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5088A -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5088A
KR20210155088A KR1020200072110A KR20200072110A KR20210155088A KR 20210155088 A KR20210155088 A KR 20210155088A KR 1020200072110 A KR1020200072110 A KR 1020200072110A KR 20200072110 A KR20200072110 A KR 20200072110A KR 20210155088 A KR20210155088 A KR 20210155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pair
channel
ai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281B1 (ko
Inventor
조수창
김영진
홍진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281B1/ko
Priority to US17/332,899 priority patent/US20210388297A1/en
Publication of KR20210155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12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 B67D1/0425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the whole dispensing unit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comprising an air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03Fermentation of beerwort
    • C12C11/006Fermentation tank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7/00Preparation of wort
    • C12C7/26Cooling beerwort; Clarifying beerwort during or after the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3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compression typ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67D2001/0098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using a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한 쌍의 발효조; 한 쌍의 발효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한 쌍의 발효조 리드; 한 쌍의 발효조의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 한 쌍의 발효조의 내부 온도를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 음료 재료가 담긴 재료 컨테이너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한 쌍의 발효조의 외부에 배치된 재료 공급기; 재료 공급기를 경유하는 메인 채널; 메인 채널에서 분지되고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에 연결된 한 쌍의 분지 채널; 및 한 쌍의 분지 채널와 연결된 음료 취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제조기{BAVERAGE MAKER}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발효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발효 촉진제,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발효 촉진제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안전하고 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자동화된 음료 제조기들은 US 2014/0017354 A1(BEER BREWING SYSTEM AND METHOD)이나 US 2010/0129490 A1 (COMBINED BREWING SYSTEM)에 개시된 바와 같이 주로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크기가 너무 크고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화된 음료 제조기들은 단일의 발효조만을 포함하고 있어, 발효조에 담긴 음료를 전부 소진하기 전까지는 새로운 음료를 제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두 종류 이상의 음료를 동시에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US 2014/0017354 A1 (BEER BREWING SYSTEM AND METHOD, 2014.01.16 공개) US 2010/0129490 A1 (COMBINED BREWING SYSTEM, 2010.05.27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서로 다른 타입의 음료를 동시에 발효시킬 수 있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일 음료의 발효 또는 보관 도중에 다른 음료를 제조 가능한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과제는, 서로 다른 타입의 음료를 단일의 음료 취출기에서 선택적으로 취출 가능한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 제조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온도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발효조와, 상기 한 쌍의 발효조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음료가 제조되는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에 선택적으로 재료를 투입하고, 상기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로부터 음료를 선택적으로 취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한 쌍의 발효조;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한 쌍의 발효조 리드;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내부 온도를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 음료 재료가 담긴 재료 컨테이너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외부에 배치된 재료 공급기; 상기 재료 공급기를 경유하는 메인 채널; 상기 메인 채널에서 분지되고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에 연결된 한 쌍의 분지 채널; 및 상기 한 쌍의 분지 채널와 연결된 음료 취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 공급기는 상기 한 쌍의 발효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에어 펌프; 상기 에어 펌프에 연결된 급기 채널; 및 상기 급기 채널에서 분지되어 상기 한 쌍의 발효조에 연결된 한 쌍의 에어 분지 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컨테이너는 플랙시블한 재질을 포함하고, 각 에어 분지 채널은, 상기 발효조의 내벽과 상기 음료 컨테이너의 외면 사이로 에어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한 쌍의 에어 분지 채널에서 분지되고 상기 발효조의 내벽과 상기 음료 컨테이너의 외면 사이의 에어가 배기되는 한 쌍의 배기 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 내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한 쌍의 가스 배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후방에 배치된 수조;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메인 채널로 급수하는 급수 펌프; 및 상기 급수 펌프에 의해 급수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펌프 및 급수 히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재료 공급기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수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커버는, 상기 수조의 전방에 위치한 어퍼 커버부; 및 상기 어퍼 커버부에 대해 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조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로어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기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키는 응축기; 및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외둘레에 권취되고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나뉘어 유동되는 한 쌍의 증발 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가 배치된 기계실을 형성하는 백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메인 채널로 에어를 주입하고 상기 재료 공급기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발효조 사이에 위치한 에어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사이 공간을 전방에서 커버하는 센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취출기는, 상기 센터 커버에 장착된 디스펜서; 및 상기 한 쌍의 분지 채널과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취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취출기는, 상기 메인 채널 및 한 쌍의 분지 채널을 바이패스하여 물이나 에어를 상기 음료 취출기로 안내하는 클리닝 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취출기는, 일 음료 컨테이너에 담긴 음료가 상기 음료 취출기로 취출되면, 타 음료 컨테이너에 담긴 음료가 상기 음료 취출기로 취출되기 이전에, 상기 클리닝 채널을 통해 상기 음료 취출기를 클리닝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지 채널은, 음료 제조 시, 상기 메인 채널의 유체를 상기 음료 컨테이너 내로 안내하고, 음료가 제조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음료 컨테이너 내의 음료를 상기 음료 취출기로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한 쌍의 분지 채널을 개폐하는 한 쌍의 메인 밸브; 및 상기 메인 채널의 유체가 상기 한 쌍의 분지 채널에 택일적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 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자 독립적인 온도 조절이 가능한 제1발효조 및 제2발효조; 상기 제1발효조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제1음료 컨테이너; 상기 제2발효조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제2음료 컨테이너; 음료 재료가 담긴 재료 컨테이너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1발효조와 상기 제2발효조의 외부에 배치된 재료 공급기; 상기 재료 공급기를 경유하도록 물이나 에어를 안내하는 메인 채널; 상기 메인 채널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1음료 컨테이너에 연결된 제1분지 채널; 상기 메인 채널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2음료 컨테이너에 연결된 제2분지 채널; 및 상기 제1분지 채널 및 제2분지 채널과 연결된 음료 취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발효조 및 제2발효조는 상기 재료 공급기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발효 모듈이 서로 독립적인 온도 제어가 가능하고, 한 쌍의 발효 모듈에 재료를 선택적으로 투입 가능하므로, 한 쌍의 발효 모듈에서 서로 다른 타입의 음료가 동시에 발효 진행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동시에 서로 다른 타입의 음료를 제조하여 맛볼 수 잇으므로, 음료 제조기의 활용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발효 모듈에 재료를 선택적으로 투입 가능하므로, 일 발효모듈에서 음료가 발효 또는 보관되는 도중에, 타 발효 모듈에서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일 발효 모듈의 음료가 전부 소진되기 전에 미리 타 발효 모듈에 다른 음료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한 쌍의 발효 모듈을 번갈아가며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음료를 마시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한 쌍의 발효 모듈에 서로 다른 타입의 음료가 보관된 상태에서, 단일의 음료 취출기에 의해 서로 다른 타입의 음료를 선택적으로 취출 가능하다. 이로써, 복수개의 음료 취출기가 불필요하므로 음료 제조기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컴팩트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 취출된 음료와 다른 타입의 음료가 음료 취출기로 취출되기 이전에 음료 취출기를 클리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서로 다른 타입의 음료가 섞여 맛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외관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가 맥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외관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가정용 음료 제조기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100)와, 베이스(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음료가 발효되는 한 쌍의 발효 모듈(1)(2)과, 한 쌍의 발효 모듈(1)(2)에 음료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음료 제조기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한 쌍의 한 쌍의 발효 모듈(1)(2)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발효 모듈(1)(2)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베이스(100)의 양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발효 모듈(1)(2)은 베이스(100)의 일 측부에 배치된 제1발효 모듈(1)과, 베이스(100)의 타 측부에 배치된 제2발효 모듈(2)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발효 모듈(1)(2)은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공급기(3)는 수평 방향에 대해 제1발효 모듈(1)과 제2발효 모듈(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발효 모듈(1) 및 제2발효 모듈(2)은 재료 공급기(3)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재료 공급기(3)는 베이스(100)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각 발효 모듈(1)(2)은 상측으로 개폐되는 발효조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재료 공급기(3)는 상측으로 개폐되는 공급기 리드(37)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발효조 리드(107) 및 공급기 리드(37)는 음료 제조기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면에서 각 발효조 리드(107) 및 공급기 리드(37)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 발효조 리드(107) 및 공급기 리드(37)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음료 제조기의 외관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210) 및 백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 및 백 커버(220)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 및 백 커버(220)의 하단은 베이스(100)의 가장자리와 맞닿을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한 쌍의 발효 모듈(1)(2)를 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프론트 커버(210)는 제1발효모듈 커버(211)와, 제2발효모듈 커버(212)와, 센터 커버(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발효모듈 커버(211) 및 제2발효모듈 커버(21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발효모듈 커버(211)는 제1발효 모듈(1)의 외둘레 일부를 커버할 수 있고, 제2발효모듈 커버(212)는 제2발효 모듈(2)의 외둘레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각 발효모듈 커버(211)(212)는 각 발효 모듈(1)(2)의 외둘레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센터 커버(213)는 제1발효 모듈(1)과 제2발효 모듈(2)의 사이를 커버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센터 커버(213)는 제1발효모듈 커버(211) 및 제2발효모듈 커버(212)의 사이를 커버할 수 있다.
