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8089B1 -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089B1
KR102558089B1 KR1020170154332A KR20170154332A KR102558089B1 KR 102558089 B1 KR102558089 B1 KR 102558089B1 KR 1020170154332 A KR1020170154332 A KR 1020170154332A KR 20170154332 A KR20170154332 A KR 20170154332A KR 102558089 B1 KR102558089 B1 KR 102558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channel
water
contain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912A (ko
Inventor
허정익
윤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4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089B1/ko
Priority to US16/193,769 priority patent/US10968420B2/en
Publication of KR20190056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2Di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8Closing means, e.g. bungholes, barrel bu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31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12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2001/0814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for upside down us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모듈; 급수 모듈과 연결되고, 각각 입구와 출구를 갖는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 재료 공급기와 연결되고, 재료 공급기의 재료가 물과 함께 투입되는 발효 모듈;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중, 일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채널; 및 재료 공급기에 구비되고, 연결 채널을 지지하는 지지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제조기{BAVERAGE MAKER}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안전하고 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부품 및 채널이 간소화되고 누수 포인트가 최소화된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모듈; 상기 급수 모듈과 연결되고, 각각 입구와 출구를 갖는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 상기 재료 공급기와 연결되고, 상기 재료 공급기의 재료가 물과 함께 투입되는 발효 모듈;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중, 일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채널; 및 상기 재료 공급기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 채널을 지지하는 지지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지지홀더는, 상하 방향으로 일 재료 수용부와 타 재료 수용부 사이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재료 수용부의 입구와 출구는 상기 재료 수용부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채널은, 일 재료 수용부의 출구에 장착되는 출구 피팅;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에 장착되는 입구 피팅; 및 상기 출구 피팅과 상기 입구 피팅을 연결하는 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홀더는 상기 출구 피팅, 상기 입구 피팅 및 상기 호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재료 공급기는,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더가 구비된 재료 수용바디; 및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를 개폐하는 리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홀더는, 상기 연결 채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 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재료 수용바디에 체결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장부의 각 단부에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재료 수용바디에는 상기 후크부가 걸리는 후크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연장부는 상기 재료 수용바디에 가까워질수록 상호간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의 입구 및 출구는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의 입구 및 출구는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의 입구는 일 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의 입구는 상기 일 직선과 평행한 타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재료 수용부의 외측 저면에는, 상기 호스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재료 수용부의 입구와 출구의 사이를 향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의 적어도 일부는, 일 재료 수용부의 입구와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모듈과 상기 재료 공급기를 연결하는 채널을 개폐하는 재료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료 공급기에는 상기 재료 공급밸브가 장착되는 재료 공급밸브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모듈; 상기 급수 모듈과 제1메인채널로 연결되고, 각각 입구와 출구를 갖는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 상기 재료 공급기와 제2메인채널로 연결되고, 상기 재료 공급기의 재료가 물과 함께 투입되는 발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유체의 유동에 대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중, 일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입구가 상기 제1메인 채널에 연결된 최초 재료 수용부; 출구가 상기 제2메인 채널에 연결된 최종 재료 수용부; 및 유체의 유동에 대해 상기 최초 재료 수용부와 상기 최종 재료 수용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입구와 출구 각각에 서로 다른 연결 채널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재료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채널을 지지하는 지지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료 공급기는,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더가 구비된 재료 수용바디; 및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를 개폐하는 리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재료 수용부가 병렬이 아닌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재료 공급기의 부품 및 채널이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제작 비용이 절감되고, 음료 제조기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재료 수용부가 병렬이 아닌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각 구성을 연결하는 연결부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다. 이로써, 누수 포인트가 최소화되어 음료 제조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재료 수용부가 병렬이 아닌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각 재료 수용부를 통과하는 물의 양이 많아지므로 재료 수용부에 담긴 재료가 더욱 용이하게 취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재료 수용부가 병렬이 아닌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유체가 재료 수용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체크밸브의 개수가 줄어들어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재료 수용부가 병렬이 아닌 직렬로 연결되면 사용자가 캡슐의 장착 순서를 신경쓰지 않아도 되므로, 캡슐을 잘못된 순서로 장착함으로써 발생하는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지지홀더에 의해 연결 채널이 고정되므로, 연결 채널의 탈거나 진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홀더의 후크부에 의해 지지 홀더가 재료 수용바디에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에 의해 작업자가 연결채널을 잘못 끼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제어 수순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가 밀폐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에 포함된 재료 수용부의 일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에 재료 컨테이너가 안착되기 이전의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에 재료 컨테이너가 안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리드 모듈이 클로즈되고 잠금 해제인 상태일 경우에 재료 공급기에 안착된 재료 컨테이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리드 모듈이 클로즈되고 잠금 상태일 경우에 재료 공급기에 안착된 재료 컨테이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지지 홀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재료 공급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가 맥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서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모듈(5)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모듈(5)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 모듈(5)과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메인 채널(4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음료 취출기(6)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발효 모듈(1)에서 취출된 음료가 제2메인 채널(42)의 일부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안내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가스배출기(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어, 음료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모듈(5)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는 에어 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에어 조절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서브 채널(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과 음료 취출기(6)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발효 모듈(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발효 모듈(1)은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111)과, 개구부(170)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11)은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 케이스(160)에 수용되고 내부공간(S1)이 형성된 발효조(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조(112) 사이에는 단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11)은 발효 리드(107)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바디(1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 및 발효조(112)는 각각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는 발효조 모듈(111)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 모듈(111)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모듈(111)의 상측에 배치되어 개구부를 덮을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메인 채널, 좀 더 상세하게는 제2메인 채널(42)와 연결되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발효조(112)의 내부에는 발효 컨테이너(12)가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음료 재료 및 완성된 음료가 발효조(112)의 내벽에 뭍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의 내부에 안착되어 발효조(112) 내부에서 음료를 발효시킬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후, 발효조(11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발효조(112)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압력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효 컨테이너(12)가 페트(pet)의 재질을 갖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는 음료 재료가 수용되고 음료가 제조되는 음료 제조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12)의 내부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 리드(107)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2)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 컨테이너(12)가 발효조(112)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2)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2)와 발효 리드(107)에 의해 밀폐된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담겨있던 음료가 취출되고 발효조(112)의 내면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로 에어가 공급되면, 발효조(112) 내부의 에어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발효조(112)는 발효 케이스(1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발효조(112)의 외둘레 및 저면은 발효 케이스(16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조(112)의 외둘레는 발효 케이스(160)의 내둘레와 이격될 수 있고, 발효조(112)의 외측 저면은 발효 케이스(160)의 내측 저면과 이격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와 발효조(112) 사이에는 단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는 발효 케이스(160) 내부에 위치하고 발효조(112)를 둘러쌀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12)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는 단열성능이 높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조(112)에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센서(16)는 발효조(112)의 둘레면에 장착될 수 있다. 온도 센서(16)는 발효조(112)에 감긴 증발기(134)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온도 조절기(1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온도 조절기(11)는 발효조 모듈(111)의 내부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온도 조절기(11)는 발효조(112)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발효조(112)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냉동 사이클 장치(13)와 히터(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조절기는 열전소자(TEM)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발효조(112)를 냉각시켜 발효조(11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냉동 사이클 장치(13)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의 외면에 감기는 증발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증발기(134)는 발효조(112)와 단열부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고, 단열부에 의해 단열된 발효조(112)를 냉각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발효조(112)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2)의 저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플레이트 히터(Plate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증발기(134) 및 히터(14)에 의해 발효조(112)의 내부에서 유체의 자연 대류가 발생할 수 있고 발효조(112) 및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이하, 메인 채널(41)(42) 및 바이패스 채널(43)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채널(41)(42)은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기(3)를 연결하는 제1메인 채널(41)과, 재료 공급기(3)와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제2메인 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메인 채널(41)은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을 재료 공급기(3)로 안내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은 재료 공급기(3)에서 추출된 재료와 물의 혼합물을 발효 모듈(1)로 안내할 수 있다.
제1메인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모듈(5)과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 좀 더 상세하게는 후술할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메인 채널(41)에는, 제1메인 채널(41)을 개폐하는 재료 공급 밸브(310)가 설치될 수 있다. 재료 공급 밸브(310)는 재료 공급기(3)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310)는 재료 수용부(31)(32)(33)에 수용된 첨가물의 투입시 오픈되어 제1메인 채널(41)을 개방할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310)는 재료 수용부(31)(32)(33)의 클리닝 시 오픈되어 제1메인 채널(41)을 개방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의 일 단은 발효 모듈(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 좀 더 상세하게는 후술할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출구(33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에는, 제2메인채널(42)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메인채널(42)에는 유체를 재료 공급기(3)에서 발효 모듈(1)로 유동시키는 메인 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메인 체크밸브(314)는 유체가 재료 공급기(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체크밸브(314)는, 제2메인채널(42)에 대해 메인 밸브(40)와 재료 공급기(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로 물을 급수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40)는 발효조(112)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클로즈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첨가제를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취출기(6)에 의한 음료 취출시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를 개방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유동될 수 있다.
메인 채널(41)(42)은,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연속된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경우, 음료 제조기는, 물이나 공기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된 바이패스 채널(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제1메인 채널(41)과 제2메인채널(42)을 연결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대해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 밸브(31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대해 메인 밸브(40)와 재료 공급기(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에는, 바이패스 채널(43)을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이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가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바이패스 채널(43)의 클리닝 시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채널(43)에는, 유체를 제1메인 채널(41)에서 제2메인채널(42)로 유동시키는 바이패스 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유체는 제1메인 채널(41)에서 제2메인 채널(42)로만 유동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유동될 수 없다.
바이패스 체크밸브(324)는, 바이패스 채널(43)에 대해 바이패스 밸브(35)와 제2메인채널(4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재료 공급기(3)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경우,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맥주 제조의 경우, 상기 주 재료는 맥아,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고, 발효 컨테이너(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발효 컨테이너(12)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 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편의를 위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취출기(6)로 유동되어 취출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인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공급기(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31)(32)(33)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31)(32)(33)는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31A)(32A)(33A)와, 유체가 유출되는 출구(31B)(32B)(33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재료 수용부의 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재료 수용부의 재료와 혼합되어 출구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캡슐(C1)(C2)(C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캡슐(C1)(C2)(C3)이 수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31)(32)(33)는 캡슐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재료가 캡슐(C1)(C2)(C3)에 수용될 경우, 재료 공급기(3)는 캡슐(C1)(C2)(C3)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는 캡슐(C1)(C2)(C3)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재료 공급기(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캡슐 장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캡슐 장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캡슐 장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에 담긴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재료가 수압에 의해 추출되는 경우, 급수 모듈(5)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맥주의 제조 시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재료 공급기(3)는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 중 어느 하나의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다른 하나의 재료 수용부의 입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채널(311)(3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최초 재료 수용부(31)와, 최종 재료 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중간 재료 수용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출구(33B)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유체의 유동에 대해 제1재료 수용부(31)와 상기 제2재료 수용부(3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입구(32A)와 출구(32B) 각각에 서로 다른 연결 채널(311)(312)이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공급기(3)에 재료 수용부가 3개 형성된 경우,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출구(31B)는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입구(32A)와 제1연결 채널(311)로 연결될 수 있고,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출구(32B)는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입구(33A)와 제2연결채널(312)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메인채널(41)를 통해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로 유입된 물은, 최초 재료 수용부(31)에 수용된 제1첨가제와 함께 출구(31B)를 통해 제1연결채널(311)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연결채널(311)를 통해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입구(32A)로 유입된 유체(물과 제1첨가제의 혼합물)는, 중간 재료 수용부(32)에 수용된 제2첨가제와 함께 출구(32B)를 통해 제2연결채널(31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연결채널(312)를 통해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입구(33A)로 유입된 유체(물, 제1첨가제 및 제2첨가제의 혼합물)는, 최종 재료 수용부(33)에 수용된 제3첨가제와 함께 출구(33B)를 통해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을 통해 유출된 유체(물, 제1첨가제, 제2첨가제 및 제3첨가제의 혼합물)는 발효 모듈(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로 안내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다만 재료 공급기(3)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중간 재료 수용부가 없을 경우, 재료 공급기(3)에는 2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 재료 수용부는 최초 재료 수용부이고, 다른 하나의 재료 수용부는 최종 재료 수용부일 수 있다. 최초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최종 재료 수용부의 입구는 연결채널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중간 재료 수용부가 복수개일 경우, 재료 공급기(3)에는 4개 이상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 재료 수용부는 최초 재료 수용부이고, 다른 하나의 재료 수용부는 최종 재료 수용부이며, 나머지 재료 수용부는 중간 재료 수용부일 수 있다. 이 경우 각 재료 수용부간의 직렬 연결 관계는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재료 공급기(3)의 채널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캡슐(C1)(C2)(C3)에 담긴 첨가제가 한 번에 추출되므로 소요 시간이 짧아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캡슐(C1)(C2)(C3)의 장착 순서를 신경쓰지 않아도 되므로, 캡슐(C1)(C2)(C3)을 잘못된 순서로 장착함으로써 발생하는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재료 공급기(3)의 누수 포인트가 최소화되어 신뢰성이 항상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가 캡슐(C1)(C2)(C3) 내에 수용되는 경우, 최초 재료 수용부(31)는 최초 캡슐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고,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중간 캡슐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잇으며, 최종 재료 수용부(33)는 최종 캡슐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급수 모듈(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급수 모듈(5)은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 펌프(52)와, 급수 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52) 및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와 급수 펌프(52)는 수조 출수채널(55A)로 연결될 수 있고, 수조(51)에 담긴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 펌프(52)로 흡입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와 제1메인 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채널(55B)로 연결될 수 있고, 급수 펌프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54)가 설치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54)는 스텝인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4A)가 설치될 수 있다. 써미스터(54A)는 유량조절밸브(54)에 내장될 수 있다.
