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640A - 발효조 - Google Patents

발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640A
KR20190055640A KR1020170152577A KR20170152577A KR20190055640A KR 20190055640 A KR20190055640 A KR 20190055640A KR 1020170152577 A KR1020170152577 A KR 1020170152577A KR 20170152577 A KR20170152577 A KR 20170152577A KR 20190055640 A KR20190055640 A KR 20190055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gas
flow path
spa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266B1 (ko
Inventor
홍진표
이대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2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266B1/ko
Priority to EP18188678.9A priority patent/EP3486307B1/en
Priority to US16/189,028 priority patent/US11015155B2/en
Publication of KR20190055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3/00Brew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C12C1/00 - C12C12/04
    • C12C13/10Home brew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03Fermentation of beerwort
    • C12C11/006Fermentation tank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7Continuous fermentation
    • C12C11/075Bioreactors for continuous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1/00Preparation of wine or sparkling wine
    • C12G1/02Preparation of must from grapes; Must treatment and fermentation
    • C12G1/0206Preparation of must from grapes; Must treatment and fermentation using a home wine making vess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11/00Fermentation processes for beer
    • C12C11/07Continuous fer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는,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과, 발효공간과 연통되는 제1가스유로가 형성된 발효 컨테이너; 및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제2가스유로가 형성된 발효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리드가 발효 컨테이너를 폐쇄할 경우, 발효 컨테이너와 발효 리드의 사이에는 제1가스유로 및 제2가스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가스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효조{FERMENTATION}
본 발명은 발효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 음료가 제조되는 발효조에 관한 것이다.
음료는 술이나 차 등의 음용 가능한 액체를 총칭한다. 예컨대, 음료는 갈증을 해결하기 위한 물(음료수), 독특한 향과 맛을 갖는 과즙음료, 청량감을 주는 청량음료, 각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호음료, 또는 알코올 효과가 있는 알코올 음료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대표적인 예로서 맥주가 있다. 맥주는 보리를 싹틔워 만든 맥아(麥芽. 엿기름)로 즙을 만들어 여과한 후, 홉(hop)을 첨가하고 효모로 발효시켜 만든 술이다.
소비자는 맥주제조회사에서 제조하여 판매하는 기성품을 구입하거나 가정 또는 술집에서 맥주의 재료를 직접 발효시킨 하우스맥주(또는 수제맥주)를 음용할 수 있다.
하우스맥주는 기성품보다 다양한 종류로 제조될 수 있고, 소비자 취향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맥주 제조를 위한 재료는 물과, 맥아, 홉(hop), 이스트, 향 첨가제 등 일 수 있다.
이스트는 효모라 불릴 수 있고, 맥아에 첨가되어 맥아를 발효시킬 수 있고 알코올과 탄산을 생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향 첨가제는 과일이나 시럽, vanilla beans와 같이 맥주의 맛을 높이는 첨가물이다.
통상적으로 하우스 맥주는 맥즙생성단계, 발효단계, 숙성단계의 총 3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맥즙생성단계에서 숙성단계까지 2주에서 3주 정도 소요될 수 있다.
하우스 맥주는 발효 단계시 최적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간편하게 제조될수록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최근에는 가정이나 술집에서 손쉽게 하우스 맥주를 제조할 수 있는 음료 제조기가 점차 사용되는 추세이고, 이러한 음료 제조기는 안전하고 간편하게 맥주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용이하게 배출되는 발효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는,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과, 상기 발효공간과 연통되는 제1가스유로가 형성된 발효 컨테이너; 및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제2가스유로가 형성된 발효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리드가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폐쇄할 경우, 상기 발효 컨테이너와 상기 발효 리드의 사이에는 상기 제1가스유로 및 상기 제2가스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가스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챔버의 단면적은 상기 제1가스유로 및 상기 제2가스유로 각각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가스 챔버의 가스가 상기 발효 리드와 상기 발효 컨테이너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은 상기 발효 리드와 상기 발효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는 상기 제1가스유로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는,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과, 상기 발효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제1가스유로 및 제1메인유로가 형성된 발효 컨테이너; 및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제2가스유로 및 제2메인유로가 형성된 발효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리드가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폐쇄할 경우, 상기 발효 컨테이너와 상기 발효 리드의 사이에는 상기 제1가스유로 및 상기 제2가스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가스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의 각 단면적은, 상기 제1가스유로 및 상기 제2가스유로 각각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가스 챔버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메인유로 및 상기 제2메인유로는 함께 상기 가스 챔버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유로는 상기 제1가스배출유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메인유로는 상기 제2가스배출유로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유로로 유동되는 유체가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은 상기 발효 리드와 상기 발효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스유로는,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발효 컨테이너의 외둘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스유로 및 상기 제2메인유로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수직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2가스유로의 수직부는, 상기 제2메인유로의 수직부와 상기 발효 리드의 외둘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는,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과, 상기 발효공간과 연통되는 제1가스유로가 형성된 발효 컨테이너;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안착되는 아우터 리드; 및 상기 아우터 리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가스유로가 형성된 이너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리드 및 상기 이너 리드가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폐쇄할 경우, 상기 발효 컨테이너와 상기 이너 리드의 사이에는 상기 제1가스유로 및 상기 제2가스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가스 챔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리드에는, 상기 이너 리드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발효 컨테이너와 체결되는 록킹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리드와 상기 발효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가스 챔버의 가스가 상기 이너 리드와 상기 발효 컨테이너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리드의 상단에는 상기 이너 리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는,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 탱크; 발효 공간 및 상기 발효공간과 연통되는 제1가스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발효 탱크로 삽입되는 음료 제조팩;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제2가스유로가 형성된 발효 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 