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226B1 - 발효조 - Google Patents

발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226B1
KR102491226B1 KR1020170152609A KR20170152609A KR102491226B1 KR 102491226 B1 KR102491226 B1 KR 102491226B1 KR 1020170152609 A KR1020170152609 A KR 1020170152609A KR 20170152609 A KR20170152609 A KR 20170152609A KR 102491226 B1 KR102491226 B1 KR 102491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tube
lid
hinge
flexib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651A (ko
Inventor
홍진표
이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22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03Fermentation of beerwort
    • C12C11/006Fermentation tank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는,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을 갖는 발효 컨테이너;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발효 공간과 연통되는 플렉시블 튜브가 연결되는 발효 리드; 및 발효 리드를 발효 컨테이너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는, 발효 컨테이너에 구비된 고정부; 및 발효 리드에 구비되고, 고정부와 힌지 연결되며, 내부에 플렉시블 튜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튜브 수용공간이 형성된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조{FERMENTATION}
본 발명은 발효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 음료가 제조되는발효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안전하고 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내부의 발효 공간으로 용이하게 재료 등을 투입하거나, 제조 완료된 음료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발효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플렉시블 튜브가 발효 리드의 개폐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지 않는 발효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는,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을 갖는 발효 컨테이너;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상기 발효 공간과 연통되는 플렉시블 튜브가 연결되는 발효 리드; 및 상기 발효 리드를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발효 리드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와 힌지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튜브 수용공간이 형성된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어퍼 회전부; 및 상기 어퍼 회전부의 하측에 위치한 로어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브 수용공간은 상기 어퍼 회전부와 상기 로어 회전부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통과하는 제1튜브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 회전부에는 상기 제1튜브 관통공을 통과한 플렉시블 튜브가 상기 튜브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튜브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경우,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전부를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내부에 서브 튜브 수용공간이 형성된 힌지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삽입되는 제1튜브 관통공; 및 상기 제1튜브 관통공을 통해 상기 서브 튜브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플렉시블 튜브가, 상기 튜브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튜브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튜브 관통공은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튜브 관통공은 상기 힌지축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는,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을 갖는 발효 컨테이너;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상기 발효 공간과 연통되는 플렉시블 튜브가 연결되는 발효 리드; 및 상기 발효 리드를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발효 리드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와 힌지 연결되며,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튜브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상기 튜브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튜브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에서 커버하는 아우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커버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통과하는 아우터 튜브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커버에는 상기 회전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발효 리드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리드측 연결부; 상기 고정부와 힌지 연결된 회전 중심부; 상기 회전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힌지측 연결부; 및 상기 리드측 연결부의 하단부와 상기 힌지측 연결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의 상면은 개방되고, 상기 발효 리드의 개폐동작 시, 상기 수평부는 상기 고정부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고정부의 내측 공간으로 입출될 수 있다.
상기 발효 리드의 개방 동작 시, 상기 회피홈의 내측면은 상기 수평부에 접하여 상기 발효 리드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는,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을 갖는 발효 컨테이너;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상기 발효 공간과 연통되는 플렉시블 튜브가 연결되는 발효 리드; 및 상기 발효 리드를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발효 리드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하측에 위치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 리드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어퍼 커버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에서 커버하고,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어퍼 커버부와 함께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수용되는 튜브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아우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통과하는 제1튜브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에는 상기 제1튜브 관통공을 통과한 플렉시블 튜브가 상기 튜브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튜브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튜브 관통공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튜브 관통공과 오버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는,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을 갖는 발효 컨테이너;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상기 발효 공간과 연통되는 플렉시블 튜브가 연결되는 발효 리드; 및 상기 발효 리드를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첩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고정되는 튜브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튜브에 의해 물이나 재료 등이 발효 공간으로 용이하게 투입되거나, 제조 완료된 음료가 플렉시블 튜브를 통해 취출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의 발효 및 취출 과정이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플렉시블 튜브가 발효 리드의 개폐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힌지부가 플렉시블 튜브의 고정부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고정부재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또한, 플렉시블 튜브는 회전부 및 아우터 커버에 의해 이중으로 커버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써, 플렉시블 튜브의 훼손이나 오염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힌지부는 아우터 커버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의 디자인이 미려해지고 힌지부가 외부로부터 보호되어 고장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커버와 힌지부가 서로 간섭되지 않으므로 발효 리드의 개폐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메인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과 가스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메인 유로를 통해 취출되는 음료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5 및 6 각각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발효조의 힌지축과 플렉시블 튜브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발효조의 경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발효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발효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가 맥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효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메인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과 가스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메인 유로를 통해 취출되는 음료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에 대해 설명한다.
발효조(1)는 발효 컨테이너(10)와 발효 리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0)에는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0)에는, 발효 공간(S1)과 연통되는 제1메인유로(71)와, 발효 공간(S1)과 연통되고 상기 제1메인유로(71)와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제1가스 유로(51)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 컨테이너(10)는 음료 제조팩(20)과 발효 탱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탱크(30)에는 개구부(31)가 형성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20)은 개구부(31)를 통해 발효 탱크(30)에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20)에는 제1가스 유로(51) 및 제1메인유로(71)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음료 제조팩(20)은 팩 바디(21)와 팩 컨테이너(22)를 포함할 수 있다.
