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290B1 -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위치 조정 지그 - Google Patents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위치 조정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290B1
KR102491290B1 KR1020217001705A KR20217001705A KR102491290B1 KR 102491290 B1 KR102491290 B1 KR 102491290B1 KR 1020217001705 A KR1020217001705 A KR 1020217001705A KR 20217001705 A KR20217001705 A KR 20217001705A KR 102491290 B1 KR102491290 B1 KR 102491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rod
jack
pressing pie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563A (ko
Inventor
요헤이 츠치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1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46Fastening of diaphragms or stator-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6Double casings; Measures against temperature strain in casings
    • F01D25/265Vertically split casings; Clamp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6Double casings; Measures against temperature strain i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4Casings; Casing parts, e.g. diaphragms, casing fastenings
    • F01D25/243Flange connections; Bol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28Support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g. for turbine casing
    • F01D25/285Temporary support structures, e.g. for testing, assembling, installing, repairing; Assembly methods us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4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 F01D9/041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us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1Application in turbines in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D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30/00Manufacture
    • F05D2230/60Assembly methods
    • F05D2230/64Assembly methods using positioning or alignment devices for aligning or centring, e.g.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2Fluid guiding means, e.g.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10Stators
    • F05D2240/14Casings or housings protecting or supporting assemblies with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은, 원호상 부재의 주위 방향 단부에 마련된 돌기부를, 상기 원호상 부재의 상기 주위 방향 단부에서 보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기준 부재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기준 부재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 또는 내측에 벽부를 배치하고, 상기 벽부와 상기 기준 부재 사이에 잭을 배치하고, 상기 잭을 작동시켜, 로드를 통해 상기 벽부에 설치된 압박편에 의해 상기 돌기부를 상기 기준 부재에 대해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위치 조정 지그
본 개시는,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위치 조정 지그에 관한 것이다.
가스 터빈이나 증기 터빈에 있어서의 블레이드 링이나, 가스 터빈에 있어서의 중간축 커버 등과 같이 터빈의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호상 부재는, 예를 들어 상반부와 하반부로 분할되어 있고, 상반부와 하반부가 결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 링의 내면에는 시일 링이 첩부되어 있다. 로터에 장착된 동익의 선단과 당해 시일 링 내면, 또는 블레이드 링에 장착된 정익의 선단과 로터 표면의 간극은, 열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 통상 1 내지 2㎜의 매우 좁은 간극으로 되어 있다. 터빈 차실의 분해 및 조립 시에, 상기 간극뿐만 아니라 로터 축 방향의 동익과 정익 사이의 간극을 계측하여, 운전 시에, 이들 간극이 확보되어 있는지 여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원호상 부재에서는, 자중에 의한 휨 등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원호상 부재가 변형되어 버리면, 예를 들어 로터에 장착된 동익의 선단과 당해 시일 링 내면, 또는 블레이드 링에 장착된 정익의 선단과 로터 표면의 간극이 변화되어 버린다. 이 상태에서 정지부와 회전부의 간극을 계측해도 운전 시의 간극과 다르기 때문에, 잘못된 계측값이 된다.
그래서 지그를 사용하여 원호상 부재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지그에서는, 블레이드 링 하반부에 고정된 하중 수용 부재를 향해 블레이드 링의 직경 방향으로 진퇴하는 하중 부가 장치를 구비하고, 차실 하반부의 접합면에 고정되는 진원 유지 지그로부터 하중 부가 장치를 통해 당해 하중 수용 부재에 블레이드 링의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하중을 부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중 부가 장치가, 하중 수용 부재를 향해 진원 유지 지그에 고정된 나사축과, 당해 나사축에 나사 결합된 너트와, 당해 나사축의 선단에 이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진 압입 헤드를 갖고, 당해 너트에 의해 당해 압입 헤드를 하중 수용 부재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하중 수용 부재에 블레이드 링의 직경 방향의 내측을 향하는 하중을 부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304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지그에서는, 하중 수용 부재에 부가하는 하중이 커질수록 너트를 회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이 커져, 블레이드 링을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기가 어려웠다.
상술한 사정에 비추어,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형태는,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을 용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은,
원호상 부재의 주위 방향 단부에 마련된 돌기부를, 상기 원호상 부재의 상기 주위 방향 단부에서 보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기준 부재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잭 수용 공간을 사이에 두고 배치됨과 함께 서로 접속된 제1 벽부 및 제2 벽부 사이에 상기 기준 부재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를 배치하고,
상기 잭 수용 공간 내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 또는 상기 제2 벽부 중 한쪽과 상기 기준 부재 사이에 잭을 배치하고,
상기 잭을 작동시켜, 로드를 통해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된 압박편에 의해 상기 돌기부를 상기 기준 부재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의 방법에 의하면, 잭을 작동시켜, 로드를 통해 제1 벽부에 설치된 압박편에 의해 돌기부를 기준 부재에 대해 이동시키므로,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1)의 방법에 의하면, 잭 수용 공간 내에 있어서 제1 벽부와 기준 부재 사이에 잭을 배치하는지, 제2 벽부와 기준 부재 사이에 잭을 배치하는지에 따라, 압박편을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시킬지 외측으로 이동시킬지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기준 부재에 대해 돌기부를 직경 방향의 내측과 외측의 양쪽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2) 몇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잭 수용 공간 내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기준 부재 사이에 상기 잭을 배치하고,
상기 압박편을 상기 돌기부보다 상기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하고,
상기 잭을 작동시켜,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된 상기 압박편에 의해 상기 돌기부를 상기 기준 부재에 대해 상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의 방법에 의하면, 돌기부를 기준 부재에 대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3) 몇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1)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잭 수용 공간 내에 있어서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기준 부재 사이에 상기 잭을 배치하고,
상기 압박편을 상기 돌기부보다 상기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하고,
상기 잭을 작동시켜,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된 상기 압박편에 의해 상기 돌기부를 상기 기준 부재에 대해 상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의 방법에 의하면, 돌기부를 기준 부재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4) 몇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로드의 연장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로드의 중심 축선이 상기 잭의 피스톤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상기 잭 수용 공간 내에 상기 잭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의 방법에 의하면, 잭의 압박력을 압박편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5) 몇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잭을 작동시켜,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된 상기 압박편에 의해 상기 돌기부를 상기 기준 부재에 대해 이동시키기에 앞서, 상기 제1 벽부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상기 로드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압박편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5)의 방법에 의하면, 원호상 부재의 변형 등에 의해 돌기부와 기준 부재의 거리가 변화되어도 제1 벽부와 압박편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압박편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설치된 압박편과,
상기 로드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제1 벽부와,
상기 로드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드와는 반대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벽부에 접속된 제2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에 잭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6)의 구성에 의하면, 잭 수용 공간 내에 잭과 기준 부재를 배치하고, 잭을 작동시켜 기준 부재에 대해 제1 벽부 및 제2 벽부를 이동시킴으로써, 로드를 통해 제1 벽부에 설치된 압박편을 로드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박 대상물을 잭에서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압박편으로 압박하여, 기준 부재에 대한 압박 대상물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6)의 구성에 의하면, 잭 수용 공간 내에 있어서 제1 벽부와 기준 부재 사이에 잭을 배치하는지, 제2 벽부와 기준 부재 사이에 잭을 배치하는지에 따라, 압박편을 로드의 축 방향을 따른 두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킬지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기준 부재에 대해 압박 대상물을 상기 두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게 할 수 있다.
