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5435A -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435A
KR20190105435A KR1020180025980A KR20180025980A KR20190105435A KR 20190105435 A KR20190105435 A KR 20190105435A KR 1020180025980 A KR1020180025980 A KR 1020180025980A KR 20180025980 A KR20180025980 A KR 20180025980A KR 20190105435 A KR20190105435 A KR 20190105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beverage
fermentation
container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석
강원철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5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5435A/ko
Publication of KR20190105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스트로우 연결부가 형성되고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채널이 형성된 탑 바디와; 탑 바디에 연결되고 내부에 음료 제조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와; 스트로우 연결부에 연결되어 음료 제조공간의 하부로 길게 연장되고 HDPE 재질이거나 PERT 재질인 스트로우를 포함하여, 온수나 기포에 의해 스트로우가 휘거나 들뜨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음료 제조공간 내 음료 재료와 물의 용해 성능이 높아 음료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FERMENTATION CONTAINER AND BAVERAGE MAK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트로우가 구비된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 등과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맥주 등의 음료는 음료 제조기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의 일예는 WO 99/50383(1999년10월7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으며, 음료 제조기는 실린더 형상의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내부에 수용되고 내부에 음료 재료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플라스틱 백과, 컨테이너 상부를 덮는 탑 플레이트와, 탑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플라스틱 백 내측 하부로 길게 연장된 딥 튜브를 포함한다.
WO 99/50383(1999년10월7일 공개)
본 발명은 음료 재료가 온수에 최대한 고르게 용해될 수 있는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 재료가 고르게 용해되지 못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음료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효 컨테이너를 갖는 음료 제조기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 및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가 형성된 발효조와, 개구부를 덮는 리드를 갖는 발효조 모듈과;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에 안착되어 공간에 수용되는 발효 컨테이너와; 발효조 모듈에 연결되어 발효 컨테이너로 물이나 가스를 공급하는 메인채널을 포함한다.
발효 컨테이너는 탑 바디와, 컨테이너와, 스트로우를 포함한다.
탑 바디는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탑 바디는 스트로우 연결부가 형성되고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탑 바디에 연결되고 내부에 음료 제조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스트로우는 스트로우 연결부에 연결되어 음료 제조공간의 하부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스트오우는 강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HDPE 재질이거나 PERT 재질일 수 있다.
스트로우는 탑 바디가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스토로우의 하단이 발효조의 내측 바닥면과 10mm 내지 15mm 이격되는 길이를 갖을 수 있다. 스트로우의 길이는 304mm 내지 309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트로우가 HDPE 재질이거나 PERT 재질로 성형되어 스트로우가 스트로우를 통과하는 온수에 의해 휘거나 스트로우 내 기포에 의한 부력에 의해 뜨지 않게 할 수 있고, 컨테이너 내부의 음료 재료가 온수에 최대한 고르게 용해되게 할 수 있고, 음료의 품질이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트로우의 하단이 발효조의 내측 바닥면과 적정 이격거리를 두고 이격될 수 있어, 스트로우를 통해 공급된 에어 등의 가스나 온수가 컨테이너의 내측 하부 전체에 고르게 유동될 수 있고, 온수가 컨테이너의 내측 하부 전체에 고르게 공급되지 못할 경우 보다 음료의 품질이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드가 오픈일 때의 발효조 및 리드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컨테이너가 발효조에 안착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되는 제1비교예의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되는 제2비교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컨테이너와 비교예 2의 발효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 재료의 브릭스도가 도시된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 제조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드가 오픈일 때의 발효조 및 리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컨테이너가 발효조에 안착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모듈(1)과, 발효 컨테이너(12, 도 2 및 도 4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모듈(1)에 연결된 메인채널(4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채널(41)(42)은 물이나 첨가재 등의 음료 재료나 에어 등의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 부재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메인 채널(41)(42)에 연결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재료는 메인 채널(41)(42)를 통해 발효조 모듈(1)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조 모듈(1) 내부에 수용된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모듈(5)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모듈(5)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메인 채널(41)(42)에 연결될 수 있고,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은 메인 채널(41)(42)를 통해 발효조 모듈(1)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조 모듈(1) 내부에 수용된 발효 컨테이너(12)로 급수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은 발효조(101)와, 리드(110)를 갖을 수 있다.
발효조(101)는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조(101)의 상부에는 개구부(108) 및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발효조(101)은 발효 케이스(103)와, 발효 케이스(103)의 내부에 배치된 이너 발효조(102)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03)와 이너 발효조(102) 사이에는 단열부(104)가 구비될 수 있다. 발효조(101)은 리드(110)가 안착되는 리드 커넥터(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03)는 발효조(101)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발효 케이스(103)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너 발효조(102)는 발효조(101)의 내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고, 발효조(101)의 공간(S1)은 이너 발효조(10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발효조(102)에는 이너 발효조(102)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너 발효조(102)는 발효 케이스(10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발효조(102)의 외둘레 및 저면은 발효 케이스(103)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이너 발효조(102)의 외둘레는 발효 케이스(103)의 내둘레와 이격될 수 있고, 이너 발효조(102)의 외측 저면은 발효 케이스(103)의 내측 바닥면과 이격될 수 있다.
