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882A -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6882A KR20220006882A KR1020200084857A KR20200084857A KR20220006882A KR 20220006882 A KR20220006882 A KR 20220006882A KR 1020200084857 A KR1020200084857 A KR 1020200084857A KR 20200084857 A KR20200084857 A KR 20200084857A KR 20220006882 A KR20220006882 A KR 202200068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
- container
- fermenter
- air
- ga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8—Closing means, e.g. bungholes, barrel bu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31—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03—Fermentation of beerwort
- C12C11/006—Fermentation tank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내부 공간을 갖는 발효조; 상기 발효조의 상부에 안착되는 컨테이너 바디와,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 결합되며 재료가 담긴 상태로 상기 발효조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컨테이너 팩을 포함하는 이너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발효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발효조 리드;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 팩 내의 가스가 배출되는 컨테이너 채널; 상기 컨테이너 채널과 연통되고 상기 발효조 리드의 외부로 연장된 가스 배출채널; 및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가스 배출채널에 합지되고, 상기 가스 배출채널 및 컨테이너 채널을 통해 상기 이너 컨테이너 내부로 물이나 에어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발효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발효 촉진제,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발효 촉진제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안전하고 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근에는 재료가 기 저장된 팩 등의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사용자는 상기 컨테이너를 발효조에 장착하여 간단하게 맥주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컨테이너에는 가스의 배출을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컨테이너의 보관이나 운반시에 상기 배출공을 통해 재료가 새어 나올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가 발효조에 장착된 이후에도 상기 배출공의 내부 및 주변에 재료가 남아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공을 통해 가스가 배출될 경우, 상기 재료가 가스에 의해 역류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재료가 담긴 상태로 운반 및 보관되는 이너 컨테이너를 발효조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는 음료 제조기에 대해, 이너 컨테이너의 상부에 묻은 재료가 가스 배출채널로 역류하지 않도록 세척 가능한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에 장착된 상태의 이너 컨테이너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가스 배출채널에 합지된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가스 배출채널 및 컨테이너 채널을 통해 상기 이너 컨테이너 내부로 물이나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내부 공간을 갖는 발효조; 상기 발효조의 상부에 안착되는 컨테이너 바디와,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 결합되며 재료가 담긴 상태로 상기 발효조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컨테이너 팩을 포함하는 이너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발효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발효조 리드;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 팩 내의 가스가 배출되는 컨테이너 채널; 상기 컨테이너 채널과 연통되고 상기 발효조 리드의 외부로 연장된 가스 배출채널; 및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가스 배출채널에 합지되고, 상기 가스 배출채널 및 컨테이너 채널을 통해 상기 이너 컨테이너 내부로 물이나 에어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배출채널은, 가스의 배출 방향에 대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상류에 위치한 제1배출 채널; 및 가스의 배출 방향에 대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하류에 위치한 제2배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 채널은, 상기 바이패스 채널을 통해 공급된 물이나 에어를 상기 컨테이너 채널로 안내하거나, 상기 컨테이너 채널에서 배출된 가스를 상기 제2배출 채널로 안내하는 양방향 채널일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제2배출 채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 채널을 개폐하는 가스 배출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제2배출 채널에 대해 상기 가스 배출밸브의 상류에서 분지된 분지 채널; 및 상기 분지 채널에 구비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 채널은, 상기 함몰부 내의 함몰 공간; 및 상기 함몰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 팩의 내부를 상기 함몰 공간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컨테이너 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발효조 리드에는, 상기 가스 배출채널이 연결된 배관 형상의 배출채널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채널 연결부의 하단은 상기 함몰 공간을 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내부 공간을 갖는 발효조; 상기 발효조의 상부에 안착되는 컨테이너 바디와,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 결합되며 재료가 담긴 상태로 상기 발효조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컨테이너 팩을 포함하는 이너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발효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발효조 리드;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 형성된 제1컨테이너 채널; 상기 제1컨테이너 채널에서 하방 연장되며 상기 컨테이너 팩의 내부에 위치한 튜브;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제1컨테이너 채널과 이격된 제2컨테이너 채널; 상기 제1컨테이너 채널과 연통되고 상기 발효조 리드의 외부로 연장된 메인 채널; 상기 제2컨테이너 채널과 연통되고 상기 발효조 리드의 외부로 연장된 가스 배출채널; 및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가스 배출채널에 합지되고, 상기 가스 배출채널 및 제2컨테이너 채널을 통해 상기 이너 컨테이너 내부로 물이나 에어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배출채널은, 가스의 배출 방향에 대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상류에 위치한 제1배출 채널; 및 가스의 배출 방향에 대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하류에 위치한 제2배출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 채널은, 상기 바이패스 채널을 통해 공급된 물이나 에어를 상기 제2컨테이너 채널로 안내하거나, 상기 제2컨테이너 채널에서 배출된 가스를 상기 제2배출 채널로 안내하는 양방향 채널일 수 있다.
상기 가스 배출채널은, 상기 제2배출 채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 채널을 개폐하는 가스 배출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배출채널은, 상기 제2배출 채널에 대해 상기 가스 배출밸브의 상류에서 분지된 분지 채널; 및 상기 분지 채널에 구비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바디는,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컨테이너 채널을 정의하는 이너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테이너 채널은, 상기 함몰부의 내둘레와 상기 이너 배관의 외둘레 사이의 함몰 공간; 및 상기 함몰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 팩의 내부를 상기 함몰 공간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은 상기 컨테이너 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발효조 리드에는, 상기 메인 채널이 연결된 배관 형상의 메인채널 연결부; 및 상기 가스 배출채널이 연결된 배관 형상의 배출채널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채널 연결부의 하단은 상기 이너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채널 연결부의 하단은 상기 함몰 공간을 향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기는, 재료가 담긴 재료 컨테이너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메인 채널이 경유하는 재료 공급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상기 메인 채널에 대해 상기 재료 공급기의 상류에서 분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배출라인을 세척하여 가스에 의해 재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이패스 채널에 의해 안내된 물이나 에어가 가스 배출채널을 통해 이너 컨테이너로 유입됨으로써, 이너 컨테이너의 상부로 새어나온 재료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가스 배출채널의 일부가 양방향 채널로 기능함으로써, 별도의 유로가 불필요하고 구조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압력 센서가 가스 배출채널에 직접 설치되지 않고, 가스 배출채널에서 분지된 분지 채널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바이패스 채널에서 공급된 물과 에어가 압력 센서에 닿을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바디에 형성되어 가스가 배출되는 컨테이너 채널은, 홀뿐만 아니라 함몰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홀로 새어나와 컨테이너 바디의 상측에 남아있는 재료까지 깔끔하게 세척될 수 있다.
또한, 홀은 상기 컨테이너 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바이패스 채널에 의해 공급된 물이 홀을 통해 이너 컨테이너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이너 컨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발효조 리드가 오픈된 상태의 발효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모듈의 발효조에 이너 컨테이너가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발효 모듈의 발효조 리드가 클로즈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이너 컨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발효조 리드가 오픈된 상태의 발효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모듈의 발효조에 이너 컨테이너가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발효 모듈의 발효조 리드가 클로즈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가 맥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제조기는 가정용 음료 제조기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모듈(1)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60)와, 상기 케이스(160) 내에 배치된 발효조(110)와, 상기 발효조(110)를 개폐하는 발효조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모듈(1)은 상기 발효조 리드(107)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바디(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0)는 내부 공간(S1) 및 상기 내부 공간(S1)과 연통된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발효조(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발효조 리드(107)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즉, 발효조 리드(107)는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을 밀폐시킬 수 있다.