급수 채널(55B)에는 급수펌프(52)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급수 체크밸브(59)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 히터(53)는 급수 채널(55B)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몰드 히터일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이 통과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 케이스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는 온도가 높을 경우 회로가 차단되어 급수히터(5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써멀 퓨즈(58, Thermal fuse)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안전 밸브(53A, safety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밸브(53A)는 급수 히터(53)의 히터 케이스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안전 밸브(53A)는 히터 케이스의 최대 내압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안전 밸브(53A)는 히터 케이스의 최대 내압을 3.0bar로 제한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급수히터(53)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급수 온도센서(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온도센서(57)는 급수 히터(53)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급수 온도센서(57)는 급수 채널(55B) 중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수 히터(53)의 이후에 위치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급수 온도센서(57)가 제1메인 채널(4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펌프(52)로 흡입되고,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를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되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이하, 음료 취출기(6)에 대해 설명한다.
음료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취출기(6)는 음료가 취출되는 디스펜서(62)와, 디스펜서(62)와 제2메인채널(42)을 연결하는 음료 취출채널(61)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의 일 단(61A)은, 제2메인 채널(42)에 대해 메인 체크밸브(314)와 메인 밸브(4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디스펜서(6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을 개폐하는 음료 취출밸브(64)가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음료가 취출될 때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잔수 제거 시에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음료 취출기(6)의 클리닝 시에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에는 거품차단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된 음료의 거품은 거품차단 패스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거품차단부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음료의 취출 시 음료 취출밸브(64)는 오픈될 수 있고, 음료가 취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음료 취출밸브(64)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이하, 가스 배출기(7)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가스 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되고,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스 배출기(7)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된 가스 배출채널(71)과, 가스 배출채널(71)에 설치된 가스 압력센서(72)와, 가스 배출채널(71)에 가스 배출방향으로 가스 압력센서(72) 이후에 연결된 가스 배출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71)는 발효 모듈(1) 특히, 발효 리드(107)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가스 배출채널(71)이 연결되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가스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배출채널(71) 및 가스 압력센서(72)로 유동될 수 있다. 가스 압력센서(72)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배출채널(71)로 유출된 가스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에어주입기(8)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가 주입될 때 온되어 오픈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컨테이너(12)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상부에서 가스 배출채널(71) 및 가스 배출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발효공정 도중의 발효도 감지를 위해 온되어 오픈된 후 다시 오프되어 클로즈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는 가스 배출채널(71)에 연결된 안전 밸브(75, safety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밸브(75)는 가스 배출채널(71) 중 가스 배출 방향으로 가스 압력센서(72) 이후에 연결될 수 있다. 안전 밸브(75)는 발효 컨테이너(12) 및 가스 배출채널(71)의 최대 내압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안전 밸브(75)는 발효 컨테이너(12) 및 가스 배출채널(71)의 최대 내압을 3.0bar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가스 배출기(7)는 압력 해제 밸브(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가스 배출 채널(71)에 연결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와 가스 배출 밸브(73)는 택일적으로 오픈/클로즈 될 수 있다.
가스 배출 채널(71)은 분지되어 가스 배출 밸브(73)와 압력 해제 밸브(76)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에는 소음 저감장치(77)가 장착될 수 있으며, 소음 저감장치(77)는 오리피스 구조나 머플러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저감장치(77)에 의해, 압력 해제 밸브(76)는 오픈되더라도 가스 배출 밸브(73)와 비교하여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이 서서히 낮아질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되어 가스 발생으로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이 상승한 상태에서 압력을 해제시키기 위해 오픈될 수 있다. 소음저감장치(77)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후술할 2차 발효단계(S800)에서 오픈/클로즈 제어될 수 있다.
이하, 에어 주입기(8)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어 주입기(8)가 급수 채널(55B)에 연결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히터(53)를 기준으로, 후술할 서브 채널(91)의 반대편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는 급수 히터(53)를 통과할 수 있고, 급수 히터(53) 내부의 잔수와 함께 서브 채널(91)로 유동될 수 있다. 이로써, 급수 히터(53)내의 잔수가 제거되어 급수 히터(53)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바이패스 채널(43)과 제2메인 채널(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로 주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교반이나 에어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재료 공급기(3)로 안내되어 캡슐 장착부(31)(32)(33)로 유동될 수 있다. 캡슐(C1)(C2)(C3) 또는 캡슐 장착부(31)(32)(33) 내의 잔수나 찌꺼기는 에어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캡슐(C1)(C2)(C3) 및 캡슐 장착부(31)(32)(33)는 에어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에어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된 에어 주입채널(81)과, 에어 주입채널(81)에 연결된 에어 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공기를 펌핑할 수 있다.
에어 주입채널(81)에는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 채널(55B)로 유동된 물이 에어 주입채널(81)를 통해 에어 펌프(8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에어주입 체크밸브(83)가 설치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에어 필터(8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필터(82A)는 에어 펌프(82)의 흡입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공기는 에어 필터(82A)를 통과하여 에어 펌프(82)로 흡입될 수 있다. 이로써, 에어 펌프(82)는 청결한 공기를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할 수 있다.
이하, 에어 조절기(1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은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내벽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에어조절기(15)는 발효 모듈(1)에 연결된 에어 공급채널(154)와, 에어 공급채널(154)에 연결되어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채널(157)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 단(154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발효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는 발효 모듈(1) 특히, 발효 리드(107)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에는 에어 공급채널(154)가 연결되는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가 마련될 수 있고,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는 발효조(112)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에서 제1메인채널(41)로 주입된 공기는 에어 공급채널(154)를 통해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로 안내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에어 공급채널(154)과 함께,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효조(112) 내부로 공급된 에어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에서 발효 컨테이너(12)을 가압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에어에 의해 눌린 발효 컨테이너(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와 음료 취출밸브(64)가 개방되면,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과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서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에어 펌프(82)는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 소정 압력이 형성되게 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에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 취출이 용이한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에어 펌프(82)는 음료 취출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음료 취출이 끝나면, 다음 번 음료 취출을 위해 구동되었다가 정지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가 완성되면, 발효 컨테이너(12)를 발효 모듈(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 모듈(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를 음료취출 채널모듈(6)로 취출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가 에어 주입기(8)와 별도의 에어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에어 공급채널(154)는 제1메인채널(41)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에어 공급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에어 펌프(82)가 발효 컨테이너(12)에 에어를 주입하는 것과,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제품의 컴팩트화 및 비용절감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배기 채널(157)은,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부와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와 발효조(112)의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에어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배기채널(157)는 발효 모듈(1)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기 채널(157)은 에어 공급채널(154) 중 발효조(112)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은 제1메인채널(41)와 연결되는 연결부(154A)부터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7A)까지의 제1채널과,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4A)부터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까지의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채널은 에어 펌프(82)에서 펌핑된 에어를 제2채널로 안내하는 급기채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채널은 급기채널을 통과한 에어를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로 급기하거나, 발효조(112)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에서 유출된 에어를 연결채널(157)로 안내하는 급기 및 배기 겸용 채널일 수 있다.
배기 채널(157)에는 배기 채널(157)을 개폐하는 배기 밸브(156)가 연결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의 도중에 발효 컨테이너(12)이 팽창될 때,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급수 채널모듈(5)에 의한 급수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에어주입 채널모듈(8)에 의한 에어 주입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 취출이 완료되면,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에어를 빼내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 취출이 완료된 후, 발효 컨테이너(12)을 발효조(112)의 외부로 꺼낼 수 있는데, 발효조(112) 내부가 고압을 유지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기밸브(156)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 취출 완료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에어 펌프(82)에서 펌핑되어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의 사이로 공급되는 에어를 단속하는 에어 공급 밸브(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 중 제1메인채널(41)과의 연결부(154A)와 배기 채널(157)와의 연결부(157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서브 채널(9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과 음료 취출기(6)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브 채널(91)의 일 단(91A)은 급수 채널(55B)에 연결되고 타 단(91B)은 음료 취출채널(61)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채널(55B)에 대해 급수 펌프(52)와 급수 히터(53)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은 음료 취출채널(61)에 대해, 제2메인 채널(42)과의 연결부(61A)와 음료 취출밸브(64)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된 물이나 에어 펌프(82)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서브 채널(91)을 통해 음료 취출채널(61)로 안내될 수 있고, 디스펜서(62)로 취출되며 음료 취출기(6) 내부에 남아있는 잔수나 음료를 제거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에는 서브 채널(91)을 개폐하는 서브 밸브(92)가 설치될 수 있다.
서브 밸브(92)는 음료 취출 시 또는 내부 클리닝 시에 오픈되어 서브 채널(91)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의 음료가 급수 모듈(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서브 체크밸브(93)가 설치될 수 있다. 서브 체크밸브(93)는 서브 채널(91)에 대해 서브 밸브(92)와 음료 취출채널(6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의 잔수 제거 채널로 기능할 수 있다. 일례로, 에어공급밸브(159), 바이패스 밸브(35) 및 재료공급밸브(310)가 클로즈되고 서브 밸브(92)가 오픈된 상태에서 에어 펌프(82)가 온 되면,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된 에어는 급수 히터(53)를 통과하여 서브 채널(91)로 유동될 수 있고, 서브 밸브(92)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된 후 디스펜서(62)로 취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에어는 급수 모듈(5), 좀 더 상세히는 급수 히터(53) 및 급수 채널(55B)에 남아있던 잔수와 함께 디스펜서(62)로 취출됨으로써 잔수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은 클리닝 채널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관련해서는 후술할 클리닝 단계(S100)(S1100)와, 음료 취출단계(S1000) 중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베이스(1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음료 제조기의 저면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그 상측에 위치하는 발효 모듈(1), 냉동 사이클 장치(13), 급수히터(53), 급수펌프(52), 메인 프레임(230)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디스펜서(62)에서 낙하된 음료를 받아 보관할 수 있는 음료 컨테이너(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는 베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베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는 내부에 디스펜서(62)에서 낙하된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 바디(101A)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컨테이너(101)는 컨테이너 바디(101A)의 상면에 배치되어 컨테이너 바디(101A) 내의 공간을 덮는 컨테이너 상판(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01A)는 베이스(100)의 앞부분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01A)는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컨테이너 상판(101B)에는 음료가 컨테이너 바디(101A) 내부로 낙하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62)에서 낙하된 음료 중 음료 용기(미도시) 주변으로 낙하된 음료는 컨테이너 상판(101B)으로 낙하될 수 있고, 컨테이너 상판(101B)의 홀을 통해 음료 컨테이너(101) 내부에 일시적으로 보관될 수 있고, 음료 제조기 주변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은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은 베이스(100)에 의해 하방에서 지지될 수 있다.
발효 모듈(1)은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발효모듈(1)은 베이스(1)에 직접 안착되어 배치될 수도 있고, 베이스(100)에 안착된 별개의 발효모듈 서포터(미도시)에 의해 지지되어 베이스(10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발효 모듈(1)은 개구부(170)가 형성된 발효조 모듈(111)과, 개구부(170)를 덮는 발효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효조 모듈(111)의 내부에는 발효 컨테이너(12)가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의 내부에는 발효조(112)가 수용될 수 있다. 단열부는 발효조(112)와 발효 케이스(16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발효조(112)를 단열시킬 수 있다. 이 때 증발기(134, 도 1 참조) 및 히터(14, 도 1 참조)는 단열부와 발효조(1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단열부는 증발기(134) 및/또는 히터(14)를 발효조(112)와 함께 둘러쌀 수 있고, 이로써 발효조(112)의 온도 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 모듈(1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발효조 모듈(111)의 개구부(170)를 상측에서 개폐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11)은 발효 리드(107)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바디(1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79)는 발효 케이스(1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발효 리드(107)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는 발효 모듈(1)의 하측 일부 외관을 구성할 수 있고, 발효 리드(107)는 발효 모듈(1)의 상측 일부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60)는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 모듈(11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 모듈(111)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힌지 연결부(107A)가 구비될 수 있고, 제1힌지 연결부(107A)는 발효조 모듈(111)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냉동사이클 장치(13)는 압축기(131)와, 응축기(132)와, 팽창기구(133)와, 증발기(134, 도 1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응축기(132)를 냉각시키는 송풍팬(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히트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냉매채널 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냉매채널 절환밸브는 사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냉매채널 절환밸브는 압축기(131)의 흡입채널 및 압축기(131)의 토출채널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응축기(132)와 응축기 연결채널로 연결될 수 있으며, 증발기(134)와 증발기 연결채널로 연결될 수 있다.
냉매채널 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냉각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132)로 안내함과 증발기(134)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냉매채널 절환밸브는 발효조(112)의 가열시 압축기(131)에서 압축된 냉매를 증발기(134)로 안내함과 아울러 응축기(132)에서 유출된 냉매를 압축기(131)로 안내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냉동 사이클 장치(13)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냉동 사이클 장치(13)의 압축기(131) 및 응축기(132)는 베이스(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발효 모듈(1)에는 파이프(136)가 연결될 수 있다. 파이프(136)에는 냉동 사이클 장치(13, 도 1 참조)를 구성하는 냉매 배관의 일부가 내장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파이프(136)에는 팽창기구(133)과 증발기(134, 도 1 참조)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이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수조(51)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100)와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는 후술할 수조 서포터(233)에 의해 베이스(100)와 수직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는 발효 모듈(1)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조(51)와 발효 모듈(1)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수조(51)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다. 수조(51)의 전면과 배면은 수평방향으로 라운드진 곡면일 수 있고 수조(51)의 양측면은 평면일 수 있다. 이 때, 수조(51)의 전면과 배면의 곡률은 발효 모듈(1)의 외둘레면의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조(51)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조(51)는 상면이 개방된 중공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조(51)에는 수조 손잡이(59)가 구비될 수 있다. 수조 손잡이(59)는 수조(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조 손잡이(59)의 양단은 수조(51)의 양 측면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조 손잡이(59)를 상방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수조 손잡이(59)를 잡고 수조(51)를 들어올릴 수 있다.