단열부는 발효 케이스(103) 내부에 위치하고 이너 발효조(102)를 둘러쌀 수 있다. 이로써 이너 발효조(102)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단열부는 단열성능이 높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발포 폴리스티렌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조(101)은 내부에 공간(S1)이 형성된 로어 발효조(L)와, 로어 발효조(L) 상부에 배치된 리드 커넥터(105)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발효조(L)는 이너 발효조(102)와, 아우터 케이스(103)와, 단열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커넥터(105)에는 개구부(108)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08)는 로어 발효조(L)의 공간(S1)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공간(S1)의 위에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08)는 발효 컨테이너(12)가 출입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리드 커넥터(105)의 상면에는 리드(110)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홈(109)이 형성될 수 있다.
리드 커넥터(105)는 내부에 개구부(108)가 형성된 넥 바디(106)와, 리드(110)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바디(107)를 포함할 수 있다.
넥 바디(106)는 로어 발효조(L)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넥 바디(106)는 로어 발효조(L) 및 리드 안착바디(107) 각각 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07)에는 리드(110)가 안착되는 리드 안착홈(109)이 형성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07)는 넥 바디(106)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07)는 넥 바디(106)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07)는 넥 바디(106)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넥 바디(106)와 별도로 구성된 후 넥 바디(106)의 상부에 위치하게 넥 바디(106)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11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발효조(L)나 리드 커넥터(105)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111)는 로어 발효조(L)의 상부에 돌출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111)는 발효조(101)에 돌출된 고리 형상의 실링부재 안착바디와, 실링부재 안착바디에 장착된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111)가 실링부재를 포함할 경우, 발효 컨테이너(12)의 상부 외둘레는 실링부재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모듈(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기(11)는 발효조(101)의 내부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온도 조절기(11)는 이너 발효조(102)의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이너 발효조(102)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이너 발효조(10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냉동 사이클 장치(13)와 히터(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조절기는 열전소자(TEM)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냉동사이클 장치(13)는 이너 발효조(102)를 냉각시켜 이너 발효조(102)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냉동 사이클 장치(13)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15)를 포함할 수 있다.
증발기(15)는 이너 발효조(102)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5)는 이너 발효조(102)의 외면에 감기는 증발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증발기(15)는 이너 발효조(102)와 단열부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고, 단열부에 의해 단열된 이너 발효조(102)를 냉각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1)는 이너 발효조(102)를 가열시키는 히터(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14)는 이너 발효조(102)의 저면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히터(14)는 플레이트 히터(Plate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증발기(15) 및 히터(14)에 의해 이너 발효조(102)의 내부에서 유체의 자연 대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너 발효조(102) 및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의 온도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다.
리드(110)는 발효조(101) 특히, 리드 커넥터(10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리드(110)는 발효조(101)에 힌지부(H, 도 3 및 도 4참조)로 연결되어 공간(S1)을 개폐할 수 있다. 리드(110)는 힌지부(H)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측으로 회동되어 오픈될 수 있고, 하측으로 회동되어 클로즈될 수 있다.
리드(110)의 적어도 일부는 발효조(101)의 개구부(108)로 삽입될 수 있고, 리드(110)는 발효조(101)의 개구부(108)를 밀폐할 수 잇다.
리드(110)의 상부는 개구부(108)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리드(110)의 상부는 개구부(108)를 덮을 수 있다. 리드(110)의 하부는 개구부(108)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리드(110)의 하부는 개구부(108)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리드(110)는 개구부(108)를 덮을 수 있다. 리드(110)는 개구부(108)를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101)의 상측에 배치되어 공간(S1)를 덮을 수 있다.
리드(110)는 발효 컨테이너(12)가 발효조(101)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01)를 밀폐시킬 수 있다. 리드(110)에는 메인 채널, 좀 더 상세하게는 제2메인 채널(42)와 연결되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0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111)에 안착되어 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음료 재료 및 완성된 음료가 발효조(101)의 내벽에 뭍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01)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01)의 내부에 안착되어 발효조(101) 내부에서 음료를 발효시킬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후, 발효조(10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는 음료 재료가 수용되고 음료가 제조되는 음료 제조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01)의 내부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발효조(101)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리드(110)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01)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01)에 수용될 수 있다.