센터 커버(213)는 재료 공급기(3)를 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센터 커버(213)에는 음료가 취출되는 디스펜서(62)가 장착될 수 있다.
센터 커버(213)에는 음료 제조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3a)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82)가 터치 스크린으로 작용하여 입력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센터 커버(213)에는 음료 제조기의 제조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213b)는,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키는 방식의 로터리 놉(213b) 및 사용자가 누르는 방식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220)는 한 쌍의 발효 모듈(1)(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22)는 프론트 커버(210)와 함께 음료 제조기의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백 커버(220)에는 수조(51)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수조(51)는 백 커버(220)의 후방에서 장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백 커버(220)는 수조(51)의 전방에 위치한 어퍼 커버부(221)와, 어퍼 커버부(221)에서 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로어 커버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부(222)는 수조(51)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으며, 수조(51)는 로어 커버부(22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수조(51)는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수조 리드(51a)는 수조(5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수조(51)에는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백 커버(220)에는 재료 공급기(3)의 후단부가 피팅되는 함몰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함몰부(224)는 어퍼 커버부(221)의 상단 중앙이 하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의 전방측 일부는 한 쌍의 발효 모듈(1)(2)의 사이에 위치하고, 후방측 일부는 백 커버(220)의 함몰부(224)에 피팅될 수 있다.
또한, 백 커버(220)에는 다수의 통공(2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225)은 로어 커버부(222)의 배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한 쌍의 발효 모듈(1)(2) 내의 가스나 에어가 배출되는 토출공으로 기능하거나, 후술할 송풍팬(135)(도 3 참조)에 의해 에어가 흡입되는 흡입공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62)의 하측에 위치한 드립 트레이(drip tray)(214)를 포함할 수 있다. 드립 트레이(214)의 상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62)에서 낙하된 음료는 상기 홀을 통해 드립 트레이(214)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제조기의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드립 트레이(214)는 베이스(100)의 전단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베이스(1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드립 트레이(214)를 베이스(100)에서 분리하여, 드립 트레이(214)의 내부를 비우고 세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좀 더 상세히, 도 4 및 도 5는 프론트 커버 및 백 커버를 제거한 음료 제조기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에서 이너 바디를 더 제거한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베이스(100)는, 한 쌍의 발효 모듈(1)(2)이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부(101)와, 상기 한 쌍의 안착부(10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02)와, 연결부(102)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안착부(101)는 발효 모듈(1)(2)과 대응되는 원판 형상일 수 있다. 한 쌍의 안착부(101)는 좌우로 이격될 수 있고, 연결부(102)는 한 쌍의 안착부(10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102)의 전단에는 드립 트레이(214)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02)의 전단은 센터 커버(213)의 하단과 인접할 수 있다. 연결부(103)의 전단의 좌우 길이는, 후단의 좌우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은 베이스(100), 좀 더 상세히는 연결부(102)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에서 발효 모듈(1)(2)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53)는 연결부(10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효 모듈(1)(2)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 펌프(52)와, 발효 모듈(1)(2)에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펌프(82)(151)는 연결부(10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급수 펌프(52) 및 에어 펌프(82)(151)는 급수 히터(5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히터(53) 및 에어 펌프(82)(151)는 수직 방향에 대해 베이스(100)의 연결부(102)와 재료 공급기(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수평 방향에 대해 한 쌍의 발효 모듈(1)(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장부(103)은 사각 판형일 수 있다. 연장부(103)는 한 쌍의 안착부(101) 및 연결부(10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백 커버(220)는 연장부(10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연장부(103)는 백 커버(220)의 로어 커버부(222) 함께 기계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에는 후술할 압축기(131), 응축기(132) 및 송풍팬(135)이 배치될 수 있다.
로어 커버부(222)의 상면에는 수조(51)가 연결되는 연결공(223)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조(51)의 저면에 형성된 출수구에는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에 의해, 수조의 출수구는 평상시에 클로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조(51)의 출수구가 연결공(223)에 연결되면, 연결공(223)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미도시)가 상기 밸브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오픈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밸브 구조는 종래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수조(51)의 출수구가 연결공(223)에 연결되면, 수조(51)의 내부는 후술할 수조 출수채널(55a)(도 7 참도)과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한 쌍의 발효 모듈(1)(2) 내부의 온도를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기(13)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각 발효 모듈(1)(2)에는 열전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냉매를 순환시키는 냉각 사이클 장치가 온도 조절기(13)에 포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좀 더 상세히, 온도 조절기(13)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31),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132) 및 한 쌍의 발효 모듈(1)(2)의 내부에 위치한 한 쌍의 증발기(134)(도 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31), 응축기(132) 및 한 쌍의 증발기(134)는 냉매 배관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131) 및 응축기(132)는 발효 모듈(1)(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압축기(131) 및 응축기(132)는 베이스(100)의 연장부(10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백 커버(220)의 로어 커버부(22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한 쌍의 증발기(134)(도 7 참조)는 냉매를 증발시키며 한 쌍의 발효 모듈(1)(2)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증발기(134)는 각 발효 모듈(1)(2)에 포함된 발효조(110)(도 7 참조)의 외둘레를 권취된 증발 튜브일 수 있다.
상기 응축기(132)에서 응축된 냉매는 한 쌍의 증발기(134)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증발기(134)는 동시에 한 쌍의 발효 모듈(1)(2)의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다만, 응축기(132)와 한 쌍의 증발기(134)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에는 냉매의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응축기(132)에서 응축된 냉매가 한 쌍의 증발기(134) 중 어느 하나로만 흐르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온도 조절기(13)는 응축기(132)를 방열시키는 송풍팬(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35)은 압축기(131)과 응축기(1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백 커버(220), 좀 더 상세히는 로어 커버부(222)의 배면에 형성된 통공(225)(도 2 참조)은 상기 송풍팬(135)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공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백 커버(220)에는 송풍팬(135)에 의해 송풍되어 상기 응축기(132)를 방열시킨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공(226)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상기 토출공(226)은 로어 커버부(22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송풍팬(135)과 토출공(226)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전장 박스(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 박스(280)는 컨트롤러로 명명될 수 있다.
