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637A -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637A
KR20200074637A KR1020180163253A KR20180163253A KR20200074637A KR 20200074637 A KR20200074637 A KR 20200074637A KR 1020180163253 A KR1020180163253 A KR 1020180163253A KR 20180163253 A KR20180163253 A KR 20180163253A KR 20200074637 A KR20200074637 A KR 20200074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lead
channel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표
김영준
이경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3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4637A/ko
Priority to US16/710,265 priority patent/US11560538B2/en
Publication of KR2020007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03Fermentation of beerwort
    • C12C11/006Fermentation tank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66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발효조에 힌지 연결되고 개구부를 상측에서 개폐하는 발효 리드; 발효 리드의 힌지축을 형성하고 발효 리드와 함께 회전하는 힌지 샤프트; 힌지 샤프트에 연결된 회전 기어; 및 발효조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기어와 치합된 기어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제조기{BAVERAGE MAKER}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안전하고 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발효 리드의 급격한 개폐 동작이 방지된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상기 발효조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를 상측에서 개폐하는 발효 리드; 상기 발효 리드의 힌지축을 형성하고 상기 발효 리드와 함께 회전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에 연결된 회전 기어; 및 상기 발효조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기어와 치합된 기어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 리드는, 리드 바디; 및 상기 리드 바디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 샤프트가 연결된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조는, 상기 리드 바디가 안착되고 상기 기어 댐퍼가 설치된 리드 안착바디; 및 상기 리드 안착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힌지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샤프트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 안착바디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기어 댐퍼가 장착되는 댐퍼 마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샤프트는, 상기 힌지부의 내측에 위치한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양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샤프트 지지부의 내측에 위치한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고 상기 샤프트 지지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 기어가 연결된 기어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지지부의 내둘레와 상기 연장부의 외둘레 사이에 구비된 부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조 및 발효 리드의 외측에 배치되고, 채널을 통해 상기 발효조 내의 발효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조 및 발효 리드의 외측에 배치되고, 채널을 통해 상기 발효조 내의 발효 공간으로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 공급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조 및 발효 리드의 외측에 배치되고, 채널을 통해 상기 발효조 내의 발효 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조 및 발효 리드의 외측에 배치되고, 채널을 통해 상기 발효조 내의 발효 공간에서 제조된 음료를 취출하는 음료 취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조 및 발효 리드의 외측에 배치되고, 채널을 통해 상기 발효조 내의 발효 공간의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채널이 인입되는 샤프트 중공; 및 상기 샤프트 중공과 연통되고 상기 리드 바디를 향해 관통되며 상기 채널이 통과하는 채널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 바디에는, 상기 채널 통과홀과 연통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효 리드는, 상기 리드 바디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발효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개구를 통과한 상기 채널이 연결되는 채널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어 댐퍼에 치합된 연결 기어에 의해, 발효 리드 및 힌지 샤프트의 회전력이 완화될 수 있다. 따라서, 발효 리드의 급격한 개폐동작이 방지될 수 있고 충격 및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발효 리드의 회전 방향에 대한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부싱은 샤프트 지지부와 힌지 샤프트 간의 조립 공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로써, 힌지 샤프트가 샤프트 지지부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힌지 샤프트의 반경 방향에 대한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에 형성된 샤프트 중공 및 채널 통과홀을 통해 채널이 발효 리드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또한, 개폐 동작하는 발효 리드가 채널과 간섭되지 않아 채널이 꼬임 또는 비틀림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리드 바디에는 채널 통과홀과 연통된 개구가 형성되어 채널이 리드 바디 내로 용이하게 인입되어 채널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채널을 통해 발효 공간으로 물, 공기, 재료를 주입하거나, 발효 공간에서 제조된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효 컨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발효 유닛의 발효 리드가 오픈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유닛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발효 유닛에서 발효 리드가 오픈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유닛의 상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기어 댐퍼에 치합된 연결 기어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샤프트 및 그 주변 구성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2는 발효 리드에서 탑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발효 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로써 어퍼 커버 수용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발효 리드의 하부를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리드의 하부를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가 맥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유닛(1)에서는 음료의 발효가 진행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모듈(5)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모듈(5)는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된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급수 모듈(5)과 발효 유닛(1)을 연결하는 메인 채널(4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 유닛(1)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를 외부로 취출하는 음료 취출기(6)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발효 유닛(1)에서 취출된 음료가 제2메인 채널(42)의 일부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안내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가스배출기(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스배출기(7)는 발효 유닛(1)에 연결되어, 음료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기(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모듈(5)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는 에어 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발효조(110)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에어 조절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발효 유닛(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발효 유닛(1)은 개구부(170)(도 5 참조)가 형성된 발효조(110)과, 상기 개구부(170)를 개폐하는 발효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0)의 내부에는 발효 컨테이너(12)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발효조(110)의 내부에는 발효 컨테이너(12)가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음료 재료 및 완성된 음료가 발효조(110)의 내벽에 뭍지 않도록 별도로 구비되는 용기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0)의 내부에 안착되어 발효조(110) 내부에서 음료를 발효시킬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후, 발효조(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내부에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가 수용된 팩일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발효조(110)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압력에 따른 수축과 팽창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발효 컨테이너(12)가 페트(pet)의 재질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는 음료 재료가 수용되고 음료가 제조되는 발효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조(110)의 내부 공간(S1)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재료가 수용된 상태에서 개구부(170)(도 5 참조)를 통해 발효조(110)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 리드(107)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효조(110) 내부로 삽입되어 발효조(110)에 수용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 컨테이너(12)가 발효조(110) 내부로 삽입된 후 발효조(110)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0)와 발효 리드(107)에 의해 밀폐된 내부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재료의 발효를 도울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음료의 제조가 진행되는 동안 그 내부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내부에 담겨있던 음료가 취출되고 발효조(110)의 내면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로 에어가 공급되면, 발효조(110) 내부의 에어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110) 내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서, 발효조(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170)를 덮을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메인 채널, 좀 더 상세하게는 제2메인 채널(42)와 연결되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채널 연결부(115)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발효 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부에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통된 튜브(115A)가 상하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튜브(115A)의 하단은 발효 컨테이너(12)의 바닥에 인접할 수 있고, 음료의 취출 시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튜브(115A)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발효조(110)에는 온도 조절기(13)가 구비될 수 있다. 온도 조절기(13)는 발효조(110)의 내부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기(13)는 발효조(110)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음료 발효를 위한 최적 온도로 발효조(1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기(13)는 냉각 사이클 장치와 히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 조절기(13)는 열전소자(TEM)를 포함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례로, 온도조절기(13)의 냉각사이클 장치는 발효조(110)를 냉각시켜 발효조(1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냉각 사이클 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발효조(110)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발효조(110)의 외면에 감기는 증발 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메인 채널(41)(42) 및 바이패스 채널(43)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채널(41)(42)은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기(3)를 연결하는 제1메인 채널(41)과,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유닛(1)을 연결하는 제2메인 채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메인 채널(41)은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을 재료 공급기(3)로 안내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은 재료 공급기(3)에서 추출된 재료와 물의 혼합물을 발효 유닛(1)로 안내할 수 있다.