팩 바디(21)는 발효 탱크(30)에 형성된 지지부(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팩 컨테이너(22)는 팩 바디(21)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발효 탱크(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팩 컨테이너(22)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부피 조절이 가능하여 발효 탱크(30)의 개구부(31)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팩 컨테이너(22)는 페트(pet)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팩 컨테이너(22)의 내부 공간은 발효 공간(S1)을 포함할 수 있고, 팩 바디(21)에는 발효 공간(S1)과 연통되는 제1메인유로(71) 및 제1가스 유로(51)가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는 발효 컨테이너(10)를 개폐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는 발효 컨테이너(10)의 상측에서 발효 컨테이너(10)를 개폐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0)와 발효 리드(4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효 리드(40)에는 제2메인유로(72) 및 제2가스 유로(5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스 유로(53)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제2가스 유로(53)는 곡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수직부만으로 형성되거나,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스 유로(53)는 발효조(1)의 외부로 연장되거나, 발효 리드(40)의 내부에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가스 유로(53)에서 가스가 곧바로 배출될 수 도 있고, 제2가스 유로(53)에 별개의 외부 가스 유로(2)가 연결되어 발효조(1)에서 배출된 가스를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2가스 유로(53)가 외부 가스 유로(2)에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외부 가스 유로(2)와 제2가스 유로(53)의 연결지점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2가스 유로(53)를 통과한 가스는 외부 가스 유로(2)로 유입되고, 외부 가스 유로(2)는 유입된 가스를 배출 위치까지 안내할 수 있다.
외부 가스 유로(2)에는 가스배출밸브(3)가 구비될 수 있다. 가스배출밸브(3)는 외부 가스 유로(2)를 개폐하거나 개도를 조절하여 가스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외부 가스 유로(2)와 제2가스 유로(53)의 연결부(2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 리드(40)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외부 가스 유로(2)는 발효 리드(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가스 유로(53)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가스유로(2)와 제2가스 유로(53)의 연결부(2A)는 발효 리드(4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할 경우, 발효 컨테이너(10)와 발효 리드(40)의 사이에는 가스 챔버(5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챔버(52)는 발효 컨테이너(10)에 형성된 제1가스 유로(51)와, 발효 리드(40)에 형성된 제2가스 유로(53)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제1가스 유로(51)와, 가스챔버(52)와, 제2가스 유로(53)는 발효 공간(S1)에서 발생한 가스를 발효조(1)의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유로(50)를 구성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 과정 중 발효 공간에서 발생한 가스는 제1가스 유로(51)를 통해 가스 챔버(52)로 유입될 수 있고 가스 챔버(52)로 유입된 가스는 제2가스 유로(53)를 통해 발효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발효 과정시 발효 공간(S1)의 내압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제1가스 유로(51)와 제2가스 유로(53)의 단면적은 충분히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챔버(52)의 단면적은 제1가스 유로(51) 및 제2가스 유로(53) 각각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각 단면적은 가스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의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로써, 제1가스 유로(51)와 제2가스 유로(53)가 서로 정확히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지 않더라도, 발효 공간(S1)에서 발생한 가스가 가스 유로(50)를 따라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가스 유로(51)가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에도 각 제1가스 유로(51)로 안내된 가스가 가스챔버(52)에 모여 제2가스 유로(53)로 안내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20)과 발효 리드(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중공부나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공부나 함몰부의 내측 공간은 가스 챔버(52)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료 제조팩(20)과 발효 리드(40) 각각에 중공부(23)(43)가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음료 제조팩(20)에는 컨테이너측 중공부(23)가 형성될 수 있고, 발효 리드(40)에는 리드측 중공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측 중공부(23)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리드측 중공부(43)는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컨테이너측 중공부(23)와 리드측 중공부(43)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컨테이너측 중공부(23)와 리드측 중공부(43)는 서로 맞닿거나 상하로 오버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리드측 중공부(43)의 외주면과 컨테이너측 중공부(23)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컨테이너측 중공부(23)의 내측 공간과 리드측 중공부(43)의 내측 공간은 함께 가스 챔버(5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발효조(1)는 가스 챔버(52)의 가스가 발효 리드(40)와 발효 컨테이너(10)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실링(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61)은 링 형상일 수 있고,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링(61)은 발효 리드(40)와 발효 컨테이너(1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실링(61)은 컨테이너측 중공부(23)와 리드측 중공부(43)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하는 경우, 제1실링(61)은 발효 리드(40)와 발효 컨테이너(10)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어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제1실링(61)이 구비됨으로써, 제1가스 유로(51)를 통해 가스 챔버(52)로 유입된 가스는 온전히 제2가스 유로(52)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발효 리드가 발효 컨테이너를 폐쇄한 경우, 발효 컨테이너(10)의 제1메인유로(71)와 발효 리드(40)의 제2메인 유로(72)는 메인 유로(70)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즉, 메인유로(70)의 일부는 발효공간(S1)과 연통되도록 발효 컨테이너(10)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발효 리드(40)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유로(70)는 발효조(1)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발효 공간(S1)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 발효조(1)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일 경우, 상기 유체는 물, 공기, 맥즙, 물과 맥아의 혼합물 또는 물과 첨가물(이스트, 홉, 오일)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또한, 메인유로(70)는 발효 공간(S1)의 유체를 발효조(1)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체는 제조 완료된 맥주 등의 음료일 수 있다.