메인채널(41)(42)은 발효조 모듈(1)에 연결되어 발효 컨테이너(12)로 에어 등의 가스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메인 채널(41)(4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기(3)를 연결하는 제1메인 채널(41)과, 재료 공급기(3)와 발효조 모듈(1)을 연결하는 제2메인 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 채널(41)은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을 재료 공급기(3)로 안내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은 재료 공급기(3)에서 추출된 재료와 물의 혼합물을 발효조 모듈(1)로 안내할 수 있다.
제1메인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모듈(5)과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 특히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메인 채널(41)에는, 제1메인 채널(41)을 개폐하는 재료 공급 밸브(310)가 설치될 수 있다. 재료 공급 밸브(310)는 재료 공급기(3)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310)는 재료 수용부(31)(32)(33)에 수용된 첨가물의 투입시 오픈되어 제1메인 채널(41)을 개방할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310)는 재료 수용부(31)(32)(33)의 클리닝 시 오픈되어 제1메인 채널(41)을 개방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의 일 단은 발효조 모듈(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 좀 더 상세하게는 후술할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출구(33B)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에는, 제2메인채널(42)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메인채널(42)에는 유체를 재료 공급기(3)에서 발효조 모듈(1)로 유동시키는 메인 체크밸브(31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메인 체크밸브(314)는 유체가 재료 공급기(3)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체크밸브(314)는 제2메인채널(42)에 대해 메인 밸브(40)와 재료 공급기(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메인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로 물을 급수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밸브(40)는 발효조(101)를 냉각하는 동안 클로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클로즈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를 주입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첨가제를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공급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숙성 및 보관시 클로즈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취출기(6)에 의한 음료 취출시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를 개방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유동될 수 있다.
메인 채널(41)(42)은,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연속된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경우, 음료 제조기는 공기 등의 가스나 물이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된 바이패스 채널(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제1메인 채널(41)과 제2메인채널(42)을 연결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대해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 밸브(31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대해 메인 밸브(40)와 재료 공급기(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에는, 바이패스 채널(43)을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이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가스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가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바이패스 채널(43)의 클리닝 시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채널(43)에는, 유체를 제1메인 채널(41)에서 제2메인채널(42)로 유동시키는 바이패스 체크밸브(32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유체는 제1메인 채널(41)에서 제2메인 채널(42)로만 유동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유동될 수 없다.
바이패스 체크밸브(324)는, 바이패스 채널(43)에 대해 바이패스 밸브(35)와 제2메인채널(4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경우,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맥주 제조의 경우, 상기 주 재료는 맥아,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고, 발효 컨테이너(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발효 컨테이너(12)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 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편의를 위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취출기(6)로 유동되어 취출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인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공급기(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31)(32)(33)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31)(32)(33)는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31A)(32A)(33A)와, 유체가 유출되는 출구(31B)(32B)(33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재료 수용부의 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재료 수용부의 재료와 혼합되어 출구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캡슐(C1)(C2)(C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캡슐(C1)(C2)(C3)이 수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31)(32)(33)는 캡슐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재료가 캡슐(C1)(C2)(C3)에 수용될 경우, 재료 공급기(3)는 캡슐(C1)(C2)(C3)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는 캡슐(C1)(C2)(C3)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캡슐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재료 공급기(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캡슐(C1)이 수용되는 제1캡슐 장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캡슐(C2)이 수용되는 제2캡슐 장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캡슐(C3)이 수용되는 제3캡슐 장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에 담긴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재료가 수압에 의해 추출되는 경우, 급수 모듈(5)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캡슐(C1)(C2)(C3)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맥주의 제조 시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재료 공급기(3)는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 중 어느 하나의 재료 수용부의 출구와 다른 하나의 재료 수용부의 입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채널(311)(3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최초 재료 수용부(31)와, 최종 재료 수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중간 재료 수용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출구(33B)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유체의 유동에 대해 제1재료 수용부(31)와 상기 제2재료 수용부(3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간 재료 수용부(32)는 입구(32A)와 출구(32B) 각각에 서로 다른 연결 채널(311)(312)이 연결될 수 있다.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출구(31B)는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입구(32A)와 제1연결 채널(311)로 연결될 수 있고,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출구(32B)는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입구(33A)와 제2연결채널(312)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메인채널(41)를 통해 최초 재료 수용부(31)의 입구(31A)로 유입된 물은, 최초 재료 수용부(31)에 수용된 제1첨가제와 함께 출구(31B)를 통해 제1연결채널(311)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연결채널(311)를 통해 중간 재료 수용부(32)의 입구(32A)로 유입된 유체(물과 제1첨가제의 혼합물)는, 중간 재료 수용부(32)에 수용된 제2첨가제와 함께 출구(32B)를 통해 제2연결채널(31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연결채널(312)를 통해 최종 재료 수용부(33)의 입구(33A)로 유입된 유체(물, 제1첨가제 및 제2첨가제의 혼합물)는, 최종 재료 수용부(33)에 수용된 제3첨가제와 함께 출구(33B)를 통해 제2메인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을 통해 유출된 유체(물, 제1첨가제, 제2첨가제 및 제3첨가제의 혼합물)는 발효조 모듈(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로 안내되어,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 펌프(52)와, 급수 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52) 및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히터(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51)와 급수 펌프(52)는 수조 출수채널(55A)로 연결될 수 있고, 수조(51)에 담긴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 펌프(52)로 흡입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와 제1메인 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채널(55B)로 연결될 수 있고, 급수 펌프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54)가 설치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54)는 스텝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조 출수채널(55A)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미스터(54A)가 설치될 수 있다. 써미스터(54A)는 유량조절밸브(54)에 내장될 수 있다.