발효조(110)에는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134)(14)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효조(110)의 외둘레에는 증발 튜브(134)가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증발 튜브(134)는 발효조(11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 제조기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각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냉각 사이클은 압축기(미도시)와, 응축기(미도시)와, 증발 튜브(1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효조(110)의 외면에는 발효조(110)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히터(14)가 구비될 수 있다. 히터(14)는 발효조(11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효조(110)에는, 발효조(1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발효조(110)의 외둘레는 케이스(160)의 내둘레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발효조(110)의 저면은 케이스(160)의 내측 저면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너 컨테이너(10)는 음료 제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재료가 담긴 상태로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에 삽입될 수 있고, 발효조(110)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발효조 리드(107)는 이너 컨테이너(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발효조 리드(107)는 이너 컨테이너(10)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에는 발효 재료가 담겨 발효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조 완료된 음료는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에서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은 발효 공간 또는 보관 공간으로 명명될 수 있다. 즉, 이너 컨테이너(10)는 발효 재료 또는 음료가 발효조(110)의 내벽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이 완료된 후, 이너 컨테이너(10)는 발효조(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컨테이너(10)의 외면은 발효조(110)의 내벽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컨테이너(10)로 투입된 이스트가, 증발 튜브(134)에 의해 냉각된 발효조(110)의 내벽에 인접하여 발생 가능한 콜드 쇼크(cold shock)를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컨테이너(10)는 발효조(1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는 컨테이너 바디(180)와, 상기 컨테이너 바디(180)에 결합되어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2)에 수용된 컨테이너 팩(194)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80)는 이너 컨테이너(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80)는 경질일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80)는 발효조(10)의 개구부 주변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 팩(194) 내부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채널(190)(18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물이나 재료가 공급되거나 에어가 주입될 수 있고, 내부 공간(S2)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컨테이너 팩(194)은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을 정의할 수 있다.
컨테이너 팩(194)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컨테이너 팩(194)는 백(bag) 또는 페트(PET)로 대체될 수 있다.
컨테이너 팩(194)은 연질일 수 있다. 즉, 컨테이너 팩(194)은 플렉시블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압력에 따라 팽창과 수축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발효 모듈(1)로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재료 공급기(3)에는 재료가 담긴 적어도 하나의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재료 공급기(3)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장착되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캡슐(capsule) 또는 포드(pod)일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는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들 중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일례로,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재료 공급기(3)와 이너 컨테이너(10)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이너 컨테이너(10)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후술할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에 의해 추출되어 이너 컨테이너(10)으로 공급될 수 있고, 이너 컨테이너(10)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이너 컨테이너(10)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 맥아, 이스트, 홉, 식용 오일, 아로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너 컨테이너(10)에 수용된 주재료는 맥아일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첨가제는 이스트(yeast), 홉(hop), 오일(oil)일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 및 컨테이너 장착부(31)(32)(33)가 각각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에는 서로 다른 재료가 담길 수 있다.
일례로, 복수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이스트가 담긴 제1컨테이너(C1)와, 홉이 담긴 제2컨테이너(C2)와, 오일이 담긴 제3컨테이너(C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조합에 따라, 제조되는 음료의 타입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료 공급기(3)에 제1재료 컨테이너 세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음료를 제조하면 제1타입 음료(예를 들어, 에일)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재료 컨테이너 세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에는, 상기 제1타입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서로 다른 재료들이 나뉘어 담길 수 있다.
반면, 재료 공급기(3)에 제2재료 컨테이너 세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음료를 제조하면 제2타입의 음료(예를 들어, 라거)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재료 컨테이너 세트에 포함된 복수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에는, 상기 제2타입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서로 다른 재료들이 나뉘어 담길 수 있다.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은 제1컨테이너(C1)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31)와, 제2컨테이너(C2)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32)와, 제3컨테이너(C3)가 장착되는 제3장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31a)(32a)(33a)와, 유체가 유출되는 출구(31b)(32b)(33b)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31a)(32a)(33a) 및 출구(31b)(32b)(33b)는 컨테이너 장착부(31)(32)(33)에 장착된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입구(31a)(32a)(33a)로 유입된 유체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와 혼합되어 출구(31b)(32b)(33b)로 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장착부(31)의 입구(31a)로 유입된 유체는, 제1컨테이너(C1)에 담긴 재료와 혼합되어 제1장착부(31)의 출구(31b)로 유출될 수 있다.
복수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재료 공급기(3)는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중 어느 하나의 출구와 다른 하나의 입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채널(311)(3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장착부(31)의 출구(31b)와 제2장착부(32)의 입구(32a)는 제1연결채널(311)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장착부(32)의 출구(32b)와 제3장착부(33)의 입구(33a)는 제2연결채널(312)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를 경유하여 이너 컨테이너(10)에 연결된 메인 채널(4)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채널(4)은 후술할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이 재료 공급기(3)를 통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재료 공급기(3)를 통과하며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채널(4)은 후술할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공기가 재료 공급기(3)를 통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에어는 재료가 추출된 이후에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내부에 남아있는 잔수를 제거할 수 있다.
메인 채널(4)은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해 재료 공급기(3)의 상류에 위치한 제1메인 채널(41)과, 재료 공급기(3)의 하류에 위치한 제2메인 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 채널(41)은 재료 공급기(3)에 포함된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중 가장 상류에 위치한 컨테이너 장착부(31)의 입구(3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은 재료 공급기(3)에 포함된 복수개의 컨테이너 장착부(31)(32)(33) 중 가장 하류에 위치한 컨테이너 장착부(33)의 출구(33b)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장착부(31)의 입구(31a)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제3장착부(33)의 출구(33a)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채널(4), 좀 더 상세히 제2메인 채널(42)은 발효조 리드(107)를 통해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조 리드(107)에는 메인 채널(4)과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메인채널 연결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컨테이너(10)에는 메인채널 연결부(115)과 연통된 제1컨테이너 채널(19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컨테이너 채널(190)은 컨테이너 바디(18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발효조(110)에 이너 컨테이너(10)가 장착된 상태에서 발효조 리드(107)가 클로즈되면, 발효조 리드(107)의 메인채널 연결부(115)와 이너 컨테이너(10)의 제1컨테이너 채널(190)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컨테이너(10)에는 제1컨테이너 채널(190)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튜브(1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튜브(195)는 컨테이너 팩(194)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컨테이너 팩(194)의 내측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튜브(195)는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과 제1컨테이너 채널(190)을 연통시킬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은 재료 공급기(3)를 통과한 유체를 이너 컨테이너(10)로 안내하거나, 이너 컨테이너(10)에 담긴 음료를 후술할 음료 취출기(6)로 안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메인 채널(42)는 발효 모듈(1)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 방향에 대해 음료 취출기(6)의 상류에 위치한 단일 방향 채널(42a)과, 음료 취출기(6)의 하류에 위치한 양 방향 채널(42b)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음료 취출기(6)의 취출 채널(61)은 제2메인 채널(42)에서 분지될 수 있고, 취출 채널(61)이 분지된 지점을 기준으로 단일 방향 채널(42a)과 양 방향 채널(42b)이 구분될 수 있다.
단일 방향 채널(42a)에서는 유체가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반면, 양 방향 채널(42b)에서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이너 컨테이너(10)로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유동되고, 음료의 취출 시에는 이너 컨테이너(10)에서 음료가 유출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를 통과한 유체는 단일 방향 채널(42a)과 양 방향 채널(42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이너 컨테이너로 유입될 수 있다. 반면, 이너 컨테이너(10)에서 유출된 음료는 양 방향 채널(42b)을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취출될 수 있다.
메인 채널(4)에는 재료 공급기(3)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공급 밸브(310)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급 밸브(310)는 가장 상류에 위치한 재료 컨테이너(31)의 입구(31a)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공급 밸브(310)는 제1메인 채널(41)에 구비될 수 있고 제1메인 채널(41)을 개폐할 수 있다.