음료의 취출이 용이하기 위해, 메인유로(70)는 음료 제조팩(20)의 내측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튜브(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에는 메인유로(70)를 통해 유체가 발효 공간(S1)으로 유입되는 흐름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유로(70)는 유체를 양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유체가 원활하게 유동되기 위해, 메인유로(70)의 단면적은 제1가스 유로(51) 및 제2가스 유로(52) 각각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유로(70)는 가스 챔버(52)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인유로(70)의 적어도 일부는 가스 챔버(52)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메인유로(70)의 단면적은 가스 챔버(52)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챔버(52)의 형상은 대략 토러스 형상이나 도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유로(70)가 가스 챔버(52)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발효조(1)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메인유로(70)는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유로(71)는 발효 컨테이너(10)에 제1가스 유로(51)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메인유로(71)는 음료 제조팩(20)의 팩바디(2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메인유로(71)는 발효 컨테이너(10)의 직경 방향으로 제1가스 유로(51)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가스 유로(51)는 제1메인유로(71)와 발효 컨테이너(10)의 외둘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메인유로(72)는 발효 리드(40)에 제2가스 유로(53)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메인유로(72)는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할 경우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수직부(72A)와,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수평부(72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메인유로(7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제2책체유로(72)는 곡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수직부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메인유로(72)의 수직부(72A)는 발효 리드(40)의 직경방향에 대해 상기 제2가스 유로(53)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가스 유로(53)의 수직부(53A)는, 제2메인 유로(72)의 수직부(72A)와 발효 리드(40)의 외둘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할 경우, 제2메인유로(72)는 제1메인유로(7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좀 더 상세하게는, 제2메인유로(72)의 수직부(72A)는 제1메인유로(71)와 연통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 시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가 용이하게 연결되기 위해,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의 단면적은 모두 제1가스 유로(51) 및 제2가스 유로(52) 각각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2메인유로(72)는 발효 리드(40)의 외부로 연장되거나, 발효 리드(40)의 내부에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메인유로(72)는 플렉시블 튜브(8)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에는 플렉시블 튜브(8)가 연결될 수 있고, 플렉시블 튜브(8)는 메인 유로(70)를 통해 발효 공간(S1)과 연통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고 구부러지거나 휘어질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와 제2메인유로(72)의 연결부(8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 리드(40)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플렉시블 튜브(8)는 발효 리드(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메인유로(72)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시블 튜브(8)와 제2메인유로(72)의 연결부(8A)는 발효 리드(4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는 음료의 제조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발효조(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플렉시블 튜브(8)는 분지되어 급수부(5), 취출부(6), 재료 공급부(7)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급수부(5)는 발효조(1)의 발효 공간(S1)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수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5)가 직수 방식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취출부(6)는 발효조(1)의 발효 공간(S1)에서 발효되어 제조가 완료된 음료가 취출될 수 있는 구성으로써, 디스펜서나 탭(T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 공급부(7)는 음료의 발효에 필요한 재료를 공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발효조(1)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일 경우, 상기 재료는 맥아, 맥즙, 홉, 오일, 이스트 등일 수 있다. 또한, 재료 공급부(7)는 상기 재료를 물과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나 혼합물 등의 유체가 발효조(1)로 유입되는 경우, 급수부(5) 및/또는 재료 공급부(7)의 유체는 플렉시블 튜브(8)를 통해 발효조(1)로 안내될 수 있고, 제2메인유로(72)와 제1메인유로(7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완료된 음료가 발효 공간(S1)에서 플렉시블 튜브(8)를 통해 취출되는 경우, 상기 음료는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플렉시블 튜브(8)로 유동될 수 있고, 취출부(6)에서 취출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팩(20)과 발효 리드(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너 중공부(24)(44)나 이너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료 제조팩(20)과 발효 리드(40) 각각에 이너 중공부(24)(44)가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음료 제조팩(20)에는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가 형성될 수 있고, 발효 리드(40)에는 리드측 이너 중공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리드측 이너 중공부(44)는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와 리드측 이너 중공부(4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는 발효 컨테이너(10)의 반경 방향에 대해 컨테이너측 중공부(23)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리드측 이너 중공부(44)는 발효 리드(40)의 반경 방향에 대해 리드측 중공부(43)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메인유로(71)는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의 내측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제2메인유로(72)는 리드측 이너 중공부(44)의 내측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와 리드측 이너 중공부(44)는 서로 맞닿거나 상하로 오버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리드측 이너 중공부(44)의 외주면과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는 메인유로(70)로 유동되는 유체가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실링(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실링(62)에 의해, 메인유로(70)를 통과하는 유체가 가스 챔버(52) 내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실링(62)은 제1실링(61)과 마찬가지로 링 형상일 수 있고,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링(62)은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와 리드측 이너 중공부(4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하는 경우, 제2실링(62)은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와 리드측 이너 중공부(44)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어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는, 발효 리드(40)를 발효 컨테이너(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90)는 발효 리드(40) 및 발효 컨테이너(10)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힌지부(90)는 발효 컨테이너(10)에 구비된 고정부(91)와, 발효 리드(40)에 구비되고 고정부(91)와 힌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90)는 회전부(92)를 고정부(9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91)는 발효 컨테이너(10)의 외면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고정부(91)는 발효 탱크(30)의 외면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91)는 대략 상방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고정부(91)의 단면은 'ㄴ'자 형상일 수 있다. 