(7) 몇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6)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압박편은, 상기 로드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7)의 구성에 의하면, 압박편이 로드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예를 들어 협애한 장소에 압박편이나 로드를 배치할 수 있는 등, 압박편이나 로드를 배치하기 쉬워진다.
(8) 몇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7)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잭 수용 공간에 배치된 잭을 작동시켜,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된 상기 압박편에 의해 압박 대상물을 상기 잭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기준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압박편이 걸림 결합되는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잭 수용 공간에 배치된 상기 잭을 작동시켜,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된 상기 압박편에 의해 상기 압박 대상물을 상기 잭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기준 부재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보다 상기 일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압박편이 걸림 결합되는 제2 걸림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8)의 구성에 의하면, 압박 대상물의 이동 방향이 기준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지 기준 부재에 접근하는 방향인지에 관계없이 상기한 로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치 조정 지그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9) 몇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8)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압박편은, 상기 압박 대상물과 맞닿는 면에 압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당해 면을 상기 일단부측을 향해 걸림 결합시키고,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당해 면을 상기 타단부측을 향해 걸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9)의 구성에 의하면, 압박 대상물을 기준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라도, 압박 대상물을 기준 부재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라도, 압박 오목부로 압박 대상물을 압박할 수 있으므로, 압박편의 자세가 안정되어, 압박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10) 몇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6) 내지 (9) 중 어느 구성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연장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로드의 중심 축선이 상기 잭의 피스톤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상기 잭 수용 공간 내에 상기 잭을 배치하기 위한 잭 위치 규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0)의 구성에 의하면, 잭의 압박력을 압박편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11) 몇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6) 내지 (10) 중 어느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으로의 상기 로드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1)의 구성에 의하면, 압박 대상물과 기준 부재의 거리에 따라서, 축 방향으로의 로드의 돌출 길이, 즉 제1 벽부와 압박편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압박편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대상물의 위치 조정을 용이화할 수 있다.
도 1은 증기 터빈 차실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블레이드 링 상반부를 떼어 내었을 때의 블레이드 링 하반부의 변형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블레이드 링 상반부를 떼어 내었을 때의 블레이드 링 하반부의 변형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를 사용하여 주위 방향 단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B-B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잭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를 사용하여 주위 방향 단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화살표 C-C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잭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돌기부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움직이게 하여 위치 조절을 행한 후에 돌기부의 상부에 블레이드 링 상반부를 배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위치 조정 지그의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위치 조정 지그의 다른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단, 실시 형태로서 기재되어 있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것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어느 방향으로」, 「어느 방향을 따라」, 「평행」, 「직교」, 「중심」, 「동심」 혹은 「동축」 등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그러한 배치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각도나 거리를 갖고 상대적으로 변위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동일」, 「동등한」 및 「균질」 등의 사물이 동등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표현은, 엄밀하게 동등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공차, 혹은 동일한 기능이 얻어지는 정도의 차가 존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표현은, 기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에서의 사각 형상이나 원통 형상 등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요철부나 모따기부 등을 포함하는 형상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한편, 하나의 구성 요소를 「갖추다」, 「갖다」, 「구비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라고 하는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배타적인 표현은 아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위치 조정 지그가 적용 가능한 장치의 예로서의 증기 터빈 차실의 횡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외부 차실 상반부 및 내부 차실 상반부가 떼어 내어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터빈 차실은, 외부 차실, 내부 차실 및 블레이드 링이 상하로 2분할형으로 되어 있고, 이들이 각각의 접합면에서 볼트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내부 차실(104)의 내측에 링상의 블레이드 링(106)이 배치되어 있다.
블레이드 링(106)은 내부 차실(104)에 의해 도시 생략된 서포트 기구를 통해 지지되어 있다. 블레이드 링(106)의 내측에는, 다수의 정익(108)이 블레이드 링의 내면을 따라 병설되고, 또한 로터 축 방향으로도 복수 열 장착되어 있다. 차실, 블레이드 링, 정익 등으로 정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정익의 내측에는, 동익이 장착된 로터(도시 생략)가 배치되고, 정익 사이에 동익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동익 및 로터로 회전부를 구성하고 있다.