메인 채널(4)에는 이너 컨테이너(10)로 유입되거나 유출되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메인 밸브(45)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 밸브(45)는 제2메인 채널(42), 좀 더 상세히는 양방향 채널(42b)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 채널(4)에는 유체가 재료 공급기(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314)가 구비될 수 있다. 체크 밸브(314)는 제2메인 채널(42), 좀 더 상세히는 단일방향 채널(42a)에 구비될 수 있다.
체크 밸브(314)는 가장 하류에 위치한 재료 컨테이너(33)의 출구(33b)로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크 밸브(314)는 재료 공급기(3)를 통과한 유체가 이너 컨테이너(10)를 향해 흐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급수 모듈(5)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메인 채널(4)을 통해 이너 컨테이너(10)에 물을 급수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물이 저장된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 펌프(52)와, 급수 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53)와, 메인 채널(4)에 연결된 급수 채널(55)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채널(55)은 급수 펌프(52)와 급수 히터(53)를 경유하여 수조(51)와 메인 채널(4)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수조(51)에 저장된 물은 급수 채널(55)을 통해 메인 채널(4)로 급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급수 채널(55)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 채널(55)은 제1메인 채널(41)에 대해 공급 밸브(310) 및 바이패스 채널(46)보다 상류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 채널(55)은, 급수 펌프(52)의 상류에 위치한 제1급수 채널(55a)과, 급수 펌프(52)의 하류에 위치한 제2급수 채널(5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급수 채널(55b)은 급수 히터(53)를 경유하여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수조(51)에 담긴 물은 제1급수 채널(55a)을 통해 급수 펌프(52)로 흡입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제2급수 채널(55b)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급수 모듈(5)이 수조(51)를 포함하지 않고 직수 타입인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급수 채널(55a)은 급수원에 연결될 수 있고, 제1급수 채널(55a)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급수 채널(55a)에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56a)와,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급수 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54)가 설치될 수 있다. 머플러(56a)와, 플로우 미터(56b)와, 유량조절밸브(54)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급수 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4a)가 설치될 수 있다. 써미스터(54a)는 유량조절밸브(54)에 내장될 수 있다.
제2급수 채널(55b)에는 급수펌프(52)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59)가 설치될 수 있다. 체크밸브(59)는 제2급수 채널(55b)에 대해 급수 히터(53)보다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급수 채널(55b)의 물은 급수 히터(53)를 통과하며 온수로 가열될 수 있다. 일례로, 급수 히터(53)는, 히터 케이스와, 상기 히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2급수 채널(55b)의 일부를 형성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에 배치된 히팅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히터(53)에는, 급수 히터(53)의 최대 내압(예를 들어, 3.0bar)을 제한하는 세이프티 밸브(53a)가 연결될 수 있다. 세이프티 밸브(53a)는 급수 히터(53)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급수 히터(53)에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57)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급수 펌프(52)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제거 모듈(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제거 모듈(58)은 급수 펌프(52)에 작용하는 유로 저항을 제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기제거 모듈(58)에 의해 급수 펌프(52) 내의 공기가 제거되고, 대신 수조(51)의 물이 수두압에 의해 급수 펌프(5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급수 펌프(52)는 급수 채널(55)을 통해 원활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기제거 모듈(58)는 공기제거 채널(58a)과, 공기제거 채널(58a)에 구비된 공기제거 밸브(58b)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제거 채널(58a)은 제2급수 채널(55b)에서 분지될 수 있다.
공기제거 채널(58a)은 제2급수 채널(55b) 중에서 급수 펌프(52)와 인접한 지점에서 분지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공기제거 채널(58a)은 제2급수 채널(55b) 중 급수 펌프(52)와 급수 히터(53) 사이의 일 지점에서 분지될 수 있고, 상기 일 지점은 급수 히터(53)보다 급수 펌프(52)에 더 가까울 수 있다.
공기제거 밸브(58b)의 오픈 시 공기제거 채널(58a)은 개방될 수 있고, 공기제거 채널(58a)의 공기가 공기제거 밸브(58b)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급수 펌프(52) 내의 공기가 공기제거 채널(58a)로 유동될 수 있고, 수조(51)의 물이 수두압에 의해 급수 펌프(5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제거 밸브(58b)는 급수 펌프(52)의 작동시에 클로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공기제거 밸브(58b)는 급수 펌프(52)가 작동 정지된 상태에서 오픈될 수 있다.
공기제거 밸브(92)는, 수조(51)에 물이 비었다가 다시 채워진 경우에 기설정 시간동안 오픈될 수 있고, 공기제거 밸브(92)가 클로즈된 후 급수 펌프(52)가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메인 채널(4)에 연결된 음료 취출기(6)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 취출기(6)는 음료가 취출되는 디스펜서(62)와, 디스펜서(62)와 메인 채널(4)을 연결하는 취출 채널(61)을 포함할 수 있다.
취출 채널(61)은, 이너 컨테이너(10)에서 양방향 채널(42b)로 유출된 음료를 디스펜서(62)로 안내할 수 있다.
취출 채널(61)에는 취출 밸브(64)가 구비될 수 있다. 취출 밸브(64)는 취출 채널(61)을 개폐할 수 있다.
디스펜서(62)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레버가 구비될 수 있고, 취출 밸브(64)는 상기 레버와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펜서(62)의 레버를 당기면 취출 밸브(64)는 취출 채널(61)을 개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디스펜서(62)의 레버를 원복시키면 취출 밸브(64)는 취출 채널(61)을 폐쇄할 수 있다.
취출 채널(61)에는 음료의 유압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감압 부품(60)이 설치될 수 있다. 감압 부품(60)는 취출 밸브(64)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감압 부품(60)를 통과하는 음료의 압력은 서서히 낮아질 수 있다. 이로써, 감압 부품(60)를 통과한 음료는 디스펜서(62)에서 취출되며 과다한 거품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취출 채널(61)에는 음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65)가 구비될 수 있다. 체크 밸브(65)는 감압 부품(60)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이너 컨테이너(10)에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배출기(7)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스 배출기(7)는, 가스 배출채널(71)과, 가스 배출채널(71)에 구비된 가스 배출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가스 배출채널(71)을 개폐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의 오픈시에, 이너 컨테이너(10) 내에서 발생한 가스는, 이너 컨테이너(10)의 내압과 대기압의 차이에 의해 가스 배출채널(71)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71)은 발효조 리드(107)를 통해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조 리드(107)에는 가스 배출채널(71)과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출채널 연결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컨테이너(10)에는 내부 공간(S2)을 배출채널 연결부(121)와 연통시키는 제2컨테이너 채널(18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컨테이너 채널(183)은 컨테이너 바디(180)에 형성될 수 있고, 제1컨테이너 채널(190)과 분리될 수 있다.
즉, 발효조(110)에 이너 컨테이너(10)가 장착된 상태에서 발효조 리드(107)가 클로즈되면, 발효조 리드(107)의 배출채널 연결부(121)와 이너 컨테이너(10)의 제2컨테이너 채널(183)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또한, 가스 배출채널(71)에는 가스의 배출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소음 저감장치(76)가 연결될 수 있다. 소음 저감장치(76)는 가스 배출밸브(73)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소음 저감장치(76)는 오리피스 또는 머플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71)은, 가스의 배출 방향에 대해, 후술할 바이패스 채널(46)의 상류에 위치한 제1배출 채널(71a)과, 하류에 위치한 제2배출 채널(71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제2배출 채널(71b)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배출 채널(71a)은 이너 컨테이너(10) 내의 가스를 제2배출 채널(71b)로 안내하거나, 바이패스 채널(46)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나 에어를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제1배출 채널(71a)은 가스가 일 방향으로 유동되고 물이나 에어가 타방향으로 유동되는 양방향 채널이 일 수 있다.
