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880A - 맥주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맥주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880A
KR20170086880A KR1020160006450A KR20160006450A KR20170086880A KR 20170086880 A KR20170086880 A KR 20170086880A KR 1020160006450 A KR1020160006450 A KR 1020160006450A KR 20160006450 A KR20160006450 A KR 20160006450A KR 20170086880 A KR20170086880 A KR 20170086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beer
receiving device
contain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652B1 (ko
Inventor
정창훈
이원석
박선영
김희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652B1/ko
Priority to PCT/KR2017/000386 priority patent/WO2017126845A1/ko
Priority to EP19182005.9A priority patent/EP3569685B1/en
Priority to EP17741611.2A priority patent/EP3406699A4/en
Priority to EP20169876.8A priority patent/EP3708644B1/en
Priority to EP23182055.6A priority patent/EP4235056A3/en
Publication of KR20170086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880A/ko
Priority to KR1020190057187A priority patent/KR102312229B1/ko
Priority to KR1020190057202A priority patent/KR102312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5/00Other raw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2Pitching yeas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2/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special kinds of be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3/00Treatment of ho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5/00Other raw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 C12C5/02Additives for be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5/00Other raw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 C12C5/02Additives for beer
    • C12C5/026Beer flavour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7/00Preparation of w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3/00Treatment of hops
    • C12C3/04Conserving; Storing;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에 착탈가능하며, 맥아와 물을 포함하는 맥즙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장치, 상기 수용장치에 연통하는 캡슐장착부, 상기 캡슐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은 이스트(Yeast)를 상기 수용장치에 공급하는 제1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맥주제조장치{A manufacturing device for bear}
본 발명은 맥주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맥주를 판매점에서 기성품을 구매한 후 음용하는 것에서, 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가지고 발효시킨 후 하우스맥주 또는 수제맥주를 제조하여 음용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가 직접 발효하여 제조한 하우스맥주는 종래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의 맥주를 제조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춘 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스맥주는 사용자가 가공에 필요한 별도의 식품첨가물을 투입하지 않아도 되며, 최상의 재료를 통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프리미엄 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전문가들만 맥주의 재료를 통해 하우스맥주를 제조하는 것에서 일반 대중들이 하우스맥주를 제조하는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맥주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원료는 물과, 발아된 보리, 홉(hop)을 통해 제조한 맥즙, 상기 맥즙을 발효하는 이스트(yeast), 상기 맥즙 발효 과정에서 상기 맥즙에 맛과 향을 풍부하게 하는 아로마를 포함한다.
상기 원료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맥즙은 맥아와 물, 홉(hop)을 5시간에서 7시간 내지 끓여서 제조하며, 맥주의 기본 원료가 되는 물질이다.
상기 이스트(yeast)는 효모라고 불릴 수 있으며, 상기 맥즙에 투입되어 상기 맥즙을 발효하여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여 맥주의 본체를 형성한다.
상기 아로마는 상기 발효된 맥주에 특색있는 맛과 향을 부여하며 사용자의 식감을 만족시키며 그 종류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아로마는 과일이나 가공시럽, vanilla beans등과 같은 맥주 첨가물일 수 있다.
상기 원료들을 통해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은 크게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로 요약되며, 발효공법에 따라 에일과 라거로 분류된다.
에일맥주는 쓴맛이 강하고 탄산이 적으며, 과일향이 진하고 깊은맛을 나타내는 맥주이다.
라거맥주는 에일맥주에 비해 과일 향이 진하지는 않지만, 탄산이 강하여 깔끔하고 시원한 청량감이 큰 맥주이다.
상기 하우스 맥주의 제조기간은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가 소요된다.
맥즙생성단계는 보리를 물에 불린 맥아와, 물, 맥즙에 쌀쌀한 맛과 흥미를 부여하는 홉(hop)을 5시간에서 7시간 끓여서 맥즙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발효단계는 1차발효단계와 2차발효단계로 나눌 수 있다. 상기 1차발효단계는 상기 맥즙에 이스트(yeast)를 첨가하여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2차발효단계는 상기 발효가 진행된 맥즙에 설탕 및 아로마를 첨가하여 상기 맥즙에 향과 맛을 풍부하게 하는 단계이다.
상기 2차발효단계에서도 상기 이스트가 계속 상기 맥즙을 발효하고 있으므로 탄산이 지속적으로 포집된다.
이로써, 상기 맥즙은 높은 탄산을 함유한 맥즙으로 변하게 된다.
상기 에일맥주는 19~24도에서 상기 1차,2차 발효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라거맥주는 7~13도에서 상기 1차,2차 발효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맥즙발효 온도가 달라 상기 에일맥주와 라거맥주의 탄산함유량이 달라지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발효단계 까지 종료되면, 상기 맥주는 음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더욱 풍부한 맛과 향이 함유된 맥주를 음용하기 위하여 숙성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숙성단계에서는 추가적인 홉(hop)을 상기 맥주에 첨가하여 일정온도를 1주 내지 2주정도 유지하여 숙성시켜 맥주의 제조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하우스맥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단계들을 거쳐야 하며, 이는 맥주를 제조하기 위해서 오랜시간과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반 하우스 맥주 수요자가 상기 맥주를 발효하기 위해 상기 원료들을 직접 하나씩 구매해야 하며, 상기 원료들을 순서에 따라 직접 발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원료의 함유량, 레시피, 온도 , 압력을 제대로 지키기 어려워 맥주제조에 실패할 확률이 높았다.
추가적으로, 맥즙생성만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장치, 상기 맥즙을 1차발효단계까지만 수행 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전체적인 맥주제조과정을 수행할 수 없었다.
또한, 근자에는 발효단계와 숙성단계까지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대용량의 맥주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양조장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 가정에서 사용하기 어려웠으며 맥주의 제조를 1회 수행할 때마다 사용자가 직접 세척,살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맥주제조장치는 사용자가 맥주제조프로세스를 어느정도 숙지해야 맥주제조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과 원료가 담긴 캡슐만 투입하면 맥주가 제조될 수 있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별도로 맥주원료를 직접 구매할 필요 없이 맥주의 원료가 담긴 캡슐로 맥주를 제조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맥주원료의 배합비율을 맞출 필요 없이 상기 캡슐만 투입하면 맥주가 완성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캡슐이 상기 맥주제조장치에 투입되면 상기 맥주가 제조되는 과정 전부가 자동화가 이루어져 사용자의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없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맥주제조완료 후 원료가 담긴 캡슐과, 발효가 완성된 수용장치만을 교체하여 추가적인 세척이나 살균을 최소화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구부를 포함하고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에 착탈가능하며, 맥아와 물을 포함하는 맥즙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장치, 상기 수용장치에 연통하는 캡슐장착부, 상기 캡슐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은 이스트(Yeast)를 상기 수용장치에 공급하는 제1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은 상기 맥즙을 상기 수용장치에 공급하는 제2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맥즙은 상기 수용장치에 처음부터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은 홉(hop)을 상기 수용장치에 공급하는 제 3캡슐과, 상기 맥즙에 향을 더하는 아로마를 공급하는 제4캡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물이 제공되는 급수원과, 상기 급수원에서 상기 캡슐장착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로와,
상기 캡슐장착부에서 상기 수용장치로 상기 물과 상기 캡슐에 수용된 이스트를 전달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수용장치에 제조된 맥주를 상기 용기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 음용유로와, 상기 수용장치에서 맥주 제조과정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용기 내부에 압력을 가압하는 제1에어펌프와 상기 수용장치 내부에 맥주제조에 필요한 공기를 주입하는 제2에어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에어펌프는 공기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용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2에어펌프는 공기주입유로를 통해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는 상기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부는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바디와, 상기 밀폐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공기주입홀, 공급홀, 출수홀, 배출홀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주입홀은 상기 공기주입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에 공기를 전달하며, 상기 공급홀은 상기 공급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에 상기 물과 상기 캡슐에 수용된 이스트를 전달하고, 상기 출수홀은 상기 음용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에 제조된 맥주를 배출하며, 상기 배출홀은 상기 배출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에 생성된 가스를 상기 용기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주입홀, 공급홀, 출수홀은 상기 밀폐바디를 관통하는 하나의 관통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개구부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되 상기 개구부의 반대방향으로 굴곡지게 구비된 제 1 곡면부와, 상기 제 1 곡면부에서 직선으로 연장된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에서 상기 제 1 곡면부와 반대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된 제 2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용기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된 수용바디부와, 상기 수용바디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부로 상기 맥즙, 물, 이스트, 홉, 아로마가 