제1메인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모듈(5)과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메인 채널(41)에는, 제1메인 채널(41)을 개폐하는 재료 공급 밸브(310)가 설치될 수 있다. 재료 공급 밸브(310)는 재료 공급기(3)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재료 공급밸브(310)는 재료 수용부(31)(32)(33)에 수용된 첨가물의 투입시 오픈되어 제1메인 채널(41)을 개방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의 일 단은 발효 유닛(1)의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재료 공급기(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메인채널(42)에는, 제2메인채널(42)을 개폐하는 메인 밸브(40)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발효 컨테이너(12)로 물을 급수하거나 에어를 주입하거나 첨가제를 공급할 때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개방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발효조(110)를 냉각하거나,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발효가 진행되거나,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 숙성 및 보관 시에 클로즈되어 제2메인 채널(42)를 클로즈하고 발효 컨테이너(12)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메인 밸브(40)는 음료 취출기(6)에 의한 음료 취출시 오픈되어 제2메인 채널(4)를 개방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메인 밸브(40)를 통과하여 음료 취출기(6)로 유동될 수 있다.
메인 채널(41)(42)은,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연속된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가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할 경우, 음료 제조기는, 물이나 공기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게 구성된 바이패스 채널(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은 재료 수용부(31)(32)(33)를 바이패스하여 제1메인 채널(41)과 제2메인채널(42)을 연결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이패스 채널(43)의 일 단(43A)은 제1메인 채널(41) 중에서 급수 모듈(5)과 재료 공급 밸브(310)의 사이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43B)은 제2메인 채널(42) 중에서 메인 밸브(40)와 재료 공급기(3) 사이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43)에는, 바이패스 채널(43)을 개폐하는 바이패스 밸브(35)가 설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35)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 또는 에어 주입기(8)에서 주입된 에어가 발효 컨테이너(12)로 공급되는 경우에 오픈되어 바이패스 채널(43)을 개방할 수 있다.
이하, 재료 공급기(3)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음료 제조기를 이용하여 맥주를 제조하는 경우,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와,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에 분산되어 수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를 위한 재료 중 일부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나머지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나머지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 수용되어 있던 일부 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음료 제조에 필수적인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에는 주재료에 첨가되는 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어 있던 첨가제는 급수 모듈(5)에서 급수된 물과 혼합되어 발효 컨테이너(12)으로 공급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되어 있던 주재료와 혼합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 수용된 주 재료는 타 재료 보다 용량이 많은 재료일 수 있다. 예컨대 맥주 제조의 경우, 상기 주 재료는 맥아, 이스트, 홉, 향 첨가제 중 맥아일 수 있다. 그리고,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된 첨가제는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 중 맥아를 제외한 타 재료일 수 있고,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를 포함하지 않고, 발효 컨테이너(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효 컨테이너(12)에는 주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발효 컨테이너(12)에 첨가제를 직접 투입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할 경우, 보다 간편하게 음료를 제조할 수 있고, 이하, 편의를 위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재료 공급기(3)와 발효 컨테이너(12)을 모두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메인 채널(42)에서 음료취출기(6)로 유동되어 취출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음료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수용될 수 있고,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이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음료 제조기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인 경우,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이스트, 홉, 향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공급기(3)에 형성된 재료 수용부(31)(32)(33)에 직접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 수용부(31)(32)(33)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31)(32)(33)는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31A)(32A)(33A)와, 유체가 유출되는 출구(31B)(32B)(33B)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재료 수용부의 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재료 수용부의 재료와 혼합되어 출구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재료는 재료 컨테이너(C1)(C2)(C3)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 수용부(31)(32)(33)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가 수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31)(32)(33)는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재료 컨테이너(C1)(C2)(C3)는 캡슐(capsule)이나 포드(po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재료가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수용될 경우, 재료 공급기(3)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의 안착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재료 공급기(3)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이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는 재료 컨테이너 킷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재료 공급기(3)에는 제1첨가제와, 제2첨가제와, 제3첨가제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첨가제는 이스트일 수 있으며, 제2첨가제는 홉일 수 있으며, 제3첨가제는 향 첨가제일 수 있다. 재료 공급기(3)는 제1첨가제가 수용된 제1재료 컨테이너(C1)이 수용되는 제1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와, 제2첨가제가 수용된 제2재료 컨테이너(C2)이 수용되는 제2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2)와, 제3첨가제가 수용된 제3재료 컨테이너(C3)이 수용되는 제3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담긴 재료는, 급수 모듈(5)에서 공급된 물의 수압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재료가 수압에 의해 추출되는 경우, 급수 모듈(5)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급수된 물은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을 통과하면서 재료와 혼합될 수 있고, 재료 수용부 또는 재료 컨테이너(C1)(C2)(C3)에 수용되어 있던 재료는 물과 함께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는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첨가제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예컨대, 맥주의 제조 시 재료 공급기(3)에 수용되는 다수의 첨가제는 이스트와 홉과 향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수용될 수 있다.
재료 공급기(3)에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31)(32)(33)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재료 수용부가 직렬로 연결될 경우, 제1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의 입구(31A)에는 제1메인 채널(41)이 연결되고, 제1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의 출구(31B)는 제2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2)의 입구(32A)와 연통되고, 제2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2)의 출구(32B)는 제3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3)의 입구(33A)와 연통되고, 제3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3)의 출구(33B)는 제2메인 채널(42)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 급수 모듈(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급수 모듈(5)은 수조(51)와, 수조(51)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 펌프(52)와, 급수 펌프(52)에서 펌핑된 물을 가열하는 급수 히터(5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급수 펌프(52)는 기어 펌프(gear pum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펌프는 회전 펌프의 일종으로, 동일한 2개의 회전자의 맞물림에 의해 송액하는 펌프일 수 있다. 기어 펌프의 내부 구조는 주지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조(51)와 급수 펌프(52)는 수조 출수채널(55A)로 연결될 수 있고, 수조(51)에 담긴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 펌프(52)로 흡입될 수 있다.
급수 펌프(52)와 제1메인 채널(41)의 일 단(41A)은 급수 채널(55B)로 연결될 수 있고,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을 통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수조 출수채널(55A) 또는 급수 채널(55B)에는 수조(51)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5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조(51)에는 수조(51)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 히터(53)는 급수 채널(55B)에 설치될 수 있다.
급수펌프(52)의 구동시, 수조(51)의 물은 수조 출수채널(55A)을 통해 급수펌프(52)로 흡입되고, 급수 펌프(52)에서 토출된 물은 급수 채널(55B)를 통해 유동되는 과정에서 급수히터(53)에서 가열되어 제1메인 채널(41)로 안내될 수 있다.
이하, 음료 취출기(6)에 대해 설명한다.
음료취출기(6)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취출기(6)는 발효 유닛(1)과 연통된 음료 취출채널(61)과, 음료 취출채널(61)에 설치된 음료 취출밸브(64)와, 음료 취출채널(61)에 연결된 디스펜서(62)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는 제2메인 채널(42)에 연결되어 발효 유닛(1)과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음료 취출채널(61)은 발효 컨테이너(12)의 발효 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의 일 단(60)은 제2메인 채널(42)에 재료 공급기(3)와 메인 밸브(40)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디스펜서(62)에 연결될 수 있다.