전장 박스(28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전장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장 부품이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전장 부품은, 음료 제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외부의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컨트롤러(280)는 음료 제조기에 포함된 다수의 밸브를 개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0)는 온도 조절기(13) 및 히터(14)를 제어함으로써 발효 모듈(1)(2)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0)는 급수 펌프(52), 급수 히터(53) 및 에어 펌프(82)(151)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장 박스(280)는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전장 박스(280)는 발효 모듈(1)(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100)의 연장부(10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백 커버(22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일 발효 모듈(1)의 후방에는 전장 박스(280)가 배치될 수 있고, 타 발효 모듈(2)의 후방에는 응축기(135)가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131)는 전장 박스(280)와 응축기(1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방에 대해 한 쌍의 발효 모듈(1)(2)의 사이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압축기(131)는 급수 펌프(52) 및 에어 펌프(82)(15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이너 바디(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바디(230)는 한 쌍의 발효 모듈(1)(2)과 백 커버(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바디(230)는 음료 제조기에 포함된 다수의 밸브가 장착되는 마운터로 기능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바디(230)는 제1발효 모듈(1)의 외둘레에 인접한 제1바디(231)와, 제2발효 모듈(2)의 외둘레에 인접한 제2바디(231)와, 상기 제1바디(231)와 제2바디(232)를 연결하며 한 쌍의 발효 모듈(1)(2) 사이로 돌출된 제3바디(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231)는 제1발효 모듈(1)의 외둘레에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2바디(232)는 제2발효 모듈(2)의 외둘레에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바디(230)와 한 쌍의 발효 모듈(1)(2)간 간극이 최소화될 수 있고, 음료 제조기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또한, 제3바디(233)는 재료 공급기(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바디(233)의 전방측 일부는 급수 히터(53)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3바디(233)는 재료 공급기(3)와 급수 히터(53)의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제3바디(233)는 급수 히터(53)의 열이 재료 공급기(3)에 담긴 재료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는 공급기 바디(36)와, 공급기 바디(36)를 상측에서 커버하는 공급기 리드(37)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기 바디(36)에는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급기 바디(36)에는 재료가 담긴 적어도 하나의 재료 컨테이너(C1)(C2)(C3)(도 7 참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캡슐(capsule) 또는 포드(pod)일 수 있다.
공급기 리드(37)는 공급기 바디(36)에 장착된 재료 컨테이너(C1)(C2)(C3)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급기 리드(37)가 오픈된 상태에서 재료 컨테이너(C1)(C2)(C3)를 공급기 바디(36)에 장착하거나, 공급기 바디(36)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공급기 리드(37)는 공급기 바디(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급기 리드(37)는 공급기 바디(36)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각 발효 모듈(1)(2)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60)와, 상기 케이스(160) 내에 배치된 발효조(110)(도 7 참조)와, 상기 발효조(110)를 개폐하는 발효조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발효 모듈(1)(2)은 상기 발효조 리드(107)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바디(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0)는 내부 공간(S1) 및 상기 내부 공간(S1)과 연통된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발효조(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발효조 리드(107)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즉, 발효조 리드(107)는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을 밀폐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효조(110)의 외둘레에는 증발 튜브(134)가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증발 튜브(134)는 발효조(11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발효조(110)의 외면에는 발효조(110)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14)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히터는 발효조(11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효조(110)에는, 발효조(1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발효 모듈(1)에 포함된 발효조(110)는 제1발효조로, 제2발효 모듈(2)에 포함된 발효조(110)는 제2발효조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에는 음료 컨테이너(10)(11)(도 7 참조)이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1)에 대해서는 이후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발효조(110)의 외둘레는 케이스(160)의 내둘레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발효조(110)의 저면은 케이스(160)의 내측 저면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발효조(110)의 외면과 케이스(160)의 내면 사이에는 단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부는 케이스(160)의 내부에 배치되며 발효조(112)와 증발 튜브(134), 히터(14)를 함께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열부는 단열성능이 높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EPS: Expended Polystyrene)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10)가 외부에 대해 단열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70)는 대략 환형일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70)는 케이스(1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발효조(100)의 개구부는 리드 안착바디(170)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발효조 리드(107)는 리드 안착바디(17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발효조(110)의 개구부를 상측에서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 발효조 리드(107)는 리드 안착 바디(170)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한 쌍의 발효 모듈(1)(2)의 발효조(110)에는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10)(11)이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10)(11)는, 제1발효 모듈(1)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제1음료 컨테이너(10)와, 제2발효 모듈(2)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제2음료 컨테이너(11)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음료 컨테이너(10)(11)은 발효조(110)의 개구부를 통해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1)의 내부 공간(S2)에는 발효 재료가 투입되어 발효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조 완료된 음료는 음료 컨테이너(10)(11)의 내부 공간(S2)에서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컨테이너(10)(11)의 내부 공간(S2)은 발효 공간 또는 보관 공간으로 명명될 수 있다. 즉, 음료 컨테이너(10)(11)은 발효 재료 또는 음료가 발효조(110)의 내벽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이 완료된 후, 음료 컨테이너(10)(11)는 발효조(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컨테이너(10)(11)의 외면은 발효조(110)의 내벽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컨테이너(10)(11)로 투입된 이스트가, 증발 튜브(134)에 의해 냉각된 발효조(110)의 내벽에 인접하여 발생 가능한 콜드 쇼크(cold shock)를 방지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1)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음료 컨테이너(10)(11)는 백(bag), 팩(pack) 및 페트(PE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음료 컨테이너(10)(11)가 팩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좀 더 상세히, 음료 컨테이너(10)(11)은 발효조(1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팩 바디와, 상기 팩 바디에 연결되어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2)에 수용된 플렉시블 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팩은 압력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팩 바디는 발효조(10)의 개구부 주변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 팩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컨테이너(10)(11)의 내부 공간(S2)으로 물이나 재료가 공급되거나 에어가 주입될 수 있고, 내부 공간(S2)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에는 재료가 담긴 적어도 하나의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재료 공급기(3)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장착되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앞서 설명한 공급기 바디(36)(도 3 참조)에 구비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는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들 중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일례로,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재료 공급기(3)와 음료 컨테이너(10)(11)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1)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후술할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에 의해 추출되어 음료 컨테이너(10)(11)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음료 컨테이너(10)(11)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1)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 맥아, 이스트, 홉, 식용 오일, 아로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주재료는 맥아일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첨가제는 이스트(yeast), 홉(hop), 오일(oil)일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 및 컨테이너 장착부(31)(32)(33)가 각각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에는 서로 다른 재료가 담길 수 있다.
일례로, 복수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이스트가 담긴 제1컨테이너(C1)와, 홉이 담긴 제2컨테이너(C2)와, 오일이 담긴 제3컨테이너(C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조합에 따라, 제조되는 음료의 타입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 공급기(3)에 제1재료 컨테이너 세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음료를 제조하면 제1타입 음료(예를 들어, 에일)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재료 컨테이너 세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에는, 상기 제1타입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서로 다른 재료들이 나뉘어 담길 수 있다.
반면, 재료 공급기(3)에 제2재료 컨테이너 세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음료를 제조하면 제2타입의 음료(예를 들어, 라거)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재료 컨테이너 세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에는, 상기 제2타입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서로 다른 재료들이 나뉘어 담길 수 있다.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은 제1컨테이너(C1)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31)와, 제2컨테이너(C2)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32)와, 제3컨테이너(C3)가 장착되는 제3장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31A)(32A)(33A)와, 유체가 유출되는 출구(31B)(32B)(33B)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31A)(32A)(33A) 및 출구(31B)(32B)(33B)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에 장착된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입구(31A)(32A)(33A)로 유입된 유체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와 혼합되어 출구(31B)(32B)(33B)로 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장착부(31)의 입구(31a)로 유입된 유체는, 제1컨테이너(C1)에 담긴 재료와 혼합되어 제1장착부(31)의 출구(31b)로 유출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재료 공급기(3)는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중 어느 하나의 출구와 다른 하나의 입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채널(311)(3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장착부(31)의 출구(31b)와 제2장착부(32)의 입구(32a)는 제1연결채널(311)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장착부(32)의 출구(32b)와 제3장착부(33)의 입구(33a)는 제2연결채널(312)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를 경유하는 메인 채널(4)과, 메인 채널(4)에서 분지되어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10)(11)에 연결된 한 쌍의 분지 채널(44)(45)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채널(4)은 후술할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이 재료 공급기(3)를 통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물은 재료 공급기(3)를 통과하며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채널(4)은 후술할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공기가 재료 공급기(3)를 통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에어는 재료가 추출된 이후에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내부에 남아있는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메인 채널(4)은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해 재료 공급기(3)의 상류에 위치한 제1메인 채널(41)과, 재료 공급기(3)의 하류에 위치한 제2메인 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 채널(41)은 재료 공급기(3)에 포함된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중 가장 상류에 위치한 컨테이너 장착부(31)의 입구(3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1)은 재료 공급기(3)에 포함된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중 가장 하류에 위치한 컨테이너 장착부(33)의 출구(33b)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장착부(31)의 입구(31a)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제3장착부(33)의 출구(33a)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채널(4)에는 재료 공급기(3)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공급 밸브(310)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급 밸브(310)는 가장 상류에 위치한 재료 컨테이너(31)의 입구(31a)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공급 밸브(310)는 제1메인 채널(41)에 구비될 수 있고 제1메인 채널(41)을 개폐할 수 있다. 공급 밸브(310)는 이너 바디(230)(도 3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공급 밸브(310)는 컨트롤러(280)(도 3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메인 채널(4)에는 유체가 재료 공급기(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314)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체크 밸브(314)는 가장 하류에 위치한 재료 컨테이너(33)의 출구(33b)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크 밸브(314)는 제2메인 채널(42)에 구비될 수 있다. 체크 밸브(314)는 재료 공급기(3)를 통과한 유체가 음료 컨테이너(10)(11)를 향해 흐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분지 채널(44)(45)은 제2메인 채널(42)에서 분지될 수 있다. 즉, 분지 채널(42)은 재료 공급기(3)의 하류에서 분지될 수 있다. 한 쌍의 분지 채널(44)(45)은 제2메인 채널(42)에 구비된 체크 밸브(314)보다 하류에서 분지될 수 있다.
