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807B1 -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807B1
KR102482807B1 KR1020200077443A KR20200077443A KR102482807B1 KR 102482807 B1 KR102482807 B1 KR 102482807B1 KR 1020200077443 A KR1020200077443 A KR 1020200077443A KR 20200077443 A KR20200077443 A KR 20200077443A KR 102482807 B1 KR102482807 B1 KR 102482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channel
additional
beverag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8718A (ko
Inventor
이상준
김영진
홍진표
박범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80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03Fermentation of beerwort
    • C12C11/006Fermentation tank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5/00Other raw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 C12C5/002Brew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5/00Other raw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 C12C5/02Additives for beer
    • C12C5/026Beer flavour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발효 모듈; 상기 발효 모듈로 투입되는 첨가물이 수용된 복수의 캡슐이 장착되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재료 수용부 및 상기 재료 수용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된 추가 재료 수용부가 포함되는 재료 공급기; 및 상기 복수의 재료 수용부와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의 첨가물이 발효 모듈로 독립적으로 투입되도록 상기 재료 공급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제조기{BEVERAGE MAKER}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9-0056909호에는 직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재료 수용부가 구비되는 음료 제조기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경우, 복수의 첨가물을 발효 모듈에 투입하기 위해 복수의 캡슐이 장착되는 복수의 재료 수용부가 모두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첨가물이 동시에 발효 모듈에 투입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음료의 맛과 향은 저하되고, 씁쓸함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최적의 음료의 맛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맛에 맞게 자유롭게 음료를 제조하는 것에 있어 제약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음료의 맛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발효 과정 중 추가로 첨가물을 발효 모듈로 투입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발효 과정에서의 압력 조건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추가로 첨가물을 발효 모듈로 투입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기존의 재료 수용부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추가 재료 수용부를 통해 음료의 맛 품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발효 과정 중에 추가로 첨가물을 발효 모듈로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발효 모듈; 상기 발효 모듈로 투입되는 첨가물이 수용된 복수의 캡슐이 장착되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재료 수용부 및 상기 재료 수용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된 추가 재료 수용부가 포함되는 재료 공급기; 및 상기 복수의 재료 수용부와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의 첨가물이 발효 모듈로 독립적으로 투입되도록 상기 재료 공급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 수용부를 바이패스하는 추가 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추가 채널에 추가 공급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재료 수용부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제1메인채널; 상기 재료 수용부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제2메인채널이 더 포함되고, 상기 추가 채널의 일단은 제1메인채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메인채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재료 수용부의 입구측에 상기 재료 수용부로의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재료 공급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추가 채널의 일단은 상기 재료 공급 밸브의 입구측에 연결될 수 이싸.
상기 재료 수용부의 출구측에 제2메인채널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추가 채널의 타단은 상기 재료 수용부와 상기 메인 밸브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가 상기 추가 채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추가 공급 밸브는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와 상기 추가 채널의 제1메인채널과 연결되는 일단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가 상기 발효 모듈과 재료 수용부를 연결하는 제2메인채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재료 수용부의 출구측에 제2메인채널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는 상기 발효 모듈과 상기 메인 밸브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에 장착되는 추가 캡슐이 더 포함되고, 상기 추가 캡슐의 첨가물은 상기 복수의 재료 수용부에 장착되는 캡슐의 첨가물이 상기 발효모듈로 투입되어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발효모듈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효모듈에서 음료의 발효가 진행되도록 상기 발효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추가 캡슐의 첨가물을 상기 발효모듈로 투입시킬 수 있다.
상기 발효모듈은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효 리드가 오픈되어 발효가 진행되는 상태일 때, 상기 추가 캡슐의 첨가물을 상기 발효모듈로 투입할 수 이싸.
상기 추가 캡슐이 추가되는 단계에서 상기 추가 공급 밸브가 오픈되고, 상기 재료 수용부는 바이패스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캡슐이 추가되는 단계에서 상기 재료 공급 밸브는 클로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요 첨가물을 포함하는 재료 수용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추가 재료 수용부에 의해 추가적으로 맥주에 향과 맛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음료의 맛 품질을 높이고, 향미가 날아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효 공정 중 추가적으로 맥주에 향과 맛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각 발효단계를 확인하여 압력이 차있는 발효 공정 중 압력의 손실 없이 향과 맛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에 포함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제어 수순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가 맥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에 포함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는 특정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이 투입되면, 투입된 재료들의 혼합, 발효, 숙성 등을 통해 음료를 제조하는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발효모듈(1), 재료 공급기(3), 급수모듈(5), 컨트롤러(281A), 및 저장부(284)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모듈(1)은 음료가 제조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음료의 제조를 위한 재료들은 상기 공간에 수용되어 혼합(믹싱)이나 발효 등의 단계를 거쳐, 사용자가 음용가능한 음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발효모듈(1)은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발효조, 발효조를 개폐하는 리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음료의 제조를 위해 필요한 재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복수의 재료들이 수용되는 경우, 재료 공급기(3)는 재료들을 서로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다. 분리된 재료들은, 음료 제조 시 각각의 투입 시기에 따라 발효모듈(1)의 상기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다.
급수모듈(5)는 음료의 제조 시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급수모듈(5)는 물이 보관되는 수조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외부의 급수장치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수조에 보관된 물 또는 외부의 급수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음료 제조기 내의 발효모듈(1)이나 재료 공급기(3)로 투입하기 위해, 급수모듈(5)은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모듈(5)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이동하는 제1 메인채널(41)과, 발효모듈(1)과 연결된 제2 메인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채널(41)과 제2 메인채널(42) 사이에는 재료 공급 장치 입구채널과 재료 공급 장치 출구채널, 및 바이패스 채널(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모듈(5)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재료 공급 장치 입구채널, 재료 공급기(3), 재료 공급 장치 출구채널, 및 제2 메인채널(42)을 거쳐 발효모듈(1)로 유입되거나, 바이패스 채널(43) 및 제2 메인채널(42)을 거쳐 발효모듈(1)로 유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음료의 제조를 위해 음료 제조기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281A)는 음료 제조기 내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모듈(5)을 제어하거나, 재료가 발효모듈(1) 내로 투입되도록 재료 공급기(3)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하드웨어 측면에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마이크로컴퓨터,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기타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84)는 컨트롤러(281A)가 음료 제조기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음료의 제조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음료의 제조와 관련된 정보는, 제조할 음료의 종류에 따른 설정값들(온도, 압력,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음료 제조기는 발효모듈(1)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11)와, 제조 중인 음료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을 조절하는 가스배출기(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기(11)는 발효모듈(1) 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기(7)는 발효모듈(1) 내의 음료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을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기(7)는 가스 취출채널(71)을 통해 발효모듈(1)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기는 발효모듈(1) 내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주입기(8)는 에어를 펌핑하여 음료 제조기 내로 공급하는 에어 주입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된 에어는 재료 공급기(3) 또는 발효모듈(1)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음료 취출기(6)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상기 메인 채널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발효 모듈(1)에서 취출된 음료가 상기 메인 채널 중 하나의 일부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200) 및 아우터 케이스(200)의 밑면에 위치하는 베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아우터 케이스(200)는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으며, 발효 모듈(1) 및 수조(51)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공통적인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서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11)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모듈(5)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 모듈(5)과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메인 채널(4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음료 취출기(6)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발효 모듈(1)에서 취출된 음료가 제2메인 채널(42)의 일부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안내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가스배출기(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어, 음료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모듈(5)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는 에어 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에어 조절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서브 채널(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과 음료 취출기(6)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발효 모듈(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발효 모듈(1)은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111)과, 개구부(170)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11)은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 케이스(160)에 수용되고 내부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조(112) 사이에는 단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11)은 발효 리드(107)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바디(1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 및 발효조(112)는 각각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는 발효조 모듈(111)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 모듈(111)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모듈(111)의 상측에 배치되어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메인 채널, 좀 더 상세하게는 제2메인 채널(42)와 연결되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발효조(112)의 내부에는 발효 컨테이너(12)가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음료 재료 및 완성된 음료가 발효조(112)의 내벽에 뭍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의 내부에 안착되어 발효조(112) 내부에서 음료를 발효시킬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후, 발효조(11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발효조(112)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압력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효 컨테이너(12)가 페트(pet)의 재질을 갖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는 음료 재료가 수용되고 음료가 제조되는 음료 제조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12)의 내부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 리드(107)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 컨테이너(12)가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와 발효 리드(107)에 의해 밀폐된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담겨있던 음료가 취출되고 발효조(112)의 내면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로 에어가 공급되면, 발효조(112) 내부의 에어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발효 케이스(1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발효조(112)의 외둘레 및 저면은 발효 케이스(16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조(112)의 외둘레는 발효 케이스(160)의 내둘레와 이격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측 저면은 발효 케이스(160)의 내측 저면과 이격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조(112) 사이에는 단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는 발효 케이스(160) 내부에 위치하고 발효조(112)를 둘러쌀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12)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는 단열성능이 높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조(112)에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센서(16)는 발효조(112)의 둘레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온도 센서(16)는 발효조(112)에 감긴 증발기(13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온도 조절기(1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온도 조절기(11)는 발효조 모듈(111)의 내부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온도 조절기(11)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발효조(112)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냉동 사이클 장치(13)와 히터(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조절기는 열전소자(TEM)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냉동 사이클 장치(13)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기는 증발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와 단열부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고, 단열부에 의해 단열된 발효조(112)를 냉각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발효조(112)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저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플레이트 히터(Plate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증발기(134) 및 히터(14)에 의해 발효조(112)의 내부에서 유체의 자연 대류가 발생할 수 있고 발효조(112) 및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이하, 메인 채널(41)(42) 및 바이패스 채널(43)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채널(41)(42)은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기(3)를 연결하는 제1메인 채널(41)과, 재료 공급기(3)와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제2메인 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메인 채널(41)은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을 재료 공급기(3)로 안내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은 재료 공급기(3)에서 추출된 재료와 물의 혼합물을 발효 모듈(1)로 안내할 수 있다.