음료 취출채널(61)에는, 음료 취출채널(61)을 개폐하는 음료 취출밸브(64)가 설치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의 취출 시 음료 취출밸브(64)는 오픈될 수 있고, 음료가 취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음료 취출밸브(64)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음료 취출밸브(64)를 통과한 음료는 디스펜서(62)로 안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펜서(62)를 조작하여 음료의 취출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개방하면 디스펜서(62)에서 음료가 취출될 수 있다. 디스펜서(62)의 개폐 동작은 음료 취출밸브(64)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개방하면 음료 취출밸브(64)가 오픈될 수 있고 사용자가 디스펜서(62)를 폐쇄하면 음료 취출밸브(64)가 클로즈될 수 있다.
이하, 가스 배출기(7)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가스 배출기(7)는 발효 유닛(1)에 연결되고, 발효 컨테이너(12)의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가스 배출기(7)는 발효 유닛(1)에 연결된 가스 배출채널(71)과, 가스 배출채널(71)에 연결된 가스 배출밸브(7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71)는 발효 유닛(1) 특히, 발효 리드(107)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에는 가스 배출채널(71)이 연결되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는 발효 컨테이너(12)의 발효 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가스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해 가스 배출채널(71)로 유동될 수 있고, 오픈된 가스 배출밸브(73)로 배출될 수 있다.
음료 제조기는 에어 주입기(8)에 의해 발효 컨테이너(12)로 에어를 주입하여 맥아와 물을 고르게 혼합하게 할 수 있고, 이때, 액상 맥아에서 발생된 기포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상부에서 가스 배출채널(71) 및 가스 배출밸브(7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음료의 발효 단계시 가스 배출밸브(73)는 클로즈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에어 주입기(8)에 대해 설명한다.
에어 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되어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바이패스 채널(43)및 제2메인 채널(4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12)로 주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 내에서 교반이나 에어레이션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에어주입기(8)에서 제1메인 채널(41)로 주입된 에어는,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를 통과하며 잔수나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로써 재료 컨테이너 장착부(31)(32)(33)는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에어주입기(8)는, 급수 채널(55B) 또는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된 에어 주입채널(81)과, 에어 주입채널(81)에 연결된 에어 펌프(82)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펌프(82)는 에어 주입채널(81)로 공기를 펌핑할 수 있다.
이하, 에어 조절기(1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에어 조절기(15)는 발효조(110)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은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0) 내벽 사이로 에어를 공급하거나 반대로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0) 내벽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빼낼 수 있다.
에어조절기(15)는 발효 유닛(1)에 연결된 에어 공급채널(154)와, 에어 공급채널(154)에 연결되어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 채널(157)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 단(154A)은 제1메인 채널(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발효 유닛(1)에 연결될 수 있다.
발효 유닛(1)에는 에어 공급채널(154)가 연결되는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가 마련될 수 있고,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는 발효조(110)의 내벽과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 사이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는 발효조(110) 또는 발효 리드(107)에 형성될 수 있다.
에어 주입기(8)에서 제1메인채널(41)로 주입된 공기는 에어 공급채널(154)를 통해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0)의 내벽 사이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효조(110) 내부로 공급된 에어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외면과 발효조(110)의 내벽 사이에서 발효 컨테이너(12)을 가압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음료는 에어에 의해 눌린 발효 컨테이너(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메인 밸브(40)와 음료 취출밸브(64)가 개방되면, 메인 채널 연결부(115)를 통과해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에서 제2메인 채널(42)로 유동된 음료는 음료취출기(6)를 통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한편, 배기 채널(157)은, 에어 공급채널(154)의 일부와 함께 발효 컨테이너(12)와 발효조(110)의 사이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하는 에어 배기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에어 공급채널(154)은 제1메인채널(41)와 연결되는 연결부(154A)부터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7A)까지의 제1채널과, 배기채널(157)가 연결되는 연결부(154A)부터 에어 공급채널 연결부(117)까지의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채널은 에어 펌프(82)에서 펌핑된 에어를 제2채널로 안내하는 급기채널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채널은 급기채널을 통과한 에어를 발효조(110)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로 급기하거나, 발효조(110)와 발효 컨테이너(12) 사이에서 유출된 에어를 배기 채널(157)로 안내하는 급기 및 배기 겸용 채널일 수 있다.
배기 채널(157)에는 배기 채널(157)을 개폐하는 배기 밸브(156)가 연결될 수 있다.
배기밸브(156)는 음료 제조의 도중에 발효 컨테이너(12)이 팽창될 때,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0) 사이의 에어가 외부로 배기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에어 조절기(15)는 에어 펌프(82)에서 펌핑되어 발효 컨테이너(12)과 발효조(110)의 사이로 공급되는 에어를 단속하는 에어 공급 밸브(1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에어 공급 밸브(159)는 에어 공급채널(154) 중 제1메인채널(41)과의 연결부(154A)와 배기 채널(157)와의 연결부(157A)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컨테이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효 컨테이너의 평면도이다.
발효 컨테이너(12)은, 발효조(110)의 상측에서 안착되는 컨테이너 바디(180)와, 컨테이너 바디(180)에 결합되고 음료 제조공간(S2)이 형성되며 발효조 플렉시블 컨테이터(194)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는 컨테이너 바디(180)의 하부에 연결되어 플렉시블 컨테이너(194)의 내측 하부까지 연장되는 튜브(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80)는 일체로 형성될수도 있고, 복수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컨테이너 바디(180)는 메인 바디(181)와, 메인 바디(181)와 결합되고 플렉시블 컨테이너(194)가 접합되는 접합 바디(191)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80), 좀 더 상세히 메인 바디(181)에는 아우터 중공부(184)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중공부(184)는 컨테이너 바디(18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바디(180)에는 발효조(110)에 안착되는 안착부(183)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안착부(183)는 메인 바디(181)의 둘레부(182)에 형성될 수 있다.
둘레부(182)는 컨테이너 바디(180)의 반경 방향에 대해 아우터 중공부(184)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80)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부(185)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85)는 아우터 중공부(184)의 내측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85)는 아우터 중공부(184)의 내부와 연통되는 함몰 공간(S5)를 형성할 수 있다. 함몰 공간(S5)의 내경은 아우터 중공부(184)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함몰 공간(S5)는 함몰부(185)의 내둘레와 이너 중공부(187)의 외둘레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함몰 공간(S5)는 함몰부(185)의 내둘레와 후술할 제1연결부(188)의 외둘레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180)에는 음료 제조공간(S2)과 연통된 이너 중공부(18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중공부(187)는 메인 바디(181)의 함몰부(185)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중공부(187)의 직경은 함몰부(185)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너 중공부(187)는 튜브(195)와 함께 이너 채널(190)를 형성할 수 있다. 물, 에어, 혼합물 등의 유체는 이너 채널(190)를 통해 플렉시블 컨테이너(194)의 음료 제조공간(S2)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조가 완료된 음료의 취출시, 음료 제조공간(S2)에 수용되어 있던 음료는 이너 채널(190)를 통해 플렉시블 컨테이너(194)에서 취출될 수 있다.