급수 채널(55B)에는 급수펌프(52)로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급수 체크밸브(59)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 히터(53)는 급수 채널(55B)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히터(53)는 몰드 히터일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급수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이 통과하는 히터 케이스와, 히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히터 케이스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발열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히터(53)에는 온도가 높을 경우 회로가 차단되어 급수히터(53)로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써멀 퓨즈(58, Thermal fuse)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안전 밸브(53A, safety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밸브(53A)는 급수 히터(53)의 히터 케이스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안전 밸브(53A)는 히터 케이스의 최대 내압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안전 밸브(53A)는 히터 케이스의 최대 내압을 3.0bar로 제한할 수 있다.
급수 모듈(5)은 급수히터(53)를 통과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급수 온도센서(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온도센서(57)는 급수 히터(53)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급수 온도센서(57)는 급수 채널(55B) 중 물의 유동방향을 따라 급수 히터(53)의 이후에 위치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급수 온도센서(57)가 제1메인 채널(41)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펌프(52)로 흡입되고,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를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되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 모듈(1)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음료 취출기(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고, 발효조 모듈(1)에서 취출된 음료는 제2메인 채널(42)의 일부를 통과한 후 음료 취출기(6)로 안내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음료 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음료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취출기(6)는 음료가 취출되는 디스펜서(62)와, 디스펜서(62)와 제2메인채널(42)을 연결하는 음료 취출채널(61)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의 일 단(61A)은, 제2메인 채널(42)에 대해 메인 체크밸브(314)와 메인 밸브(4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디스펜서(6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을 개폐하는 음료 취출밸브(64)가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음료가 취출될 때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잔수 제거 시에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음료 취출기(6)의 클리닝 시에 오픈되어 음료 취출채널(61)을 개방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에는 거품차단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 취출채널(61)로 유동된 음료의 거품은 거품차단 패스를 통과하면서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거품차단부에는 거품이 걸러지는 메쉬(Mesh)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음료의 취출 시 음료 취출밸브(64)는 오픈될 수 있고, 음료가 취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음료 취출밸브(64)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가스배출기(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기(7)는 발효조 모듈(1)에 연결되어, 음료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는 발효조 모듈(1)에 연결되고,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가스 배출기(7)는 발효조 모듈(1)에 연결된 가스 배출채널(71)과, 가스 배출채널(71)에 설치된 가스 압력센서(72)와, 가스 배출채널(71)에 가스 배출방향으로 가스 압력센서(72) 이후에 연결된 가스 배출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71)는 발효조 모듈(1) 특히, 리드(110)에 연결될 수 있다. 리드(110)에는 가스 배출채널(71)이 연결되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가스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배출채널(71) 및 가스 압력센서(72)로 유동될 수 있다. 가스 압력센서(72)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배출채널(71)로 유출된 가스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가스 주입기(8)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로 에어가 주입될 때 온되어 오픈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컨테이너(12)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상부에서 가스 배출채널(71) 및 가스 배출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스 배출밸브(73)는 발효공정 도중의 발효도 감지를 위해 온되어 오픈된 후 다시 오프되어 클로즈될 수 있다.
가스 배출기(7)는 가스 배출채널(71)에 연결된 안전 밸브(75, safety valv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밸브(75)는 가스 배출채널(71) 중 가스 배출 방향으로 가스 압력센서(72) 이후에 연결될 수 있다. 안전 밸브(75)는 발효 컨테이너(12) 및 가스 배출채널(71)의 최대 내압을 제한할 수 있다. 일례로, 안전 밸브(75)는 발효 컨테이너(12) 및 가스 배출채널(71)의 최대 내압을 3.0bar로 제한할 수 있다.