제2배출 채널(71b)은 제1배출 채널(71a)을 통해 안내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즉, 제2배출 채널(71b)은 가스가 일 방향으로만 유동되는 단일 방향 채널일 수 있다.
가스 배출기(7)는, 가스 배출채널(71)에서 분지된 분지 채널(74)과, 상기 분지 채널(74)에 구비된 압력 센서(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지 채널(74)은 제2배출 채널(71b)에서 분지될 수 있다. 분지 채널(74)은 가스의 배출 방향에 대해 가스 배출밸브(73)의 상류에서 분지될 수 있다.
압력 센서(72)는, 가스 배출밸브(73)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가스 배출채널(71) 및 분지 채널(74) 내의 압력, 즉 이너 컨테이너(10)의 내압을 감지할 수 있다.
압력 센서(72)가 가스 배출채널(71)에 직접 설치되지 않고 분지 채널(74)에 설치됨으로써, 바이패스 채널(46)에 의해 안내된 물이나 에어가 압력 센서(72)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지 채널(74)에는 이너 컨테이너(10)의 최대 내압을 제한하는 세이프티 밸브(75)가 연결될 수 있다. 세이프티 밸브(75)는 분지 채널(74)에 대해 압력 센서(72)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클리닝 채널(91)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리닝 채널(91)은, 메인 채널(4) 및 재료 공급기(3)를 바이패스하여 물이나 에어를 음료 취출기(6)로 안내할 수 있다.
클리닝 채널(91)은, 메인 채널(4) 및 재료 공급기(3)를 바이패스하여, 급수 채널(55)과 취출 채널(61)을 연결할 수 있다.
클리닝 채널(91)의 일 단은 제2급수 채널(55b)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클리닝 채널(91)의 일 단은 급수 채널(55)에 대해 급수 펌프(52)와 급수 히터(53)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클리닝 채널(91)의 일 단은 급수 채널(55)에 대해 체크 밸브(59)와 급수 히터(53)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클리닝 채널(91)의 타 단은 취출 채널(61)에 대해 취출 밸브(64)의 상류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클리닝 채널(91)의 타 단은 취출 채널(61)에 대해 메인 채널(4)과 취출 밸브(64)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클리닝 채널(91)에는 클리닝 밸브(92)가 구비될 수 있다. 클리닝 밸브(92)는 클리닝 채널(91)을 개폐할 수 있다.
클리닝 채널(91)에는, 물이나 에어나 음료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93)가 구비될 수 있다. 체크 밸브(93)는 클리닝 채널(91)에 대해 클리닝 밸브(92)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체크 밸브(93)는 물이나 에어가 클리닝 채널(91)을 통해 급수 채널(55)에서 취출 채널(61)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에어 주입기(8)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주입기(8)는 바이패스 채널(46), 메인 채널(4) 또는 클리닝 채널(91)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주입기(8)는, 에어를 펌핑하는 제1에어 펌프(82)와, 제1에어 펌프(82)와 메인 채널(4)을 연결하는 에어 주입채널(81)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채널(81)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채널(81)은 제1메인 채널(41)에 대해 공급 밸브(310) 및 바이패스 채널(46)보다 상류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에어 주입채널(81)은 급수 채널(55)과도 연통될 수 있다. 일례로, 에어 주입채널(81)과 급수채널(55)은 합지되어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채널(81)에는, 메인 채널(4)의 물이 제1에어 펌프(8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83)가 구비될 수 있다. 체크 밸브(83)는 에어가 제1에어 펌프(82)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유동 가능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 조절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0)의 내벽과 이너 컨테이너(10)의 외면 사이의 압력를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0)의 내벽과 이너 컨테이너(10)의 외면 사이 공간(S1)으로 에어를 주입하거나, 상기 공간(S1)에서 에어를 배기시킬 수 있다. 즉,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의 내압을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조절기(15)는, 제2에어 펌프(151)와, 제2에어 펌프(151)와 발효 모듈(1)을 연결하는 에어 채널(152)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에어 채널(152)에서 분지된 배기 채널(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에어 펌프(151)는 에어 채널(152)로 에어를 급기할 수 있다.
에어 채널(152)은 발효조(110)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조(110)에는 에어 채널(152)과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을 연통시키는 에어 채널 연결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 채널(152)은 발효조(110)의 내벽과 이너 컨테이너(10)의 외면 사이 공간(S1)과 연통될 수 있다.
에어 채널(152)은, 제2에어 펌프(151)과 배기 채널(155)을 연결하는 제1에어 채널(152a)과, 상기 제1에어 채널(152a)과 발효조(110)을 연결하는 제2에어 채널(15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에어 채널(152a)은 제2에어 펌프(151)의 에어를 제2에어 채널(152b)로 안내할 수 있다. 제2에어 채널(152b)은 에어를 제1에어 채널(152a)에서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으로 안내하거나,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에서 배기 채널(155)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에어 채널(152a)은 에어가 일 방향으로만 유동하는 일 방향 채널이고, 상기 제2에어 채널(152b)은 에어가 양 방향으로 유동가능한 양방향 채널일 수 있다.
에어 채널(152)에는 급기 밸브(153)가 구비될 수 있다. 급기 밸브(153)은 에어 채널(152)을 개폐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급기 밸브(153)은 에어 채널(152)에 대해 배기 채널(155)보다 상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급기 밸브(153)는 제1에어 채널(152a)에 구비될 수 있다.
배기 채널(155)은 제2에어 채널(152b)을 통해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과 연통될 수 있다. 즉, 배기 채널(155)은 발효조(110)의 내벽과 이너 컨테이너(10)의 외면 사이의 공간(S1)과 연통될 수 있다.
배기 채널(155)에는 배기 밸브(156)가 구비될 수 있다. 배기 밸브(156)는 배기 채널(155)을 개폐할 수 있다.
발효조(110)의 내압이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에서 배기 밸브(156)가 오픈되면, 압력차에 의해 발효조(110)의 내벽과 이너 컨테이너(10)의 외면 사이의 공기가 배기 채널(155)로 배기될 수 있다. 따라서, 발효조(110)의 내압이 내려갈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가 흡입되는 흡입채널(84)과, 상기 흡입채널(84)에서 분지되어 한 쌍의 에어 펌프(82)(151)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 채널(85)(150)을 포함할 수 있다.
외기는 흡입 채널(84)을 통해 흡입될 수 있다. 흡입 채널(84)에는 에어 필터(8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필터(84a)는 흡입 채널(84)로 흡입되는 에어에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 채널(85)(150)은 흡입 채널(84)에 대해 에어 필터(84a)의 하류에서 분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 채널(85)(150)은, 제1에어 펌프(82)에 연결된 제1연결 채널(85)과, 제2에어 펌프(151)에 연결된 제2연결 채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 채널(85)은 에어를 흡입 채널(84)에서 제1에어 펌프(82)로 안내할 수 있다. 제2연결 채널(150)은 에어를 흡입 채널(84)에서 제2에어 펌프(151)로 안내할 수 있다.
