 지질의 지질 조성은, 약 50 % 가 세라마이드이고, 그 외에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지방산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세라마이드는, 거친 피부, 건조 피부 등에 깊게 관여하고 있어, 세라마이드를 외용으로 보충함으로써 각질층의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세라마이드류를 배합한 화장료가 다양하게 보고되어 있다. 세라마이드류는, 결정성이 높고, 또 융점이 높기 때문에 제제 중에서의 안정화가 어려운 점에서, 세라마이드와 인 지질과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를 배합하는 기술 (특허문헌 1), 세라마이드류에 카르복실산, 염기를 배합한 수중유형 (水中油型) 에멀션으로 하는 기술 (특허문헌 2), 세라마이드류에 스핑고신류, 글리세린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고급 알코올 등을 배합한 유화 조성물 (특허문헌 3) 이 보고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934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126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2997호
본 발명은, (A)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B)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C) 세라마이드류, 및 (D) 물을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A/B) 가 0.5 이상 60 이하인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결정성이 높은 세라마이드류를 안정적으로 배합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계면 활성제가 필요하고, 그것에 의해 끈적거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유화 조성물은, 계면 활성제에 의해 친수적인 막을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물이나 땀에 의해 흘러내려, 막의 지속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류를 안정적으로 함유하고, 매끄러운 사용감을 갖고, 도포막의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세라마이드류를 안정적으로 함유시키고, 또한 양호한 사용감을 갖고, 또 도포막의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을 얻기 위해 검토한 결과,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와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를 병용하여 세라마이드류를 함유하는 유상과 수상을 유화시킴으로써, 도포막이 소수성이 되고, 매끄럽고 탄력감이 있는 사용감이 얻어지며, 그 도포막의 지속성이 우수한 유화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세라마이드류가 안정적으로 함유되어 있고, 또한 도포막의 감촉이 매끄럽고 탄력감을 가지며, 도포막의 지속성이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A)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B)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C) 세라마이드류, 및 (D) 물을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A/B) 가 0.5 이상 60 이하이다.
(A)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N-아실아미노산, 지방산,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아실락트산, N-아실메틸알라닌, N-아실사르코신, 디아실아미노산 및 그것들의 염 등의 카르복실산염형, 알칸술폰산, α-올레핀술폰산, α-술포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아실이세티온산, 알킬술포숙신산, N-아실메틸타우린 및 그것들의 염 등의 술폰산염형, 알킬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에스테르, 알킬에테르황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 지방산 알칸올아미드황산에스테르 및 그것들의 염 등의 황산염형, 알킬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 및 그것들의 염 등의 인산염형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매끄러운 탄력감의 향상 및 도포막의 지속성의 점에서, N-아실아미노산, 지방산,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디아실글루탐산리신, 알킬술포숙신산, N-아실메틸타우린, 알킬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에스테르, 알킬인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 및 그것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N-아실아미노산, 지방산,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디아실글루탐산리신, 알킬술포숙신산, N-아실메틸타우린, 알킬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 및 그것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아실아미노산, 지방산,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디아실글루탐산리신, 알킬술포숙신산, N-아실메틸타우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 및 그것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N-아실아미노산, 지방산, 디아실글루탐산리신, N-아실메틸타우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 및 그것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N-아실아미노산 및 그 염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N-아실아미노산 및 그 염으로는, N-라우로일-L-글루탐산,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 등의 N-아실글루탐산 및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 및 그 염으로는, 라우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의 탄소수 12 ∼ 24 의 지방산 및 그 염을 들 수 있다.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및 그 염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아세트산 및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디아실글루탐산리신 및 그 염으로는, 디라우로일글루탐산리신 및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술포숙신산 및 그 염으로는, 디-2-에틸헥실술포숙신산 및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N-아실메틸타우린 및 그 염으로는, N-미리스토일-N-메틸타우린, N-라우로일-N-메틸타우린, N-스테아로일-N-메틸타우린 및 그것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황산에스테르 및 그 염으로는, 라우릴황산 및 그것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에스테르 및 그 염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 및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인산 및 그 염으로는, 모노미리스틸인산, 모노스테아릴인산, 디(C12-C15)파레스-8-인산 및 그것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에틸렌알킬인산 및 그 염으로는,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인산,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인산 및 그것들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을 구성하는 염 