한편, 가스 배출기(7)는 압력 해제 밸브(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가스 배출채널(71)에 연결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와 가스 배출 밸브(73)는 택일적으로 오픈/클로즈 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71)은 분지되어 가스 배출 밸브(73)와 압력 해제 밸브(76)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에는 소음 저감장치(77)가 장착될 수 있으며, 소음 저감장치(77)는 오리피스 구조나 머플러 구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음 저감장치(77)에 의해, 압력 해제 밸브(76)는 오픈되더라도 가스 배출 밸브(73)와 비교하여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이 서서히 낮아질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되어 가스 발생으로 발효 컨테이너(12)의 내압이 상승한 상태에서 압력을 해제시키기 위해 오픈될 수 있다. 소음저감장치(77)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압력 해제 밸브(76)는 음료 재료의 발효가 진행되는 도중에 오픈/클로즈 제어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 등의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주입기(8)는 급수 모듈(5)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 주입기(8)는 가스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스 주입기(8)가 급수 채널(55B)에 연결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가스 주입기(8)는 급수 히터(53)를 기준으로, 후술할 서브 채널(91)의 반대편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 등의 가스는 급수 히터(53)를 통과할 수 있고, 급수 히터(53) 내부의 잔수와 함께 서브 채널(91)로 유동될 수 있다. 이로써, 급수 히터(53)내의 잔수가 제거되어 급수 히터(53)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가스 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 등의 가스는, 바이패스 채널(43)과 제2메인 채널(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로 주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교반이나 에어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가스 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 등의 가스는 재료 공급기(3)로 안내되어 캡슐 장착부(31)(32)(33)로 유동될 수 있다. 캡슐(C1)(C2)(C3) 또는 캡슐 장착부(31)(32)(33) 내의 잔수나 찌꺼기는 가스 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캡슐(C1)(C2)(C3) 및 캡슐 장착부(31)(32)(33)는 가스 주입기(8)에 의해 주입된 에어에 의해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가스 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된 가스 주입채널(81)과, 가스 주입채널(81)에 연결된 가스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펌프(82)는 가스 주입채널(81)로 공기를 펌핑할 수 있다.
가스 주입채널(81)에는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 채널(55B)로 유동된 물이 가스 주입채널(81)를 통해 가스펌프(82)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에어주입 체크밸브(83)가 설치될 수 있다.
가스 주입기(8)는 에어 필터(8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필터(82A)는 가스펌프(82)의 흡입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공기는 에어 필터(82A)를 통과하여 가스펌프(82)로 흡입될 수 있다. 이로써, 가스펌프(82)는 청결한 공기를 가스 주입채널(81)로 주입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01)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조절기(15)은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01) 내벽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01) 내벽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압력 조절기(15)는 발효조 모듈(1)에 연결된 에어 공급채널(154)와, 에어 공급채널(154)에 연결되어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채널(157)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 단(154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발효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는 발효조 모듈(1) 특히, 리드(110)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조 모듈(1)에는 에어 공급채널(154)가 연결되는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가 마련될 수 있고,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는 발효조(101)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가스 주입기(8)에서 제1메인채널(41)로 주입된 공기는 에어 공급채널(154)를 통해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01)의 내벽 사이로 안내될 수 있다.
가스 주입기(8)는 에어 공급채널(154)과 함께,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01)의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효조(101) 내부로 공급된 에어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01)의 내벽 사이에서 발효 컨테이너(12)을 가압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에어에 의해 눌린 발효 컨테이너(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와 음료 취출밸브(64)가 개방되면,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과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서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가스펌프(82)는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01)의 사이에 소정 압력이 형성되게 에어를 공급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01)의 사이에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 취출이 용이한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펌프(82)는 음료 취출이 진행되는 동안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음료 취출이 끝나면, 다음 번 음료 취출을 위해 구동되었다가 정지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제조기는 음료 제조가 완성되면, 발효 컨테이너(12)를 발효조 모듈(1)의 외부로 꺼내지 않고, 발효조 모듈(1)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를 음료취출 채널모듈(6)로 취출할 수 있다.
압력 조절기(15)가 가스 주입기(8)와 별도의 에어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에어 공급채널(154)는 제1메인채널(41)에 연결되지 않고 상기 에어 공급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가스펌프(82)가 발효 컨테이너(12)에 에어를 주입하는 것과,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01)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제품의 컴팩트화 및 비용절감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배기 채널(157)은,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부와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와 발효조(101)의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에어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배기채널(157)는 발효조 모듈(1)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배기 채널(157)은 에어 공급채널(154) 중 발효조(101)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은 제1메인채널(41)와 연결되는 연결부(154A)부터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7A)까지의 제1채널과,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4A)부터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까지의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채널은 가스펌프(82)에서 펌핑된 에어를 제2채널로 안내하는 급기채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채널은 급기채널을 통과한 에어를 발효조(101)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로 급기하거나, 발효조(101)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에서 유출된 에어를 연결채널(157)로 안내하는 급기 및 배기 겸용 채널일 수 있다.