즉, 고정부(91)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의 개폐동작 시, 회전부(92)의 일부는 고정부(9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고정부(91)의 내측 공간으로 입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고정부(91)는 수평부와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는 발효 컨테이너(1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고, 수직부의 상측 단부는 회전부(92)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91)의 내측 공간은 상기 수직부의 내면과 발효 컨테이너(10)의 외면 사이의 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92)는 힌지축(9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발효 리드(40)는 회전부(9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92)는 고정부(91)의 상측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전부(92)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튜브(8)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튜브 수용공간(S2)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회전부(92)는 어퍼 회전부(93) 및 어퍼 회전부(93)의 하측에 위치한 로어 회전부(94)를 포함하고, 튜브 수용공간(S2)은 어퍼 회전부(93)와 로어 회전부(9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튜브 수용공간(S2)은 좌우 방향에 대해 개방 또는 폐쇄된 공간일 수 있다. 튜브 수용공간(S2)은 어퍼 회전부(93)와 로어 회전부(94) 사이의 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회전부(93)와 로어 회전부(94)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회전부(93)와 발효 리드(40)의 연결부는 관통홀(73)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로어 회전부(94)와 발효 리드(40)의 연결부는 관통홀(73)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튜브 수용공간(S2)으로 삽입된 플렉시블 튜브(8)는 관통홀(73)에 연결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0)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부(92)의 튜브 수용공간(S2)에 수용됨으로써, 발효 리드(40)의 개방 및 폐쇄 상태 시, 플렉시블 튜브(80)가 보호됨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플렉시블 튜브(80)가 훼손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고정부(91)에는 제1튜브 관통공(91A)이 형성될 수 있고, 회전부(92)에는 제2튜브 관통공(92A)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튜브 관통공(92A)은 로어 회전부(94)에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는 제1튜브 관통공(91A)을 통과할 수 있고, 제1튜브 관통공(91A)을 통과한 플렉시블 튜브(8)는 제2튜브 관통공(92A)을 통과하여 튜브 수용공간(S2)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발효 리드(40)의 관통홀(73)에 연결되거나 관통홀(73)로 인입될 수 있다.
각 튜브 관통공(91A)(92A)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튜브 관통공(91A)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제2튜브 관통공(92A)과 오버랩될 수 있다. 이로써 플렉시블 튜브(8)가 덜 휘어진 상태로 제1튜브 관통공(91A)과 제2튜브 관통공(92A)을 통과할 수 있다.
즉, 힌지부(90)의 구성에 의해, 플렉시블 튜브(8)가 발효 리드(40)의 개폐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플렉시블 튜브(8)의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하여 발효 리드(40)에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부(92)는 회전 중심부(96), 힌지측 연결부(97), 리드측 연결부(98) 및 수평부(99)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측 연결부(98)는 발효 리드(4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 중심부(96)는 고정부(91)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힌지측 연결부(97)는 회전 중심부(96)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평부(99)는 리드측 연결부(98)의 하단부와 힌지측 연결부(97)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의 개폐동작 시, 수평부(99)는 고정부(9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고정부(91)의 내측 공간으로 입출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회전부(92)의 단면은 대략 'ㄷ'자 형상을 시계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발효 리드(40)의 개방시, 회전부(92)와 후술할 아우터 커버(80)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발효조(1)는 아우터 커버(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커버(80)는 발효 컨테이너(10) 및 발효 리드(4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힌지부(90)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상태일 경우, 고정부(91), 힌지축(95), 회전 중심부(96), 힌지측 연결부(97), 수평부(99)는 아우터 커버(8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상태일 경우 힌지부(90)는 아우터 커버(8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개방한 상태일 경우, 고정부(91), 힌지축(95), 회전 중심부(96) 및 힌지측 연결부(97)는 아우터 커버(8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리드측 연결부(98)는 아우터 커버(8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수평부(99)의 일부는 아우터 커버(80)의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부는 아우터 커버(8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우터 커버(80)는 대략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아우터 커버(80)의 전단부는 원통형인 발효 컨테이너(10)의 형상에 대응하여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80)는 발효 컨테이너(1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80)의 높이는 발효 컨테이너(10)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아우터 커버(80)에는 플렉시블 튜브(8)가 통과하는 아우터 튜브 관통공(8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플렉시블 튜브(8)는 아우터 튜브 관통공(81)을 통해 아우터 커버(80)의 내부로 인입되고, 고정부(91)의 제1튜브 관통공(91A) 및 회전부(92)의 제2튜브 관통공(92A)을 차례로 통과하여 발효 리드(40)의 관통홀(73)로 연결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80)에는 회전부(92)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홈(82)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리드의 개방 동작 시, 회전부(92)는 회피홈(82)을 통과하며 회전할 수 있고, 이로써 회전부(92)와 아우터 커버(80)가 서로 간섭하지 않을 수 있다.