다만, 음료 제조기가 흡입 채널(84)을 포함하지 않고, 제1연결 채널(85)과 제2연결 채널(150)로 각각 외기가 직접 흡입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제1연결 채널(85) 및 제2연결 채널(150)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연결 채널(85) 및 제2연결 채널(150)에는 각각 에어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는 가스 배출채널(71)로 물이나 에어를 안내하는 바이패스 채널(46)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이패스 채널(46)은 재료 공급기(3) 및 이너 컨테이너(10)를 바이패스하여 제1메인 채널(41)과 제1배출 채널(71a)을 연결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6)에는 바이패스 밸브(47)가 구비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47)는 바이패스 채널(46)을 개폐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6)에는 체크 밸브(4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48)는 유체가 바이패스 밸브(47)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체크 밸브(48)는, 유체가 바이패스 채널(46)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에서 제1배출 채널(71a)로 흐르도록 설치될 수 있다. 체크 밸브(48)는 바이패스 채널(46)에 대해 바이패스 밸브(47)보다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 또는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는, 바이패스 채널(43), 제1배출 채널(71a), 배출채널 연결부(121) 및 제2컨테이너 채널(18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재료 공급기(3)에 담긴 재료를 추출하지 않고도 이너 컨테이너(10)에 물이나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채널(46)에 의해 안내된 물이나 에어가 이너 컨테이너(10)로 유입되며 제2컨테이너 채널(183)을 세척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컨테이너(10)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이하, 맥즙을 예로 들어 설명함)가 담긴 상태로 판매, 보관, 운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너 컨테이너(10)를 발효조(110)에 선택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컨테이너(10)가 보관되거나 운반되는 과정에서 컨테이너 채널(190)(183)로 맥즙이 새어 나올 수 있고, 이너 컨테이너(10)가 발효조(110)에 장착된 이후에도 컨테이너 채널(190)(183)에 맥즙이 남아있을 수 있다.
제1컨테이너 채널(190)에는 메인 채널(4)에 의해 안내된 유체가 유입되므로, 제1컨테이너 채널(190)에 남아있던 맥즙은 상기 유체와 함께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제1컨테이너 채널(190)에 남아있던 맥즙은 음료의 제조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제거될 수 있다.
반면, 제2컨테이너 채널(183)에서는 이너 컨테이너(10) 내의 가스가 배출되므로, 제2컨테이너 채널(183)에 남아있던 맥즙이 상기 가스에 의해 가스 배출채널(71)로 역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제2컨테이너 채널(183)로 가스가 배출되기 이전에, 바이패스 채널(46)에 의해 안내된 물이나 에어가 이너 컨테이너(10)로 유입되며 제2컨테이너 채널(183)을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컨테이너 채널(183)에 남아있던 맥즙은 상기 물이나 에어와 함께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의 음료 제조 방법은 이너 컨테이너(10)로 온수를 급수하는 급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 단계는 이너 컨테이너(10) 내의 맥즙에 온수를 공급하여 액상 맥아를 형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동시에, 상기 급수 단계는 이너 컨테이너(10)의 제2컨테이너 채널(183)에 남아있는 맥즙을 세척하는 단계일 수 있다.
급수 단계 시, 급수 펌프(52) 및 급수 히터(53)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밸브(92), 공급 밸브(310) 및 가스 배출밸브(73)는 클로즈 유지되고, 바이패스 밸브(47)는 오픈될 수 있다.
따라서, 수조(51)의 물은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 채널(55)로 유동되고 급수 히터(53)를 통과하며 가열될 수 있다. 급수 히터(53)에서 가열된 온수는, 바이패스 채널(46), 제1배출 채널(71a), 배출 채널 연결부(121) 및 제2컨테이너 채널(18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온수는 제2컨테이너 채널(183)의 내부에 남아있던 맥즙과 함께 이너 컨테이너(10)로 유입되고, 이너 컨테이너(10)에 담겨있던 맥즙와 혼합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의 음료 제조 방법은, 바이패스 채널(46)을 통해 이너 컨테이너(10)로 에어를 주입하는 제1급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급기 단계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급수 단계의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1급기 단계는 이너 컨테이너(10) 내의 액상 맥아에 산소를 공급하는 에어레이션(Aeration) 단계일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1급기 단계는 제1배출 채널(71a), 배출 채널 연결부(121) 및 제2컨테이너 채널(183)에 남아있는 잔수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제1급기 단계는 가스 배출라인 상에 남아있는 잔수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1급기 단계 시, 제1에어 펌프(82)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밸브(92), 공급 밸브(310) 및 가스 배출밸브(73)는 클로즈 유지되고, 바이패스 밸브(47)는 오픈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는 흡입 채널(84) 및 제1연결 채널(8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에어 펌프(82)로 흡입될 수 있고, 제1에어 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에어는, 바이패스 채널(46), 제1배출 채널(71a), 배출 채널 연결부(121) 및 제2컨테이너 채널(18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에어는 제2컨테이너 채널(183)의 내부에 남아있던 잔수와 함께 이너 컨테이너(10)로 유입되고, 이너 컨테이너(10)에 담겨있던 액상 맥아에 대해 에어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의 음료 제조 방법은 클리닝 채널(91)을 통해 이너 컨테이너(10)로 에어를 주입하는 제2급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급기 단계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급수 단계의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급기 단계는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제1급기 단계의 이전에 실시되거나, 이후에 실시되거나, 번갈아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2급기 단계는 이너 컨테이너(10) 내의 액상 맥아를 고르게 믹싱하는 단계이거나, 상기 액상 맥아에 산소를 공급하는 에어레이션(Aeration) 단계일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제2급기 단계는 급수 히터(53) 내에 남아있는 잔수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제2급기 단계 시, 제1에어 펌프(82)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밸브(47) 및 공급 밸브(310)는 클로즈 유지되고, 클리닝 밸브(92) 및 메인 밸브(45)는 오픈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는 흡입 채널(84) 및 제1연결 채널(8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에어 펌프(82)로 흡입될 수 있고, 제1에어 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에어는, 급수 히터(53) 내에 남아있던 잔수와 함께, 클리닝 채널(91), 제2메인 채널(42b), 메인채널 연결부(115), 제1컨테이너 채널(190) 및 튜브(19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튜브(195)의 하단은 이너 컨테이너(10) 내의 액상 맥아에 잠긴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에어는 튜브(195)의 하단을 통해 액상 맥아의 내부에 직접적으로 급기될 수 있고, 상기 액상 맥아를 효과적으로 믹싱할 수 있다.
도 5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의 음료 제조 방법은 재료 투입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 투입단계는, 재료 공급기(3)에 장착된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를 온수에 의해 추출하여 이너 컨테이너(10)로 공급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재료 투입단계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급수 단계, 도 3에서 설명한 제1급기 단계, 도 4에서 설명한 제2급기 단계의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재료 투입단계는, 발효조(110)의 내부 온도가 증발 튜브(134)에 의해 발효 가능한 온도로 조절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재료 공급기(3)에 3개의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재료 투입단계 시, 급수 펌프(52)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밸브(92) 및 바이패스 밸브(47)는 클로즈 유지되고, 공급 밸브(310) 및 메인 밸브(45)는 오픈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 펌프(52)에 의해 펌핑된 수조(51)의 물은 급수 채널(55) 및 제1메인 채널(4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재료 컨테이너(C1)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재료 컨테이너(C1)로 유입된 물은 제1재료 컨테이너(C1)에 수용되어 있던 제1재료(예를 들어, 이스트)와 혼합되고, 상기 제1재료와 함께 제1연결 채널(311)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연결채널(311)를 통해 제2재료 컨테이너(C2)로 유입된 유체(물과 제1재료의 혼합물)는, 제2재료 컨테이너(C2)에 수용되어 있던 제2재료(예를 들어, 홉)와 혼합되고, 상기 제2재료와 함께 함께 제2연결채널(31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연결채널(312)를 통해 제3 재료 컨테이너(C3)로 유입된 유체(물, 제1재료 및 제2재료의 혼합물)는, 제3 재료 컨테이너(C3)에 수용되어 있던 제3재료(예를 들어, 오일)와 혼합되고, 상기 제3재료와 함께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된 유체(물, 제1재료, 제2재료 및 제3재료의 혼합물)는, 메인채널 연결부(115), 제1컨테이너 채널(190) 및 튜브(19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이너 컨테이너(10)에 담겨있던 액상 맥아와 혼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의 음료 제조 방법은 잔수 제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수 제거단계는, 재료 공급기(3)에 장착된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내부에 남은 잔수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잔수 제거단계는,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재료 투입단계의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잔수 제거단계 시, 제1에어 펌프(82)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밸브(92) 및 바이패스 밸브(35)는 클로즈 유지되고, 공급 밸브(310) 및 메인 밸브(45)는 오픈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는 흡입 채널(84) 및 제1연결 채널(8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에어 펌프(82)로 흡입될 수 있고, 제1에어 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에어는 제1메인 채널(41), 제1재료 컨테이너(C1), 제1연결 채널(311), 제2이너 컨테이너(C2), 제2연결 채널(312), 제3재료 컨테이너(C3), 제2메인 채널(42), 메인채널 연결부(115), 제1컨테이너 채널(190) 및 튜브(19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내부에 남아있던 잔수는 상기 에어와 함께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의 음료 제조 방법은,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에서 발효가 진행되는 발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 단계는, 앞서 도 5에서 설명한 재료 투입단계의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도 6의 잔수 제거단계가 실시되는 경우, 상기 발효 단계는 상기 잔수 제거단계의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발효 단계 시, 메인 밸브(45)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발효조(110)의 온도는 증발 튜브(134) 또는 히터(14)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발효 단계 시, 이너 컨테이너(10)의 내압은 가스 배출기(7)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의 압력 센서(72)는 가스 배출밸브(73)가 클로즈된 상태에서 이너 컨테이너(10)의 내압을 감지할 수 있다.