한 쌍의 분지 채널(44)(45)은, 제1음료 컨테이너(10)와 연통된 제1분지 채널(44)과, 제2음료 컨테이너(11)와 연통된 제2분지 채널(4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지 채널(44)은 제1발효 모듈(1)의 발효조 리드(107)를 통해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발효 모듈(1)의 발효조 리드(107)에는 제1분지 채널(44)과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분지채널 연결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내부에는 분지채널 연결부(115)와 연통된 튜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내측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분지 채널(44)은 메인 채널(4)로 유동된 유체를 제1음료 컨테이너(10)로 안내하거나, 제1음료 컨테이너(10)에 담긴 음료를 후술할 음료 취출기(6)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제1분지 채널(44)은 유체가 양방향으로 유동되는 양방향 채널일 수 있다.
제1분지 채널(44)에는 제1메인 밸브(46)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메인 밸브(46)는 제1분지 채널(44)을 개폐할 수 있다. 제1메인 밸브(46)는 이너 바디(230)(도 3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제1메인 밸브(46)는 컨트롤러(280)(도 3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제2분지 채널(45)은 제2발효 모듈(2)의 발효조 리드(107)를 통해 제2음료 컨테이너(11)의 내부 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발효 모듈(2)의 발효조 리드(107)에는 제2분지 채널(45)과 제2음료 컨테이너(11)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분지채널 연결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제2음료 컨테이너(11)의 내부에는 분지채널 연결부(115)와 연통된 튜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튜브는 제2음료 컨테이너(11)의 내측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분지 채널(45)은 메인 채널(4)로 유동된 유체를 제2음료 컨테이너(11)로 안내하거나, 제2음료 컨테이너(11)에 담긴 음료를 후술할 음료 취출기(6)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제2분지 채널(45)은 유체가 양방향으로 유동되는 양방향 채널일 수 있다.
제2분지 채널(45)에는 제2메인 밸브(47)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메인 밸브(47)는 제2분지 채널(45)을 개폐할 수 있다. 제2메인 밸브(47)는 이너 바디(230)(도 3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제2메인 밸브(47)는 컨트롤러(280)(도 3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제1메인 밸브(46)와 제2메인 밸브(47)는 동시에 클로즈되거나, 택일적으로 오픈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메인 채널(4)의 유체가 제1음료 컨테이너(10)로 유동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제1메인 밸브(46)가 오픈되고 제2메인 밸브(47)는 클로즈될 수 있다. 반대로, 메인 채널(4)의 유체가 제2음료 컨테이너(11)로 유동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제2메인 밸브(47)가 오픈되고 제1메인 밸브(46)는 클로즈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를 바이패스하여 제1메인 채널(41)과 제2메인 채널(42)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채널(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은 제1메인 채널(41)의 유체를 재료 공급기(3)를 바이패스하여 제2메인 채널(42)로 안내할 수 있다.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이나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는, 재료 공급기(3) 대신 바이패스 채널(43)을 통과하여 제1음료 컨테이너(10) 또는 제2음료 컨테이너(11)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재료 공급기(3)에 담긴 재료를 추출하지 않고도 음료 컨테이너(10)(11)에 물이나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34)의 일 단은 제1메인 채널(41)에 대해 공급 밸브(310)보다 상류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34)의 타 단은 제2메인 채널(42)에 대해 체크 밸브(314)와 한 쌍의 분지채널(44)(45)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34)에는 바이패스 밸브(35)가 구비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바이패스 채널(34)을 개폐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이너 바디(230)(도 3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컨트롤러(280)(도 3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34)에는 체크 밸브(3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324)는 유체가 바이패스 밸브(3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크 밸브(324)는, 유체가 바이패스 채널(43)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에서 제2메인 채널(42)로 흐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체크 밸브(324)는, 바이패스 채널(43)을 흐르는 유동에 대해, 바이패스 밸브(35)보다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 및 바이패스 채널(43)을 포함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메인 채널(4)은 단일 채널로 형성될 수 있고, 음료 컨테이너(10)(11)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음료 컨테이너(10)(11)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급수 모듈(5)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메인 채널(4) 및 분지 채널(44)(45)을 통해 음료 컨테이너(10)(11)에 물을 급수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물이 저장된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 펌프(52)와, 급수 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53)와, 메인 채널(4)에 연결된 급수 채널(55)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채널(55)은 급수 펌프(52)와 급수 히터(53)를 경유하여 수조(51)와 메인 채널(4)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수조(51)에 저장된 물은 급수 채널(55)을 통해 메인 채널(4)로 급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급수 채널(55)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 채널(55)은 제1메인 채널(41)에 대해 공급 밸브(310) 및 바이패스 채널(43)보다 상류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 채널(55)은, 급수 펌프(52)의 상류에 위치한 제1급수 채널(55a)과, 급수 펌프(52)의 하류에 위치한 제2급수 채널(5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급수 채널(55b)은 급수 히터(53)를 경유하여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수조(51)에 담긴 물은 제1급수 채널(55a)을 통해 급수 펌프(52)로 흡입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제2급수 채널(55b)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제1급수 채널(55a)에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56a)와,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급수 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54)가 설치될 수 있다. 머플러(56a)와, 플로우 미터(56b)와, 유량조절밸브(54)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급수 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4a)가 설치될 수 있다. 써미스터(54a)는 유량조절밸브(54)에 내장될 수 있다.
제2급수 채널(55b)에는 급수펌프(52)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59)가 설치될 수 있다. 체크밸브(59)는 제2급수 채널(55b)에 대해 급수 히터(53)보다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급수 채널(55b)의 물은 급수 히터(53)를 통과하며 온수로 가열될 수 있다. 일례로, 급수 히터(53)는, 히터 케이스와, 상기 히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2급수 채널(55b)의 일부를 형성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에 배치된 히팅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히터(53)에는, 급수 히터(53)의 최대 내압(예를 들어, 3.0bar)을 제한하는 세이프티 밸브(53a)가 연결될 수 있다. 세이프티 밸브(53a)는 급수 히터(53)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급수 히터(53)에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57)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한 쌍의 분지 채널(44)(45)와 연결된 음료 취출기(6)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 취출기(6)는 음료가 취출되는 디스펜서(62)와, 디스펜서(62)와 한 쌍의 분지 채널(44)(45)을 연결하는 취출 채널(61)을 포함할 수 있다.
취출 채널(61)은 한 쌍의 분지 채널(44)(45)뿐만 아니라 메인 채널(4)에도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제2메인 채널(42)의 단부(42a)에서 취출 채널(61)과, 제1분지 채널(44)과, 제2분지 채널(45)이 분지될 수 있다.
취출 채널(61)은, 음료 컨테이너(10)(11)에서 분지 채널(44)(45)로 유동된 음료를 디스펜서(62)로 안내할 수 있다.
취출 채널(61)에는 취출 밸브(64)가 구비될 수 있다. 취출 밸브(64)는 취출 채널(61)을 개폐할 수 있다. 취출 밸브(64)는 이너 바디(230)(도 3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취출 밸브(64)는 컨트롤러(280)(도 3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디스펜서(62)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레버가 구비될 수 있고, 취출 밸브(64)는 상기 레버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펜서(62)의 레버를 당기면 취출 밸브(64)는 취출 채널(61)을 개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디스펜서(62)의 레버를 원복시키면 취출 밸브(64)는 취출 채널(61)을 폐쇄할 수 있다.