제1메인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모듈(5)과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 좀 더 상세하게는 후술할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메인 채널(41)에는, 제1메인 채널(41)을 개폐하는 재료 공급 밸브(310)가 설치될 수 있다. 재료 공급 밸브(310)는 재료 공급기(3)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310)는 재료 수용부(31)(32)(33)에 수용된 첨가물의 투입시 오픈되어 제1메인 채널(41)을 개방할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310)는 재료 수용부(31)(32)(33)의 클리닝 시 오픈되어 제1메인 채널(41)을 개방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의 일 단은 발효 모듈(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 좀 더 상세하게는 후술할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출구(33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에는, 제2메인채널(42)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메인채널(42)에는 유체를 재료 공급기(3)에서 발효 모듈(1)로 유동시키는 메인 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메인 체크밸브(314)는 유체가 재료 공급기(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체크밸브(314)는, 제2메인채널(42)에 대해 메인 밸브(40)와 재료 공급기(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로 물을 급수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40)는 발효조(112)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클로즈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첨가제를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취출기(6)에 의한 음료 취출시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를 개방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유동될 수 있다.
메인 채널(41)(42)은,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연속된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경우, 음료 제조기는, 물이나 공기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된 바이패스 채널(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제1메인 채널(41)과 제2메인채널(42)을 연결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대해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 밸브(31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대해 메인 밸브(40)와 재료 공급기(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에는, 바이패스 채널(43)을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이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가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바이패스 채널(43)의 클리닝 시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채널(43)에는, 유체를 제1메인 채널(41)에서 제2메인채널(42)로 유동시키는 바이패스 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유체는 제1메인 채널(41)에서 제2메인 채널(42)로만 유동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유동될 수 없다.
바이패스 체크밸브(324)는, 바이패스 채널(43)에 대해 바이패스 밸브(35)와 제2메인채널(4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재료 공급기(3)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경우,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맥주 제조의 경우, 상기 주 재료는 맥아,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고, 발효 컨테이너(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발효 컨테이너(12)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 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편의를 위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취출기(6)로 유동되어 취출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인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공급기(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31)(32)(33)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31)(32)(33)는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31A)(32A)(33A)와, 유체가 유출되는 출구(31B)(32B)(33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재료 수용부의 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재료 수용부의 재료와 혼합되어 출구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캡슐(C1)(C2)(C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캡슐(C1)(C2)(C3)이 수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31)(32)(33)는 캡슐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재료가 캡슐(C1)(C2)(C3)에 수용될 경우, 재료 공급기(3)는 캡슐(C1)(C2)(C3)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는 캡슐(C1)(C2)(C3)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재료 공급기(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캡슐 장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캡슐 장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캡슐 장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에 담긴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재료가 수압에 의해 추출되는 경우, 급수 모듈(5)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맥주의 제조 시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재료 공급기(3)는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 중 어느 하나의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다른 하나의 재료 수용부의 입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채널(311)(3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최초 재료 수용부(31)와, 최종 재료 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중간 재료 수용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출구(33B)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유체의 유동에 대해 제1재료 수용부(31)와 상기 제2재료 수용부(3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입구(32A)와 출구(32B) 각각에 서로 다른 연결 채널(311)(312)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공급기(3)에 재료 수용부가 3개 형성된 경우,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출구(31B)는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입구(32A)와 제1연결 채널(311)로 연결될 수 있고,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출구(32B)는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입구(33A)와 제2연결채널(312)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메인채널(41)를 통해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로 유입된 물은, 최초 재료 수용부(31)에 수용된 제1첨가제와 함께 출구(31B)를 통해 제1연결채널(311)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연결채널(311)를 통해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입구(32A)로 유입된 유체(물과 제1첨가제의 혼합물)는, 중간 재료 수용부(32)에 수용된 제2첨가제와 함께 출구(32B)를 통해 제2연결채널(31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연결채널(312)를 통해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입구(33A)로 유입된 유체(물, 제1첨가제 및 제2첨가제의 혼합물)는, 최종 재료 수용부(33)에 수용된 제3첨가제와 함께 출구(33B)를 통해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을 통해 유출된 유체(물, 제1첨가제, 제2첨가제 및 제3첨가제의 혼합물)는 발효 모듈(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로 안내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재료 공급기(3)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중간 재료 수용부가 없을 경우, 재료 공급기(3)에는 2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 재료 수용부는 최초 재료 수용부이고, 다른 하나의 재료 수용부는 최종 재료 수용부일 수 있다. 최초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최종 재료 수용부의 입구는 연결채널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중간 재료 수용부가 복수개일 경우, 재료 공급기(3)에는 4개 이상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 재료 수용부는 최초 재료 수용부이고, 다른 하나의 재료 수용부는 최종 재료 수용부이며, 나머지 재료 수용부는 중간 재료 수용부일 수 있다. 이 경우 각 재료 수용부간의 직렬 연결 관계는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재료 공급기(3)의 채널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캡슐(C1)(C2)(C3)에 담긴 첨가제가 한 번에 추출되므로 소요 시간이 짧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캡슐(C1)(C2)(C3)의 장착 순서를 신경쓰지 않아도 되므로, 캡슐(C1)(C2)(C3)을 잘못된 순서로 장착함으로써 발생하는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재료 공급기(3)의 누수 포인트가 최소화되어 신뢰성이 항상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가 캡슐(C1)(C2)(C3) 내에 수용되는 경우, 최초 재료 수용부(31)는 최초 캡슐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고,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중간 캡슐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잇으며, 최종 재료 수용부(33)는 최종 캡슐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급수 모듈(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급수 모듈(5)은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 펌프(52)와, 급수 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52) 및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와 급수 펌프(52)는 수조 출수채널(55A)로 연결될 수 있고, 수조(51)에 담긴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 펌프(52)로 흡입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와 제1메인 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채널(55B)로 연결될 수 있고, 급수 펌프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54)가 설치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54)는 스텝인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41)가 설치될 수 있다. 써미스터(541)는 유량조절밸브(54)에 내장될 수 있다.
급수 채널(55B)에는 급수펌프(52)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급수 체크밸브(59)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 히터(53)는 급수 채널(55B)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몰드 히터일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이 통과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 케이스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는 온도가 높을 경우 회로가 차단되어 급수히터(5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써멀 퓨즈(58, Thermal fuse)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안전 밸브(53A, safety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밸브(53A)는 급수 히터(53)의 히터 케이스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안전 밸브(53A)는 히터 케이스의 최대 내압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안전 밸브(53A)는 히터 케이스의 최대 내압을 3.0bar로 제한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급수히터(53)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급수 온도센서(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온도센서(57)는 급수 히터(53)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급수 온도센서(57)는 급수 채널(55B) 중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수 히터(53)의 이후에 위치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급수 온도센서(57)가 제1메인 채널(4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펌프(52)로 흡입되고,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를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되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이하, 음료 취출기(6)에 대해 설명한다.