회피홈(82)은 아우터 커버(80)의 상면 중 전방측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92)의 리드측 연결부(98)는, 상하 방향으로 회피홈(82)과 오버랩될 수 있다.
발효 리드의 개방 동작 시, 회피홈(82)의 내측면은, 회전부(92) 중에서 수평부(99)에 접하여 상기 발효 리드(40)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아우터 커버(80)는 리미터로 기능할 수 있다.
아우터 커버(8)의 구성에 의해, 힌지부(90) 및 플렉시블 튜브(8)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의 디자인이 미려해지고 힌지부(90)와 플렉시블 튜브(8)가 외부로부터 보호되어 고장 또는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발효 리드(40)를 개방하고 음료 제조팩(20)을 발효 탱크(30)의 개구부(31)로 넣을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개방된 경우에도, 플렉시블 튜브(8)는 발효 리드(40)의 관통홀(73)에 체결된 상태로 튜브 수용공간(S2)과, 제2튜브 관통공(92A)과, 제1튜브 관통공(91A)과, 아우터 튜브 관통공(81)을 통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튜브(8)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발효 리드(40)를 닫아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할 수 있다. 이후, 급수부(5) 및 재료 공급부(7)의 유체가 플렉시블 튜브(8)를 통해 발효조(1)로 유입되고, 제2메인유로(72)와 제1메인유로(7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 공간(S1)으로 유입되고 발효가 개시될 수 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음료 제조팩(20) 내부의 발효 공간(S1)에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발효 공간(S1)의 내압은 점점 상승하며 팩 컨테이너(22)를 팽창시키며 적정 수준의 내압에 도달할 수 있다.
발효 공간(S1)의 내압이 적정 수준에 도달하였음에도 가스가 계속 발생하면, 상기 가스는 제1가스 유로(51)를 통해 가스 챔버(52)로 유입될 수 있고, 가스 챔버(52)의 가스는 제2가스 유로(53)를 통해 발효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가스 유로(53)가 외부 가스 유로(2)와 연결된 경우, 가스배출밸브(3)가 오픈되면 제2가스 유로(53)를 통과한 가스는 외부 가스 유로(2)로 안내되어 배출될 수 있다.
발효가 끝나고 음료의 제조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발효 공간(S1)에 수용된 음료는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플렉시블 튜브(8)로 유동되고, 취출부(6)에서 취출될 수 있다.
도 4, 5 및 6 각각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에는 발효 공간(S1)과 연통되는 이너 유로(65)가 형성될 수 있고, 플렉시블 튜브(8)는 이너 유로(6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너 유로(65)는 발효 컨테이너(10)에 형성된 제1이너 유로(66)와, 발효 리드(40)에 형성된 제2이너 유로(67)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에는 가스 챔버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하는 경우, 제1이너 유로(66)와 제2이너 유로(67)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는 제2이너 유로(53)와 연결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와 제2이너 유로(67)의 연결부(8A)는 발효 리드(40)의 외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8A)는 발효 리드(40)의 외둘레 중 튜브 수용공간(S2)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시블 튜브(8)는 발효 리드(40) 내부로 인입되어 제2이너 유로(67)와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플렉시블 튜브(8)와 제2이너 유로(67)의 연결부(8A)는 발효 리드(4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너 유로(65)는 가스 유로로써 기능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효 공간에서 발생한 가스는 제1이너 유로(66), 제2이너 유로(67) 및 플렉시블 튜브(8)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유로(65)는 메인 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급수부 및 재료 공급부 등에서 공급되는 유체는 플렉시블 튜브(8), 제2이너 유로(67) 및 제1이너 유로(66)를 차례로 통과하여 발효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발효 공간(S1)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제1이너 유로(66), 제2이너 유로(67) 및 플렉시블 튜브(8)를 차례로 통과하여 취출부로 취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에는 가스 유로만이 형성되고 메인 유로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효 컨테이너(10)에는 제1가스 유로(51)가 형성되고 발효 리드(40)에는 제2가스 유로(53)가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하면 발효 리드(40)와 발효 컨테이너(10) 사이에는 제1가스 유로(51) 및 제2가스 유로(53)와 각각 연통되는 가스 챔버(52)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는 제2가스 유로(53)와 연결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와 제2가스 유로(53)의 연결부(8A)는 발효 리드(40)의 외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8A)는 발효 리드(40)의 외둘레 중 튜브 수용공간(S2)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시블 튜브(8)는 발효 리드(40) 내부로 인입되어 제2가스 유로(53)와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플렉시블 튜브(8)와 제2가스 유로(53)의 연결부(8A)는 발효 리드(4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공간(S1)에서 발생한 가스는 제1가스 유로(51), 가스 챔버(52), 제2가스 유로(53) 및 플렉시블 튜브(8)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에는 가스 밸브(3)가 설치되어 가스의 배출이 조절될 수 있다. 가스 밸브(3)는 아우터 커버(80)의 내부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는, 플렉시블 튜브(8)뿐만 아니라, 외부 가스 유로(2)의 적어도 일부가 힌지부(90), 좀 더 상세하게는 회전부(92)에 형성된 튜브 수용공간(S2)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가스 유로(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튜브(8)는 제1플렉시블 튜브로 명명될 수 있고, 외부 가스 유로(2)는 제2플렉시블 튜브로 명명될 수 있다.