취출 채널(61)에는 음료의 유압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감압 부품(60)이 설치될 수 있다. 감압 부품(60)는 취출 밸브(64)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감압 부품(60)를 통과하는 음료의 압력은 서서히 낮아질 수 있다. 이로써, 감압 부품(60)를 통과한 음료는 디스펜서(62)에서 취출되며 과다한 거품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취출 채널(61)에는 음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65)가 구비될 수 있다. 체크 밸브(65)는 감압 부품(60)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10)(11)에서 가스가 배출되는 한 쌍의 가스 배출기(7a)(7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스 배출기(7a)(7b)는, 제1발효 모듈(1)에 연결된 제1가스 배출기(7a)와, 제2발효 모듈(2)에 연결된 제2가스 배출기(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스 배출기(7a)는 제1음료 컨테이너(10)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제2가스 배출기(7b)는 제2음료 컨테이너(11) 내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각 가스 배출기(7a)(7b)는, 가스 배출채널(71)과, 가스 배출채널(71)에 구비된 압력 센서(72) 및 가스 배출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1) 내에서 발생한 가스는, 음료 컨테이너(10)(11)의 내압과 대기압의 차이에 의해 가스 배출채널(7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71)은 발효 모듈(1)(2)의 발효조 리드(107)를 통해 음료 컨테이너(10)(11)의 내부 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각 발효 모듈(1)(2)의 발효조 리드(107)에는 가스 배출채널(71)과 음료 컨테이너(10)(11)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압력 센서(72)는 가스 배출채널(71) 내의 압력, 즉 음료 컨테이너(10)(11)의 내압을 감지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가스 배출채널(71)을 개폐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가스 배출방향으로 압력 센서(72)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이너 바디(230)(도 3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컨트롤러(280)(도 3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71)에는 음료 컨테이너(10)(11)의 최대 내압을 제한하는 세이프티 밸브(75)가 연결될 수 있다. 세이프티 밸브(75)는 가스 배출채널(71)에 대해 압력 센서(72)와 가스 배출밸브(73)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스 배출채널(71)에는 가스의 배출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장치(76)가 연결될 수 있다. 소음 저감장치(76)는 가스 배출밸브(73)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소음 저감장치(76)는 오리피스 또는 머플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에어 주입기(8)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음료 컨테이너(10)(11)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주입기(8)는 메인 채널(4) 및 분지 채널(44)(45)을 통해 음료 컨테이너(10)(11)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주입기(8)는, 에어를 펌핑하는 제1에어 펌프(82)와, 제1에어 펌프(82)와 메인 채널(4)을 연결하는 에어 주입채널(81)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채널(81)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채널(81)은 제1메인 채널(41)에 대해 공급 밸브(310) 및 바이패스 채널(43)보다 상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에어 주입채널(81)은 급수 채널(55)과도 연통될 수 있다. 일례로, 에어 주입채널(81)과 급수채널(55)은 합지되어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채널(81)에는, 메인 채널(4)의 물이 제1에어 펌프(8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83)가 구비될 수 있다. 체크 밸브(83)는 에어가 제1에어 펌프(82)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유동 가능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 조절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0)의 내벽과 음료 컨테이너(10)(11)의 외면 사이의 압력를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0)의 내벽과 음료 컨테이너(10)(11)의 외면 사이 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거나, 상기 공간에서 에어를 배기시킬 수 있다. 즉, 에어 조절기(15)는 발효 모듈(1)(2)에 포함된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의 내압을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조절기(15)는, 제2에어 펌프(151)와, 제2에어 펌프(151)에 연결된 급기 채널(152)과, 급기 채널(152)에서 분지되어 한 쌍의 발효 모듈(1)(2)에 연결된 한 쌍의 에어 분지 채널(155)(156)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한 쌍의 에어 분지 채널(155)(156)에서 분지된 한 쌍의 배기 채널(158)(1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에어 펌프(151)는 급기 채널(152)로 에어를 급기할 수 있다. 급기 채널(152)에는 에어가 제2에어 펌프(15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152a)가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에어 분지 채널(155)(156)은 한 쌍의 발효 모듈(1)(2)의 발효조(110)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각 발효 모듈(1)(2)의 발효조(110)에는 에어 분지채널(155)(156)과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을 연통시키는 에어 분지채널 연결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에어 분지 채널(155)(156)은 발효조(110)의 내벽과 음료 컨테이너(10)(11)의 외면 사이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한 쌍의 에어 분지 채널(155)(156)은, 제1발효 모듈(1)에 연결된 제1에어 분지 채널(155)과, 제2발효 모듈(2)에 연결된 제2에어 분지 채널(15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에어 분지 채널(155)은 급기 채널(152)로 급기된 에어를 제1발효 모듈(1)의 발효조(110)의 내벽과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외면 사이로 안내할 수 있다.
제1에어 분지 채널(155)은, 급기 채널(152)과 제1배기 채널(158)을 연결하는 제1채널(155a)과, 상기 제1채널(155a)과 제1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제2채널(15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에어 분지 채널(155)의 제1채널(155a)은 에어를 급기 채널(152)에서 상기 제2채널(155b)로 안내할 수 있다. 제1에어 분지 채널(155)의 제2채널(155b)은 에어를 제1채널(155a)에서 발효조(10)의 내부 공간(S1)으로 안내하거나,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에서 제1배기 채널(158)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채널(155a)은 에어가 일 방향으로만 유동하는 일 방향 채널이고, 상기 제2채널(155b)은 에어가 양 방향으로 유동가능한 양방향 채널일 수 있다.
제2에어 분지 채널(156)은 급기 채널(152)로 급기된 에어를 제2발효 모듈(2)의 발효조(110)의 내벽과 제2음료 컨테이너(11)의 외면 사이로 안내할 수 있다.
제2에어 분지 채널(156)은, 급기 채널(152)과 제2배기 채널(159)을 연결하는 제1채널(156a)과, 상기 제1채널(156a)과 제2발효 모듈(2)을 연결하는 제2채널(15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에어 분지 채널(156)의 제1채널(156a)은 에어를 급기 채널(152)에서 상기 제2채널(156b)로 안내할 수 있다. 제2에어 분지 채널(156)의 제2채널(156b)은 에어를 제1채널(156a)에서 발효조(10)의 내부 공간(S1)으로 안내하거나,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에서 제2배기 채널(159)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채널(156a)은 에어가 일 방향으로만 유동하는 일 방향 채널이고, 상기 제2채널(156b)은 에어가 양 방향으로 유동가능한 양방향 채널일 수 있다.
각 에어 분지채널(155)(156)에는 급기 밸브(153)가 구비될 수 있다. 급기 밸브(153)은 에어 분지채널(155)(156)을 개폐할 수 있다. 급기 밸브(153)는 이너 바디(230)(도 3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급기 밸브(153)는 컨트롤러(280)(도 3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급기 밸브(153)은 에어 분지 채널(155)(156)에 대해 배기 채널(158)(159)보다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급기 밸브(153)는 각 에어 분지 채널(155)(156)의 제1채널(155a)(156a)에 구비될 수 있다.
배기 채널(158)(159)은 에어 분지채널(155)(156)의 제2채널(155b)(156b)을 통해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과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한 쌍의 배기 채널(158)(159)은, 제1에어 분지 채널(155)에서 분지된 제1배기 채널(158)과, 제2에어 분지 채널(156)에서 분지된 제2배기 채널(15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배기 채널(158)은 제1발효 모듈(1)의 발효조(110)의 내벽과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외면 사이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제2배기 채널(159)은 제2발효 모듈(2)의 발효조(110)의 내벽과 제2음료 컨테이너(11)의 외면 사이의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각 배기 채널(158)(159)에는 배기 밸브(154)가 구비될 수 있다. 배기 밸브(154)는 배기 채널(158)(159)을 개폐할 수 있다. 배기 밸브(154)는 이너 바디(230)(도 3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배기 밸브(154)는 컨트롤러(280)(도 3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발효조(110)의 내압이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에서 배기 밸브(154)가 오픈되면, 압력차에 의해 발효조(110)의 내벽과 음료 컨테이너(10)(11)의 외면 사이의 공기가 배기 채널(158)(159)로 배기될 수 있다. 따라서, 발효조(110)의 내압이 내려갈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가 흡입되는 흡입채널(84)과, 상기 흡입채널(84)에서 분지되어 한 쌍의 에어 펌프(82)(151)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 채널(85)(150)을 포함할 수 있다.