리드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음료 제조팩과 상기 발효 리드의 사이에는 상기 제1가스유로 및 상기 제2가스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제1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료 제조팩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내측 공간은 상기 제1공간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1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발효리드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음료 제조팩과 상기 발효 리드의 사이에는 제2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은 상기 파지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공간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의 가스가 상기 제2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실링; 및 상기 제2공간의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링과 상기 제2실링 각각은, 상기 음료 제조팩 및 상기 발효 리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는, 상기 음료 제조팩에는 상기 제1가스유로와 이격된 제1메인유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발효 리드에는 상기 제2가스유로와 이격된 제2메인유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발효 리드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 사이의 간극을 막는 제3실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실링은 상기 음료 제조팩과 상기 발효 리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 챔버가 제1가스유로 및 제2가스유로와 각각 연통되므로, 제1가스유로와 제2가스유로가 서로 정확히 대응되지 않더라도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가스챔버에 의해 제1가스유로와 제2가스유로의 개수가 서로 다르더라도 용이하게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실링이 구비되어 가스 챔버의 가스가 상기 발효 리드와 상기 발효 컨테이너 사이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유로를 통해 유체가 발효조로 용이하게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또한, 발효 리드가 발효 컨테이너를 폐쇄한 경우에 제1메인유로와 제2메인유로가 연통되므로, 사용자에게 발효조의 올바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유로의 적어도 일부가 가스 챔버에 위치하여, 메인 유로가 가스 챔버 외부에 있는 경우보다 발효조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또한, 실링이 구비되어 메인유로로 유동되는 유체가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 사이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발효 리드는 아우터 리드와 이너 리드를 포함하고 이너 리드에 록킹부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발효 리드를 회전 잠금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팩에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사용자는 파지부를 잡고 음료 제조팩을 용이하게 발효 탱크에 넣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리드가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폐쇄할 경우 상기 음료 제조팩과 상기 발효 리드의 사이에는 버퍼 공간이 형성되어, 가스 챔버에서 가스가 유출되더라도 곧바로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버퍼 공간에 잡아둘 수 있다.
또한, 제1실링은 가스 챔버의 가스 유출을 방지하고, 제2실링은 버퍼 공간의 가스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발효조의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에서 음료 제조팩이 발효 탱크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를 개방하고, 발효 탱크에 음료 제조팩을 수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가스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메인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과 가스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는 도 4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메인 유로를 통해 취출되는 음료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발효 리드가 폐쇄되고 록킹된 경우, 가스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언록킹 상태일 경우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록킹 상태일 경우의 횡단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가스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메인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과 가스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메인 유로를 통해 취출되는 음료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발효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발효조를 이용하여 제조 가능한 음료의 종류가 맥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효조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에서 음료 제조팩이 발효 탱크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를 개방하고, 발효 탱크에 음료 제조팩을 수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가스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에 대해 설명한다.
발효조(1)는 발효 컨테이너(10)와 발효 리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0)에는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S1)과, 발효공간(S1)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가스유로(51)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 컨테이너(10)는 음료 제조팩(20)과 발효 탱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탱크(30)에는 개구부(31)가 형성될 수 있고, 음료 제조팩(20)은 개구부(31)를 통해 발효 탱크(30)에 삽입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20)에는 발효공간(S1) 및 제1가스유로(51)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음료 제조팩(20)은 팩 바디(21)와 팩 컨테이너(22)를 포함할 수 있다.
팩 바디(21)는 발효 탱크(30)에 형성된 지지부(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팩 컨테이너(22)는 팩 바디(21)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발효 탱크(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팩 컨테이너(22)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부피 조절이 가능하여 발효 탱크(30)의 개구부(31)로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팩 컨테이너(22)는 페트(pet)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팩 컨테이너(22)의 내부 공간은 발효 공간(S1)을 포함할 수 있고, 팩 바디(21)에는 발효 공간(S1)과 연통되는 제1가스유로(51)가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는 발효 컨테이너(10)를 개폐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는 발효 컨테이너(10)의 상측에서 발효 컨테이너(10)를 개폐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는 발효 탱크(30)의 개구부(31)를 음료 제조팩(20)과 함께 폐쇄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0)와 발효 리드(4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효 리드(40)는 발효 컨테이너(10)의 연결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발효 리드(40)는 발효 컨테이너(10)에 힌지 연결되거나, 발효 컨테이너(10)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에는 제2가스유로(5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스유로(53)는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할 경우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수직부(53A)와,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수평부(53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 챔버(52)의 가스는 수직부(52A) 및 수평부(52B)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안내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가스유로(53)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제2가스유로(53)는 곡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수직부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스유로(53)는 발효조(1)의 외부로 연장되거나, 발효 리드(40)의 내부에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가스유로(53)는 별개의 외부 가스유로(2)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가스유로(53)가 외부 가스유로에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2가스유로(53)를 통과한 가스는 외부 가스유로(2)로 유입되고, 외부 가스유로(2)는 유입된 가스를 배출 위치까지 안내할 수 있다.