제1플렉시블 튜브(8)와 제2플렉시블 튜브(9)는 아우터 튜브 관통공(81), 제1튜브 관통공(91A) 및 제2튜브 관통공(92A)을 차례로 통과하여 회전부(92) 내의 튜브 수용공간(S2)으로 삽입될 수 있다.
튜브 수용공간(S2) 내의 제1플렉시블 튜브(8) 및 제2플렉시블 튜브(2)는 발효 리드(40)에 체결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제1플렉시블 튜브(8)는 제2메인유로(72)와 연결될 수 있고, 제2플렉시블 튜브(2)는 제2가스유로(53)와 연결될 수 있다.
제1플렉시블 튜브(8)와 제2메인 유로(72)의 연결부(8A)는 발효 리드(40)의 외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플렉시블 튜브(2)와 제2가스 유로(53)의 연결부(2A)는 발효 리드(40)의 외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각 연결부(2A)(8A)는 발효 리드(40)의 외둘레 중 튜브 수용공간(S2)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플렉시블 튜브(8) 및 제2플렉시블 튜브(2)는 발효 리드(40) 내부로 인입되어 제2메인유로(72) 및 제2가스 유로(53)와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각 연결부(2A)(8A)는 발효 리드(4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플렉시블 튜브(8) 및 제2플렉시블 튜브(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힌지부(90) 및 아우터 커버(80)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발효조(1)의 디자인이 더욱 심플해지고 미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발효조의 힌지축과 플렉시블 튜브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는 힌지부(90)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90)의 힌지축(95)은, 내부에 서브 튜브 수용공간(95C)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95)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서브 튜브 수용공간(95C)은 힌지축(95) 내부의 중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힌지축(95)에는 제1관통공(95A) 및 제2관통공(95B)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8)의 아우터 튜브 관통공(81)으로 들어온 플렉시블 튜브(8)는 제1튜브 관통공(95A)을 통해 서브 튜브 수용공간(S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서브 튜브 수용공간(95C)으로 삽입된 플렉시블 튜브(8)는, 제2튜브 관통공(95B)을 통해 회전부(92)의 튜브 수용공간(S2)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튜브(8)는 힌지축(95)의 제1관통공(95A) 및 제2관통공(95B)을 차례로 통과하여 튜브 수용공간(S2)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2메인 유로(72)와 연결될 수 있다.
제1관통공(95A)은 힌지축(95)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공(95A)은 힌지축(95)의 일 단부에만 형성되거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공(95B)는 힌지축(95)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관통공(95B)은 힌지축(95)의 둘레면 중 회전부(92)의 튜브 수용공간(S2)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공(95B)은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가 힌지축(95)을 통해 회전부 내부로 인입되므로, 제1실시예와 달리 고정부(91) 및 회전부(92)에 튜브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힌지축(91)의 제1관통공(91A)을 제1튜브 관통공으로 명명하고 제2관통공(91B)을 제2튜브 관통공으로 명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발효 리드(40)를 개방하더라도 플렉시블 튜브(8)가 후방은 물론 전방에 대해서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튜브(8)가 더욱 철저하게 보호되고, 발효조(1)의 디자인적 완성도가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는 회전부(92)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90)의 회전부(92)는, 플렉시블 튜브(8)의 적어도 일부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튜브 수용공간(S2)은 제1실시예와 달리 회전부(92)의 내부에 형성되지 않고, 회전부(92)와 고정부(9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튜브 수용공간(S2)은 회전부(92)와 고정부(91) 사이의 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의 개방 시, 튜브 수용공간(S2) 또한 전방에 대해 개방될 수 있다.
회전부(92)와 발효 리드(40)의 연결부는 관통홀(73)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회전부가 플렉시블 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회전부(92)는 제1실시예의 회전부에서 로어 회전부(94, 도 1 참조)를 제거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0)의 적어도 일부가 회전부(92)에 의해 상측에서 커버됨으로써, 발효 리드(40)가 폐쇄된 상태 시에 플렉시블 튜브(80)가 보호됨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발효 리드(4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플렉시블 튜브(80)가 후방에 대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플렉시블 튜브(80)가 훼손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회전부(92)의 구성이 간소하므로, 제조비용 등이 절감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 튜브(8)를 관통홀(73)에 체결하기 더욱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부(91)에는 제1튜브 관통공(91A)이 형성될 수 있고, 회전부(92)에는 제2튜브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는 제1튜브 관통공(91A)을 통과하여 튜브 수용공간(S2)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발효 리드(40)에 체결 또는 인입되어 제2메인 유로(72)와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개방된 경우, 플렉시블 튜브(8)는 발효 리드(40)에 체결 또는 삽입된 상태에서 제1튜브 관통공(91A)과, 아우터 튜브 관통공(81)을 통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튜브(8)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는 회전부(92) 및 어퍼 커버부(49)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90)의 회전부(92)는,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 튜브(8)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부(92)와 발효 리드(40)의 연결부는 관통홀(73) 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회전부(92)의 적어도 일부는 플렉시블 튜브(8)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회전부(92)의 힌지측 연결부(98)는 플렉시블 튜브(8)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가 상방에 대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발효 리드(40)에는 플렉시블 튜브(8)의 적어도 일부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어퍼 커버부(49)가 마련될 수 있다.