구조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나, L-아르기닌, L-히스티딘, L-리신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 중의 성분 (A) 의 함유량은, 소수성 도포막의 형성성, 매끄러운 탄력감을 얻는 점, 도포막의 지속성 향상의 점에서, 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2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075 질량%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또, 1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7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2 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01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2 질량% 이상 0.7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 0.5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75 질량% 이상 0.2 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B)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로는, 지방족 아민염형, 제 4 급 암모늄염형,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형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매끄러운 탄력감의 향상 및 도포막의 지속성 향상의 점에서, 제 4 급 암모늄염, 아실아르기닌에틸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등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모노알킬형 4 급 암모늄염, 디알킬형 4 급 암모늄염, 및 아실아르기닌에틸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 C12-C24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 C12-C24 알킬디메틸암모늄염, 디아실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메토술페이트, 및 아실아르기닌에틸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모노 C12-C24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으로는, 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디 C12-C24 알킬디메틸암모늄염으로는, 디라우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베헤닐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디아실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메토술페이트로는, 디코코일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메토술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아실아르기닌에틸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으로는, 코코일아르기닌에틸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 중의 성분 (B) 의 함유량은, 소수성 도포막의 형성성, 매끄러운 탄력감을 얻는 점, 도포막의 지속성 향상의 점에서, 0.001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05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02 질량%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또, 0.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3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0.035 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001 질량% 이상 0.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05 질량% 이상 0.3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 0.1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 0.05 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0.02 질량% 이상 0.035 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는,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A/B) 는, 소수성 도포막의 형성성, 매끄러운 탄력감을 얻는 점, 도포막의 지속성 향상의 점에서, 0.5 이상이고, 0.75 이상이 바람직하고, 1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2.5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또, 60 이하이고, 40 이하가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5 이상 60 이하이고, 0.75 이상 40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상 2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이상 1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2.5 이상 5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C) 세라마이드류로는, 천연형 세라마이드, 의사형 (擬似型) 세라마이드 중 어느 것이어도 되며, 하기의 일반식 (1) 또는 (2) 로 나타내는 것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천연형 세라마이드는, 천연 유래의 세라마이드류 또는 동 구조의 합성물이어도 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56842876-pct00001
(식 중, R1 은 하이드록실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7 ∼ 19 의 직사슬, 분기 사슬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 Z1 은 메틸렌기 또는 메틴기를 나타내고 ; X1, X2, 및 X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하이드록실기 또는 아세톡시기를 나타내고 ; X4 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거나, 인접하는 산소 원자와 하나로 되어 옥소기를 형성하고 (단, Z1 이 메틴기일 때, X1 과 X2 중 어느 일방이 수소 원자이고, 타방은 존재하지 않는다. X4 가 옥소기를 형성할 때, X3 은 존재하지 않는다.) ; R2 는 하이드록시메틸기 또는 아세톡시메틸기를 나타내고 ; R3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거나,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 R4 는 하이드록실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5 ∼ 30 의 직사슬, 분기 사슬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그 알킬기의 ω 말단에, 하이드록실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8 ∼ 22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된 것을 나타내고 ; 파선부는 불포화 결합이어도 되는 것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R1 이 탄소수 7 ∼ 19,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3 ∼ 15 의 직사슬 알킬기 ; R4 가 하이드록실기가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수 9 ∼ 27 의 직사슬 알킬기 또는 리놀레산이 에스테르 결합된 탄소수 9 ∼ 27 의 직사슬 알킬기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X4 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거나, 산소 원자와 함께 옥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R4 로는, 트리코실, 1-하이드록시펜타데실, 1-하이드록시트리코실, 헵타데실, 1-하이드록시운데실, ω 위치에 리놀레산이 에스테르 결합된 노나코실기가 바람직하다.