배기 채널(157)에는 배기 채널(157)을 개폐하는 배기 밸브(156)가 연결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의 도중에 발효 컨테이너(12)이 팽창될 때,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01) 사이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급수 채널모듈(5)에 의한 급수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에어주입 채널모듈(8)에 의한 가스 주입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 취출이 완료되면,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01) 사이의 에어를 빼내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 취출이 완료된 후, 발효 컨테이너(12)을 발효조(101)의 외부로 꺼낼 수 있는데, 발효조(101) 내부가 고압을 유지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배기밸브(156)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음료 취출 완료시, 오픈 제어될 수 있다.
압력 조절기(15)는 가스펌프(82)에서 펌핑되어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01)의 사이로 공급되는 에어를 단속하는 에어 공급 밸브(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 중 제1메인채널(41)과의 연결부(154A)와 배기 채널(157)와의 연결부(157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서브 채널(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과 음료 취출기(6)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모듈(5)과 음료 취출기(6)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브 채널(91)의 일 단(91A)은 급수 채널(55B)에 연결되고 타 단(91B)은 음료 취출채널(61)에 연결될 수 있다.
서브 채널(91)은 급수 채널(55B)에 대해 급수 펌프(52)와 급수 히터(53)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은 음료 취출채널(61)에 대해, 제2메인 채널(42)과의 연결부(61A)와 음료 취출밸브(64)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에 의해 급수된 물이나 가스펌프(82)에 의해 펌핑된 에어는 서브 채널(91)을 통해 음료 취출채널(61)로 안내될 수 있고, 디스펜서(62)로 취출되며 음료 취출기(6) 내부에 남아있는 잔수나 음료를 제거할 수 있다.
서브 채널(91)에는 서브 채널(91)을 개폐하는 서브 밸브(92)가 설치될 수 있다.
서브 밸브(92)는 음료 취출 시 또는 내부 클리닝 시에 오픈되어 서브 채널(91)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서브 채널(91)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의 음료가 급수 모듈(5)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서브 체크밸브(93)가 설치될 수 있다. 서브 체크밸브(93)는 서브 채널(91)에 대해 서브 밸브(92)와 음료 취출채널(6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발효 컨테이너(1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발효 컨테이너(12)은 컨테이너(130)와, 탑 바디(140) 및 스트로우(15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130)는 탑 바디(140)에 연결될 수 있다. 컨테이너(130)는 상부가 탑 바디(140)에 연결될 수 있다. 컨테이너(130)의 내부에는 음료 제조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공간(S2)는 음료를 제조하기 전, 음료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일 수 있고, 음료 제조기에 의한 음료 제조시, 음료 재료가 발효 진행되는 공간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경우, 음료 제조공간(S2)에는 맥즙이 수용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는 맥즙이 음료 제조공간(S2)에 주입된 상태에서, 발효조(101)의 공간(S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컨테이너(13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개구부(108)를 통해 발효조(101)의 공간(S1)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압력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테이너(130)는 페트(pet)의 재질을 갖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컨테이너(130)은 발효조(101)와 리드(110)에 의해 밀폐된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컨테이너(130)는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컨테이너(130)는 내부에 담겨있던 음료가 취출되고 발효조(101)의 내면과 컨테이너(130)의 외면 사이로 에어 등의 가스가 공급되면, 발효조(101) 내부 압력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컨테이너(130)는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한 플렉서블 컨테이너일 수 있다. 컨테이너(130)는 탑 바디(140)에 접합된 상태에서 팽창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컨테이너(130)는 한 쌍의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공간(S2)은 한 쌍의 필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필름은 가장자리가 서로 접합될 수 있고, 컨테이너(130)는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필름 중 어느 하나는 컨테이너 바디(140)에 접합된 접합 필름일 수 있고, 한 쌍의 필름 중 다른 하나는 컨테이너 바디(140)에 접합되지 않는 비접합 필름일 수 있다.
컨테이너(130)는 발효 컨테이너(12)가 발효조(101)의 공간(S1)에서 음료를 제조하는 동안, 팽창될 수 있다.
컨테이너(130)는 한 쌍의 필름 중 더 상측에 위치하는 어퍼 필름이 컨테이너 바디(140)와 접합되고, 상대적으로 더 하측에 위치하는 로어 필름이 컨테이너 바디(140)와 비접합될 수 있다.
탑 바디(140)는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111)에 안착될 수 있다. 탑 바디(140)는 발효 컨테이너(12) 중 발효조(101)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안착바디일 수 있다.
탑 바디(140)의 외둘레에는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111)에 올려져 지지되는 탑 바디 안착부(148)가 형성될 수 있다.