음료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취출기(6)는 음료가 취출되는 디스펜서(62)와, 디스펜서(62)와 제2메인채널(42)을 연결하는 음료 취출채널(61)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의 일 단(61A)은, 제2메인 채널(42)에 대해 메인 체크밸브(314)와 메인 밸브(4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디스펜서(6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을 개폐하는 음료 취출밸브(64)가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음료가 취출될 때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잔수 제거 시에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음료 취출기(6)의 클리닝 시에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에는 거품차단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된 음료의 거품은 거품차단 패스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거품차단부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음료의 취출 시 음료 취출밸브(64)는 오픈될 수 있고, 음료가 취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음료 취출밸브(64)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이하, 가스 배출기(7)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가스 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고,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스 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된 가스 배출채널(71)과, 가스 배출채널(71)에 설치된 가스 압력센서(72)와, 가스 배출채널(71)에 가스 배출방향으로 가스 압력센서(72) 이후에 연결된 가스 배출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71)는 발효 모듈(1) 특히, 발효 리드(107)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가스 배출채널(71)이 연결되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가스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배출채널(71) 및 가스 압력센서(72)로 유동될 수 있다. 가스 압력센서(72)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배출채널(71)로 유출된 가스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에어주입기(8)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가 주입될 때 온되어 오픈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컨테이너(12)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상부에서 가스 배출채널(71) 및 가스 배출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발효공정 도중의 발효도 감지를 위해 온되어 오픈된 후 다시 오프되어 클로즈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는 가스 배출채널(71)에 연결된 안전 밸브(75, safety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밸브(75)는 가스 배출채널(71) 중 가스 배출 방향으로 가스 압력센서(72) 이후에 연결될 수 있다. 안전 밸브(75)는 발효 컨테이너(12) 및 가스 배출채널(71)의 최대 내압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안전 밸브(75)는 발효 컨테이너(12) 및 가스 배출채널(71)의 최대 내압을 3.0bar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가스 배출기(7)는 압력 해제 밸브(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가스 배출 채널(71)에 연결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와 가스 배출 밸브(73)는 택일적으로 오픈/클로즈 될 수 있다.
가스 배출 채널(71)은 분지되어 가스 배출 밸브(73)와 압력 해제 밸브(76)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에는 소음 저감장치(77)가 장착될 수 있으며, 소음 저감장치(77)는 오리피스 구조나 머플러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저감장치(77)에 의해, 압력 해제 밸브(76)는 오픈되더라도 가스 배출 밸브(73)와 비교하여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이 서서히 낮아질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되어 가스 발생으로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이 상승한 상태에서 압력을 해제시키기 위해 오픈될 수 있다. 소음저감장치(77)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후술할 2차 발효단계(S800)에서 오픈/클로즈 제어될 수 있다.
이하, 에어 주입기(8)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어 주입기(8)가 급수 채널(55B)에 연결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히터(53)를 기준으로, 후술할 서브 채널(91)의 반대편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는 급수 히터(53)를 통과할 수 있고, 급수 히터(53) 내부의 잔수와 함께 서브 채널(91)로 유동될 수 있다. 이로써, 급수 히터(53)내의 잔수가 제거되어 급수 히터(53)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바이패스 채널(43)과 제2메인 채널(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로 주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교반이나 에어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재료 공급기(3)로 안내되어 캡슐 장착부(31)(32)(33)로 유동될 수 있다. 캡슐(C1)(C2)(C3) 또는 캡슐 장착부(31)(32)(33) 내의 잔수나 찌꺼기는 에어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캡슐(C1)(C2)(C3) 및 캡슐 장착부(31)(32)(33)는 에어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에어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된 에어 주입채널(81)과, 에어 주입채널(81)에 연결된 에어 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공기를 펌핑할 수 있다.
에어 주입채널(81)에는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 채널(55B)로 유동된 물이 에어 주입채널(81)를 통해 에어 펌프(8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에어주입 체크밸브(83)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에어 필터(8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필터(82A)는 에어 펌프(82)의 흡입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공기는 에어 필터(82A)를 통과하여 에어 펌프(82)로 흡입될 수 있다. 이로써, 에어 펌프(82)는 청결한 공기를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할 수 있다.
이하, 에어 조절기(1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은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에어조절기(15)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된 에어 공급채널(154)와, 에어 공급채널(154)에 연결되어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채널(157)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 단(1541)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발효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는 발효 모듈(1) 특히, 발효 리드(107)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는 에어 공급채널(154)가 연결되는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가 마련될 수 있고,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에서 제1메인채널(41)로 주입된 공기는 에어 공급채널(154)를 통해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로 안내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에어 공급채널(154)과 함께,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효조(112) 내부로 공급된 에어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에서 발효 컨테이너(12)을 가압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에어에 의해 눌린 발효 컨테이너(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와 음료 취출밸브(64)가 개방되면,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과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서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에어 펌프(82)는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 소정 압력이 형성되게 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 취출이 용이한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펌프(82)는 음료 취출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음료 취출이 끝나면, 다음 번 음료 취출을 위해 구동되었다가 정지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가 완성되면, 발효 컨테이너(12)를 발효 모듈(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 모듈(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를 음료취출 채널모듈(6)로 취출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가 에어 주입기(8)와 별도의 에어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에어 공급채널(154)는 제1메인채널(41)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에어 공급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에어 펌프(82)가 발효 컨테이너(12)에 에어를 주입하는 것과,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제품의 컴팩트화 및 비용절감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배기 채널(157)은,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부와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와 발효조(112)의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에어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배기채널(157)는 발효 모듈(1)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기 채널(157)은 에어 공급채널(154) 중 발효조(112)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은 제1메인채널(41)와 연결되는 연결부(1541)부터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7A)까지의 제1채널과,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41)부터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까지의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채널은 에어 펌프(82)에서 펌핑된 에어를 제2채널로 안내하는 급기채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채널은 급기채널을 통과한 에어를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로 급기하거나,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에서 유출된 에어를 연결채널(157)로 안내하는 급기 및 배기 겸용 채널일 수 있다.
배기 채널(157)에는 배기 채널(157)을 개폐하는 배기 밸브(156)가 연결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의 도중에 발효 컨테이너(12)이 팽창될 때,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급수 채널모듈(5)에 의한 급수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에어주입 채널모듈(8)에 의한 에어 주입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 취출이 완료되면,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를 빼내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 취출이 완료된 후, 발효 컨테이너(12)을 발효조(112)의 외부로 꺼낼 수 있는데, 발효조(112) 내부가 고압을 유지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기밸브(156)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 취출 완료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에어 펌프(82)에서 펌핑되어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공급되는 에어를 단속하는 에어 공급 밸브(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 중 제1메인채널(41)과의 연결부(1541)와 배기 채널(157)와의 연결부(157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서브 채널(9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과 음료 취출기(6)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브 채널(91)의 일 단(91A)은 급수 채널(55B)에 연결되고 타 단(91B)은 음료 취출채널(61)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채널(55B)에 대해 급수 펌프(52)와 급수 히터(53)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은 음료 취출채널(61)에 대해, 제2메인 채널(42)과의 연결부(61A)와 음료 취출밸브(64)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된 물이나 에어 펌프(82)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서브 채널(91)을 통해 음료 취출채널(61)로 안내될 수 있고, 디스펜서(62)로 취출되며 음료 취출기(6) 내부에 남아있는 잔수나 음료를 제거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에는 서브 채널(91)을 개폐하는 서브 밸브(92)가 설치될 수 있다.
서브 밸브(92)는 음료 취출 시 또는 내부 클리닝 시에 오픈되어 서브 채널(91)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의 음료가 급수 모듈(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서브 체크밸브(93)가 설치될 수 있다. 서브 체크밸브(93)는 서브 채널(91)에 대해 서브 밸브(92)와 음료 취출채널(6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의 잔수 제거 채널로 기능할 수 있다. 일례로, 에어공급밸브(159), 바이패스 밸브(35) 및 재료공급밸브(310)가 클로즈되고 서브 밸브(92)가 오픈된 상태에서 에어 펌프(82)가 온 되면,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된 에어는 급수 히터(53)를 통과하여 서브 채널(91)로 유동될 수 있고, 서브 밸브(92)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된 후 디스펜서(62)로 취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에어는 급수 모듈(5), 좀 더 상세히는 급수 히터(53) 및 급수 채널(55B)에 남아있던 잔수와 함께 디스펜서(62)로 취출됨으로써 잔수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은 클리닝 채널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해서는 후술할 클리닝 단계(S100)(S1100)와, 음료 취출단계(S1000) 중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재료 공급기(3)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직렬로 배치되어 있어 음료의 홉 및 첨가향을 투입할 때 일괄적으로 발효 모듈(1)에 주입된다.