외기는 흡입 채널(84)을 통해 흡입될 수 있다. 흡입 채널(84)에는 에어 필터(8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필터(84a)는 흡입 채널(84)로 흡입되는 에어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흡입 채널(84)에는 에어 흡입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84b)가 설치될 수 있다. 머플러(84b)는 에어 필터(84a)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 채널(85)(150)은 흡입 채널(84)에 대해 에어 필터(84a) 및 머플러(84b)의 하류에서 분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 채널(85)(150)은, 제1에어 펌프(82)에 연결된 제1연결 채널(85)과, 제2에어 펌프(151)에 연결된 제2연결 채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 채널(85)은 에어를 흡입 채널(84)에서 제1에어 펌프(82)로 안내할 수 있다. 제2연결 채널(150)은 에어를 흡입 채널(84)에서 제2에어 펌프(151)로 안내할 수 있다.
다만, 음료 제조기가 흡입 채널(84)을 포함하지 않고, 제1연결 채널(85)과 제2연결 채널(150)로 각각 외기가 직접 흡입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제1연결 채널(85) 및 제2연결 채널(150)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연결 채널(85) 및 제2연결 채널(150)에는 각각 에어 필터 및 머플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클리닝 채널(91)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리닝 채널(91)은, 메인 채널(4) 및 한 쌍의 분지 채널(44)(45)을 바이패스하여 물이나 에어를 음료 취출기(6)로 안내할 수 있다.
클리닝 채널(91)은, 메인 채널(4) 및 한 쌍의 분지 채널(44)(45)을 바이패스하여, 급수 채널(55)과 취출 채널(61)을 연결할 수 있다.
클리닝 채널(91)의 일 단은 제2급수 채널(55b)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클리닝 채널(91)의 일 단은 급수 채널(55)에 대해 급수 펌프(52)와 급수 히터(53)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클리닝 채널(91)의 일 단은 급수 채널(55)에 대해 체크 밸브(59)와 급수 히터(53)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클리닝 채널(91)의 타 단은 취출 채널(61)에 대해 취출 밸브(64)의 상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클리닝 채널(91)의 타 단은 취출 채널(61)에 대해 한 쌍의 분지 채널(44)(45)과 취출 밸브(64)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클리닝 채널(91)에는 클리닝 밸브(92)가 구비될 수 있다. 클리닝 밸브(92)는 클리닝 채널(91)을 개폐할 수 있다. 클리닝 밸브(92)는 이너 바디(230)(도 3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클리닝 밸브(92)는 컨트롤러(280)(도 3 참조)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클리닝 채널(91)에는, 물이나 에어나 음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93)가 구비될 수 있다. 체크 밸브(93)는 클리닝 채널(91)에 대해 클리닝 밸브(92)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체크 밸브(93)는 물이나 에어가 클리닝 채널(91)을 통해 급수 채널(55)에서 취출 채널(61)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음료 제조기는, 한 쌍의 발효 모듈(1)(2) 중 어느 하나에서 음료를 제조하거나, 한 쌍의 발효 모듈(1)(2)에서 동시에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재료 공급기(3)에 장착되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을 달리하여, 제1발효 모듈(1)과 제2발효 모듈(2)에 서로 다른 타입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기는 일 발효 모듈(1)에 제조 완료된 음료가 보관된 상태에서, 타 발효 모듈(2)에서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타 발효 모듈(2)에서 발효가 진행중인 경우에도 상기 일 발효 모듈(1)에 보관된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기는 한 쌍의 발효 모듈(1)(2)에 제조 완료된 음료가 보관된 상태에서, 한 쌍의 발효 모듈(1)(2) 중 어느 하나에 보관된 음료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 쌍의 발효 모듈(1)(2)에 보관된 서로 다른 타입의 음료를 선택적으로 취출하여 마시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발효 모듈(1)에는 에일 맥주가 제조되어 보관될 수 있고, 제2발효 모듈(2)에는 라거 맥주가 제조되어 보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213b)(도 1 참조)를 통해 어느 음료를 취출할지 결정하여 해당 음료를 선택적으로 취출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에는 제1발효 모듈(1)에 대한 작용이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제1발효 모듈(1)에서 음료가 제조 및 취출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다만, 당업자는 이로부터 제2발효 모듈(2)에 대한 작용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의 음료 제조 방법은 음료 컨테이너(10)(11)로 온수를 급수하는 급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단계는 음료 컨테이너(10)(11) 내의 맥아를 온수와 고르게 믹싱하여 액상 맥아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급수 단계 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밸브(92), 공급 밸브(310) 및 제2메인 밸브(47)는 클로즈 유지되고, 바이패스 밸브(35) 및 제1메인 밸브(46)는 오픈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51)의 물은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 채널(55)로 유동되고 급수 히터(53)를 통과하며 가열될 수 있다. 급수 히터(53)에서 가열된 온수는, 제1메인 채널(41), 바이패스 채널(43), 제2메인 채널(42), 제1분지 채널(4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온수는 제1음료 컨테이너(10)에 담겨있던 맥아와 혼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의 음료 제조 방법은 음료 컨테이너(10)(11)로 에어를 주입하는 급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 단계는 앞서 도 8에서 설명한 급수 단계의 이후에 실시되거나, 상기 급수 단계와 번갈아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급기 단계는 음료 컨테이너(10)(11) 내의 액상 맥아를 고르게 믹싱하는 단계이거나, 상기 액상 맥아에 산소를 공급하는 에어레이션(Aeration) 단계일 수 있다.
급기 단계 시, 제1에어 펌프(82)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밸브(92), 공급 밸브(310) 및 제2메인 밸브(47)는 클로즈 유지되고, 바이패스 밸브(35) 및 제1메인 밸브(46)는 오픈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는 흡입 채널(84) 및 제1연결 채널(8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에어 펌프(82)로 흡입될 수 있고, 제1에어 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에어는 에어 주입채널(81), 제1메인 채널(41), 바이패스 채널(43), 제2메인 채널(42), 제1분지 채널(4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에어는 제1음료 컨테이너(10)에 담겨있던 액상 맥아를 교반하거나 에어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의 음료 제조 방법은 재료 투입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 투입단계는, 재료 공급기(3)에 장착된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를 추출하여 음료 컨테이너(10)(11)로 공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재료 투입단계는 앞서 도 8에서 설명한 급수 단계 및 도 9에서 설명한 급기 단계의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재료 투입단계는, 발효조(10)의 내부 온도가 증발 튜브(134)에 의해 발효 가능한 온도로 조절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재료 공급기(3)에 3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재료 투입단계 시, 급수 펌프(52)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밸브(92), 바이패스 밸브(35) 및 제2메인 밸브(47)는 클로즈 유지되고, 공급 밸브(310) 및 제1메인 밸브(46)는 오픈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펌프(52)에 의해 펌핑된 수조(51)의 물은 급수 채널(55) 및 제1메인 채널(4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재료 컨테이너(C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재료 컨테이너(C1)로 유입된 물은 제1재료 컨테이너(C1)에 수용되어 있던 제1재료(예를 들어, 이스트)와 혼합되고, 상기 제1재료와 함께 제1연결 채널(311)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연결채널(311)를 통해 제2재료 컨테이너(C2)로 유입된 유체(물과 제1재료의 혼합물)는, 제2재료 컨테이너(C2)에 수용되어 있던 제2재료(예를 들어, 홉)와 혼합되고, 상기 제2재료와 함께 함께 제2연결채널(31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연결채널(312)를 통해 제3 재료 컨테이너(C3)로 유입된 유체(물, 제1재료 및 제2재료의 혼합물)는, 제3 재료 컨테이너(C3)에 수용되어 있던 제3재료(예를 들어, 오일)와 혼합되고, 상기 제3재료와 함께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된 유체(물, 제1재료, 제2재료 및 제3재료의 혼합물)는, 제1분지 채널(44)을 통과하여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제1음료 컨테이너(10)에 담겨있던 액상 맥아와 혼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의 음료 제조 방법은 잔수 제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수 제거단계는, 재료 공급기(3)에 장착된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내부에 남은 잔수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잔수 제거단계는, 앞서 도 10에서 설명한 재료 투입단계의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잔수 제거단계 시, 제1에어 펌프(82)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밸브(92), 바이패스 밸브(35) 및 제2메인 밸브(47)는 클로즈 유지되고, 공급 밸브(310) 및 제1메인 밸브(46)는 오픈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는 흡입 채널(84) 및 제1연결 채널(8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에어 펌프(82)로 흡입될 수 있고, 제1에어 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에어는 에어 주입채널(81), 제1메인 채널(41), 제1재료 컨테이너(C1), 제1연결 채널(311), 제2음료 컨테이너(C2), 제2연결 채널(312), 제3재료 컨테이너(C3), 제2메인 채널(42) 및 제1분지 채널(44)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내부에 남아있던 잔수는 상기 에어와 함께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의 음료 제조 방법은, 음료 컨테이너(10)(11)의 내부 공간(S2)에서 발효가 진행되는 발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 단계는, 앞서 도 10에서 설명한 재료 투입단계의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도 11의 잔수 제거단계가 실시되는 경우, 상기 발효 단계는 상기 잔수 제거단계의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발효 단계 시, 제1메인 밸브(46)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발효 모듈(1)의 발효조(110)의 온도는 증발 튜브(134) 또는 히터(14)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발효 단계 시,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내압은 제1가스 배출기(7a)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1가스 배출기(7a)의 압력 센서(72)는 가스 배출밸브(73)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내압을 감지할 수 있다.