외부 가스유로(2)에는 가스배출밸브(3)가 구비될 수 있다. 가스배출밸브(3)는 외부 가스유로(2)를 개폐하거나 개도를 조절하여 가스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외부 가스유로(2)와 제2가스유로(53)의 연결부(2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 리드(40)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외부 가스 유로(2)는 발효 리드(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가스유로(53)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가스유로(2)와 제2가스유로(53)의 연결부(2A)는 발효 리드(4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할 경우, 발효 컨테이너(10)와 발효 리드(40)의 사이에는 가스 챔버(52)가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챔버(52)는 발효 컨테이너(10)에 형성된 제1가스유로(51)와, 발효 리드(40)에 형성된 제2가스유로(53)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제1가스유로(51)와, 가스챔버(52)와, 제2가스유로(53)는 발효 공간(S1)에서 발생한 가스를 발효조(1)의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유로(50)를 구성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 과정 중 발효 공간에서 발생한 가스는 제1가스유로(51)를 통해 가스 챔버(52)로 유입될 수 있고 가스 챔버(52)로 유입된 가스는 제2가스유로(53)를 통해 발효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발효 과정시 발효 공간(S1)의 내압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제1가스유로(51)와 제2가스유로(53)의 단면적은 충분히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가스 챔버(52)의 단면적은 제1가스유로(51) 및 제2가스유로(53) 각각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각 단면적은 가스의 유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의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이로써, 제1가스유로(51)와 제2가스유로(53)가 서로 정확히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지 않더라도, 발효 공간(S1)에서 발생한 가스가 가스유로(50)를 따라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가스유로(51)가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에도 각 제1가스유로(51)로 안내된 가스가 가스챔버(52)에 모여 제2가스유로(53)로 안내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20)과 발효 리드(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중공부나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공부나 함몰부의 내측 공간(52A)(52B)은 가스 챔버(52)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료 제조팩(20)과 발효 리드(40) 각각에 중공부(23)(43)가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음료 제조팩(20)에는 컨테이너측 중공부(23)가 형성될 수 있고, 발효 리드(40)에는 리드측 중공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측 중공부(23)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리드측 중공부(43)는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컨테이너측 중공부(23)와 리드측 중공부(43)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컨테이너측 중공부(23)와 리드측 중공부(43)는 서로 맞닿거나 상하로 오버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리드측 중공부(43)의 외주면과 컨테이너측 중공부(23)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컨테이너측 중공부(23)의 내측 공간(52A)과 리드측 중공부(43)의 내측 공간(52B)은 함께 가스 챔버(5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발효조(1)는 가스 챔버(52)의 가스가 발효 리드(40)와 발효 컨테이너(10)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61)은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61)은 발효 리드(40)와 발효 컨테이너(1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실링(61)은 컨테이너측 중공부(23)와 리드측 중공부(43)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하는 경우, 실링(61)은 발효 리드(40)와 발효 컨테이너(10)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어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실링(61)이 구비됨으로써, 제1가스유로(51)를 통해 가스 챔버(52)로 유입된 가스는 온전히 제2가스유로(52)로 안내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발효 리드(40)를 열고 음료 제조팩(20)을 발효 탱크(30)의 개구부(31)로 넣을 수 있다. 이 때 음료 제조팩(20)의 내부에는 발효 재료가 들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사용가는 발효 리드(40)를 닫아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하고 발효를 개시할 수 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음료 제조팩(20) 내부의 발효 공간(S1)에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발효 공간(S1)의 내압은 점점 상승하며 팩 컨테이너(22)를 팽창시키며 적정 수준의 내압에 도달할 수 있다.
발효 공간(S1)의 내압이 적정 수준에 도달하였음에도 가스가 계속 발생하면, 상기 가스는 제1가스유로(51)를 통해 가스 챔버(52)로 유입될 수 있고, 가스 챔버(52)의 가스는 제2가스유로(53)를 통해 발효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가스유로(53)가 외부 가스유로(2)와 연결된 경우, 가스배출밸브(3)가 오픈되면 제2가스유로(53)를 통과한 가스는 외부 가스유로(2)로 안내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발효 공간(S1)의 내압이 적정 수준으로 유지되며 발효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가스배출밸브(3)를 조절하여 상기 내압을 컨트롤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은 도 4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메인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과 가스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는 도 4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메인 유로를 통해 취출되는 음료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는 메인유로(70) 및 그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는 메인유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70)의 일부는 발효공간(S1)과 연통되도록 발효 컨테이너(10)에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발효 리드(40)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유로(70)는 발효조(1)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발효 공간(S1)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 발효조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일 경우, 상기 유체는 물, 공기, 맥즙, 물과 맥아의 혼합물 또는 물과 첨가물(이스트, 홉, 오일)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또한, 메인유로(70)는 발효 공간(S1)의 유체를 발효조(1)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체는 제조 완료된 맥주 등의 음료일 수 있다.