블레이드 링(106)은, 반링상의 블레이드 링 상반부(106a) 및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리스 방식으로, 이들의 접합면을 맞댄 상태에서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터빈 차실의 분해는, 외측으로부터 차례로, 외부 차실 상반부, 내부 차실 상반부 및 블레이드 링 상반부를 떼어 내고, 마지막으로 로터를 떼어 내는 수순으로 행해진다. 조립은, 각 부품이 분해 시와 반대의 수순으로 조립 장착된다. 블레이드 링의 내면에는 시일 링이 첩부되어 있다. 로터에 장착된 동익의 선단과 당해 시일 링 내면, 또는 블레이드 링에 장착된 정익의 선단과 로터 표면의 간극은, 열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 통상 1 내지 2㎜의 매우 좁은 간극으로 되어 있다. 터빈 차실의 분해 및 조립 시에, 상기 간극뿐만 아니라, 로터 축 방향의 동익과 정익 사이의 간극을 계측하여, 운전 시에, 이들 간극이 확보되어 있는지 여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터빈 차실의 분해 시에, 블레이드 링 상반부(106a)가 떼어 내어지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는 지금까지의 힘의 밸런스가 무너져, 자중 g에 의해, 파선(106b)으로 나타내는 진원 상태로부터, 실선(106b')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부(주위 방향 단부)(61)가 내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오벌 변형이 일어난다. 이 상태에서 정지부와 회전부의 간극을 계측해도 운전 시의 간극과 다르기 때문에 잘못된 계측값이 된다.
또한, 본래 로터에 장착된 동익의 선단과 블레이드 링 내면, 또는 블레이드 링에 장착된 정익의 선단과 로터 표면의 간극은, 미소한 간극으로 되어 있으므로 오벌 변형에 의해 양자 사이에서 접촉하는 사태도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접촉에 의해 접촉 부분의 파손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또한,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가 오벌 변형됨으로써,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와, 블레이드 링 상반부(106a)의 주위 방향 단부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면,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주위 방향 단부(61)에 설치된 볼트와 블레이드 링 상반부(106a)의 주위 방향 단부의 볼트 구멍의 위치가 어긋나 버려, 터빈 차실의 조립 시에, 블레이드 링 상반부(106a)의 설치가 곤란해져 버린다.
이들 문제를 없애기 위해서는, 블레이드 링 하반부의 주위 방향 단부에 외측 방향의 인장력 f1을 부가하여,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운전 시의 진원 상태(파선(106b)의 상태)를 재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터빈 차실에 가해지는 힘의 밸런스에 따라서는,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주위 방향 단부(61)를 외측으로 확대하는 힘이 부가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도 3의 실선(106b')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링 상반부(106a)가 떼어 내어진 후에, 양단이 외측으로 확대되는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주위 방향 단부(61)에 내측 방향의 힘 f2를 부가하여,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운전 시의 진원 상태로 복귀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를 사용하여,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위치 조정 지그(100)에 대해)
도 4는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의 분해도이다.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100)는, 로드(110)와, 압박편(120)과, 슬리브(130)를 구비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위치 조정 지그(100)의 후술하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각 방향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로드(110)의 연장 방향은, 터빈 차실의 직경 방향, 즉 원호 형상을 갖는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직경 방향과 대략 동일한 방향을 향하므로, 단순히 직경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또한, 위치 조정 지그(100)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는, 로드(110)의 연장 방향과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직경 방향에 차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로드(110)의 연장 방향을 단순히 직경 방향이라고도 칭하기로 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의 도시 상하 방향은, 터빈 차실의 상하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므로, 단순히 상하 방향이라고 칭한다.
몇 실시 형태에 관한 로드(110)는, 제1 대경부(111)와, 제2 대경부(112)와, 제3 대경부(113)와, 제1 걸림 결합부(114)와, 제2 걸림 결합부(115)와, 수나사부(116)와, 각기둥부(117)를 구비한다. 몇 실시 형태에 관한 로드(110)에서는, 직경 방향 내측을 일단부측이라고도 칭하고, 직경 방향 외측을 타단부측이라고도 칭한다.
몇 실시 형태에 관한 로드(110)에서는, 직경 방향 외측, 즉 타단부측으로부터 차례로, 제1 대경부(111), 제1 걸림 결합부(114), 제2 대경부(112), 제2 걸림 결합부(115) 및 제3 대경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대경부(111), 제2 대경부(112), 및 제3 대경부(113)는, 제1 걸림 결합부(114) 및 제2 걸림 결합부(115)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제1 걸림 결합부(114) 및 제2 걸림 결합부(115)는, 후술하는 압박편(120)이 걸림 결합되는 부위이다. 로드(110)에 있어서의 제1 걸림 결합부(114) 및 제2 걸림 결합부(115)의 형성 부위를 일단부라고도 칭한다.
수나사부(116)는,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형성된 수나사 부분이다. 로드(110)에 있어서의 수나사부(116)의 형성 부위를 타단부라고도 칭한다.
각기둥부(117)는, 제1 대경부(111)와 수나사부(116) 사이에 형성된 각기둥 형상을 갖는 부위이다. 각기둥부(11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드(110)를 슬리브(130)에 설치할 때나, 슬리브(130)로부터의 로드(110)의 돌출 거리를 조정하기 위해 스패너 등의 공구가 걸리도록 하기 위한 부위이다.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압박편(1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주위 방향 단부(61)에 마련된 돌기부(62)를 압박하도록 구성된 부재이다.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압박편(120)은, 압박 오목부(121)와 걸림 결합 홈부(122)를 갖는다.
또한 돌기부(62)는,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주위 방향 단부(61)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이다.
압박 오목부(12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의 조정 시에,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주위 방향 단부(61)에 마련된 돌기부(62)의 측면에 맞닿는 부위이다. 걸림 결합 홈부(122)는, 로드(110)의 제1 걸림 결합부(114) 또는 제2 걸림 결합부(115)와 걸림 결합되는 홈부이다.