천연형 세라마이드는, 스핑고신, 디하이드로스핑고신, 피토스핑고신 또는 스핑가디에닌이 아미드화된 세라마이드 Type 1 ∼ 7 (예를 들어, J. Lipid Res., 24 : 759 (1983) 의 도 2, 및 J. Lipid. Res., 35 : 2069 (1994) 의 도 4 에 기재된 돼지 및 인간의 세라마이드류)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것들의 N-알킬체 (예를 들어 N-메틸체) 도 포함된다.
이들 세라마이드는 천연형 (D (-) 체) 의 광학 활성체를 사용해도 되고, 비천연형 (L (+) 체) 의 광학 활성체를 사용해도 되며, 또한 천연형과 비천연형의 혼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화합물의 상대 입체 배치는, 천연형의 입체 배치의 것이어도 되고, 그 이외의 비천연형의 입체 배치의 것이어도 되며, 또, 이것들의 혼합물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CERAMIDE1, CERAMIDE2, CERAMIDE3, CERAMIDE5, CERAMIDE6II 의 화합물 (이상, INCI, 8th Edition) 및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것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20056842876-pct00002
이것들은 천연으로부터의 추출물 및 합성물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천연형 세라마이드의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Ceramide Ⅰ, Ceramide Ⅲ, Ceramide ⅢA, Ceramide ⅢB, Ceramide ⅢC, Ceramide Ⅵ (이상, 코스모팜사), Ceramide TIC-001 (타카사고 향료사), CERAMIDE Ⅱ (Quest International 사), DS-Ceramide Ⅵ, DS-CLA-Phytoceramide, C6-Phytoceramide, DS-ceramide Y3S (DOOSAN 사), CERAMIDE2 (세더마사) 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112020056842876-pct00003
(Ⅱ)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의사형 세라마이드.
[화학식 4]
Figure 112020056842876-pct00004
(식 중, R5 는 하이드록실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0 ∼ 22 의 직사슬, 분기 사슬 혹은 고리형의 포화 혹은 불포화의 탄화수소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 X5 는 수소 원자, 아세틸기 또는 글리세릴기를 나타내고 ; R6 은 하이드록실기 또는 아미노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5 ∼ 22 의 직사슬, 분기 사슬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그 탄화수소기의 ω 말단에, 하이드록실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8 ∼ 22 의 직사슬 또는 분기 사슬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지방산이 에스테르 결합된 것을 나타내고 ; R7 은 수소 원자를 나타내거나, 하이드록실기, 하이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또는 아세톡시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총 탄소수 1 ∼ 30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6 으로는, 특히 노닐, 트리데실, 펜타데실, ω 위치에 리놀레산이 에스테르 결합된 운데실기, ω 위치에 리놀레산이 에스테르 결합된 펜타데실기, ω 위치에 12-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이 에스테르 결합된 펜타데실기, ω 위치에 메틸 분기 이소스테아르산이 아미드 결합된 운데실기가 바람직하다.
