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233B1 -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7233B1 KR100837233B1 KR1020060090185A KR20060090185A KR100837233B1 KR 100837233 B1 KR100837233 B1 KR 100837233B1 KR 1020060090185 A KR1020060090185 A KR 1020060090185A KR 20060090185 A KR20060090185 A KR 20060090185A KR 100837233 B1 KR100837233 B1 KR 1008372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valve
- beverage
- storage chamber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6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plug or like element closing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9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e.g. a valve, opening an aperture of the auxiliary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내압을 제어할 수 있는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음료 용기는 용기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은 용기 본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뚜껑의 외면에 음료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배출을 위한 제1 배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의 내측 모서리에 제1 배기구멍을 둘러싸는 보조저장실을 형성하도록 격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의 한쪽에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을 연결하도록 제2 배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뚜껑의 내측 중앙에 뚜껑의 내측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에 제1 배기구멍과 연결되는 주저장실을 형성하도록 밸브격판이 장착되어 있다. 밸브격판의 중앙에 용기본체의 입구와 연결되는 포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 주저장실과 포트를 연결하는 배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는 밸브격판의 포트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밸브격판의 포트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스프링은 뚜껑의 내측에 장착되어 밸브체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편향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내압이 상승됨에 따라 폐쇄되어 있던 밸브가 개방되어 내압이 제어되며, 외부로부터 공기 및 오염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어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밸브의 개방 시 형성되는 배기회로를 통하여 용기 본체로부터 누출되는 음료가 뚜껑의 저장실에 저장되어 음료의 누출이 최소화되므로, 음료 용기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에서 밸브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따른 제1 실시예의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에서 뚜껑, 밸브격판과 밸브체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에서 밸브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의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에서 밸브체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310: 음료 용기 20, 320: 용기 본체
30, 330: 뚜껑 36: 제1 배기구멍
38, 382: 보조저장실 40: 격벽
42: 제2 배기구멍 44, 336: 주저장실
50, 150, 350: 밸브격판 42, 356: 밸브실
56, 154, 358: 배기통로 58, 156: 구멍
60, 160, 360: 밸브체 62, 162: 로드
64, 164: 밀판 70, 170, 370: 스프링
334: 배기구멍 380: 내측 뚜껑
386: 배기구멍
본 발명은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의 내압이 상승됨에 따라 밸브가 개방되어 내압을 제어할 수 있는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 용기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를 저장하여 보관 및 운반하기 위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음료 용기의 용기 본체와 뚜껑은 플라스틱, 유리, 금속으로 제조되고 있다. 용기 본체의 병목에 음료의 저장 및 유출을 위한 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은 병목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되어 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한편, 음료가 저장되어 있는 음료 용기의 보관 및 운반 중에 온도가 상승되거나 음료의 발효로 인하여 음료 용기의 내압이 상승되어 병목과 뚜껑 사이의 틈새로 음료가 누출되거나 음료 용기의 폭발이 상존하고 있다. 특히, 탁주, 약주 등 곡류를 원료로 당화시켜 발효시킨 양조주의 경우, 플라스틱 용기 본체의 내압이 양조주의 발효에 의하여 크게 높아져 누출이 심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뚜껑을 열 때 양조주가 넘쳐흐르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음료의 발효에 의한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압력제어구조가 뚜껑에 채택되고 있다.