통과하도록 상기 관통홀과 연통하는 유동홀을 포함한 마개부와, 상기 수용바디부 내부에 수용되어 부피가 달라질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는 내주면에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고,상기 마개부는 외주면에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용장치가 상기 용기에 투입되면 상기 안착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마개부는 상기 유동홀과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마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홀과 연통하는 환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유동홀은 상기 저장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주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환기홀은 상기 저장부 내부에서 맥주가 제조될 때 생성되는 거품이 상기 환기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거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품방지부는 다수의 기공을 구비한 배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주입관은 연질의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의 부피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주입관의 말단이 항상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주입관은 상기 저장부의 내벽에 상부에서 하부까지 부착되어 구비되되, 연질의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의 부피가 달라지더라도 이에 맞추어 형상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밀폐바디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와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마개부에 접촉할 수 있는 하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신축부를 포함하여, 상기 밀폐부가 상기 마개부와 밀착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바디의 외주면에는 돌출되어 구비된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하방향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 1 홈과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 1홈에 안착되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 2 홈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부재가 제1홈과 제2홈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밀폐부가 상기 개구부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는 상기 하부바디와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에어펌프는 상기 저장부에서 맥주가 제조되면 상기 저장부를 압박하여 상기 저장부 내부의 맥주를 상기 주입관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장착부는
상기 제 1 캡슐 내지 상기 제 4 캡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캡슐장착홈과, 상기 캡슐장착홈을 개폐하며 상기 급수유로와 연통되는 캡슐덮개와, 상기 캡슐덮개에 구비되되 상기 캡슐덮개가 상기 캡슐장착홈을 덮을 때 상기 제1캡슐 내지 제4 캡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압박하여 상기 제1캡슐 내지 제4 캡슐의 내용물을 추출하는 압박부와, 상기 캡슐장착홈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되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장착홈은 하나의 수용홈에 상기 제 1 캡슐 내지 제 4 캡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장착하며, 상기 제 1 캡슐 내지 제 4 캡슐은 상기 수용홈을 구획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캡슐장착홈은 상기 제 1 캡슐, 상기 제3 캡슐, 상기 제 4 캡슐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유로에는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급수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공급유로에는 상기 수용장치로 배출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음용유로에는 상기 수용장치에서 배출되는 맥주의 유량을 제어하는 음용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유로에는 상기 수용장치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배출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공급유로에는 상기 용기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기공급밸브가 구비되고,상기 공기주입유로에는 상기 수용장치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기주입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일 실시예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용기를 수용하는 단열재로 구비된 발효통과, 상기 발효통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매사이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매사이클은 응축기와 증발기 역할을 하는 제1열교환기와 제 2 열교환기, 팽창밸브, 압축기를 포함한 히트펌프로 구성되며, 상기 발효통의 내주면에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과 캡슐만 투입하면 맥주재료의 준비가 완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잡한 맥주제조과정을 자동화하여 인위적인 개입이 없어도 맥주가 제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맥주제조과정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캡슐을 취사선택하여 다양한 맥주를 제조할 수 있어 불특정 사용자의 취향을 고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맥주제조완료 후 캡슐만 교체하고 즉시 재사용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세척이나 살균과정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맥주의 제조과정을 이해하거나 숙지하지 못하더라도 맥주제조의 전과정을 수행하여 맥주를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인 맥주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 맥주제조장치의 맥주원료가 캡슐과 수용장치에 수용된 태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3은 캡슐장착부의 사시도이다.
도4는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5는 수용장치 및 상기 수용장치가 상기 용기에 투입되는 태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6은 수용장치가 상기 용기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7은 수용장치 내부의 주입관이 저장부에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8은 거품방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9는 수용장치가 내용물에 따라 부피가 달라질 수 있는 태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저장부의 원형을 유지하기 위한 외부고정끈을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발명 맥주제조장치가 가전제품으로 구비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본발명 맥주제조장치로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맥주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의 맥조제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맥주제조장치는 개구부(101)를 포함하고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용기(100), 상기 개구부(101)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에 착탈가능하며, 맥아와 물을 포함하는 맥즙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장치(200), 상기 수용장치(200)에 연통되는 캡슐장착부(300), 상기 캡슐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캡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400)은 이스트(yeast)가 수용되어 상기 수용장치(200)로 이스트를 공급할 수 있는 제1캡슐(410)과, 맥즙이 수용되어 상기 수용장치(200)로 맥즙을 공급할 수 있는 제2캡슐(420)과 ,상기 홉(hop)이 수용되어 상기 수용장치(200)로 홉(hop)을 공급할 수 있는 제 3 캡슐과, 아로마가 수용되어 상기 수용장치(200)로 아로마를 공급할수 있는 제 4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캡슐장착부(300)에 상기 캡슐(400)이 각 종류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어 맥즙, 홉, 아로마, 이스트 중 상기 캡슐들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재료는 상기 용기(10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수용장치(2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용기(1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원(500)과 상기 용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동사이클(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원(500)은 물탱크로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용기일 수 있고, 외부급수원과 연결되어 직접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용기(100)에 압력을 부가하는 제1에어펌프(710)와 상기 수용장치에 공기를 주입하는 제2에어펌프(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급수원(500)에서 상기 캡슐장착부(30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로(810)와, 상기 캡슐장착부(300)에서 상기 캡슐(400)을 통과한 물과 상기 캡슐(400)에 수용된 원료들을 상기 용기(100)로 공급하는 공급유로(8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제 1 에어펌프(710)와 상기 용기(100) 내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에어펌프(710)에서 발생한 가압공기를 상기 용기(100)내부로 전달하는 공기가압유로(830)와, 상기 제 2 에어펌프(720)와 상기 수용장치(200)를 연결하여 상기 제 2 에어펌프(720)에서 발생한 공기를 상기 수용장치(200) 내부로 주입하는 공기 주입유로(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공기가압유로(830)는 상기 용기(100) 외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주입유로(840)는 상기 개구부(101)를 통과하여 수용장치(200)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20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수용장치(200)의 공기는 상기 수용장치 내부의 수용된 맥즙, 아로마, 홉, 이스트가 발효될 수 있는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장치(200) 내부의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600)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포함한 히트펌프로 구성될 수 있고(미도시), 상기 용기(100)의 온도를 조절하여 상기 용기(100) 내부에서 맥주가 제조될때 적합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600)은 상기 용기(1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냉동사이클(600)이 히트펌프로 구비될 경우, 증발기나 응축기 역할을 하는 제1열교환기가 상기 용기(100)의 주위를 둘러쌓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용기 외부에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수집하거나 배출한 열을 다시 배출하거나 수집하는 제 2 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냉동사이클(600)은 냉매의 유동방향에 따라 상기 용기(100)의 온도를 높일 수도 있고, 낮출 수 도 있다.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냉동사이클(600)에서 상기 용기의 외주면으로 냉매를 공급하는 냉매유로(8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100)는 열전도성 물질의 강체일 수 있고,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용기(100)는 냉동사이클(400)을 통해 냉각, 가열 또는 일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용기(100)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된 수용장치(2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용기(100)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된 수용장치(200)는 맥주를 제조하는 데 필요한 맥즙과 이스트, 홉, 아로마가 모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100)는 상기 냉동사이클(400)에서 공급된 열 또는 냉기와 ,상기 제1에어펌프(710)에서 공급된 압력으로 상기 맥즙과 물을 가열한 뒤, 상기 맥즙과 물, 홉, 아로마를 포함한 맥주 재료를 발효할 수 있다.