이 때, 일반적으로 발효가 진행될수록 홉 향의 맛과 향은 줄어들고 씁쓸한 맛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음료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입맛에 맞는 음료를 자유롭게 제조할 수 있는 자유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과 맥아, 이스트, 홉 등의 기본적인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재료를 먼저 투입한 후, 추후에 향과 맛을 극대화할 수 있는 첨가제를 넣을 수 있도록 별도의 추가캡슐(C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별도의 추가 재료 수용부 및 추가캡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재료 공급기(3)는 상기 주된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과 병렬로 연결되는 추가 재료 수용부 또는 추가 캡슐(C11)(C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캡슐(C11)(C22)은 주된 재료가 투입되는 캡슐(C1)(C2)(C3)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고, 추가 재료 수용부(34)(36) 역시 캡슐(C1)(C2)(C3)이 수용되는 재료 수용부(31)(32)(33)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재료 수용부(34)(36)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341)(35A)와 유체가 유출되는 출구(342)(35B)가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 또는 추가 캡슐(C11)(C22)의 상기 주된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재료 공급기(3)는, 급수 모듈(5)에서 발효 모듈(1)로 연결되는 채널 중 하나에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 또는 추가 캡슐(C11)(C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재료 공급기(3)는 메인 채널(41)(41)을 연결하는 별도의 추가 채널(3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추가 채널(313)의 일단(313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되고, 추가 채널(313)의 타단(313B)은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추가 채널(313)은 상기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도록 재료 공급 밸브(310)의 입구측에 상기 추가 채널(313)의 일단(313A)이 연결되고, 재료 수용부(31)(32)(33)의 출구측 좀 더 상세하게는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출구(33B)에 추가 채널(313)의 타단(313B)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채널(313)에 추가 공급 밸브(315)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추가 채널(313)의 입구측에 추가 공급 밸브(315)가 설치될 수 있다.
추가 공급 밸브(315)는 추가 재료 수용부(34)(36)에 수용된 첨가물이 투입시 오픈되어 추가 채널(313)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추가 공급 밸브(315)는 추가 재료 수용부(34)(36)의 클리닝 시 오픈되어 추가 채널(313)을 개방할 수 있다.
상세히, 추가 공급 밸브(315)는 발효가 진행되는 발효조 모듈(111)로 추가적으로 첨가물을 투입할 때 개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 또는 추가 캡슐(C11)은 추가 채널(313)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추가 재료 수용부 또는 추가 캡슐(C11)은 추가 공급밸브(315)의 출구측에 설치될 수 있다.
추가 캡슐(C11)이 추가 재료 수용부(34)에 장착될 때, 추가 캡슐(C11)은 이미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세히, 추가 캡슐(C11)은 개방되어 내용물이 취출될 수 있는 상황이나 추가 공급 밸브(315)가 개방되지 않아 추가 채널(313)에 유동되는 유체가 존재하지 않아 추가 캡슐(C11)의 내용물은 후술하는 첨가물 투입(S500) 단계에서 발효조 모듈(111)로 투입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추가 캡슐(C11)이 개방되지 않고, 추후 사용자에 의해 개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추가 재료 수용부 또는 추가 캡슐(C22)은 제2메인 채널(42)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추가 재료 수용부 또는 추가 캡슐(C22)은 발효 모듈(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의 입구측에 설치될 수 있다.
추가 재료 수용부 또는 추가 캡슐(C22)이 제2메인 채널(42)에 설치되는 실시 예의 경우에도, 제 1 실시예와 같이 추가 채널(313) 및 추가 공급 밸브(315)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별도의 추가 세척이 필요없는 재료일 경우 유로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 채널(313) 및 추가 공급 밸브(315)를 통해 추가 재료 수용부 또는 추가 캡슐(C22)의 내용물을 발효 모듈(1)로 공급할 수 있고, 이는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의 공급과는 별개로 독립적일 수 있다.
상세히, 음료 제조를 시작할 때, 캡슐(C1)(C2)(C3) 및 추가 캡슐(C22)이 재료 수용부(31)(32)(33) 및 추가 재료 수용부(34)(36)에 장착될 수 있고, 캡슐(C1)(C2)(C3)은 개방되나 추가 캡슐(C22)은 개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먼저, 캡슐(C1)(C2)(C3) 내부의 첨가물이 발효 모듈(1)로 투입되어 발효가 진행되고, 추후 추가 캡슐(C22)이 개방되고, 추가 공급 밸브(315)가 오픈되어 추가 채널(313)로 유동된 유체를 통해 추가 캡슐(C22)의 첨가물이 발효 모듈(1)로 투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제어 수순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음료 제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음료 제조기는 그 내부의 채널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단계(S100)(S110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닝 단계(S100)(S1100)는 음료 제조단계와 별도로 진행될 수 있다.
클리닝 단계(S100)(S1100)는 음료 제조단계의 실시 이전 및 음료 제조단계의 실시 이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리닝 단계(S100)(S1100)는 음료 제조단계의 도중에,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후술하는 1차 발효단계(S700)나 2차 발효단계(S800)와 같이, 메인 밸브(40)가 클로즈이고, 재료 공급기(3)에 첨가제가 담겨있지 않은 동안 실시될 수 있다.
클리닝 단계(S100)(S1100)는 재료 공급기(3)에 캡슐(C1)(C2)(C3)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추가 재료 장착부(34)(36)에 추가 캡슐(C11)(C22)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다.
반면, 음료 제조단계는 재료 공급기(3)에 캡슐(C1)(C2)(C3)(C11)(C22)이 수용되고 발효조(112) 내부에 발효 컨테이너(12)가 수용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모듈(280)에 구비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클리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클리닝 명령의 입력에 따라 음료 제조기를 클리닝 단계(S100)(S1100)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모듈(280)에 구비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음료 제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음료 제조 명령의 입력에 따른 음료 제조단계의 실시 전후에, 자동으로 음료 제조기를 클리닝 단계(S100)(S1100)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음료 제조단계 이전에 실시되는 클리닝 단계(S10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디스펜서(62)가 클로즈 상태일 경우, 컨트롤러(281A)는 디스펜서(62)를 개방하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82)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펜서(6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디스펜서(62)가 개방되고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클리닝 명령을 입력되었으면, 음료 취출밸브(64)를 오픈시키고, 급수펌프(52)와 급수히터(53)를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메인 밸브(40)을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재료 공급기(3)와 바이패스 채널(43)의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재료 공급밸브(310)와 바이패스 밸브(35)를 오픈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서브 채널(91)의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서브 밸브(92)를 오픈 시킬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즉, 온수)는 서브 채널(91)과 제1메인채널(41)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다.
서브 채널(91)로 유동된 물은 서브 밸브(92)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될 수 있고,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하여 디스펜서(62)로 취출될 수 있다.
또한, 제1메인채널(41)로 유동된 물은 재료 공급기(3)와 바이패스 채널(43)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로 유동된 물은 재료 공급밸브(310), 최초 캡슐 장착부(31), 중간 캡슐 장착부(32) 및 최종 캡슐 장착부(3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메인 채널(43)로 유동될 수 있고, 음료 취출채널(62)로 유동되어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한 후 디스펜서(62)에서 취출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로 유동된 물은 바이패스 밸브(35)를 통과하여 제2메인 채널(43)로 유동될 수 있고, 음료 취출채널(62)로 유동되어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한 후 디스펜서(62)에서 취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메인 채널(41)(42), 바이패스 채널(43), 서브 채널(91), 음료 취출채널(64), 상기 각 채널에 설치된 밸브들 및 디스펜서(62)가 살균 및 세척될 수 있다. 또한, 각 캡슐 장착부(31)(32)(33)와 연결채널(311)(312)가 살균 및 세척 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캡슐 장착부(34)(36)와 추가채널(315)이 살균 및 세척 될 수도 있다.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클리닝을 클리닝 설정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고, 클리닝 설정시간 이후, 클리닝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클리닝 설정시간 경과 후,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으며, 음료 취출밸브(64)와, 바이패스 밸브(35)와, 재료 공급 밸브(310)와 서브 밸브(92) 모두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 제조단계를 위해, 발효 리드(107)를 열고 발효 컨테이너(12)을 개구부(170)로 삽입하여 발효조 모듈(111)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 때,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는 맥아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맥아는 엿기름의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발효 리드(107)를 닫을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 모듈(111)과 발효 리드(107)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발효조(112)의 내부는 발효 리드(107)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안착 전, 후에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캡슐(C1)(C2)(C3)를 삽입한 후 리드 모듈(미도시)로 복수개의 캡슐 장착부(31)(32)(33)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이 단계에서 사용자는 추가 캡슐(C11)(C22)을 추가로 장착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러(281A)에 연결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이동단말기 등을 통해 음료 제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음료 제조 명령의 입력에 따라 음료 제조기를 음료 제조단계로 제어할 수 있다.