이너 중공부(187)는 함몰부(185)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제1연결부(188)와 하측으로 돌출된 제2연결부(18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188)의 외둘레면은 함몰부(185)의 내둘레면과 이격될 수 있다. 제1연결부(188)는 발효 리드(107) 발효 리드에 형성된 메인채널 연결부(115)와 연통될 수 있다.
제2연결부(189)에는 튜브(195)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튜브(195)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94)의 저면에 인접하도록 하방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음료 취출시 플렉시블 컨테이너(194)의 하부에 담긴 음료가 튜브(195)를 통해 쉽게 취출될 수 있다.
튜브(195)는 플렉시블 튜브일 수 있고, 플렉시블 컨테이너(194)와 함께 접힐 수 있어 발효 컨테이너(12)을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컨테이너 바디(180)에는 음료 제조공간(S2)의 가스가 취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취출공(186)이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취출공(186)은 플렉시블 컨테이너(194) 내부의 음료 제조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가스 취출공(186)은 메인 바디(181)의 함몰부(185)의 바닥면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취출공(186)은 컨테이너 바디(180)의 직경 방향에 대해 이너 중공부(187)보다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음료의 발효 단계시, 음료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로 인해 플렉시블 컨테이너(194)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수 있고, 압력이 과다할 경우 플렉시블 컨테이너(194)가 터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상기 발효 가스는 가스 취출공(186)을 통해 플렉시블 컨테이너(194) 외부로 취출될 수 있고, 이로써 플렉시블 컨테이너 (194)의 내압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접합 바디(191)는 메인 바디(181)와 분리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튜브(195)를 교체하거나, 접합 바디(191) 및 플렉시블 컨테이너(194)를 교체하여 메인 바디(181)에 장착할 수 있다.
접합 바디(191)는 체결부(192)와 접합부(19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92)는 대략 중공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메인 바디(181)와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메인 바디(181)의 함몰부(185)는 체결부(192)에 내삽되어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192)의 내둘레면은 함몰부(185)의 외둘레면과 접하여 체결될 수 있다.
접합부(193)는 고리형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잇다. 접합부(193)는 체결부(192)의 하단에서 체결부(192)의 반경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193)는 메인 바디(181)의 하측에 위치하고 메인 바디(181)의 저면을 마주볼 수 있다.
플렉시블 컨테이너(194)는 접합부(193)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접합될 수 있다. 플렉시블 컨테이너(194)는 접합부(193)와 열융착될 수 있다.
플렉시블 컨테이너(194)와 접합부(193) 사이에는 융착층(196)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융착층(196)은 플렉시블 컨테이너(194)와 접합부(193)의 열융착을 용이하게 하는 열융착 도료(Thermosetting paint)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은 도 4에 도시된 발효 유닛의 발효 리드가 오픈된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효 유닛(1)은 개구부(170)가 형성된 발효조(110)와, 상기 개구부(170)를 상측에서 개폐하는 발효 리드(107)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조(110)는 발효 탱크(111)와, 구속 바디(178)와, 리드 안착바디(179)와, 샤프트 지지부(109)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탱크(111)에는 발효 컨테이너(12)가 삽입되는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발효 컨테이너(12)는 발효 탱크(111)에 삽입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2)에 형성된 발효 공간(S2)에서 음료의 발효가 진행될 수 있다.
구속 바디(178)는 발효 리드(107)의 개폐 동작을 구속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 리드(107)에 포함된 회전 바디(505)는 그 회전 방향에 따라 구속 바디(178)에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될 수 있다.
구속 바디(178)는 발효 탱크(111)의 상측에서 발효 탱크(111)와 체결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79)는 발효 탱크(1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발효 리드(107)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드 안착바디(179)에는 리드 안착공간(S3)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의 적어도 일부는 리드 안착공간(S3)에 위치하여 안착될 수 있다. 리드 안착공간(S3)의 내경은 하방으로 갈수록 작아지거나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79)에는 발효 리드(107)가 안착되는 안착면(179A)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179A)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발효 리드(107)와 리드 안착바디(179)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발효조(11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더라도 발효리드(107)와 리드 안착바디(179) 사이로 가스 등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79)에는 발효 리드(107)의 힌지 바디(108)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부(179B)가 형성될 수 있다. 회피부(179B)는 한 쌍의 샤프트 지지부(109) 사이 공간과, 안착면(179A) 중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리드(107)가 리드 안착바디(179)에 안착되는 경우, 힌지 바디(108)는 회피부(179B)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힌지 바디(108)가 리드 안착바디(179)와 간섭되지 않고 발효 리드(107)의 개폐동작이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샤프트 지지부(109)는 힌지 샤프트(6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샤프트 지지부(109)는 리드 안착바디(109)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샤프트 지지부(109)는 리드 안착바디(109)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서 힌지 샤프트(600)가 삽입되는 샤프트 삽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지지부(109)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샤프트 지지부(109)는 수평 방향, 좀 더 상세히는 좌우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힌지 샤프트(600)는 어느 하나의 샤프트 지지부(179)에 삽입될 수 있고, 발효 리드(107)의 힌지부(108A)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의 샤프트 지지부(109)에 삽입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힌지 샤프트(600)에 의해 발효조(110), 좀 더 상세히는 리드 안착바디(179)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힌지 샤프트(600)는 발효 리드(107)의 힌지축을 형성할 수 있고, 발효 리드(107)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힌지 샤프트(600)에는 회전 기어(601)가 연결될 수 있고, 회전 기어(601)는 기어 댐퍼(602)에 치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발효 리드(107)가 급격히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발효 리드(107)가 보다 안정적으로 회동하여 발효 리드(107)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발효 리드(107)는 탑 커버(500)와, 리드 바디(520)와, 회전 바디(505)와, 힌지 바디(108)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500)는 발효 리드(107)의 상면을 구성할 수 있다. 탑 커버(500)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손잡이(50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손잡이(501)은 탑 커버(500)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된 안치부(502)에 안치될 수 있다.
탑 커버(500)에는 관통공(503)이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501)는 관통공을 통해 회전 바디(505)와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손잡이(501)와 회전 바디(505)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리드 바디(520)는 리드 안착바디(179)에 안착될 수 있다. 리드 바디(520)의 개방된 상면은 탑 커버(5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리드 바디(520)는 발효 리드(107)의 둘레부를 구성할 수 있다. 리드 바디(520)는 직경이 하방으로 갈수록 감소하거나 일정하게 유지되는 중공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드 바디(520)의 외둘레면은 리드 안착바디(179)의 안착면(179B)에 대응되는 형상의 곡면일 수 있다.