압박편(120)은 로드(1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몇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압박편(120)은, 제1 압박편(120A), 또는 제2 압박편(120B)이다. 제1 압박편(120A)은,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 사용된다. 제2 압박편(120B)은,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압박편(120A)과 제2 압박편(120B)으로 특별히 구별을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순히 압박편(120)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슬리브(130)는 벽부로서의 제1 벽부(131) 및 제2 벽부(132)와, 접속부(133)를 구비한다.
제1 벽부(131)는, 위치 조정 지그(100)의 사용 시에,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벽부이며, 로드(110)의 수나사부(116)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암나사부(136)를 갖는다. 즉, 제1 벽부(131)에는 로드(110)의 타단부가 설치된다.
제2 벽부(132)는, 직경 방향, 즉 로드(110)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벽부(131)를 사이에 두고 로드(110)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벽부이다.
접속부(133)는, 제1 벽부(131)와 제2 벽부(132)를 접속하는 부위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부(13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벽부인데, 제1 벽부(131)와 제2 벽부(132)를 접속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태는 도 4에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부(133)에는 슬리브(130)의 핸들링용의 손잡이(134)가 설치되어 있다.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슬리브(130)에서는, 제1 벽부(131)와 제2 벽부(132)는 직경 방향, 즉 로드(110)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벽부(131)와 제2 벽부(132) 사이에 잭 수용 공간(135)을 형성한다.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100)에 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잭 수용 공간(135) 내에 잭(150)과 기준 부재(71)를 배치하고(도 5 내지 도 10 참조), 잭(150)을 작동시켜 기준 부재(71)에 대해 제1 벽부(131) 및 제2 벽부(132)를 이동시킴으로써, 로드(110)를 통해 제1 벽부(131)에 설치된 압박편(120)을 로드(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박 대상물을 잭(150)에서 발생시킨 구동력에 의해 압박편(120)으로 압박하여, 기준 부재(71)에 대한 압박 대상물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100)에 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잭 수용 공간(135) 내에 있어서 제1 벽부(131)와 기준 부재(71) 사이에 잭(150)을 배치하는지, 제2 벽부(132)와 기준 부재(71) 사이에 잭(150)을 배치하는지에 따라, 압박편(120)을 로드(110)의 축 방향을 따른 2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이동시킬지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기준 부재(71)에 대해 압박 대상물을 상기 2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100)에서는, 압박편(120)이 로드(1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압박편(120)이 로드(1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예를 들어 협애한 장소에 압박편(120)이나 로드(110)를 배치할 수 있는 등, 압박편(120)이나 로드(110)를 배치하기 쉬워진다.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10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걸림 결합부(114)에는, 잭 수용 공간(135)에 배치된 잭(150)을 작동시켜, 로드(110)를 통해 제1 벽부(131)에 설치된 압박편(120)에 의해 압박 대상물을 잭 수용 공간(135)에 위치하는 기준 부재(7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 제1 압박편(120A)이 걸림 결합된다.
또한,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10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걸림 결합부(115)에는 잭 수용 공간(135)에 배치된 잭(150)을 작동시켜, 로드(110)를 통해 제1 벽부(131)에 설치된 압박편(120)에 의해 압박 대상물을 잭 수용 공간(135)에 위치하는 기준 부재(71)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 제2 압박편(120B)이 걸림 결합된다.
이에 의해, 압박 대상물의 이동 방향이 기준 부재(7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지 기준 부재(71)에 접근하는 방향인지에 관계없이 상기한 로드(11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치 조정 지그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 조정 방법에 대해)
이하,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100)를 사용한,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 조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100)를 사용하여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잭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100)를 사용하여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의 잭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 도 9는, 도 1 중의 A부의 확대도에 상당하는 것이다.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방법에서는, 원호상 부재인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주위 방향 단부(61)에 마련된 돌기부(62)를 주위 방향 단부(61)로부터 보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또한, 기준 부재(71)는 내부 차실(104)의 하반부(104b)의 볼트 구멍에 설치된 축상의 부재이다.
돌기부(62)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잭 수용 공간(135)을 사이에 두고 배치됨과 함께 서로 접속된 제1 벽부(131) 및 제2 벽부(132) 사이에 기준 부재(71)가 위치하도록 제1 벽부(131) 및 제2 벽부(132), 즉 슬리브(130)를 배치한다.
즉, 돌기부(62)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잭 수용 공간(135) 내에 기준 부재(71)가 위치하도록 슬리브(130)를 내부 차실(104)의 하반부(104b)의 상면에 배치한다.
또한, 돌기부(62)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슬리브(130)를 내부 차실(104)의 하반부(104b)의 상면에 배치하기에 앞서, 제1 벽부(131)의 암나사부(136)와 로드(110)의 수나사부(116)를 결합함으로써, 로드(110)를 제1 벽부(131)에 설치해 두면 된다. 슬리브(130)를 내부 차실(104)의 하반부(104b)의 상면에 배치한 후에 로드(110)를 제1 벽부(131)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돌기부(62)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압박편(120A)을 사용하여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로드(110)가 설치된 슬리브(130)를 내부 차실(104)의 하반부(104b)의 상면에 배치한 후에, 또는 슬리브(130)를 내부 차실(104)의 하반부(104b)의 상면에 배치하여 로드(110)를 슬리브(130)에 설치한 후에, 제1 압박편(120A)을 주위 방향 단부(61)의 상방에 배치하면 된다.
또한,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압박편(120B)을 사용하여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로드(110)가 설치된 슬리브(130)를 내부 차실(104)의 하반부(104b)의 상면에 배치하기에 앞서, 제2 압박편(120B)을 주위 방향 단부(61)의 상면에 배치해 두면 된다.
도 5,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압박편(120A)을 사용하여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 제1 압박편(120A)에 있어서의 압박 오목부(121)가 형성된 면을 일단부측, 즉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제1 압박편(120A)을 돌기부(62)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한다. 그리고 제1 압박편(120A)의 걸림 결합 홈부(122)와 로드(110)의 제1 걸림 결합부(114)를 걸림 결합시킨다.