발효 단계 도중, 가스 배출기(7)의 가스 배출밸브(73)는 적어도 1회 개폐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컨테이너(10) 내에서 발효가 진행되면 가스가 발생하여 이너 컨테이너(10)의 내압이 상승할 수 있다. 이너 컨테이너(10)의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지면 가스 배출밸브(73)가 오픈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컨테이너(10) 내의 가스는 가스 배출채널(7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는 제조 완료되어 보관중인 음료를 취출하는 취출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음료가 보관되는 도중에, 사용자는 디스펜서(62)를 조작하여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이너 컨테이너(10)에 담긴 음료는, 발효조(110)의 내벽과 이너 컨테이너(10) 사이의 압력, 즉 발효조(110)의 내압에 의해 수축되며 음료가 취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료의 보관 시,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0)의 내압을 기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의 일부 취출 등에 의해 발효조(110)의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 미만으로 내려가면, 제2에어 펌프(151)가 작동할 수 있다. 또한, 급기 밸브(153)가 오픈되고 배기 밸브(156)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는 흡입 채널(84) 및 제2연결 채널(15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에어 펌프(151)로 흡입될 수 있고, 제2에어 펌프(151)는 에어 채널(152)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에어는 에어 채널 연결부(117)을 통과하여 발효조(110)의 내벽과 이너 컨테이너(10)의 외면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10)의 내압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62)의 레버를 당기면 메인 밸브(45) 및 취출 밸브(64)가 오픈될 수 있다.
따라서, 발효조(110)의 내압에 의해 이너 컨테이너(10)는 수축할 수 있고, 이너 컨테이너(10)에 담긴 음료는 튜브(195), 제1컨테이너 채널(190), 메인채널 연결부(115), 제2메인채널(42)의 양 방향 채널(42b) 및 취출 채널(6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디스펜서(62)로 취출될 수 있다.
튜브(195)는 이너 컨테이너(10)의 내측 저면에 인접하도록 하방으로 길게 연장되므로, 이너 컨테이너(10)에 담긴 음료가 튜브(195)를 통해 쉽게 취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62)의 레버를 원복시키면 메인 밸브(45) 및 취출 밸브(64)는 클로즈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0)의 내압을 기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는 음료 취출기(6)를 클리닝시키는 취출기 세척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취출기 세척 단계는 디스펜서 세척 단계로 명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취출기 세척 단계는, 음료 취출기(6)에서 적어도 1회 음료가 취출된 이후에 실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마지막으로 실시된 취출 단계가 완료되고 다음 취출 단계가 실시되기까지 상당한 시간 간격이 존재할 경우, 음료 취출기(6)에 남아있던 음료에 의해 음료 취출기(6)의 내부가 오염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마지막으로 실시된 음료 취출단계로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음료 취출단계가 재실시되는 경우 상기 취출기 세척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물이나 에어가 음료 취출기(6)의 내부를 통과하여야 하므로, 사용자는 디스펜서(62)의 레버를 당겨 취출기 세척 단계를 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취출기 세척 단계는 취출 밸브(64)가 오픈된 상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취출기 세척 단계는, 물 세척 단계(도 9 참조) 또는 에어 세척 단계(도 10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세척 단계 및 에어 세척 단계는 기설정된 순서로 실시되거나, 상기 둘 중 어느 하나만이 단독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취출기(6)의 간단한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에어 세척 단계만이 단독으로 실시될 수 있다.
반면, 음료 취출기(6)의 철저한 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물 세척 단계와 상기 에어 세척 단계가 순차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 세척 단계는 물 세척 단계 시에 음료 취출기(6)의 내부에 남은 잔수(세척수)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물 세척 단계 시, 급수 펌프(52)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공급 밸브(310) 및 바이패스 밸브(47)는 클로즈 유지되고, 클리닝 밸브(92)는 오픈될 수 있다. 이 때 취출 밸브(64)는 오픈된 상태이다.
따라서, 수조(51)의 물은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 채널(55)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물은, 클리닝 채널(91) 및 취출 채널(6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디스펜서(62)로 토출될 수 있다. 디스펜서(62)로 토출된 물은 드립 트레이(미도시)로 낙하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음료 취출기(6)의 내부에 남아있던 음료는 상기 물과 함께 디스펜서(62)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취출기(7)의 내부가 물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또한, 물 세척 단계 시에 급수 히터(53)가 온 되어 음료 취출기(7)의 내부가 온수에 의해 세척뿐만 아니라 살균까지 실시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에어 세척 단계 시, 제1에어 펌프(82)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공급 밸브(310) 및 바이패스 밸브(47)는 클로즈 유지되고, 클리닝 밸브(92)는 오픈될 수 있다. 이 때 취출 밸브(64)는 오픈된 상태이다.
따라서, 외기는 흡입 채널(84) 및 제1연결 채널(8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1에어 펌프(82)로 흡입될 수 있고, 제1에어 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에어는 클리닝 채널(91) 및 취출 채널(6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디스펜서(62)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음료 취출기(6)의 내부에 남아있던 음료나 세척수는 상기 에어와 함께 디스펜서(62)로 빠져나갈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취출기(7)의 내부가 에어에 의해 세척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10)의 내압을 낮추는 감압 단계를 실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압 단계는 음료가 제조 완료된 후 사용자가 발효조 리드(107)를 개방하려 할 때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감압 단계는 이너 컨테이너(10)의 음료가 소진된 경우에 실시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발효조(110)의 내압이 대기압보다 고압인 상태에서 발효조 리드(107)를 개방하면, 이너 컨테이너(10)은 압력차에 의해 발효조(110)의 상부로 튀어 오를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발효조 리드(107)를 개방하기 이전에 감압 단계가 실시되면, 발효조 리드(107)를 열었을 때 이너 컨테이너 컨테이너(10)은 상측으로 튀어 오르지 않고 발효조(110)의 내부에 유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너 컨테이너(10)을 발효조(110)에서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다.
감압 단계 시, 급기 밸브(153)는 클로즈 유지되고 배기 밸브(156)는 오픈될 수 있다.