R7 은, R5 가 수소 원자인 경우에는, 하이드록실기, 하이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또는 아세톡시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총 탄소수 10 ∼ 30 의, 바람직하게는 총 탄소수 12 ∼ 20 의 알킬기이고, R5 가 하이드록실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0 ∼ 22 의 직사슬, 분기 사슬 또는 고리형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인 경우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거나, 하이드록실기, 하이드록시알콕시기, 알콕시기 또는 아세톡시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총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R7 의 하이드록시알콕시기 또는 알콕시기로는 탄소수 1 ∼ 7 의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5]
Figure 112020056842876-pct00005
일반식 (2) 로는, R5 가 헥사데실기, X5 가 수소 원자, R6 이 펜타데실기, R7 이 하이드록시에틸기인 것 ; R5 가 헥사데실기, X5 가 수소 원자, R6 이 노닐기, R7 이 하이드록시에틸기인 의사형 세라마이드류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일반식 (2) 의 R5 가 헥사데실기, X5 가 수소 원자, R6 이 펜타데실기, R7 이 하이드록시에틸기인 것 (N-(헥사데실옥시하이드록시프로필)-N-하이드록시에틸헥사데칸아미드) 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6]
Figure 112020056842876-pct00006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 중의 성분 (C) 의 함유량은, 보습 작용, 매끄러운 탄력감을 얻는 점, 도포막의 지속성 향상의 점에서, 0.0005 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001 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0.8 질량%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또,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000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0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0.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0.8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에 있어서는, 소수성 도포막의 형성성, 매끄러운 탄력감을 얻는 점, 도포막의 지속성 향상의 점에서, 성분 (A) 및 성분 (B) 의 합계량과 성분 (C) 의 질량비 ((A + B)/C) 는, 0.002 이상이 바람직하고, 0.00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0.05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고, 0.1 이상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또, 5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3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0.2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0.002 이상 5 이하가 바람직하고, 0.005 이상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 이상 1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05 이상 0.3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고, 0.1 이상 0.2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 중의 (D) 물의 함유량은, 매끄러운 탄력감을 얻는 점, 도포막의 지속성 향상의 점에서, 10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 중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추가로 (E)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C) 세라마이드류를 안정적으로 함유시키고, 소수성 도포막의 형성성, 매끄러운 탄력감, 도포막의 지속성 향상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탄소수 12 ∼ 24 의 지방산과의 콜레스테롤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라우르산콜레스테릴, 팔미트산콜레스테릴, 미리스트산콜레스테릴, 올레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리놀레산콜레스테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성분 (E) 의 함유량은, 소수성 도포막의 형성성, 매끄러운 탄력감, 도포막의 지속성 향상의 점에서 유화 조성물 중에 0.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5 질량% 이상 5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1 질량% 이상 3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pH 를 조정하기 위해, 추가로, 성분 (A) 및 (B) 이외의 (F) 염기 및/또는 (G) 산을 함유할 수 있다.
(F) 염기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유기 염기여도 되고 무기 염기여도 된다.
유기 염기는, 염기성 아미노산, 알칸올아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L-아르기닌, 리신, 히스티딘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 ;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아미노메틸프로판올, 아미노메틸프로판디올, 아미노에틸프로판디올,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에탄 등의 알칸올아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무기 염기는,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것들 중, L-아르기닌, 수산화칼슘,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F) 염기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사용감을 더욱 양호하게 하는 점에서, 전체 조성 중에 0 ∼ 10 질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1 ∼ 5 질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G) 산은, 유기산, 무기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유기산은 모노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 옥시카르복실산, 산성 아미노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등의 모노카르복실산 ; 숙신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 글리콜산, 시트르산, 락트산, 피루브산, 말산, 타르타르산 등의 옥시카르복실산 ;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등의 산성 아미노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 무기산은, 염산, 질산, 아질산, 황산, 아황산, 인산, 포스폰산, 포스핀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것들 중에서, 산성 아미노산 및 인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G) 산은,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전체 조성 중에 0 ∼ 10 질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01 ∼ 5 질량%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넓은 pH 영역 (pH 4 ∼ 8) 에서, 소수성의 도포막의 형성, 매끄럽고 탄력감이 있는 사용감 및 그 막의 지속성이라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예를 들어 성분 (A) ∼ (C) 를 함유하는 유상을 80 ∼ 95 ℃ 에서 가열 혼합하고, 이것에 수상 성분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유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성분 (A) ∼ (C) 를 함유하는 유상을 가열 혼합하는 공정 1 과, 당해 유상에 성분 (D) 를 함유하는 수상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공정 2 를 구비한다. 추가로, 상기 공정 1 과 공정 2 사이에, 성분 (F) 또는 성분 (G) 를 성분 (D) 의 일부에 용해시키고, 상기 유상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공정 12, 공정 12 의 후에 냉각시키는 공정 13 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공정 2 의 후, 성분 (F) 또는 성분 (G) 를 성분 (D) 의 일부에 용해시키고, 조성물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공정 2-2 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경우, 성분 (D) 의 함유량은 각 공정에서 혼합한 양의 합계량이다. 또, 가열 혼합하는 공정에 있어서, 가열 온도는, 혼합하는 성분 중 가장 높은 융점 이상, 100 ℃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성분 (A) ∼ (C), 및 바람직하게는 성분 (E) 를 함유하는 유상을 가열 혼합하는 공정 1, 성분 (F) 또는 성분 (G) 를 성분 (D) 의 일부에 용해시키고, 상기 유상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공정 12, 공정 12 의 후에 냉각시키는 공정 13, 추가로 당해 유상에 나머지의 성분 (D) 를 함유하는 수상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공정 2 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시판되고 있는, 호모 믹서, 디스퍼 믹서, 울트라 믹서, 고압 호모게나이저, 마이크로 믹서를 사용할 수 있지만, 보다 미세화하는 수단으로서 고압 호모게나이저 또는 마이크로 믹서를 사용할 수 있다.