어퍼 커버부(49)는 상하 방향에 대해 아우터 커버(8)에 형성된 회피홈(82)을 커버할 수 있다. 이로써, 플렉시블 튜브(8) 중 회전부(92)의 상측에 위치한 부분이 회피홈(82)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퍼 커버부(49)는 발효 리드(40)의 외주면 중, 플렉시블 튜브(8)가 발효 리드(40)에 체결되거나 삽입되는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한 부분의 일부가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개방된 경우, 어퍼 커버부(49)는 플렉시블 튜브(8)가 후방에 대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플렉시블 튜브(8)를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튜브 수용공간(S2)은 제1실시예와 달리 회전부(92)의 내부에 형성되지 않고, 회전부(92)와 어퍼 커버부(49)와 아우터 커버(8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커버부(49)의 전후 길이는 발효 리드(40)의 개방 상태 시 아우터 커버(80)의 외면에 접하거나 거의 근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로써 발효 리드(40)가 개방 상태일 경우에도 플렉시블 튜브(8)의 후방에 대한 외부 노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회전부(92)는 제1실시예의 회전부에서 어퍼 회전부(93, 도 1 참조)를 제거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회전부(92)의 구성이 간소하므로, 제조비용 등이 절감될 수 있으며, 플렉시블 튜브(8)를 발효 리드(40)에 체결하거나 삽입하기 더욱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부(91)에는 제1튜브 관통공(91A)이 형성될 수 있고, 회전부(92)에는 제2튜브 관통공(92A)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렉시블 튜브(8)는 제1튜브 관통공(91A)과 제2튜브 관통공(92A)를 차례로 통과하여 튜브 수용공간(S2)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발효 리드(40)의 관통홀(73)에 연결되거나 관통홀(73)로 인입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개방된 경우, 플렉시블 튜브(8)는 발효 리드(40)에 체결되거나 삽입된 상태로 제1튜브 관통공(91A)과, 제2튜브 관통공(92A)과, 아우터 튜브 관통공(81)을 통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플렉시블 튜브(8)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발효조의 경첩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는 경첩부(100)를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는 힌지부 대신 경첩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첩부(100)는 발효 리드를 발효 컨테이너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경첩부(100)는 회전축(101)과, 리드측 체결부(102)와, 컨테이너측 체결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측 체결부(102)는 발효 리드(40)의 외면에 체결될 수 있고, 컨테이너측 체결부(103)는 발효 컨테이너(10), 좀 더 상세히는 발효 탱크(30)의 외면에 체결될 수 있다. 리드측 체결부(102)는 회전축(101)을 중심으로 컨테이너측 체결부(10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발효 리드(40)는 회전축(101)을 중심으로 발효 컨테이너(40)에 대해 회전하여 개폐 동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힌지부(90)의 힌지축(95, 도 1 참조) 발효 리드(40) 및 발효 컨테이너(10)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경첩부(100)의 회전축(101)은 발효 리드(40)와 발효 컨테이너(10)에 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발효조(1)의 크기가 컴팩트해지고 발효 리드(40)의 회전 반경이 작아지며,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경첩부(100)에는 플렉시블 튜브(8)가 고정되는 튜브 고정부(104)가 구비될 수 있다.
튜브 고정부(104)는 리드측 체결부(102)와 컨테이너 체결부(103)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튜브 고정부(104)는 경첩부(100)의 회전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튜브 고정부(104)의 구체적인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튜브 고정부(104)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튜브 고정부(100)에 의해 플렉서블 튜브(8)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도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경첩부(100) 및 플렉시블 튜브(8)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아우터 커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아우터 커버의 크기가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어 발효조(1)의 컴팩트화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2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 대해서도, 상기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변형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발효조 8: 플렉시블 튜브
10: 발효 컨테이너 20: 음료 제조팩
30: 발효 탱크 31: 개구부
32: 지지부 40: 발효 리드
49: 어퍼 커버부 51: 제1가스 유로
52: 가스 챔버 53: 제2가스 유로
61: 제1실링 62: 제2실링
70: 메인유로 71: 제1메인유로
72: 제2메인유로 80: 아우터 커버
81: 아우터 튜브 관통공 82: 회피홈
90: 힌지부 91: 고정부
91A: 제1튜브 관통공 92: 회전부
92A: 제2튜브 관통공 93: 어퍼 회전부
94: 로어 회전부 95: 힌지축
96: 회전 중심부 97: 힌지측 연결부
98: 리드측 연결부 99: 수평부
100: 경첩부 101: 회전축
102: 리드측 체결부 103: 컨테이너측 체결부
104: 튜브 고정부

Claims (20)

  1.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을 갖는 발효 컨테이너;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상기 발효 공간과 연통되는 플렉시블 튜브가 연결되는 발효 리드; 및
    상기 발효 리드를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발효 리드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와 힌지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튜브 수용공간이 형성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에서 커버하는 아우터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커버에는 상기 회전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홈이 형성된 발효조.