수조(51)의 상단에는 단차부(51a)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부(51a)는 수조(51)의 상단 중 일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나머지 상단보다 높이가 낮은 부분일 수 있다. 단차부(51a)는 수조(51)의 상단 중 전방측 일부가 단차져 형성될 수 있다.
수조 손잡이(59)는 단차부(51a)에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수조 손잡이(59)의 폭은 단차부의 단차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수조 손잡이(59)는 휘어지게 형성된 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휨부의 곡률은 수조(51)의 전면 곡률과 동일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수조(5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수조 리드(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 리드(110)는 수조(51)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수조 리드(110)은 수조(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수조 리드(110)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힌지 연결부(110A)가 구비될 수 있고, 제2힌지 연결부(110A)는 수조(51)와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수조 리드(110)는 발효 리드(107)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가 디자인적으로 통일감을 가질 수 있고, 동일한 부품을 수조 리드(110)와 발효 리드(107)로 각각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베이스(100)부터 발효 리드(107)까지의 높이는, 베이스(100)부터 수조 리드(110)까지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이스(100)와 발효 리드(107)의 상면 사이의 높이는, 베이스(100)와 수조 리드(110) 상면 사이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아우터 케이스(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200)는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200)는 음료 제조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200)는 발효 모듈(1)을 커버하는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51)를 커버하는 수조 커버(202)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의 둘레면 중 일부는 개방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는 각각 발효모듈(1)과 수조(51)의 외둘레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51)는 각각 발효모듈(1)과 수조(51)를 고정시키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발효모듈 커버(201)와 수조 커버(202)의 높이 및/또는 직경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의 외관이 대칭 구조 및 통일성에 의해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20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200)는 프론트 커버(210)와 리어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발효 모듈(1), 수조(51) 및 메인 프레임(2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리어 커버(220)는 발효모듈(1), 수조(51) 및 메인 프레임(2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음료 제조기의 전방측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에는 디스펜서(62)가 장착될 수 있다. 디스펜서(62)는 프론트 커버(210)의 하단보다 상단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62)는 음료 컨테이너(10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펜서(62)를 오픈하여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210)는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와, 프론트 수조 커버(212)와, 센터 커버(21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는 발효 모듈(1)의 외둘레 중 전방 일부를 커버할수 있다.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는 발효모듈 커버(201)의 전방측 일부일 수 있다.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는 리어 커버(220)의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와 함께 발효모듈 커버(201)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발효모듈 커버(201)는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와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와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는 발효 모듈(1)의 후방측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는 발효모듈 커버(201)의 후방측 일부일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는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수조 커버(212)는 수조(51)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프론트 수조 커버(212)는 수조 커버(202)의 전방측 일부일 수 있다.
프론트 수조 커버(212)는 리어 커버(220)의 리어 수조 커버(263)와 함께 수조 커버(202)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수조 커버(202)는 프론트 수조 커버(212)와 리어 수조 커버(26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수조 커버(212)와 리어 수조 커버(263)는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리어 수조 커버(263)는 수조(51) 외둘레의 후방측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리어 수조 커버(263)는 프론트 수조 커버(21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센터 커버(213)는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와 프론트 수조 커버(2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 커버(213)의 양 측단은 각각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와 프론트 수조 커버(212)에 접할 수 있다.
센터 커버(213)는 수직하게 배치된 평판 형상일 수 있다.
센터 커버(213)의 높이는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 및 프론트 수조 커버(212)의 높이와 각각 동일할 수 있다.
센터 커버(213)에는 디스펜서(62)가 장착되는 취출밸브 장착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취출밸브 장착부(214)에는 디스펜서(62)의 디스펜서 바디(600)가 장착될 수 있다. 취출밸브 장착부(214)는 센터 커버(213)의 하단보다 상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취출밸브 장착부(214)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관통공(214A)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14A)에는 음료 취출채널(61) 또는 디스펜서 채널이 통과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기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8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82)는 센터 커버(213)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82)는 센터 커버(213) 중 디스펜서(62)에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플레이(282)는 디스펜서(62)와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282)는 엘시디(LCD), 엘이디(LED), 오엘이디(OLED)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82)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시비는 센터 커버(213)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후술할 컨트롤러(28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기의 제조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스크린, 사용자가 잡고 회전시키는 방식의 로터리 놉 및 사용자가 누르는 방식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입력부는 로터리 놉(283)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놉(283)은 센터 커버(213)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놉(283)은 디스플레이(282)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놉(283)은 사용자가 누르는 방식의 버튼으로 기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로터리 놉(283)을 잡고 돌리거나, 로터리 놉(283)의 전면을 눌러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부는 사용자의 명령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282)에 구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282)가 터치스크린으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부는 후술할 컨트롤러(28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기는 무선 통신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무선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모듈과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은 센터 커버(213)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모듈은 후술할 컨트롤러(28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음료 제조기는 별개의 이동 단말기 등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하거나, 제조 정보를 조회하거나, 제조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리어 커버(220)는 프론트 커버(210)와 결합될 수 있고, 리어 커버(220)와 프론트 커버(210) 사이에 아우터 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커버(220)는 제1리어 커버(260)와 제2리어 커버(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리어 커버(260)는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고, 제2리어 커버(270)는 제1리어 커버(260)의 후방에서 장착될 수 있다.
제1리어 커버(260)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264)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커버 바디(261)에는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개방부(264)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64)는 후술할 메인 프레임(230)을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제1리어 커버(260)를 분리하지 않고도 음료 제조기의 내부에 접근할 수 있다.
제1리어 커버(260)는 커버 바디(261),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 및 리어 수조 커버(263)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는 프론트 발효모듈 커버(211)와 함께 발효모듈 커버(201)를 구성할 수 있고, 리어 수조 커버(263)는 프론트 수조 커버(212)와 함께 수조 커버(202)를 구성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 및 리어 수조 커버(263)는 커버 바디(261)에 장착 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 및 리어 수조 커버(263)는 커버 바디(261)에 대해 전방에서 장착될 수 있다.
커버 바디(261)의 상면 중 일부는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와 리어 수조 커버(26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 및 리어 수조 커버(263)의 상단에는 각각 회피홈(262C)(263C)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에 형성된 제1회피홈(262C)은 발효 리드(107)의 리드 본체(109)에 형성된 제1힌지 연결부(107A)에 대응되고, 리어 수조 커버(263)에 형성된 제2회피홈(263C)은 수조 리드(110)에 형성된 제2힌지 연결부(110A)에 대응될 수 있다.
각 회피홈(262C)(263C)은 각 힌지 연결부(107A)(110A)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에는 관통공(265)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65)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관통공(265)에 의해, 발효 모듈(1)과 연결되는 채널들이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 바디(261)는 재료 공급기(3)를 지지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의 적어도 일부는 커버 바디(261)의 상면에 올려질 수 있고, 커버 바디(261)는 재료 공급기(3)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커버 바디(261)에는, 재료 공급기(3)의 연결채널(311, 312, 도 1 참조)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연결채널 회피홈(261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리어 커버(270)는 제1리어 커버(260)의 후방에서 장착될 수 있다. 제2리어 커버(270)는 제1리어 커버(260)에 형성된 개방부(264)를 커버할 수 있다.
제2리어 커버(270)는 제1리어 커버(260)의 커버 바디(261)에 장착될 수 있다. 제2리어 커버(270)는 제1리어 커버(260)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2리어 커버(270)는, 상단이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 및 리어 수조 커버(263)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커버(220), 좀 더 상세하게는 제2리어 커버(270)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271)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271)은 제1리어 커버(260)에 형성된 개방부(264) 및/또는 관통공(265)을 전후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 도 1 참조) 또는 압력 해제 밸브(76, 도 1 참조)에서 배출된 가스는 통공(271)을 통해 음료 제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배기 밸브(156, 도 1 참조)에서 배기된 에어는 통공(271)을 통해 음료 제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송풍팬(135)은 응축기(13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송풍팬(135)은 개방부(264) 및 통공(271)과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응축기(132)는 송풍팬(135)과 통공(27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팬(135)에 의해 응축기(132)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개방부(264) 및 통공(271)을 차례로 통과하여 아우터 케이스(2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2리어 커버(270)에는 재료 공급기 수용부(272)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 수용부(272)는 제2리어 커버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 수용부(272)에는 재료 공급기(3)의 후방측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제2리어 커버(270)에는 제3회피홈(275)과 제4회피홈(276)이 형성될 수 있다. 제3회피홈(275)은 리어 발효모듈 커버(262)에 형성된 제1회피홈(262C)과 대응될 수 있고, 제4회피홈(276)은 리어 수조 커버(263)에 형성된 제2회피홈(263C)과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는 발효 모듈(1)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가 발효 모듈(1)와 수조(51)의 사이 이외에 위치하는 경우 보다 컴팩트하게 제조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가 발효 모듈(1) 및 수조(51)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의 각 양측면 중 적어도 일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곡면은 각각 발효 모듈 커버(201)의 외둘레와 수조 커버(202)의 외둘레에 각각 접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베이스(100)의 상측에 베이스(10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재료 공급기(3)는 메인 프레임(23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전후 방향으로 프론트 커버(210)와 리어 커버(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의 전면은 프론트 커버(210)의 센터 커버(213)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배면은 제2리어 커버(270)의 재료 공급기 수용부(272)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제1리어 커버(261)의 커버 바디(261)와 제2리어 커버(270)의 재료 공급기 수용부(27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캡슐(C1)(C2)(C3)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슐 장착부(31)(32)(33)가 형성된 캡슐 장착바디(36)와, 캡슐 장착부(31)(32)(33)를 덮는 리드 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 장착바디(36)는 제1리어 커버(261)의 커버 바디(261)와 제2리어 커버(270)의 재료 공급기 지지부(27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장착바디(3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캡슐 장착바디(36)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음료 제조기의 대략 중앙 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재료 공급기(3)의 리드 모듈(37)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캡슐(C1)(C2)(C3)을 용이하게 장착,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메인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앞서 설명한 밸브들과 채널들 중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는 구성일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전후 방향으로 프론트 커버(210)와 리어 커버(2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발효 모듈(1)의 외둘레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베이스(100)에 올려질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수조 서포터(233)를 포함할 수 있고, 수조 서포터(233)는 수조(51)를 베이스(100)와 상하방향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의 적어도 일부는 재료 공급기(3)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에는 급수 펌프(52)와 급수 히터(53)와 송풍기(135)와 에어 펌프(82)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송풍기(135)와 에어 펌프(82)는 메인 프레임(230)에 장착되고, 급수 펌프(52) 및 급수 히터(53)는 베이스(100)에 장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30)은 응축기(132)와 발효모듈(1)의 사이를 구획하여 응축기(132)의 열에 의해 발효 모듈(1)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압축기(131)는 상하방향으로 베이스(100)와 수조(5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급수히터(53)와 급수펌프(52)는 메인 프레임(2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메인 프레임(230)에 장착된 송풍팬(135)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메인 프레임(230)에 장착된 송풍팬(135)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132)는 송풍팬(135)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기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음료 제조기의 전장부일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280)은 메인 프레임(23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메인 프레임(2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메인 프레임(230)의 배면에 체결될 수 있다.
피시비 케이스(281)는 메인 프레임(230)에 체결될 수 있고, 내부의 메인 피시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의 적어도 일부는 제1리어 커버(260)에 형성된 개방부(264)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는 메인 피시비와, 상기 메인 피시비가 내장된 피시비 케이스(28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피시비는 음료 제조기의 구성들의 동작을 실질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28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에 포함된 컨트롤러(281A)는 무선통신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81A)는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음료 제조기 또는 제조되는 음료에 관한 정보를 무선 통신모듈로부터 별도의 이동단말기 등으로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입력부에서 입력된 명령을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81A)는 로터리 놉(283)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음료 제조기의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282)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81A)는 디스플레이(282)를 통해 음료의 취출량, 음료의 잔량이나 음료 취출 완료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급수 펌프(52), 급수히터(53), 에어 펌프(82) 및 온도 조절기(11)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유량 조절밸브(54), 재료 공급밸브(310), 메인 밸브(40), 바이패스 밸브(35), 에어 공급밸브(159), 배기 밸브(156), 음료 취출밸브(64), 서브 밸브(92), 가스 배출밸브(73) 및 압력 해제 밸브(76)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플로우 미터(56), 써미스터(54A), 급수 온도센서(57), 온도 센서(16), 가스 압력센서(72)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전달받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281A)는 가스 압력센서(72)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을 감지할 수 있고, 온도센서(16)에 의해 발효조(112)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이렇게 감지된 압력이나 온도를 이용하여 음료의 발효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급수 온도센서(57)에 의해 급수모듈(5)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급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이렇게 감지된 물의 온도에 따라 급수 히터(5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온도 조절기(11)를 제어하여 발효조(112)의 온도를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디스펜서(62)가 개방된 시간과, 에어 펌프(82)가 구동한 시간과, 음료 제조가 완료된 후 메인 밸브(40)가 온인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적산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이렇게 적산된 시간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에서 취출된 음료의 취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이렇게 산출된 음료의 취출량으로부터, 음료의 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산출된 음료의 잔량 정보로부터,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가 모두 취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가 모두 취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음료 취출 완료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컨트롤러(281A)는 음료 제조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제어 수순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음료 제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음료 제조기는 그 내부의 채널을 클리닝하는 클리닝 단계(S100)(S110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닝 단계(S100)(S1100)는 음료 제조단계와 별도로 진행될 수 있다.