음료의 취출이 용이하기 위해, 메인유로(70)는 음료 제조팩(20)의 내측 바닥면에 근접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튜브(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메인유로(70)는 유체를 양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유체가 원활하게 유동되기 위해, 메인유로(70)의 단면적은 제1가스유로(51) 및 제2가스유로(52) 각각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메인유로(71) 및 제2메인유로(72)의 각 단면적은 제1가스유로(51) 및 제2가스유로(52)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메인유로(70)는 가스 챔버(52)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후술할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는 함께 가스 챔버(52)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메인유로(70)의 단면적은 가스 챔버(52)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후술할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의 각 단면적은 가스 챔버(52)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가스 챔버(52)의 형상은 대략 토러스 형상이나 도넛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메인유로(70)가 가스 챔버(52)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해 발효조(1)가 컴팩트하게 구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메인유로(70)는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유로(71)는 발효 컨테이너(10)에 제1가스유로(51)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메인유로(71)는 음료 제조팩(20)의 팩바디(21)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메인유로(71)는 발효 컨테이너(10)의 직경 방향으로 제1가스유로(51)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가스유로(51)는 제1메인유로(71)와 발효 컨테이너(10)의 외둘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메인유로(72)는 발효 리드(40)에 제2가스유로(53)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메인유로(72)는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할 경우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수직부(72A)와, 수평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수평부(72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메인유로(7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제2책체유로(72)는 곡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수직부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메인유로(72)의 수직부(72A)는 발효 리드(40)의 직경방향에 대해 상기 제2가스유로(53)의 수직부(53A)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가스유로(53)의 수직부(53A)는, 제2메인유로(72)의 수직부(72A)와 발효 리드(40)의 외둘레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할 경우, 제2메인유로(72)는 제1메인유로(7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좀 더 상세하게는, 제2메인유로(72)의 수직부(72A)는 제1메인유로(71)와 연통될 수 있다.
연통된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는 함께 메인유로(70)를 구성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 시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가 용이하게 연결되기 위해,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의 단면적은 모두 제1가스유로(51) 및 제2가스유로(52) 각각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제2메인유로(72)는 발효 리드(40)의 외둘레까지 연장되거나, 발효 리드(40)의 내부에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메인유로(72)는 별개의 외부 유로(4)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메인유로(72)가 외부 유로(4)에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외부 유로(4)와 제2메인유로(72)의 연결부(4A)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 리드(40)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외부 유로(4)는 발효 리드(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메인유로(72)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유로(4)와 제2메인유로(72)의 연결부(4A)는 발효 리드(4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외부 유로(4)는 음료의 제조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발효조(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외부 유로(4)는 분지되어 급수부(5), 취출부(6), 재료 공급부(7)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급수부(5)는 발효조(1)의 발효 공간(S1)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수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부(5)가 직수 방식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취출부(6)는 발효조(1)의 발효 공간(S1)에서 발효되어 제조가 완료된 음료가 취출될 수 있는 구성으로써, 디스펜서나 탭(Ta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 공급부(7)는 음료의 발효에 필요한 재료를 공급하는 구성일 수 있다. 발효조(1)에서 제조되는 음료가 맥주일 경우, 상기 재료는 맥아, 맥즙, 홉, 오일, 이스트 등일 수 있다. 또한, 재료 공급부(7)는 상기 재료를 물과 혼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나 혼합물 등의 유체가 발효조(1)로 유입되는 경우, 급수부(5) 및/또는 재료 공급부(7)의 유체는 외부 유로(4)를 통해 발효조(1)로 안내될 수 있고, 제2메인유로(72)와 제1메인유로(7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 공간(S1)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완료된 음료가 발효 공간(S1)에서 외부 유로(4)를 통해 취출되는 경우, 상기 음료는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 유로(4)로 유동될 수 있고, 취출부(6)에서 취출될 수 있다.
한편, 음료 제조팩(20)과 발효 리드(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이너 중공부(24)(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음료 제조팩(20)과 발효 리드(40) 각각에 이너 중공부(24)(44)가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음료 제조팩(20)에는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가 형성될 수 있고, 발효 리드(40)에는 리드측 이너 중공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는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리드측 이너 중공부(44)는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와 리드측 이너 중공부(4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는 발효 컨테이너(10)의 반경 방향에 대해 컨테이너측 중공부(23)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리드측 이너 중공부(44)는 발효 리드(40)의 반경 방향에 대해 리드측 중공부(43)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메인유로(71)는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의 내측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제2메인유로(72)는 리드측 이너 중공부(44)의 내측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와 리드측 이너 중공부(44)는 서로 맞닿거나 상하로 오버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리드측 이너 중공부(44)의 외주면과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는 메인유로(70)로 유동되는 유체가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62)에 의해, 메인유로(70)를 통과하는 유체가 가스 챔버(52) 내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명확한 구분을 위해, 가스 챔버(52)의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61)을 가스 실링으로, 메인유로(70)의 유체가 가스 챔버(52)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62)을 유체 실링으로 명명할 수 있다.
유체 실링(62)은 가스 실링(61)과 마찬가지로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체 실링(62)은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와 리드측 이너 중공부(4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하는 경우, 유체 실링(62)은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와 리드측 이너 중공부(44)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어 실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발효 리드(40)를 열고 음료 제조팩(20)을 발효 탱크(30)의 개구부(31)로 넣을 수 있고, 발효 리드(40)를 닫아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할 수 있다. 이후, 급수부(5) 및 재료 공급부(7)의 유체가 외부 유로(4)를 통해 발효조(1)로 유입되고, 제2메인유로(72)와 제1메인유로(7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 공간(S1)으로 유입되고 발효가 개시될 수 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음료 제조팩(20) 내부의 발효 공간(S1)에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발효 공간(S1)의 내압은 점점 상승하며 팩 컨테이너(22)를 팽창시키며 적정 수준의 내압에 도달할 수 있다.