음료 제조단계는 급수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은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맥아를 온수와 고르게 혼합(Mixing)하여 액상 맥아를 형성하는 액상 맥아 형성단계일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급수단계(S200)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 시킬 수 있고, 재료 공급 밸브(310)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급수단계(S200)시 바이패스 밸브(35) 및 메인 밸브(40)를 오픈 시킬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281A)는 발효 컨테이너(12)로 급수시 배기 밸브(156)를 오픈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 시, 수조(51)에서 출수된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은 제1메인 채널(41)에서 바이패스 채널(43)로 유동되고, 바이패스 밸브(35)를 통과하여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된 물은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으로 유입된 온수는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와 혼합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맥아는 물과 혼합되어 점차 희석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로 온수가 공급되므로,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는 온수와 신속하고 고르게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상기와 같은 물의 유입시 점차 팽창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는 발효 컨테이너(12)가 팽창됨에 따라 일부가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되어 배기밸브(156)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으로 물이 유입되는 동안,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12) 내부에서 터지거나 찢어지는 것 없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급수단계(S200)시 급수히터(53)는 물을 50℃ 내지 7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컨트롤러(281A)는 급수 온도센서(57)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급수히터(53)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급수단계(S200)를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누적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될 때까지 실시할 수 있고,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누적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되면, 급수단계(S200)를 완료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의 완료 시, 컨트롤러(281A)는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 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급수단계(S200)의 완료 시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281A)는 급수단계(S200)의 도중에,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물을 1차 유입한 다음 중단하고, 이후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한 다음 중단하며, 최종적으로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온수를 2차 유입한 다음 중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1차 물 유입과, 에어 주입과, 2차 물 유입을 순차적으로 모두 완료한 후 급수단계(S200)를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단계(S200)의 일 예는 온수를 급수하는 온수급수과정만을 실시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의 다른 예는 1차로 온수를 급수하는 1차 온수급수과정과,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과정과, 2차로 온수를 주입하는 2차 온수급수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급수단계(S200)의 일 예로 급수단계(S200)가 온수급수과정만을 실시하는 경우는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급수단계(S200)의 다른 예로, 급수단계(S200)가 1차 온수급수과정과, 에어주입과정과, 2차 온수급수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281A)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 및 메인 밸브(40)를 오픈시킬 수 있으며, 재료 공급밸브(310)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밸브(156)을 오픈시킬 수 있다.
1차 온수급수과정시,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는 물이 유입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은 유입되는 물에 의해 팽창될 수 있으며,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발효 컨테이너(12)에 밀려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281A)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유량에 따라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유량이 제1설정유량에 도달되면,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로 판단하고,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와 메인 밸브(40)의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밸브(156)의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차 온수급수과정이 완료되면 에어주입과정이 실시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에어주입과정의 개시시 에어 펌프(82)를 온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에어 공급 밸브(159)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가 온인 동안,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된 에어는 제1메인 채널(41)에서 바이패스 채널(43)을 통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효 컨테이너(12)로 유입된 에어는 액상 맥아를 부딪혀 맥아와 온수가 보다 고르게 혼합(Mixing)되게 도울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로 에어가 유입됨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은 팽창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발효 컨테이너(12)에 밀려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가스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면, 에어주입과정을 완료할 수 있고, 에어주입과정의 완료를 위해 에어 펌프(82)를 오프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에어주입과정의 완료시, 메인 밸브(40)와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배출밸브(73) 및 배기밸브(156)을 오픈 유지시킬 수 있다.
에어주입과정이 완료되면 2차 온수급수과정이 실시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다.
수조(51)의 물은 1차 온수급수과정과 같이, 발효 컨테이너(12)로 급수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새로운 온수가 추가 급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2차 온수급수시, 발효 컨테이너(12)는 추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더욱 팽창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에 잔존한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발효 컨테이너(12)에 밀려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유량에 따라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유량이 제2설정유량에 도달되면,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로 판단하고,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하고, 메인 밸브(40)와 바이패스 밸브(35)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또한,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 시, 컨트롤러(281A)는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단계는 발효조 냉각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급수단계(S200)가 완료되면, 발효조(112)를 냉각시키는 발효조 냉각단계(S300)가 실시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발효조(112)의 냉각을 위해 온도 조절기(11)를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281A)는 발효조(112)의 냉각을 위해 냉동사이클 장치(13)를 제어할 수 있다. 냉매는 증발기(134)를 통과하면서 발효조(112)의 열을 빼앗고, 증발될 수 있다. 냉동 사이클 장치(13)의 구동시 발효조(112)는 점차 냉각될 수 있고, 발효조(112) 내부에 수용된 발효 컨테이너(12)와,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액상 맥아는 냉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효조(112)의 냉각시, 증발기(134)는 발효 컨테이너(12)를 냉각할 수 있고, 컨트롤러(281A)는 발효조(112)에 설치된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냉동 사이클 장치(13)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예를 들어, 35℃)로 유지되도록 압축기를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281A)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압축기 온 온도 초과(예를 들어, 35.5℃)이면 냉동 사이클 장치(13)의 압축기를 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압축기 오프 온도(예를 들어, 34.5℃) 이하이면 압축기를 오프할 수 있다.
후술할 첨가제 투입단계(S500) 시 급수 히터(53)는 오프된 상태이므로 첨가제와 함께 발효 컨테이너(12)로 투입된 물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의 온도가 냉각단계(S300)시 설정되어 있던 설정온도에 비해 다소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전까지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온도가 35℃ 내외로 유지되다가 첨가제와 물이 함께 발효 컨테이너(12)로 투입되면 발효 컨테이너(12)의 온도는 30℃ 내외로 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냉각단계(S300)시의 상기 설정온도는 이러한 온도 하강을 고려하여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281A)는 발효조 냉각단계(S300)의 도중에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는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며, 발효조(112) 내부의 공기는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예외적으로, 외부의 온도가 매우 낮아 냉동 사이클 장치(13)를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발효 컨테이너(12)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아진 경우, 컨트롤러(281A)는 발효조(112)의 하부에 위치한 히터(14)를 온 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히터 온 온도 미만이면 히터(14)를 온 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히터 오프 온도 이상이면 히터를 오프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단계는 급기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발효조 냉각단계(S300)가 개시되고 냉동 사이클 장치(13)의 압축기가 온된 후,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적어도 1회 압축기 오프 온도 이하이면,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에어를 공급하여 액상 맥아를 믹싱하는 급기단계(S400)를 실시할 수 있다. 또는,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발효조 냉각단계(S300)가 개시되고 히터(14)가 온 된 경우,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적어도 1회 히터 오프 온도 이상이면,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에어를 공급하여 액상 맥아를 믹싱하는 급기단계(S400)를 실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기단계(S400)의 도중에도,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냉동사이클 장치(13) 및 히터(14)를 온, 오프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냉동 사이클 장치(13) 및 히터(14)의 온, 오프 제어는 후술하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급기단계(S400) 시, 컨트롤러(281A)는 에어 펌프(82)를 온시키고, 바이패스 밸브(35)와 메인 밸브(40)를 오픈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가스 배출밸브(73) 및 배기밸브(156)을 오픈시킬 수 있으며, 에어 공급 밸브(159) 및 재료 공급밸브(310)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가 온인 동안,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된 에어는 제1메인 채널(41)에서 바이패스 채널(43)을 통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효 컨테이너(12)로 유입된 에어는 액상 맥아를 부딪혀 맥아와 온수가 보다 고르게 혼합(Mixing)되게 도울 수 있고, 액상 맥아에 부딪힌 에어는 액상 맥아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즉, 교반과 에어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로 에어가 주입되는 동안,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주입된 에어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발효 컨테이너(12)에 밀려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는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의 에어는 신속하게 발효 컨테이너(12)으로 유입되어 액상 맥아와 혼합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에어 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 동안 에어를 액상 맥아에 혼합할 수 있고, 에어 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기단계(S400)을 완료할 수 있다. 급기단계(S400)의 완료 시, 컨트롤러(281A)는 에어 펌프(82)를 오프하고, 바이패스 밸브(35)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급기단계(S400)의 완료 시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음료 제조단계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 제조기는 급기단계(S400) 이후에, 첨가제 투입단계(S500)를 실시할 수 있다.