탑 바디(140)에는 스트로우 연결부(149)가 형성될 수 있다. 탑 바디(140)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P1)(P2)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탑 바디(140)에 형성된 채널을 탑 바디 채널(P1)(P2)로 칭하여 설명하고, 탑 바디 채널(P1)(P2)는 음료 제조공간(S2)와 연통되는 탑 바디 메인 채널(P1)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등의 가스나 물이나 첨가재 등의 음료 재료는 탑 바디 메인 채널(P1)을 통해 발효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탑 바디 메인 채널(P1)은 음료 제조를 위한 음료 재료가 발효 공간(S2)으로 공급되기 위해 통과하는 재료 투입 유로일 수 있다.
한편, 발효공간(S2)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탑 바디 메인 채널(P1)을 통해 발효 컨테이너(12)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탑 바디 메인 채널(P1)은 발효 공간(S2)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가 외부로 취출되기 위해 통과하는 음료 취출 유로일 수 있다.
탑 바디 채널(P1)(P2)에는 음료 제조공간(S2)의 가스가 발효 컨테이너(12)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탑 바디 서브 채널(P2)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공간(S2) 내에서 발효되는 음료 재료는 탄산 가스 등의 가스를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가스는 탑 바디 서브 채널(P2)을 통해 발효 컨테이너(1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탑 바디(14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40)는 탑 바디 메인 채널(P1) 및 탑 바디 서브 채널(P2)이 형성된 채널 바디와, 채널 바디와 연결되고 컨테이너(130)가 접합된 접합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로우(150)는 스트로우 연결부(149)에 연결되어 음료 제조공간(S2)의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스트로우(150)는 탑 바디(140)과 연결되고 컨테이너(130) 내부에 위치하는 이너 튜브일 수 있다.
스트로우(150)는 컨테이너(130)의 내측 하부까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스트로우(150)의 내부에는 상단이 탑 바디 메인 채널(P1)과 연결되고 하단이 음료 제조공간(S2)와 연통되는 스트로우 채널(P3)이 형성될 수 있다.
스트로우(150)는 탑 바디(140)의 하부에 착탈될 수 있다.
스트로우(150)는 상부(151)가 스트로우 연결부(149)에 외삽될 수 있고, 스트로우 연결부(149)의 일부를 둘러싸면서 스트로워 연결부(149)에 끼워질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되는 제1비교예의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되는 제2비교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스트로우(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제조공간(S2)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음료 제조 도중에 수평 방향으로 굽지 않고, 최대한 직선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비교예 1은 연성 실리콘 재질로 스트로우(150')를 형성하고, 스트로우(150')의 재질 이외의 기타 구성이 본 실시예와 동일한 예이다.
비교예 1과 같이, 스트로우(150')가 연성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스트로우(150')는 스트로우 채널(P3) 내의 온수나 기포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이외가 수평방향으로 굽으면서 휘기 쉽고, 스트로우(150)의 하단(15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일측 방향으로 편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트로우(150)는 70℃ 이상의 온수가 스트로우 채널(P3)를 통과하더라도 온수에 영향 받지 않고, 스트로우 채널(P3) 내 기포에 의해 들뜨지 않는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스트로우(150)는 HDPE(고밀도폴리에틸렌) 재질이거나 PERT(승온 내성의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of Raised Temperature resistance) 재질일 수 있다.
스트로우(150)는 탑 바디(140)가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111)에 안착되었을 때, 스토로우(150)의 하단(152)이 발효조(102)의 내측 바닥면(102a)과 10mm 내지 15mm 이격되는 길이(L1)를 갖을 수 있다.
스트로우(150)는 그 길이(L1)가 너무 길 경우, 스트로우(150)의 하단(152)이 컨테이너(130)의 내측 바닥면(130a)에 막힐 수 있고, 반대로 그 길이(L1)가 너무 짧을 경우, 에어 등의 가스나 물이 컨테이너(130)의 내측 하부까지 고르게 공급되지 못할 수 있으며, 스트로우(150)는 적정 길이(L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로우(150)의 길이(L1)는 304mm 내지 309mm일 수 있다. 스트로우(150)는 그 하단(152)와 발효조(102)의 내측 바닥면(102a) 사이의 이격 거리(L2)가 10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스트로우(150)는 그 하단(152)와 발효조(102)의 내측 바닥면(102a) 사이의 이격 거리(L2)가 8mm 등과 같이, 10mm 미만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스트로우(150)의 하단(152)은 컨테이너(130)의 내측 바닥면(130a)에 막힐 가능성이 높고, 스트로우(150)는 그 하단(152)와 발효조(102)의 내측 바닥면(120a) 사이의 이격 거리(L2)가 10mm 이상이 될 수 있는 길이(L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비교예 2는 스트로우(150")의 길이(L3)가 299mm 등과 같이, 304mm 미만인 경우로서, 스트로우(150")의 하단(152)와 발효조(102)의 내측 바닥면(102a) 사이의 이격 거리(L4)가 20mm인 경우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컨테이너와 비교예 2의 발효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 재료의 브릭스도(Brix도)가 도시된 도이다.