제1 압박편(120A)의 걸림 결합 홈부(122)와 로드(110)의 제1 걸림 결합부(114)가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 대경부(111)의 직경 방향 내측의 면과 제1 압박편(120A)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한 면이 대향하고, 제2 대경부(112)의 직경 방향 외측의 면과 제1 압박편(120A)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한 면이 대향한다. 이에 의해, 제1 압박편(120A)과 로드(110)의 직경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금지된다.
몇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압박편(120A)은 제1 압박편(120A)을 로드(110)에 걸림 결합시켰을 때, 하단(123)이 수평 키(63)의 상면(63a)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에 의해, 제1 압박편(120A)을 로드(110)에 걸림 결합시켰을 때, 제1 압박편(120A)이 로드(110)를 축으로 하여 회전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 키(63)는,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가 주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압박편(120B)을 사용하여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 제2 압박편(120B)에 있어서의 압박 오목부(121)가 형성된 면을 타단부측, 즉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제2 압박편(120B)을 돌기부(62)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한다. 그리고 제2 압박편(120B)의 걸림 결합 홈부(122)와 로드(110)의 제2 걸림 결합부(115)를 걸림 결합시킨다.
제2 압박편(120B)의 걸림 결합 홈부(122)와 로드(110)의 제2 걸림 결합부(115)가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2 대경부(112)의 직경 방향 내측의 면과 제2 압박편(120B)에 있어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한 면이 대향하고, 제3 대경부(113)의 직경 방향 외측의 면과 제2 압박편(120B)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한 면이 대향한다. 이에 의해, 제2 압박편(120B)과 로드(110)의 직경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금지된다.
몇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압박편(120B)은, 제2 압박편(120B)을 주위 방향 단부(61)의 상면에 적재한 상태에서, 슬리브(130)에 설치된 로드(110)의 제2 걸림 결합부(115)와 걸림 결합 홈부(122)가 걸림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에 의해, 제2 압박편(120B)을 지지하는 부재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몇 실시 형태에서는, 잭(150)을 작동시켜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에 대해 이동시키기에 앞서, 슬리브(130)의 암나사부(136)에 대해 로드(110)의 수나사부(116)를 회동시킴으로써, 제1 벽부(131)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로드(11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 벽부(131)와 압박편(120)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몇 실시 형태에서는, 슬리브(130)의 암나사부(136)와 로드(110)의 수나사부(116)에 의해 로드(11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변형 등에 의해 돌기부(62)와 기준 부재(71)의 거리가 변화되어도, 제1 벽부(131)와 압박편(120)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압박편(120)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돌기부(62)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잭 수용 공간(135) 내에 있어서 제1 벽부(131) 또는 제2 벽부(132) 중 한쪽과 기준 부재(71) 사이에 잭(150)을 배치한다.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벽부(131)와 기준 부재(71) 사이에 잭(150)을 배치한다. 또한,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벽부(132)와 기준 부재(71) 사이에 잭(150)을 배치한다.
몇 실시 형태에서는, 잭(150)은 유압 잭이며,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당해 유압 펌프는, 수동식의 유압 펌프여도 되고, 전동기 등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여도 된다.
잭 수용 공간(135) 내에 잭(150)을 배치할 때, 도 7,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드(110)의 연장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로드(110)의 중심 축선 CL이 잭(150)의 피스톤(151)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잭 수용 공간(135) 내에 잭(150)을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L자 형상을 갖는 잭 위치 규정 부재(160)를 기준 부재(71)에 설치해 두고, 잭 위치 규정 부재(160)의 상면(161)에 잭(150)을 적재함으로써, 잭(150)의 높이 위치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잭(150)이 제1 벽부(131) 또는 제2 벽부(132)를 압박하는 압박력을 로드(110)에 대해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잭(150)의 압박력을 압박편(120)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잭 위치 규정 부재(160)는, 제1 벽부(131) 또는 제2 벽부(132)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잭(150)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어서, 돌기부(62)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잭(150)을 작동시켜, 로드(110)를 통해 제1 벽부(131)에 설치된 압박편(120)에 의해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에 대해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압박편(120A)을 사용하여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 제1 벽부(131)와 기준 부재(71) 사이에 배치된 잭(150)을 작동시켜, 피스톤(151)의 반력으로 제1 벽부(131)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압박한다. 이에 의해, 로드(110)를 통해 제1 벽부(131)에 설치된 제1 압박편(120A)에 의해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몇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압박편(120A)에는, 2개의 압박 오목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2개의 압박 오목부(121)가, 직경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돌기부(62)의 측면과 각각 맞닿아 압박한다. 그 때문에, 압박 대상물인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 제1 압박편(120A)의 자세가 안정되어, 돌기부(62)를 안정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압박편(120B)을 사용하여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 제2 벽부(132)와 기준 부재(71) 사이에 배치된 잭(150)을 작동시켜, 피스톤(151)의 반력으로 제2 벽부(132)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압박한다. 이에 의해, 로드(110), 제1 벽부(131) 및 접속부(133)를 통해 제2 벽부(132)에 설치된 제2 압박편(120B)에 의해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몇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압박편(120B)에는, 2개의 압박 오목부(121)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2개의 압박 오목부(121)가, 직경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돌기부(62)의 측면과 각각 맞닿아 압박한다. 