첨가제 투입단계(S500)시, 제1캡슐(C1)의 제1첨가제와, 제2캡슐(C2)의 제2첨가제와, 제3캡슐(C3)의 제3첨가제가 발효 컨테이너(12)로 투입될 수 있다. 이 때, 제1캡슐(C1)은 최초 캡슐 장착부(31)에 장착된 캡슐이고, 제2캡슐(C2)은 중간 캡슐 장착부(32)에 장착된 캡슐이며, 제3캡슐(C3)은 최종 캡슐 장착부(33)에 장착된 캡슐이다.
첨가제 투입단계(S500) 시, 컨트롤러(281A)는 급수 펌프(52)를 온 시킬 수 있으며 급수 히터(53)를 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바이패스 밸브(35)를 클로즈 유지하고 재료 공급 밸브(310)와 메인 밸브(40)를 오픈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밸브(156)를 오픈시킬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 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통과하여 제1메인채널(41)로 유동되고, 재료공급 밸브(310)를 통과하여 제1캡슐(C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캡슐(C1)으로 유입된 물은 제1캡슐(C1)에 수용되어 있던 제1첨가제와 혼합되고, 제1첨가제와 함께 제1연결 채널(311)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연결채널(311)를 통해 제2캡슐(C2)로 유입된 유체(물과 제1첨가제의 혼합물)는, 제2캡슐(C2)에 수용되어 있던 제2첨가제와 혼합되고, 제2첨가제와 함께 함께 제2연결채널(31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연결채널(312)를 통해 제3캡슐(C3)로 유입된 유체(물, 제1첨가제 및 제2첨가제의 혼합물)는, 제3캡슐(C3)에 수용되어 있던 제3첨가제와 혼합되고, 제3첨가제와 함께 함께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된 유체(물, 제1첨가제, 제2첨가제 및 제3첨가제의 혼합물)는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각 캡슐(C1)(C2)(C3)에 담겨있던 첨가제가 모두 발효 컨테이너(12)로 투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첨가제 투입과정(S500)이 개시되고부터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누적 유량이 첨가제 투입 설정유량에 도달하면, 첨가제 투입과정(S500)을 완료할 수 있다. 첨가제 투입과정(S500)의 완료 시, 컨트롤러(281A)는 급수펌프(52)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음료 제조단계는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첨가제 투입단계(S500)가 모두 완료되면, 재료 공급기(3) 내의 잔수를 제거하는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가 실시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시, 컨트롤러(281A)는 에어 펌프(82)를 온시키고, 에어 공급 밸브(159)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재료 공급 밸브(310) 및 메인 밸브(40)를 오픈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 밸브(156)을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의 온시,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된 공기는 제1메인 채널(41)로 유동되고 재료 공급 밸브(310)을 통과하여, 제1캡슐(C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캡슐(C1)로 유입된 공기는, 제1캡슐(C1), 제2캡슐(C2) 및 제3캡슐(C3)을 차례로 통과하여 각각에 남아있는 잔수를 제2메인 채널(42)로 불어낼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된 공기는 잔수와 함께 발효 컨테이너(12)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각 캡슐(C1)(C2)(C3)에 미처 추출되지 못하고 남아있던 첨가제와 잔수가 남김없이 발효 컨테이너(12)로 투입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에서 발효 컨테이너(12)로 잔수 및 에어가 주입됨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은 더욱 팽창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발효 컨테이너(12)에 밀려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의 에어 및 잔수는 신속하게 발효 컨테이너(12)로 유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잔수제거 설정시간동안 에어 펌프(82)를 온시키고, 잔수제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을 완료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가 완료되면, 컨트롤러(281A)는 에어 펌프(82)를 오프시킬 수 있고, 재료공급 밸브(310)와, 메인 밸브(40)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가스배출 밸브(73)와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가 완료되면 디스플레이(282)에 캡슐(C1)(C2)(C3)을 제거하여도 된다는 캡슐분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재료 공급기(3)에서 빈 캡슐을 제거할 수 있다.
음료 제조단계는 발효 단계(S700)(S8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의 완료 이후에, 1차발효단계(S700)와 2차발효단계(S800)를 순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1차 발효단계(S700)의 일 예에 따르면, 1차 발효단계(S700)은 전 발효과정과 본 발효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효 과정은 전 발효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전 발효 과정은 첨가제 투입단계(S500) 시 발효 컨테이너(12)로 첨가된 이스트를 신속하고 활발하게 활성화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컨트롤러(281A)는 전 발효과정 시, 온도센서(16)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전 발효 타겟온도(예를 들어, 30℃)를 유지하도록 냉동 사이클 장치(13) 및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전 발효과정 개시 후, 가스 배출밸브(73)를 주기적으로 오픈시켰다가 클로즈시키고, 가스 배출밸브(73)가 클로즈 된 직후에 가스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값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상기 저장된 압력값을 가스 배출밸브(73)가 클로즈 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감지된 압력값과 비교하여 압력의 변화량를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산출된 압력의 변화량이 전발효 설정압력를 초과하면, 전 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전 발효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전 발효 과정이 완료되면 본 발효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본 발효 과정 시, 온도센서(16)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본 발효 타겟온도(예를 들어, 21℃)를 유지하도록 냉동 사이클 장치(13) 및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효 타겟온도는 전 발효 타겟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제어 모듈(280) 본 발효 과정 개시 후, 가스 배출밸브(73)를 주기적으로 오픈시켰다가 클로즈시키고, 가스 배출밸브(73)가 클로즈 된 동안에 가스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가스 압력센서(72)에서 주기적으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본 발효 설정압력를 초과하면, 본 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1차 발효단계(S700)를 완료할 수 있다.
다만, 1차 발효단계(S70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차 발효단계(S700)의 다른 예에 따르면 1차 발효단계(S700)는 전 발효과정을 포함하지 않고 본 발효과정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한편, 컨트롤러(281A)는 1차 발효단계(S700)의 완료 후, 2차 발효단계(S800)를 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2차발효단계시(S800), 온도센서(16)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2차발효 타겟온도가 되도록 냉동 사이클 장치(13) 및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2차 발효단계(S800) 시에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이 높으므로, 가스 배출밸브(73)를 오픈하면 큰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컨트롤러(281A)는 2차발효단계(S800) 시 가스 배출 밸브(73)를 클로즈 유지하고, 소음 저감 장치(77)가 구비된 압력 해제 밸브(76)를 오픈/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2차발효단계(S800) 개시 후, 압력 해제 밸브(76)를 주기적으로 오픈시켰다가 클로즈시키고, 압력 해제 밸브(76)가 클로즈된 동안에 가스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가스 압력센서(72)에서 주기적으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제2발효설정압력를 초과하면, 2차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발효단계(S800)를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발효단계(S700)(S800) 중에 추가 캡슐(C11)(C22) 내부의 첨가물이 발효 컨테이너(12)로 추가로 투입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주된 캡슐(C1)(C2)(C2)을 장착한 상태에서 추가 캡슐(C11)(C22)을 장착할 수도 있고, 추가적으로 첨가물 투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추가 캡슐(C11)(C22)을 장착할 수도 있다.
상세히, 발효단계(S700)(S800) 중 압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발효 컨테이너(12)가 완전 밀폐된 상태에서 발효가 유지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 캡슐(C11)(C22) 내부의 첨가물이 발효 컨테이터(12)로 추가되는 과정에서 압력의 균형이 깨질 수 있으므로, 추가 캡슐(C11)(C22) 내부의 첨가물은 오픈된 발효를 진행하는 1차발효단계(S700) 후반에서 투입되고, 닫힌 발효를 진행하는 2차발효단계(S800)를 진행할 수 있다.