힌지 바디(108)는 리드 바디(520)의 외둘레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힌지 바디(108)는 힌지 샤프트(600)와 체결되는 힌지부(108A)와, 상기 힌지부(108A)를 리드 바디(520)에 연결하는 힌지 연결부(108B)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108A)는 리드 바디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힌지부(108A)는 리드 바디(52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힌지부(108A)에는 힌지 샤프트(600)가 삽입될 수 있다. 힌지부(108A)에 삽입된 힌지 샤프트(600)는 체결부재(C)(도 11 참조)에 의해 힌지부(108A)와 체결될 수 있고, 이로써 힌지 샤프트(600)와 발효 리드(107)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힌지 연결부(108B)는 힌지부(108A)와 리드 바디(520)를 연결할 수 있다.
힌지 연결부(108B)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힌지 연결부는 힌지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하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제2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의 전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리드 바디(520)의 외둘레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리드(107)가 리드 안착바디(179)에 안착된 경우에, 힌지 연결부(108B)는 리드 안착바디(179)에 형성된 회피부(179B)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 바디(505)는 리드 바디(5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회전 바디(505)는 탑 커버(5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바디(505)의 상측 일부는 리드 바디(5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회전 바디(505)는 탑 커버(500)에 구비된 손잡이(501)에 체결되어 손잡이(501)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바디(505)는 회전 방향에 따라 구속바디(178)에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501)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바디(505)는 구속바디(178)에 구속될 수 있고, 발효 리드(107)가 발효조(110)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손잡이(50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바디(505)는 구속바디(178)에 대해 구속해제되어 발효 리드(107)가 개방 가능해질 수 있다.
회전 바디(505)는 탑 커버(500)와 체결되는 어퍼 커버(506)와, 어퍼 커버(506)와 체결되는 중공 바디(51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바디(510)는 발효 탱크(111)에 장착된 발효 컨테이너(12)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중공 바디(510)에는 발효조(110), 좀 더 상세히는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발효 공간(S2)과 연통되는 채널 연결부(515)가 형성될 수 있다. 채널 연결부(515)는 메인채널 연결부(115)와 가스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바디(510)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고, 중공 바디(510)의 개방된 상면은 어퍼 커버(506)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중공 바디(510)에 형성된 채널 연결부(515)는 어퍼 커버(505)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중공 바디(510)의 외둘레 중 하단을 포함한 적어도 일부는 반경 방향에 대해 구속 바디(178)의 내둘레를 마주볼 수 있고, 해당 부분에는 걸림부(5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공 바디(510)의 외둘레에서 반경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514)는 구속 바디(178)의 내둘레를 향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514)는 상하 방향에 대해 구속 바디(178)에 형성된 걸림턱(551)(도 7 참조)에 걸릴 수 있다.
어퍼 커버(506)는 탑 커버(500)에 형성된 관통공(503)을 통해 손잡이(501)과 체결될 수 있다.
어퍼 커버(506)는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 바디(510)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어퍼 커버(506)는 중공 바디(510)와 체결될 수 있고, 어퍼 커버(506)와 중공 바디(51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어퍼 커버(506)와 중공 바디(510)의 사이에는 리드 이너 공간(S6)(도 7 참조)이 형성될 수 있고, 채널 연결부(515)는 리드 이너 공간(S6)에 위치할 수 있다.
리드 바디(520)에는 채널 연결부(515)에 연결되는 채널(42)(71)(도 1 참조)이 통과하는 개구(520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채널 연결부(115)에 연결되는 제2메인 채널(42)과, 가스배출채널 연결부(121)에 연결되는 가스 배출채널(71)은 개구(520C)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채널(42)(71)은 힌지 샤프트(600)에 형성된 샤프트 중공(600A)(도 11 참조)으로 인입될 수 있고, 채널 통과홀(600B)을 통과하여 힌지 연결부(108B)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 경우, 힌지 연결부(108B)에는 힌지 샤프트(600)의 채널 통과홀(600B)과 리드 바디(520)의 개구(520C)를 연통시키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힌지 연결부(108B)의 내부 공간은 채널 통과홀(600B)로 들어온 채널을 개구(520C)로 안내하는 채널 가이드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어퍼 커버(506)에는 상기 채널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개방부(506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메인 채널(42) 및 가스 배출채널(71)은 발효 유닛(1)의 외측에서부터 개구(520C) 및 개방부(506A)를 통해 리드 이너 공간(S6)으로 들어올 수 있고, 메인채널 연결부(115) 및 가스배출채널 연결부(12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유닛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는 도 7에 도시된 발효 유닛에서 발효 리드가 오픈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발효 탱크(111)는 케이스(160)와, 케이스(160)에 수용된 이너 탱크(112)와, 케이스(160)와 이너 탱크(112) 사이에 위치한 단열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60)는 케이스 본체(161)와, 케이스 본체(161)의 상측에 체결된 브라켓(162)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61)는 발효 유닛(1)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브라켓(162)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 본체(161)의 상측에서 케이스 본체(161)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162)은 구속 바디(178)의 하측에서 구속 바디(178)와 체결될 수 있다.
발효 탱크(111)에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컨테이너 바디(180)가 안착되는 시트부(165)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시트부(165)는 브라켓(162)에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의 안착부(183)는 시트부(165)에 올려져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시트부(165)에는 제1실링부재(175)가 장착될 수 있고, 컨테이너 바디(180)의 안착부(183)는 상기 제1실링부재(175)의 상측에 올려져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시트부(165)는 실링부재 장착부로 명명될 수 있다.
이너 탱크(112)는 브라켓(162)에 체결되어 케이스 본체(16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켓(162)의 저면에는 제2실링부재(174)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실링부재(174)는 이너 탱크(112)와 브라켓(162)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다.
이너 탱크(112)에는 개구부(170)와 연통된 내부 공간(S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부 공간(S1)은 발효 컨테이너(12), 좀 더 상세히는 플렉시블 컨테이너(194)가 수용되는 공간일 수 있다. 즉, 발효 컨테이너(12)는 개구부(170)를 통해 이너 탱크(112)의 내부 공간(S1)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단열부(171)는 이너 탱크(112)와 케이스(1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단열부(171)는 발효조(112)를 둘러싸 이너 탱크(112) 내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구속 바디(178)는 발효 리드(107)의 회전 바디(505)를 상하 방향에 대해 구속할 수 있다.
구속 바디(178)는 대략 중공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발효 탱크(11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속 바디(178)는 발효 탱크(111), 좀 더 상세히는 브라켓(162)에 체결될 수 있다.
구속 바디(178)의 내부는 이너 탱크(112)의 내부공간(S1)과 연통된 개구부(17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속 바디(178)의 내둘레에는 중공 바디(510)의 걸림부(514)가 이탈 가능한 홈부(552)와, 걸림부(514)가 걸리는 걸림턱(551)이 둘레 방향을 따라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 리드(107)가 하강하여 개구부(170)를 밀폐하는 경우 걸림부(514)는 홈부(552)를 통과하여 홈부(55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 바디(505)가 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면 걸림부(514)는 걸림턱(551)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걸림부(514)가 걸림턱(551)에 걸려 발효 리드(107)가 상하 방향에 대해 구속될 수 있다.