클리닝 단계(S100)(S1100)는 음료 제조단계의 실시 이전 및 음료 제조단계의 실시 이후에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클리닝 단계(S100)(S1100)는 음료 제조단계의 도중에, 사용자 입력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후술하는 1차 발효단계(S700)나 2차 발효단계(S800)와 같이, 메인 밸브(40)가 클로즈이고, 재료 공급기(3)에 첨가제가 담겨있지 않은 동안 실시될 수 있다.
클리닝 단계(S100)(S1100)는 재료 공급기(3)에 캡슐(C1)(C2)(C3)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반면, 음료 제조단계는 재료 공급기(3)에 캡슐(C1)(C2)(C3)이 수용되고 발효조(112) 내부에 발효 컨테이너(12)가 수용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모듈(280)에 구비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클리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클리닝 명령의 입력에 따라 음료 제조기를 클리닝 단계(S100)(S1100)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모듈(280)에 구비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음료 제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음료 제조 명령의 입력에 따른 음료 제조단계의 실시 전후에, 자동으로 음료 제조기를 클리닝 단계(S100)(S1100)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음료 제조단계 이전에 실시되는 클리닝 단계(S10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디스펜서(62)가 클로즈 상태일 경우, 컨트롤러(281A)는 디스펜서(62)를 개방하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282)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펜서(6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디스펜서(62)가 개방되고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휴대단말기 등을 통해 클리닝 명령을 입력되었으면, 음료 취출밸브(64)를 오픈시키고, 급수펌프(52)와 급수히터(53)를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메인 밸브(40)을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재료 공급기(3)와 바이패스 채널(4C)의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재료 공급밸브(310)와 바이패스 밸브(35)를 오픈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서브 채널(91)의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서브 밸브(92)를 오픈 시킬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즉, 온수)는 서브 채널(91)과 제1메인채널(41)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다.
서브 채널(91)로 유동된 물은 서브 밸브(92)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될 수 있고,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하여 디스펜서(62)로 취출될 수 있다.
또한, 제1메인채널(41)로 유동된 물은 재료 공급기(3)와 바이패스 채널(43)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로 유동된 물은 재료 공급밸브(310), 최초 캡슐 장착부(31), 중간 캡슐 장착부(32) 및 최종 캡슐 장착부(3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메인 채널(43)로 유동될 수 있고, 음료 취출채널(62)로 유동되어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한 후 디스펜서(62)에서 취출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로 유동된 물은 바이패스 밸브(35)를 통과하여 제2메인 채널(43)로 유동될 수 있고, 음료 취출채널(62)로 유동되어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한 후 디스펜서(62)에서 취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메인 채널(41)(42), 바이패스 채널(43), 서브 채널(91), 음료 취출채널(64), 상기 각 채널에 설치된 밸브들 및 디스펜서(62)가 살균 및 세척될 수 있다. 또한, 각 캡슐 장착부(31)(32)(33)와 연결채널(311)(312)가 살균 및 세척 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클리닝을 클리닝 설정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고, 클리닝 설정시간 이후, 클리닝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클리닝 설정시간 경과 후,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으며, 음료 취출밸브(64)와, 바이패스 밸브(35)와, 재료 공급 밸브(310)와 서브 밸브(92) 모두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 제조단계를 위해, 발효 리드(107)를 열고 발효 컨테이너(12)을 개구부(170)로 삽입하여 발효조 모듈(111)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 때,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는 맥아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맥아는 엿기름의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발효 리드(107)를 닫을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 모듈(111)과 발효 리드(107)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발효조(112)의 내부는 발효 리드(107)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안착 전, 후에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캡슐(C1)(C2)(C3)를 삽입한 후 리드 모듈(37)로 복수개의 캡슐 장착부(31)(32)(33)을 덮을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러(281A)에 연결된 입력부나, 리모컨이나 이동단말기 등을 통해 음료 제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음료 제조 명령의 입력에 따라 음료 제조기를 음료 제조단계로 제어할 수 있다.
음료 제조단계는 급수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은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맥아를 온수와 고르게 혼합(Mixing)하여 액상 맥아를 형성하는 액상 맥아 형성단계일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급수단계(S200)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 시킬 수 있고, 재료 공급 밸브(310)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급수단계(S200)시 바이패스 밸브(35) 및 메인 밸브(40)를 오픈 시킬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281A)는 발효 컨테이너(12)로 급수시 배기 밸브(156)를 오픈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 시, 수조(51)에서 출수된 물은 급수펌프(52)를 통과할 수 있고,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은 제1메인 채널(41)에서 바이패스 채널(43)로 유동되고, 바이패스 밸브(35)를 통과하여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된 물은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으로 유입된 온수는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와 혼합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맥아는 물과 혼합되어 점차 희석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로 온수가 공급되므로,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되어 있던 맥아는 온수와 신속하고 고르게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상기와 같은 물의 유입시 점차 팽창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는 발효 컨테이너(12)가 팽창됨에 따라 일부가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되어 배기밸브(156)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으로 물이 유입되는 동안,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12) 내부에서 터지거나 찢어지는 것 없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급수단계(S200)시 급수히터(53)는 물을 50℃ 내지 7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컨트롤러(281A)는 급수 온도센서(57)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급수히터(53)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급수단계(S200)를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누적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될 때까지 실시할 수 있고,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누적 수량이 설정유량에 도달되면, 급수단계(S200)를 완료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의 완료 시, 컨트롤러(281A)는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 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급수단계(S200)의 완료 시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한편, 컨트롤러(281A)는 급수단계(S200)의 도중에,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물을 1차 유입한 다음 중단하고, 이후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한 다음 중단하며, 최종적으로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온수를 2차 유입한 다음 중단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1차 물 유입과, 에어 주입과, 2차 물 유입을 순차적으로 모두 완료한 후 급수단계(S200)를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단계(S200)의 일 예는 온수를 급수하는 온수급수과정만을 실시할 수 있다.
급수단계(S200)의 다른 예는 1차로 온수를 급수하는 1차 온수급수과정과,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과정과, 2차로 온수를 주입하는 2차 온수급수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급수단계(S200)의 일 예로 급수단계(S200)가 온수급수과정만을 실시하는 경우는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급수단계(S200)의 다른 예로, 급수단계(S200)가 1차 온수급수과정과, 에어주입과정과, 2차 온수급수과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281A)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 및 메인 밸브(40)를 오픈시킬 수 있으며, 재료 공급밸브(310)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밸브(156)을 오픈시킬 수 있다.
1차 온수급수과정시,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는 물이 유입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은 유입되는 물에 의해 팽창될 수 있으며,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발효 컨테이너(12)에 밀려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281A)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유량에 따라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유량이 제1설정유량에 도달되면,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로 판단하고,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35)와 메인 밸브(40)의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1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시,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밸브(156)의 오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1차 온수급수과정이 완료되면 에어주입과정이 실시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에어주입과정의 개시시 에어 펌프(82)를 온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에어 공급 밸브(159)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가 온인 동안,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된 에어는 제1메인 채널(41)에서 바이패스 채널(43)을 통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효 컨테이너(12)로 유입된 에어는 액상 맥아를 부딪혀 맥아와 온수가 보다 고르게 혼합(Mixing)되게 도울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로 에어가 유입됨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은 팽창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발효 컨테이너(12)에 밀려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가스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이면, 에어주입과정을 완료할 수 있고, 에어주입과정의 완료를 위해 에어 펌프(82)를 오프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에어주입과정의 완료시, 메인 밸브(40)와 바이패스 밸브(35)와, 가스 배출밸브(73) 및 배기밸브(156)을 오픈 유지시킬 수 있다.
에어주입과정이 완료되면 2차 온수급수과정이 실시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개시시,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온시킬 수 있다.
수조(51)의 물은 1차 온수급수과정과 같이, 발효 컨테이너(12)로 급수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새로운 온수가 추가 급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2차 온수급수시, 발효 컨테이너(12)는 추가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더욱 팽창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에 잔존한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발효 컨테이너(12)에 밀려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유량에 따라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2차 온수급수과정의 도중에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유량이 제2설정유량에 도달되면,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로 판단하고,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오프하고, 메인 밸브(40)와 바이패스 밸브(35)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또한, 2차 온수급수과정의 완료 시, 컨트롤러(281A)는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단계는 발효조 냉각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급수단계(S200)가 완료되면, 발효조(112)를 냉각시키는 발효조 냉각단계(S300)가 실시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발효조(112)의 냉각을 위해 온도 조절기(11)를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281A)는 발효조(112)의 냉각을 위해 냉동사이클 장치(13)를 제어할 수 있다. 냉매는 증발기(134)를 통과하면서 발효조(112)의 열을 빼앗고, 증발될 수 있다. 냉동 사이클 장치(13)의 구동시 발효조(112)는 점차 냉각될 수 있고, 발효조(112) 내부에 수용된 발효 컨테이너(12)와,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액상 맥아는 냉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효조(112)의 냉각시, 증발기(134)는 발효 컨테이너(12)를 냉각할 수 있고, 컨트롤러(281A)는 발효조(112)에 설치된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냉동 사이클 장치(13)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설정 온도(예를 들어, 35℃)로 유지되도록 압축기를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281A)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압축기 온 온도 초과(예를 들어, 35.5℃)이면 냉동 사이클 장치(13)의 압축기를 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압축기 오프 온도(예를 들어, 34.5℃) 이하이면 압축기를 오프할 수 있다.
후술할 첨가제 투입단계(S500) 시 급수 히터(53)는 오프된 상태이므로 첨가제와 함께 발효 컨테이너(12)로 투입된 물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의 온도가 냉각단계(S300)시 설정되어 있던 설정온도에 비해 다소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전까지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온도가 35℃ 내외로 유지되다가 첨가제와 물이 함께 발효 컨테이너(12)로 투입되면 발효 컨테이너(12)의 온도는 30℃ 내외로 내려갈 수 있다. 따라서, 냉각단계(S300)시의 상기 설정온도는 이러한 온도 하강을 고려하여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컨트롤러(281A)는 발효조 냉각단계(S300)의 도중에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는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으며, 발효조(112) 내부의 공기는 신속하게 냉각될 수 있다.
예외적으로, 외부의 온도가 매우 낮아 냉동 사이클 장치(13)를 오프시킨 상태에서도 발효 컨테이너(12)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아진 경우, 컨트롤러(281A)는 발효조(112)의 하부에 위치한 히터(14)를 온 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히터 온 온도 미만이면 히터(14)를 온 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히터 오프 온도 이상이면 히터를 오프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단계는 급기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발효조 냉각단계(S300)가 개시되고 냉동 사이클 장치(13)의 압축기가 온된 후,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적어도 1회 압축기 오프 온도 이하이면,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에어를 공급하여 액상 맥아를 믹싱하는 급기단계(S400)를 실시할 수 있다. 또는, 음료 제조기는 상기와 같은 발효조 냉각단계(S300)가 개시되고 히터(14)가 온 된 경우,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적어도 1회 히터 오프 온도 이상이면,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에어를 공급하여 액상 맥아를 믹싱하는 급기단계(S400)를 실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기단계(S400)의 도중에도,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냉동사이클 장치(13) 및 히터(14)를 온, 오프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냉동 사이클 장치(13) 및 히터(14)의 온, 오프 제어는 후술하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급기단계(S400) 시, 컨트롤러(281A)는 에어 펌프(82)를 온시키고, 바이패스 밸브(35)와 메인 밸브(40)를 오픈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가스 배출밸브(73) 및 배기밸브(156)을 오픈시킬 수 있으며, 에어 공급 밸브(159) 및 재료 공급밸브(310)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가 온인 동안,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된 에어는 제1메인 채널(41)에서 바이패스 채널(43)을 통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효 컨테이너(12)로 유입된 에어는 액상 맥아를 부딪혀 맥아와 온수가 보다 고르게 혼합(Mixing)되게 도울 수 있고, 액상 맥아에 부딪힌 에어는 액상 맥아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즉, 교반과 에어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로 에어가 주입되는 동안,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주입된 에어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발효 컨테이너(12)에 밀려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는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의 에어는 신속하게 발효 컨테이너(12)으로 유입되어 액상 맥아와 혼합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에어 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 동안 에어를 액상 맥아에 혼합할 수 있고, 에어 펌프(82)가 온되고 믹싱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급기단계(S400)을 완료할 수 있다. 급기단계(S400)의 완료 시, 컨트롤러(281A)는 에어 펌프(82)를 오프하고, 바이패스 밸브(35)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급기단계(S400)의 완료 시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음료 제조단계는 첨가제 투입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 제조기는 급기단계(S400) 이후에, 첨가제 투입단계(S500)를 실시할 수 있다.
첨가제 투입단계(S500)시, 제1캡슐(C1)의 제1첨가제와, 제2캡슐(C2)의 제2첨가제와, 제3캡슐(C3)의 제3첨가제가 발효 컨테이너(12)로 투입될 수 있다. 이 때, 제1캡슐(C1)은 최초 캡슐 장착부(31)에 장차된 캡슐이고, 제2캡슐(C2)은 중간 캡슐 장착부(32)에 장착된 캡슐이며, 제3캡슐(C3)은 최종 캡슐 장착부(33)에 장착된 캡슐이다.