추가 캡슐(C11)(C22) 내부의 첨가물이 투입되는 단계에서 컨트롤러(281A)는 급수 펌프(52)를 온 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 및 재료 공급 밸브(310)를 클로즈 유지하고, 메인 밸브(40)와 추가 공급 밸브(315)를 오픈시킬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 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통과하여 제1메인채널(41)로 유동되고, 추가 공급 밸브(315)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추가 공급 밸브(315)를 통과하는 유체는 상온의 물일 수 있다.
유체는 추가 공급 밸브(315), 추가 채널(313) 및 제2메인채널(42)을 통과하면서 추가 캡슐(C11)(C22)의 첨가물이 혼합되어 함께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추가 채널(313)에서 추가 캡슐(C11)의 첨가물과 혼합되어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된 유체(물, 추가 첨가제)는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 밸브(40)를 통과한 물은 제2메인채널(42)에서 추가 캡슐(C22)의 첨가물과 혼합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추가로 에어 펌프(82)를 온 시켜 추가 캡슐(C11)(C22)의 첨가물이 발효 컨테이너(12)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음료 제조단계는 숙성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1차 발효단계(S700)과 2차 발효단계(S800)이 모두 완료되면, 숙성단계(S900)가 실시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숙성단계시, 숙성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고, 이러한 숙성시간의 동안 음료의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과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 사이를 유지하게 냉동 사이클 장치(13) 및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주로 실내에서 사용되므로, 음료 제조기 외부의 온도는 설정 숙성온도의 상한값과 설정 숙성온도의 하한값 사이이거나, 설정 숙성온도의 상한값보다 높음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컨트롤러(281A)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 이하이면, 냉동 사이클 장치(13)의 압축기를 오프시킬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 이상이면, 압축기를 온시킬 수 있다.
예외적으로, 음료 제조기 외부의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보다 낮은 경우, 컨트롤러(281A)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하한값 미만이면 히터(14)를 온 시킬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 이상이면, 히터(14)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숙성시간이 경과되면, 음료 제조가 모두 완료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숙성 단계(S900)는 생략되고 2차발효단계(S800)가 완료되면 음료의 제조가 완료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281A)는 디스플레이(282) 등을 통해 음료의 제조 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압축기(134)를 제어하여, 발효조(112)의 온도를 기설정된 음용 온도의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로 유지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온도 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음용 온도의 상한값 이상이면 냉동 사이클 장치(13)의 압축기를 온 시킬 수 있고, 온도 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음용 온도의 하한값보다 낮아지면 압축기를 오프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사용자에게 항상 시원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후술할 음료 취출단계(S1000)가 완료되기 전까지 발효조(112)의 온도를 기설정된 음용 온도의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가 완료된 이후 음료를 취출하는 음료 취출단계(S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단계(S1000)의 일 예에 따르면, 음료 취출 단계(S1000)는 음료 취출과정 및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 단계(S1000) 시, 사용자는 디스펜서(62)를 조작하여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가 완료된 이후,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개방하면 컨트롤러(281A)는 메인 밸브(40) 및 음료 취출밸브(64)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 및 음료 취출밸브(64)의 개방시,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 압력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에서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되어 디스펜서(62)로 취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통해 음료를 일부 취출한 후 디스펜서(62)를 폐쇄하면, 컨트롤러(281A)는 메인 밸브(40) 및 음료 취출밸브(64)를 클로즈할 수 있다. 이로써, 1회의 음료 취출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281A)은 에어 펌프(82)를 온시킬 수 있고, 에어 공급 밸브(159)를 오픈 시킬 수 있으며,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의 온 시,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된 에어는 제1메인 채널(41)에서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되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가 제2메인 채널(42)로 상승될 수 있는 압력으로 발효 컨테이너(12)을 가압할 수 있다. 이후의 음료 취출시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가 원활하게 신속하게 취출될 수 있도록,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를 충분한 고압으로 형성해두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디스펜서(62)를 통해 음료를 적어도 1회 취출할 수 있다. 즉, 음료 취출 과정은 적어도 1회 실시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281A)는 디스펜서(62)가 개방된 시간과, 에어펌프(152)가 구동인 시간과, 음료 제조가 완료된 후 메인 밸브(40)가 온인 시간 등의 정보를 이용해 음료 취출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음료 취출이 완료이면, 에어 공급 밸브(159)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음료 취출이 완료이고, 디스펜서(62)가 클로즈 상태이면, 배기밸브(156)를 완료 설정시간 동안 오픈시킬 수 있다.
배기밸브(156)의 오픈 제어시,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는 에어 공급채널(154) 및 배기 채널(157)을 통해 배기밸브(156)로 배기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 공간의 압력은 대기압과 같아 질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배기밸브(156)를 온시킨 후, 완료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배기밸브(156)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음료 취출이 완료된 이후에 클리닝 단계(S1100)를 실시하지 않거나, 상기 클리닝 단계(S1100)가 후술할 메인 채널 세척과정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컨트롤러(281A)는 디스플레이(282) 등에 발효 컨테이너(12)을 제거하라는 팩 제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효 컨테이너(12)을 발효조 모듈(111)에서 꺼내기 위해 발효 리드(107)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효 리드(107)의 개방시, 발효조(112)의 내부가 대기압 보다 설정압 이상의 고압이면, 발효 컨테이너(12)은 이러한 압력 차에 의해 발효조(112)의 상부로 튀어 오를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발효 리드(107)를 개방하기 이전에,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가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되면, 발효 리드(107)를 열었을 때, 발효 컨테이너(12)은 상측으로 튀어 오르지 않고, 발효조(112)의 내부에 유지된다.
즉, 사용자는 안전하고 청결하게 기사용한 발효 컨테이너(12)을 발효조(112)에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은 적어도 1회의 음료 취출과정의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시된 음료 취출과정이 완료되고 다음 음료 취출과정이 실시되기까지 상당한 시간 간격이 존재할 경우, 디스펜서(62)에 남아있던 음료에 의해 디스펜서(62)의 내부가 오염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실시된 음료 취출과정으로부터 디스펜서 클리닝 설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사용자가 음료를 취출하려 할 경우, 컨트롤러(281A)는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281A)는 각 음료 취출과정이 완료되면 타이머(미도시)를 개시할 수 있고, 다음 음료 취출과정이 개시되면 상기 타이머를 리셋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상기 타이머가 디스펜서 클리닝 설정시간을 경과하고 디스펜서(62)가 개방되는 경우,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입력부나 이동 단말기 등으로부터 디스펜서 클리닝 명령을 입력받아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이 개시되면, 컨트롤러(281A)는 디스플레이(282) 등에 클리닝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 알림은 사용자에게 디스펜서(62)에 컵이나 잔을 가져다대지 말라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의 일 예는 물 세척 과정 및 에어 세척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물 세척 과정시, 컨트롤러(281A)는 급수 펌프(52)를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서브 밸브(92) 및 음료 취출밸브(64)를 오픈 시키고 재료공급밸브(310) 및 바이패스 밸브(35)는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급수 펌프(52)가 온 되면, 수조(51)에서 급수펌프(52)로 흡입된 물은 급수 채널(55B)에서 서브 채널(91)로 유동될 수 있고, 서브 밸브(92)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될 수 있으며,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하여 디스펜서(62)로 취출될 수 있다. 물이 디스펜서(62)로 취출되는 과정에서, 디스펜서(62) 내부의 찌꺼기 및 이물질과 함께 취출되어 클리닝이 수행될 수 있다.
디스펜서(62)로 취출된 물과 이물질은 베이스(100)로 낙하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물 세척 과정이 개시되고부터 플로우 미터(56)의 누적 수량이 물 세척 설정유량에 도달하면 물 세척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물 세척 설정유량은 클리닝 단계(S100)(S1100) 시의 클리닝 설정유량보다 적을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물 세척 과정이 완료되면 급수 펌프를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물 세척 과정이 완료되면 에어 세척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에어 세척 과정이 개시되면 에어 펌프(82)를 온 시킬 수 있다.