상기 급수원(500)의 물이 상기 급수유로(810)를 통해 캡슐장착부(300)에 급수되며, 상기 물은 상기 캡슐장착부(30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캡슐(400)을 통과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캡슐(400)을 통과한 물은 상기 캡슐(400)이 수용한 내용물과 함께 상기 용기(100) 내부의 수용장치(200)로 공급유로(820)를 통해 공급한다.
상기 수용장치(200)는 최종적으로 상기 맥즙과 이스트, 홉, 아로마를 모두 수용하여 맥주재료들을 상기 용기(100) 내에서 발효, 숙성하여 맥주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용장치(200) 내부에서 맥주가 발효되는 과정에서 탄산이 과도하게 포집되어 상기 수용장치(200) 및 상기 용기(10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장치(200)에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유로(8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용장치(200) 내부에서 맥주의 제조가 완성되면 상기 음용유로(860)를 통해 상기 용기(100)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용기(100)를 수용하는 단열재로 구비된 발효통(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통(110)에는 상기 열교환기의 역할을 하는 냉매관이 상기 발효통(110)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효통(110) 또는 상기 용기(100) 내부에는 상기 저장부(230)의 압력과 온도를 측정하여 맥즙을 1차 및 2차발효, 숙성 단계에서 바람직한 압력과 온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1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온도센서 및 압력센서(1300)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에어펌프(700)와 냉동사이클(600)의 구동을 조절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캡슐장착부(300)와 수용장치(200)에 맥주의 재료가 구비되어 있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2는 상기 캡슐장착부(300)가 상기 수용장치(200)에 직접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1과 같이 공급유로(820)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맥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맥아와 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맥즙과, 상기 맥즙을 발효하는 이스트(yeast), 상기 맥즙에 쓴맛을 더하여 맛을 풍부하게 하는 홉(hop)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상기 맥주에 풍부한 향과 맛을 더하기 위해 아로마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며, 상기 캡슐장착부(300)에 수용되어 있는 캡슐(400)과, 상기 캡슐(400)과 상기 수용장치(200)의 구조를 통해 맥즙,이스트, 홉, 아로마가 상기 수용장치(200)에 수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2 (a)를 참조하면, 상기 캡슐장착부(300)에는 이스트가 수용되어 있는 제1 캡슐(410), 맥즙이 수용되어 있는 제 2 캡슐(420), 홉이 수용되어 있는 제 3 캡슐(430), 아로마가 수용되어 있는 제 4 캡슐(430)이 착탈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장치(200)는 아무런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도 2 (b)와 같이 상기 급수유로(810)으로 부터 상기 캡슐장착부(300)에 물이 공급되면, 먼저 제 2 캡슐(420)에 물이 공급되어 상기 맥즙과 물의 혼합물이 상기 수용장치(200)로 공급유로(82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이후, 도 2(c)와 같이 상기 상기 급수유로(810)로 부터 상기 제 3 캡슐(430)에 물이 공급되어 홉과 물의 혼합물을 상기 수용장치(200)로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수용장치(200)는 온도와 압력이 조절되는 용기(100) 내부에 구비되므로, 상기 맥즙과 물을 가열하여 발효될 수 있는 맥즙으로 가공할 수 있다.
물론, 처음부터 상기 제 2 캡슐에는 가열하지 않아도 즉시 발효가 가능한 맥즙이 담겨 있어 상기 수용장치(200) 내에서 가열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 2 캡슐에는 맥즙은 물, 맥아, 홉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후, 상기 급수유로(810)에서 상기 제 4 캡슐(430)에 물이 공급되어 이스트가 상기 수용장치(20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용장치(200)는 맥주재료가 모두 포함되어 상기 용기(100) 내에서 발효되어 맥주가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급수유로(810)에서 제 1 캡슐(410), 상기 제 2 캡슐(420), 상기 제 3 캡슐(430), 상기 제 4 캡슐(430)에 물이 선택적으로 급수되어 상기 공급유로(820)를 통해 상기 수용장치(2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 캡슐(410) 내지 상기 제 4 캡슐(440)에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유로(810)는 상기 제 1 캡슐(410) 내지 상기 제 4 캡슐(440)과 각각 연결된 제 1 급수관(811) 내지 제 4 급수관(814)가 분지되어 구비될 수 있다.(도 1참조)
또한, 상기 제 1 급수관(811) 내지 제 4 급수관(814)에는 상기 급수관들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1 급수밸브(8111) 내지 제 4 급수밸브(8114)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0)는 상기 수용장치(200)의 온도와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수용장치(200)에서 맥즙, 홉, 이스트가 발효되도록 하여 맥주를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맥즙은 물과 맥아가 포함된 것으로서 부피가 이스트, 홉, 아로마 보다 매우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캡슐(420)에 상기 맥즙이 수용된 체로 상기 캡슐장착부(300)에 부착된다면, 상기 캡슐장착부(300)의 크기가 필요이상으로 커질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맥즙은 처음부터 수용장치(200)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고, 캡슐장착부(300)에는 이스트가 담긴 제1 캡슐(410)과, 홉이 담긴 제 2 캡슐(420)과, 아로마가 담긴 제 3 캡슐(430)이 착탈가능 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도 2 (b)를 참조하면 처음부터 상기 용기(100)에 상기 발효될 수 있는 맥즙이 수용된 수용장치(200)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이와 별도로 이스트가 수용된 제 1 캡슐(410)과, 홉이 수용된 제 3 캡슐(430)과, 아로마가 수용된 제 4 캡슐(440)이 상기 캡슐장착부(30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도2(b)가 초기 맥주제조장치의 캡슐(400)과 수용장치(20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로써, 부피가 큰 상기 맥즙(400)이 상기 수용장치(200)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캡슐장착부(3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 1 캡슐에 수용된 이스트(yeast)는 맥즙을 발효하는 S-04, US-05, US-06, WLP1, WLP2, WLP3, German ale, American wheat, London ale, Nottingham Ale Yeast, Windsor Ale Yeast 등 yeast 전문 제조사에서 만들었거나 Brewery에서 자체 개발한 yeast 등의 이스트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캡슐에 수용된 홉(hop)은 Calypso Hop Oil, Columbus Hop Oil, Cascade Hop Oil, Iso Alpha Extract, Cascade Hop Extract, Chinook Hop Extract, Summit Hop Extract 등 Hop essential oil의 종류나 extract 종류를 주로 적용하되, 추가적으로 pellet 또는 powder 등 그 외 형태의 홉(hop)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4 캡슐에 수용된 아로마는 Apricot Puree, Blackberry Puree Fruit Flavor, Apricot Fruit Flavor 등 과일이나 식물성 유래 또는 가공 시럽을 주로 적용하되 Vanilla Beans, Bitter Orange Peel, Cinnamon Sticks, Coriander Seed, Dried Elderberries 등 맥주 첨가물로 이용 가능한 재료를 원료로 하여 가공한 재료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맥주재료는 상기 맥주를 제조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캡슐(400)은 상기 홉,이스트, 아로마등을 수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캡슐장착부(300)에서 캡슐용기의 양방향에 구멍이 뚫릴 수 있어 상기 급수유로(810)와 상기 공급유로(820)를 통해 상기 홉, 이스트, 아로마가 추출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캡슐장착부(300) 및 상기 캡슐(400)이 수용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상기 캡슐장착부(300)의 일실시예일 뿐 상기 캡슐(400) 내부의 내용물을 추출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가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캡슐장착부(300)는 캡슐(400)이 수용될 수 있는 캡슐장착홈(310)과, 상기 캡슐장착홈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캡슐(400)의 내용물이 추출되고 상기 공급유로(820)와 연결되는 공급관(311), 상기 캡슐장착홈(310)에 상기 캡슐(400)이 장착되면 상기 캡슐장착홈(301)을 개폐하는 캡슐덮개(320), 상기 캡슐덮개(320)에 구비되되 상기 캡슐덮개가 상기 캡슐장착홈을 덮을 때 상기 캡슐장착홈(310)에 수용되어 있는 캡슐(400)을 압박하여 내용물을 추출하는 압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슐덮개(320)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급수관(8111~8114)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캡슐덮개(320)는 상기 캡슐장착홈(301)의 양측면에서 연장된 캡슐장착바디(350)에 제1 회전축(3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회전축(360)에는 상기 제1회전축(360)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지지바디(37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370)의 일단에는 상기 제1회전축(360)과 나란한 제2회전축(365)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회전축에서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2 지지바디(380)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바디(380)의 말단에는 상기 압박부(33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축(360)은 상기 캡슐장착바디(350)에 고정되나, 상기 제 2 회전축(365)은 상기 제 1 지지바디의 말단과 상기 제 2 지지바디의 일단을 연결할 뿐 상기 캡슐장착바디(350)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캡슐덮개(320)가 회전방향과 상기 압박부(330)의 회전방향은 다를 수 있으며, 상기 캡슐덮개(320)가 상기 캡슐장착홈(310)을 덮을때 상기 압박부(330)가 상기 캡슐장착홈(310)의 상부를 압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캡슐장착홈(310)은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캡슐장착홈(310)에 제1 캡슐(410) 내지 제 4캡슐(440)이 각각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캡슐(410) 내지 