한국 실용신안공보 실1994-8328호에는 탁주, 약주 등 병에 저장되는 음료의 발효에 의하여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의 기술은 병의 병목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뚜껑이 결합되어 있다. 뚜껑의 외면 한쪽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의 내면에 필터가 장착되어 있다. 필터의 상면에 복수의 통로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통로들에는 복수의 배기구멍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의 상면 중앙에는 통로들과 연결되는 집수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술의 가스배출구조에 의하여 병에 저장되어 있는 음료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는 필터의 배기구멍들, 통로들과 뚜껑의 구멍을 통하여 배출되고, 음료는 필터의 배기구멍들과 통로들을 통하여 집수조에 집수되어 배출이 최소화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가스배출구조에 있어서는, 병이 운반 중에 흔들릴 경우 필터의 저수조에 저수되어 있던 음료가 넘치면서 뚜껑의 구멍을 통하여 누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병이 쓰러지거나 거꾸로 세워질 경우, 필터의 배기구멍들, 통로들과 뚜껑의 구멍을 통하여 다량의 음료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부의 공기가 가스의 배출 경로와 반대로 뚜껑의 구멍, 필터의 통로들과 배기구멍들을 통하여 병 속에 유입되어 음료의 변질을 초래하는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본체의 내압이 상승됨에 따라 폐쇄되어 있던 밸브가 개방되어 내압이 제어되는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공기 및 오염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어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브의 개방 시 형성되는 배기회로를 통하여 용기 본체로부터 누출되는 음료가 뚜껑의 저장실에 저장되므로, 음료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음료의 저장을 위하여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를 갖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외면에 음료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배출을 위한 제1 배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모서리에 제1 배기구멍을 둘러싸는 보조저장실을 형성하도록 격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의 한쪽에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을 연결하도록 제2 배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과; 뚜껑의 내측 중앙에 뚜껑의 내측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에 제1 배기구멍과 연결되는 주저장실을 형성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중앙에 용기본체의 입구와 연결되는 포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 주저장실과 포트를 연결하는 배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격판과; 밸브격판의 포트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밸브격판의 포트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밸브체와; 뚜껑의 내측에 장착되어 밸브체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편향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음료의 저장을 위하여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를 갖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외면에 음료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배출을 위한 배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과; 뚜껑의 내측 중앙에 뚜껑의 내측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에 배기구멍과 연결되는 주저장실을 형성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용기 본체의 입구와 주저장실을 연결하도록 중앙에 밸브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실의 한쪽에 주저장실과 밸브실을 연결하는 배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격판과; 밸브격판의 밸브실에 배기통로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배기통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밸브체와; 뚜껑의 내측에 장착되어 밸브체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편향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뚜껑의 주저장실에 밸브체의 배기통로를 둘러싸는 보조저장실을 형성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외면에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을 연결하는 배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에 적용되는 음료 용기(10)는 다양한 음료(2)의 저장과 보관을 위하여 용기 본체(20)와 뚜껑(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0)와 뚜껑(30)은 플라스틱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 본체(20)의 상부에 음료(2)의 저장과 배출을 위하여 입구(22)를 갖는 병목(24)이 형성되어 있으며, 병목(24)의 외면에 수나사(26)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30)은 원통부(30a)와, 원통부(30a)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는 상면부(30b)로 구성되어 있다. 