도 7의 G1은 스트로우(150)의 길이가 309mm이고, 스트로우(150)의 하단(152)와 발효조(102)의 내측 바닥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10mm일 경우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브릭스도이고, 도 7의 G2는 스트로우(150)의 길이가 304mm이고, 스트로우(150)의 하단(152)와 발효조(102)의 내측 바닥면 사이의 이격 거리가 15mm일 경우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브릭스도이다.
도 7의 G3는 비교예2의 브릭스도로서, 스트로우(150)의 길이가 299mm이고, 스트로우(150")의 하단(152)와 발효조(102)의 내측 바닥면(102a) 사이의 이격 거리(L4)가 20mm일 경우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브릭스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트로우(150)의 하단(152)와 발효조(102)의 내측 바닥면(102a) 사이의 이격 거리(L2)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mm이거나 15mm 때의 브릭스도(G1)(G2)는 비교예 2의 경우 보다 높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예 2 보다 물과 음료 재료(예를 들면, 맥즙)의 용해 성능이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는 스트로우(150")의 길이(L3)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상이한 것으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스트로우(150)는 그 하단(152)와 발효조(102)의 내측 바닥면(102a) 사이의 이격 거리(L2)가 10mm이거나 15mm인 길이일 때, 최적의 용해 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발효조 모듈 102: 발효조
110: 리드 111: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
130: 컨테이너 140: 탑 바디와
149: 스트로우 연결부 150; 스트로우
L1: 스트로우의 길이
L2: 스트로우의 하단과 발효조의 내측 바닥면 사이의 이격거리
S1: 공간 S2: 음료 제조공간

Claims (4)

  1. 스트로우 연결부가 형성되고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채널이 형성된 탑 바디와;
    상기 탑 바디에 연결되고 내부에 음료 제조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와;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 제조공간의 하부로 길게 연장되고 HDPE 재질이거나 PERT 재질인 스트로우를 포함하는 발효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의 길이는 304mm 내지 309mm인 발효 컨테이너.
  3.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 및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가 형성된 발효조와, 상기 개구부를 덮는 리드를 갖는 발효조 모듈과;
    상기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발효 컨테이너와;
    상기 발효조 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발효 컨테이너로 물이나 가스를 공급하는 메인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발효 컨테이너는
    스트로우 연결부가 형성되고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에 안착되는 탑 바디와;
    상기 탑 바디에 연결되고 내부에 음료 제조공간이 형성된 컨테이너와;
    상기 스트로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 제조공간의 하부로 연장되고 HDPE 재질이거나 PERT 재질인 스트로우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로우는 상기 탑 바디가 상기 발효 컨테이너 안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스토로우의 하단이 상기 발효조의 내측 바닥면과 10mm 내지 15mm 이격되는 길이를 갖는 발효 컨테이너를 갖는 음료 제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우의 길이는 304mm 내지 309mm인 발효 컨테이너를 갖는 음료 제조기.
KR1020180025980A 2018-03-05 2018-03-05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KR20190105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80A KR20190105435A (ko) 2018-03-05 2018-03-05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80A KR20190105435A (ko) 2018-03-05 2018-03-05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435A true KR20190105435A (ko) 2019-09-17

Family

ID=6807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980A KR20190105435A (ko) 2018-03-05 2018-03-05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54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0383A2 (en) 1998-04-01 1999-10-07 The Miracle Beer Company Limited Micro-brew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0383A2 (en) 1998-04-01 1999-10-07 The Miracle Beer Company Limited Micro-brew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595B1 (ko) 음료 제조기
KR102282446B1 (ko) 음료 제조기
KR20200062706A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183690B1 (ko) 음료 제조팩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20200074637A (ko) 음료 제조기
KR102521998B1 (ko) 음료 제조기
KR102558089B1 (ko) 음료 제조기
KR20200071542A (ko) 발효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223917B1 (ko) 음료 제조팩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KR102274525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105435A (ko)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KR102185677B1 (ko) 음료재료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658905B1 (ko) 음료 제조기
KR102282489B1 (ko) 음료 제조기
KR102463325B1 (ko) 음료 제조기
KR102481834B1 (ko) 음료 제조기
US11999927B2 (en) Beverage maker
KR102482807B1 (ko) 음료 제조기
KR102282483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KR20220006882A (ko) 음료 제조기
KR102274550B1 (ko) 음료 제조기
KR102434281B1 (ko) 음료 제조기
KR102630846B1 (ko)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526537B1 (ko) 음료 제조기
KR102314618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