상기 제 4 캡슐(440)은 상기 캡슐장착홈(310)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으며, 상기 캡슐장착홈(310)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캡슐장착홈(310)은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제1캡슐(410) 내지 상기 제4 캡슐(440)은 상기 캡슐장착홈(310)을 구획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캡슐(410)과 상기 제4캡슐(440)을 모두 ㅎ바하면 상기 캡슐장착홈(310)의 형상을 이룰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4는 상기 용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용기(100)는 개구부(101)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01)를 밀폐하는 밀폐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밀폐부(900)는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바디(910)와 상기 밀폐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공기주입홀(931), 공급홀(932), 출수홀(933), 배출홀(9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홀(931)은 상기 공기주입유로(840)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200)에 공기를 공급하여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수용장치(200) 내부에 이스트가 지속적으로 생존할 수 있게 하여 맥주를 발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급홀(932)은 상기 공급유로(820)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200)에 상기 캡슐장착부(300)에서 공급된 물과 상기 캡슐에 수용된 맥주재료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출수홀(933)은 상기 음용유로(860)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200) 내부에 제조된 맥주를 배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맥주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934)는 상기 배출유로(840)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에 생성된 가스를 상기 용기(100)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용기(10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홀(931), 공급홀(932), 출수홀(933)은 상기 밀폐바디(910)를 각각 관통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관통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주입홀(931), 공급홀(932), 출수홀(933)은 모두 액체가 이동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하나의 관통홀(930)을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폐바디(910)는 상기 관통홀(930)과 상기 관통홀(930)과 이격되어 상기 밀폐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배출홀(9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바디(910)는 상기 개구부(101)의 내주면에 투입되되 상기 개구부의(101)의 상부를 밀폐하는 상부바디(911)와, 상기 상부바디(911)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수용장치(200)의 상부면과 밀착하는 하부바디(912), 상기 상부바디(911)와 상기 하부바디(912)를 서로 연결하되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축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부(920)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바디(911)는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된 체결부재(9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개부부(101)는 내주면에 상기 체결부재(9111)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 1 홈(1011)과, 상기 체결부재(9111)가 상기 제 1 홈(1011)에 투입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 2 홈(10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체결부재(9111)가 상기 제 1홈(1011)에 투입되고 상기 제 2홈(1012)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밀폐부(900)는 외부 충격 및 진동이 발생하거나, 상기 용기(100)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도 상기 개구부(101)를 안정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바디(912) 바디가 상기 스프링(920)에 의해 일정거리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수용장치(200)의 상부면과 밀착할 수 있고, 상기 용기(100)의 압력이 증가하여 상기 수용장치(200)가 상기 개구부(101)로 밀려도 이를 안정적으로 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바디(912)는 상기 수용장치(200)가 공차가 존재하여도 이를 안정적으로 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100)는 상기 밀폐부(900)와 상기 개구부(101)의 외주면을 밀폐하는 실링부재(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용기(100)를 완벽하게 밀봉하여 상기 용기(100)와 외부와의 압력차가 발생하여도 이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용기(100)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용기(100) 내부에 개구부(101)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되 상기 개구부의 반대방향으로 굴곡지게 구비된 제 1 곡면부(110)와, 상기 제 1 곡면부에서 직선으로 연장된 내측부(130)와, 상기 내측부(130)에서 상기 제 1 곡면부와 반대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된 제 2 곡면부(120)를 포함하여 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곡면부(110)와 상기 제 2 곡면부(120)는 반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부(130)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용기(100) 내부에 맥주가 발효되는 과정에서 탄산가스가 증가하여 고압이 형성되어도 안정적으로 상기 맥주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01)는 상기 밀폐부(900)가 상기 용기(101) 내부로 투입되지 않도록 하도록 상기 개구부(101)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지지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지지부(102)는 상기 수용장치(200)가 상기 개구부(101)에 투입되었을 때 상기 수용장치(200)의 상단이 상기 지지부(102)에 안착되어 투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수용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용장치(200)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된 수용바디부(210)와, 상기 수용바디부(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부(210)로 상기 맥즙, 물, 이스트, 홉, 아로마 등의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유동홀(221)를 포함한 마개부(220)와, 상기 수용바디부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유동홀로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될 때 부피가 달라질 수 있는 저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상기 제1에어펌프(710)는 상기 저장부(230)에서 맥주가 발효되어 맥주제조가 완성되면 공기를 가압하여 상기 저장부(230)를 압축시켜 상기 저장부(230)에 제조된 맥주를 상기 음용유로(860)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30)는 플라스틱 백 또는 비닐백으로 구비될 수 있어, 상기 맥주가 상기 저장부(230)에 발효, 숙성될 때 탄산가스등이 발생하여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부(210)는 강체로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23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30)는 비닐백, 플라스틱 백으로 구비되어 독자적으로 구비될 경우 찢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상기 수용바디부(210)는 시중에 구비된 맥주 캔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230)를 수용한 체로 제작, 판매될 수 있다.
따라서, 맥주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맥주제조장치와 상기 수용바디부(210) 및 캡슐(400)를 구매할 수 있다.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가전제품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용바디부(210)와 상기 캡슐(400)은 소모품, 교체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개부(220)는 상부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102)에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223)는 상기 마개부(220)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리브일 수 있다.
상기 마개부(220)는 유동홀(221)과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마개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환기홀(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 (a) 내지 (c)를 참조하여, 상기 수용장치(200)가 상기 용기(10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수용장치(200)는 상기 용기의 개구부(101)에 투입되기 시작한다.(도 6(a) 참조).
그 다음, 상기 수용장치(200)의 마개부(220)가 상기 지지부(102)에 안착된다.(도 6(b) 참조)
자세하게는 상기 마개부(220)의 안착부(223)가 상기 지지부(102)에 안착되어 상기 수용장치(200)가 상기 용기(100)로 완전히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다음, 상기 개부부(101)를 상기 밀폐부(900)가 투입되어 밀폐한다.(도 6(c) 참조)
상기 수용장치(200)가 상기 용기(100)가 투입된 후, 상기 밀폐부(900)가 개구부(101)를 밀폐할 시 상기 관통홀(930)과 상기 유동홀(221)이 밀착하여 연통되고, 상기 배출홀(934)과 상기 환기홀(222)이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장치(200) 상기 관통홀(930)과 상기 유동홀(221)을 통해 상기 공급유로(820)로 부터 물, 홉, 이스트, 아로마, 맥즙등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배출홀(934)와 상기 환기홀(221)을 통해 탄산가스를 배출유로(84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도 6 과 도7을 참조하면, 상기 유동홀(221)은 상기 저장부(230) 내부로 주입되는 주입관(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장치(200)는 상기 주입관(260)을 통해 안정적으로 상기 맥주의 재료들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주입관(260)은 연질의 재질로 구비되어 굽혀지거나 접힘이 가능할 수 있다.(도 7(a)) 이때, 상기 저장부(230)에는 맥즙이 처음부터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주입관(260)은 상기 접힘부(261)가 접혀져서 일부가 포개질 수 있다.