뚜껑(30)은 원통부(30a)와 상면부(30b)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원통부(30a)의 대략 중앙을 상하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뚜껑(30)의 내면에는 병목(24)의 수나사(26)에 체결되어 입구(22)를 폐쇄할 수 있도록 암나사(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뚜껑(30)의 내면 중앙에 보어(Bore: 34a)를 갖는 보스(34)가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30)의 외면 한쪽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배기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배기구멍(36)은 뚜껑(30)의 모서리와 인접하도록 뚜껑(30)의 외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뚜껑(30)의 내측 모서리에 제1 배기구멍(36)을 둘러싸는 보조저장실(38)을 형성하도록 격벽(40)이 형성되어 있고, 격벽(40)의 한쪽에는 뚜껑(30)의 내측과 보조저장실(38)을 연결하도록 제2 배기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제1 배기구멍(36)은 뚜껑(30)의 모서리 양측에 두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배기구멍(36)의 개수 및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배기구멍(36)이 두개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격벽(40)에 의하여 형성되는 보조저장실(38)은 환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배기구멍(42)은 제1 배기구멍(36)과 어긋나게 위치되도록 격벽(40)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뚜껑(30)의 내측 중앙에 뚜껑(30)의 내측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에 주저장실(44)을 형성하도록 밸브격판(50)이 장착되어 있다. 뚜껑(30)의 주저장실(44)과 격벽(40)의 보조저장실(38)은 제2 배기구멍(4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밸브격판(50)의 중앙에 용기 본체(20)의 입구(22)와 연결되는 포트(Port: 52)를 갖는 밸브실(54)이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실(54)의 양측에는 주저장실(44)과 연결되는 배기통로(5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실(54)의 상부 중앙에는 주저장실(44)과 연결되는 구멍(58)이 보스(34)와 정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밸브격판(50)의 밸브실(54)에 포트(52)를 여닫을 수 있도록 폐쇄 위치(P1)와 개방 위치(P2) 사이를 운동하는 밸브체(60)가 장착되어 있고, 밸브체(60)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격판(50)의 밸브실(54)에 밸브체(60)의 장착을 위하여 밸브격판(50)은 밸브실(54)을 기준으로 분리할 수 있는 제1 격판분할부(50a)와 제2 격판분할부(50b)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60)의 외면에 로드(Rod: 62)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로드(62)는 밸브격판(50)의 구멍(58)을 통하여 주저장실(44)에 돌출되어 있다. 밸브격판(50)의 구멍(58)을 통하여 주저장실(44)에 돌출되는 로드(62)의 상단에 밀판(64)이 장착되어 있고, 밀판(64)은 보스(34)의 보어(34a)에 작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다. 보스(34)의 보어(34a)에는 밸브체(60)가 개방 위치(P2)로부터 폐쇄 위치(P1)로 편향되도록 밀판(6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 링(70)이 장착되어 있다. 도 1과 도 2에 스프링(70)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스프링(70)은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이나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실시예의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는, 음료 용기(10)의 용기 본체(20)에 음료(2)를 저장하고, 용기 본체(20)의 수나사(26)에 뚜껑(30)의 암나사(32)를 체결하여 입구(22)를 밀폐한다. 음료 용기(10)의 보관 및 운반 중에 음료(2), 예를 들어 탁주, 약주 등의 양조주, 발효 음료가 발효되면서 가스가 발생되면, 음료 용기(10)의 내압이 상승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료 용기(10)의 내압이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되면, 밸브실(54)의 포트(52)를 폐쇄하고 있던 밸브체(60)가 내압을 부여받아 스프링(7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승된다. 밸브체(60)의 상승에 의하여 밸브체(60)는 포트(52)와 배기통로(56)로부터 이격되어 포트(52)와 배기통로(56)가 개방되고, 스프링(70)은 압축된다. 용기 본체(20)의 가스는 포트(52), 밸브실(54), 배기통로(56), 주저장실(44), 제2 배기구멍(42), 보조저장실(38)과 제1 배기구멍(36)의 배기회로를 통하여 음료 용기(10) 밖으로 배출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스의 배출에 의하여 음료 용기(10)의 내압이 설정값 미만으로 낮아지면, 스프링(70)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밀판(64)을 하강시킨다. 밀판(64)과 로드(62)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밸브체(60)는 개방 위치(P2)로부터 폐쇄 위치(P1)로 복귀되어 포트(52)를 폐쇄한다.
한편, 밸브격판(50)의 포트(52)가 밸브체(60)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는 상태 에서는 외부의 공기가 음료 용기(10)의 입구(22)로 유입되지 못한다. 밸브격판(50)의 포트(52)가 밸브체(60)에 의하여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배출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하여 제1 배기통로(56)로 유입되지 못하므로, 음료(2)가 공기와 접촉하여 변질되는 것이 방지된다. 미세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뚜껑(30)의 제1 배기구멍(36)을 통하여 유입될 경우, 오염물질은 보조저장실(38)에 포집되기 때문에 제2 배기구멍(42)을 통과하는 오염물질이 최소화되어 음료(2)를 위생적으로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포트(52)와 배기통로(56)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음료 용기(10)가 흔들리거나 쓰러져 포트(52), 밸브실(54), 배기통로(56)를 통하여 음료(2)가 누출될 경우, 누출되는 음료(2)는 주저장실(44)에 저장된다. 음료(2)가 주저장실(44)로부터 넘칠 경우, 넘치는 음료(2)는 제2 배기구멍(42), 보조저장실(38)과 제1 배기구멍(36)을 통하여 음료 용기(10) 밖으로 누출된다. 이와 같이 음료 용기(10)로부터 누출되는 음료(2)가 배기회로에 저장되어 누출이 최소화된다. 특히, 밸브격판(50)의 포트(52), 밸브실(54), 배기통로(56)를 통하여 누출되는 음료(2)의 대부분은 주저장실(44)에 저장되고, 가스의 배출에 의하여 음료 용기(10)의 내압이 설정값 미만으로 낮아지면 밸브체(60)가 포트(52)를 즉시 폐쇄하기 때문에 배기회로를 통한 음료(2)의 누출은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음료 용기(10)는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음료 용기(10)의 용기 본체(20), 뚜껑(30)은 제1 실시예의 음료 용기(10)의 용기 본체(20), 뚜껑(3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2 실시예의 음료 용기(10)의 용기 본체(20), 뚜껑(30)은 제1 실시예의 음료 용기(10)의 용기 본체(20), 뚜껑(30)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의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는 밸브격판(150), 밸브체(160)와 스프링(170)을 구비한다. 