발효 리드(107)가 구속 바디(178)에 구속된 상태에서 회전 바디(505)가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면, 걸림부(514)는 홈부(552)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부(514)는 홈부(552)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가능하므로 발효 리드(107)가 상하 방향에 대해 구속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리드 안착바디(179)에는 발효 리드(107), 좀 더 상세히는 리드 바디(520)가 안착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79)는 발효 탱크(1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79)는 구속 바디(178) 또는 케이스(160)와 체결될 수 있다.
리드 안착바디(179)에는 리드 안착공간(S3)이 형성될 수 있고, 발효 리드(107)는 적어도 일부가 리드 안착공간(S3)에 위치하여 안착될 수 있다. 리드 안착공간(S3)은 발효조 모듈(111)의 개구부(17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개구부(170)와 연통될 수 있다.
이하, 발효 리드(107)에 대해 설명한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조(110)의 개구부(170)를 개폐할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리드 안착바디(179)에 형성된 리드 안착공간(S3)으로 삽입되어 개구부(170)를 덮을 수 있다. 발효 리드(107)는 발효 탱크(111)에 안착되어 있는 발효 컨테이너(12)의 컨테이너 바디(180)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발효 컨테이너(1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효 리드(107)는 탑 커버(500)와, 리드 바디(520)와, 회전 바디(505)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500)는 리드 바디(520)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으며, 손잡이(50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탑 커버(500)에는 손잡이(501)가 안치되는 안치부(502)가 형성될 수 있다. 안치부(502)는 탑 커버(50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안치부(502)의 함몰 깊이는 손잡이(501)의 상하 높이와 대응될 수 있다. 손잡이(501)는 안치부에 안치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탑 커버(500)의 안치부(502)에는 관통공(503)이 형성될 수 있고, 손잡이(501)의 중심축은 상기 관통공(503)에 끼워질 수 있다. 손잡이(501)는 상기 중심축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바디(505)는 탑 커버(5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손잡이(50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바디(505)는 어퍼 커버(506)와 중공 바디(51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커버(506)는 탑 커버(50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리드 바디(52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 커버(506)에는 중공 바디(510)의 상단부, 좀 더 상세히는 아우터 바디(511)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중공바디 연결부(507)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바디 연결부(507)는 중공 바디(510)의 상측에서 중공 바디(510)의 상단부에 끼워질 수 있다.
어퍼 커버(506)은 중공 바디(510)와 함께 리드 이너공간(S6)을 형성할 수 있다. 리드 이너공간(S6)은 어퍼 커버(506)과 중공 바디(51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리드 이너공간(S6)은 채널 연결부(515)에 연결되는 채널이 들어오는 공간일 수 있다.
중공 바디(510)는 어퍼 커버(506)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손잡이(501) 및 어퍼 커버(506)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중공 바디(510)는 아우터 바디(511)와, 아우터 바디(511)의 내측에 위치한 이너 바디(512)와, 이너 바디(512)에 체결된 채널바디(51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511)는 대략 중공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우터 바디(511)는 중공 바디(510)의 둘레부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511)의 외둘레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부(514)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514)는 구속 바디(178)의 내둘레에 형성된 걸림턱(551) 또는 홈부(55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걸림부(514)가 걸림턱(551)의 하측에 위치한 경우 발효 리드(107)는 구속 바디(178)에 구속되어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걸림부(514)가 홈부(552)의 하측에 위치한 경우 발효 리드(107)는 구속바디(178)에 대해 구속 해제되어 개방 가능하다.
아우터 바디(511)의 상단부는 어퍼 커버(506)의 중공바디 연결부(507)에 연결될 수 있다.
이너 바디(512)은 아우터 바디(51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너 바디(512)는 아우터 바디(511)와 채널바디(513)를 연결하는 브라켓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채널 연결바디(513)는 이너 바디(512)에 체결될 수 있다.
채널 연결바디(513)에는 컨테이너 바디 가압부(522)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 가압부(522)는 채널 연결바디(513)의 저면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 가압부(522)는 컨테이너 바디(180), 좀 더 상세히는 컨테이너 바디(180)의 둘레부(182)(도 2 참조)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 바디(180)가 발효 탱크(111)에 고정될 수 있다.
채널 연결바디(513)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 연결부(515)가 형성될 수 있다. 채널 연결부(515)는 채널 연결바디(513)에서 리드 이너공간(S6)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채널 연결부(515)는 채널 연결바디(513)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채널 연결부(515)는 제2메인채널(42)(도 1 참조)가 연결되는 메인채널 연결부(115)와, 가스 배출채널(71)(도 1 참조)가 연결되는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채널 연결바디(513)에는 발효 탱크(111)에 안착된 발효 컨테이너(12)의 컨테이너 바디(180)와 연결되는 컨테이너 바디 연결부(516)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 연결부(516)는 채널 바디(513)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바디 연결부(516)의 외둘레는 컨테이너 바디(180)의 아우터 중공부(184)의 내둘레에 끼워짐으로써 컨테이너 바디(18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 바디 연결부(516)와 아우터 중공부(184) 사이에는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는 컨테이너 바디 연결부(516)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는 컨테이너 바디(180)의 함몰 공간(S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는 함몰 공간(S5)과 연통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발효 공간(S2)은 가스 취출공(186)을 통해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와 연통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가스는 가스 취출공(186)을 통해 함몰 공간(S5)으로 취출될 수 있고, 가스 배출채널 연결부(121)를 통과하여 가스 배출채널(71)(도 1 참조)로 배출될 수 있다.
메인채널 연결부(115)는 컨테이너 바디 연결부(516)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컨테이너 바디 연결부(516)에는 메인 채널 연결부(115)와 연통되며 하측으로 돌출된 이너채널 연결부(5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채널 연결부(517)는 컨테이너 바디(180)의 이너 중공부(187), 좀 더 상세히는 제1연결부(188)에 끼워져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너채널 연결부(517)와 제1연결부(188) 사이에는 오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컨테이너(12) 내의 발효 공간(S2)은 이너 채널(190)을 통해 메인채널 연결부(115)와 연통될 수 있다. 제2메인 채널(42)(도 1 참조)로 안내된 유체는 메인채널 연결부(115), 이너 채널(190) 및 튜브(19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 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발효 공간(S2)에서 제조 완료된 음료는 튜브(195), 이너 채널(190), 메인채널 연결부(115)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메인 채널(42)(도 1 참조)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리드 바디(520)는 리드 안착바디(179)에 안착될 수 있다. 리드 바디(520)의 개방된 상면은 탑 커버(5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리드 바디(520)는 발효 리드(107)의 둘레부를 구성할 수 있다.
리드 바디(520)에는 어퍼 커버 이탈방지부(520A)와 어버 커버 수용부(520B)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커버 이탈방지부(520A)는 리드 바디(520)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어퍼 커버 이탈방지부(520A)는 어퍼 커버(506)의 가장자리부(508)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어퍼 커버 이탈방지부(520A)는 어퍼 커버(506)의 가장자리부(508)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어퍼 커버 이탈방지부(520A)는 반경 방향으로 중공바디(510), 좀 더 상세히는 중공바디(510)의 둘레부를 구성하는 아우터 바디(511)의 외둘레를 마주볼 수 있다.