고압 호모게나이저 또는 마이크로 믹서를 사용한 유화 방법은, 유화 입자의 입경 균일화의 점,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점, 미세화된 세라마이드의 피부에 대한 침투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분산 입자의 입자경 (체적 평균 입자경) 이 2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인 미세화된 에멀션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베시클이 형성되어 있고, 그 베시클 구조가 안정적이다. 또,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면, 소수성이 높은 도포막이 형성된다. 그 소수성이 높은 도포막의 형성에 의해, 높은 보습 기능을 나타내고, 또한 매끄러운 탄력감이 얻어진다. 또한, 소수성이 높은 도포막은, 물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 나타내고, 양호한 사용감이 지속된다.
본 발명의 유화 조성물은, 화장료 등의 피부 외용제로서 적용할 수 있다. 화장료로 하는 경우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추가로, 통상적인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상기 이외의 유성 성분, 저급 알코올, 보습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킬레이트제, 미백제, 자외선 흡수제, 비타민류, 식물 추출물, 그 밖의 각종 약효 성분, 분체, 향료, 색재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조성물을 개시한다.
<1> (A)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B)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C) 세라마이드류, 및 (D) 물을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A/B) 가 0.5 이상 60 이하인 유화 조성물.
<2> (A)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가, 카르복실산염형, 술폰산염형, 황산염형 및 인산염형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3> (A)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가, N-아실아미노산, 지방산,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디아실글루탐산리신, 알킬술포숙신산, N-아실메틸타우린, 알킬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 및 그것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4> (A)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가, N-아실아미노산, 지방산, 디아실글루탐산리신, N-아실메틸타우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 및 그것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5> (A)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가, N-아실아미노산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6> 성분 (A) 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75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2 질량%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질량% 이상 0.7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상 0.5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75 질량% 이상 0.2 질량% 이하인<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7> (B)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가, 지방족 아민염형, 4 급 암모늄염형 및 DL-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형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8> (B)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가, 모노 알킬형 4 급 암모늄염, 디알킬형 4 급 암모늄염, 디아실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메토술페이트, 및 아실아르기닌에틸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9> (B)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가, 모노 C12-C24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 C12-C24 알킬디메틸암모늄염, 디아실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메토술페이트, 및 아실아르기닌에틸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10> 성분 (B) 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01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2 질량%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35 질량%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001 질량% 이상 0.