밸브격판(150)은 뚜껑(30)의 내측 중앙에 뚜껑(30)의 내측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에 주저장실(44)을 형성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밸브격판(150)의 중앙에 용기 본체(20)의 입구(22)와 연결되는 복수의 포트(152)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포트(152)들의 한쪽에 주저장실(44)과 포트(152)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배기통로(154)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포트(152)들의 상부에 보스(34)의 보어(34a)에 정렬되도록 주저장실(44)과 포트(152)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구멍(156)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160)는 밸브격판(150)의 배기통로(154)들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멍(156)들에 끼워져 있는 복수의 로드(162)들과, 로드(162)들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밀판(164)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스(34)의 보어(34a)에는 밀판(164)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170)이 장착되어 있다. 도 4와 도 5에 포트(152)들, 배기통로(154)들, 구멍(156)들과 로드(162)들은 2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포트(152)들, 배기통로(154)들, 구멍(156)들과 로드(162)들의 개수 및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가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의 음료 용기용 압력조절밸브 장치는 제1 실시예의 음 료 용기용 압력조절밸브 장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10)에 저장되어 있는 음료(2)가 발효되어 발생되는 가스에 의하여 내압이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되면, 밸브체(160)의 로드(162)들이 내압을 부여받아 스프링(7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승된다. 밸브체(160)의 상승에 의하여 로드(162)들은 배기통로(154)들로부터 이격되어 배기통로(56)들이 개방되고, 스프링(70)은 압축된다. 용기 본체(20)의 가스는 포트(152)들, 배기통로(156)들, 주저장실(44), 제2 배기구멍(42), 보조저장실(38)과 제1 배기구멍(36)의 배기회로를 통하여 음료 용기(10)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밸브체(160)의 로드(162)들이 구멍(156)을 통하여 작동되어 밸브격판(150)의 배기통로(154)들을 개폐하는 구조에 의하여 밸브격판(150)과 밸브체(16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의 밸브격판(150), 밸브체(60)에 비하여 단순화되어 있으며,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는 음료 용기용 압력조절밸브 장치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음료 용기(310)는 용기 본체(320), 뚜껑(3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320)의 입구(322), 병목(324), 수나사(326), 뚜껑(330)의 원통부(330a), 상면부(330b), 암나사(332), 배기구멍(334)은 제1 실시예의 용기 본체(20)의 입구(22), 병목(24), 수나사(26), 뚜껑(30)의 원통부(30a), 상면부(30b), 암나사(32), 제1 배기구멍(36)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뚜껑(330)의 내측 중앙에 뚜껑(330)의 내측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에 주저장실(346)을 형성하는 밸브격판(350)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격판(350)의 상면 중앙에 수나사(352)를 갖는 보스(354)가 형성되어 있고, 보스(354)의 중앙에 용기 본 체(310)의 입구(312)와 뚜껑(330)의 주저장실(346)을 연결하도록 테이퍼형(Tape shape)의 밸브실(356)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실(356)의 한쪽에 밸브실(356)과 뚜껑(330)의 주저장실(346)을 연결하는 배기통로(358)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격판(350)은 뚜껑(330)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밸브격판(350)은 뚜껑(330)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뚜껑(330)의 내면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밸브격판(350)의 밸브실(356)에는 배기통로(358)를 개폐할 수 있도록 테이퍼형 밸브체(360)가 장착되어 있다. 스프링(370)은 밸브체(360)의 상부에 지지되어 밸브체(360)가 개방 위치(P2)로부터 폐쇄 위치(P1)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도 6과 도 7에 스프링(370)은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스프링(370)은 압축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뚜껑(330)의 주저장실(346)에 배기통로(358)를 둘러싸는 보조저장실(382)을 형성하도록 내측 뚜껑(380)이 장착되어 있다. 내측 뚜껑(380)의 내면에 밸브격판(350)의 수나사(352)에 체결되는 암나사(384)가 형성되어 있고 외면 한쪽에는 주저장실(346)과 보조저장실(382)을 연결하는 배기구멍(38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370)의 일단은 밸브체(360)의 상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타단은 내측 뚜껑(380)의 내면 상부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3 실시예의 음료 용기용 압력조절밸브 장치는, 용기 본체(320)에 저장되어 있는 음료(2)의 발효에 의하여 가스가 발생되어 음료 용기(10)의 내압이 설정값 이상으로 상승되면, 밸브체(360)가 스프링(370)의 탄성력 을 극복하면서 상승되어 배기통로(358)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밸브체(360)의 상승에 의하여 스프링(370)은 압축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기통로(358)가 개방되면, 가스는 밸브격판(350)의 밸브실(356), 배기통로(358), 내측 뚜껑(380)의 보조저장실(382), 배기구멍(386), 뚜껑(330)의 주저장실(336), 배기구멍(334)으로 이루어지는 배기회로를 통하여 뚜껑(330) 밖으로 배출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스의 배출에 의하여 음료 용기(310)의 내압이 설정값 미만으로 낮아지면, 스프링(370)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되면서 개방 위치(P2)에 있는 밸브체(360)를 폐쇄 위치(P1)로 복귀시키며, 밸브체(360)는 배기구멍(334)을 폐쇄한다.