발효 공간(S1)의 내압이 적정 수준에 도달하였음에도 가스가 계속 발생하면, 상기 가스는 제1가스유로(51)를 통해 가스 챔버(52)로 유입될 수 있고, 가스 챔버(52)의 가스는 제2가스유로(53)를 통해 발효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가스유로(53)가 외부 가스유로(2)와 연결된 경우, 가스배출밸브(3)가 오픈되면 제2가스유로(53)를 통과한 가스는 외부 가스유로(2)로 안내되어 배출될 수 있다.
발효가 끝나고 음료의 제조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발효 공간(S1)에 수용된 음료는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 유로(4)로 유동되고, 취출부(6)에서 취출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발효 리드가 폐쇄되고 록킹된 경우, 가스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언록킹 상태일 경우의 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록킹 상태일 경우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 리드(40)는 아우터 리드(41)와 이너 리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리드(41)는 발효 컨테이너(10)에 안착될 수 있다.
아우터 리드(41)는 이너 리드(42)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너 리드(42)는 아우터 리드(4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리드(41)는 상하방향에 대해 이너 리드(42)를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너 리드(42)에는 제2가스유로(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리드(42)의 상측에는 손잡이(42A)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42A)를 파지하여 이너 리드(4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료 제조팩(20)과 발효 리드(4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중공부나 함몰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공부나 함몰부의 내측 공간은 가스 챔버(52)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음료 제조팩(20)에는 함몰부(25)가 형성되고, 발효 리드(40)에는 중공부(45)가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발효 리드(40)의 이너 리드(42)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중공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음료 제조팩(20)에는 상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45)와 함몰부(25)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발효 리드(40)의 중공부(45)는 음료 제조팩(20)의 상면에 접하거나 상하로 오버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중공부(45)의 외주면과 함몰부(25)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가스 챔버(52)는 이너 리드(42)와 발효 컨테이너(1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발효 리드(40)의 중공부(45)의 내측 공간과, 음료 제조팩(20)의 함몰부(25)의 내측 공간은 함께 가스 챔버(5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가스유로(53)는 발효 리드(40)의 이너 리드(42)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 리드(41) 및 이너 리드(42)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할 경우, 가스 챔버(52)는 발효 컨테이너(10)와 이너 리드(4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리드(41)에는 관통홀(41A)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가스 유로(2)는 관통홀(41A)로 삽입될 수 있고, 이너 리드(42)의 제2가스유로(53)와 연통될 수 있다.
아우터 리드(41)의 내둘레와 이너 리드(42)의 외둘레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42A)이 형성될 수 있고, 외부 가스 유로(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간극(42A)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 가스 유로(2)와 제2가스유로(53)의 연결을 유지하며 이너 리드(42)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외부 가스 유로(2)와 제2가스유로(53)의 연결부(2A)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리드(42)의 외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외부 가스 유로(2)는 이너 리드(42)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가스유로(53)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가스 유로(2)와 제2가스유로(53)의 연결부(2A)는 이너 리드(4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우터 리드(41)의 관통홀(41A)은, 이너 리드(42)가 회전하여 록킹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제2가스유로(53)의 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가스 유로(53)와 외부 가스유로(2)의 연결부(2A)는, 발효 리드(40)가 록킹 상태일 경우에 관통홀(41A)과 가장 가까워질 수 있다.
한편, 발효 리드(40)의 이너 리드(42)에는, 이너 리드(42)를 일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발효 컨테이너(10)와 체결되는 록킹부(46)가 구비될 수 있다.
록킹부(46)는 이너 리드(42)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중공부(45)는 이너 리드(42)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록킹부(46)는 중공부(45)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효 컨테이너(10)에는 상기 록킹부(46)를 구속하는 걸림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3)는 발효 탱크(3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발효 탱크(30)의 상부 내둘레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3)는 개구부(31) 및 지지부(32)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록킹부(46)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록킹부(46)는 이너 리드(42)의 외주면 둘레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33)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걸림부(33)는 발효 탱크(30)의 내둘레를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각 록킹부(46)는 일 걸림부(33)와 타 걸림부(33) 사이의 간극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각 록킹부(46)는 일 걸림부(33)와 타 걸림부(33) 사이의 간극을 상하 방향으로 통과할 정도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발효조(1)가 록킹(locking) 상태일 경우, 발효 리드(40)의 록킹부(46)는 발효 컨테이너(10)의 걸림부(33)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발효 리드(40)가 상하 방향에 대해 구속되어 열리지 않을 수 있다.
록킹 상태에서 이너 리드(42)를 타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발효조(1)는 언락(Unlock)될 수 있다. 이 경우, 록킹부(46)는 걸림부(33)의 하측에서 이탈할 수 있고, 일 걸림부(33)와 타 걸림부(33) 사이의 간극을 마주볼 수 있다. 즉, 발효 리드(40)는 상하 방향에 대해 구속되지 아니하고, 이 상태에서 발효 리드(4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록킹부(46)는 일 걸림부(33)와 타 걸림부(33)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여 발효 컨테이너(40)에서 완전히 이탈할 수 있다.