따라서, 발효조(110)의 내벽과 이너 컨테이너(10)의 외면 사이의 에어는, 발효조(110)의 내압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해, 제2에어 채널(152b) 및 배기 채널(155)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기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10)의 내압이 대기압 수준까지 내려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너 컨테이너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이너 컨테이너의 평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너 컨테이너(10)은, 발효조(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컨테이너 바디(180)와, 컨테이너 바디(180)에 결합되고 내부 공간(S2)을 갖는 컨테이너 팩(194)과, 컨테이너 바디(180)의 하부에 연결되어 컨테이너 팩(194)의 내측 하부까지 연장되는 튜브(195)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80)는 일체로 형성될수도 있고, 복수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컨테이너 바디(180)는 메인 바디(181)와, 메인 바디(181)에 체결되고 컨테이너 팩(194)가 결합되는 결합 바디(19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바디(181)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80), 좀 더 상세히 메인 바디(181)에는 중공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84)는 컨테이너 바디(18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바디(180)에는 발효조(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부(182a)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안착부(182a)는 메인 바디(181)의 둘레부(182)에 형성될 수 있다.
둘레부(182)는 컨테이너 바디(180)의 반경 방향에 대해 중공부(184)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80)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부(185)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85)는 메인 바디(181)의 상면 중 중공부(184)의 내측에 위치한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85)는 중공부(184)의 내부와 연통되는 함몰 공간(S5)를 형성할 수 있다. 함몰 공간(S5)의 내경은 중공부(184)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함몰 공간(S5)는, 함몰부(185)의 내둘레와 후술할 연결 배관(187)의 외둘레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함몰 공간(S5)는 함몰부(185)의 내둘레와 후술할 어퍼 배관(188)의 외둘레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80)에는, 컨테이너 팩(194)의 내부 공간(S2)과 연통된 연결 배관(187)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배관(187)은 제1컨테이너 채널(190)을 정의할 수 있다.
연결 배관(187)는 메인 바디(181)의 함몰부(185)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배관(187)의 외경은 함몰부(185)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연결 배관(187)는 함몰부(185)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어퍼 배관(188)와 하측으로 돌출된 로어 배관(189)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배관(188)의 외둘레면은 함몰부(185)의 내둘레면과 이격될 수 있다. 어퍼 배관(188)는 발효 리드(107)에 형성된 메인채널 연결부(115)와 연결될 수 있다.
로어 배관(189)는 컨테이너 팩(194)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로어 배관(189)에는 튜브(195)가 연결될 수 있다.
튜브(195)는 플렉시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195)는 컨테이너 팩(194)와 함께 접힐 수 있고, 이너 컨테이너(10)을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컨테이너 바디(180)에는, 컨테이너 팩(194)의 내부 공간(S2)과 연통된 적어도 하나의 홀(186)이 형성될 수 있다.
홀(186)은 메인 바디(181)의 함몰부(185)에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홀(186)은 컨테이너 바디(180)의 반경 방향에 대해 연결 배관(187)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홀(186)은 함몰 공간(S5)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과 함몰 공간(S5)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너 컨테이너(10)가 보관되거나 운반되는 과정에서, 컨테이너 팩(194)에 담겨있던 맥즙이 홀(186)을 통해 이너 컨테이너(10)의 상부, 좀 더 상세히는 함몰 공간(S5)으로 유출될 수 있다.
즉, 컨테이너 바디(180)에 함몰 공간(S5)이 형성됨으로써, 홀(186)으로 유출된 맥즙이 사방으로 튀지 않고 함몰 공간(S5) 내에만 묻는 이점이 있다.
함몰 공간(S5) 및 홀(186)은 제2컨테이너 채널(183)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급수 단계(도 2 참조) 시에, 함몰 공간(S5)에 묻거나 남아있던 맥즙은 바이패스 채널(46)에 의해 안내된 물에 의해 깔끔하게 세척되어 홀(186)으로 유입될 수 있다.
홀(186)은 컨테이너 바디(18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일 수 있다. 이로써 각 홀(186)의 면적이 충분히 넓어질 수 있고, 바이패스 채널(46)로 안내된 물이나 에어가 홀(186)으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한편, 결합 바디(191)는 메인 바디(181)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튜브(195)를 교체하거나, 결합 바디(191) 및 컨테이너 팩(194)를 교체하여 메인 바디(181)에 장착할 수 있다.
결합 바디(191)는, 메인 바디(181)에 체결된 체결부(192)와, 컨테이너 팩과 결합된 결합부(19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92)는 대략 중공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메인 바디(181)와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메인 바디(181)의 함몰부(185)는 체결부(192)에 내삽되어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192)의 내둘레면은 함몰부(185)의 외둘레면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결합부(193)는 고리형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잇다. 접합부(193)는 체결부(192)의 하단에서 반경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93)는 메인 바디(181)의 하측에 위치하고 메인 바디(181)의 저면을 마주볼 수 있다. 결합부(193)와 메인 바디(181)의 저면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결합부(193)의 직경은 메인 바디(18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193) 및 그에 결합된 플렉시블 팩(194)은 발효조(11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발효조(1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컨테이너 팩(194)는 내용적이 용이하게 가변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팩(194)은 결합부(193)에 열융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발효조 리드가 오픈된 상태의 발효 모듈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모듈의 발효조에 이너 컨테이너가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발효 모듈의 발효조 리드가 클로즈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리드 안착바디(170)는 대략 환형일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70)는 케이스(1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발효조 리드(107)을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79)에는 발효조 리드(107)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리드 안착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안착공간(S3)은 발효조(110)의 개구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너 컨테이너(10)는 리드 안착공간(S3)을 통과하여 발효조(110)에 장착될 수 있다.
발효조 리드(107)는 리드 안착바디(170)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발효조(110)의 개구부를 상측에서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 발효조 리드(107)는 리드 안착 바디(170)에 힌지(107a)로 연결될 수 있다.
발효조(110)의 외면과 케이스(160)의 내면 사이에는 단열부(161)(도 16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부(161)는 케이스(160)의 내부에 배치되며 발효조(112)와 증발 튜브(134)(도 1 참조) 및 히터(14)를 함께 둘러쌀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10)가 외부에 대해 단열될 수 있다.
발효조(110)의 상부에는 이너 컨테이너(10)의 컨테이너 바디(180)가 안착되는 시트홈(165)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컨테이너 바디(180)의 안착부(182a)는 시트홈(165)에 올려져 안착될 수 있다. 시트홈(165)는 발효조(110)의 개구부 주변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시트홈(165)에는 가스켓(175)이 장착될 수 있고, 컨테이너 바디(180)의 안착부(182a)는 상기 가스켓(175)의 상측에 올려져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홈(165)는 가스켓 장착홈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발효조 리드(107)에는, 메인채널 연결부(115) 및 배출채널 연결부(121)가 형성된 연결 바디(505)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연결 바디(505)는 어퍼 커버(506)와, 어퍼 커버(506)와 체결되는 중공 바디(51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바디(510)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고, 중공 바디(510)의 개방된 상면은 어퍼 커버(506)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즉, 연결 바디(505)는, 어퍼 커버(506)와 중공 바디(510)의 사이에 정의된 내부 공간(S6)를 가질 수 있다.
메인 채널(4)(도 1 참조) 및 가스 배출채널(71)(도 1 참조)은, 연결 바디(505)의 내부 공간(S6)에서, 메인채널 연결부(115) 및 배출채널 연결부(12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중공 바디(510)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516)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16)는 컨테이너 바디(180)의 중공부(184)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516)와 중공부(184) 사이에는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링은 돌출부(516)의 외둘레와 중공부(184)의 내둘레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배출채널 연결부(121)는 배관 형상을 가질 수 잇다. 배출채널 연결부(121)는 돌출부(516)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배출채널 연결부(121)의 상단은 연결 바디(505)의 내부 공간(S6)에 위치할 수 있다.