뚜껑(330)의 배기구멍(334)을 통하여 유입되는 미세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은 주저장실(336)에 1차 포집되고, 주저장실(336)의 오염물질은 내측 뚜껑(380)의 배기구멍(386)을 통하여 보조저장실(382)에 유입되어 2차 포집되므로, 밸브격판(350)의 배기통로(358)를 통한 오염물질의 유입이 완벽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음료 용기(310)에 저장되는 음료(2)를 위생적으로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밸브격판(350)의 배기통로(358)를 통하여 음료(2)가 누출될 경우, 누출되는 음료(2)는 내측 뚜껑(380)의 보조저장실(382)에 1차 저장된다. 내측 뚜껑(380)에 저장되는 음료(2)가 넘쳐 내측 뚜껑(380)의 배기구멍(386)을 통하여 누출되면, 누출되는 음료(2)는 뚜껑(330)의 주저장실(336)에 2차 저장된다. 마지막으로, 음료(2)는 뚜껑(330)의 주저장실(336)로부터 배기통로(358)를 통하여 음료 용기(310)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음료(2)의 누출은 최소화된다. 따라서 음료 용 기(310)는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음료 용기(310)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내압이 상승됨에 따라 폐쇄되어 있던 밸브가 개방되어 내압이 제어되며, 외부로부터 공기 및 오염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어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밸브의 개방 시 형성되는 배기회로를 통하여 용기 본체로부터 누출되는 음료가 뚜껑의 저장실에 저장되어 음료의 누출이 최소화되므로, 음료 용기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음료의 저장을 위하여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를 갖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외면에 음료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배출을 위한 제1 배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모서리에 상기 제1 배기구멍을 둘러싸는 보조저장실을 형성하도록 격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의 한쪽에 상기 주저장실과 상기 보조저장실을 연결하도록 제2 배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과;상기 뚜껑의 내측 중앙에 상기 뚜껑의 내측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에 상기 제1 배기구멍과 연결되는 주저장실을 형성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중앙에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와 연결되는 포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 상기 주저장실과 상기 포트를 연결하는 배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격판과;상기 밸브격판의 포트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밸브격판의 포트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밸브체와;상기 뚜껑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체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편향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격판의 포트와 상기 배기통로 사이에 상기 밸브체가 장착되는 밸브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체의 상부에 상기 밸브격판을 관통하여 상기 주저장실에 돌출되는 로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로드의 상단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부여받는 밀판이 장착되어 있는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격판의 포트와 배기통로 각각은 복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격판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배기통로들을 개폐하는 복수의 로드들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로드들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부여받는 밀판이 장착되어 있는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
- 음료의 저장을 위하여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 본체를 갖는 음료 용기에 있어서,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외면에 음료로부터 발생되는 가스의 배출을 위한 배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과;상기 뚜껑의 내측 중앙에 상기 뚜껑의 내측을 상하로 구획하여 상부에 상기 배기구멍과 연결되는 주저장실을 형성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의 입구와 상기 주저장실을 연결하도록 중앙에 밸브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실의 한쪽에 상기 주저장실과 밸브실을 연결하는 배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격판 과;상기 밸브격판의 밸브실에 상기 배기통로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배기통로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를 