이후, 상기 주입관(260)을 통해 물이 공급되면, 상기 저장부(230)가 아래로 팽창하면, 상기 접힘부(261)가 펼쳐져서 상기 주입관(260)이 더욱 연장될 수 있다. (도 7(b))
이때, 상기 주입관을 통해 물이 더욱 공급되고, 이스트, 홉, 아로마 까지 공급될 수 있고, 상기 맥즙이 발효되어 탄산가스가 생성되면 상기 저장부(230)의 부피가 더욱 팽창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주입관(260)은 상기 저장부(230)의 하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주입관(260)은 항상 말단이 상기 저장부(230)의 하부 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7(d)상기 관통홀(930)을 통해 공기주입유로(840)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저장부(230)의 맥즙을 교반시킬 수 있다.
또한, 안정적으로 상기 맥즙 전체의 용존산소량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주입관(260)은 성공적으로 맥주를 발효 및 숙성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주입관(260)의 말단이 항상 저장부(230)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맥주의 제조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주입관(260)을 통해 상기 맥주를 음용유로(860)로 전부 배출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 주입관(260)은 연질의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저장부(230)의 부피가 변화하더라도 이에 맞추어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도7(e)를 참조하면, 상기 주입관(260)은 상기 저장부(230)의 내벽에 부착된 체로 상기 저장부(23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저장부(230)에서 거품이 역류되지 않는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물, 맥즙, 아로마, 홉이 수용된 저장부에서 맥주가 발효되고 숙성되면, 탄산가스가 발생하여 상당량의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탄산가스가 매우 많이 배출되어 상기 저장부(230)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질 때, 상기 수용바디부의 환기홀(221)은 상기 배출유로(840)을 통해 상기 탄산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기홀(221)은 맥주의 거품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거품방지부(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품방지부(250)는 다수의 기공을 구비한 배플(2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거품이 탄산가스와 함께 환기홀(221)에서 배출될 때, 상기 거품은 상기 거품방지부(2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플(251)에 접촉되어 소멸될 수 있다.
상기 거품방지부(250)의 상기 배플(251)은 상기 환기홀(221)의 관로 방향으로 복층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수용바디부(210)의 형상이 달라지는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저장부(230)가 맥주가 제조되면서 부피가 달라지게 되면, 상기 수용바디부(210)의 형상 또한 달라져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바디부(210)는 상기 마개부(220)의 외주면에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된 복수의 판부재(211)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들(211)들은 서로 분리되어 상기 저장부(230)의 부피가 커질때 서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9 (a))
상기 판부재들(211)은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마개부(22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도 있지만, 상기 판부재들(211)은 초기에는 연결되어 있되, 상기 저장부(230)가 팽창할 때 그 힘으로 인해 서로 분리되어 벌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판부재들(211) 사이에 상기 판부재(211)들 보다 두께가 얇은 절개라인(21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판부재들(211)은 초기에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저장부(230)가 팽창할 때 상기 저장부(230)가 상기 판부재들(211)을 밀어내어 상기 절개라인(212)이 뜯어질 수 있다. 상기 판부재들(211)을 서로 분리되어 상향으로 회전되고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상기 마개부(220)는 원통형상의 마개바디(231)와 상기 마개바디 하부에 연장되어 상기 마개바디보다 반지름이 작은 결합바디(232)를 포함하고, 상기 판부재(211)들은 상기 결합바디(232)에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바디(232)에 상기 판부재들(211)의 일단이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기 결합바디(232)와 상기 판부재(211)의 일단 사이에는 상기 결합바디(232)와 상기 판부재(211)들의 두께보다 얇은 제 1 굽힘라인(2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판부재(211)는 상기 결합바디(232)에서 상기 제 1 굽힘라인(21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부로 들려질 수 있다.(도 9 (b))
상기 판부재(211)는 직육면체의 막대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부재(211)는 상기 결합바디(232)에 연장된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간격을 두어 상기 판부재(211)보다 두께가 얇은 제 2 굽힘라인(214)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판부재(211)는 무한정 벌어지는 것이 아니라, 중력의 영향으로 상기 제 2 굽힘라인(214)이 굽어져 굴곡지게 벌어질 수 있다.(도 9 (c))
즉, 상기 저장부(230)가 팽창하면, 상기 판부재(211)는 상기 제 2 굽힘라인(214)이 굽어져 상기 저장부의 표면을 둘러쌓는 형식을 상향으로 올려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판부재(211)가 상향으로 회전된다고 할지라도, 상기 용기(100) 내부의 저장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판부재(211)가 결합된 수용바디부(210)는 상기 저장부(230)가 상기 용기(100)에 투입되거나, 인출되는 것을 가이드하며, 상기 저장부가 팽창하는 모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상기 저장부(230)는 상기 저장부(230)의 부피가 팽창하기 전에 상기 수용바디부(210) 내부에서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저장부(230)의 외주면을 둘러싼 외부고정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고정끈(240)은 상기 저장부(230)의 형상을 유지하여 상기 저장부(230)에 상기 맥즙, 홉, 아로마, 이스트, 물 등이 용이하게 채워질 수 있고, 상기 주입관(260)이 정위치에 구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외부고정끈(240)은 종이, 비닐, 플라스틱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절취선(2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취선(241)은 상기 저장부(230)의 부피가 팽창할 때 끊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고정끈(240)은 상기 절취선(241)이 없이 탄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맥주제조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급수원(500)의 역할을 수행하는 물탱크(500)와, 상기 물탱크와 연통되어 상기 물을 공급받되, 상기 캡슐(400)을 장착할 수 있는 캡슐장착부(300), 상기 캡슐장착부(300)에서 맥주의 원료와 물을 공급받는 용기(100), 상기 용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냉동사이클(400), 상기 용기(100)에서 맥주를 배출하고 상기 음용유로와 연결된 노즐(11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용기(100) 및 상기 캡슐장착부(300)의 상부면이 오픈되는 개방부(미도시)를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개방부를 열어 상기 용기(100)에 수용장치(20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캡슐장착부(300)에 상기 캡슐(400)을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캡슐(400)과 수용장치(200)를 상기 캐비닛(1)에 투입하여 맥주를 제조하고, 맥주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캡슐(400)과 상기 수용장치(200)를 교체하여 다시 맥주제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맥주제조장치로 맥주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1과 도 12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유로(810)에는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급수밸브(811)가 구비되며, 상기 공급유로(820)에는 상기 수용장치로 배출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821)가 구비되며, 상기 음용유로(860)에는 상기 수용장치에서 배출되는 맥주의 유량을 제어하는 음용밸브(861)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유로(840)에는 상기 수용장치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배출밸브(84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가압유로(830)에는 상기 용기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기가압밸브(831)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주입유로(840)에는 상기 수용장치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기주입밸브(84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유로(810)에는 급수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812)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급수밸브(811), 공급밸브(821), 음용밸브(861), 공기가압밸브(831), 공기주입밸브(841)를 제어하고, 상기 냉동사이클과 에어펌프(7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마이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맥주제조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을 수행한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부에는 맥주를 제조하는 다양한 레시피가 기저장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맥주제조장치에는 제조시작 버튼과 표시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부의 내용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12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맥주를 제조하기 위해 급수원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1) 즉, 급수원이 물탱크로 구비될 경우 상기 물탱크에 물을 급수할 수 있고, 급수관으로 공급될 경우 급수밸브를 오픈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캡슐장착부(300)에 상기 이스트가 담긴 제 1 캡슐(410)과 상기 홉이 담긴 제 3 캡슐(430), 상기 아로마가 담긴 제 4 캡슐(440)을 장착할 수 있다. 이때, 맥즙이 상기 제 2 캡슐(420)에 담겨 있는 실시예의 경우라면, 사용자는 상기 제 2 캡슐(420)까지 상기 캡슐장착부(300)에 장착할 수 있고, 상기 수용장치(200)를 상기 용기(100)에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맥즙이 부피가 크므로 상기 수용장치의 저장부(230)에 초기에 담겨있는 경우라면, 상기 맥즙이 수용된 저장부(230)를 구비한 수용장치(200)를 상기 용기(100)에 장착할 수 있다. (S2)
이후, 사용자는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원하는 맥주 종료의 제조 레시피를 선택하고(S3), 시작버튼(미도시)를 누를 수 있다.(S4)
상기 절차까지 수행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급수유로(810)의 급수밸브(811)을 개방하여 공급유로(820)을 통해 상기 수용장치 내부에 구비된 저장부(230)에 물을 공급한다. (S5) 이때, 상기 급수유로(810)와 상기 공급유로(820)는 직접 연통할 수도 있고, 캡슐장착부(300)를 경유하는 경우에는 캡슐(400)의 내용물이 추출되지 않고 물만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저장부(230)에 맥아를 포함한 맥즙을 공급된 물에 접촉시켜 불림처리 또는 에어레이션(Aeration)을 수행한다.(S6)
상기 에어레이션을 수행한 다음 냉동사이클(600)을 구동하여 상기 용기(100)를 냉각함으로써 상기 저장부(230)를 냉가시켜 맥즙의 발효를 준비한다.(S7)
이후, 상기 캡슐장착부(300)는 상기 캡슐(400)을 압박하여 내용물을 추출한다.(S8,S9,S10)
즉, 상기 급수원(500)에서 물을 상기 캡슐장착부(300)에 공급하고, 제 1 급수관(8111) 내지 제 4 급수관(8114)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상기 캡슐(400)의 내용물을 추출한다.