배출채널 연결부(121)는 컨테이너 바디(180)의 함몰 공간(S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는 함몰 공간(S5)과 연통될 수 있다. 이로써,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은, 함몰 공간(S5) 및 홀(186)에 의해 구성되는 제2컨테이너 채널(183)을 통해 배출채널 연결부(121)와 연통될 수 있다.
메인채널 연결부(115)는 배관 형상을 가질 수 잇다. 메인채널 연결부(115)는 돌출부(516)에서 상하로 돌출될 수 있다. 메인채널 연결부(115)의 상단은 연결 바디(505)의 내부 공간(S6)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채널 연결부(115)의 하부(517)는, 컨테이너 바디(180)의 연결 배관(187), 좀 더 상세히는 어퍼 배관(188)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채널 연결부(115)의 하부(517)와 어퍼 배관(188) 사이에는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링은 메인채널 연결부(115)의 하부(517) 외둘레와, 어퍼 배관(188)의 내둘레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이로써, 이너 컨테이너(10)의 내부 공간(S2)은, 제1컨테이너 채널(190)을 통해 메인채널 연결부(115)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발효조 리드(107)는 발효조(110)에 장착된 이너 컨테이너(10)의 컨테이너 바디(180)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연결 바디(505)에는 컨테이너 바디(18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52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522)는 중공 바디(510)에서 하방 돌출되며, 컨테이너 바디(180)의 둘레부(182)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이너 컨테이너(1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 내부 공간을 갖는 발효조;
상기 발효조의 상부에 안착되는 컨테이너 바디와,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 결합되며 재료가 담긴 상태로 상기 발효조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컨테이너 팩을 포함하는 이너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발효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발효조 리드;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 팩 내의 가스가 배출되는 컨테이너 채널;
상기 컨테이너 채널과 연통되고 상기 발효조 리드의 외부로 연장된 가스 배출채널; 및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가스 배출채널에 합지되고, 상기 가스 배출채널 및 컨테이너 채널을 통해 상기 이너 컨테이너 내부로 물이나 에어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채널은,
가스의 배출 방향에 대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상류에 위치한 제1배출 채널; 및
가스의 배출 방향에 대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하류에 위치한 제2배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 채널은,
상기 바이패스 채널을 통해 공급된 물이나 에어를 상기 컨테이너 채널로 안내하거나, 상기 컨테이너 채널에서 배출된 가스를 상기 제2배출 채널로 안내하는 양방향 채널인 음료 제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 채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 채널을 개폐하는 가스 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 채널에 대해 상기 가스 배출밸브의 상류에서 분지된 분지 채널; 및
상기 분지 채널에 구비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는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 채널은,
상기 함몰부 내의 함몰 공간; 및
상기 함몰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 팩의 내부를 상기 함몰 공간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컨테이너 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음료 제조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리드에는, 상기 가스 배출채널이 연결된 배관 형상의 배출채널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채널 연결부의 하단은 상기 함몰 공간을 향하는 음료 제조기. - 내부 공간을 갖는 발효조;
상기 발효조의 상부에 안착되는 컨테이너 바디와,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 결합되며 재료가 담긴 상태로 상기 발효조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컨테이너 팩을 포함하는 이너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발효조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는 발효조 리드;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 형성된 제1컨테이너 채널;
상기 제1컨테이너 채널에서 하방 연장되며 상기 컨테이너 팩의 내부에 위치한 튜브;
상기 컨테이너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제1컨테이너 채널과 이격된 제2컨테이너 채널;
상기 제1컨테이너 채널과 연통되고 상기 발효조 리드의 외부로 연장된 메인 채널;
상기 제2컨테이너 채널과 연통되고 상기 발효조 리드의 외부로 연장된 가스 배출채널; 및
상기 이너 컨테이너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가스 배출채널에 합지되고, 상기 가스 배출채널 및 제2컨테이너 채널을 통해 상기 이너 컨테이너 내부로 물이나 에어를 공급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채널은,
가스의 배출 방향에 대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상류에 위치한 제1배출 채널; 및
가스의 배출 방향에 대해 상기 바이패스 채널의 하류에 위치한 제2배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배출 채널은,
상기 바이패스 채널을 통해 공급된 물이나 에어를 상기 제2컨테이너 채널로 안내하거나, 상기 제2컨테이너 채널에서 배출된 가스를 상기 제2배출 채널로 안내하는 양방향 채널인 음료 제조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 채널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 채널을 개폐하는 가스 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출 채널에 대해 상기 가스 배출밸브의 상류에서 분지된 분지 채널; 및
상기 분지 채널에 구비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바디는,
하측으로 함몰된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컨테이너 채널을 정의하는 이너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컨테이너 채널은,
상기 함몰부의 내둘레와 상기 이너 배관의 외둘레 사이의 함몰 공간; 및
상기 함몰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컨테이너 팩의 내부를 상기 함몰 공간과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컨테이너 바디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음료 제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리드에는,
상기 메인 채널이 연결된 배관 형상의 메인채널 연결부; 및
상기 가스 배출채널이 연결된 배관 형상의 배출채널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채널 연결부의 하단은 상기 이너 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채널 연결부의 하단은 상기 함몰 공간을 향하는 음료 제조기. - 제 8 항에 있어서,
재료가 담긴 재료 컨테이너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메인 채널이 경유하는 재료 공급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채널은, 상기 메인 채널에 대해 상기 재료 공급기의 상류에서 분지된 음료 제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4857A KR20220006882A (ko) | 2020-07-09 | 2020-07-09 | 음료 제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4857A KR20220006882A (ko) | 2020-07-09 | 2020-07-09 | 음료 제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6882A true KR20220006882A (ko) | 2022-01-18 |
Family
ID=80052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4857A KR20220006882A (ko) | 2020-07-09 | 2020-07-09 | 음료 제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688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8362A1 (zh) * | 2022-11-21 | 2024-05-30 | 深圳市虎一科技有限公司 | 循环式液体加热的烹饪设备、烹饪主机及外接液体容器 |
-
2020
- 2020-07-09 KR KR1020200084857A patent/KR20220006882A/ko unkno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08362A1 (zh) * | 2022-11-21 | 2024-05-30 | 深圳市虎一科技有限公司 | 循环式液体加热的烹饪设备、烹饪主机及外接液体容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5595B1 (ko) | 음료 제조기 | |
KR102708122B1 (ko) |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20200074637A (ko) | 음료 제조기 | |
KR102521998B1 (ko) | 음료 제조기 | |
KR20220006882A (ko) | 음료 제조기 | |
KR20200072048A (ko) | 음료 제조기 | |
KR102548266B1 (ko) | 발효조 | |
KR20200071542A (ko) | 발효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 |
KR102274525B1 (ko) | 발효 및 숙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102658905B1 (ko) | 음료 제조기 | |
KR102457236B1 (ko) | 음료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 |
KR20190006667A (ko) | 음료 제조팩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 |
KR102434281B1 (ko) | 음료 제조기 | |
KR102282489B1 (ko) | 음료 제조기 | |
KR102463325B1 (ko) | 음료 제조기 | |
KR102713337B1 (ko) | 음료 제조기 | |
KR102630846B1 (ko) |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 |
KR102571262B1 (ko) | 음료 제조기 | |
KR102282483B1 (ko) | 발효 및 숙성 장치 | |
KR102259341B1 (ko) | 음료 제조기 | |
KR20190105435A (ko) |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 |
KR102482807B1 (ko) | 음료 제조기 | |
US11352245B2 (en) | Beverage discharger | |
KR102526537B1 (ko) | 음료 제조기 | |
KR102314618B1 (ko) |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