한편, 이너 리드(42)와 발효 컨테이너(1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가스 챔버(52)의 가스가 이너 리드(42)와 발효 컨테이너(10)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63)이 구비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실링(63)은 이너 리드(42)와 음료 제조팩(21)의 상면의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또한, 발효 탱크(30)와, 발효 리드(40)의 아우터 리드(41)의 사이에서 압착되는 별개의 실링(미도시)이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발효 리드(40)를 열고 음료 제조팩(20)을 발효 탱크(30)의 개구부(31)로 넣을 수 있다. 이 때 음료 제조팩(20)의 내부에는 발효 재료가 들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사용가는 발효 리드(40)를 닫을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닫히는 과정에서, 발효 리드(40)의 록킹부(46)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발효 컨테이너(10)의 일 걸림부(33)와 타 걸림부(33) 사이의 간극을 통과할 수 있다. 발효조(1)는 아직 언락 상태일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42A)를 파지하여 이너 리드(42)를 회전시키면, 록킹부(46)는 걸림부(33)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측 방향에 대해 걸림부(33)에 걸릴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는 록킹 상태가 될 수 있고, 발효 컨테이너(10)는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이후, 발효가 개시될 수 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음료 제조팩(20) 내부의 발효 공간(S1)에서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발효 공간(S1)의 내압은 점점 상승하며 팩 컨테이너(22)를 팽창시키며 적정 수준의 내압에 도달할 수 있다.
발효 공간(S1)의 내압이 적정 수준에 도달하였음에도 가스가 계속 발생하면, 상기 가스는 제1가스유로(51)를 통해 가스 챔버(52)로 유입될 수 있고, 가스 챔버(52)의 가스는 제2가스유로(53) 및 외부 가스 유로(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발효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가스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의 음료 제조팩(20)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파지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26)를 파지하여 음료 제조팩(20)을 용이하게 발효 탱크(30)에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파지부(26)는 음료 제조팩(20)의 상면 중, 컨테이너측 중공부(23)의 내측에 위치한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지부(26)의 적어도 일부는 컨테이너측 중공부(23)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파지부(26)는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파지부(26)의 내측 공간은 가스 챔버(52)에 포함되거나, 가스 챔버(52)와 연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음료 제조팩(20)에는 함몰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5)는 음료 제조팩(20)의 상면 중 파지부(26)의 내측에 위치한 부분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지부(26)의 내측 공간과 함몰부(25)의 내측공간은 서로 연통될 수 있고, 발효 리드(40)의 돌출부(47)에 의해 커버되어 함께 가스 챔버(52)를 형성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7)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7)는 발효 리드(40)의 저면 중, 리드측 중공부(43)의 내측에 위치한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47)의 적어도 일부는 리드측 중공부(4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할 경우, 돌출부(47)는 파지부(26)의 내측공간을 커버하여 가스 챔버(5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가스유로(47)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부(47)에 위치할 수 있다.
음료 제조팩(20)의 파지부(26)와 발효 리드(40)의 돌출부(47)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발효 리드(40)의 돌출부(47)는 적어도 일부가 음료 제조팩(20)의 파지부(26)에 인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돌출부(47)의 저면이 파지부(26)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할 경우, 음료 제조팩(20)과 발효 리드(40)의 사이에는 버퍼 공간(54)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 공간(54)은 파지부(26)의 외측에 위치하고, 가스 챔버(52)와 이격될 수 있다.
버퍼 공간은 가스 챔버(52)와 분리된 공간으로써, 가스 챔버(52)의 가스가 유출되더라도 곧바로 발효조(1)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가스를 잡아두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의 리드측 중공부(43)와 돌출부(47)의 사이 공간과, 음료 제조팩(20)의 컨테이너측 중공부(23)와 파지부(26)의 사이 공간은 함께 버퍼 공간(54)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버퍼 공간(54)은 대략 도넛 형상 또는 토러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스 챔버(52)는 제1공간으로 명명될 수 있고 버퍼 공간(54)은 제2공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는 가스 챔버(52)의 가스가 버퍼 공간(54)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실링(65)와, 버퍼 공간(54)의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실링(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65) 및 제2실링(66)은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링(65) 및 제2실링(66)은 각각 발효 리드(40)와 발효 컨테이너(1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실링(65)은 파지부(26)와 돌출부(47)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고, 제2실링(66)은 컨테이너측 중공부(23)와 리드측 중공부(43)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제1실링(47)은 돌출부(47)의 외주면과 파지부(26)의 내주면 사이에서 압착되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제2실링(66)은 리드측 중공부(43)의 저면과 컨테이너측 중공부(23)의 상면 사이에서 압착되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각 실링(65)(66)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효 리드(40)와 발효 컨테이너(10)의 결합 관계에 따라 실링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1실링(65)과 제2실링(66)에 의해 발효조(1)의 실링 효과가 이중으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가스의 유출 가능한 방향에 대해 제1실링(65)과 제2실링(66)의 사이에 버퍼 공간(54)이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발효조(1)의 실링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개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메인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과 가스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발효조의 발효 리드가 폐쇄된 경우, 메인 유로를 통해 취출되는 음료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도 13 및 도 1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발효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는 메인유로(70) 및 그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제4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의 음료 제조팩(20)에는 제1가스유로(51)와 이격된 제1메인유로(71)가 더 형성되고, 발효 리드(40)에는 제2가스유로(53)와 이격된 제2메인유로(7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할 경우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는 연통될 수 있으며, 함께 메인유로(70)를 구성할 수 있다. 