그 때문에, 압박 대상물인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 제2 압박편(120B)의 자세가 안정되어, 돌기부(62)를 안정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압박편(120B)을 사용하여 주위 방향 단부(61)의 위치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 직경 방향과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돌기부(62) 사이에 로드(110)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협애한 장소에 로드(110)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방법에서는, 돌기부(62)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 있어서,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 내측 또는 외측에 벽부(131, 132)(즉, 제1 벽부(131) 또는 제2 벽부(132))를 배치한다. 그리고 벽부(131, 132)(즉, 제1 벽부(131) 또는 제2 벽부(132))와 기준 부재(71) 사이에 잭(150)을 배치한다. 그리고 잭(150)을 작동시켜, 로드(110)를 통해 벽부(131, 132)(즉, 제1 벽부(131) 또는 제2 벽부(132))에 설치된 압박편(120)에 의해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에 대해 이동시킨다.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방법에 의하면, 잭(150)을 작동시켜, 로드(110)를 통해 제1 벽부(131)에 설치된 압박편(120)에 의해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에 대해 이동시키므로, 블레이드 링 하반부(106b)의 위치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방법에 의하면, 잭 수용 공간(135) 내에 있어서 제1 벽부(131)와 기준 부재(71) 사이에 잭(150)을 배치하는지, 제2 벽부(132)와 기준 부재(71) 사이에 잭(150)을 배치하는지에 따라, 압박편(120)을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시킬지 외측으로 이동시킬지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기준 부재(71)에 대해 돌기부(62)를 직경 방향의 내측과 외측의 양쪽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압박편(120B)은, 로드(1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됨과 함께, 돌기부(62)의 주위 방향을 따라 전체 주위를 덮고 있지는 않으므로,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62)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움직이게 하여 위치 조절을 행한 후에 돌기부(62)의 상부에 블레이드 링 상반부(106a)나 더미 블레이드 링을 배치해도, 제2 압박편(120B)이나 로드(110)를 떼어 내어 철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 링 상반부(106a)나 더미 블레이드 링을 배치하는 작업에 있어서도, 돌기부(62)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돌기부(62)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움직이게 하여 위치 조절을 행한 후에 돌기부(62)의 상부에 블레이드 링 상반부(106a)를 배치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 변형을 가한 형태나, 이들 형태를 적절하게 조합한 형태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압박편(120)의 형태는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압박편(120C)을, U자 형상을 갖는 U자상부(125)와, U자상부(125)의 양단을 폐쇄하도록 형성된 양단 결합부(126)를 포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자상부(125)의 내주 부분에 돌기부(62)가 위치하도록 U자상부(125)를 배치하고, U자상부(125)와 양단 결합부(126)를 결합함으로써 돌기부(62)의 전체 주위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양단 결합부(126)는 로드(110)의 일단부에 접속된다. 이에 의해, 잭(150)을 작동시켜, 로드(110)를 통해 제1 벽부(131)에 설치된 제3 압박편(120C)에 의해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62)의 상부에 블레이드 링 상반부(106a)를 배치한 상태라도, U자상부(125)와 양단 결합부(126)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제3 압박편(120C)을 돌기부(62)로부터 떼어 낼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U자상부(125) 대신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세 변에 상당하는 프레임 형상의 부재(127)를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조정의 대상물이 블레이드 링(106)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가스 터빈에 있어서의 중간축 커버도 상반 부분과 하반 부분을 포함하고, 상반 부분 및 하반 부분의 각각이 원호 형상을 갖고 있어, 상술한 블레이드 링(106)에 있어서의 오벌 변형과 마찬가지로 변형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조정 지그(100)나 위치 조정 방법을 중간축 커버의 위치 조절에 적용해도 된다.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서는, 슬리브(130)는, 제1 벽부(131)와, 제2 벽부(132)와, 접속부(133)를 구비하고, 평면으로 보아 직사각 형상을 갖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벽부(131), 제2 벽부(132) 및 접속부(1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평면으로 보아 곡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슬리브(130)는, 적어도 상술한 제1 벽부(131) 또는 제2 벽부(132)에 상당하는 부재와 같이, 잭(150)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된 피압박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면 되며, 당해 피압박 부재의 형상은 묻지 않는다. 또한, 당해 피압박 부재는, 로드(110)의 타단부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피스톤(151)의 반력을 로드(11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당해 피압박 부재와 로드(110)의 타단부의 접속부의 형상은 묻지 않는다.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서는, 벽부로서의 제1 벽부(131) 및 제2 벽부(132)와, 접속부(133)를 구비하는 슬리브(130)를 사용하여, 제1 벽부(131) 또는 제2 벽부(132)를 잭(150)으로 압박함으로써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 내측 또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슬리브(130)를 갖는 위치 조정 지그(100)가 아닌, 로드(110)와, 로드(110)의 일단부에 설치된 압박편(120)과, 로드(110)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벽부를 구비하는 위치 조정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기준 부재(71)에 대한 압박 대상물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도 14는 로드(110)와, 로드(110)의 일단부에 설치된 압박편(120)과, 로드(110)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벽부(141)를 구비하는 위치 조정 지그(100A)를 사용하여, 압박 대상물을 기준 부재(7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로드(110)와, 로드(110)의 일단부에 설치된 압박편(120)과, 로드(110)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벽부(142)를 구비하는 위치 조정 지그(100B)를 사용하여, 압박 대상물을 기준 부재(71)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위치 조정 지그(100A)에서는, 벽부(141)는, 상술한 제1 벽부(131)나 제2 벽부(132)와 마찬가지로, 잭(150)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된 피압박 부재이다. 벽부(141)는, 로드(110)의 타단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벽부(141)는 상술한 제1 벽부(131)와 마찬가지로, 로드(110)의 수나사부(116)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암나사부(136)를 가지면 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위치 조정 지그(100A)를 사용한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에서는, 돌기부(62)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 있어서,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 내측에 벽부(141)를 배치한다. 그리고 벽부(141)와 기준 부재(71) 사이에 잭(150)을 배치한다.