첨가제 투입단계(S500) 시, 컨트롤러(281A)는 급수 펌프(52)를 온 시킬 수 있으며 급수 히터(53)를 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바이패스 밸브(35)를 클로즈 유지하고 재료 공급 밸브(310)와 메인 밸브(40)를 오픈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밸브(156)를 오픈시킬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 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펌프(52) 및 급수히터(53)를 통과하여 제1메인채널(41)로 유동되고, 재료공급 밸브(310)를 통과하여 제1캡슐(C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캡슐(C1)으로 유입된 물은 제1캡슐(C1)에 수용되어 있던 제1첨가제와 혼합되고, 제1첨가제와 함께 제1연결 채널(311)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연결채널(311)를 통해 제2캡슐(C2)로 유입된 유체(물과 제1첨가제의 혼합물)는, 제2캡슐(C2)에 수용되어 있던 제2첨가제와 혼합되고, 제2첨가제와 함께 함께 제2연결채널(31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연결채널(312)를 통해 제3캡슐(C3)로 유입된 유체(물, 제1첨가제 및 제2첨가제의 혼합물)는, 제3캡슐(C3)에 수용되어 있던 제3첨가제와 혼합되고, 제3첨가제와 함께 함께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된 유체(물, 제1첨가제, 제2첨가제 및 제3첨가제의 혼합물)는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각 캡슐(C1)(C2)(C3)에 담겨있던 첨가제가 모두 발효 컨테이너(12)로 투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첨가제 투입과정(S500)이 개시되고부터 플로우 미터(56)에서 감지된 누적 유량이 첨가제 투입 설정유량에 도달하면, 첨가제 투입과정(S500)을 완료할 수 있다. 첨가제 투입과정(S500)의 완료 시, 컨트롤러(281A)는 급수펌프(52)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음료 제조단계는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첨가제 투입단계(S500)가 모두 완료되면, 재료 공급기(3) 내의 잔수를 제거하는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가 실시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시, 컨트롤러(281A)는 에어 펌프(82)를 온시키고, 에어 공급 밸브(159)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재료 공급 밸브(310) 및 메인 밸브(40)를 오픈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 밸브(156)을 오픈 제어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의 온시,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된 공기는 제1메인 채널(41)로 유동되고 재료 공급 밸브(310)을 통과하여, 제1캡슐(C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캡슐(C1)로 유입된 공기는, 제1캡슐(C1), 제2캡슐(C2) 및 제3캡슐(C3)을 차례로 통과하여 각각에 남아있는 잔수를 제2메인 채널(42)로 불어낼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된 공기는 잔수와 함께 발효 컨테이너(12)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각 캡슐(C1)(C2)(C3)에 미처 추출되지 못하고 남아있던 첨가제와 잔수가 남김없이 발효 컨테이너(12)로 투입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에서 발효 컨테이너(12)로 잔수 및 에어가 주입됨에 따라, 발효 컨테이너(12)은 더욱 팽창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 중 일부는 팽창되는 발효 컨테이너(12)에 밀려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될 수 있고, 배기밸브(156)를 통해 외부로 배기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은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의 에어 및 잔수는 신속하게 발효 컨테이너(12)로 유입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잔수제거 설정시간동안 에어 펌프(82)를 온시키고, 잔수제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을 완료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가 완료되면, 컨트롤러(281A)는 에어 펌프(82)를 오프시킬 수 있고, 재료공급 밸브(310)와, 메인 밸브(40)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가스배출 밸브(73)와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가 완료되면 디스플레이(282)에 캡슐(C1)(C2)(C3)을 제거하여도 된다는 캡슐분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재료 공급기(3)에서 빈 캡슐을 제거할 수 있다.
음료 제조단계는 발효 단계(S700)(S8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재료 공급기 잔수 제거단계(S600)의 완료 이후에, 1차발효단계(S700)와 2차발효단계(S800)를 순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1차 발효단계(S700)의 일 예에 따르면, 1차 발효단계(S700)은 전 발효과정과 본 발효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효 과정은 전 발효 과정이 완료된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전 발효 과정은 첨가제 투입단계(S500) 시 발효 컨테이너(12)로 첨가된 이스트를 신속하고 활발하게 활성화시키기 위한 과정이다.
컨트롤러(281A)는 전 발효과정 시, 온도센서(16)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전 발효 타겟온도(예를 들어, 30℃)를 유지하도록 냉동 사이클 장치(13) 및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전 발효과정 개시 후, 가스 배출밸브(73)를 주기적으로 오픈시켰다가 클로즈시키고, 가스 배출밸브(73)가 클로즈 된 직후에 가스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값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상기 저장된 압력값을 가스 배출밸브(73)가 클로즈 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감지된 압력값과 비교하여 압력의 변화량를 산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산출된 압력의 변화량이 전발효 설정압력를 초과하면, 전 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전 발효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전 발효 과정이 완료되면 본 발효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본 발효 과정 시, 온도센서(16)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본 발효 타겟온도(예를 들어, 21℃)를 유지하도록 냉동 사이클 장치(13) 및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효 타겟온도는 전 발효 타겟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제어 모듈(280) 본 발효 과정 개시 후, 가스 배출밸브(73)를 주기적으로 오픈시켰다가 클로즈시키고, 가스 배출밸브(73)가 클로즈 된 동안에 가스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가스 압력센서(72)에서 주기적으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본 발효 설정압력를 초과하면, 본 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1차 발효단계(S700)를 완료할 수 있다.
다만, 1차 발효단계(S70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차 발효단계(S700)의 다른 예에 따르면 1차 발효단계(S700)는 전 발효과정을 포함하지 않고 본 발효과정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한편, 컨트롤러(281A)는 1차 발효단계(S700)의 완료 후, 2차 발효단계(S800)를 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2차발효단계시(S800), 온도센서(16)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2차발효 타겟온도가 되도록 냉동 사이클 장치(13) 및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2차 발효단계(S800) 시에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이 높으므로, 가스 배출밸브(73)를 오픈하면 큰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컨트롤러(281A)는 2차발효단계(S800) 시 가스 배출 밸브(73)를 클로즈 유지하고, 소음 저감 장치(77)가 구비된 압력 해제 밸브(76)를 오픈/클로즈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2차발효단계(S800) 개시 후, 압력 해제 밸브(76)를 주기적으로 오픈시켰다가 클로즈시키고, 압력 해제 밸브(76)가 클로즈된 동안에 가스 압력센서(72)에서 감지된 압력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가스 압력센서(72)에서 주기적으로 감지된 압력의 변화가 제2발효설정압력를 초과하면, 2차발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2차 발효단계(S800)를 완료할 수 있다.
음료 제조단계는 숙성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1차 발효단계(S700)과 2차 발효단계(S800)이 모두 완료되면, 숙성단계(S900)가 실시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숙성단계시, 숙성시간 동안 대기할 수 있고, 이러한 숙성시간의 동안 음료의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과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 사이를 유지하게 냉동 사이클 장치(13) 및 히터(14)를 제어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주로 실내에서 사용되므로, 음료 제조기 외부의 온도는 설정 숙성온도의 상한값과 설정 숙성온도의 하한값 사이이거나, 설정 숙성온도의 상한값보다 높음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컨트롤러(281A)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 이하이면, 냉동 사이클 장치(13)의 압축기를 오프시킬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 이상이면, 압축기를 온시킬 수 있다.
예외적으로, 음료 제조기 외부의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하한값보다 낮은 경우, 컨트롤러(281A)는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하한값 미만이면 히터(14)를 온 시킬 수 있고, 온도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숙성온도의 상한값 이상이면, 히터(14)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숙성시간이 경과되면, 음료 제조가 모두 완료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숙성 단계(S900)는 생략되고 2차발효단계(S800)가 완료되면 음료의 제조가 완료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281A)는 디스플레이(282) 등을 통해 음료의 제조 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압축기(134)를 제어하여, 발효조(112)의 온도를 기설정된 음용 온도의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로 유지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온도 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음용 온도의 상한값 이상이면 냉동 사이클 장치(13)의 압축기를 온 시킬 수 있고, 온도 센서(16)에서 감지된 온도가 음용 온도의 하한값보다 낮아지면 압축기를 오프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사용자에게 항상 시원한 음료를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후술할 음료 취출단계(S1000)가 완료되기 전까지 발효조(112)의 온도를 기설정된 음용 온도의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가 완료된 이후 음료를 취출하는 음료 취출단계(S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단계(S1000)의 일 예에 따르면, 음료 취출 단계(S1000)는 음료 취출과정 및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 단계(S1000) 시, 사용자는 디스펜서(62)를 조작하여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가 완료된 이후,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개방하면 컨트롤러(281A)는 메인 밸브(40) 및 음료 취출밸브(64)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 및 음료 취출밸브(64)의 개방시,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 압력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에서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되어 디스펜서(62)로 취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통해 음료를 일부 취출한 후 디스펜서(62)를 폐쇄하면, 컨트롤러(281A)는 메인 밸브(40) 및 음료 취출밸브(64)를 클로즈할 수 있다. 이로써, 1회의 음료 취출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281A)은 에어 펌프(82)를 온시킬 수 있고, 에어 공급 밸브(159)를 오픈 시킬 수 있으며, 배기밸브(156)를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의 온 시, 에어 주입채널(81)로 주입된 에어는 제1메인 채널(41)에서 에어 공급채널(154)로 유동되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가 제2메인 채널(42)로 상승될 수 있는 압력으로 발효 컨테이너(12)을 가압할 수 있다. 이후의 음료 취출시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가 원활하게 신속하게 취출될 수 있도록,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를 충분한 고압으로 형성해두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디스펜서(62)를 통해 음료를 적어도 1회 취출할 수 있다. 즉, 음료 취출 과정은 적어도 1회 실시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281A)는 디스펜서(62)가 개방된 시간과, 에어펌프(152)가 구동인 시간과, 음료 제조가 완료된 후 메인 밸브(40)가 온인 시간 등의 정보를 이용해 음료 취출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음료 취출이 완료이면, 에어 공급 밸브(159)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음료 취출이 완료이고, 디스펜서(62)가 클로즈 상태이면, 배기밸브(156)를 완료 설정시간 동안 오픈시킬 수 있다.
배기밸브(156)의 오픈 제어시,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의 공기는 에어 공급채널(154) 및 배기 채널(157)을 통해 배기밸브(156)로 배기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2)의 내벽 사이 공간의 압력은 대기압과 같아 질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배기밸브(156)를 온시킨 후, 완료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배기밸브(156)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음료 취출이 완료된 이후에 클리닝 단계(S1100)를 실시하지 않거나, 상기 클리닝 단계(S1100)가 후술할 메인 채널 세척과정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컨트롤러(281A)는 디스플레이(282) 등에 발효 컨테이너(12)을 제거하라는 팩 제거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효 컨테이너(12)을 발효조 모듈(111)에서 꺼내기 위해 발효 리드(107)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효 리드(107)의 개방시, 발효조(112)의 내부가 대기압 보다 설정압 이상의 고압이면, 발효 컨테이너(12)은 이러한 압력 차에 의해 발효조(112)의 상부로 튀어 오를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발효 리드(107)를 개방하기 이전에,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2) 사이의 공기 중 일부가 배기밸브(156)를 통해 배기되면, 발효 리드(107)를 열었을 때, 발효 컨테이너(12)은 상측으로 튀어 오르지 않고, 발효조(112)의 내부에 유지된다.
즉, 사용자는 안전하고 청결하게 기사용한 발효 컨테이너(12)을 발효조(112)에서 인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은 적어도 1회의 음료 취출과정의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시된 음료 취출과정이 완료되고 다음 음료 취출과정이 실시되기까지 상당한 시간 간격이 존재할 경우, 디스펜서(62)에 남아있던 음료에 의해 디스펜서(62)의 내부가 오염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실시된 음료 취출과정으로부터 디스펜서 클리닝 설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사용자가 음료를 취출하려 할 경우, 컨트롤러(281A)는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트롤러(281A)는 각 음료 취출과정이 완료되면 타이머(미도시)를 개시할 수 있고, 다음 음료 취출과정이 개시되면 상기 타이머를 리셋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상기 타이머가 디스펜서 클리닝 설정시간을 경과하고 디스펜서(62)가 개방되는 경우,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입력부나 이동 단말기 등으로부터 디스펜서 클리닝 명령을 입력받아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이 개시되면, 컨트롤러(281A)는 디스플레이(282) 등에 클리닝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클리닝 알림은 사용자에게 디스펜서(62)에 컵이나 잔을 가져다대지 말라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의 일 예는 물 세척 과정 및 에어 세척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물 세척 과정시, 컨트롤러(281A)는 급수 펌프(52)를 온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서브 밸브(92) 및 음료 취출밸브(64)를 오픈 시키고 재료공급밸브(310) 및 바이패스 밸브(35)는 클로즈 유지할 수 있다.
급수 펌프(52)가 온 되면, 수조(51)에서 급수펌프(52)로 흡입된 물은 급수 채널(55B)에서 서브 채널(91)로 유동될 수 있고, 서브 밸브(92)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될 수 있으며,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하여 디스펜서(62)로 취출될 수 있다. 물이 디스펜서(62)로 취출되는 과정에서, 디스펜서(62) 내부의 찌꺼기 및 이물질과 함께 취출되어 클리닝이 수행될 수 있다.