발효 단계 도중, 제1가스 배출기(7a)의 가스 배출밸브(73)는 적어도 1회 개폐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음료 컨테이너(10) 내에서 발효가 진행되면 가스가 발생하여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내압이 상승할 수 있다.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면 가스 배출밸브(73)가 오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음료 컨테이너(10) 내의 가스는 가스 배출채널(7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1발효 모듈(1)의 발효 단계 도중에, 제2발효 모듈(2)에서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발효 모듈(1)의 발효 단계가 개시된 이후, 사용자는 재료가 기 추출된 재료 컨테이너(C1)(C2)(C3)를 재료 공급기(3)에서 인출하고, 다른 타입의 음료를 제조가능한 재료가 담긴 재료 컨테이너(C1)(C2)(C3)를 재료 공급기(3)에서 장착할 수 있다. 이후, 제2발효 모듈(2)에서는 앞서 설명한 급수 단계, 에어 주입단계, 재료 투입 단계, 잔수 제거 단계 및 발효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는 제조 완료되어 보관중인 음료를 취출하는 취출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이하, 제1음료 컨테이너(10)에 담긴 음료를 취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음료가 보관되는 도중에, 사용자는 디스펜서(62)를 조작하여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제1음료 컨테이너(10)에 담긴 음료는, 제1발효 모듈(1)의 발효조(110)의 내벽과 제1음료 컨테이너(10) 사이의 압력, 즉 발효조(110)의 내압에 의해 수축되며 음료가 취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료의 보관 시, 에어 조절기(15)는 제1발효 모듈(1)의 발효조(110)의 내압을 기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의 일부 취출에 의해 발효조(110)의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 미만으로 내려가면, 제2에어 펌프(151)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제1에어 분지 채널(155)의 급기 밸브(153)가 오픈되고, 제1배기 채널(158)의 배기 밸브(154)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는 흡입 채널(84) 및 제2연결 채널(15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에어 펌프(151)로 흡입될 수 있고, 제2에어 펌프(151)는 급기 채널(152)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에어는 제1에어 분지 채널(155)을 통과하여 발효조(110)의 내벽과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외면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10)의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62)의 레버를 당기면 제1메인 밸브(46) 및 취출 밸브(64)가 오픈될 수 있다. 이 때 제2메인 밸브(47)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발효조(110)의 내압에 의해 제1음료 컨테이너(10)는 수축할 수 있고, 제1음료 컨테이너(10)에 담긴 음료는 제1분지 채널(44) 및 취출 채널(6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디스펜서(62)로 취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62)의 레버를 원복시키면 제1메인 밸브(46) 및 취출 밸브(64)는 클로즈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 조절기(15)는 제1발효 모듈(1)의 발효조(110)의 내압을 기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는 음료 취출기(6)를 클리닝시키는 취출기 클리닝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취출기 클리닝 단계는 디스펜서 클리닝 단계로 명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취출기 클리닝 단계는, 음료 취출기(7)에서 적어도 1회 음료가 취출된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마지막으로 실시된 취출 단계가 완료되고 다음 취출 단계가 실시되기까지 상당한 시간 간격이 존재할 경우, 음료 취출기(6)에 남아있던 음료에 의해 음료 취출기(6)의 내부가 오염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실시된 음료 취출단계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음료 취출단계가 재실시되는 경우 상기 취출기 클리닝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취출기 클리닝 단계는, 음료 취출기(7)에서 기 취출된 음료와 다른 타입의 음료가 취출되는 경우에 실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일 음료 컨테이너(10)에서 제1타입 음료(예를 들어, 에일)가 취출된 이후에 타 음료 컨테이너(11)에서 제2타입 음료(예를 들어, 라거)가 취출되는 경우, 상기 제2타입 음료가 음료 취출기(6)에 남아있던 제1타입 음료와 섞여, 상기 제2타입 음료의 맛이 변질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실시된 음료 취출단계에서 취출된 음료와 다른 타입의 음료가 취출되는 경우 상기 취출기 클리닝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를 클리닝 하기 위해서는 유체가 음료 취출기의 내부를 통과하여야 하므로, 사용자는 디스펜서(62)의 레버를 당겨 취출기 클리닝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취출기 클리닝 단계는 취출 밸브(64)가 오픈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취출기 클리닝 단계는, 에어 클리닝 단계(도 14 참조) 또는 물 클리닝 단계(도 15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클리닝 단계 및 물 클리닝 단계는 기설정된 순서로 실시되거나, 상기 둘 중 어느 하나만이 단독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취출기(7)의 간단한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에어 클리닝 단계만이 단독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음료 취출기(7)의 철저한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물 클리닝 단계와 상기 에어 클리닝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클리닝 단계 시, 제1에어 펌프(82)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공급 밸브(310) 및 바이패스 밸브(35)는 클로즈 유지되고, 클리닝 밸브(92)는 오픈될 수 있다. 이 때 취출 밸브(64)는 오픈된 상태이다.
따라서, 외기는 흡입 채널(84) 및 제1연결 채널(8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에어 펌프(82)로 흡입될 수 있고, 제1에어 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에어는 클리닝 채널(91) 및 취출 채널(6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디스펜서(62)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음료 취출기(6)의 내부에 남아있던 음료는 상기 에어와 함께 디스펜서(62)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취출기(7)의 내부가 에어에 의해 클리닝될 수 있다.
또한, 급수 채널(55)에 대해 에어 주입채널(81)과 클리닝 채널(91) 사이에 급수 히터(53)가 위치하므로, 상기 에어는 급수 히터(53)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는 급수 히터(53) 내부에 남아있는 잔수도 제거 가능하다.
상기 물 클리닝 단계 시, 급수 펌프(52)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공급 밸브(310) 및 바이패스 밸브(35)는 클로즈 유지되고, 클리닝 밸브(92)는 오픈될 수 있다. 이 때 취출 밸브(64)는 오픈된 상태이다.
따라서, 수조(51)의 물은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 채널(55)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물은, 클리닝 채널(91) 및 취출 채널(6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디스펜서(62)로 토출될 수 있다. 디스펜서(62)로 토출된 물은 드립 트레이(214)(도 1 참조)로 낙하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음료 취출기(6)의 내부에 남아있던 음료는 상기 물과 함께 디스펜서(62)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취출기(7)의 내부가 물에 의해 클리닝될 수 있다.