    상기 회전부는,
    상기 발효 리드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리드측 연결부;
    상기 고정부와 힌지 연결된 회전 중심부;
    상기 회전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힌지측 연결부; 및
    상기 리드측 연결부의 하단부와 상기 힌지측 연결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발효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어퍼 회전부; 및
    상기 어퍼 회전부의 하측에 위치한 로어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 수용공간은 상기 어퍼 회전부와 상기 로어 회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발효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통과하는 제1튜브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 회전부에는 상기 제1튜브 관통공을 통과한 플렉시블 튜브가 상기 튜브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튜브 관통공이 형성된 발효조.
  4.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을 갖는 발효 컨테이너;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상기 발효 공간과 연통되는 플렉시블 튜브가 연결되는 발효 리드; 및
    상기 발효 리드를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발효 리드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와 힌지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튜브 수용공간이 형성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회전부를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내부에 서브 튜브 수용공간이 형성된 힌지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삽입되는 제1튜브 관통공; 및
    상기 제1튜브 관통공을 통해 상기 서브 튜브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플렉시블 튜브가, 상기 튜브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튜브 관통공이 형성된 발효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 관통공은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튜브 관통공은 상기 힌지축의 둘레면에 형성된 발효조.
  6.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을 갖는 발효 컨테이너;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상기 발효 공간과 연통되는 플렉시블 튜브가 연결되는 발효 리드; 및
    상기 발효 리드를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구비된 고정부; 및
    상기 발효 리드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와 힌지 연결되며,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적어도 일부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에서 커버하는 아우터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우터 커버에는 상기 회전부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홈이 형성된 발효조.
    상기 회전부는,
    상기 발효 리드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리드측 연결부;
    상기 고정부와 힌지 연결된 회전 중심부;
    상기 회전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힌지측 연결부; 및
    상기 리드측 연결부의 하단부와 상기 힌지측 연결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발효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튜브 수용공간이 형성된 발효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상기 튜브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튜브 관통공이 형성된 발효조.
  9. 삭제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버에는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통과하는 아우터 튜브 관통공이 형성된 발효조.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면은 개방되고,
    상기 발효 리드의 개폐동작 시, 상기 수평부는 상기 고정부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상기 고정부의 내측 공간으로 입출되는 발효조.
  14.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리드의 개방 동작 시, 상기 회피홈의 내측면은 상기 수평부에 접하여 상기 발효 리드의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는 발효조.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을 갖는 발효 컨테이너;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상기 발효 공간과 연통되는 플렉시블 튜브가 연결되는 발효 리드; 및
    상기 발효 리드를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경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첩부는 회전축과,
    상기 발효 리드에 체결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리드측 체결부;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체결된 컨테이너측 체결부; 및
    상기 리드측 체결부와 컨테이너 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 튜브가 고정되는 튜브 고정부를 포함하는 발효조.
KR1020170152609A 2017-11-15 2017-11-15 발효조 KR102491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609A KR102491226B1 (ko) 2017-11-15 2017-11-15 발효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609A KR102491226B1 (ko) 2017-11-15 2017-11-15 발효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651A KR20190055651A (ko) 2019-05-23
KR102491226B1 true KR102491226B1 (ko) 2023-01-25

Family

ID=6668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609A KR102491226B1 (ko) 2017-11-15 2017-11-15 발효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2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8115A (ja) * 2003-07-21 2006-12-14 ハイネケン・サプライ・チェイン ビー.ブイ. 飲料分注装置と圧力媒体タンクを備えた容器のアセンブリ
KR100764125B1 (ko) * 2006-05-19 2007-10-05 에펠산업(주)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JP4435931B2 (ja) * 2000-04-03 2010-03-24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可撓性吸引管を備えた容器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1401A1 (de) * 2002-09-06 2004-03-18 Vega Grieshaber Kg Behälter- oder Flanschdeck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5931B2 (ja) * 2000-04-03 2010-03-24 日本クラウンコルク株式会社 可撓性吸引管を備えた容器蓋
JP2006528115A (ja) * 2003-07-21 2006-12-14 ハイネケン・サプライ・チェイン ビー.ブイ. 飲料分注装置と圧力媒体タンクを備えた容器のアセンブリ
KR100764125B1 (ko) * 2006-05-19 2007-10-05 에펠산업(주) 저소음 저진동의 진공식 전기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651A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595B1 (ko) 음료 제조기
KR20170086880A (ko) 맥주제조장치
US11560538B2 (en) Beverage maker
EP3486307B1 (en) Fermenter
EP3666875B1 (en) Fermentation container and beverage maker having fermentation container
KR102521998B1 (ko) 음료 제조기
KR102491226B1 (ko) 발효조
KR20200138129A (ko) 음료 제조기
US20200181546A1 (en) Beverage maker
EP3739031B1 (en)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KR20220006882A (ko) 음료 제조기
US11999927B2 (en) Beverage maker
US11352245B2 (en) Beverage discharger
KR102630846B1 (ko)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528396B1 (ko) 음료 제조기
KR102434281B1 (ko) 음료 제조기
US11525108B2 (en) Beverage maker
KR20190105435A (ko)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KR102526537B1 (ko) 음료 제조기
KR102200598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4419B1 (ko) 음료 제조기
KR20200133711A (ko) 음료 제조기
KR20190057031A (ko) 발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