상기 캡슐(400) 중 상기 제 1 캡슐(410) 내지 제 4 캡슐(440)을 개방하는 순서는 레시피나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들어, 맥즙이 상기 저장부(230)에 수용되어 상기 제 2캡슐(420)이 생략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3급수관(8113)을 먼저 개방하여 제 3 캡슐(8113)에 수용된 홉을 추출하여 상기 저장부(230)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저장부(230) 내부에 맥즙이 맥주의 쓴 맛 등을 보유하도록 가공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제 1 급수부(8111)을 개방하여 상기 제 1 캡슐(410)에 수용된 이스트를 상기 저장부(230)에 공급하여 맥즙이 발효되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4 급수부(8114)를 개방하여 상기 제 4 캡슐(410)에 수용된 아로마를 상기 저장부(230)에 공급하여 맥즙이 발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S8~S10 단계 이후 또는 동시에,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저장부(230)에 수용된 맥주를 1차 발효하며(S11), 상기 1차 발효를 수행한 다음 2차 발효 할 수 있다.(S12)
상기 1차발효는 사용자가 선택한 맥주 레시피에 따라 온도와 압력, 기간이 정해질 수 있으며, 상기 2차발효도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선택한 맥주 레시피에 따라 온도,압력, 기간이 정해질 수 있다.
상기 1차발효 및 2차발효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및 2차 발효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에어펌프(720)을 구동하여 상기 저장부(23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30)에 공급된 공기는 상기 주입관(260)을 통해 공급되어 상기 맥즙을 교반하여 발효가 더욱 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및 2차 발효과정에서 상기 저장부(230)에 맥즙이 발효되는 과정에서 과도한 탄산가스가 포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밸브(841)를 개방하여 상기 탄산가스를 배출하여 상기 저장부(2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1차발효 및 2차발효가 종료되면,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저장부(230)의 맥주를 일정기간, 온도 및 압력에 따라 숙성할 수 있다.(S13)
상기 숙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저장부(230)에 제조된 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S14)
상기 맥주를 음용할 때에는, 상기 제어부는 제1에어펌프(710)를 구동하여 상기 저장부(230)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맥주가 상기 주입관(260)을 따라 음용유로(860)를 통해 상기 맥주제조장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저장부(230)에 제조된 맥주가 소량남아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전부 음용할 수 있다.
음용이 완료되어 상기 저장부(230)에 제조된 맥주가 소진되면, 사용자는 상기 용기(100)의 밀폐부(900)를 개방한 뒤, 상기 수용장치(200)를 인출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캡슐장착부(300)에 부착된 캡슐(400)을 인출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맥주제조장치를 살균이나 청소를 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맥주제조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맥주 재료가 담긴 캡슐(400)과 맥즙이 담겨 있을 수 있는 상기 수용장치(200)를 상기 맥주제조장치에 다시 부착하여 맥주제조를 재시작할 수 있다.
상기 과정은 맥즙이 초기에 상기 수용장치(200)에 수용되고, 상기 이스트가 담긴 제 1 캡슐(410)이 상기 캡슐장착부(300)에 장착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수용장치(200)가 초기에 비어있고, 상기 맥즙이 상기 제 2 캡슐(420)에 구비되어 있는 것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S2에 상기 제 2 캡슐이 장착되는 과정과 ,S8,S9,S10 단계에서 상기 제 2 캡슐을 추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맥주제조장치는 물과 캡슐만 투입하면 맥주재료의 준비가 완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맥주제조장치는 복잡한 맥주제조과정을 자동화하여 인위적인 사용자의 개입이 없어도 맥주 제조가 완성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맥주제조과정에서 사용자가 다양한 재료가 수용된 캡슐을 취사선택하여 유니크한 맥주를 제조할 수 있어 불특정 사용자의 선택권을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맥주제조장치는 맥주제조완료 후 캡슐과 수용장치만 교체하고 즉시 재사용 가능하므로 추가적인 세척이나 살균과정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맥주제조장치는 사용자가 맥주의 제조과정을 이해하거나 숙지하지 못하더라도 맥주제조의 전과정을 수행하여 맥주를 음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용기 100 개구부 101 지지부102
제1곡면부 110 제2곡면부 120 내측부130
발효통 110 수용장치 200 수용바디부 210
판부재 211 절개라인212 제 1 굽힘라인 213
제 2 굽힘라인 214 마개부220 마개바디 213
결합바디 232 유동홀 221 환기홀 222
저장부230 거품방지부 250 배플 251
저장부 230 외부고정끈 240 절취선 241
주입관 260 캡슐장착부 300 캡슐장착홈 310
공급관 311 캡슐덮개 320 압박부330
캡슐장착바디 350 제1회전축 360 제2회전축 370
고정부 380 캡슐 400 급수원500
냉동사이클600 에어펌프700 급수유로 810
공급유로 820 공기가압유로 830 공기주입유로 840
음용유로 860 배출유로 840 냉매유로 850
밀폐부 900 바디부 910 상부바디911
하부바디912 신축부 920 관통홀 930
공기유동홀 931 액체유동홀 940 공기주입관 931
출수관 941 결합부 913

Claims (26)

  1. 개구부를 포함하고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용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저장공간에 착탈가능하며, 맥아와 물을 포함하는 맥즙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장치;
    상기 수용장치에 연통하는 캡슐장착부;
    상기 캡슐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은 이스트(Yeast)를 상기 수용장치에 공급하는 제1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상기 맥즙을 상기 수용장치에 공급하는 제2캡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맥즙은 상기 수용장치에 처음부터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홉(hop)을 상기 수용장치에 공급하는 제 3캡슐과, 상기 맥즙에 향을 더하는 아로마를 공급하는 제4캡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물을 제공하는 급수원과,
    상기 급수원에서 상기 캡슐장착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로와,
    상기 캡슐장착부에서 상기 수용장치로 상기 물과 상기 캡슐에 수용된 이스트를 전달하는 공급유로와,
    상기 수용장치에 제조된 맥주를 상기 용기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 음용유로와,
    상기 수용장치에서 맥주 제조과정에서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용기 내부에 압력을 가압하는 제1에어펌프와
    상기 수용장치 내부에 맥주제조에 필요한 공기를 주입하는 제2에어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에어펌프는 공기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용기에 연결되며,
    상기 제2에어펌프는 공기주입유로를 통해 상기 용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부는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바디와, 상기 밀폐바디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공기주입홀, 공급홀, 출수홀, 배출홀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주입홀은 상기 공기주입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에 공기를 전달하며,
    상기 공급홀은 상기 공급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에 상기 물과 상기 캡슐에 수용된 이스트를 전달하고,
    상기 출수홀은 상기 음용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에 제조된 맥주를 배출하며,
    상기 배출홀은 상기 배출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장치에 생성된 가스를 상기 용기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홀, 공급홀, 출수홀은 상기 밀폐바디를 관통하는 하나의 관통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개구부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되 상기 개구부의 반대방향으로 굴곡지게 구비된 제 1 곡면부와, 상기 제 1 곡면부에서 직선으로 연장된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에서 상기 제 1 곡면부와 반대방향으로 굴곡지게 연장된 제 2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용기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구비된 수용바디부와, 상기 수용바디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부로 상기 맥즙, 물, 이스트, 홉, 아로마가 통과하도록 상기 관통홀과 연통하는 유동홀을 포함한 마개부와, 상기 수용바디부 내부에 수용되어 부피가 달라질 수 있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내주면에 돌출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외주면에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용장치가 상기 용기에 투입되면 상기 안착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유동홀과 이격되어 구비되되, 상기 마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배출홀과 연통하는 환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은 상기 저장부의 내부로 연장되는 주입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홀은 상기 저장부 내부에서 맥주가 제조될 때 생성되는 거품이 상기 환기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거품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거품방지부는 다수의 기공을 구비한 배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연질의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의 부피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주입관의 말단이 항상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은 상기 저장부의 내벽에 상부에서 하부까지 부착되어 구비되되, 연질의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의 부피가 달라지더라도 이에 맞추어 형상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바디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상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와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마개부에 접촉할 수 있는 하부바디와, 상기 상부바디와 상기 하부 바디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신축부를 포함하여,
    상기 밀폐부가 상기 마개부와 밀착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의 외주면에는 돌출되어 구비된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하방향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 1 홈과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제 1홈에 안착되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제 2 홈을 구비하여,
    상기 체결부재가 제1홈과 제2홈을 따라 고정되어 상기 밀폐부가 상기 개구부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하부바디와 상기 개구부의 외주면을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펌프는 상기 저장부에서 맥주가 제조되면 상기 저장부를 압박하여 상기 저장부 내부의 맥주를 상기 주입관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2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장착부는