디스펜서(62)로 취출된 물과 이물질은 음료 컨테이너(101, 도 2 참조)로 낙하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물 세척 과정이 개시되고부터 플로우 미터(56)의 누적 수량이 물 세척 설정유량에 도달하면 물 세척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물 세척 설정유량은 클리닝 단계(S100)(S1100) 시의 클리닝 설정유량보다 적을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물 세척 과정이 완료되면 급수 펌프를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물 세척 과정이 완료되면 에어 세척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에어 세척 과정이 개시되면 에어 펌프(82)를 온 시킬 수 있다.
에어 펌프(82)가 온 되면, 에어 펌프(82)에서 에어 주입채널(81)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급수 히터(53)를 통과하여 서브 채널(91)로 유동되고, 서브 밸브(92)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되며,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하여 디스펜서(62)로 배출될 수 있다. 에어가 디스펜서(62)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디스펜서(62) 내부에 남아있던 잔수와 함께 취출되어 클리닝이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잔수가 이후의 음료 취출과정에서 음료의 맛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에어 세척 과정이 개시되고 에어세척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에어 세척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에어 세척 과정이 완료되면, 컨트롤러(281A)는 에어 펌프(82)를 오프시키고 서브 밸브(92)를 클로즈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이 완료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디스펜서 클리닝 과정이 완료되면 다시 음료 취출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한편,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가 전부 취출되어 컨트롤러(281A)가 음료 취출 완료임을 판단한 경우, 컨트롤러(281A)는 음료 제조단계 및 음료 취출 이후의 클리닝 단계(S1100)를 더 실시할 수 있다.
음료 제조단계 및 음료 취출 이후의 클리닝 단계(S1100)는 제1클리닝 과정과 제2클리닝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닝 단계(S1100)가 제1클리닝 과정 및 제2클리닝 과정을 포함할 경우, 각 세척과정의 실시 순서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클리닝 과정은 앞서 설명한 음료 제조단계 이전의 클리닝단계(S1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2클리닝 과정을 설명한다.
제2클리닝 과정은, 음료 취출이 완료되고 비어있는 발효 컨테이너(12)가 장착된 상태에서 실시되거나, 사용자가 상기 빈 발효 컨테이너(12)를 제거하고 별개의 클리닝 팩을 발효조(112)에 장착한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별개의 클리닝 팩이 발효조(112)에 수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컨트롤러(281A)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 취출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282) 등에 컨테이너 교체 알림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발효 리드를 열고 발효조(112)에서 빈 발효 컨테이너(12)를 제거한 후 별개의 클리닝 팩을 발효조(112)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발효 리드(107)를 닫을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281A)는 제2클리닝 과정을 개시할 수 있다.
제2클리닝 과정 개시시, 컨트롤러(281A)는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온 시킬 수 있고, 음료 취출밸브(64)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재료공급밸브(310), 바이패스 밸브(35) 및 메인 밸브(40)을 오픈 시킬 수 있다.
제2클리닝 과정 개시시, 컨트롤러(281A)는 가스 배출밸브(73) 및 배기밸브(156)을 오픈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81A)는 서브 밸브(92)를 오픈시킬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온시, 수조(51)의 물은 급수히터(53)로 유동되어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 의해 가열된 물(즉, 온수)는 서브 채널(91)과 제1메인채널(41)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다.
서브 채널(91)로 유동된 물은 서브 밸브(92)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된 물은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되고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조(112)에 수용된 클리닝 팩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메인채널(41)로 유동된 물은 재료 공급기(3)와 바이패스 채널(43)로 나뉘어 유동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로 유동된 물은 재료 공급밸브(310), 최초 캡슐 장착부(31), 중간 캡슐 장착부(32) 및 최종 캡슐 장착부(3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메인 채널(43)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조(112)에 수용된 클리닝 팩으로 유입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로 유동된 물은 바이패스 밸브(35)를 통과하여 제2메인 채널(43)로 유동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발효조(112)에 수용된 클리닝 팩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시, 메인 채널(41)(42), 바이패스 채널(43), 서브 채널(91), 상기 각 채널에 설치된 밸브들 및 메인 채널 연결부(115)가 살균 및 세척될 수 있다. 또한, 각 캡슐 장착부(31)(32)(33)와 연결채널(311)(312)가 살균 및 세척 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상기와 같은 클리닝을 제2클리닝 설정시간 동안 실시할 수 있고, 제2클리닝 설정시간 이후, 제2클리닝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컨트롤러(281A)는 제2클리닝 설정시간 경과 후, 급수펌프(52), 급수히터(53)를 오프시킬 수 있으며, 메인 밸브(40)와, 바이패스 밸브(35)와, 재료 공급밸브(310)와, 서브 밸브(92)와, 가스 배출밸브(73)와, 배기 밸브(156)를 클로즈시킬 수 있다.
한편, 클리닝단계(S1100)가 완료된 이후, 사용자는 발효 리드(107)를 개방하고 발효조(112)에서 세척을 수행한 물이 든 클리닝 팩을 꺼내어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가 밀폐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캡슐(C1)(C2)(C3)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하에서는 캡슐 대신 재료 컨테이너(C1)(C2)(C3)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또한, 재료 수용부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로 명명하여 설명한다.
재료 공급기(3)는 음료 재료가 담긴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가 형성된 재료 수용바디(36), 및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를 덮는 리드 모듈(37)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재료 컨테이너가 수용될 수 있으므로, 재료 수용바디(36)는 재료 컨테이너 수용바디로 정의될 수도 있다.
리드 모듈(37)은 재료 수용바디(36)를 덮는 리드(38), 및 리드(38)의 록킹을 해제하는 록킹 조작부(371)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38)는 재료 수용바디(3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리드(38)는 재료 수용바디(36)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리드(38)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드(38)는 로어 리드(39)와 어퍼 리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리드(39)와 어퍼 리드(40) 중 적어도 하나는 재료 수용바디(36)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록킹 조작부(371)를 조작하는 경우, 리드(38)의 록킹이 해제될 수 있다. 록킹이 해제됨에 따라, 재료 수용바디(36)와 힌지 연결된 리드(38)는 재료 수용바디(36)의 상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리드가 상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재료 수용바디(36)에 구비된 컨테이너 장착부(31)(32)(33)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의 재료 수용바디(36)에는 음료 재료가 수용된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재료 수용바디(36)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재료 수용바디(36)에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좌우 방향으로 슬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재료 공급기(3)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재료 수용바디(36)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는 리드(38)를 록킹하기 위한 록커(372A)(372B)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재료 수용바디(36)에는 록커(372A)(372B)가 지지되는 지지홈(361)과, 록커(372A)(372B)가 걸리는 걸림홈(362)이 형성될 수 있다.
록커(372A)(372B)는 리드 모듈(37)에 진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록커(372A)(372B)에는 적어도 하나의 록킹부(376)가 형성될 수 있고, 록킹부(376)는 지지홈(361)에 의해 지지되고, 걸림홈(362)에 걸릴 수 있다.
지지홈(361)과 걸림홈(362)은 서로 연통되고, 록킹부(376)는 지지홈(361)에서 걸림홈(36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지홈(361)과 걸림홈(362)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바디(36)의 상면을 기준으로, 지지홈(361)은 걸림홈(362)에 비해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록킹부(376)가 지지홈(361)에서 걸림홈(362)으로 이동하면, 리드 모듈(37)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드 모듈(37)이 클로즈되었으나 잠금 해제 상태일 경우, 록커(372A)(372B)는 지지홈(36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록킹 조작부(371)를 일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 방향)시키면, 리드 모듈(37)은 잠금되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이 클로즈되고 잠금 상태일 경우, 록커(372A)(372B)는 걸림홈(36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리드(38)가 임의로 회동하여 컨테이너 장착부(31)(32)(33)가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록킹 조작부(371)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예를 들어, 시계 반대 방향)시키면, 리드 모듈(37)은 잠금 해제되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에 포함된 재료 수용부의 일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에 재료 컨테이너가 안착되기 이전의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에 재료 컨테이너가 안착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0은 리드 모듈이 클로즈되고 잠금 해제인 상태일 경우에 재료 공급기에 안착된 재료 컨테이너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1은 리드 모듈이 클로즈되고 잠금 상태일 경우에 재료 공급기에 안착된 재료 컨테이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에는 최초 컨테이너 장착부(31)가 도시되어 있으며, 당업자는 이로부터 중간 컨테이너 장착부(32) 및 최종 컨테이너 장착부(33)의 구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재료 공급기(3)에 3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가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바닥면(316)과 내둘레면(319A)(319B)에 의해 정의되는 수용 공간(S3)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음료 재료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각 수용 공간(S3)에 수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초 컨테이너 장착부(31)는 입구(31A)를 통해 제1메인채널(41)과 연결될 수 있고, 출구(31B)를 통해 제1연결채널(311)과 연결될 수 있다. 중간 컨테이너 장착부(32)는 입구(32A)를 통해 제1연결채널(311)과 연결될 수 있고, 출구(32B)를 통해 제2연결채널(312)와 연결될 수 있다. 최종 컨테이너 장착부(33)는 입구(33A)를 통해 제2연결채널(312)와 연결될 수 있고, 출구(33B)를 통해 제2메인채널(42)과 연결될 수 있다.
입구(31A)(32A)(33A)와 출구(31B)(32B)(33B)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저면(315)으로부터 수용 공간(S3)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입구(31A)(32A)(33A)를 통해 유체를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내의 수용 공간(S3)으로 공급하거나, 수용 공간(S3)에 장착된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로 공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입구(31A)(32A)(33A)와 연결되어, 유체를 수용 공간(S3) 또는 재료 컨테이너(C1) 내로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공급부(41)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일 면(예컨대, 바닥면(316))으로부터 수용 공간(S3)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 공간(S3)에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수용되고 리드 모듈(37)이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를 덮으면, 유체 공급부(41)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재료 컨테이너 커버(CC, 도 9 참조)를 천공할 수 있고, 유체 공급부(41)의 일부가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유체 공급부(41)는 리드 모듈(37)이 컨테이너 장착부(31)를 덮을 때, 유체 공급부(41)의 적어도 일부가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내부에 위치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상기 일 면(예컨대, 바닥면(316))에는 출구(31B)(32B)(33B)와 연통되는 배출공(316A)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장착부(31)의 상기 일 면(예컨대, 바닥면(316))에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부(313A)(313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천공부(313A)(313B)는 배출공(316A)와 인접하도록 형성되어, 천공부(313A)(313B)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통해 추출되는 재료는 배출공(316A)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천공부(313A)(313B)는 제1천공부(313A)와, 배출공(316A)을 기준으로 제1천공부(313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천공부(3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천공부(313A)와 제2천공부(313B)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배출공(316A)은 제1천공부(313A)와 제2천공부(313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가 남김없이 추출되어 배출공(316A)으로 더욱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유체 공급부(41), 천공부(313A)(313B), 및 배출공(316A)은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중앙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유체 공급부(41), 천공부(313A)(313B) 및 배출공(316A)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로써, 유체와 재료 간의 접촉시간은 증가할 수 있고, 유체에 혼합되는 재료의 양이 증가할 수 있고, 그 결과 추출되는 재료의 양 또한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유체 공급부(41) 및 천공부(313A)(313B)가 컨테이너 장착부(31)의 동일 면(예컨대, 바닥면(316))에 형성됨에 따라, 유체 공급부(41)와 천공부(313A)(313B) 사이의 유로가 보다 단순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유로의 저항이 낮아지게 되어 컨테이너 장착부(31) 내의 재료가 보다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유체 공급부(41)에는 이너공급채널(41A, 도 8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공급채널(41A)은 유체 공급부(41)의 내부에 형성된 이너 통로(412)와, 이너 통로(412)의 유체를 수용 공간(S3)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4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공급채널(41A)은 입구(31A)(32A)(33A)과 연통될 수 있다. 입구(31A)(32A)(33A)를 통과한 유체는 유체 공급부(41)의 이너공급채널(41A)을 통해 수용 공간(S3)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411)은 유체 공급부(41)의 하단(또는 컨테이너 장착부(31)의 바닥면(316))보다 상단에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411)은 유체 공급부(41)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411)은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내에 수용되었을 때,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부에 위치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체가 적어도 하나의 홀(411)을 통해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재료 컨테이너 커버(CC)에 천공을 형성하는 천공부(313A)(313B)를 포함할 수 있다. 천공부(313A)(313B)는 컨테이너 장착부(31)의 바닥면(316)에서 수용 공간(S3)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그 장착시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상측 위치에서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내부로 삽입(또는 컨테이너 장착부(31)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재료 컨테이너 커버(CC)는 유체 공급부(41)에 의해 천공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유체 공급부(41)의 이너 공급채널(41A)에서 재료 컨테이너(C1)(C2)(C3)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재료 컨테이너 커버(CC)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천공부(313A)(313B) 의해 절개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재료 컨테이너 커버(CC)에는 재료가 유출되는 천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에 수용된 재료는, 천공부(313A)(313B)와 천공 사이의 틈을 통해 추출되거나, 유체 공급부(41)와 천공 사이의 틈을 통해 추출될 수 있다. 특히, 천공부(313A)(313B)는 틈의 면적을 넓히기 위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로부터 추출된 재료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에 형성된 배출공(316A) 및 배출공(316A)와 연통된 출구(31B)(32B)(33B)을 통해 제2 메인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유체 공급부(41)와 천공 사이의 틈을 통해 추출된 재료가 배출공(316A)으로 원활히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바닥면(316)은 수평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바닥면(316)은 유체 공급부(41)로부터 배출공(316A)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를 이룸으로써, 재료 컨테이너(C1)(C2)(C3)로부터 추출된 재료는 배출공(316A)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수용 공간(S3)의 상단으로부터 배출공(316A)까지의 높이(H1)는, 수용 공간(S3)의 상단으로부터 유체 공급부(41)의 하단까지의 높이(H2)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S3)의 상단으로부터 배출공(316A)까지의 높이(H1)는 수용 공간(S3)의 상단으로부터 천공부(313A)(313B)의 하단까지의 높이(H3)보다 높을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재료 또는 물과 재료의 혼합물을 안내하는 출구(31B)(32B)(33B)를 포함할 수 있다.