메인유로(7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앞서 제2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한편,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음료 제조팩(20)과 발효 리드(40) 각각에 이너 중공부(24)(44)가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제조팩(20)에는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는 함몰부(25)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의 적어도 일부는 함몰부(2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에는 리드측 이너 중공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리드측 이너 중공부(44)는 돌출부(47)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와 리드측 이너 중공부(44)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메인유로(71)는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의 내측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제2메인유로(72)는 리드측 이너 중공부(44)의 내측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리드측 이너 중공부(44)는 적어도 일부가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에 인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 발효 리드(40)가 발효 컨테이너(10)를 폐쇄한 경우 리드측 이너 중공부(44)의 저면이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조(1)는 제1실링(65)과 제2실링(66) 이외에,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 사이의 간극을 막는 제3실링(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실링(67)은 메인유로(70)로 유동되는 유체가 제1메인유로(71)와 제2메인유로(72)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실링(67)은 고무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실링(67)은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와 리드측 이너 중공부(4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3실링(47)은 리드측 이너 중공부(44)의 외주면과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24)의 내주면 사이에서 압착되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각 제3실링(67)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효 리드(40)와 발효 컨테이너(10)의 결합 관계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발효조 2: 외부 가스유로
3: 가스배출밸브 4: 외부유로
5: 급수부 6: 취출부
7: 재료공급부 10: 발효 컨테이너
20: 음료 제조팩 21: 팩 바디
22: 팩 컨테이너 30: 발효 탱크
31: 개구부 23: 컨테이너측 중공부
24: 컨테이너측 이너 중공부 25: 함몰부
26: 파지부 32: 지지부
33: 걸림부 40: 발효 리드
41: 아우터 리드 42: 이너 리드
43: 리드측 중공부 44: 리드측 이너 중공부
45: 중공부 46: 록킹부
47: 돌출부 50: 가스유로
51: 제1가스유로 52: 가스 챔버
53: 제2가스유로 54: 버퍼공간
70: 메인유로 71: 제1메인유로
72: 제2메인유로

Claims (20)

  1.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과, 상기 발효공간과 연통되는 제1가스유로가 형성된 발효 컨테이너; 및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제2가스유로가 형성된 발효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리드가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폐쇄할 경우, 상기 발효 컨테이너와 상기 발효 리드의 사이에는 상기 제1가스유로 및 상기 제2가스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가스 챔버가 형성되는 발효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챔버의 단면적은 상기 제1가스유로 및 상기 제2가스유로 각각의 단면적보다 큰 발효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챔버의 가스가 상기 발효 리드와 상기 발효 컨테이너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은 상기 발효 리드와 상기 발효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발효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는 상기 제1가스유로가 복수개 형성된 발효조.
  5.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과, 상기 발효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제1가스유로 및 제1메인유로가 형성된 발효 컨테이너; 및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개폐하고, 제2가스유로 및 제2메인유로가 형성된 발효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리드가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폐쇄할 경우,
    상기 발효 컨테이너와 상기 발효 리드의 사이에는 상기 제1가스유로 및 상기 제2가스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가스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가 서로 연통되는 발효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의 각 단면적은, 상기 제1가스유로 및 상기 제2가스유로 각각의 단면적보다 크고, 상기 가스 챔버의 단면적보다 작은 발효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유로 및 상기 제2메인유로는 함께 상기 가스 챔버를 관통하는 발효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유로는 상기 제1가스배출유로와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메인유로는 상기 제2가스배출유로와 이격되게 형성된 발효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로 유동되는 유체가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은 상기 발효 리드와 상기 발효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발효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스유로는,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발효 컨테이너의 외둘레 사이에 위치하는 발효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스유로 및 상기 제2메인유로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수직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2가스유로의 수직부는, 상기 제2메인유로의 수직부와 상기 발효 리드의 외둘레 사이에 위치하는 발효조.
  12. 음료가 발효되는 발효공간과, 상기 발효공간과 연통되는 제1가스유로가 형성된 발효 컨테이너;
    상기 발효 컨테이너에 안착되는 아우터 리드; 및
    상기 아우터 리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가스유로가 형성된 이너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 리드 및 상기 이너 리드가 상기 발효 컨테이너를 폐쇄할 경우, 상기 발효 컨테이너와 상기 이너 리드의 사이에는 상기 제1가스유로 및 상기 제2가스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가스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 리드에는, 상기 이너 리드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발효 컨테이너와 체결되는 록킹부가 구비된 발효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리드와 상기 발효 컨테이너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가스 챔버의 가스가 상기 이너 리드와 상기 발효 컨테이너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이 구비된 발효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리드의 상단에는 상기 이너 리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구비된 발효조.