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질량% 이상 0.3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0.1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0.05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2 질량% 이상 0.035 질량% 이하인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11> (C) 세라마이드류가, 천연형 세라마이드 및 의사형 세라마이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12> 성분 (C) 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0.000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8 질량%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0.000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2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8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13>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A/B) 가,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75 이상 4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0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5 이하인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14> 성분 (A) 및 성분 (B) 의 합계량과 성분 (C) 의 질량비 ((A + B)/C) 가, 바람직하게는 0.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2 이하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0.002 이상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1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0.3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0.2 이하인 <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15> 성분 (D) 의 함유량이,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인 <1>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16> 추가로, (E)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 콜레스테롤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17> 추가로, (F) 염기 및/또는 (G) 산을 함유하는 <1> ∼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18> 화장료인 <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
<19> 성분 (A) ∼ (C) 를 함유하는 유상을 가열 혼합하는 공정 1, 성분 (F) 염기 또는 성분 (G) 산을 성분 (D) 물의 일부에 용해시키고, 상기 유상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공정 12, 공정 12 의 후에 냉각시키는 공정 13, 추가로 당해 유상에 나머지의 성분 (D) 를 함유하는 수상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공정 2 를 구비하는 <17> 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
<20> 상기 공정 1 에 있어서, 상기 유상이 추가로, (E)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 콜레스테롤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고, 상기 공정 1 에 있어서, 성분 (A) ∼ (C), 및 성분 (E) 를 함유하는 유상을 가열 혼합하는, <19> 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조 방법)
성분 (A), (B), (C) 및 (E) 를 혼합하고, 80 ∼ 95 ℃ 에서 가열 용해시켜, 교반한다. 또한 (G) 인산 혹은 (F) L-아르기닌을 물의 일부 (10 질량%) 에 용해시킨 것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한 후, 교반하면서 25 ℃ 까지 냉각시켰다. 이 후, 나머지의 성분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균일하게 하였다.
(평가 방법)
(1) 유화 입자 상태
유화 입자의 상태는, 샘플 조제 직후에 현미경 (직광 및 편광하) 으로 입자와 몰타 크로스의 유무에 대해 관찰하였다. 입자 및 몰타 크로스가 관찰된 것을「A」, 입자의 타층상 라멜라 구조체가 관찰된 것을「B」, 입자가 관찰되지 않았던 것을「C」로 평가하였다.
(2) 도포막의 감촉
샘플을 손등에 적당량 (0.3 g) 도포하고, 화장품 평가 전문 패널리스트 N = 3 이 감촉 (매끄러운 탄력감) 에 대해 4 단계 (4 점 : 양호하다, 3 점 : 약간 양호하다, 2 점 : 약간 양호하지 않다, 1 점 : 양호하지 않다) 로 평가 (합계 12 점) 를 실시하였다. 합계점을 표에 나타냈다.
(3) 도포막의 지속성 (세정 후)
샘플을 손등에 적당량 (0.3 g) 도포하고, 건조 도포막을 피부 상에서 형성한 후, 물로 세정 후, 감촉 (매끄러운 탄력감) 을 확인하였다. 감촉이 지속되고 있는 경우를「A」, 약간 지속되고 있는 경우를「B」, 지속되고 있지 않은 경우를「C」로 평가하였다.
(4) 접촉각 측정
인공 피혁 2.5 ㎝ × 2.5 ㎝ 의 면적당 샘플 0.5 g 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다시 도포하는 조작을 반복하여 6 회 실시하였다. 24 시간 건조 후, 25 ℃ 환경하에서 도포막 상에 물방울을 1 ㎕ 적하하고, 적하 직후와 적하 60 초 후의 접촉각을 자동 접촉각계 DM-501Hi (쿄와 계면 과학사 제조/키타하마 제작소) 에 의해 측정하였다.