출구(31B)(32B)(33B)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출구(31B)(32B)(33B)에는 재료 또는 물과 재료의 혼합물이 안내되는 추출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에는 리드(38)가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를 덮고 잠금 상태인 경우,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안착면이 접촉하는 재료 컨테이너 스토퍼(317)와, 리드(38)의 가압부(47A)(47B)(47C)가 접촉되는 가압부 접촉부(318)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 스토퍼(317) 및 가압부 접촉부(318)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재료 수용바디(36)는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바디(36)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외둘레를 보호하도록 형성하는 하우징(362A)(362B)(362C)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362A)(362B)(362C)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 장착부(31)의 외둘레면(319C)(319D)은 하우징(362A)과 접촉할 수 있다.
재료 수용바디(36)에는 입구(31A)(32A)(33A) 및 출구(31B)(32B)(33B)가 관통되는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362A)(362B)(362C) 및 관통부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를 재료 수용바디(36)에 고정함으로써, 컨테이너 장착부(31)(32)(33)가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각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리드 모듈(37)에 의해 함께 개방되거나 함께 폐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면적 합은 리드 모듈(37)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는 각각의 컨테이너 장착부 별로 각각의 리드 모듈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재료 공급기(3)는 하나의 컨테이너 장착부를 하나의 리드 모듈이 개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재료 공급기(3)에 3개의 컨테이너 장착부가 형성되면, 재료 수용바디(36)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3개의 리드 모듈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재료 수용바디(36)에 복수개의 리드 모듈이 설치되면, 재료 공급기(3)의 부품수는 많고 복수개 재료 컨테이너의 장착, 분리 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리드 모듈(37)이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모두를 개폐할 경우, 부품수가 최소화될 수 있고, 그 구조가 간단하며, 사용자는 재료 공급기(3)를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드 모듈(37)을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모두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리드 모듈(37)을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모두를 한꺼번에 덮을 수 있다.
리드(38)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드(38)은 로어 리드(39)와, 어퍼 리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리드(39)와 어퍼 리드(40) 중 하나는 재료 수용바디(36)에 연결될 수 있다.
어퍼 리드(40)는 로어 리드(39)의 개방된 상면을 덮게 로어 리드(39)와 결합될 수 있다.
로어 리드(39)에는 리드(38)가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를 덮을 때 재료 컨테이너(C1)(C2)(C3)를 바닥면(316)으로 가압하는 가압부(47A)(47B)(47C)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47A)(47B)(47C)는 리드 모듈(37), 좀 더 상세히는 로어 리드(39)의 저면(391)보다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재료 수용바디(36)에 힌지(38A)(38B)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재료 수용바디(36)의 후단과 리드 모듈(37)의 후단은 서로 힌지(38A)(38B) 연결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과 재료 수용바디(36) 중 어느 하나에는 힌지축(38A)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38A)은 리드 모듈(37)과 재료 수용바디(36) 중 어느 하나에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과 재료 수용바디(36) 중 다른 하나에는 힌지축(38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축 연결부(38B)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리드 모듈(37)에 힌지축(38A)이 형성되고, 재료 수용바디(36)에 힌지축 연결부(38B)가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힌지축 연결부(38B)는 힌지축(38A)이 힌지축 연결부(38B)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힌지축(38A)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38)은 힌지축 연결부(38B)의 내부에서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의 개방 및 잠금 해제 상태시 힌지축(38A)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할 수 있고, 리드 모듈(37)의 잠금 상태 시 힌지축(37)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축 연결부(38B)는 힌지축(38A)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힌지축(38A)보다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축(38A)은 힌지축 연결부(38B)의 상측 내주면(381)과 하측 내주면(382)의 사이에서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힌지축(38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리드 모듈(37)은 힌지축(38A)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은, 리드(38), 좀 더 상세히는 로어 리드(39)와 힌지축(38A)을 연결하는 연결부(3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83)의 일 측은 힌지축(38A)과 연결되고, 타 측은 로어 리드(39)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383)에 의해, 발효 리드(37)가 클로즈되고 잠금 해제 상태일 경우 발효 리드(37)의 저면(391)과 재료 수용바디(36)의 상면(36A)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즉, 발효 리드(37)의 저면(391)과 재료 수용바디(36)의 상면(36A) 사이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간극(g)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83)는, 발효 리드(37)가 클로즈되고 잠금 해제되면 힌지축(38A)이 힌지축 연결부(38B)의 상측 내주면(381)에 접하고, 발효 리드(37)가 잠금되면 힌지축(38A)이 힌지축 연결부(38B)의 하측 내주면(382)에 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리드(39)에는 힌지축 연결부(38B)와 접하는 함몰부(384)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84)는 로어 리드(39)의 저면이 상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84)는 힌지축 연결부(38B)의 상측 외주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384)는 상하 방향으로 힌지축 연결부(38B)를 마주볼 수 있다.
리드 모듈(37)이 잠금 상태이면 힌지축 연결부(38B)의 상측 외주면은 함몰부(384)에 접할 수 있고, 리드 모듈(37)이 잠금 해제 상태이면 힌지축 연결부(38B)의 상측 외주면은 함몰부(384)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함몰부(384)에 의해, 상하로 길게 형성된 힌지축 연결부(38B)가 로어 리드(39)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에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각각 안착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재료 컨테이너 바디(CB), 재료 컨테이너 커버(CC), 및 가압 접촉부(CD)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 바디(CB), 재료 컨테이너 커버(CC), 및 가압 접촉부(CD)는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부에 수용된 음료 재료가 변질되지 않도록 외부와 밀폐시키거나, 상기 음료 재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 바디(CB)는 재료 컨테이너(C1)의 측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 바디(CB)는 PP(polyprop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서 구현되어, 소정 충격에도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고 내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재료 컨테이너 바디(CB)는 알루미늄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재료 컨테이너 바디(CB)는 재료 컨테이너 커버(CC)가 접합되는 재료 컨테이너 커버 접합부(CB2), 재료 컨테이너 커버 접합부(CB2)에 연결되어 재료 컨테이너(C1)의 측면을 형성하는 바디부(CB1)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 커버 접합부(CB2)는 재료 컨테이너 커버(CC)가 효과적으로 접합되기 위해,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재료 컨테이너 커버 접합부(CB2)의 외경은 바디부(CB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부의 재료가 재료 컨테이너 커버 접합부(CB2) 상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압부(47A)(47B)(47C)가 재료 컨테이너 커버 접합부(CB2)를 효과적으로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바디부(CB1)는 재료 컨테이너 커버(CC)로부터 가압 접촉부(CD)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부(CB1)는 재료 컨테이너 커버(CC)로부터 가압 접촉부(CD)로 갈수록 외경 및 내경의 폭이 좁아지는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컨테이너 커버(CC)는 재료 공급기(3)의 천공부(313A)(313B) 및 유체 공급부(41)에 의해 절개되기 용이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재료 컨테이너 커버(CC)는 알루미늄 포일(aluminum foil)이나 PE 필름(polyethylene film)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 커버(CC)의 강도는 재료 컨테이너 바디(CB)의 강도보다 낮을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컨테이너 커버(CC)는 천공부(313A)(313B) 및 유체 공급부(41)에 의해 절개될 때, 천공부(313A)(313B) 및 유체 공급부(41)와 접촉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그와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어 절개될 수도 있다. 또한,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로 공급된 유체에 의해 재료가 추출될 때, 압력에 의해 재료 컨테이너 커버(CC)의 절개 면적이 보다 넓어질 수도 있다. 그 결과, 재료 컨테이너 커버(CC)의 절개 부분(천공)을 통해 재료가 보다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가압 접촉부(CD)는 리드모듈(37)이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를 덮고 잠금 상태가 될 때, 리드모듈(37)의 가압부(47A)(47B)(47C)와 접촉되어 재료 수용바디(36)를 향하여 가압될 수 있다.
가압 접촉부(CD) 및 재료 컨테이너 커버 접합부(CB2) 중 적어도 하나가 가압부(47A)(47B)(47C)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재료 컨테이너(C1)(C2)(C3)은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를 향해 이동할 수 있고, 재료 컨테이너 커버(CC)가 천공부(313A)(313B) 및 유체 공급부(41)에 의해 천공될 수 있다.
가압 접촉부(CD)는 재료 컨테이너 바디(CB)와 동일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내부에는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내부에 수용된 재료는 액상 형태 또는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도 10과 도 11를 참조하면, 재료 컨테이너(C1)(C2)(C3)이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에 안착된 후, 사용자는 힌지축(38A)을 중심으로 리드 모듈(37)을 회전시켜 리드모듈(37)로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및 재료 컨테이너(C1)(C2)(C3)을 덮을 수 있다.
이때, 힌지축(38A)은 힌지축 연결부(38B)의 상측 내주면(381)에 접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고, 리드 모듈(37)과 재료 수용바디(36)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을 클로즈 하였으나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리드 모듈(37)의 저면(391)과 재료 수용바디(36)의 상면(36A)이 서로 이격되고,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천공부(313A)(313B) 및 유체 공급부(41)에 얹혀진 상태에서 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힌지축(38A)은 힌지축 연결부(38B)의 상측 내주면(381)에 접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리드 모듈(37)의 록킹 조작부(371)를 잠금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리드 모듈(37)이 하강하며 리드 수용바디(36)에 잠금될 수 있다. 록킹 조작부(371)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리드모듈(37)이 잠금 되면, 리드 모듈(37)은 리드 수용바디(36)를 향하여 이동하고, 리드(38)의 가압부(47A)(47B)(47C)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가압 접촉부(CD) 및 재료 컨테이너 커버 접합부(CB2) 중 적어도 하나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압에 의해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하강할 수 있다. 이 때,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재료 컨테이너 커버(CC)를 포함하는 안착면은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재료 컨테이너 스토퍼(317)와 접촉하여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재료 컨테이너 커버(CC)는 각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에 형성된 천공부(313A)(313B) 및 유체 공급부(41)에 의해 절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00, 도 3 참조)를 기준으로 재료 컨테이너 스토퍼(317)까지의 높이는, 천공부(313A)(313B) 및 유체 공급부(41)의 상단까지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체 공급부(41)의 적어도 하나의 홀(411)은 재료 컨테이너 스토퍼(317)보다 베이스(100)로부터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재료 컨테이너 스토퍼(317)에 접촉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않을 때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리드모듈(37)은 잠금 상태 시, 힌지축(38A)은 리드 모듈(37)과 함께 하강하여 힌지축 연결부(38B)의 하측 내주면(382)에 접할 수 있다. 또한, 리드 모듈(37)의 저면(391)과 재료 수용바디(36)의 상면(36A)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 커버(CC)가 절개된 후, 유체 공급부(41)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는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부로 안내된 유체는, 천공부(313A)(313B)에 의해 천공된 부분을 통해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부의 음료 재료와 함께 출구부(31B)(32B)(33B)로 추출될 수 있다.
한편, 재료 컨테이너 스토퍼(317)의 상면에는 재료 컨테이너 실링부(317A)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이 재료 컨테이너 스토퍼(317)에 안착되고, 유체가 공급되어 재료 컨테이너 내의 재료가 추출될 때, 재료 컨테이너 실링부(317A)는 추출되는 재료가 재료 컨테이너 스토퍼(317)와 재료 컨테이너(C1)(C2)(C3) 사이로 새어 나가지 않도록 실링할 수 있다. 이로써, 재료 공급기(3)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 접촉부(318)의 상면에는 가압 실링부(318A)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 실링부(317A)가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료가 재료 컨테이너(C1)(C2)(C3)과 재료 컨테이너 스토퍼(317) 사이의 틈을 통해 새어나오는 경우, 가압 실링부(318A)는 새어나온 재료가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료 공급기(3)의 청결이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만, 가압 실링부(318A)가 가압부 접촉부(318)에 구비되지 않고, 가압부(47A)(47B)(47C)에 실링(미도시)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실링은 가압부(47A)(47B)(47C)의 하측 외둘레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고,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의 내둘레와 접할 수 있다. 이로써, 가압부(47A)(47B)(47C)와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사이로 재료가 새어 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재료 수용바디(36)에는 제1자성체(392)가 배치되고, 리드 모듈(37)에는 제1자성체(392)와 척력을 작용하는 제2자성체(393)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자성체(392)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자성체(393)는 가압부(47A)(47B)(47C)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드 모듈(37)이 클로즈되면, 제1자성체(392)와 제2자성체(393)는 상하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1자성체(392)와 제2자성체(393) 중 적어도 하나는 마그넷(magnet)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자성체(392)와 제2자성체(393)가 서로 척력을 작용함으로써, 리드 모듈(37)의 잠금 해제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잠금 해제 상태시 리드 모듈(37)의 저면(391)과 재료 수용바디(36)의 상면(39A) 사이의 간극(g)이 용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의 저면도이고, 도 13은 지지 홀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도 8 내지 도 11과 함께 참조하여, 연결 채널(312)(313)의 상세한 구성 및 지지홀더(364)(365)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3에는 제1지지홀더(364)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당업자는 제2지지홀더(365)의 구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채널(311)(312)는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중 일 컨테이너 장착부의 입구와, 타 컨테이너 장착부의 출구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연결채널(311)은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출구(31B)와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입구(32A)를 연결할 수 있고, 제2연결채널(312)은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출구(32B)와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입구(33A)를 연결할 수 있다.