그리고 잭(150)을 작동시켜, 로드(110)를 통해 벽부(141)에 설치된 압박편(120)(제1 압박편(120A))에 의해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벽부(141)와 기준 부재(71) 사이에 배치된 잭(150)을 작동시켜, 피스톤(151)의 반력으로 벽부(141)를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압박한다. 이에 의해, 로드(110)를 통해 벽부(141)에 설치된 제1 압박편(120A)에 의해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위치 조정 지그(100B)에서는, 벽부(142)는, 상술한 제1 벽부(131)나 제2 벽부(132)와 마찬가지로, 잭(150)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된 피압박 부재이다. 벽부(142)는 로드(110)의 타단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벽부(142)는 로드(110)의 수나사부(116)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암나사부(136)를 갖는 암나사 부재(145)가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위치 조정 지그(100B)를 사용한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에서는, 돌기부(62)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 있어서,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에 벽부(142)를 배치한다. 그리고 벽부(142)와 기준 부재(71) 사이에 잭(150)을 배치한다.
그리고 잭(150)을 작동시켜, 로드(110)를 통해 벽부(142)에 설치된 압박편(120)(제2 압박편(120B))에 의해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벽부(142)와 기준 부재(71) 사이에 배치된 잭(150)을 작동시켜, 피스톤(151)의 반력으로 벽부(142)를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압박한다. 이에 의해, 로드(110) 및 암나사 부재(145)를 통해 벽부(142)에 설치된 제2 압박편(120B)에 의해 돌기부(62)를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벽부(141, 142)는 잭(150)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되며, 벽부(141, 142)의 형상은 묻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벽부(141, 142)는, 평면으로 보아 곡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벽부(141, 142)는 로드(110)의 타단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피스톤(151)의 반력을 로드(11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벽부(141, 142)와 로드(110)의 타단부의 접속부의 형상은 묻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벽부(141, 142)는,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 내측 또는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하였을 때, 상술한 슬리브(130)와 마찬가지로 하단이 하반부(104b)의 상면과 맞닿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벽부(141, 142)를 기준 부재(71)에 대해 직경 방향 내측 또는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하였을 때에 벽부(141, 142)의 자세가 안정된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6이나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잭 위치 규정 부재(160)를 기준 부재(71)에 설치해 두고, 잭 위치 규정 부재(160)의 상면(161)에 잭(150)을 적재함으로써, 잭(150)의 높이 위치가 결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몇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잭 위치 규정 부재(160)는, 반드시 기준 부재(71)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하반부(104b)의 상면에 적재 가능하게 구성해도 되고, 하반부(104b)의 상면에 고정 가능하게 구성해도 되고, 잭(150)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또한, 잭 위치 규정 부재(160)는, 슬리브(130)나 벽부(141, 14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해도 되고, 슬리브(130)나 벽부(141, 142)에 미리 마련해 두어도 된다.
61: 주위 방향 단부
62: 돌기부
71: 기준 부재
100, 100A, 100B: 위치 조정 지그
104: 내부 차실
106: 블레이드 링
106a: 블레이드 링 상반부
106b: 블레이드 링 하반부
110: 로드
114: 제1 걸림 결합부
115: 제2 걸림 결합부
116: 수나사부
120: 압박편
120A: 제1 압박편
120B: 제2 압박편
120C: 제3 압박편
121: 압박 오목부
122: 걸림 결합 홈부
130: 슬리브
131: 제1 벽부(벽부)
132: 제2 벽부(벽부)
133: 접속부
135: 잭 수용 공간
136: 암나사부
141, 142: 벽부

Claims (12)

  1. 원호상 부재의 주위 방향 단부에 마련된 돌기부를, 상기 원호상 부재의 상기 주위 방향 단부에서 보아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기준 부재에 대해 직경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기준 부재에 대해 직경 방향 외측 또는 내측에 벽부를 배치하고,
    상기 벽부와 상기 기준 부재 사이에 잭을 배치하고,
    상기 잭을 작동시켜, 로드를 통해 상기 벽부에 설치된 압박편에 의해 상기 돌기부를 상기 기준 부재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서로 접속된 제1 벽부 및 제2 벽부 사이에 상기 기준 부재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를 배치하고,
    상기 제1 벽부 또는 상기 제2 벽부 중 한쪽과 상기 기준 부재 사이에 상기 잭을 배치하고,
    상기 잭을 작동시켜,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된 상기 압박편에 의해 상기 돌기부를 상기 기준 부재에 대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기준 부재 사이에 상기 잭을 배치하고,
    상기 압박편을 상기 돌기부보다 상기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하고,
    상기 잭을 작동시켜,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된 상기 압박편에 의해 상기 돌기부를 상기 기준 부재에 대해 상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기준 부재 사이에 상기 잭을 배치하고,
    상기 압박편을 상기 돌기부보다 상기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하고,
    상기 잭을 작동시켜,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된 상기 압박편에 의해 상기 돌기부를 상기 기준 부재에 대해 상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로드의 연장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로드의 중심 축선이 상기 잭의 피스톤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상기 잭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움직이게 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잭을 작동시켜,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된 상기 압박편에 의해 상기 돌기부를 상기 기준 부재에 대해 이동시키기에 앞서, 상기 제1 벽부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상기 로드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압박편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7.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설치된 압박편과,
    상기 로드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제1 벽부와,
    상기 로드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드와는 반대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벽부에 접속된 제2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에 잭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압박편은, 상기 로드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잭 수용 공간에 배치된 잭을 작동시켜,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된 상기 압박편에 의해 압박 대상물을 상기 잭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기준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압박편이 걸림 결합되는 제1 걸림 결합부와,
    상기 잭 수용 공간에 배치된 상기 잭을 작동시켜, 상기 로드를 통해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된 상기 압박편에 의해 상기 압박 대상물을 상기 잭 수용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기준 부재에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제1 걸림 결합부보다 상기 일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압박편이 걸림 결합되는 제2 걸림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정 지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편은, 상기 압박 대상물과 맞닿는 면에 압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당해 면을 상기 일단부측을 향해 걸림 결합시키고, 상기 제2 걸림 결합부와 걸림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당해 면을 상기 타단부측을 향해 걸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정 지그.