    상기 제 1 캡슐 내지 상기 제 4 캡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되는 캡슐장착홈과,
    상기 캡슐장착홈을 개폐하며 상기 급수유로와 연통되는 캡슐덮개와,
    상기 캡슐덮개에 구비되되 상기 캡슐덮개가 상기 캡슐장착홈을 덮을 때 상기 제1캡슐 내지 제4 캡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압박하여 상기 제1캡슐 내지 제4 캡슐의 내용물을 추출하는 압박부와,
    상기 캡슐장착홈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공급유로와 연통되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장착홈은 하나의 수용홈에 상기 제 1 캡슐 내지 제 4 캡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장착하며,
    상기 제 1 캡슐 내지 제 4 캡슐은 상기 수용홈을 구획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장착홈은 상기 제 1 캡슐, 상기 제3 캡슐, 상기 제 4 캡슐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24.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로에는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급수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공급유로에는 상기 수용장치로 배출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음용유로에는 상기 수용장치에서 배출되는 맥주의 유량을 제어하는 음용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유로에는 상기 수용장치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배출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2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유로에는 상기 용기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기공급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주입유로에는 상기 수용장치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공기주입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맥주제조장치는
    상기 용기를 수용하는 단열재로 구비된 발효통과,
    상기 발효통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냉매사이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냉매사이클은 응축기와 증발기 역할을 하는 제1열교환기와 제 2 열교환기, 팽창밸브, 압축기를 포함한 히트펌프로 구성되며,
    상기 발효통의 내주면에 상기 제1열교환기와 제2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주제조장치.
KR1020160006450A 2016-01-19 2016-01-19 발효장치 KR102605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450A KR102605652B1 (ko) 2016-01-19 2016-01-19 발효장치
PCT/KR2017/000386 WO2017126845A1 (ko) 2016-01-19 2017-01-11 맥주제조장치
EP19182005.9A EP3569685B1 (en) 2016-01-19 2017-01-11 Beer production apparatus
EP17741611.2A EP3406699A4 (en) 2016-01-19 2017-01-11 DEVICE FOR PRODUCING BEER
EP20169876.8A EP3708644B1 (en) 2016-01-19 2017-01-11 Beer production apparatus
EP23182055.6A EP4235056A3 (en) 2016-01-19 2017-01-11 Beer production apparatus
KR1020190057187A KR102312229B1 (ko) 2016-01-19 2019-05-15 발효장치
KR1020190057202A KR102312232B1 (ko) 2016-01-19 2019-05-15 발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450A KR102605652B1 (ko) 2016-01-19 2016-01-19 발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187A Division KR102312229B1 (ko) 2016-01-19 2019-05-15 발효장치
KR1020190057202A Division KR102312232B1 (ko) 2016-01-19 2019-05-15 발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880A true KR20170086880A (ko) 2017-07-27
KR102605652B1 KR102605652B1 (ko) 2023-11-23

Family

ID=5936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450A KR102605652B1 (ko) 2016-01-19 2016-01-19 발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4) EP3406699A4 (ko)
KR (1) KR102605652B1 (ko)
WO (1) WO2017126845A1 (ko)

Cited B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218A (ko) * 2017-08-01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14763A (ko) * 2017-08-03 201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16301A (ko) * 2017-08-08 201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음료 제조 방법
KR20190016670A (ko) * 2017-08-09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료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20190016672A (ko) * 2017-08-09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3500A (ko) * 2017-08-29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3562A (ko) * 2017-08-29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5299A (ko) * 2017-09-01 2019-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5315A (ko) * 2017-09-01 2019-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9300A (ko) * 2017-09-12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9948A (ko) * 2017-09-13 2019-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WO2019054821A1 (ko) * 2017-09-18 2019-03-21 주식회사 인더케그 맥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맥주 제조방법
WO2019054820A1 (ko) * 2017-09-18 2019-03-21 주식회사 인더케그 맥주 제조장치
KR101962424B1 (ko) * 2017-09-18 2019-03-26 주식회사 인더케그 효모캡슐 일체형 케그캡, 효모캡슐 일체형 케그캡 결합용 커플러, 이를 구비하는 맥주 제조장치
KR101962417B1 (ko) * 2017-09-18 2019-03-26 주식회사 인더케그 비접촉 발효도 측정 방법을 이용한 맥주 제조장치 및 맥주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90032133A (ko) * 2017-09-19 2019-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31758A (ko) * 2017-09-18 2019-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32117A (ko) * 2017-09-19 2019-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55640A (ko) * 2017-11-15 2019-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조
KR20190056917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56912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56916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56911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KR20190056913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56910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KR20190056918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음료 제조 방법
KR20190056915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57915A (ko) * 2017-11-21 201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재료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20190060401A (ko) * 2017-11-24 2019-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81888A (ko) *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131979B1 (ko) * 2019-04-16 2020-08-05 임근만 가정용 수제맥주 제조장치
US20200362286A1 (en) * 2019-05-13 2020-11-19 Lg Electronics, Inc.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KR20210155088A (ko) * 2020-06-15 2021-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WO2021261670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인더케그 케그 캡 및 상기 케그 캡을 구비한 케그
WO2021261678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인더케그 발효음료 제조장치
WO2021261671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인더케그 발효음료 제조장치
WO2021261672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인더케그 발효음료 제조장치
KR20220011499A (ko) *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인더케그 발효주 제조장치
WO2022114582A1 (ko) * 2020-11-29 2022-06-02 주식회사 인더케그 발효음료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8055B2 (en) 2016-05-18 2022-03-08 Lg Electronics Inc. Beverage making apparatus
US11111467B2 (en) 2016-05-18 2021-09-07 Lg Electronics Inc. Beverage making apparatus
KR20200131689A (ko) 2019-05-14 2020-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 및 숙성 장치
WO2022144763A1 (en) * 2020-12-29 2022-07-07 Slovenská Technická Univerzita V Bratislave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ed beer brew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3848A (ja) * 1997-05-19 1998-12-02 Toshiba Corp ビール醸造装置
KR20040042772A (ko) * 2002-11-13 2004-05-20 주식회사송스 세정수단을 구비하는 맥주제조장치의 맥주제조공정
KR20120117392A (ko) * 2011-04-15 2012-10-24 주식회사 다인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50016224A (ko) * 2012-03-30 2015-02-11 유그스터/프리스마그 아게 1회용 캡슐에서의 추출에 의해 브루잉하기 위한 브루잉 장치, 및 브루잉 장치 작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0521A1 (en) * 1997-05-06 1998-11-12 Product Design Group, Inc. Automated home beer brewing machine and method
US20070266713A1 (en) * 2005-01-19 2007-11-22 Fifth Ocean Engineering Limited Unit for After Fermentation and/or Storing, and/or Transportation, and/or Dispense of Beer
KR20060114066A (ko) * 2005-04-27 2006-11-06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소규모 맥주 생산설비
KR100837233B1 (ko) * 2006-09-18 2008-06-12 박승진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
US20150000531A1 (en) * 2011-03-03 2015-01-01 PicoBrew, LLC Multiple Flow Path Recirculating Brewing System with Removable Reservoirs
BE1020003A3 (nl) * 2011-06-09 2013-03-05 Cardiff Group Naamoloze Vennootschap Een houder om een vloeibaar voedingsmiddel in te bewaren en onder druk uit te verdelen.