각 재료 수용부(31)(32)(33)의 입구(31A)(32A)(33A)와 출구(31B)(32B)(33B)는 재료 수용부(31)(32)(33)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 좀 더 상세하게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일 재료수용부의 입구와 타 재료 수용부의 출구가 연결 채널(311)(312)에 의해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에 구비되고 연결채널(311)(312)을 지지하는 지지홀더(364)(3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홀더(364)(365)는 재료 수용바디(36)에 구비될 수 있고, 연결채널(311)(312)를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홀더(364)(365)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홀더(364)(365)의 개수는 연결채널(311)(312)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제조기는 제1연결채널(311)을 지지하는 제1지지홀더(364)와, 제2연결채널(312)을 지지하는 제2지지홀더(31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홀더(364)(365)는 상하 방향으로 일 재료 수용부와 타 재료 수용부 사이와 오버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지지홀더(364)는 상하 방향으로 최초 재료 수용부(31)와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사이와 오버랩될 수 있고, 제2지지홀더(365)는 상하 방향으로 중간 재료 수용부(32)와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사이와 오버랩될 수 있다.
연결 채널(311)(312)은 출구 피팅(311A)(312A), 입구 피팅(311B)(312B), 호스부(311C)(312C)를 포함할 수 있다.
출구 피팅(311A)(312A)은 일 재료 수용부의 출구에 장착될 수 있고, 입구 피팅(311B)(312B)은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에 장착될 수 있고, 호스부(311C)(312C)는 출구 피팅(311A)(312A)과 입구 피팅(311B)(312B)을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연결 채널(311)의 출구 피팅(311A)은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출구(31A)에 장착될 수 있고, 입구 피팅(311B)는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입구(32A)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 채널(312)의 출구 피팅(312A)은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출구(32A)에 장착될 수 있고, 입구 피팅(312B)는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입구(33A)에 장착될 수 있다.
출구 피팅(311A)(312A)과 입구 피팅(311B)(312B)은 '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출구 피팅(311A)(312A)은 재료 수용부의 출구(31B)(32B)와 연결되는 수직부와, 호스부(311C)(312C)의 일 단에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구 피팅(311B)(312B)은 재료 수용부의 입구(32A)(33A)와 연결되는 수직부와, 호스부(311C)(312C)의 타 단에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구 피팅(311A)(312A)은 일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호스부(311C)(312C)의 일 단을 연통시킬 수 있고, 입구 피팅(311B)(312B)은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와 호스부(311C)(312C)의 타 단을 연통시킬 수 있다.
호스부(311C)(312C)는 직관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홀더(364)(365)는 출구 피팅(311A)(312A), 입구 피팅(311B)(312B) 및 호스부(311C)(312C)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홀더(364)(365)는 연결 채널(311C)(312C)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366)와, 지지부(366)의 양 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재료 수용바디(36)에 체결되는 한 쌍의 연장부(36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367)의 각 단부에는 후크부(367A)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367A)는 재료 수용바디(36)에 형성된 후크 걸림부(360)에 걸릴 수 있고, 이로써 지지홀더(364)(365)가 재료 수용바디(36)에 체결될 수 있다.
재료 수용바디(36)에 형성된 후크 걸림부(360)는 재료 수용바디(36)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재료 수용바디(36)에 설치된 별개의 브라켓(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연장부(367)는 재료 수용바디(36)에 가까워질수록 상호간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이로써, 지지홀더(364)(365)가 연결채널(311)(312)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홀더(364)(365)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후크 결합이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의 입구(31A)(32A)(33A) 및 출구(31B)(32B)(33B)는 일직선(X1)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의 입구(31A)(32A)(33A) 및 출구(31B)(32B)(33B)는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채널(311)(312)의 길이 방향은 상기 일직선(X1)과 나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일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 간의 수평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고, 따라서 연결 채널(311)(312)의 길이가 짧아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초 재료수용부(31)의 입구(31A)에 연결되는 제1메인채널(41, 도 1 참조)에는 제1메인채널(41)을 개폐하는 재료 공급밸브(310)가 설치될 수 있다. 재료 수용바디(36)에는 재료 공급밸브(310)가 장착되는 재료 공급밸브 장착부(310A)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 장착부(310A)는 재료 수용바디(36)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최초 재료수용부(31)의 입구(31A)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의 저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재료 공급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의 전후 방향에 대한 순서는, 앞서 설명한 도 6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와 반대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의 배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는 본 발명의 사상과는 무관한 것이며 이해를 돕기 위한 것임을 밝혀둔다.
이하,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기의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의 출구(31B)(32B)(33B)는 일 직선(X2)상에 위치할 수 있고,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의 입구(31A)(32A)(33A)는 상기 일 직선(X2)과 평행한 타 직선(X3)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일 직선(X2) 및 타 직선(X3)은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일렬 배치된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전후 방향에 대해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각 재료 수용부(31)(32)(33)의 입구(31A)(32A)(33A) 및 출구(31B)(32B)(33B)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채널(311)(312)은 상기 일 직선(X2) 상에 위치한 출구(31B)(32B)와 상기 타 직선(X3) 상에 위치한 입구(32A)(33A)를 연결하므로, 연결 채널(311)(312)의 길이 방향은 상기 일 직선(X2) 및 타 직선(X3)과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각 재료 수용부(31)(32)(33)의 외측 저면에는, 연결채널(311)(312)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판(320)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판(320)은 재료 수용부(31)(32)(33)의 외측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이드판(320)은 연결채널(311)(312)의 호스부(311C)(312C)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판(320)은 재료 수용부(31)(32)(33)의 입구(31A)(32A)(33A)와 출구(31B)(32B)(33B)의 사이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판(320)은 호스부(311C)(312C)의 길이 방향으로, 재료 수용부(31)(32)(33)의 입구(31A)(32A)(33A)와 출구(31B)(32B)(33B)의 사이와 오버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3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일 직선(X2) 및 타 직선(X3)과 나란한 방향으로, 재료 수용부(31)(32)(33)의 입구(31A)(32A)(33A)와 오버랩될 수 있다. 즉, 가이드판(320)의 적어도 일부는 일 재료 수용부의 입구와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연결채널(311)(312)이 서로 다른 재료 수용부의 입구를 서로 연결할 수 없게 되므로 작업자가 각 재료 수용부(31)(32)(33)의 입구(31A)(32A)(33A) 및 출구(31B)(32B)(33B)를 혼동하여 연결채널(311)(312)을 잘못 연결할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발효 모듈 3: 재료 공급기
31, 32, 33: 재료 수용부 310: 재료 공급밸브
310A: 재료 공급밸브 장착부 311, 312: 연결 채널
311A, 312A: 출구 피팅 311B, 312B: 입구 피팅
311C, 312C: 호스부 320: 가이드판
360: 후크 걸림부 366: 지지부
367: 연장부 367A: 후크부
36: 재료 수용바디 364, 365: 지지 홀더
37: 리드 모듈 38: 리드
39: 로어 리드 40: 어퍼 리드
5: 급수 모듈

Claims (18)

  1. 물을 공급하는 급수 모듈;
    상기 급수 모듈과 연결되고, 각각 입구와 출구를 갖는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
    상기 재료 공급기와 연결되고, 상기 재료 공급기의 재료가 물과 함께 투입되는 발효 모듈;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중, 일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채널; 및
    상기 재료 공급기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 채널을 지지하는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 공급기는,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더가 구비된 재료 수용바디; 및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를 개폐하는 리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홀더는,
    상기 연결 채널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양 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재료 수용바디에 체결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지지홀더는, 상하 방향으로 일 재료 수용부와 타 재료 수용부 사이와 오버랩되는 음료 제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수용부의 입구와 출구는 상기 재료 수용부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음료 제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채널은,
    일 재료 수용부의 출구에 장착되는 출구 피팅;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에 장착되는 입구 피팅; 및
    상기 출구 피팅과 상기 입구 피팅을 연결하는 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홀더는 상기 출구 피팅, 상기 입구 피팅 및 상기 호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음료 제조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부의 각 단부에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재료 수용바디에는 상기 후크부가 걸리는 후크 걸림부가 형성된 음료 제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장부는 상기 재료 수용바디에 가까워질수록 상호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음료 제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의 입구 및 출구는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음료 제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의 입구 및 출구는 서로 번갈아가며 배치된 음료 제조기.
  11. 물을 공급하는 급수 모듈;
    상기 급수 모듈과 연결되고, 각각 입구와 출구를 갖는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
    상기 재료 공급기와 연결되고, 상기 재료 공급기의 재료가 물과 함께 투입되는 발효 모듈;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중, 일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채널; 및
    상기 재료 공급기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 채널을 지지하는 지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채널은,
    일 재료 수용부의 출구에 장착되는 출구 피팅;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에 장착되는 입구 피팅; 및
    상기 출구 피팅과 상기 입구 피팅을 연결하는 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홀더는 상기 출구 피팅, 상기 입구 피팅 및 상기 호스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며,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의 출구는 일 직선상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의 입구는 상기 일 직선과 평행한 타 직선상에 위치한 음료 제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수용부의 외측 저면에는, 상기 호스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판이 구비된 음료 제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재료 수용부의 입구와 출구의 사이를 향하는 음료 제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의 적어도 일부는, 일 재료 수용부의 입구와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의 사이에 위치한 음료 제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모듈과 상기 재료 공급기를 연결하는 채널을 개폐하는 재료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료 공급기에는 상기 재료 공급밸브가 장착되는 재료 공급밸브 장착부가 형성된 음료 제조기.
  16. 물을 공급하는 급수 모듈;
    상기 급수 모듈과 제1메인채널로 연결되고, 각각 입구와 출구를 갖는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
    상기 재료 공급기와 제2메인채널로 연결되고, 상기 재료 공급기의 재료가 물과 함께 투입되는 발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유체의 유동에 대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 중, 일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타 재료 수용부의 입구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는,
    입구가 상기 제1메인 채널에 연결된 최초 재료 수용부;
    출구가 상기 제2메인 채널에 연결된 최종 재료 수용부; 및
    유체의 유동에 대해 상기 최초 재료 수용부와 상기 최종 재료 수용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입구와 출구 각각에 서로 다른 연결 채널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중간 재료 수용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채널을 지지하는 지지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료 공급기는,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홀더가 구비된 재료 수용바디; 및
    상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를 개폐하는 리드 모듈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0170154332A 2017-11-17 2017-11-17 음료 제조기 KR102558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332A KR102558089B1 (ko) 2017-11-17 2017-11-17 음료 제조기
US16/193,769 US10968420B2 (en) 2017-11-17 2018-11-16 Beverag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332A KR102558089B1 (ko) 2017-11-17 2017-11-17 음료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912A KR20190056912A (ko) 2019-05-27
KR102558089B1 true KR102558089B1 (ko) 2023-07-21

Family

ID=6653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332A KR102558089B1 (ko) 2017-11-17 2017-11-17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968420B2 (ko)
KR (1) KR102558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277A (ko) * 2018-11-01 202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482807B1 (ko) * 2020-06-24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23929U (zh) * 2014-03-11 2014-07-23 宁波凯波集团有限公司 胶囊饮料冲泡设备
US20160326471A1 (en) * 2015-05-06 2016-11-10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for brewing be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50521A1 (en) * 1997-05-06 1998-11-12 Product Design Group, Inc. Automated home beer brewing machine and method
EP2906086A1 (en) * 2012-10-12 2015-08-19 Nestec S.A. Food capsule with multiple compartments
EP2889263A1 (en) * 2013-12-27 2015-07-01 Anheuser-Busch InBev S.A. Beverage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different types of beverages or beverage components
EP3000779A1 (en) * 2014-09-26 2016-03-30 Anheuser-Busch InBev S.A. Beverage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pod or capsule receiving means
JP6737806B2 (ja) * 2015-04-21 2020-08-12 ソシエテ・デ・プロデュイ・ネスレ・エス・アー 層状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飲料注出機
KR102605652B1 (ko) * 2016-01-19 2023-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23929U (zh) * 2014-03-11 2014-07-23 宁波凯波集团有限公司 胶囊饮料冲泡设备
US20160326471A1 (en) * 2015-05-06 2016-11-10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for brewing be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912A (ko) 2019-05-27
US10968420B2 (en) 2021-04-06
US20190153369A1 (en)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8264B1 (ko) 음료 제조기 및 음료 제조기의 제어 방법
KR102587228B1 (ko) 음료 제조기
KR102469225B1 (ko) 음료 제조기
KR20200062117A (ko) 음료 제조장치 및 음료 제조장치의 음료 취출방법
KR102282446B1 (ko) 음료 제조기
KR102434270B1 (ko) 음료 제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세척 시스템
KR102558089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24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28B1 (ko) 재료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570613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0611B1 (ko) 음료 제조기
KR102396683B1 (ko) 음료 제조기
KR102463325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5677B1 (ko) 음료재료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468775B1 (ko) 음료 제조기
KR102557937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33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34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19B1 (ko) 음료 제조기
KR102533779B1 (ko) 음료 제조기
KR102522000B1 (ko) 음료 제조기
KR102533780B1 (ko) 음료 제조기
KR102469223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0610B1 (ko) 음료 제조기
KR102216741B1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