  9.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설치된 압박편과,
    상기 로드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제1 벽부와,
    상기 로드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드와는 반대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벽부에 접속된 제2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에 잭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로드의 연장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로드의 중심 축선이 잭의 피스톤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상기 잭 수용 공간 내에 상기 잭을 배치하기 위한 잭 위치 규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정 지그.
  10.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설치된 압박편과,
    상기 로드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제1 벽부와,
    상기 로드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로드와는 반대측에 위치함과 함께, 상기 제1 벽부에 접속된 제2 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와 상기 제2 벽부 사이에 잭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벽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으로의 상기 로드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정 지그.
  11. 제7항, 제8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연장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로드의 중심 축선이 잭의 피스톤의 적어도 일부와 겹치도록 상기 잭 수용 공간 내에 상기 잭을 배치하기 위한 잭 위치 규정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정 지그.
  12.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으로의 상기 로드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정 지그.
KR1020217001705A 2018-08-17 2019-08-08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위치 조정 지그 KR102491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53573 2018-08-17
JPJP-P-2018-153573 2018-08-17
PCT/JP2019/031414 WO2020036120A1 (ja) 2018-08-17 2019-08-08 円弧状部材の位置調整方法及び位置調整冶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563A KR20210019563A (ko) 2021-02-22
KR102491290B1 true KR102491290B1 (ko) 2023-01-27

Family

ID=69525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705A KR102491290B1 (ko) 2018-08-17 2019-08-08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위치 조정 지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68208B2 (ko)
JP (1) JP7105892B2 (ko)
KR (1) KR102491290B1 (ko)
CN (1) CN112567109B (ko)
WO (1) WO2020036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53596A (ja) * 2022-10-04 2024-04-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下半内車室の変形調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3656A (en) * 1976-05-25 1977-11-30 Mitsubishi Heavy Ind Ltd Device for moving heavy load along inclined road
JPS5647515Y2 (ko) * 1976-11-22 1981-11-06
JPS5539484A (en) 1978-09-13 1980-03-19 Sanyo Electric Co Ltd Shading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for facsimile equipment
JPS5647515A (en) 1979-09-27 1981-04-30 Sumitomo Metal Ind Ltd Gradual cooling process for piling
JPS60135396A (ja) * 1983-12-23 1985-07-18 Tomoegumi Giken:Kk 押出し装置
JPH01288598A (ja) * 1988-05-17 1989-11-20 Ohbayashi Corp 横引き装置と横引き工法
US8657273B2 (en) * 2008-08-12 2014-02-25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Jig
US8117727B2 (en) 2008-09-24 2012-02-21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gas turbine compressor stator vane segments with rotor in place
US8142150B2 (en) 2009-03-06 2012-03-27 General Electric Company Alignment device for gas turbine casings
JP5501875B2 (ja) 2010-07-02 2014-05-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ービン翼環の真円状態保持方法及び装置
JP5999919B2 (ja) * 2012-02-17 2016-09-28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単車室型蒸気タービンおよび一軸型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装置
JP5881474B2 (ja) 2012-03-02 2016-03-09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ケーシングの組立分解治具、これを備えているガスタービン、ガスタービンケーシングの組立方法及び分解方法
JP2014040795A (ja) 2012-08-22 2014-03-06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機械及びそのクリアランス調整方法
US9316493B2 (en) 2013-12-13 2016-04-19 Siemens Ener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gas turbine dampening cone inner diameter
JP6236494B2 (ja) 2016-05-19 2017-11-22 太平電業株式会社 回転機器用静翼セグメントの取外し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36120A1 (ja) 2020-02-20
KR20210019563A (ko) 2021-02-22
US11668208B2 (en) 2023-06-06
US20210131309A1 (en) 2021-05-06
JPWO2020036120A1 (ja) 2021-08-10
JP7105892B2 (ja) 2022-07-25
CN112567109A (zh) 2021-03-26
CN112567109B (zh) 202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490B1 (ko) 저널 포일 공기 베어링
KR100606249B1 (ko) 파이프 조인트 구조 및 그 제조방법
EP2933055A1 (en) Screw assembly and transport apparatus including same
KR101555798B1 (ko) 가스 터빈 케이싱의 조립 분해 지그, 이것을 구비하고 있는 가스 터빈, 가스 터빈 케이싱의 조립 방법 및 분해 방법
KR102491290B1 (ko) 원호상 부재의 위치 조정 방법 및 위치 조정 지그
KR20080075884A (ko) 토크 컨버터의 외부 에지에 설치된 클러치 및, 토크 컨버터내에 클러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JP5501875B2 (ja) タービン翼環の真円状態保持方法及び装置
JP5310198B2 (ja) 鋼管の継手構造
KR102084287B1 (ko) 함께 끼움장착된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조임 및 체결 조립체
JP2013531193A (ja) 遊び補償によるロック部材の支持体上での位置調整及び取付のための装置
WO2018147052A1 (ja) モータ用ロータ、モータ及びモータ用ロータの製造方法
JP6678556B2 (ja) 分割シールリング圧入用治具
US10087759B2 (en) Electric compressor
EP2757295A1 (en) Mechanical seal
JP7433427B2 (ja) 蒸気タービン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蒸気タービン
JP2020510576A (ja) 駆動ユニットと伝動ユニットとを有するアクチュエータ
JP6236725B2 (ja) ロータ回転治具
US20060040750A1 (en) Shaft coupling assembly
CN210524975U (zh) 一种轴承拉装装置
CN112692539B (zh) 压紧螺母的锁紧工装、锁紧系统以及锁紧方法
JP2010076039A (ja) ドライブシャフトの組付け装置
US20240136882A1 (en) Motor and motor assembling method
WO2017016787A1 (en) High pressure fuel pump
JP2018184984A (ja) 芯出し治具及び芯出し方法
KR20220009186A (ko) 고정 링을 포함하는 외압형 벨로우즈 익스펜션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