상기 물 클리닝 단계 이후에 상기 에어 클리닝 단계가 실시되는 경우, 음료 취출기(7) 내에 남아있던 잔수(세척수)는 에어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10)의 내압을 낮추는 감압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압 단계는 음료가 제조 완료된 후 사용자가 발효조 리드(107)를 개방하려 할 때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감압 단계는 음료 컨테이너(10)(11)의 음료가 소진된 경우에 실시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발효조의 내압이 대기압보다 고압인 상태에서 발효조 리드(107)를 개방하면, 음료 컨테이너(10)(11)은 압력차에 의해 발효조(110)의 상부로 튀어 오를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발효조 리드(107)를 개방하기 이전에 감압 단계가 실시되면, 발효조 리드(107)를 열었을 때 음료 컨테이너 컨테이너(10)(11)은 상측으로 튀어 오르지 않고 발효조(110)의 내부에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음료 컨테이너(10)(11)을 발효조(110)에서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하, 제1발효 모듈(1)의 발효조(110)의 내압을 감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감압 단계 시, 제1에어 분지 채널(155)의 급기 밸브(153)는 클로즈 유지되고 제1배기 채널(158)의 배기 밸브(154)는 오픈될 수 있다.
따라서, 발효조(110)의 내벽과 제1음료 컨테이너(10)의 외면 사이의 공기는, 발효조(110)의 내압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해, 제1에어 분지 채널(155)의 제2채널(155b) 및 제1배기 채널(158)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기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10)의 내압이 대기압 수준까지 내려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내부 공간을 갖는 한 쌍의 발효조;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한 쌍의 발효조 리드;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내부 온도를 서로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
    음료 재료가 담긴 재료 컨테이너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외부에 배치된 재료 공급기;
    상기 재료 공급기를 경유하는 메인 채널;
    상기 메인 채널에서 분지되고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에 연결된 한 쌍의 분지 채널; 및
    상기 한 쌍의 분지 채널와 연결된 음료 취출기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공급기는 상기 한 쌍의 발효조 사이에 위치한 음료 제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에어 펌프;
    상기 에어 펌프에 연결된 급기 채널; 및
    상기 급기 채널에서 분지되어 상기 한 쌍의 발효조에 연결된 한 쌍의 에어 분지 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료 컨테이너는 플랙시블한 재질을 포함하고,
    각 에어 분지 채널은, 상기 발효조의 내벽과 상기 음료 컨테이너의 외면 사이로 에어를 안내하는 음료 제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에어 분지 채널에서 분지되고 상기 발효조의 내벽과 상기 음료 컨테이너의 외면 사이의 에어가 배기되는 한 쌍의 배기 채널을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음료 컨테이너 내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한 쌍의 가스 배출기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후방에 배치된 수조;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메인 채널로 급수하는 급수 펌프; 및
    상기 급수 펌프에 의해 급수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펌프 및 급수 히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재료 공급기의 하측에 위치한 음료 제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수조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백 커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백 커버는,
    상기 수조의 전방에 위치한 어퍼 커버부; 및
    상기 어퍼 커버부에 대해 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수조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로어 커버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기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키는 응축기; 및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외둘레에 권취되고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가 나뉘어 유동되는 한 쌍의 증발 튜브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 및 응축기가 배치된 기계실을 형성하는 백 커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채널로 에어를 주입하고 상기 재료 공급기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발효조 사이에 위치한 에어 펌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발효조의 사이 공간을 전방에서 커버하는 센터 커버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취출기는,
    상기 센터 커버에 장착된 디스펜서; 및
    상기 한 쌍의 분지 채널과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취출 채널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채널 및 한 쌍의 분지 채널을 바이패스하여 물이나 에어를 상기 음료 취출기로 안내하는 클리닝 채널을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일 음료 컨테이너에 담긴 음료가 상기 음료 취출기로 취출되면, 타 음료 컨테이너에 담긴 음료가 상기 음료 취출기로 취출되기 이전에, 상기 클리닝 채널을 통해 상기 음료 취출기를 클리닝시키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 채널은,
    음료 제조 시, 상기 메인 채널의 유체를 상기 음료 컨테이너 내로 안내하고,
    음료가 제조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음료 컨테이너 내의 음료를 상기 음료 취출기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음료 제조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지 채널을 개폐하는 한 쌍의 메인 밸브; 및
    상기 메인 채널의 유체가 상기 한 쌍의 분지 채널에 택일적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 밸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9.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자 독립적인 온도 조절이 가능한 제1발효조 및 제2발효조;
    상기 제1발효조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제1음료 컨테이너;
    상기 제2발효조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제2음료 컨테이너;
    음료 재료가 담긴 재료 컨테이너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1발효조와 상기 제2발효조의 외부에 배치된 재료 공급기;
    상기 재료 공급기를 경유하도록 물이나 에어를 안내하는 메인 채널;
    상기 메인 채널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1음료 컨테이너에 연결된 제1분지 채널;
    상기 메인 채널에서 분지되어 상기 제2음료 컨테이너에 연결된 제2분지 채널; 및
    상기 제1분지 채널 및 제2분지 채널과 연결된 음료 취출기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효조 및 제2발효조는 상기 재료 공급기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된 음료 제조기.
KR1020200072110A 2020-06-15 2020-06-15 음료 제조기 KR102434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10A KR102434281B1 (ko) 2020-06-15 2020-06-15 음료 제조기
US17/332,899 US20210388297A1 (en) 2020-06-15 2021-05-27 Beverag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10A KR102434281B1 (ko) 2020-06-15 2020-06-15 음료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088A true KR20210155088A (ko) 2021-12-22
KR102434281B1 KR102434281B1 (ko) 2022-08-22

Family

ID=78824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110A KR102434281B1 (ko) 2020-06-15 2020-06-15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388297A1 (ko)
KR (1) KR1024342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880A (ko) * 2016-01-19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제조장치
KR20190008735A (ko) * 2017-07-17 2019-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173849T3 (en) * 2007-08-01 2018-03-19 Williamswarn Holdings Ltd COMBINED BREWING SYSTEM
US20140017354A1 (en) * 2012-07-05 2014-01-16 James Joseph Beer brewing system and method
CN107400584B (zh) * 2016-05-18 2021-06-29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CN107400585B (zh) * 2016-05-18 2021-07-30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US11168291B2 (en) * 2016-07-17 2021-11-09 Lg Electronics Inc. Beer maker
US10808213B2 (en) * 2016-07-17 2020-10-20 Lg Electronics Inc. Beer maker
KR102216748B1 (ko) * 2017-06-26 2021-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469225B1 (ko) * 2017-07-19 202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515595B1 (ko) * 2017-11-16 202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558089B1 (ko) * 2017-11-17 2023-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587228B1 (ko) * 2017-11-17 2023-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521998B1 (ko) * 2017-11-17 2023-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606411B1 (ko) * 2017-11-17 2023-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음료 제조 방법
KR102548264B1 (ko) * 2017-11-17 202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및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880A (ko) * 2016-01-19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제조장치
KR20190008735A (ko) * 2017-07-17 2019-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 2010/0129490 A1 (COMBINED BREWING SYSTEM, 2010.05.27 공개)
US 2014/0017354 A1 (BEER BREWING SYSTEM AND METHOD, 2014.01.16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281B1 (ko) 2022-08-22
US20210388297A1 (en)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6305B1 (en) Beverage maker
KR102219783B1 (ko) 음료 제조장치 및 음료 제조장치의 음료 취출방법
KR102304274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3666874A1 (en) Beverage maker
US10968420B2 (en) Beverage maker
KR20220042330A (ko) 음료 제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세척 시스템
EP3486308B1 (en) Beverag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
KR102434281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24B1 (ko) 음료 제조기
EP3739031B1 (en)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KR20220006882A (ko) 음료 제조기
US11999927B2 (en) Beverage maker
KR102339174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2528396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5677B1 (ko) 음료재료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20190051372A (ko) 음료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533780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2807B1 (ko) 음료 제조기
EP3739032B1 (en) Beverage maker
KR102282489B1 (ko) 음료 제조기
KR102314618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71262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0610B1 (ko) 음료 제조기
KR20190016301A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음료 제조 방법
KR102216741B1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