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밸브체와;상기 뚜껑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밸브체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편향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상기 뚜껑의 주저장실에 상기 밸브체의 배기통로를 둘러싸는 보조저장실을 형성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외면에 상기 주저장실과 보조저장실을 연결하는 배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0185A KR100837233B1 (ko) | 2006-09-18 | 2006-09-18 |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0185A KR100837233B1 (ko) | 2006-09-18 | 2006-09-18 |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5557A KR20080025557A (ko) | 2008-03-21 |
KR100837233B1 true KR100837233B1 (ko) | 2008-06-12 |
Family
ID=3941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0185A KR100837233B1 (ko) | 2006-09-18 | 2006-09-18 |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723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2781B1 (ko) * | 2010-11-03 | 2013-04-09 | 주식회사 수라궁종합식품 | 표고버섯 김치의 신선도 유지용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 |
DE102011015928B3 (de) * | 2011-04-12 | 2012-06-06 | alfi GmbH Isoliergefäße, Metall- und Haushaltswaren | Verschluss für eine Trinkflasche |
CN103622280A (zh) * | 2013-12-05 | 2014-03-12 | 巫蔡泉 | 水瓶免紧式防倾倒漏水方法及装置 |
KR102605652B1 (ko) * | 2016-01-19 | 2023-11-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발효장치 |
CN109703895A (zh) * | 2018-07-19 | 2019-05-03 |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实业有限公司 | 一种自动泄气盖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7165U (ko) * | 1999-06-29 | 1999-10-05 | 사태형 | 밀폐용포장용기 |
KR200326994Y1 (ko) * | 2003-06-09 | 2003-09-19 | 남한우 | 캔용기의 가스배출구조 |
KR200390816Y1 (ko) | 2005-01-31 | 2005-07-27 | 푸-롱 수 | 밀폐 주머니용 단방향 에어 밸브 |
-
2006
- 2006-09-18 KR KR1020060090185A patent/KR10083723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7165U (ko) * | 1999-06-29 | 1999-10-05 | 사태형 | 밀폐용포장용기 |
KR200326994Y1 (ko) * | 2003-06-09 | 2003-09-19 | 남한우 | 캔용기의 가스배출구조 |
KR200390816Y1 (ko) | 2005-01-31 | 2005-07-27 | 푸-롱 수 | 밀폐 주머니용 단방향 에어 밸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5557A (ko) | 2008-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7233B1 (ko) | 음료 용기용 압력제어밸브 장치 | |
JP6059489B2 (ja) | 吐出容器 | |
JP6014405B2 (ja) | 吐出容器 | |
CN101014480A (zh) | 用于燃料箱的双功能阀 | |
US20200154915A1 (en) | Beverage Receptacle and Valve for Injection-Via-Bottom Beverage Receptacle | |
CN101143631A (zh) | 真空阀型密封容器 | |
KR20030015257A (ko) | 흡입관을 갖는 탄산 음료 용기를 위한 유출 방지 유량제어 장치 | |
CN106864973A (zh) | 食品容器 | |
US5433338A (en) | Demountable cap for disposable containers of liquid | |
KR101174388B1 (ko) |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 |
US20230080132A1 (en) | Box for preservation under vacuum and vacuum-application system comprising such a box | |
KR101504428B1 (ko) | 용기 마개 | |
KR20040074663A (ko) | 배출대형 내용물 배출장치 | |
KR200233048Y1 (ko) | 탁주병뚜껑의 발효가스 배출장치 | |
JPS5890051A (ja) | 圧力補償装置 | |
US7234480B2 (en) | Telescopic snap valve | |
KR200259302Y1 (ko) | 발효용 용기뚜껑 | |
US10752413B2 (en) | Container for keeping fermented food | |
WO2022110533A1 (zh) | 一种阀体的密封结构、阀及cflvv阀 | |
CN214216764U (zh) | 瓶盖及具有其的水瓶 | |
KR102423879B1 (ko) | 공기유입용 체크밸브가 구비된 액체 용기 뚜껑 | |
KR0176678B1 (ko) | 급수밸브를 갖는 워터디스펜서 | |
JP2001019011A (ja) | 容器の蓋 | |
JPS6396076A (ja) | クリ−ム状流動物の分与容器 | |
JPS6245622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