(5) 도포막의 친소수성
적하 직후 및 적하 60 초 후의 접촉각이 30°보다 큰 경우를 소수적, 작은 경우를 친수적으로 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세라마이드류에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를 병용한 경우와,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단독 사용의 경우를 대비하였다. 그 결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와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를 병용함으로써, 소수성의 도포막이 형성되고, 매끄럽고 탄력감이 있는 사용감이 얻어지며, 그 막이 지속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Figure 112020056842876-pct00007
실시예 2 ∼ 7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의 함유량을 변화시켜 상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것들의 함유량에 상관없이, 소수성의 도포막의 형성, 매끄럽고 탄력감이 있는 사용감 및 그 막의 지속성이라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졌지만, A/B 가 0.75 이상 40 이하일 때에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20056842876-pct00008
실시예 8 ∼ 12
다양한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상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및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의 종류에 상관없이, 소수성의 도포막의 형성, 매끄럽고 탄력감이 있는 사용감 및 그 막의 지속성이라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20056842876-pct00009
실시예 13 ∼ 16
표 4 의 조성의 유화 조성물을 얻어, 상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라마이드의 함유량에 상관없이, 소수성의 도포막의 형성, 매끄럽고 탄력감이 있는 사용감 및 그 막의 지속성이라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pH 에 상관없이, 넓은 pH 영역에서, 소수성의 도포막의 형성, 매끄럽고 탄력감이 있는 사용감 및 그 막의 지속성이라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20056842876-pct00010
비교예 3
표 5 의 조성의 유화 조성물을 얻어, 상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A/B) 가 60 을 초과하는 비교예 3 의 유화 조성물은, 소수성의 도포막이 형성되지 않고, 그 막의 지속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Figure 112020056842876-pct00011

Claims (15)

  1. (A) N-아실아미노산, 지방산,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 디아실글루탐산리신, 알킬술포숙신산, N-아실메틸타우린, 알킬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 및 그것들의 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 0.01 ~ 1 질량%,
    (B) 모노 알킬형 4 급 암모늄염, 디알킬형 4 급 암모늄염, 디아실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메토술페이트, 및 아실아르기닌에틸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
    (C) 세라마이드류, 및
    (D) 물을 함유하고,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A/B) 가 0.5 이상 60 이하인 유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및 성분 (B) 의 합계량과 성분 (C) 의 질량비 ((A + B)/C) 가 0.002 이상 5 이하인 유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로, (E)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 콜레스테롤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F) 염기 및/또는 (G) 산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인 유화 조성물.
  6. 성분 (A) ∼ (C) 를 함유하는 유상을 가열 혼합하는 공정 1, 성분 (F) 염기 또는 성분 (G) 산을 성분 (D) 물의 일부에 용해시키고, 상기 유상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공정 12, 공정 12 의 후에 냉각시키는 공정 13, 추가로 당해 유상에 나머지의 성분 (D) 를 함유하는 수상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공정 2 를 구비하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기재된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1 에 있어서, 상기 유상이 추가로, (E) 콜레스테롤 및 지방산 콜레스테롤에스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고, 상기 공정 1 에 있어서, 성분 (A) ∼ (C), 및 성분 (E) 를 함유하는 유상을 가열 혼합하는,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 아니온성 계면 활성제가, N-아실아미노산 및 그 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 카티온성 계면 활성제가, 모노 C12-C24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 C12-C24 알킬디메틸암모늄염, 디아실에틸하이드록시에틸모늄메토술페이트, 및 아실아르기닌에틸피롤리돈카르복실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B) 의 함유량이, 0.001 질량% 이상 0.5 질량% 이하인 유화 조성물.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C) 세라마이드류가, 천연형 세라마이드 및 의사형 세라마이드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C) 의 함유량이, 0.000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인 유화 조성물.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A) 와 성분 (B) 의 질량비 (A/B) 가, 0.75 이상 40 이하인 유화 조성물.