에어 펌프(82)가 온 되면, 에어 펌프(82)에서 에어 주입채널(81)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급수 히터(53)를 통과하여 서브 채널(91)로 유동되고, 서브 밸브(92)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되며,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하여 디스펜서(62)로 배출될 수 있다. 에어가 디스펜서(62)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디스펜서(62) 내부에 남아있던 잔수와 함께 취출되어 클리닝이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잔수가 이후의 음료 취출과정에서 음료의 맛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에어 세척 과정이 개시되고 에어세척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에어 세척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에어 세척 과정이 완료되면, 컨트롤러(281A)는 에어 펌프(82)를 오프시키고 서브 밸브(92)를 클로즈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이 완료되면 다시 음료 취출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가 전부 취출되어 컨트롤러(281A)가 음료 취출 완료임을 판단한 경우, 컨트롤러(281A)는 음료 제조단계 및 음료 취출 이후의 클리닝 단계(S1100)를 더 실시할 수 있다.
음료 제조단계 및 음료 취출 이후의 클리닝 단계(S1100)는 제1클리닝 과정과 제2클리닝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닝 단계(S1100)가 제1클리닝 과정 및 제2클리닝 과정을 포함할 경우, 각 세척과정의 실시 순서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클리닝 과정은 앞서 설명한 음료 제조단계 이전의 클리닝단계(S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2클리닝 과정을 설명한다.
제2클리닝 과정은, 음료 취출이 완료되고 비어있는 발효 컨테이너(12)가 장착된 상태에서 실시되거나, 사용자가 상기 빈 발효 컨테이너(12)를 제거하고 별개의 클리닝 팩을 발효조(112)에 장착한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별개의 클리닝 팩이 발효조(112)에 수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컨트롤러(281A)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 취출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282) 등에 컨테이너 교체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효 리드를 열고 발효조(112)에서 빈 발효 컨테이너(12)를 제거한 후 별개의 클리닝 팩을 발효조(112)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발효 리드(107)를 닫을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281A)는 제2클리닝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제2클리닝 과정 개시시, 컨트롤러(281A)는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온 시킬 수 있고, 음료 취출밸브(64)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재료공급밸브(310), 바이패스 밸브(35) 및 메인 밸브(40)를 오픈 시킬 수 있다.
제2클리닝 과정 개시시, 컨트롤러(281A)는 가스 배출밸브(73) 및 배기밸브(156)을 오픈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서브 밸브(92)를 오픈시킬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즉, 온수)는 서브 채널(91)과 제1메인채널(41)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다.
서브 채널(91)로 유동된 물은 서브 밸브(92)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된 물은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되고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조(112)에 수용된 클리닝 팩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메인채널(41)로 유동된 물은 재료 공급기(3)와 바이패스 채널(43)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로 유동된 물은 재료 공급밸브(310), 최초 캡슐 장착부(31), 중간 캡슐 장착부(32) 및 최종 캡슐 장착부(3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조(112)에 수용된 클리닝 팩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추가 공급 밸브(315)는 추가 재료 수용부(34)(36)가 설치된 실시예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상세히, 추가 재료 수용부(34)가 추가 채널(313)에 구비되는 제 1 실시예의 경우, 추가 공급 밸브(315)는 오픈되어 재료 공급기(3)로 유동된 물의 일부는 추가 채널(313)로 유입되어 추가 공급 밸브(315)와 추가 재료 수용부(34)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추가 재료 수용부(36)가 제2메인채널(42)에 구비되는 제 2 실시예의 경우, 추가 공급 밸브(315)는 닫히고, 재료 공급기(3)를 통과한 물이 메인 밸브(40)와 추가 재료 수용부(3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조(112)에 수용된 클리닝 팩으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추가 공급 밸브(315)의 클리닝을 위해 제 2 실시예와 같은 경우에도 추가 공급 밸브(315)가 오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이패스 채널(43)로 유동된 물은 바이패스 밸브(35)를 통과하여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조(112)에 수용된 클리닝 팩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메인 채널(41)(42), 바이패스 채널(43), 서브 채널(91), 상기 각 채널에 설치된 밸브들 및 메인 채널 연결부(115)가 살균 및 세척될 수 있다. 또한, 각 캡슐 장착부(31)(32)(33)와 연결채널(311)(312)가 살균 및 세척 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상기와 같은 클리닝을 제2클리닝 설정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고, 제2클리닝 설정시간 이후, 제2클리닝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제2클리닝 설정시간 경과 후,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으며, 메인 밸브(40)와, 바이패스 밸브(35)와, 재료 공급밸브(310)와, 서브 밸브(92)와,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 밸브(156)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한편, 클리닝단계(S1100)가 완료된 이후, 사용자는 발효 리드(107)를 개방하고 발효조(112)에서 세척을 수행한 물이 든 클리닝 팩을 꺼내어 처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발효 모듈 3: 재료 공급기
31, 32, 33: 재료 수용부 34, 36: 추가 재료 수용부
41: 제1메인 채널 42:제2메인 채널
313: 추가 채널 315: 추가 공급 밸브

Claims (15)

  1. 음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발효 모듈;
    상기 발효 모듈로 투입되는 첨가물이 수용된 복수의 캡슐이 장착되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재료 수용부 및 상기 재료 수용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된 추가 재료 수용부가 포함되는 재료 공급기; 및
    상기 복수의 재료 수용부와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의 첨가물이 발효 모듈로 독립적으로 투입되도록 상기 재료 공급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 수용부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제1메인채널;
    상기 재료 수용부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제2메인채널; 및
    상기 재료 수용부를 바이패스하는 추가 채널이 더 포함되며,
    상기 추가 채널의 일단은 제1메인채널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메인채널에 연결되고,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가 상기 추가 채널에 설치되며,
    상기 추가 채널에 추가 공급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추가 공급 밸브는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와 상기 추가 채널의 제1메인채널과 연결되는 일단 사이에 구비되고,
    일단이 제1메인 채널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메인 채널에 연결되고 물이나 공기가 재료 수용부 및 추가 채널을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채널 및
    상기 추가 재료 수용부에 장착되는 추가 캡슐이 더 포함되고,
    상기 추가 캡슐의 첨가물은 상기 복수의 재료 수용부에 장착되는 캡슐의 첨가물이 상기 발효모듈로 투입되어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발효모듈로 투입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효모듈에서 음료의 발효가 진행되도록 상기 발효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추가 캡슐의 첨가물을 상기 발효모듈로 투입시키는 음료 제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수용부의 입구측에 상기 재료 수용부로의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재료 공급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추가 채널의 일단은 상기 재료 공급 밸브의 입구측에 연결되는 음료 제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수용부의 출구측에 제2메인채널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추가 채널의 타단은 상기 재료 수용부와 상기 메인 밸브 사이에 연결되는 음료 제조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모듈은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효 리드가 오픈되어 발효가 진행되는 상태일 때, 상기 추가 캡슐의 첨가물을 상기 발효모듈로 투입하는 음료 제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캡슐이 추가되는 단계에서 상기 추가 공급 밸브가 오픈되고, 상기 재료 수용부는 바이패스되는 음료 제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수용부의 입구측에 상기 재료 수용부로의 유체의 유동을 제어하는 재료 공급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추가 캡슐이 추가되는 단계에서 상기 재료 공급 밸브는 클로즈되는 음료 제조기.
KR1020200077443A 2020-06-24 2020-06-24 음료 제조기 KR102482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443A KR102482807B1 (ko) 2020-06-24 2020-06-24 음료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443A KR102482807B1 (ko) 2020-06-24 2020-06-24 음료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718A KR20210158718A (ko) 2021-12-31
KR102482807B1 true KR102482807B1 (ko) 2022-12-29

Family

ID=7917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443A KR102482807B1 (ko) 2020-06-24 2020-06-24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80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1583B2 (en) * 2013-03-14 2019-05-28 Altria Client Services Llc Flavor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s
KR102558089B1 (ko) * 2017-11-17 2023-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718A (ko)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8264B1 (ko) 음료 제조기 및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KR102587228B1 (ko) 음료 제조기
KR102605652B1 (ko) 발효장치
KR20200062706A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70611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0613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24B1 (ko) 음료 제조기
KR102558089B1 (ko) 음료 제조기
KR102606411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음료 제조 방법
KR102482807B1 (ko) 음료 제조기
KR102339174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2481828B1 (ko) 재료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434279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5677B1 (ko) 음료재료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274525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533779B1 (ko) 음료 제조기
KR102463325B1 (ko) 음료 제조기
KR102397732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음료 제조 방법
KR102522004B1 (ko) 음료 제조기 및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KR102282489B1 (ko) 음료 제조기
KR102557939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22000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0610B1 (ko) 음료 제조기
KR102533780B1 (ko) 음료 제조기
KR102557937B1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