이로써, 어퍼 커버 이탈방지부(520A)는 어퍼 커버(506)가 리드 바디(520)의 하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아우터 바디(511)가 반경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어버 커버 수용부(520B)는 어퍼 커버 이탈방지부(520A)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어버 커버 수용부(520B)는 대략 중공통 형상일 수 있다.
어버 커버 수용부(520B)는 어퍼 커버(506)의 가장자리부(508)의 반경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어버 커버 수용부(520B)는 어퍼 커버(506)의 가장자리부(508)를 반경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즉, 어버 커버 수용부(520B)는 어퍼 커버(506)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유닛의 상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기어 댐퍼에 치합된 연결 기어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 샤프트 및 그 주변 구성의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2는 발효 리드에서 탑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발효 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힌지 샤프트(600)와, 회전 기어(601)와, 기어 댐퍼(602)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힌지 샤프트(600)는 발효 리드(107)의 힌지축을 형성하고 발효 리드(107)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힌지 샤프트(600)는 발효 리드(107)의 힌지부(108A)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힌지 샤프트(600)는 힌지부(108A)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C)에 의해 힌지부(108A)와 체결될 수 있다. 이로써 힌지 샤프트(600)가 힌지부(108A) 내에서 헛돌지 않고 힌지부(108A)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발효 리드(107)의 힌지부(108A)는 발효조(110), 좀 더 상세히는 리드 안착바디(179)에 형성된 한 쌍의 샤프트 지지부(109)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샤프트 지지부(109)는 힌지부(108A)를 사이에 두고 힌지 샤프트(6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힌지 샤프트(600)는 어느 하나의 샤프트 지지부(179)에 삽입될 수 있고, 발효 리드(107)의 힌지부(108A)를 관통하여 다른 하나의 샤프트 지지부(109)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힌지 샤프트(600)에는 기어 댐퍼(602)와 치합된 회전 기어(601)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힌지 샤프트(600)는, 힌지부(108A)의 내측에 위치한 샤프트부(606)와, 한 쌍의 샤프트 지지부(109)의 내측에 위치한 한 쌍의 연장부(607)와, 샤프트 지지부(109)의 외측에 위치하며 회전 기어(601)가 연결된 기어 연결부(608)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부(606)에는 체결부재(C)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부(606)에는 샤프트 중공(600A)을 힌지 연결부(108B)의 내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채널 통과홀(600B)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607)는 샤프트부(606)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607)는 샤프트 지지부(109)의 내측에서 회전할 수 있다.
기어 연결부(608)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607)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될 수 있다. 기어 연결부(608)는 샤프트 지지부(109)의 외측에 위치하며 회전 기어(601)가 연결될 수 있다.
회전 기어(601)는 힌지 샤프트(6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기어 댐퍼(602)에 치합될 수 있다.
회전 기어(601)는 기어 연결부(608)의 외둘레에 끼워지거나, 기어 연결부(608)에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기어 연결부(608)의 단부가 회전 기어(601)에 끼워져 연결되는 경우, 회전 기어(601)에는 샤프트 중공(600A)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42)(71)은 상기 통공을 통해 샤프트 중공(600A)으로 인입될 수 있다.
기어 댐퍼(602)는 발효조(110)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드 안착바디(179) 후방측 외면에는 댐퍼 마운터(603)가 구비될 수 있고, 기어 댐퍼(602)는 댐퍼 마운터(603)에 장착될 수 있다.
기어 댐퍼(602)는 댐퍼 마운터(603)에 장착되며 내부에 오일이 충진된 댐퍼 본체(602B)와, 상기 댐퍼 본체(602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연결 기어(601)와 치합된 회전체(602A)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602A)의 직경은 연결 기어(601)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기어 댐퍼(602)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은 주지의 기술(KR10-2007-0115097A)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어 댐퍼(602)에 치합된 연결 기어(601)에 의해, 발효 리드(107) 및 힌지 샤프트(600)의 회전력이 완화될 수 있다. 따라서, 발효 리드(107)의 급격한 개폐동작이 방지될 수 있고 충격 및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발효 리드(107)의 회전 방향에 대한 흔들림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힌지 샤프트(600)에는 채널(42)(71)이 인입되는 샤프트 중공(600A)과, 샤프트 중공(600A)과 연통된 채널 통과홀(600B)이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중공(600A)은 힌지 샤프트(6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힌지 샤프트(600)는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한 외경 및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채널(42)(74)은 발효조(110) 및 발효 리드(107)의 외측에서부터 샤프트 중공(600A) 내로 인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메인채널(42)은 힌지 샤프트(600)의 일 단부를 통해 샤프트 중공(600A) 내로 인입될 수 있고, 가스 배출채널(71)은 힌지 샤프트(600)의 타 단부를 통해 샤프트 중공(600A) 내로 인입될 수 있다.
채널 통과홀(600B)은 힌지 샤프트(600)의 샤프트 부(606)에 형성될 수 있으며 리드 바디(520)를 향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채널 통과홀(600B)은 샤프트 중공(600)을 힌지 연결부(108B)의 내부 공간과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리드 바디(520)에 형성된 개구(520C)는 힌지 연결부(108B)의 내부 공간에 의해 채널 통과홀(600B)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 중공(600A) 내로 인입된 채널(42)(71)은 채널 통과홀(600B), 힌지 연결부(108B)의 내부 공간 및 개구(520C)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리드 바디(52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리드 바디(520)의 내부로 인입된 채널(42)(71)은 어퍼 커버(506)에 형성된 개방부(506A)를 통과하여 리드 이너 공간(S6)(도 7 참조)으로 들어올 수 있고, 채널 연결부(515)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샤프트 지지부(109)의 내둘레에는 힌지 샤프트(600)의 외둘레에 접하는 부싱(605)이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부싱(605)은 샤프트 지지부(109)의 내둘레와 연장부(607)의 외둘레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부싱(605)는 샤프트 지지부(109)와 힌지 샤프트(600)에 대한 인서트 사출로 형성될 수 있고, 부싱(605)은 샤프트 지지부(109)와 힌지 샤프트(600) 간의 조립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써, 힌지 샤프트(600)가 샤프트 지지부(109)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힌지 샤프트(600)의 반경 방향에 대한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로써 어퍼 커버 수용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발효 리드의 하부를 바라본 도면이고,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리드의 하부를 바라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드 바디(520)에는 어퍼 커버 이탈방지부(520A)와 어버 커버 수용부(520B)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커버 이탈 방지부(520A)는 대략 원형 고리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퍼 커버 이탈 방지부(520A)의 내둘레는 중공 바디(510)의 외둘레를 마주볼 수 있다.