  14. 삭제
  15. 삭제
KR1020207015864A 2017-12-28 2018-12-28 유화 조성물 KR102492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54873 2017-12-28
JPJP-P-2017-254873 2017-12-28
PCT/JP2018/048403 WO2019131986A1 (ja) 2017-12-28 2018-12-28 乳化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653A KR20200103653A (ko) 2020-09-02
KR102492344B1 true KR102492344B1 (ko) 2023-01-26

Family

ID=6706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864A KR102492344B1 (ko) 2017-12-28 2018-12-28 유화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337953A1 (ko)
EP (1) EP3733160A4 (ko)
JP (1) JP7299018B2 (ko)
KR (1) KR102492344B1 (ko)
CN (1) CN111526865A (ko)
TW (1) TWI791726B (ko)
WO (1) WO20191319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78534B2 (ja) * 2019-11-22 2024-05-07 花王株式会社 乳化組成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517A (ja) 2000-04-27 2002-01-15 Kao Corp 乳化化粧料
JP2003012464A (ja) 2001-06-26 2003-01-15 Kao Corp 毛髪化粧料
US20050031570A1 (en) 2003-08-08 2005-02-10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JP2013053146A (ja) 2011-08-09 2013-03-21 Kao Corp 乳化組成物
JP2017057146A (ja) 2015-09-14 2017-03-23 株式会社アイ・ティー・オー アンチプロオキシダント・グリセリルオクチル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その製法及び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1239A (ja) * 1997-08-26 1999-03-16 Kanebo Ltd 毛髪処理剤
US6859829B1 (en) * 1999-02-23 2005-02-22 Microsoft Corp. Method and mechanism for providing computer programs with computer system events
US7297717B2 (en) * 2000-04-27 2007-11-20 Kao Corporation Emulsion cosmetic
FR2841776B1 (fr) * 2002-07-08 2005-12-23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detergentes contenant un tensioactif anionique, un tensioactif amphotere ou non ionique et un polysaccharide et utilisation
JP4566010B2 (ja) 2005-01-13 2010-10-20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外用組成物
JP5342736B2 (ja) 2005-04-06 2013-11-13 花王株式会社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4883261B2 (ja) * 2005-06-27 2012-02-22 ライオン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2007015986A (ja) * 2005-07-08 2007-01-25 Nippon Fine Chem Co Ltd 脂質分散組成物、及び、脂質水分散組成物、並びにそれらを配合してなる毛髪化粧料
JP4926420B2 (ja) 2005-07-21 2012-05-09 花王株式会社 乳化組成物
JP4767352B1 (ja) * 2010-03-17 2011-09-07 株式会社 資生堂 乳化組成物
JP6016728B2 (ja) * 2013-08-02 2016-10-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セラミド分散組成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2517A (ja) 2000-04-27 2002-01-15 Kao Corp 乳化化粧料
JP2003012464A (ja) 2001-06-26 2003-01-15 Kao Corp 毛髪化粧料
US20050031570A1 (en) 2003-08-08 2005-02-10 Kpss-Kao Professional Salon Services Gmbh 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JP2013053146A (ja) 2011-08-09 2013-03-21 Kao Corp 乳化組成物
US20140194522A1 (en) 2011-08-09 2014-07-10 Kao Corporation Emulsion Composition
JP2017057146A (ja) 2015-09-14 2017-03-23 株式会社アイ・ティー・オー アンチプロオキシダント・グリセリルオクチル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その製法及び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19741A (ja) 2019-07-22
TWI791726B (zh) 2023-02-11
EP3733160A1 (en) 2020-11-04
US20200337953A1 (en) 2020-10-29
EP3733160A4 (en) 2021-11-03
WO2019131986A1 (ja) 2019-07-04
KR20200103653A (ko) 2020-09-02
CN111526865A (zh) 2020-08-11
TW201929831A (zh) 2019-08-01
JP7299018B2 (ja)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22037A1 (ja) 乳化組成物
KR100917302B1 (ko) 세라마이드류 유화물
JP4778256B2 (ja)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92344B1 (ko) 유화 조성물
JP2016084360A (ja) ベシクル組成物
JP3715223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の製造方法
JP2020109056A (ja) エーテル油を含む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
JP3662513B2 (ja) 乳化化粧料
TWI572365B (zh) Cosmetics
JP3967292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2004155716A (ja) クリーム状皮膚洗浄料
JP4119646B2 (ja) セラミド類乳化物の製造法
JP2014037403A (ja) 毛髪化粧料
JP6174449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4220698B2 (ja) 皮膚外用剤
JP2003012478A (ja) 頭髪用乳化組成物
JP2005002020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05023068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US9820925B2 (en) Skin cosmetic
TW202000180A (zh) W/o型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