  15. 개구부가 형성된 발효 탱크;
    발효 공간 및 상기 발효공간과 연통되는 제1가스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발효 탱크로 삽입되는 음료 제조팩;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고 제2가스유로가 형성된 발효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 리드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음료 제조팩과 상기 발효 리드의 사이에는 상기 제1가스유로 및 상기 제2가스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제1공간이 형성되는 발효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팩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내측 공간은 상기 제1공간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1공간과 연통되는 발효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리드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음료 제조팩과 상기 발효 리드의 사이에는 제2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은 상기 파지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공간과 이격되어 위치하는 발효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의 가스가 상기 제2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실링; 및
    상기 제2공간의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실링과 상기 제2실링 각각은, 상기 음료 제조팩 및 상기 발효 리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발효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팩에는 상기 제1가스유로와 이격된 제1메인유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발효 리드에는 상기 제2가스유로와 이격된 제2메인유로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발효 리드가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는 서로 연통되는 발효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유로와 상기 제2메인유로 사이의 간극을 막는 제3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실링은 상기 음료 제조팩과 상기 발효 리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발효조.
KR1020170152577A 2017-11-15 2017-11-15 발효조 KR102548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577A KR102548266B1 (ko) 2017-11-15 2017-11-15 발효조
EP18188678.9A EP3486307B1 (en) 2017-11-15 2018-08-13 Fermenter
US16/189,028 US11015155B2 (en) 2017-11-15 2018-11-13 Fermen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577A KR102548266B1 (ko) 2017-11-15 2017-11-15 발효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640A true KR20190055640A (ko) 2019-05-23
KR102548266B1 KR102548266B1 (ko) 2023-06-27

Family

ID=6324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577A KR102548266B1 (ko) 2017-11-15 2017-11-15 발효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15155B2 (ko)
EP (1) EP3486307B1 (ko)
KR (1) KR1025482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542A (ko) * 2018-12-11 2020-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FR3108336A1 (fr) * 2020-03-17 2021-09-24 Hervé RUELL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boisson alcoolisée mousse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1528A1 (en) * 2002-11-29 2006-07-13 Albert Wauters Alcohol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JP2017030768A (ja) * 2015-07-30 2017-02-09 キリン株式会社 飲料注出装置
KR20170086880A (ko) * 2016-01-19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001224A (en) * 1910-01-17 1910-10-06 August Auman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Circulation in a Liquid by Means of Gases.
GB191301224A (en) 1913-01-15 1914-01-15 George Featherstone Shimmin Improvements in the Rear Framing of Motor-cycles and the like.
US4423670A (en) * 1982-06-29 1984-01-03 Tenison Earnest M Fermenting and carbonating apparatus
KR910004113B1 (ko) * 1988-12-30 1991-06-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침채류의 발효상태 검출장치
US5364639A (en) * 1989-11-27 1994-11-15 Maclennan Ian M Beer making method
US5802956A (en) * 1996-02-25 1998-09-08 Robertson; David Henry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moval of kraeusen in the brewing process
US6561078B1 (en) * 2001-12-28 2003-05-13 Mark J. Hughes Device for separating and removing kraeusen from beer during fermentation
US6629490B1 (en) * 2002-03-21 2003-10-07 Shun-Tsung Lu Smart wine brewery equipment
GB2485302B (en) * 2009-08-14 2018-10-17 Coopers Brewery Ltd Temperature controlled fermenting container
US20160194587A1 (en) * 2015-01-02 2016-07-07 Brian Ellegood Brewing, fermenting, and service kettle keg with compression displacement plate
EP3246392B1 (en) * 2016-05-18 2024-03-27 LG Electronics Inc. Beer mak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1528A1 (en) * 2002-11-29 2006-07-13 Albert Wauters Alcohol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JP2017030768A (ja) * 2015-07-30 2017-02-09 キリン株式会社 飲料注出装置
KR20170086880A (ko) * 2016-01-19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맥주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44803A1 (en) 2019-05-16
US11015155B2 (en) 2021-05-25
KR102548266B1 (ko) 2023-06-27
EP3486307B1 (en) 2020-12-23
EP3486307A1 (en)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1530B2 (en) Fluid pressurization and dispensing system
EP3708644B1 (en) Beer production apparatus
US20180072972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fermenting beverages
US20190144804A1 (en) Beverage maker
KR20190001134A (ko) 음료 제조기
KR20190055640A (ko) 발효조
KR20170086878A (ko) 수용장치 및 이를 구비한 맥주제조장치
KR102183690B1 (ko) 음료 제조팩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US20200190448A1 (en) Beverage maker
KR20200071542A (ko) 발효 컨테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KR102491226B1 (ko) 발효조
US20230159257A1 (en) Cup system for simultaneous delivery of contents from separated cups to a mouth of a user
KR20220006882A (ko) 음료 제조기
EP3739031B1 (en)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ermentation and aging apparatus
KR102528396B1 (ko) 음료 제조기
KR20200007187A (ko) 음료 취출기
KR20200007175A (ko) 음료 제조기
KR102630846B1 (ko) 감압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CN220826818U (zh) 一种饮料包装袋
KR102312232B1 (ko) 발효장치
KR102312229B1 (ko) 발효장치
KR20190013218A (ko) 음료 제조기
KR102314618B1 (ko) 음료 제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90105435A (ko) 발효 컨테이너 및 그를 갖는 음료 제조기
CN116654446A (zh) 一种饮料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