어퍼 커버 이탈 방지부(520A)에는 복수개의 회피홈(520D)이 형성될 수 있다. 회피홈(520D)은 어퍼 커버 이탈 방지부(520A)의 내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중공 바디(510)가 리드 바디(520)에 장착하는 경우에, 중공 바디(510)의 외둘레에 형성된 걸림부(514)는 회피홈(520D)을 통해 리드 바디(520)의 내측에서 리드 바디(520)의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어버 커버 수용부(520B)(도 7 참조)는 어퍼 커버 이탈방지부(520A)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커버 이탈방지부(520A)의 상면을 기준으로 어퍼 커버 수용부(520B) 상단까지의 높이는 어퍼 커버(506)의 상면까지의 높이보다 높거나 같을 수 있다.
어퍼 커버 수용부(520B)의 내측에는 어퍼 커버(506)가 수용될 수 있다. 동시에, 어퍼 커버 수용부(520B)는 발효 리드(107)의 하측에서 회피홈(520D)을 통해 채널(42)(71)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바디(520)에 어퍼 커버 수용부(520B)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회피홈(520D)과 중공바디(510)의 외둘레 사이로 채널(42)(71)이 노출될 수 있다. 채널(42)(71) 중 노출되는 부분은 리드 바디(520)의 개구(520c)(도 12 참조)와 어퍼 커버(506)의 개방부(506A) 사이의 부분일 수 있다.
반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바디(520)에 어퍼 커버 수용부(520B)가 형성된 경우, 어퍼 커버 수용부(520B)에 의해 채널(42)(71)이 가려져 회피홈(520D)과 중공바디(510)의 외둘레 사이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발효 리드(107)의 디자인적 완성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발효 유닛 12: 발효 컨테이너
107: 발효 리드 110: 발효조
108A: 힌지부 108B: 힌지 연결부
109: 샤프트 지지부 115: 메인채널 연결부
121: 가스배출채널 연결부179: 리드 안착바디
520: 리드 바디 600: 힌지 샤프트
600A: 샤프트 중공 600B: 채널 통과홀
601: 회전 기어 602: 기어 댐퍼
603: 기어 마운터 605: 부싱
606: 샤프트부 607: 연장부
608: 기어 연결부

Claims (13)

  1.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조;
    상기 발효조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를 상측에서 개폐하는 발효 리드;
    상기 발효 리드의 힌지축을 형성하고 상기 발효 리드와 함께 회전하는 힌지 샤프트;
    상기 힌지 샤프트에 연결된 회전 기어; 및
    상기 발효조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 기어와 치합된 기어 댐퍼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리드는,
    리드 바디; 및
    상기 리드 바디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힌지 샤프트가 연결된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조는,
    상기 리드 바디가 안착되고 상기 기어 댐퍼가 설치된 리드 안착바디; 및
    상기 리드 안착바디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힌지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샤프트 지지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안착바디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기어 댐퍼가 장착되는 댐퍼 마운터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샤프트는,
    상기 힌지부의 내측에 위치한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의 양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한 쌍의 샤프트 지지부의 내측에 위치한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한 쌍의 연장부 중 어느 하나에서 연장되고 상기 샤프트 지지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 기어가 연결된 기어 연결부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지지부의 내둘레와 상기 연장부의 외둘레 사이에 구비된 부싱을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및 발효 리드의 외측에 배치되고, 채널을 통해 상기 발효조 내의 발효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및 발효 리드의 외측에 배치되고, 채널을 통해 상기 발효조 내의 발효 공간으로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 공급기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및 발효 리드의 외측에 배치되고, 채널을 통해 상기 발효조 내의 발효 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기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및 발효 리드의 외측에 배치되고, 채널을 통해 상기 발효조 내의 발효 공간에서 제조된 음료를 취출하는 음료 취출기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 및 발효 리드의 외측에 배치되고, 채널을 통해 상기 발효조 내의 발효 공간의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밸브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1.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채널이 인입되는 샤프트 중공; 및
    상기 샤프트 중공과 연통되고 상기 리드 바디를 향해 관통되며 상기 채널이 통과하는 채널 통과홀이 형성된 음료 제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바디에는,
    상기 채널 통과홀과 연통된 개구가 형성된 음료 제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리드는,
    상기 리드 바디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발효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개구를 통과한 상기 채널이 연결되는 채널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0180163253A 2018-12-17 2018-12-17 음료 제조기 KR20200074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253A KR20200074637A (ko) 2018-12-17 2018-12-17 음료 제조기
US16/710,265 US11560538B2 (en) 2018-12-17 2019-12-11 Beverag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253A KR20200074637A (ko) 2018-12-17 2018-12-17 음료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637A true KR20200074637A (ko) 2020-06-25

Family

ID=7107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253A KR20200074637A (ko) 2018-12-17 2018-12-17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60538B2 (ko)
KR (1) KR202000746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542A (ko) * 2018-12-11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JP2022180978A (ja) * 2021-05-25 2022-12-07 サーモ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114847735A (zh) * 2022-04-18 2022-08-05 小熊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进弹结构及进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8470A (en) * 1991-02-27 1992-02-18 W.C. Bradley Company Access window for barbecue grills
FR2866539B1 (fr) * 2004-02-23 2006-09-29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a panneaux articules
CA2504052C (en) * 2004-04-19 2013-05-28 Breville Pty. Ltd. Kettle with lid damping mechanism
KR101469067B1 (ko) * 2013-12-30 2014-12-05 주식회사 타이거 음식 용기의 댐핑힌지 어셈블리
CN107400585B (zh) * 2016-05-18 2021-07-30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CN106852640B (zh) * 2017-01-25 2018-08-21 罗江祺 一种烹调器的炉头开合结构及应用该结构的烹调器
CN107411552B (zh) * 2017-08-08 2023-04-11 广东新功电器有限公司 一种自动翻盖煮水壶
KR102515595B1 (ko) * 2017-11-16 202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KR102521998B1 (ko) * 2017-11-17 2023-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료 제조기
CN108143293B (zh) * 2018-01-08 2020-1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阻尼装置以及包括该阻尼装置的装置
CN112471907A (zh) * 2019-09-11 2021-03-12 拓浦精工智能制造(邵阳)有限公司 含可拆卸锅盖的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60538B2 (en) 2023-01-24
US20200190448A1 (en)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748B1 (ko) 음료 제조기
KR102515595B1 (ko) 음료 제조기
KR20200074637A (ko) 음료 제조기
EP3666875B1 (en) Fermentation container and beverage maker having fermentation container
KR20200138129A (ko) 음료 제조기
KR102521998B1 (ko) 음료 제조기
US11015155B2 (en) Fermenter
KR20200068299A (ko) 음료 제조기
KR102658905B1 (ko) 음료 제조기
KR102274525B1 (ko) 발효 및 숙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999927B2 (en) Beverage maker
KR102528396B1 (ko) 음료 제조기
KR20220006882A (ko) 음료 제조기
KR102282489B1 (ko) 음료 제조기
KR102571262B1 (ko) 음료 제조기
KR102630846B1 (ko)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526537B1 (ko) 음료 제조기
KR102491226B1 (ko) 발효조
US20210388297A1 (en) Beverage maker
KR20190105435A (ko)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US11352245B2 (en) Beverage discharger
KR102200598B1 (ko) 음료 제조기
KR102259341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4419B1 (ko) 음료 제조기
KR102180141B1 (ko) 음료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