CN103409266A (zh) * 2013-08-22 2013-11-27 济南卓达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家用微酿啤酒设备
US20150298081A1 (en) * 2014-04-16 2015-10-22 Daniel Jeffrey Mcmath Portable ingredients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3848A (ja) * 1997-05-19 1998-12-02 Toshiba Corp ビール醸造装置
KR20040042772A (ko) * 2002-11-13 2004-05-20 주식회사송스 세정수단을 구비하는 맥주제조장치의 맥주제조공정
KR20120117392A (ko) * 2011-04-15 2012-10-24 주식회사 다인 음료 추출장치 및 방법
KR20150016224A (ko) * 2012-03-30 2015-02-11 유그스터/프리스마그 아게 1회용 캡슐에서의 추출에 의해 브루잉하기 위한 브루잉 장치, 및 브루잉 장치 작동 방법

Cited B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218A (ko) * 2017-08-01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14763A (ko) * 2017-08-03 201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16301A (ko) * 2017-08-08 201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음료 제조 방법
KR20190016670A (ko) * 2017-08-09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료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20190016672A (ko) * 2017-08-09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3500A (ko) * 2017-08-29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3562A (ko) * 2017-08-29 2019-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5299A (ko) * 2017-09-01 2019-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5315A (ko) * 2017-09-01 2019-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9300A (ko) * 2017-09-12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29948A (ko) * 2017-09-13 2019-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CN111133090A (zh) * 2017-09-18 2020-05-08 因德凯歌株式会社 利用非接触发酵度测定方法的啤酒制造装置及啤酒制造装置的控制方法
WO2019054820A1 (ko) * 2017-09-18 2019-03-21 주식회사 인더케그 맥주 제조장치
KR101962410B1 (ko) * 2017-09-18 2019-03-26 주식회사 인더케그 맥주 제조장치
KR101962413B1 (ko) * 2017-09-18 2019-03-26 주식회사 인더케그 맥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맥주 제조방법
KR101962424B1 (ko) * 2017-09-18 2019-03-26 주식회사 인더케그 효모캡슐 일체형 케그캡, 효모캡슐 일체형 케그캡 결합용 커플러, 이를 구비하는 맥주 제조장치
KR101962417B1 (ko) * 2017-09-18 2019-03-26 주식회사 인더케그 비접촉 발효도 측정 방법을 이용한 맥주 제조장치 및 맥주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WO2019054821A1 (ko) * 2017-09-18 2019-03-21 주식회사 인더케그 맥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맥주 제조방법
KR20190031758A (ko) * 2017-09-18 2019-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CN111108184A (zh) * 2017-09-18 2020-05-05 因德凯歌株式会社 啤酒制造装置及利用其的啤酒制造方法
CN111094528A (zh) * 2017-09-18 2020-05-01 因德凯歌株式会社 酵母胶囊一体型小桶盖、酵母胶囊一体型小桶盖结合用连接器、具备其的啤酒制造装置
US11773354B2 (en) 2017-09-18 2023-10-03 Inthekeg, Inc. Beer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eer by using same
WO2019054826A3 (ko) * 2017-09-18 2019-06-27 주식회사 인더케그 효모캡슐 일체형 케그캡, 효모캡슐 일체형 케그캡 결합용 커플러, 이를 구비하는 맥주 제조장치
WO2019054825A3 (ko) * 2017-09-18 2019-06-20 주식회사 인더케그 비접촉 발효도 측정 방법을 이용한 맥주 제조장치 및 맥주 제조장치의 제어방법
US11702619B2 (en) 2017-09-18 2023-07-18 Inthekeg, Inc. Keg cap integrated with yeast capsule, coupler for coupling keg cap integrated with yeast capsule, and beer-mak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KR20190032117A (ko) * 2017-09-19 2019-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32133A (ko) * 2017-09-19 2019-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55640A (ko) * 2017-11-15 2019-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조
KR20190056913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56910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KR20190056918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음료 제조 방법
KR20190056915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56911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KR20190056916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56912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56917A (ko) * 2017-11-17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90057915A (ko) * 2017-11-21 201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재료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20190060401A (ko) * 2017-11-24 2019-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20190081888A (ko) * 2017-12-29 2019-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131979B1 (ko) * 2019-04-16 2020-08-05 임근만 가정용 수제맥주 제조장치
US20200362286A1 (en) * 2019-05-13 2020-11-19 Lg Electronics, Inc.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KR20210155088A (ko) * 2020-06-15 2021-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WO2021261670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인더케그 케그 캡 및 상기 케그 캡을 구비한 케그
WO2021261678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인더케그 발효음료 제조장치
WO2021261671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인더케그 발효음료 제조장치
WO2021261672A1 (ko) * 2020-06-24 2021-12-30 주식회사 인더케그 발효음료 제조장치
CN115885029A (zh) * 2020-06-24 2023-03-31 因德凯歌株式会社 发酵饮料制造装置
KR20220011499A (ko) * 2020-07-21 2022-01-28 주식회사 인더케그 발효주 제조장치
WO2022114582A1 (ko) * 2020-11-29 2022-06-02 주식회사 인더케그 발효음료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6845A1 (ko) 2017-07-27
EP3569685B1 (en) 2023-08-23
EP3406699A1 (en) 2018-11-28
EP4235056A2 (en) 2023-08-30
EP3406699A4 (en) 2019-09-04
EP3708644B1 (en) 2023-08-09
KR102605652B1 (ko) 2023-11-23
EP3569685A1 (en) 2019-11-20
EP4235056A3 (en) 2023-11-08
EP3708644A1 (en)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6880A (ko) 맥주제조장치
KR102582524B1 (ko) 발효 및 디스펜스 장치
EP3486305B1 (en) Beverage maker
KR102587228B1 (ko) 음료 제조기
US11970686B2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verage maker
KR20200062706A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00072048A (ko) 음료 제조기
EP3486308B1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
KR102570611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0613B1 (ko) 음료 제조기
KR20190057030A (ko) 발효장치
KR20190057031A (ko) 발효장치
US20210348091A1 (en) Beverage mak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2434279B1 (ko) 음료 제조기
KR102658905B1 (ko) 음료 제조기
KR102274525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82807B1 (ko) 음료 제조기
US11352245B2 (en) Beverage discharger
KR102282489B1 (ko) 음료 제조기
KR102282483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KR102314618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22004B1 (ko) 음료 제조기 및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US20210388297A1 (en) Beverage maker
KR102533779B1 (ko) 음료 제조기
KR102526537B1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